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6800B1 - 착석자세 정보 판별이 가능한 의자용 좌판 및 이를 이용한 착석자세 정보 판별 방법 - Google Patents

착석자세 정보 판별이 가능한 의자용 좌판 및 이를 이용한 착석자세 정보 판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6800B1
KR101906800B1 KR1020160108892A KR20160108892A KR101906800B1 KR 101906800 B1 KR101906800 B1 KR 101906800B1 KR 1020160108892 A KR1020160108892 A KR 1020160108892A KR 20160108892 A KR20160108892 A KR 20160108892A KR 101906800 B1 KR101906800 B1 KR 101906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ure
unit
user
information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8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3456A (ko
Inventor
박재완
윤민하
김철호
박종표
이창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디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디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디즈
Priority to KR1020160108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6800B1/ko
Priority to CN201721082930.1U priority patent/CN209003288U/zh
Publication of KR20180023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3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9/00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L9/0001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elastically deformable gauges by electric, electro-mechanical,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46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changes of posture, e.g. a fall, inclination, acceleration, ga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석자세 정보 판별이 가능한 의자용 좌판 및 이를 이용한 착석자세 정보 판별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앉는 쿠션부에 복수의 압력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앉는 자세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압력감지부를 구비하여 쿠션부에 앉는 사용자의 착석자세가 올바른 자세인지 나쁜 자세를 판별하여 올바른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안내함으로써 나쁜자세로 착석 시 발생되는 디스크, 근육통 등의 질병을 예방하며 의자의 상품성을 증대시키고, 사용 시 사용자의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착석자세 정보 판별이 가능한 의자용 좌판 및 이를 이용한 착석자세 정보 판별 방법{SEAT OF CHAIR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SITTING POSTURE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SITTING POS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착석자세 정보 판별이 가능한 의자용 좌판 및 이를 이용한 착석자세 정보 판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 있는 착석자세의 판별을 통해 착석자세를 올바르게 수정할 수 있는 착석자세 정보 판별이 가능한 의자용 좌판 및 이를 이용한 착석자세 정보 판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바닥에 지지되는 다리부와, 다리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판부와,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는 팔걸이부 및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좌판부 상에 걸터 앉는데 사용되는 기구이다.
학생과 직장인의 경우 공부와 업무 처리를 위해 의자에 앉아 있는 시간이 많고, 근래에 들어 학생과 직장인이 의자에 앉아 있는 시간이 더 많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의자에 앉아 오랜 시간을 보내는 경우 자세가 불량한 경우 디스크, 근육통 등 다양한 질병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러나 통상의 의자는 사용자가 앉은 자세가 올바른지 여부를 판단하지 못하고,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나쁜 자세를 취해 앉아 있게 되어 디스크, 근육통 등의 질병이 발생되고, 심한 경우 척추 교정 등을 받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일반인의 경우 의자에 앉은 자세가 올바른 자세인지 판별할 수 없어 사용자의 착석자세를 정확하게 교정하기 어려운 현실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8369호 (2011.04.04.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 있는 착석자세의 판별을 통해 착석자세를 올바르게 수정할 수 있는 착석자세 정보 판별이 가능한 의자용 좌판 및 이를 이용한 착석자세 정보 판별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착석자세 정보 판별이 가능한 의자용 좌판은, 사용자가 앉는 쿠션부 및 상기 쿠션부에 위치되며 복수의 압력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쿠션부에 앉는 사용자의 앉는 자세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압력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압력 감지부는 복수의 압력감지센서를 포함하는 면상 압력센서; 상기 면상 압력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기판부재 및 상기 제어기판부재로 전기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압력감지센서로 압력을 감지할 수 있게 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쿠션부는 쿠션부재, 상기 쿠션부재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베이스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쿠션부재의 상부면에는 상기 면상 압력센서가 안착되어 삽입되는 기판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기판 삽입부에는 상기 면상 압력센서의 제1연결단자부가 관통하는 제1단자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기판부재는 상기 베이스판부재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기판케이싱부재 내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판부재에는 상기 면상 압력센서의 제1연결단자부가 관통하는 제2단자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판부재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2단자통로의 주변에 상기 제1연결단자부가 상기 제2단자통로를 통과하여 상기 제어기판부재의 제2연결단자부에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연결단자부의 위치를 안내하는 단자가이드리브가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배터리이고, 상기 기판케이싱부재의 하부면에는 배터리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1배터리삽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기판 케이싱부재의 하부면에는 배터리의 나머지부분이 삽입되는 배터리 수납케이싱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착석자세 정보 판별이 가능한 의자용 좌판은 상기 압력감지부에서 감지된 압력에 대한 착석자세의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압력감지부와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압력감지부에서 감지된 압력을 전달받아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착석자세 데이터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착석자세가 올바른 자세인지를 확인하는 착석자세 확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착석자세 확인부는 사용자의 착석 자세가 나쁜 자세인 경우 나쁜 자세의 종류를 사용자에게 알림하고 올바른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착석자세 확인부에 의한 착석 자세의 판별 및 구분은 상기 데이터 저장부 내에 미리 저장된 임상 테스트 정보와 알고리즘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고, 임상 테스트 정보는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압력 감지부로 감지되는 센싱 정보를 미리 테스트하여 획득한 정보로써 각 압력센서에서의 압력값 편차에 대한 정보를 통해 착석 자세를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착석자세 확인부는 단말기 내에 설치되는 프로그램이며, 상기 단말기는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착석자세 정보 판별이 가능한 의자용 좌판은 상기 착석자세 확인부에 연결되어 사용자를 확인하게 하는 로그인 처리부 및 로그인 처리부에 의해 로그인된 설정된 기간 동안 착석자세 확인부에서 판별된 착석 자세를 통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통계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착석자세 정보 판별이 가능한 의자용 좌판은 모듈 장치 정보에 매칭된 인접 장치의 정보에 해당하는 인접 장치에 동작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동작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석자세 정보 판별 방법은, 쿠션부 내에 구비된 복수의 압력감지센서로 각 압력센서에서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단계, 상기 압력감지단계에서 감지된 압력으로 사용자의 착석자세를 확인하는 착석자세 확인단계, 상기 착석자세 확인단계에서 확인된 사용자의 착석자세가 올바른 자세인지 나쁜 자세인지를 를 판별하는 착석자세 판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착석자세 판별단계는 사용자의 착석자세가 올바른 자세인지 나쁜 자세인지를 판별하는 기본 자세 판별과정, 상기 기본 자세 판별과정에서 나쁜 자세인 경우 사용자에게 나쁜 자세임을 알림하는 자세 알림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착석자세 판별단계는 나쁜 자세인 것이 판단된 경우 나쁜 자세의 종류를 표시하는 자세 종류 표시과정, 나쁜 자세의 종류에 따른 자세 교정을 유도하기 위한 정보를 출력하는 자세 교정 정보 출력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착석자세 정보 판별 방법은 상기 압력감지단계 이전에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로그인 단계, 상기 착석자세 판별단계에서 판별되는 해당 사용자의 착석자세 정보를 기설정된 기간 동안 수집하고 저장하는 사용자 착석자세 정보 저장단계, 상기 사용자 착석자세 정보 저장단계에서 저장된 사용자의 착석자세 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 착석자세 통계 출력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압력감지단계는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것을 확인하는 착석 확인과정, 상기 착석 확인과정에서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것으로 확인하면 의자 주변에 위치되며 모듈 장치 정보에 매칭된 인접 장치를 작동시키는 동작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인접 장치 작동과정, 사용자가 착석된 의자에서 일어나 기설정된 시간 동안 착석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인접 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동작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인접 장치 정지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의자에 앉는 착석자세를 판별하여 올바른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안내함으로써 나쁜자세로 착석 시 발생되는 디스크, 근육통 등의 질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장기간 의자에 착석 시 발생되는 사용자의 질병을 예방하여 의자의 상품성을 증대시키고, 사용 시 사용자의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착석자세 정보 판별이 가능한 의자용 좌판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석자세 정보 판별이 가능한 의자용 좌판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착석자세 정보 판별 방법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착석자세 정보 판별 방법에서 압력감지단계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착석자세 정보 판별이 가능한 의자용 좌판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착석자세 정보 판별이 가능한 의자용 좌판은 사용자가 앉는 쿠션부(100)를 포함한다.
상기 쿠션부(100)는 쿠션부재(110), 상기 쿠션부재(110)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베이스판부재(120)를 포함한다.
상기 쿠션부(100)는 상기 쿠션부재(110)를 감싸는 쿠션 커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쿠션커버는 상기 쿠션부재(110)의 상면과 측면 둘레 및 상기 쿠션부재(110)의 하부면에서 상기 베이스판부재(120)에 의해 가려지고 남은 부분을 커버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쿠션부(100)에는 복수의 압력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압력감지부(200)가 위치된다.
상기 압력감지부(200)는 복수의 압력감지센서에서 상기 쿠션부재(110)에 앉는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서로 다른 위치에서 감지하여 사용자의 앉는 자세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압력감지부(200)는 복수의 압력감지센서를 포함하는 면상 압력센서(210), 상기 면상 압력센서(2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기판부재(220)를 포함한다.
상기 압력감지부(200)는 상기 제어기판부재(220)로 전기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압력감지센서로 압력을 감지할 수 있게 하는 전원공급부(2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전원공급부(230)는 배터리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상기 베이스판부재(120)에는 상기 배터리를 수납할 수 있는 배터리 수납케이싱(122)이 구비된다.
상기 배터리는 교체 가능한 건전지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충전지일 수도 있고, 이외에도 다양한 공지의 배터리로 변형실시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쿠션부재(110)의 상부면에는 상기 면상 압력센서(210)가 안착되어 삽입되는 기판 삽입부(111)가 형성된다.
상기 기판 삽입부(111)에는 상기 면상 압력센서(210)의 제1연결단자부(211)가 관통하는 제1단자통로(112)가 형성된다.
상기 제1연결단자부(211)는 상기 제1단자통로(112)를 통해 상기 쿠션부재(110)의 하부면으로 위치되고 상기 쿠션부재(110)의 하부면과 상기 베이스판부재(120)의 사이에서 상기 제어기판부재(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어기판부재(220)는 상기 베이스판부재(120)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기판케이싱부재(121) 내에 위치하고, 상기 기판케이싱부재(121)의 하부면에는 배터리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1배터리삽입부가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판부재(120)에는 상기 면상 압력센서(210)의 제1연결단자부(211) 가 관통하는 제2단자통로(120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부재(120)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2단자통로(120a)의 주변에 상기 제1연결단자부(211)가 상기 제2단자통로(120a)를 통과하도록 상기 제1연결단자부(211)의 위치를 안내하는 단자가이드리브(120c)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면상 압력센서(210)는 연성회로기판으로 제조되는 것을 일 예로 하며, 상기 제1연결단자부(211)는 연성회로기판으로 제조되는 상기 면상 압력센서(210)의 단자로 자유롭게 휘어지게 되므로 상기 단자가이드리브(120c)에 의해 상기 제2단자통로(120a)를 통과하여 상기 제2연결단자부(221)와 접속되기 위한 위치로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단자가이드리브(120c)는 상기 제1연결단자부(211)를 상기 제2연결단자부(221)와의 연결을 위한 위치로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제1연결단자부(211)의 위치를 고정시켜 사용 중 상기 제1연결단자부(211)와 상기 제2연결단자부(221)와의 단락을 방지하고, 상기 제1연결단자부(211)와 상기 제2연결단자부(221)와의 연결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기판 케이싱부재의 하부면에는 배터리의 나머지부분이 삽입되는 배터리 수납케이싱(122)이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 수납케이싱(122)을 커버하는 배터리커버 케이싱(123)이 더 구비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석자세 정보 판별이 가능한 의자용 좌판은 상기 압력감지부(200)에서 감지된 압력에 대한 착석자세의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 저장부(300) 및 상기 압력감지부(200)와 상기 데이터 저장부(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압력감지부(200)에서 감지된 압력을 전달받아 상기 데이터 저장부(300)에 저장된 착석자세 데이터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착석자세가 올바른 자세인지를 확인하는 착석자세 확인부(4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300)는 사용자가 앉은 상태의 다양한 착석 자세에 대해 각 착석자세별로 복수의 압력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압력값을 저장하여 테이블화한다.
일 예로 상기 압력감지센서는 좌측에 6개, 우측에 6개를 서로 이격되게 배치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부(300)는 각 개인별과 자세별로 각 압력센서의 편차를 파악하고, 나쁜자세와 올바른 자세를 여러 종류로 정의하고 테이블화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 좌측 센서들의 센서값과 우측 센서들의 값을 비교하여, 좌우 중 어디로 치우쳐있는지 확인 가능하고, 좌판 앞에 배치된 센서의 값과, 좌판 뒤쪽에 배치된 센서의 값 비교하여, 앞뒤 중 어디로 치우쳐있는지 확인 가능하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300)에 저장된 나쁜자세와 올바른 자세에 대한 데이터는 사용자의 앉는 자세를 구분하고, 올바른 자세의 기준을 12개의 압력센서의 좌우/상하의 균형성이라 가정한 후 사용자의 자세 별로 각 센서의 표준편차를 획득하고 저장한 것을 일 예로 한다.
즉, 올바른 자세에서 다수의 센서의 각 센서값의 표준편차와 여러 나쁜자세에서 각 센서 값의 표준편차를 상기 데이터 저장부(300)로 저장하여 사용자가 착석한 경우 착석한 자세에서의 각 센서의 표준편차의 차이로 해당 자세를 확인하고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착석자세 확인부(400)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300) 내에 저장된 데이터로 상기 압력감지부(200)에서 감지된 압력에 대한 착석자세를 확인하고 올바른 자세인지 나쁜 자세인지 확인하고 나쁜 자세인 경우 사용자에게 나쁜 자세임을 알림한다.
또한, 상기 착석자세 확인부(400)는 사용자의 착석 자세가 나쁜 자세인 경우 나쁜 자세의 종류를 사용자에게 알림하고 올바른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착석자세 확인부(400)에 의해 판별된 착석 자세는 ‘올바른 자세’, ‘나쁜 자세’로 구분될 수도 있고, ‘나쁜 자세’에서‘등을 구부리고 앉은 자세’, ‘옆으로 삐딱하게 앉은 자세’등과 같이 더 세부적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착석 자세의 판별 및 구분은 상기 데이터 저장부(300) 내에 미리 저장된 임상 테스트 정보와 알고리즘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임상 테스트 정보는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압력감지부(200)로 감지되는 센싱 정보를 미리 테스트하여 획득한 정보로써 각 상기 압력센서에서 감지되는 절대값을 비교하여 저장하는 것이 아닌 각 압력센서에서의 압력값 편차에 대한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사용자의 체중에 관계없이 착석 자세의 판별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착석자세 확인부(400)는 단말기 내에 설치되는 프로그램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상기 단말기는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의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인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착석자세 확인부(400)는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인 것을 일 예로 하며, 상기 착석자세 확인부(400)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300)가 저장된 메인서버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데이터 저장부(300) 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확인 가능한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상기 착석자세 확인부(400)는 상기 압력감지부(200)와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압력감지부(200)에서 감지된 압력 정보를 전달받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착석자세 확인부(400)는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의 착석 자세를 확인하고, 나쁜 자세인 경우 그 종류와 올바른 자세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자세 교정을 유도하기 위한 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기판부재(220)에는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와 무선 통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용 안테나가 구비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자세 교정을 유도하기 위한 정보는 ‘나쁜 자세’임을 단순히 경고하는 정보에 해당할 수 있고, 또는 ‘나쁜 자세’에 따라 통증 유발이 가능한 부위를 보호하기 위한 운동 요법 정보에 해당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 저장부(300)에는 착석 자세별 통증 유발 부위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착석자세 확인부(400)에서 판별된 착석 자세가 ‘나쁜 자세’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는 해당 착석 자세 형태를 안내하는 자세 정보와 해당 착석 자세에 매칭 저장된 통증 유발 부위 정보가 동시에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한 화면에서 자신이 취한 착석 자세의 형태는 물론이고 그 나쁜 자세에 따라 통증 유발이 가능한 신체 위치를 즉시 확인이 가능하여 즉시 자세를 바로잡음과 동시에 해당 통증 유발 가능 부위를 풀어주는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착석자세 확인부(400)는 후술될 통계 처리부의 통계 처리 결과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기간 동안의 착석 자세 정보를 정렬하고, 그 정렬된 착석 자세 정보가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착석자세 정보 판별이 가능한 의자용 좌판은 착석자세 확인부(400)에 연결되어 사용자를 확인하게 하는 로그인 처리부(500) 및 로그인 처리부(500)에 의해 로그인된 설정된 기간 동안 착석자세 확인부(400)에서 판별된 착석 자세를 통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통계 처리부(600)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통계 처리부(600)는 사용자의 각 착석 자세별 시간을 누적 계산하거나 각 판별된 착석 자세의 빈도수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먼저, 로그인 처리부(500)는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로그인 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데이터 저장부(300)에 저장된 사용자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와 휴대용 무선통신 단말기의 로그인 요청 신호에 포함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로그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착석자세 확인부(400)는 상기 통계 처리부(600)에서 일명 ‘오늘 자세 랭킹’이라는 항목으로 가장 많이 판별된 착석 자세부터 순서대로 각 착석 자세의 비율과 함께 휴대용 무선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오늘 자신이 가장 많이 취했던 착석 자세 및 그 빈도수를 즉시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착석자세 확인부(400)는 각종 정보가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정보 출력 제어는 푸시 방식 또는 폴링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석자세 확인부(400)는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를 통한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술한 착석 자세 관련 정보를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착석자세 확인부(400)는 ‘나쁜 자세’경고 알림과 같은 경고 메시지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요청이 없더라도 푸시 방식으로 전송하여 경고음과 함께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여 알림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착석자세 정보 판별이 가능한 의자용 좌판은 모듈 장치 정보에 매칭된 인접 장치의 정보에 해당하는 인접 장치에 동작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동작 제어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 동작 제어부(700)는 착석자세 확인부(400)의 판단 결과 기 설정된 시간동안 사용자의 착석 여부에 변화가 없는 경우, 모듈 장치 정보에 매칭된 인접 장치 정보에 해당하는 인접 장치에 동작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인접 장치가 의자 주변에 있는 스탠드 조명 장치 또는 전열 기구이고, 착석자세 확인부(400)의 판단 결과 의자 사용자가 의자를 벗어난 후 30초가 경과한 경우, 장치 동작 제어부(700)는 스탠드 조명 장치 또는 전열 기구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동작 제어 신호를 스탠드 조명 장치 또는 전열 기구에 전송할 수 있다.
반대로 착석자세 확인부(400)의 판단 결과 의자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것으로 판단하면 스탠드 조명 장치 또는 전열 기구를 점등시키게 하는 동작 제어 신호를 스탠드 조명 장치 또는 전열 기구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착석자세 정보 판별 방법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4를 참고하면 쿠션부(100) 내에 구비된 복수의 압력감지센서로 각 압력센서에서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단계(S200), 상기 압력감지단계(S200)에서 감지된 압력으로 사용자의 착석자세를 확인하는 착석자세 확인단계(S300), 상기 착석자세 확인단계(S300)에서 확인된 사용자의 착석자세가 올바른 자세인지 나쁜 자세인지를 판별하는 착석자세 판별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석자세 판별단계(S400)는 사용자의 착석자세가 올바른 자세인지 나쁜 자세인지를 판별하는 기본 자세 판별과정(S410), 상기 기본 자세 판별과정(S410)에서 나쁜 자세인 경우 사용자에게 나쁜 자세임을 알림하는 자세 알림과정(S42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착석자세 판별단계(S400)는 나쁜 자세인 것이 판단된 경우 나쁜 자세의 종류를 표시하는 자세 종류 표시과정(S430), 나쁜 자세의 종류에 따른 자세 교정을 유도하기 위한 정보를 출력하는 자세 교정 정보 출력과정(S4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세 교정 정보는 감지된‘나쁜 자세’에서 올바른 자세가 되기 위한 교정정보이거나 ‘나쁜 자세’에 따라 통증 유발이 가능한 부위를 보호하기 위한 운동 요법 정보에 해당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 저장부(300)에는 ‘나쁜 자세’의 종류별로 올바른 자세로 교정되기 위한 교정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착석 자세별 통증 유발 부위 정보가 저장되며, 기본 자세 판별과정(S410)에서 판별된 착석 자세가 ‘나쁜 자세’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는 해당 착석 자세에서 올바른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자세 교정을 안내하는 자세 교정 정보와 해당 착석 자세에 매칭 저장된 통증 유발 부위 정보가 동시에 출력된다.
이에 따라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한 화면에서 자신이 취한 착석 자세의 형태에서 올바른 형태로 교정할 수 있는 정보를 획득함은 물론이고 그 나쁜 자세에 따라 통증 유발이 가능한 신체 위치를 즉시 확인이 가능하여 즉시 자세를 바로잡음과 동시에 해당 통증 유발 가능 부위를 풀어주는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석자세 정보 판별 방법은 상기 압력감지단계(S200) 이전에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로그인 단계(S100), 상기 착석자세 판별단계(S400)에서 판별되는 해당 사용자의 착석자세 정보를 기설정된 기간동안 수집하고 저장하는 사용자 착석자세 정보 저장단계(S500); 상기 사용자 착석자세 정보 저장단계(S500)에서 저장된 사용자의 착석자세 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 착석자세 통계 출력단계(S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착석자세 정보 저장단계(S500)는 사용자의 각 착석 자세별 시간을 누적 계산하거나 각 판별된 착석 자세의 빈도수 등을 저장한다.
상기 사용자 로그인 단계(S10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로그인 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데이터 저장부(300)에 저장된 사용자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와 휴대용 무선통신 단말기의 로그인 요청 신호에 포함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로그인 처리를 수행하고 사용자의 본인임을 확인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착석자세 통계 출력단계(S600)는 일명 ‘오늘 자세 랭킹’이라는 항목으로 가장 많이 판별된 착석 자세부터 순서대로 각 착석 자세의 비율과 함께 휴대용 무선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오늘 자신이 가장 많이 취했던 착석 자세 및 그 빈도수를 즉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압력감지단계(S200)는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것을 확인하는 착석 확인과정(S210), 상기 착석 확인과정(S210)에서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것으로 확인하면 의자 주변에 위치되며 모듈 장치 정보에 매칭된 인접 장치를 작동시키는 동작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인접 장치 작동과정(S220), 사용자가 착석된 의자에서 일어나 기설정된 시간동안 착석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인접 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동작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인접 장치 정지과정(S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접 장치가 의자 주변에 있는 스탠드 조명 장치 또는 전열 기구이고, 상기 압력감지단계(S200)에서 의자에 사용자가 앉는 것으로 판단하고, 앉은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일 예로 5초가 경과하면 인접 장치 작동과정(S220)을 통해 의자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것으로 판단하면 스탠드 조명 장치 또는 전열 기구를 점등시킨다.
또한, 상기 압력감지단계(S200)에서 의자에 사용자가 앉는 것으로 판단하고, 앉은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일 예로 5초가 경과하면 인접 장치 작동과정(S220)을 통해 의자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것으로 판단하면 스탠드 조명 장치 또는 전열 기구를 점등시킨다. 반대로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가 의자를 벗어나고 30초가 경과한 경우 인접 장치 정지과정(S230)을 통해 스탠드 조명 장치 또는 전열 기구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여 스탠드 조명 장치 또는 전열 기구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의자에 앉는 착석자세를 판별하여 올바른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안내함으로써 나쁜자세로 착석 시 발생되는 디스크, 근육통 등의 질병을 예방할 수 다. 또한, 장기간 의자에 착석 시 발생되는 사용자의 질병을 예방하여 의자의 상품성을 증대시키고, 사용 시 사용자의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쿠션부 110 : 쿠션부재
111 : 기판 삽입부 112 : 제1단자통로
120 : 베이스판부재 120a : 제2단자통로
120c : 단자가이드리브 121 : 기판케이싱부재
122: 배터리 수납케이싱 123: 배터리커버 케이싱
200 : 압력감지부 210 : 면상 압력센서
211 : 제1연결단자부 220 : 제어기판부재
230 : 전원공급부 300 : 데이터 저장부
400 : 착석자세 확인부 500 : 로그인 처리부
600 : 통계 처리부 700 : 장치 동작 제어부

Claims (17)

  1. 사용자가 앉는 쿠션부; 및
    상기 쿠션부에 위치되며 복수의 압력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쿠션부에 앉는 사용자의 앉는 자세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압력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감지부는,
    복수의 압력감지센서를 포함하는 면상 압력센서;
    상기 면상 압력센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기판부재; 및
    상기 제어기판부재로 전기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압력감지센서로 압력을 감지할 수 있게 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부는 쿠션부재, 상기 쿠션부재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베이스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쿠션부재의 상부면에는 상기 면상 압력센서가 안착되어 삽입되는 기판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기판 삽입부에는 상기 면상 압력센서의 제1연결단자부가 관통하는 제1단자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기판부재는 상기 베이스판부재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기판케이싱부재 내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판부재에는 상기 면상 압력센서의 제1연결단자부가 관통하는 제2단자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단자부는 상기 제1단자통로를 통해 상기 쿠션부재의 하부면으로 위치되고, 상기 쿠션부재의 하부면과 상기 베이스판부재의 사이에서 상기 제어기판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판부재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2단자통로의 주변에 상기 제1연결단자부가 상기 제2단자통로를 통과하여 상기 제어기판부재의 제2연결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제1연결단자부의 위치를 안내하는 단자가이드리브가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자세 정보 판별이 가능한 의자용 좌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배터리이고,
    상기 기판케이싱부재의 하부면에는 배터리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1배터리삽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기판 케이싱부재의 하부면에는 배터리의 나머지부분이 삽입되는 배터리 수납케이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자세 정보 판별이 가능한 의자용 좌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력감지부에서 감지된 압력에 대한 착석자세의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압력감지부와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압력감지부에서 감지된 압력을 전달받아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착석자세 데이터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착석자세가 올바른 자세인지를 확인하는 착석자세 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자세 정보 판별이 가능한 의자용 좌판.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착석자세 확인부는 사용자의 착석 자세가 나쁜 자세인 경우 나쁜 자세의 종류를 사용자에게 알림하고 올바른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자세 정보 판별이 가능한 의자용 좌판.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착석자세 확인부에 의한 착석 자세의 판별 및 구분은 상기 데이터 저장부 내에 미리 저장된 임상 테스트 정보와 알고리즘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고, 임상 테스트 정보는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압력 감지부로 감지되는 센싱 정보를 미리 테스트하여 획득한 정보로써 각 압력센서에서의 압력값 편차에 대한 정보를 통해 착석 자세를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자세 정보 판별이 가능한 의자용 좌판.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착석자세 확인부는 단말기 내에 설치되는 프로그램이며, 상기 단말기는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자세 정보 판별이 가능한 의자용 좌판.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착석자세 확인부에 연결되어 사용자를 확인하게 하는 로그인 처리부 및 로그인 처리부에 의해 로그인된 설정된 기간 동안 착석자세 확인부에서 판별된 착석 자세를 통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통계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자세 정보 판별이 가능한 의자용 좌판.
  12. 청구항 7에 있어서,
    모듈 장치 정보에 매칭된 인접 장치의 정보에 해당하는 인접 장치에 동작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동작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자세 정보 판별이 가능한 의자용 좌판.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60108892A 2016-08-26 2016-08-26 착석자세 정보 판별이 가능한 의자용 좌판 및 이를 이용한 착석자세 정보 판별 방법 KR101906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892A KR101906800B1 (ko) 2016-08-26 2016-08-26 착석자세 정보 판별이 가능한 의자용 좌판 및 이를 이용한 착석자세 정보 판별 방법
CN201721082930.1U CN209003288U (zh) 2016-08-26 2017-08-28 可判别坐姿信息的椅子用座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892A KR101906800B1 (ko) 2016-08-26 2016-08-26 착석자세 정보 판별이 가능한 의자용 좌판 및 이를 이용한 착석자세 정보 판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456A KR20180023456A (ko) 2018-03-07
KR101906800B1 true KR101906800B1 (ko) 2018-10-11

Family

ID=61689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892A KR101906800B1 (ko) 2016-08-26 2016-08-26 착석자세 정보 판별이 가능한 의자용 좌판 및 이를 이용한 착석자세 정보 판별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06800B1 (ko)
CN (1) CN20900328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8096A (ko) 2020-01-31 2021-08-10 고채은 자세 교정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31394A (zh) * 2018-09-30 2019-02-15 上海掌门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调节静坐设备的方法与设备
KR102275527B1 (ko) * 2019-12-03 2021-07-09 주식회사 듀오백 포터블 스마트 방석용 제어박스 구조
GB2610383B (en) * 2021-08-31 2023-11-22 Vrgo Ltd Posture sensing system
CN115299738B (zh) * 2022-08-18 2024-04-16 慕思健康睡眠股份有限公司 基于床垫的健身恢复方法、床垫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688B1 (ko) * 2015-01-06 2015-07-29 학교법인 화신학원 건강 증진용 스마트 방석
KR101616738B1 (ko) * 2015-09-30 2016-04-29 (주)코아스 의자의 좌판유닛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688B1 (ko) * 2015-01-06 2015-07-29 학교법인 화신학원 건강 증진용 스마트 방석
KR101616738B1 (ko) * 2015-09-30 2016-04-29 (주)코아스 의자의 좌판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8096A (ko) 2020-01-31 2021-08-10 고채은 자세 교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456A (ko) 2018-03-07
CN209003288U (zh) 2019-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6800B1 (ko) 착석자세 정보 판별이 가능한 의자용 좌판 및 이를 이용한 착석자세 정보 판별 방법
JP2020171709A (ja) バイタルサインのモニター機能およびアラート機能を有する患者支持装置
US201700204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user posture
TW200937357A (en) Object,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a user
KR102588392B1 (ko) 체형 관리 장치
JP2005537581A (ja) 人識別システム
KR20170047160A (ko) 단말과 연동 가능한 자세 교정 모듈
CN104983225A (zh) 垫体的调整方法、装置及终端
KR20170050173A (ko) 플렉서블 압력분포센서를 이용한 능동형 자세 교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665773B1 (ko) 의류 장착형 자세교정 시스템
KR20200092618A (ko) 체형 관리 장치
KR101766220B1 (ko) 올바른 앉은 자세 자동 유도 시스템
CN115153230A (zh) 一种智能健康座椅及其坐姿识别方法
CN103298527A (zh) 消费者可用测试套件
WO2013015529A1 (ko) 앉은 자세 측정 및 운동용 좌석 패드 및 의자
JP2018502616A (ja) 信頼性が改善された電気生理学データ測定デバイス
US9296605B2 (en) System for aiding horseback riders in maintaining balance
TW201818880A (zh) 坐姿評估系統及方法
US11452916B1 (en) Monitoring exercise surface system
KR20200030434A (ko) 사물인터넷 연동 방석 시스템
KR20170078481A (ko) 자세 감지 및 교정용 장치
KR20180005050A (ko) 착석 자세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602664B2 (en) Compact lightweight personal trainer
KR20200059722A (ko) 공기압의 분포도를 이용한 자세 교정을 위한 상태 분석 시스템
CA3060274A1 (en) Smart mattress cover apparatu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