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8481A - 자세 감지 및 교정용 장치 - Google Patents

자세 감지 및 교정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8481A
KR20170078481A KR1020150189062A KR20150189062A KR20170078481A KR 20170078481 A KR20170078481 A KR 20170078481A KR 1020150189062 A KR1020150189062 A KR 1020150189062A KR 20150189062 A KR20150189062 A KR 20150189062A KR 20170078481 A KR20170078481 A KR 20170078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tact
user
external device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9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수
Original Assignee
위덕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덕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위덕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89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8481A/ko
Publication of KR20170078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84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6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61Evaluating static posture, e.g. undesirable back curv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1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33Special features of optical sensors or probes classified in A61B5/00

Abstract

본 발명은 자세 감지 및 교정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착석 자세를 감지 및 교정할 수 있는 자세 감지 및 교정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의자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사용자의 신체부위와 상기 의자와의 접촉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접촉감지점들이 형성된 접촉감지부와; 사용자가 상기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사용자의 착석된 자세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포토센서부와; 상기 접촉감지부 및 포토센서부로부터 감지된 결과를 전송받아 미리 저장된 정상자세와 다른 경우 이상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람부와; 상기 결과를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무선통신부와; 상기 무선통신부, 알람부, 포토센서부 및 접촉감지부를 제어하며, 상기 포토센서부 및 접촉감지부의 감지결과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감지 및 교정용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자세 감지 및 교정용 장치{Posture Sensing and correcting System}
본 발명은 자세 감지 및 교정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착석 자세를 감지 및 교정할 수 있는 자세 감지 및 교정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 사회가 발전됨으로써 신체 운동에 의한 활동시간 보다 의자 등에 착석하여 보내는 시간이 크게 증가 하고 있으며 특히 신체발달기인 유아기, 청소년기 의 학생들은 컴퓨터게임, 독서, 학습 등의 이유로 신체의 발달이 활발할 시기에 대부분의 시간을 의자에 앉아서 지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렇게 신체 발달기에 의자에서 오래 착석하거나, 착석시 불균형한 상태로 오랫동안 앉아있게 되면 척추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신체 발달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렇게 신체 발달기에 불균형한 상태로 오래 앉아있는 습관이 몸에 익혀지면 성년기에도 착석 상태에 따라서 목디스크, 허리디스크 등 신체에 이상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의자, 침대 등과 같은 기구물에서의 사용자의 의지상태, 특히 착석상태, 즉 자세를 교정할 수 있도록 기구물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자세를 감지할 수 있는 자세 감지 및 교정용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의자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사용자의 신체부위와 상기 의자와의 접촉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접촉감지점들이 형성된 접촉감지부와; 사용자가 상기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사용자의 착석된 자세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포토센서부와; 외부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 포토센서부 및 접촉감지부를 제어하며, 상기 포토센서부의 감지결과 및 접촉감지부의 감지결과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감지 및 교정용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접촉감지점들의 분포패턴은 신체부위와의 접촉이 많은 부분과, 신체부위와의 접촉이 거의 없는 부분을 분리하여 신체부위의 접촉이 있는 부분에 집중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촉감지부의 접촉감지점들은 앉은 자세의 사용자의 둔부의 좌우, 좌측 및 우측에 나머지 부분보다 더 큰 분포밀도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촉감지부 및 포토센서부로부터 감지된 결과가 미리 설정된 정상상태 내에 있지 않은 경우 이상이 있음을 알리는 이상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자세 감지 및 교정용 장치와; 상기 자세 감지 및 교정용 장치의 상기 통신부와 통신을 하는 외부기기통신부와, 상기 외부기기통신부의 수신신호에 따라서 상기 포토센서부의 감지결과 및 접촉감지부의 감지결과를 기초로 한 사용자의 자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외부기기를 포함하는 자세교정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 외부기기는, PC 또는 노트북이며, 상기 외부기기는, 상기 외부기기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자세정보가 미리 설정된 기준과 다를 경우 상기 외부기기의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비정상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감지 및 교정용 장치는 컴퓨터 사용 및 학습 과정에서 효과적 자세 교정 및 관리 기술의 확보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감지 및 교정용 장치는 청소년 및 사용자의 골격계 질환의 예방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뿐만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감지 및 교정용 장치는 자세를 교정하는 용도 이외의 다양한 분야의 확대 적용되기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감지 및 교정용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은, 도 1에 설치되는 접촉감지부(101)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서 Ⅲ-Ⅲ방향의 단면을 나타내는 일부단면도로서, 도 3a는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지 않은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단면도이며, 도 3b는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된 상태를 보여준 일부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접촉감지부(101)에서 접촉감지점들의 접촉 위치에 따라 감지되는 신호의 구성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도 1의 자세 감지 및 교정용 장치의 일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6a 및 6b는, 도 1에 설치되는 자세 감지 및 교정용 장치에서 거북목을 감지하는 것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자세 감지 및 교정용 장치에서 비정상상태인 경우 사용자에게 알리는 일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감지 및 교정용 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감지 및 교정용 장치는, 도 1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사용자의 신체부위와 의자와의 접촉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접촉감지점(110)들이 형성된 접촉감지부(101)와;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사용자의 착석된 자세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포토센서부(400)와; 외부기기(31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160)와; 통신부(160), 포토센서부(400) 및 접촉감지부(101)를 제어하며, 상기 포토센서부(400) 및 접촉감지부(101)의 감지결과를 처리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세감지 및 교정용 장치(100)는, 의자, 소파, 침대 등 사용자의 신체를 의지하는 기구물의 일부로서 또는 부대적으로 설치되어, 사용자의 자세를 감지 및 교정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성이면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자세감지 및 교정용 장치(100)는, 접촉감지부(1010)의 각 접촉감지점(110)들의 감지결과 및 포토센서부(400)의 감지결과에 따라 의자와 같은 기구물에 대한 사용자의 의지상태, 즉 자세를 측정하거나, 측정하여 그 결과에 따라 자세를 교정할 수 있다는 데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자세감지 및 교정용 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의지)하였을 때 사용자의 신체부위와 의자와의 접촉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접촉감지점(110)들이 형성된 접촉감지부(101)와,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사용자의 머리 또는 목이 위치되는 부분에 사용자의 착석된 자세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포토센서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포토센서부(400)는,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사용자의 착석된 자세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포토센서부(400)는,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사용자의 머리가 위치되는 부분에 사용자의 착석된 자세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성이면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포토센서부(400)는 도 1,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센서로서 머리, 목 등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의하여 광의 차단여부에 따라서 사용자의 자세를 판독하도록 구성되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포토센서부(400)는, 사용자의 몸을 중심으로 일측, 즉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되어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410)와, 발광부(410)의 타측에 설치되며 발광부(410)로부터 조사된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의 머리 또는 목이 발광부(410)에서 조사되는 광을 차단, 즉 미리 설정된 표준위치(ℓ)에 위치되면 정상상태로서, 수광부(420)가 발광부(410)에서 조사되는 광을 수광하는 경우 사용자의 머리 또는 목이 미리 설정된 표준위치(ℓ)에 있지 않게 되므로 비정상상태로서 판별될 수 있다.
여기서 표준위치(ℓ)는, 임상실험 등 표준체형과 그에 따라서 목, 머리 등이 정상적으로 위치되어야 할 위치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포토센서부(400)는, 머리, 목 등 사용자의 신체부위가 미리 설정된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구성으로서, 광센서 이외에 초음파센서 등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포토센서부(400)는, 사용자의 신체 유형(유아, 청소년, 성년, 여성, 남성 등)에 따라서 머리, 목 부위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는바 의자에 대하여 상하높이 및 전후방설치 위치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포토센서부(400)는, 센서부재 및 센서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의 구성에서 자바라구조, 휨 및 휨 후 상태유지가 가능한 철사 등 지지부의 길이가 가변이 가능하거나 형상의 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토센서부(400)는, 사용자가 불규칙한 움직임에 의하여 수광부(420)로의 수광 및 광차단이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는바, 이를 위하여 일정시간 이상의 광차단, 수광이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의 착석상태가 정상 또는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토센서부(400)를 통한 자세감지시 접촉감지부(101)에 의하여 사용자의 착석 상태가 확인된 후에 포토센서부(400)의 감지결과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착석상태가 정상 또는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촉감지부(101)의 접촉감지점(110)들에서의 감지결과 및 포토센서부(400)에서의 감지결과는, 제어부(130)에 의해 판독되며, 통신부(160)를 통해 외부로 송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의자는, 책상용 의자는 물론, 소파 등 사람이 착석할 수 있도록 구성된 기구물은 그 명칭에도 불구하고 모두 포함된다.
상기 의자는 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착석하는 시트부(200)와, 시트부(200)를 소정의 높이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3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트부(20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세감지 및 교정용 장치(100)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거나, 그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감지부(101)는, 의자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사용자의 신체부위와 의자와의 접촉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접촉감지점(110)들이 형성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촉감지부(101)는, 각 접촉감지점(110)에서 신체접촉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압전소자, 온오프 스위치 등을 설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감지점(110)들은, 사용자의 신체접촉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X-Y 방향으로 배열된 그리드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접촉감지점(110)들을 구성하는 각 좌표점(Xξ, Yξ)의 갯수는 X방향 및 Y방향 동수로 구성되거나, 신체에 대응되는 위치에 따라서 그 수가 달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감지점(110)들은, 그 분포패턴을 신체부위와의 접촉이 많은 부분과, 신체부위와의 접촉이 거의 없는 부분을 분리하여 신체부위의 접촉이 있는 부분에 집중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접촉감지부(101)는, 도 1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패턴이 형성된 제1시트(210) 및 제2시트(220), 제1시트(210) 및 제2시트 사이에 설치된 중간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시트(210)는, 접촉감지점(110)들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접점(211)들이 형성되도록 회로패턴이 형성되며, 구체적으로 휘기 쉬운 재질인 합성수지 등과 같은 시트 상에 제1접점(211) 및 회로패턴이 형성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시트는, 제1시트(210)의 구성과 유사한 구성으로서, 제1시트(210)의 제1접점(211)들에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제1접점(211)들과의 접촉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접점(221)들이 형성되도록 회로패턴이 형성되며, 구체적으로 휘기 쉬운 재질인 합성수지 등과 같은 시트 상에 제2접점 및 회로패턴이 형성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접점(211) 및 제2접점(221)은 접촉감지점(110)을 형성한다.
상기 중간시트(230)는, 제1시트(210)의 제1접점(211)들과 제2시트(220)의 제2접점(221)들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시트(210) 및 제2시트(220) 사이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신체부위가 접촉될 때 제1시트(210) 또는 제2시트(220)가 변형되어 제1시트(210)의 제1접점(211)들과 제2시트(220)의 제2접점(221)들과의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도록 제1시트(210)의 제1접점(211)들과 제2시트(220)의 제2접점(221)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231)이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시트(230)는, 제1접점(211) 및 제2접점(221)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며, 제1시트와 같이 휘기 쉬운 재질인 합성수지 등과 같은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촉감지부(101)는, 접촉감지점(110)을 구성하는 제1접점(211) 및 제2접점(221)이 신체접촉시 충분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감지점(110)들, 즉 제1접점(211) 및 제2접점(221)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시트(210) 및 제2시트(220) 중 적어도 하나(도 3a 및 도 3b에서는 제2시트(22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신체부위가 접촉될 때 변형되어 제1시트(210) 및 제2시트(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형시켜 제1접점(210) 및 제2접점이 서로 접촉시키고 사용자의 신체부위가 접촉되지 않을 때 원상복구되는 감지버튼(24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버튼(240)은, 휘기 쉬운 재질인 합성수지 등과 같은 시트에 접촉감지점(110)들, 즉 제1접점(211) 및 제2접점(221)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원반,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버튼을 일체로 또는 부착시켜 구성이 가능하며,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점(211) 및 제2접점(221)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무 등과 같은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의 버튼들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촉감지부(101)는, 제1시트(210) 및 제2시트(220)의 외부에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시트들(210, 220, 230) 및 감지버튼(240) 등의 보호 및 외관상의 디자인 등을 고려하여, 시트들(210, 220, 230) 및 감지버튼(240)을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커버부재(151, 152)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감지부(101)는, 의자의 시트부(200) 등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140)는 시트부(200)와의 결합방식에 따라서 매직테이프, 끈, 지퍼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통신부(160)는, 외부기기(310)와 통신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어부(130)에 의하여 처리된 접촉감지부(101)의 감지결과 및 포토센서부(400)의 감지결과를 유선 및 무선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에 의하여 외부기기(310)에 전송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통신부(160)는, 상기 자세감지 신호를 외부로 전송는 구성으로서 지그비,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 외부와 통신할 수 있는 구성이면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130)는, 접촉감지부(101)의 접촉감지점(110)들에서의 감지결과 및 하나 이상의 포토센서부(400)의 감지결과에 따라 제어부가 사용자의 앉은 자세를 판독하는 등, 접촉감지부(101)의 접촉감지점(110)들에서의 감지결과 및 하나 이상의 포토센서부(400)의 감지결과를 처리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30)는, 물리적 구성이 아닌 논리적 구성인 전자회로적 구성으로서 물리적 구성은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제어부(130)는, 각 접촉감지점(110)에서 제1접점(211) 및 제2접점(221)과 신호도입부(121, 122)에 의하여 회로적으로 연결되며, 신호도입부(121, 122)를 통하여 들어오는 접촉신호에 따라서 자세감지신호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30)는, 각 접촉감지점(110)에서 제1접점(211) 및 제2접점(221)이 접촉되는 경우-도 4a 및 도 4b에서는 검은 원-는 1로, 접촉되지 않은 경우(비접촉)-도 4a 및 도 4b에서는 차지 않은 원-에는 0으로 인식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각 접촉감지점(110)에서의 감지여부를 비트단위로 구성하고, 접촉감지점(110)들의 대응시켜 비트 수-본 실시예의 경우 40비트(5 바이트)를 구성하여 자세감지신호로 한다.
상기 자세감지신호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접촉감지점(110)에서의 접촉여부에 따라 구성될 수 있으며, 통상의 실험을 통하여 확인될 수 있으나, 상기 자세감지신호 중 일부는 후술하는 제어부에 의하여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대칭의 형태인 경우를 착석자세 등 자세가 정상인 것으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으로 치우치는 형태인 경우 자세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세감지신호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머리 또는 목이 표준위치(ℓ)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는 포토센서부(400)의 결과 또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130)의 물리적 구성은, 설계 및 디자인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세감지 및 교정용 장치(100) 내에 설치되거나, 신호전달선(131)에 의하여 연결되어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접촉감지부(101) 및 포토센서부(400)에 의하여 감지된 자세감지신호에 따라서, 미리 설정된 표준자세를 근거로 정상상태, 비정상자상태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서 이상신호를 발생시키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130)는, 도 5 및 통신부(160)로부터 자세감지신호를 전송받아 미리 설정된 정상상태와 다른 경우, 즉 비정상 상태인 경우 별도로 설치된 알람부(190)를 통하여 비정상상태임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알람부(190)는 이상신호 신호로서, 스피커나 부저와 같이 소리를 발생시키거나, 기계적 구성에 의하여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후술하는 모니터 등에 표시하거나, 소리, 진동 및 표시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알람부(190)는 사용자가 관찰하기 쉽도록 외부에 별도로 설치될 수 있으며, 통신부(160)와는 유선으로 연결되거나 적외선 통신 등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기 제어부(130)는, 이상신호 등 자세신호를 통신부(160)를 통하여 외부기기(310)로 전송하고, 외부기기(31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320)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자세감지 및 교정용 장치(100)는 다양한 형태로 응용이 가능하다.
상기 자세감지 및 교정용 장치(100)가 응용된 구성의 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세감지 및 교정용 장치(100)와; 자세감지 및 교정용 장치(100)의 통신부(160)로부터 자세감지신호를 전달받는 외부기기통신부(340)와, 외부기기통신부(340)의 수신신호에 따라 외부기기(310) 또는 디스플레이(320)에 그 상태를 전달하는 신호표시부를 포함하는 자세교정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외부기기통신부(340)는 자세감지 및 교정용 장치(100)의 통신부(160)와 유선으로 연결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160)와 무선으로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신호표시부는 외부기기통신부(340)의 수신신호에 따라 외부기기(310) 또는 디스플레이(320)로의 전달 및 그 표시방법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신호표시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 노트북 등의 외부기기(310)의 디스플레이신호를 디스플레이(320)에 전달하는 케이블에 설치되어 외부기기통신부(340)의 수신신호에 따라 외부기기(310)의 디스플레이신호를 차단하는 등 왜곡하는 신호왜곡부(3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신호왜곡부(330)는, 외부기기통신부(340)의 수신신호가 비정상자세인 경우 디스프레이 신호를 차단하고, 정장자세에서만 디스프레이(320)에 정상적으로 디스플레이신호가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외부기기(310)는, 외부기기통신부(340)를 통하여 수신된 자세정보가 미리 설정된 기준과 다를 경우 외부기기(310)의 디스플레이(320)의 화면을 비정상상태, 예를 들면 화면을 깜박이거나, 노이즈를 형성하거나 비정상적인 디스플레이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자세감지 및 교정용 장치 200: 시트
300: 지지프레임 400 :포토센서부

Claims (6)

  1. 의자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사용자의 신체부위와 상기 의자와의 접촉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접촉감지점들이 형성된 접촉감지부와;
    사용자가 상기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사용자의 착석된 자세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포토센서부와;
    외부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 포토센서부 및 접촉감지부를 제어하며, 상기 포토센서부의 감지결과 및 접촉감지부의 감지결과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감지 및 교정용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감지점들의 분포패턴은 신체부위와의 접촉이 많은 부분과, 신체부위와의 접촉이 거의 없는 부분을 분리하여 신체부위의 접촉이 있는 부분에 집중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감지 및 교정용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촉감지부의 접촉감지점들은 앉은 자세의 사용자의 둔부의 좌우, 좌측 및 우측에 나머지 부분보다 더 큰 분포밀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감지 및 교정용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촉감지부 및 포토센서부로부터 감지된 결과가 미리 설정된 정상상태 내에 있지 않은 경우 이상이 있음을 알리는 이상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감지 및 교정용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자세 감지 및 교정용 장치와;
    상기 자세 감지 및 교정용 장치의 상기 통신부와 통신을 하는 외부기기통신부와, 상기 외부기기통신부의 수신신호에 따라서 상기 포토센서부의 감지결과 및 접촉감지부의 감지결과를 기초로 한 사용자의 자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외부기기를 포함하는 자세교정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는, PC 또는 노트북이며,
    상기 외부기기는, 상기 외부기기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자세정보가 미리 설정된 기준과 다를 경우 상기 외부기기의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비정상상태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시스템.
KR1020150189062A 2015-12-29 2015-12-29 자세 감지 및 교정용 장치 KR201700784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062A KR20170078481A (ko) 2015-12-29 2015-12-29 자세 감지 및 교정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062A KR20170078481A (ko) 2015-12-29 2015-12-29 자세 감지 및 교정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481A true KR20170078481A (ko) 2017-07-07

Family

ID=59353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9062A KR20170078481A (ko) 2015-12-29 2015-12-29 자세 감지 및 교정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848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9460B1 (ko) * 2017-09-01 2019-02-19 (주)자세과학 게임을 사용한 거북목 교정시스템
CN110811630A (zh) * 2019-10-31 2020-02-21 瞬联软件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孕妇睡姿检测方法及装置
KR20210081698A (ko) * 2019-12-24 2021-07-02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기반의 스마트폰 장착형의 체성분값 분석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9460B1 (ko) * 2017-09-01 2019-02-19 (주)자세과학 게임을 사용한 거북목 교정시스템
CN110811630A (zh) * 2019-10-31 2020-02-21 瞬联软件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孕妇睡姿检测方法及装置
CN110811630B (zh) * 2019-10-31 2022-07-22 瞬联软件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孕妇睡姿检测方法及装置
KR20210081698A (ko) * 2019-12-24 2021-07-02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기반의 스마트폰 장착형의 체성분값 분석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4842B1 (ko) 압력 감지 의자
JP4575155B2 (ja) 感圧部材、及び、ベッド使用者監視システム
US10638842B2 (en) Smart sea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JP5655176B1 (ja) 姿勢判定装置および姿勢判定方法
US697523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movement patterns of human beings
CN101896120B (zh) 睡眠体位的检测
KR101842067B1 (ko) 스마트 섬유를 이용한 자세 제어 시스템
CA2320898A1 (en) Bed exit detection apparatus
KR101865204B1 (ko) 자세 교정용 방석 및 이를 포함하는 자세 교정용 의자
KR20170078481A (ko) 자세 감지 및 교정용 장치
KR101136909B1 (ko) 자세감지시트, 자세감지시트가 설치된 의자, 및 그를 포함하는 자세교정시스템
WO2003072953A3 (en) Posture sensing apparatus
KR20170047160A (ko) 단말과 연동 가능한 자세 교정 모듈
US20220346656A1 (en) Hear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20110089646A (ko) 기능성 의자
JP6479075B2 (ja) マットレス装置及び介護システム
KR101766220B1 (ko) 올바른 앉은 자세 자동 유도 시스템
TWI681740B (zh) 坐墊
KR20190059545A (ko) 앉은 자세를 측정 및 평가하여 피드백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3015529A1 (ko) 앉은 자세 측정 및 운동용 좌석 패드 및 의자
CN106683357B (zh) 一种基于红外传感器坐姿检测座椅及其检测方法
CN203074705U (zh) 一种姿态监测系统
WO2013021799A1 (ja) 柔物体のためのセンサモジュール及びセンサシステム
GB2563644A (en) Matron
EP10238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movement patterns of human be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