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8262B1 - 크레인용 지게발 - Google Patents

크레인용 지게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8262B1
KR101908262B1 KR1020180050420A KR20180050420A KR101908262B1 KR 101908262 B1 KR101908262 B1 KR 101908262B1 KR 1020180050420 A KR1020180050420 A KR 1020180050420A KR 20180050420 A KR20180050420 A KR 20180050420A KR 101908262 B1 KR101908262 B1 KR 101908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rane
main
frames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0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만
Original Assignee
박정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만 filed Critical 박정만
Priority to KR1020180050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2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타입 프레임구조의 크레인용 지게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나란하게 위치하고 있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단에 하단이 각각 결합되되, 상단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결합되는 경사프레임과; 상기 한 쌍으로 이루어진 메인프레임의 중앙 상부 측에 메인프레임과 나란하도록 위치하고 있되, 양측면이 각각 경사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에는 크레인의 걸고리에 체결되는 링고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크레인용 지게발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크레인용 지게발은 지게발의 너비나 길이조정이 용이하며, 길이조정시 유압실린더와 같은 구동수단이 장착되지 않기에 자체하중도 가벼워 사용 및 운반이 용이하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크레인용 지게발{Fork frame for crane}
본 발명은 지게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A타입 프레임구조로 형성된 크레인용 지게발에 관한 것이다.
포크레인이나 크레인 또는 지게차는 무거운 하중의 화물을 옮기는 수단으로서 포크레인이나 크레인 또는 지게차에는 이러한 화물을 리프팅하기 위한 수단으로 지게발이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지게발의 종래 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0955121호에 작업기에 연결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장착되는 지게발을 포함하는 지게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방 하측에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되, 상기 지게발의 일측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에 관통된 상기 지게발의 일측 단부가 간섭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방 하측에 형성된 간섭판과; 상기 간섭판에 상기 지게발의 단부를 결속시키도록 구비되는 결속구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지게발의 미사용시 상기 지게발을 회전시켜 상기 메인프레임에 절첩시킨 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속구는 상기 지게발에 고정핀에 의해 회전되게 결합되되, 일측에 상기 지게발과 연결되는 가압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가압스프링에 의한 가압력으로 타측이 상기 간섭판의 상단을 가압지지하는 지지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발 회전식 지게장치가 등록공개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공보 제2013-0067788호에 천정 크레인에 체결되는 적어도 한 쌍의 홀을 포함하는 리프팅부; 상기 리프팅부의 하단과 결합되고 수직 지지대 및 수평 지지대를 포함하며 꼭지점 부위가 상기 리프팅부 방향으로 굴곡된 삼각발 형상을 가지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고 상기 삼각발의 양단에서 상기 리프팅부 방향과 수평되게 연장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천정 크레인용 지게발 지그 구조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지게발은 대부분 지게차 또는 포크레인에 한정적으로 장착되며, 또한 지게발의 너비나 길이조정이 어려워 다양한 크기의 화물에 사용하기 어려우며, 너비나 길이조정을 위해서는 유압실린더와 같은 구동수단이 구비되어야 하기에 지게발의 자체하중이 무겁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지게발의 너비나 길이조정이 용이하며, 길이조정시 유압실린더와 같은 구동수단이 장착되지 않기에 자체하중도 가벼운 크레인용 지게발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크레인용 지게발은 서로 나란하게 위치하고 있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단에 하단이 각각 결합되되, 상단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결합되는 경사프레임과; 상기 한 쌍으로 이루어진 메인프레임의 중앙 상부 측에 메인프레임과 나란하도록 위치하고 있되, 양측면이 각각 경사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에는 크레인의 걸고리에 체결되는 링고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크레인용 지게발은 지게발의 너비나 길이조정이 용이하며, 길이조정시 유압실린더와 같은 구동수단이 장착되지 않기에 자체하중도 가벼워 사용 및 운반이 용이하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크레인용 지게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크레인용 지게발의 또 다른 측면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크레인용 지게발에 장착되는 메인프레임의 제1몸체와 제2몸체의 관계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 크레인용 지게발에 장착되는 턴버클을 나타낸 일부분 확대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 크레인용 지게발에 장착되는 링고리의 사용 상태도.
본 발명의 크레인용 지게발(100)은 서로 나란하게 위치하고 있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110)과;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후단에 하단이 각각 결합되되, 상단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결합되는 경사프레임(120)과; 상기 한 쌍으로 이루어진 메인프레임(110)의 중앙 상부 측에 메인프레임(110)과 나란하도록 위치하고 있되, 양측면이 각각 경사프레임(120)의 상단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1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지지프레임(130)의 상면에는 크레인의 걸고리에 체결되는 링고리(140)가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지지프레임(130)의 상면에는 복수 개의 볼트홈(131)이 지지프레임(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트홈(131)에는 크레인의 걸고리에 체결되는 링고리(140)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10)은 길이방향으로 중공되어 있는 제1몸체(111)와, 상기 제1몸체(111)의 선단에 삽입되는 제2몸체(112)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몸체(111)와 제2몸체(112)의 길이방향의 측면에는 각각 양측 방향으로 관통되는 복수 개의 관통구(113, 114)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몸체(111)로부터 제2몸체(112)가 돌출되는 길이를 조정하면서 제1몸체(111)에 형성된 관통구(113)와 제2몸체(112)에 형성된 관통구(114)를 서로 일치시킨 후, 볼트(B)를 관통시켜 너트(N)를 체결함으로써 메인프레임(110)의 전체길이는 조정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메인프레임(110)은 보조프레임(16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보조프레임(160)은 길이방향으로 중공되어 있는 중앙프레임(161)과, 상기 중앙프레임(161)의 양단에 삽입되는 사이드프레임(162)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사이드프레임(162)의 양끝단부는 메인프레임(110)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프레임(160)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메인프레임(110) 간에는 턴버클(150)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경사프레임(120)의 상·하단은 각각 지지프레임(130)과 메인프레임(110)에 힌지결합되어 있어, 상기 턴버클(150)에 의해 한 쌍으로 이루어진 메인프레임(111)의 간격은 조정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 크레인용 지게발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크레인용 지게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크레인용 지게발의 또 다른 측면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크레인용 지게발에 장착되는 메인프레임의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의 관계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 크레인용 지게발에 장착되는 턴버클을 나타낸 일부분 확대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 크레인용 지게발에 장착되는 링고리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A타입 프레임구조로 형성된 크레인용 지게발(100)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나란하게 위치하고 있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110)과;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후단에 하단이 각각 결합되되, 상단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결합되는 경사프레임(120)과; 상기 한 쌍으로 이루어진 메인프레임(110)의 중앙 상부 측에 메인프레임(110)과 나란하도록 위치하고 있되, 양측면이 각각 경사프레임(120)의 상단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130);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30)의 상면에는 크레인의 걸고리(도면 미도시)에 체결되는 링고리(140)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즉, 한 쌍의 경사프레임(120)의 상단이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전체적인 형상은 A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링고리(140)는 원형의 링(141)과,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볼트몸체(142)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지지프레임(130)의 상면에는 복수 개의 볼트홈(131)이 지지프레임(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트홈(131)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상기 링고리(140)의 볼트몸체(142)를 볼트홈(131)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링고리(140)는 지지프레임(130)에 결합되며, 상기 링고리(140)의 링(141)에 크레인의 걸고리를 체결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130)의 하면에도 지지프레임(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걸림판(132)을 형성함으로써 크레인의 걸고리 뿐만 아니라 걸고리 없이 크레인으로부터 벨트를 체결시키게 되면 벨트는 지지프레임(130)의 하면에 접촉할 때, 걸림판(132)에 의해 이탈 또는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이에, 팔레트 상면에 놓인 적재물을 옮길 때, 크레인의 걸고리를 지지프레임(130)의 상면에 결합된 링고리(140)에 결속시키거나, 또는 지지프레임(130)의 하면에 돌출형성되어 있는 걸림판(132)에 크레인의 벨트가 이탈 또는 미끄러지지 않도록 결속하여 지게발(100)을 크레인을 이용하여 이동시키면서 지게발(100)의 메인프레임(110)이 팔레트의 측면에 형성된 홀에 삽입시킨 후, 크레임을 이용하여 팔레트와 함께 적재물을 원하는 지점으로 옮길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복수 개의 걸림판(132)을 서로 수평선상에 일직선이 되도록 관통하는 관통홀(도면 미도시)을 형성하고, 상기 홀에 핀 또는 볼트를 삽입하여 너트를 체결할 수도 있는 것으로, 크레인의 벨트를 걸림판(132) 사이에 위치시킨 후, 볼트와 같은 결속부재를 걸림판(132)의 관통홀에 삽입하여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벨트가 이탈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함으로써 더욱더 안전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10)은 길이방향으로 중공되어 있는 제1몸체(111)와, 상기 제1몸체(111)의 선단에 삽입되는 제2몸체(112)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몸체(111)와 제2몸체(112)의 길이방향의 측면에는 각각 양측 방향으로 관통되는 복수 개의 관통구(113, 114)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상기 제1몸체(111)로부터 제2몸체(112)가 돌출되는 길이를 조정하면서 제1몸체(111)에 형성된 관통구(113)와 제2몸체(112)에 형성된 관통구(114)를 서로 일치시킨 후, 볼트(B)를 관통시켜 너트(N)를 체결함으로써 메인프레임(110)의 전체길이는 조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메인프레임(110)은 보조프레임(16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보조프레임(160)은 길이방향으로 중공되어 있는 중앙프레임(161)과, 상기 중앙프레임(161)의 양단에 삽입되는 사이드프레임(162)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사이드프레임(162)의 양끝단부는 메인프레임(110)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조프레임(160)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메인프레임(110) 간에는 턴버클(150)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경사프레임(120)의 상·하단은 각각 지지프레임(130)과 메인프레임(110)에 힌지결합되어 있어, 상기 턴버클(150)에 의해 한 쌍으로 이루어진 메인프레임(111)의 간격은 조정되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지지프레임(130)의 길이방향의 양측면에는 한 쌍의 상부 브래킷(170)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프레임(110) 중 제1몸체(111)의 상면에는 한 쌍의 하부 브래킷(180)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경사프레임(120)의 상단은 한 쌍의 상부 브래킷(170)에 힌지결합되며, 경사프레임(120)의 하단은 한 쌍의 하부 브래킷(180)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턴버클(150)을 조정하게 되면 경사프레임(120)의 하단이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조정하게 됨으로써 자연스럽게 경사프레임(120)의 경사각이 조정되는 것이다.
상기 턴버클(150)은 길이방향의 양단에 너트홀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체(151)와, 상기 회전체(151)의 양단에 형성된 너트홀에 나사결합하는 나사막대(152)로 구성된 것으로, 한쪽의 나사결합은 오른나사 결합이고, 다른 쪽 나사결합은 왼나사 결합으로 되어 있어, 회전체(151)를 회전시키면 회전체(151)의 양단에 형성된 너트홀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막대(152)는 서로 접근하거나, 또는 회전체(410)의 회전을 반대로 하면 나사막대(152)는 서로 멀어지게 되는 구성이다.
상기 턴버클(150)에 의해 메인프레임(111) 간의 간격이 늘어나거나 줄어들게 조절되면 보조프레임(160)의 중앙프레임(161)의 양단에 삽입되어 있는 사이드프레임(162)이 중앙프레임(161)으로부터 돌출되거나 중앙프레임(161)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메인프레임(110)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이에, 회전체(151)를 회전시켜 나사막대(152)를 직선이동시켜 경사프레임(120)의 경사각도가 조절되기 때문에 지지프레임(130)의 높낮이를 조정하는 결과가 되는 것이다.
상기 한 쌍의 메인프레임(110) 사이에 한 쌍의 보조프레임(160)을 장착하고 또한 상기 한 쌍의 보조프레임(160) 사이에 턴버클(150)을 장착함으로써 더욱 견고하게 메인프레임(110)을 지지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크레인용 지게발은 지게발의 너비나 길이조정이 용이하며, 길이조정시 유압실린더와 같은 구동수단이 장착되지 않기에 자체하중도 가벼워 사용 및 운반이 용이하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지게발
110. 메인프레임 111. 제1몸체 112. 제2몸체
113. 관통구 114. 관통구
120. 경사프레임
130. 지지프레임 131. 볼트홈 132. 걸림판
140. 링고리 141. 링 142. 볼트몸체
150. 턴버클 151. 회전체 152. 나사막대
160. 보조프레임 161. 중앙프레임 162. 사이드프레임
170. 상부 브래킷
180. 하부 브래킷
B. 볼트 N. 너트

Claims (4)

  1. 서로 나란하게 위치하고 있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110)과;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후단에 하단이 각각 결합되며, 상단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결합되는 경사프레임(120)과; 상기 한 쌍으로 이루어진 메인프레임(110)의 중앙 상부 측에 메인프레임(110)과 나란하도록 위치하고 있되, 양측면이 각각 경사프레임(120)의 상단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130);으로 이루어진 크레인용 지게발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30)의 상면에는 크레인의 걸고리에 체결되는 링고리(140)가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지지프레임(130)의 상면에는 복수 개의 볼트홈(131)이 지지프레임(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트홈(131)에는 크레인의 걸고리에 체결되는 링고리(140)가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메인프레임(110)은 길이방향으로 중공되어 있는 제1몸체(111)와, 상기 제1몸체(111)의 선단에 삽입되는 제2몸체(112)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몸체(111)와 제2몸체(112)의 길이방향의 측면에는 각각 양측 방향으로 관통되는 복수 개의 관통구(113, 114)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몸체(111)로부터 제2몸체(112)가 돌출되는 길이를 조정하면서 제1몸체(111)에 형성된 관통구(113)와 제2몸체(112)에 형성된 관통구(114)를 서로 일치시킨 후, 볼트(B)를 관통시켜 너트(N)를 체결함으로써 메인프레임(110)의 전체길이는 조정되는 것이며,
    상기 한 쌍의 메인프레임(110)은 보조프레임(16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보조프레임(160)은 길이방향으로 중공되어 있는 중앙프레임(161)과, 상기 중앙프레임(161)의 양단에 삽입되는 사이드프레임(162)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사이드프레임(162)의 양끝단부는 메인프레임(110)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프레임(160)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메인프레임(110) 간에는 턴버클(150)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경사프레임(120)의 상·하단은 각각 지지프레임(130)과 메인프레임(110)에 힌지결합되어있어, 상기 턴버클(150)에 의해 한 쌍으로 이루어진 메인프레임(111)의 간격은 조정되는 것이며,
    상기 지지프레임(130)의 하면에는 지지프레임(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걸림판(132)을 형성하여 크레인의 걸고리 뿐만 아니라 걸고리 없이 크레인으로부터 벨트를 체결시키게 되면 벨트는 지지프레임(130)의 하면에 접촉할 때, 걸림판(132)에 의해 이탈 또는 미끄러지지 않도록 상기 복수 개의 걸림판(132)을 서로 수평선상에 일직선이 되도록 관통하는 관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홀에 볼트를 삽입하여 너트를 체결할 수도 있는 것으로, 크레인의 벨트를 걸림판(132) 사이에 위치시킨 후, 볼트와 같은 결속부재를 걸림판(132)의 관통홀에 삽입하여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벨트는 이탈되지 않는 것이 특징인 크레인용 지게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050420A 2018-05-02 2018-05-02 크레인용 지게발 KR101908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420A KR101908262B1 (ko) 2018-05-02 2018-05-02 크레인용 지게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420A KR101908262B1 (ko) 2018-05-02 2018-05-02 크레인용 지게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8262B1 true KR101908262B1 (ko) 2018-10-15

Family

ID=63865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420A KR101908262B1 (ko) 2018-05-02 2018-05-02 크레인용 지게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82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3614A (ko) * 2020-01-20 2021-07-28 장선용 고정수단 장치를 구비한 핸드 크레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462Y1 (ko) * 2002-06-19 2002-12-12 이재일 파레트용 중량물 운반장치
CN204508565U (zh) * 2014-12-05 2015-07-29 广东力特工程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吊运光伏组件箱的吊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462Y1 (ko) * 2002-06-19 2002-12-12 이재일 파레트용 중량물 운반장치
CN204508565U (zh) * 2014-12-05 2015-07-29 广东力特工程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吊运光伏组件箱的吊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3614A (ko) * 2020-01-20 2021-07-28 장선용 고정수단 장치를 구비한 핸드 크레인
KR102442501B1 (ko) 2020-01-20 2022-09-08 장선용 고정수단 장치를 구비한 핸드 크레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301209B2 (en) A load carrying assembly
US3325023A (en) Scoop fork
KR101908262B1 (ko) 크레인용 지게발
US7100933B2 (en) Fifth wheel mounting frame
US4014400A (en) Mounting arrangement for detachably coupling a vehicle frame to a ground-engaging undercarriage
DE202013004195U1 (de) Verlängerungsbefestigungssystem zum Befestigen einer Glättbodenverlängerung an einer Glättbohle
US4930333A (en) Vehicle alignment apparatus
US5244336A (en) Mobile lifting apparatus with fork attachment
US616835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ing a load in the flat bed area of a vehicle
JP3223408B2 (ja) フォークシフト装置
US20090057634A1 (en) RV stabilizer system
JPH0712919B2 (ja) フォークリフトのサイドシフト装置
US4862727A (en) Hoisting structure for automotive vehicle
JP2000064351A (ja) 建設機械のタンク固定構造
KR101743889B1 (ko) 지게차 포크 길이조절장치
RU197916U1 (ru) Железнодорожная платформа
TWI568607B (zh) 車輛輪軸調整結構
JP2571335Y2 (ja) フォークリフトのクランプ装置
JP3949833B2 (ja) 産業用無人ヘリコプター用キャリング装置
KR100953935B1 (ko) 크레인 새들의 연결장치
KR100665657B1 (ko) 락킹장치를 구비한 트랜스포터용 액슬
JP3358769B2 (ja) 荷役車両のリフトシリンダ支持構造
KR101034488B1 (ko) 롤 얼라이먼트 헤더용 지그
KR100235006B1 (ko) 차체프레임 운반용 행거장치
JPH035015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