KR101908264B1 - 클러치 커버 조립체 핸들링 지그 - Google Patents

클러치 커버 조립체 핸들링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8264B1
KR101908264B1 KR1020180055332A KR20180055332A KR101908264B1 KR 101908264 B1 KR101908264 B1 KR 101908264B1 KR 1020180055332 A KR1020180055332 A KR 1020180055332A KR 20180055332 A KR20180055332 A KR 20180055332A KR 101908264 B1 KR101908264 B1 KR 101908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assembly
clutch cover
guide shaft
shaft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성환
Original Assignee
진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성환 filed Critical 진성환
Priority to KR1020180055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2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23P19/04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14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ssembling objects other than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7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the articles being treated, e.g. manufactured, repaired, assembled, connected or other operations covered in the subgroups
    • B23P2700/50Other automobile vehicle parts, i.e. manufactured in assembl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자가 조립 과정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클러치 커버 조립체 핸들링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호이스트(40)에 지지되는 고정부(110)와; 상기 고정부(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부(120)와; 플라이휠(10)에 조립될 클러치 커버 조립체(12)가 끼워지는 가이드샤프트(140)와; 상기 가이드샤프트(14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회전부(120)에 마련된 착탈부(1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클러치 커버 조립체 핸들링 지그{Clutch cover assembly handling jig}
본 발명은 플라이휠에 조립되는 클러치 커버 조립체를 핸들링하는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조립 과정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클러치 커버 조립체 핸들링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엔진등에는 크랭크축의 출력축에는 에너지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였다가 다시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회전체인 플라이휠이 설치되어 있으며, 엔진시동시 스타트모터에 의한 초기 회전을 원활하게 유지해주는 역할을 하고, 또한 엔진의 폭발행정 이외의 행정을 수행하고, 또 사점(死點)을 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며 동시에 회전진동을 보상한다.
통상 플라이휠은 엔진의 크랭크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휠부재와, 그 휠부재에 밀착되는 클러치 커버 조립체가 조립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립 과정에서 클러치 커버 조립체를 휠부재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클러치 커버 조립체는 클러치디스크 및 상기 클러치디스크 위를 덮어주는 커버로 구성된다.
그런데, 작업자는 클러치 커버 조립체를 일일이 손으로 들어서 휠부재와 얼라인시킨 후 체결시키는 방식으로 조립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하루에 수백개의 중량체인 클러치 커버 조립체를 들어서 반복 작업을 하다보면 작업자의 피로도가 매우 심해지고, 자칫 클러치 커버 조립체가 낙하할 경우 큰 부상의 위험마저 있어서, 작업 환경에 심각한 불안 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플라이휠 조립을 위한 클러치 커버 조립체의 핸들링 시 작업자의 부담을 줄여서 작업의 안정성을 확보해줄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이 특허등록번호 10-1600622호에 플라이휠 조립용 지그란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플라이휠 조립 시 클러치 커버 조립체의 핸들링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클러치 커버 조립체 핸들링 지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전을 위한 경보 기능도 겸비한 클러치 커버 조립체 핸들링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커버 조립체 핸들링 지그는, 호이스트(40)에 지지되는 고정부(110); 상기 고정부(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부(120); 플라이휠(10)에 조립될 클러치 커버 조립체(12)가 끼워지는 가이드샤프트(140); 및 상기 가이드샤프트(14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회전부(120)에 마련된 착탈부(1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130)는, 상기 가이드샤프트(140)가 끼워지는 중공몸체(131)와; 상기 중공몸체(131)의 내주면에 돌출 가능하게 설치된 제1로킹볼(132)과; 상기 제1로킹볼(132)이 중공에 삽입된 상기 가이드샤프트(140)의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눌러주는 제1위치 및 가압하지 않도록 풀어주는 제2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가능하게 상기 중공몸체(131)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133)와; 상기 중공몸체(131)와 슬라이더(133) 사이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슬라이더(133)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134)과; 상기 중공몸체(131) 후방측으로 돌출된 버튼(135a) 및 그 버튼(135a)과 연결되어 중공몸체(131) 내측으로 연장되는 푸쉬바아(135b)로 구성된 푸쉬버튼(1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133)는,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로킹볼(132)을 누르는 단턱단(133a) 및 상기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로킹볼(132)이 위치되는 슬라이더홈(133b)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샤프트(140)는, 상기 중공몸체(131)에 삽입 또는 분리되는 것으로서 내측으로 중공(141a)이 형성된 샤프트몸체(141)와, 상기 샤프트몸체(14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로킹볼(132)이 선택적으로 끼어지는 로킹홈(142)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샤프트(140)는, 상기 샤프트몸체(141)의 후방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중공(141a)에 삽입되는 로드(143)와, 상기 로드(143)의 외주면에 형성된 도피홈(144)과, 상기 샤프트몸체(141)의 전방측에 위치된 것으로서 상기 로드(143) 또는 도피홈(144)에 연동되어 그 샤프트몸체(14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 또는 몰입되는 제2로킹볼(145)과, 상기 제2로킹볼(145)이 샤프트몸체(14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로드(143)를 후방측으로 탄성가압하는 샤프트스프링(146)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120)는 상기 가이드샤프트(140)가 수직 하방을 향하는 제1회전위치와, 상기 가이드샤프트(140)가 수평 방향을 향하는 제2회전위치 사이에서 회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10)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회전부(120)의 회전을 로킹시키기 위한 로킹핀(113)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커버 조립체(12)의 존재를 감지하는 센서(61)와, 상기 센서(61)의 신호에 따라 켜지는 경광등(62)을 더 포함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러치 커버 조립체를 플라이휠에 조립할 때, 클러치 커버 조립체의 핸들링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 효율이 향상되어 높은 생산성과 안정성을 모두 확보될 수 있다.
또한, 경보 기능을 탑재하고 있어서, 작업자의 집중력을 높여서 오조작에 의한 사고 확률도 낮출 수 있게 해준다.
도 1은 일반적인 플라이휠과 엔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커버 조립체 핸들링 지그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클러치 커버 조립체 핸들링 지그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착탈부 및 가이드샤프트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의 핸들링 지그로 클러치 커버 조립체를 들어올리는 과정을 묘사한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도 4와 같이 들어올린 클러치 커버 조립체를 휠부재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클러치 커버 조립체 핸들링 지그의 변형 가능한 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플라이휠과 엔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반적인 자동차의 엔진(20)에는 크랭크축(21)과 연결된 플라이휠(10)이 설치되어 있어서, 엔진시동시 스타트모터(30)에 의한 초기 회전을 원활하게 유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즉, 스타트모터(30)에 시동과 함께 플라이휠(10)이 회전되면, 크랭크축(21)이 회전하면서 엔진(20) 내부의 피스톤들을 움직이게 되고, 동시에 엔진 점화가 진행되면서 이후에는 흡기-압축-폭발-배기의 4행정이 자연스럽게 이어지며 진행된다.
한편, 플라이휠(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20)의 크랭크축에 설치된 휠부재(11)와, 그 휠부재(11)에 밀착되는 클러치 커버 조립체(12)가 조립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클러치 커버 조립체(12)는 휠부재(11)에 밀착되는 클러치디스크(12a) 및 클러치디스크(12a)를 덮어주는 커버(12b)로 구성된다.
이하에 설명된 본 실시예의 클러치 커버 조립체 핸들링 지그는, 상기 클러치디스크(12a)와 커버(12b)로 구성된 클러치 커버 조립체(12)를 상기 휠부재(11)에 체결하는 작업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즉, 통상적인 조립 과정상, 휠부재(11)는 엔진(20)에 결합된 상태로 들어오고, 여기에 상기 클러치 커버 조립체(12)를 결합시키는 식으로 조립 작업이 진행되는데, 기존에는 작업자가 클러치 커버 조립체(12)를 일일이 손으로 들어서 휠부재(11)에 조립하였기 때문에 생산성 및 안정성 측면에서 모두 불안한 측면이 많았지만, 본 실시예의 클러치 커버 조립체 핸들링 지그를 사용하면 안전하고 신속한 작업이 가능해진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커버 조립체 핸들링 지그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클러치 커버 조립체 핸들링 지그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착탈부 및 가이드샤프트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2의 핸들링 지그로 클러치 커버 조립체를 들어올리는 과정을 묘사한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4와 같이 들어올린 클러치 커버 조립체를 휠부재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커버 조립체 핸들링 지그는, 호이스트(40)에 지지되는 고정부(110)와; 고정부(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부(120)와; 플라이휠(10)에 조립될 클러치 커버 조립체(12)가 끼워지는 가이드샤프트(140)와; 그리고 가이드샤프트(14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회전부(120)에 마련된 착탈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호이스트(40)는 본 클러치 커버 조립체 핸들링 지그 전체를 들어올릴 수 있는 일반적인 승강수단을 예시한 것으로, 그 형태는 승강 기능만 가능하면 어떤 것이어도 무방하다.
상기 고정부(110)는 링커(111)를 매개로 호이스트(40)에 거치되는 일종의 본체로서,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112)와, 상기 회전부(120)의 회전을 로킹시킬 수 있는 로킹핀(113) 등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회전부(120)는 고정부(11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가이드샤프트(140)가 수직 하방을 향하는 제1회전위치와, 상기 가이드샤프트(140)가 수평 방향을 향하는 제2회전위치 사이에서 회전한다. 이에 따라 회전부(120)는 가이드샤프트(140)에 지지되는 클러치 커버 조립체(12)를 들어서 90도 회진시킬 수 있도록 있게 된다. 더 이상의 자세한 동작은 뒤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착탈부(130)는, 가이드샤프트(14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120)에 설치된다. 이러한 착탈부(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샤프트(140)가 끼워지는 중공몸체(131)와, 중공몸체(131)의 내주면에 돌출 가능하게 설치된 제1로킹볼(132)과, 상기 제1로킹볼(132)이 중공몸체(131)에 삽입된 가이드샤프트(140)의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눌러주는 제1위치 및 가압하지 않도록 풀어주는 제2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가능하게 상기 중공몸체(131)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133)와, 중공몸체(131)와 슬라이더(133) 사이에 설치된 것으로서 슬라이더(133)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134)과, 중공몸체(131) 후방측으로 돌출된 버튼(135a) 및 버튼(135a)과 연결되어 중공몸체(131) 내측으로 연장되는 푸쉬바아(135b)로 구성된 푸쉬버튼(135)을 포함한다.
중공몸체(131)는 회전부(120)에 지지되는 원통형태로 되어 있다.
슬라이더(133)는 중공몸체(131)에 대하여 전후방 슬라이딩 되게 결합된 것으로서, 전방측 내주면에 단턱단(133a) 및 슬라이더홈(133b)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133)는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제1로킹볼(132)은 단턱단(133a)에 의하여 눌리어져 가이드샤프트(140)의 외주면, 엄밀하게는 후술할 로킹홈(142)에 끼어지고, 슬라이더(133)가 제2위치에 있을 때 제1로킹볼(132)은 슬라이더홈(133b)으로 진입하여 가이드샤프트(140)의 외주면에서 분리된다.
스프링(134)은 슬리이더홈(133b) 내측에 설치된 것으로서, 슬라이더(133)가 평소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한다. 이러한 스프링(134)에 의하여, 단턱단(133a)은 제1로킹볼(132)을 가압하여 제1로킹볼(132)이 가이드샤프트(140)의 로킹홈(142)에 끼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가이드샤프트(140)는, 중공몸체(131)에 삽입 또는 분리되는 것으로서 내측으로 중공(141a)이 형성된 샤프트몸체(141)와, 샤프트몸체(14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로킹볼(132)이 선택적으로 끼어지는 로킹홈(142)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가이드샤프트(140)가 중공몸체(131)의 중공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단턱단(133a)은 제1로킹볼(132)을 눌러 가이드샤프트(140)가 중공몸체(131)에서 빠져나가지 않게 로킹시킨다.
그리고 작업자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133)를 전방측으로 이동시키면, 제1로킹볼(132)이 슬라이더홈(133b)에 위치되어 가이드샤프트(140)의 외주면을 가압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가이드샤프트(140)는 중공몸체(131)에서 분리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샤프트(140)는, 샤프트몸체(141)의 후방측으로 돌출되도록 중공(141a)에 삽입되는 로드(143)와, 로드(143)의 외주면에 형성된 도피홈(144)과, 샤프트몸체(141)의 전방측에 위치된 것으로서 로드(143) 또는 도피홈(144)에 연동되어 그 샤프트몸체(14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 또는 몰입되는 제2로킹볼(145)과, 제2로킹볼(145)이 샤프트몸체(14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로드(143)를 후방측으로 탄성가압하는 샤프트스프링(146)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가이드샤프트(140)가 중공몸체(131)에 삽입된 상태에서 푸쉬바아(135b)는 로드(143)를 접하게 되고, 제2로킹볼(145)은 로드(143)의 외주면에 가압되어 샤프트몸체(141)의 표면에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푸쉬바아(135b)가 누르면 로드(143)가 전진하면서 도피홈(144)이 제2로킹볼(145)에 대향되고, 이 상태에서 제2로킹볼(145)은 도피홈(144)에 끼어지게 되어 샤프트몸체(141)의 표면으로 몰입된다.
상기 제2로킹볼(145)이 샤프트몸체(141)의 표면으로 몰입된 상태에서, 가이드샤프트(140)는 클러치 커버 조립체(12)의 중앙홀에 끼어질 수 있다(도 5 참조). 이후 푸쉬바아(135b)가 초기 위치로 후진하면 제2로킹볼(145)이 샤프트몸체(141)의 표면에서 돌출되면서 클러치 커버 조립체(12)의 중앙홀에 결합되고, 이에 따라 클러치 커버 조립체(12)는 샤프트몸체(141)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클러치 커버 조립체 핸들링 지그를 이용한 플라이휠 조립 과정은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진행될 수 있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이스트(40)를 내려서 착탈부(130)에 결합된 가이드샤프트(140)가 클러치 커버 조립체(12)의 중앙홀(11a)에 끼워지게 한다. 이때 작업자는 푸쉬버튼(135)을 눌러 로드(143)를 전진시킴으로써 도피홈(144)이 제2로킹볼(145)에 대향되게 하고, 이에 따라 제2로킹볼(145)이 도피홈(144)에 끼어지게 되면서 가이드샤프트(140)는 클러치 커버 조립체(12)의 중앙홀에 끼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작업자가 푸시버튼(135)으로부터 손을 떼면, 푸쉬바아(135b)가 초기 위치로 후진하면서 제2로킹볼(145)을 샤프트몸체(141)의 표면에서 돌출시키고, 제2로킹볼(145)은 클러치 커버 조립체(12)의 중앙홀의 내주면에 밀착하여 로킹되면서 클러치 커버 조립체(12)는 샤프트몸체(141)에서 빠지지 않게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호이스트(40)를 반대로 작동시켜서 클러치 커버 조립체(12)를 들어올린다.
이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120)의 손잡이(121)를 잡고 회전부(120)를 90 도 회전시킨다. 그러면, 수직 하방을 향하고 있던 클러치 커버 조립체(12)가 도면과 같이 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정렬되며, 이 상태로 전진시키면 휠부재(11)의 중앙홀(11a)에 가이드샤프트(140)가 끼워지게 된다.
물론, 자동으로 얼라인이 되는 것은 아니고, 작업자가 매달려 있는 클러치 커버 조립체(12)를 약간 위치 조정하며 가이드샤프트(140)가 휠부재(11) 중앙홀(11a)에 끼워지게 하면 되나, 클러치 커버 조립체(12)가 지지되어 들려져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이러한 위치 조정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쉽게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가이드샤프트(140)가 휠부재(11)의 중앙홀(11a)에 끼워진 다음에는, 슬라이더(133)를 전방측으로 이동시켜 제1로킹볼(132)을 가이드샤프트(140)의 로킹홈(142)으로부터 빼내어 가이드샤프트(140)만 남기고 클러치 커버 조립체 핸들링 지그는 뒤로 물린다.
그러면, 클러치 커버 조립체(12)는 가이드샤프트(14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휠부재(11)와 밀착된 가결합 상태로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볼트(50)를 이용하여 클러치 커버 조립체(12)의 커버(12b)와 휠부재(11)를 체결하면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에 가이드샤프트(140)의 로드(143)를 누르면, 제2로킹볼(145)이 클러치 커버 조립체(12)의 중앙홀의 내주면에서 분리되어 도피홈(144)으로 진입되면 외부로 돌출된 부분이 없어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가이드샤프트(140)를 당기면 주변에 걸리는 것이 없으므로 쉽게 빼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클러치 커버 조립체(12)를 플라이휠에 조립하는 작업을 수행하면, 클러치 커버 조립체(12)의 핸들링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작업 효율이 향상되어 높은 생산성과 안정성을 모두 확보될 수 있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클러치 커버 조립체 핸들링 지그의 변형 가능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기본적으로는 전술한 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하다. 다만, 여기서는 클러치 커버 조립체(12)의 존재를 감지하는 센서(61)와, 그 센서(61)에 의해 작동하는 경광등(62)을 더 구비한 점에 특징이 있다.
이렇게 되면, 클러치 커버 조립체(12)를 가이드샤프트(140)에 끼워서 들어올릴 때 경광등(62)이 들어오기 때문에, 해당 작업자 뿐 아니라 주변에 있는 다른 작업자들에게도 주의 신호를 보낼 수 있게 되어, 작업의 집중력을 높여서 충돌이나 낙하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해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클러치 커버 조립체(12)를 플라이휠의 휠부재(11)에 조립할 때, 클러치 커버 조립체(12)의 핸들링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 효율이 향상되어 높은 생산성과 안정성을 모두 확보될 수 있다.
더 나아가 경보 기능을 탑재하고 있어서, 작업자의 집중력을 높여서 오조작에 의한 사고 확률도 낮출 수 있게 해준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플라이휠 11 ... 휠부재
12a ... 클러치 커버 조립체 12b ... 커버
40 ... 호이스트 50 ... 볼트
110 ... 고정부 120 ... 회전부
130 ... 착탈부 131 ... 중공몸체
132 ... 로킹볼 133 ... 슬라이더
133a ... 단턱단 133b ... 슬라이더홈
134 ... 스프링 135 ... 푸쉬버튼
135a ... 버튼 135b ... 푸쉬바아
140 ... 가이드샤프트 141 ... 샤프트몸체
141a ... 중공 142 ... 로킹홈
143 ... 로드 144 ... 도피홈
145 ... 제2로킹볼 146 ... 샤프트스프링

Claims (8)

  1. 호이스트(40)에 지지되는 고정부(110);
    상기 고정부(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부(120);
    플라이휠(10)에 조립될 클러치 커버 조립체(12)의 중앙홀(11a)에 로킹 및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샤프트(140); 및
    상기 가이드샤프트(14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회전부(120)에 마련된 착탈부(130)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1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샤프트(140)는 수직 하방을 향하는 제1회전위치와 수평 방향을 향하는 제2회전위치 사이에서 90도 회전하며;
    상기 착탈부(130)는, 상기 가이드샤프트(140)가 끼워지는 중공몸체(131)와, 상기 중공몸체(131)의 내주면에 돌출 가능하게 설치된 제1로킹볼(132)과, 상기 제1로킹볼(132)이 상기 중공몸체(131)에 삽입된 상기 가이드샤프트(140)의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눌러주는 제1위치 및 가압하지 않도록 풀어주는 제2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가능하게 상기 중공몸체(131)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133)와, 상기 중공몸체(131)와 슬라이더(133) 사이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슬라이더(133)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134)과, 상기 중공몸체(131) 후방측으로 돌출된 버튼(135a) 및 그 버튼(135a)과 연결되어 중공몸체(131) 내측으로 연장되는 푸쉬바아(135b)로 구성된 푸쉬버튼(135)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샤프트(140)는, 상기 중공몸체(131)에 삽입 또는 분리되는 것으로서 내측으로 중공(141a)이 형성된 샤프트몸체(141)와, 상기 샤프트몸체(14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로킹볼(132)이 선택적으로 끼어지는 로킹홈(142)와, 상기 샤프트몸체(141)의 후방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중공(141a)에 삽입되는 로드(143)와, 상기 로드(143)의 외주면에 형성된 도피홈(144)과, 상기 샤프트몸체(141)의 전방측에 위치된 것으로서 상기 로드(143) 또는 도피홈(144)에 연동되어 그 샤프트몸체(14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 또는 몰입되어 상기 클러치 커버 조립체(12)의 중앙홀(11a)에 대해 로킹 및 분리 가능한 제2로킹볼(145)과, 상기 제2로킹볼(145)이 샤프트몸체(14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로드(143)를 후방측으로 탄성가압하는 샤프트스프링(146)을 포함하며;
    상기 푸쉬버튼(135)의 전진 및 후진에 의해 상기 제2로킹볼(145)이 상기 도피홈(144)으로 몰입되거나 상기 샤프트몸체(141)의 표면에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커버 조립체 핸들링 지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133)는,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로킹볼(132)을 누르는 단턱단(133a) 및
    상기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로킹볼(132)이 위치되는 슬라이더홈(133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커버 조립체 핸들링 지그.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10)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회전부(120)의 회전을 로킹시키기 위한 로킹핀(11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커버 조립체 핸들링 지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커버 조립체(12)의 존재를 감지하는 센서(61)와, 상기 센서(61)의 신호에 따라 켜지는 경광등(6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커버 조립체 핸들링 지그.
KR1020180055332A 2018-05-15 2018-05-15 클러치 커버 조립체 핸들링 지그 KR101908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332A KR101908264B1 (ko) 2018-05-15 2018-05-15 클러치 커버 조립체 핸들링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332A KR101908264B1 (ko) 2018-05-15 2018-05-15 클러치 커버 조립체 핸들링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8264B1 true KR101908264B1 (ko) 2018-10-15

Family

ID=63865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332A KR101908264B1 (ko) 2018-05-15 2018-05-15 클러치 커버 조립체 핸들링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826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71275A (zh) * 2020-10-10 2021-01-05 深圳市联星服装辅料有限公司 合金啪钮组装机
KR102216951B1 (ko) * 2019-11-28 2021-02-18 주식회사 삼인이엔지 휴대성능이 향상된 지관의 방향전환장치
CN113714783A (zh) * 2021-09-17 2021-11-30 浙江松田汽车电机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起动机单向器总成压卡圈装置
CN113895943A (zh) * 2020-06-22 2022-01-07 沈阳新松机器人自动化股份有限公司 一种自适应万向自动抓取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7985B1 (ko) 1996-12-20 1999-06-01 정몽규 차량용 클러치디스크 조립지그
JP2002028828A (ja) * 2000-07-12 2002-01-29 Isuzu Motors Ltd ワークへのアッセンブリ圧入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7985B1 (ko) 1996-12-20 1999-06-01 정몽규 차량용 클러치디스크 조립지그
JP2002028828A (ja) * 2000-07-12 2002-01-29 Isuzu Motors Ltd ワークへのアッセンブリ圧入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6951B1 (ko) * 2019-11-28 2021-02-18 주식회사 삼인이엔지 휴대성능이 향상된 지관의 방향전환장치
CN113895943A (zh) * 2020-06-22 2022-01-07 沈阳新松机器人自动化股份有限公司 一种自适应万向自动抓取装置
CN113895943B (zh) * 2020-06-22 2023-02-28 沈阳新松机器人自动化股份有限公司 一种自适应万向自动抓取装置
CN112171275A (zh) * 2020-10-10 2021-01-05 深圳市联星服装辅料有限公司 合金啪钮组装机
CN113714783A (zh) * 2021-09-17 2021-11-30 浙江松田汽车电机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起动机单向器总成压卡圈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8264B1 (ko) 클러치 커버 조립체 핸들링 지그
US7526847B1 (en) Crankshaft oil seal installation device
US7568372B1 (en) Hydraulic rescue tool
US7937838B2 (en) Hydraulic rescue tool with quick-change head
US7621514B2 (en) Clamping apparatus
US6244568B1 (en) Rescue spreading tool
US4362194A (en) Manually mobile firewood log splitter
CN209868392U (zh) 一种自动锁扣机构
US20220118594A1 (en) Hand-Held Power Tool Having a Locking Device
ATE225234T1 (de) Vorrichtung zum zentrieren und spannen von blechen oder mechanischen werkstücken
US3710655A (en) Battering apparatus for opening jammed automobile doors
CN106466828B (zh) 用于拆卸起动电动机的驱动小齿轮组件的系统和方法
US8266941B1 (en) Fastener installation tool
US5267462A (en) Portable rescue device
CN209784074U (zh) 一种锁附机构及水压测试装置
KR200487314Y1 (ko) 멀티 후크 렌치
KR101670712B1 (ko) 부품 제조용 리벳팅 머신
WO2009139854A2 (en) Hydraulic rescue tool with quick-change head
TW200305539A (en) Hoist
CN217345330U (zh) 拉装设备
JP2002028828A (ja) ワークへのアッセンブリ圧入装置
KR102317076B1 (ko) 다목적 작업차
US20230013654A1 (en) Socket adapter for impact wrench
CN108908694B (zh) 一种钢筋预应力张拉机
JP3511579B2 (ja) 立乗型フォークリフ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