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6562B1 - Deck Plate For Warehous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 Google Patents

Deck Plate For Warehous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6562B1
KR101906562B1 KR1020170028296A KR20170028296A KR101906562B1 KR 101906562 B1 KR101906562 B1 KR 101906562B1 KR 1020170028296 A KR1020170028296 A KR 1020170028296A KR 20170028296 A KR20170028296 A KR 20170028296A KR 101906562 B1 KR101906562 B1 KR 101906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warehouse
deck plate
deck
track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2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02246A (en
Inventor
이원록
김정연
김성배
권순명
Original Assignee
(주)더나은구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나은구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더나은구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70028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6562B1/en
Publication of KR20180102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22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5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10Devices for levelling, e.g. templates or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류창고용 분리타설이 용이한 데크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물류창고의 바닥판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데크 플레이트에 분리타설 표기용 수평 철선과 스크리드 장비의 이동을 위한 트랙레일을 구성하여, 넓은 바닥판으로 구성되는 물류창고에서의 평활도 유지가 용이하도록 하는 물류창고용 분리타설이 용이한 데크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물류창고의 바닥판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일정 크기의 데크 패널과, 데크 패널의 상부에 구성되며 상부근과, 상부근의 하부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구성되는 하부근과, 상부근 및 하부근을 연결하는 래티스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트러스 거더와, 트러스 거더의 단부에 구성되는 직봉과; 트러스 거더의 1개 이상의 래티스근의 소정 높이에 결합되는 수평 철선과; 탄성 스프링과, 탄성 스프링의 상부에 하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며 일정 높이에 레벨 표지가 형성되고 상단부에 수평면으로 형성되는 확인 표지와 확인 표지의 상부로 돌출하는 일정 높이의 가늠부로 구성되는 확인봉으로 으로 이루어져, 폭방향 외측에 위치한 1개 이상의 직봉의 상단부에 탄성 스프링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레벨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ck plate for easy separation and installation of a warehouse for a warehous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ck plate for a warehouse using the deck plat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ck plate for a warehous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ck of a warehouse using the deck plate for facilitating maintenance of smoothness in a warehouse having a wide bottom plat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ck panel comprising: a deck panel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 deck panel having a top, a bottom, a bottom and a bottom, A plurality of truss girders made of ash, a swivel formed at an end of the truss girder, A horizontal wire coupled to a predetermined height of one or more lattice roots of the truss girder; An elastic spring, and a check rod which is fixed by inserting a lower end on the upper part of the elastic spring, has a level mark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 check mark formed at the upper end in a horizontal plane, And a level rod formed by coupling an elastic spring to an upper end of at least one of the swivel rods located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Figure R1020170028296
Figure R1020170028296

Description

물류창고용 분리타설이 용이한 데크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물류창고의 바닥판 시공방법{Deck Plate For Warehous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ck plate for a warehouse,

본 발명은 물류창고용 분리타설이 용이한 데크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물류창고의 바닥판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데크 플레이트에 분리타설 표기용 수평 철선과 스크리드 장비의 이동을 위한 트랙레일을 구성하여, 넓은 바닥판으로 구성되는 물류창고에서의 평활도 유지가 용이하도록 하는 물류창고용 분리타설이 용이한 데크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물류창고의 바닥판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ck plate for easy separation and installation of a warehouse for a warehous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ck plate for a warehouse using the deck plat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ck plate for a warehous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ck of a warehouse using the deck plate for facilitating maintenance of smoothness in a warehouse having a wide bottom plate.

일반적으로 물류창고의 경우에는 넓은 바닥판이 구성되며, 이와 같은 넓은 바닥판의 경우에는 시공시 평활도 유지가 공사품질의 관건이 된다. 그러나, 평활도 평가를 위한 국내기준은 없는 실정이며, 다만 평활도 기준은 영국 콘크리트학회의 TR34(Technical Report No. 34-Concrete industrial ground floors, Third Edition 2003)를 준용하고 있다.Generally, in the case of a logistics warehouse, a wide bottom plate is constituted. In the case of such a wide bottom plate, the maintenance of the flatness at the time of construction becomes the key to the quality of the construction. However, there is no domestic standard for the smoothness evaluation. However, the flatness standard conforms to TR34 (Technical Report No. 34 - Concrete industrial ground floors, Third Edition 2003) of British Concrete Institute.

이와 같은 바닥판의 평활도 유지 방법은 카파헤드와 레이져스트리드, 트랙레일 공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The smoothness maintenance method of such a bottom plate can be classified into a kappa head, a laser strip, and a track rail method.

카파헤드(장비무게 : 380kg) 시공법은 Somero Laser Screeding System으로 자동레벨 관리, RC 및 PC구조의 철근배근상태, 냉동창고, Topping 마감구간에 적용, 바닥의 평탄도를 확보하는 미장공법으로, 카파헤드 장비는 소형이나 맨 바닥의 데크 플레이트 상부에서 작업은 어려우므로 콘크리트 슬래브 분할 타설시 적용 가능하다.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kappa head (equipment weight: 380kg) is the Somero Laser Screeding System. It is applied to the automatic level management, the reinforcement placement of RC and PC structure, the freezing warehouse and the topping finishing section, The equipment is small, but it is difficult to work on the top deck plate, so it is applicable to concrete slab split installation.

레이져스크리드(레이져스크리드 SXP-대형의 경우 : 7,257kg)는 대형장비를 이용한 시공방법으로 SOG(Slab on Grade)의 1층 바닥이 아닌 경우 적용 불가한 문제점이 있었다.Laser Screed (Laser Screed SXP - Large: 7,257kg) is a construction method using large equipment, which is not applicable to the first floor of SOG (Slab on Grade).

또한, 트랙레일 미장공법은 6m 간격으로 ㄷ자형의 레일을 바닥레벨(Floor Level)점 높이에 맞춰 설치하여 6m길이의 진동 스크리드로 끌어서 콘크리트 바닥의 평활도를 높이는 바닥미장 공법이며, 별도의 레일을 설치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track rail finishing method is a floor finishing method in which a urethane rail is installed at a height of a floor level point at a distance of 6 m and dragged to a vibration screed of 6 m in length to increase the smoothness of the concrete floor. There is a problem that it must be installed.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등록 제0609081호 "바닥콘크리트 수평평활도 및 옹벽거푸집 설치를 위한 레벨러"(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거푸집에 부착시켜 놓은 레벨베이스(40)와, 단면이 사각형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레벨베이스에 끼워지고, 각 모서리부가 내부로 라운드되어 수직방향으로 가이드부(14)가 구비되며, 꼭지점이 외측으로 라운드되어 돌출부(12)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2)의 외면으로 다수의 걸림턱(13)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10)와, 바닥면에 몸체(10)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상기 몸체(10)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받침부(20)와, 상기 몸체(10)의 상부로 끼워지도록 삽입부(32)가 형성되고, 삽입부(32)의 내부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며, 그 외면으로 걸림턱(35)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고정돌기(33)를 구비한 캡(30)으로 구성되어, 몸체(10)의 가이드부(14)에 회전고정돌기(33)가 가이드 되도록 하여 캡(30)을 삽입하고, 레이저레벨장치(80)로 설계 높이에 맞게 캡(30)을 위치시킨 후 캡(30)을 회전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콘크리트 수평평활도 및 옹벽거푸집 설치를 위한 레벨러'를 제안한다. As a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patent registration No. 0609081 entitled " Level smoothness of floor concrete and leveler for installing a retaining wall formwork "(Patent Document 1). In the background art, there is provided a leveling base 40 attached to a mold, a rectangular shaped cross-section, and a guide unit 14 fitted in the level base, each corner rounded to the inside, A body 10 in which a vertex is rounded outward to form a protrusion 12 and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13 ar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protrusion 12; A plurality of receiving portions 20 integrally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10 and an inserting portion 32 to be fit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10, And a cap 30 having a rotation fixing protrusion 33 having a locking protrusion 35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ap 30. The rotation fixing protrusion 33 is formed on the guide portion 14 of the body 10, The cap 30 is inserted, and the laser level device 80 adjusts the height The height of the concrete is determined by rotating the cap 30 after the crab cap 30 is positioned and the height of the concrete is determined by the rotation of the cap 30. The leveler of the bottom concrete smoothness and the retaining wall formwork is proposed.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레이저레벨장치로 그 높이를 셋팅하여 건축물의 바닥이나 옹벽거푸집 시공시 콘크리트 타설 높이를 결정해주는 레벨러로써,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공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 background art has a problem that it is inconvenient to install a floor leveler or a leveler for determining the height of a concrete pavement when the floor structure or the retaining wall formwork is constructed by setting the height thereof with a laser level device.

특허등록 제0609081호 "바닥콘크리트 수평평활도 및 옹벽거푸집 설치를 위한 레벨러"Patent Registration No. 0609081 "Leveler for floor level concrete smoothness and retaining wall formwork"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데크 플레이트에 분리타설 표기용 수평 철선을 구성하여 바닥판의 분리타설이 용이하도록 하며, 트랙레일을 미리 구성하여 스크리드 장비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평활도 유지가 매우 용이하도록 하고, 데크 플레이트의 단부의 직봉에 별도의 레벨봉을 구성하도록 함으로써 바닥판 콘크리트의 최종 타설 높이를 확인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물류창고용 분리타설이 용이한 데크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물류창고의 바닥판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orizontal wire for separating and placing marks on a deck plate to facilitate separation and installation of a bottom plate, The deck plate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warehouse and can be easily adjusted by confirming the final placement height of the bottom plate concrete by making the level bar of the end plate of the deck plate extremely easy to maintain smoothness, And to provide a method of constructing a bottom plate of a warehous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일정 크기의 데크 패널과, 데크 패널의 상부에 구성되며 상부근과, 상부근의 하부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구성되는 하부근과, 상부근 및 하부근을 연결하는 래티스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트러스 거더와, 트러스 거더의 단부에 구성되는 직봉과; 트러스 거더의 1개 이상의 래티스근의 소정 높이에 결합되는 수평 철선과; 탄성 스프링과, 탄성 스프링의 상부에 하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며 일정 높이에 레벨 표지가 형성되고 상단부에 수평면으로 형성되는 확인 표지와 확인 표지의 상부로 돌출하는 일정 높이의 가늠부로 구성되는 확인봉으로 으로 이루어져, 폭방향 외측에 위치한 1개 이상의 직봉의 상단부에 탄성 스프링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레벨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창고용 분리타설이 용이한 데크 플레이트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ck panel comprising a deck panel of a predetermined size, a plurality of deck panels formed on the deck panel, each of the plurality of deck panels being composed of a lattice material connecting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deck panel, A truss girder, a swivel formed at the end of the truss girder, A horizontal wire coupled to a predetermined height of one or more lattice roots of the truss girder; An elastic spring, and a check rod which is fixed by inserting a lower end on the upper part of the elastic spring, has a level mark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 check mark formed at the upper end in a horizontal plane, And a level rod formed by coupling an elastic spring to an upper end of at least one of the straight rods located outside the width direction.

또한, ㄷ단면형상으로 개방부가 상부로 향하도록 구성되는 트랙레일이 1개 이상의 수평 철선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창고용 분리타설이 용이한 데크 플레이트를 제공하고자 한다.Also,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ck plate which is easily separated and installed for a warehouse,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a track rail configured to have an open portion upward in a cross section is coupled to at least one horizontal wire.

또한, 트랙레일은 수평 철선에 수평방향으로 결합 플레이트가 결합되고, 결합 플레이트의 상부에 트랙레일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창고용 분리타설이 용이한 데크 플레이트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track rail is configured such that a coupling plate is coupled horizontally to a horizontal wire, and a track rail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plate. The deck plate is easy to separate and install for a warehouse.

또한, (a) 보를 설치하고 데크 플레이트를 보의 상부에 거치하는 단계; (b) 데크 플레이트 상부에 수평 철선 까지의 높이로 1차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c) 1차 콘크리트를 면처리하고 양생하는 단계; (d) 양생된 1차 콘크리트의 상부에 상부근을 배근 한 후 2차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e) 2차 콘크리트를 트랙레일을 따라 스크리드를 이동시켜 레벨봉을 활용하여 레벨 표지 까지 2차 콘크리트의 피니시 레벨을 조정하도록 하여 2차 콘크리트의 상부의 평활도를 확보하도록 하는 단계; (f) 2차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창고용 분리타설이 용이한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물류창고의 바닥판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 installing the beam and mounting the deck plate on the top of the beam; (b) placing a primary concrete at a height up to a horizontal wire line on top of the deck plate; (c) facet treatment and curing of the primary concrete; (d) placing a secondary concrete on the upper part of the cured primary concrete and placing the secondary concrete thereon; (e) securing the smoothnes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ary concrete by moving the screed along the track rail of the secondary concrete to adjust the finish level of the secondary concrete to the level mark using the level stick; and (f) curing the secondary concret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constructing a bottom plate of a warehouse using a deck plate for easy separation and installation for a warehouse.

또한, (a) 단계에서, 데크 플레이트에 트랙레일이 구성된 경우에는, (e) 2차 콘크리트를 트랙레일을 따라 스크리드를 이동시켜 2차 콘크리트의 상부의 평활도를 확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창고용 분리타설이 용이한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물류창고의 바닥판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E) when the track rail is formed on the deck plate in step (a), the screed is moved along the track rail to secure the smoothnes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ary concret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constructing a bottom plate of a warehouse using a deck plate which is easy to separate and install for a warehouse.

본 발명의 물류창고용 분리타설이 용이한 데크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물류창고의 바닥판 시공방법은 데크 플레이트에 분리타설 표기용 수평 철선을 구성하여 바닥판의 분리타설이 용이하도록 하며, 트랙레일을 미리 구성하여 스크리드 장비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평활도 유지가 매우 용이하도록 하고, 데크 플레이트의 단부의 직봉에 별도의 레벨봉을 구성하도록 함으로써 바닥판 콘크리트의 최종 타설 높이를 확인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The deck plate for a warehous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deck plate of a warehouse using the deck plate for separating and installing the deck plate for the warehous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figured to facilitate separation and installation of the bottom plate, So that the smoothness of the screed equipment can be easily maintained and the leveling rod can be formed at the end of the deck plate so that the final casting height of the bottom plate concrete can be confirmed and easily adjusted There is a very useful effect.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물류창고용 분리타설이 용이한 데크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상기 도 1a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b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1b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물류창고용 분리타설이 용이한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물류창고의 바닥판 시공방법을 시공순서대로 도시한 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4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Shall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ck plate for a warehous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easily detachable.
FIG. 1B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FIG. 1A.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B.
FIG. 3 is a side view of FIG. 1B.
FIG. 4 is a view showing a method for constructing a bottom plate of a warehouse using a deck plate which is easy to separate and install for a warehous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rder of construc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techn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도 1a는 본 발명의 물류창고용 분리타설이 용이한 데크 플레이트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상기 도 1a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상기 도 1b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FIG. 1B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FIG. 1A,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B.

본 발명의 물류창고용 분리타설이 용이한 데크 플레이트(1)는 도 1a에서와 같이, 일정 크기의 데크 패널(110)과, 데크 패널(110)의 상부에 구성되는 복수의 트러스 거더(120)와, 바닥판의 분리타설이 용이하도록 하는 분리타설 표기용 수평 철선(140)과, 트러스 거더(12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다양한 형상의 직봉(130)이 구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도 1b에서와 같이, 스크리드 장비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트랙레일(150)이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The deck plate 1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eck panel 110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a plurality of truss girders 120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eck panel 110, A horizontal wire 140 for separation putting marking for facilitating separation and installation of the bottom plate and a swivel 130 having various shapes can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truss girder 1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imilarly, a track rail 150 for facilitating the movement of the screed device can be additionally constructed.

데크 패널(110)은 폭방향 양단부에 연결부가 형성되는 공지의 다양한 규격의 데크 패널을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The deck panel 110 may be formed using a variety of well-known deck panels having connection portions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트러스 거더(120)는 상부근(121)과, 상부근(121)의 하부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구성되는 하부근(122)과, 상부근(121) 및 하부근(122)을 연결하는 래티스재(123)로 이루어지져, 데크 패널(110)의 상부에 폭방향 일정 간격마다 길이방향으로 구성된다.The truss girder 120 includes a top 121 and a bottom 122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ottom of the top 121 and a lattice material 122 connecting the top 121 and the bottom 122. [ (123), and is formed on the top of the deck panel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이와 같은 트러스 거더(12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다양한 형상의 직봉(130)이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The truss girder 120 may have various shapes of the swivel bars 130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수평 철선(140)은 트러스 거더(120)의 래티스근(123)의 콘크리트를 분리타설 할 높이의 소정 높이에서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며, 데크 플레이트(1) 상부에 콘크리트 타설시에 분리 타설 높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horizontal wire 140 is longitudinally coup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a height of the lattice root 123 of the truss girder 120 so that the concrete can be segregated and laid on the deck plate 1, So that it can be grasped.

이와 같은 수평 철선(140)은 콘크리트 분리타설 위치와 트랙레일(150)의 용접면적 등에 따라 크기 및 형상을 달리 구성할 수 있고, 수평 철선(140)은 각각의 트러스 거더(120) 래티스근(123) 마다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필요한 위치에만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The horizontal wire 140 may be formed in a different size and shape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concrete separator installation place and the welding area of the track rail 150. The horizontal wire 140 may be formed by connecting the truss girder 120 and the lattice roots 123 Or may be formed only at a necessary position.

특히, 데크 플레이트(1)의 폭방향 중앙부는 상대처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폭방향 외측의 트러스 거더(120)의 래티스근(123)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콘크리트 분리타설 시 트러스 거더(120)는 전단마찰에 저항하는 전단연결재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하게 된다.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er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deck plate 1 is installed in the lattice root 123 of the truss girder 120 on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because the relative deflection may occur. In addition, the truss girder 120 additionally performs a shear connection function to resist shear friction when the concrete is detached.

상기와 같은 수평 철선(140)에는 스틸(steel)로 형성되는 트랙레일(150)이 결합된다. 트랙레일(150)은 ㄷ단면형상으로 개방부가 상부로 향하도록 하여 하부면이 수평 철선(140)에 용접 등 공지의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되도록 한다.The horizontal rail 140 is coupled to a track rail 150 formed of steel. The track rail 150 has a cross-sectional shape such that the opening portion is directed upward and the lower surface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wire 140 by various known methods such as welding.

트랙레일(150)은 레벨의 기준 및 스크리드(screed)가 이동하는 가이드 레일 역할을 하기 때문에, 모든 수평 철선(140)에 다 구성될 필요는 없고, 바람직하게는 대략 6m 마다 1개의 트랙레일(150)이 형성되도록 하여 진동 스크리드 등이 지나가는 가이드 레일 역할을 하도록 하며, 특히 하부면은 수평 철선(140)과 함께 분리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높이를 가늠하는 기준이 될 수도 있다.The track rail 150 does not need to be constituted by all of the horizontal wires 140 because it serves as a guide for the level and a guide rail on which the screed moves, 150 may be formed so as to serve as a guide rail through which the vibration screes pass. Particularly, the lower surface may be a reference for measuring the height of the concrete detached and laid together with the horizontal wire 140.

특히, 수평철선(140)과 트랙레일(15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도 2에서와 같이, 수평 철선(140)에 수평방향으로 결합 플레이트(155)가 결합되도록 하고, 결합 플레이트(155)의 상부에 트랙레일(150)이 결합되도록 구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Particularly, as shown in FIG. 2, in order to facilitate the coupling of the horizontal wire 140 and the track rail 150, the coupling plate 155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wire 14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track rail 150 may b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track rail 155.

이와 같은 트랙레일(150)은 높이를 조절하여 상단부가 바닥레벨(Floor Level)에 맞추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데크 패널(110)의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매립되도록 할 수도 있다.The height of the track rail 150 may be adjusted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track rail 150 is aligned with a floor level, and the track rail 150 may be embedded in the concrete placed on the deck panel 110.

본 발명에서는 직봉(130)의 상단부에 별도의 레벨봉(160)을 구성하도록 하여 데크 플레이트(1)의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최종 높이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level bar 160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traight bar 130 to adjust the final height of the concrete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eck plate 1. [

레벨봉(160)은 데크 플레이트(1)의 폭방향 중앙부에 설치시에는 상대처짐으로 레벨 확인이 어렵기 때문에 폭방향 측면부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폭방향 외측의 직봉(130)에 1개만 설치되거나 그 이상이 각각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leveling rod 160 is formed on the lateral side in the width direction because it is difficult to confirm the level by the relative deflection when the deck plate 1 is installed at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deck plate 1, Or more, respectively.

레벨봉(160)은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일정 길이의 탄성 스프링(161)과, 탄성 스프링(161)의 상부에 구성되는 확인봉(162)으로 이루어지며, 확인봉(162)은 탄성 스프링(161)의 상단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등 공지의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재질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1 and 3, the level bar 160 includes an elastic spring 16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check bar 162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lastic spring 161. The check bar 162 It may be fixed by various known methods such as being fitted a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elastic spring 161, and the material is preferably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탄성 스프링(161)은 데크 플레이트 설치, 이동, 콘크리트 타설 시 등 외부 충격 등에서도 탄성에 의하여 다시 확인봉(162)이 수직방향으로 회복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elastic spring 161 serves to restore the check bar 162 in the vertical direction due to elasticity even in the event of external impact such as installation of the deck plate, movement, or concrete pouring.

도 3은 상기 도 1b의 측면도이다.FIG. 3 is a side view of FIG. 1B.

일반적으로 직봉은 상부근의 길이방향 단부의 하부에 삽입되어 상단부가 상부근의 하부에 용접되어 접합되도록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도 3에서와 같이, 레벨봉(160)의 결합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직봉(130)은 상부근(121)의 길이방향 외측단부의 외측에 용접 등 공지의 방법으로 접합되어 상단부가 노출되도록 하여, 레벨봉(160)의 탄성 스프링(161) 하단부가 직봉(130)의 상단부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coupling of the level bar 160, as shown in FIG. 3,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upper end portion is welded to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upper end portion.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bar 161 of the level bar 160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end of the upper end of the upper end of the upper end of the arm 130, So that it can be fitted to the upper end portion.

이와 같은 레벨봉(160)에는 일정 높이에 레벨봉(160)의 단면의 크기보다 일정 크기 크게 형성되는 레벨 표지(163)가 형성되도록 하여, 레벨을 찍을 수 있도록 하며 데크 플레이트(1)의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높이의 기준이 되도록 하는데, 예를 들면, 레벨 표지(163) 까지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확인봉(162)을 탄성 스프링(161)에서 제거하도록 하면, 일정 두께의 피복층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The level bar 160 has a level indicator 163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greater than a size of a cross section of the level bar 160 so that the level indicator 163 can take a level, For example, when the concrete is laid up to the level mark 163 and the check bar 162 is removed from the elastic spring 161, it is possible to secure a coating layer having a certain thickness will be.

이와 같은 확인 표지(164)는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벨봉(160)의 상단부에 수평면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작업자의 눈에 잘 보이도록 하여 레벨을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으며, 확인 표지(164)의 상단부에는 상부로 돌출하는 일정 높이의 가늠부(165)가 구성되도록 하여, 레벨의 가늠자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level indicator 160 may be formed as a horizontal surface on the upper end of the level bar 160 so that the level indicator can be easily seen by the operator's eyes, The upper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height measuring portion 165 protruding upward so as to serve as a level scale.

확인 표지(164)의 높이까지 콘크리트 타설 이후에는 확인 표지(164) 상부의 확인봉(162)을 파지하여 탄성 스프링(161)에서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확인봉(162) 자체가 제거를 위한 손잡이 역할을 할 수도 있다.After the concrete is poured up to the height of the check mark 164, the check bar 162 on the check mark 164 is gripped and removed from the elastic spring 161 so that the check bar 162 itself serves as a handle for removal It is possible.

도 4는 본 발명의 물류창고용 분리타설이 용이한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물류창고의 바닥판 시공방법을 시공순서대로 도시한 도이고 도 5는 상기 도 4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4 is a view showing a bottom plate construction method of a warehouse using a deck plate which is easy to separate and install for a warehous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rder of construction, and FIG.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본 발명의 물류창고용 분리타설이 용이한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물류창고의 바닥판 시공방법을 시공순서대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method for constructing the bottom plate of the warehouse using the deck plate which is easy to separate and install for the warehous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order of construction.

먼저, 도 4a 및 도 4b에서와 같이, 보(2)를 설치하고 데크 플레이트(1)를 보(2)의 상부에 거치하도록 한다(a).First, 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beam 2 is installed and the deck plate 1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eam 2 (a).

철골 기둥(미도시)을 설치하고, 철골 기둥에 보(2)를 설치한 이후에 데크 플레이트(1)를 보(2)의 상부에 거치하도록 한다.A steel column (not shown) is installed and the deck plate 1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eam 2 after the beam 2 is installed on the steel column.

이때, 보(2)는 도 4에서와 같이, H형강 보를 이용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도 5에서와 같이, 강재 거푸집 보 등 다양한 공지의 보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이와 같이, 보(2) 설치시에는 보(2)의 상부에 스터드 볼트(21) 등 다양한 전단 연결재가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4, the beam 2 may be made of H-shaped beam, and various known beams such as a steel form beam may be used as shown in FIG. 5. As described above, Various kinds of shear connectors such as stud bolts 21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eam 2. [

이후, 도 4c에서와 같이, 데크 플레이트(1) 상부에 수평 철선(140)까지의 높이로 1차 콘크리트(5)를 타설하도록 한다(b).Thereafter, as shown in FIG. 4C, the primary concrete 5 is laid on the deck plate 1 at a height up to the horizontal wire 140 (b).

물류창고의 경우에는 바닥판이 넓기 때문에 평활도 유지가 어렵기 때문에 데크 플레이트(1)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분리타설하도록 한다.In the case of a warehouse, since the bottom plate is wide, it is difficult to maintain smoothness. Therefore, the concrete is detach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deck plate 1.

이때, 1차 타설 콘크리트(5)의 높이는 데크 플레이트(1)에 미리 구성된 수평 철선(140) 및 트랙레일(150) 하부면 높이에 맞추어 형성되도록 타설한다.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primary laid concrete 5 is laid so as to conform to the heigh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rail 140 and the track rail 150 constructed in advance in the deck plate 1.

이후, 1차 콘크리트(5)의 상부면에 면처리하고 양생하도록 한다(c).Thereafter, the upper surface of the primary concrete 5 is subjected to surface treatment and curing (c).

이후,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생된 1차 콘크리트(5)의 상부에 2차 콘크리트(6)를 타설하도록 한다(d).Thereafter, as shown in FIG. 4D, the secondary concrete 6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cured primary concrete 5 (d).

1차 콘크리트(5)의 상부에 별도의 상부근(61)을 배근한 후에 일정 피복 두께를 갖도록 1차 콘크리트(5)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2차 콘크리트(6)를 형성하도록 한다.The secondary concrete 6 is formed by placing the concrete on the upper part of the primary concrete 5 so as to have a certain coating thickness after disposing a separate upper surface 61 on the upper part of the primary concrete 5.

이후, 2차 콘크리트(6)를 트랙레일(150)을 따라 스크리드를 이동시켜 2차 콘크리트(6)의 상부의 평활도를 확보하도록 한다(e).Then, the secondary concrete 6 is moved along the track rail 150 to secure the smoothnes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ary concrete 6 (e).

본 발명에서는 트랙레일(150)이 데크 플레이트(1)에 미리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레일등을 설치할 필요 없이 진동 스크리드 장비 등을 트랙레일(150)을 따라 데크 플레이트(1)의 길이방향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면서, 2차 콘크리트(6)의 상부면의 평활도를 맞추도록 한다.Since the track rail 150 is preliminarily formed on the deck plate 1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ibration screed equipment or the like can be moved along the track rail 15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eck plate 1 So that the smoothnes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ary concrete 6 is adjusted while moving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마지막으로, 2차 콘크리트(6)를 양생하여 물류창고용 바닥판을 완성한다(f).Finally, the second concrete (6) is cured to complete the warehouse floor (f).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물류창고용 분리타설이 용이한 데크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물류창고의 바닥판 시공방법은 데크 플레이트에 분리타설 표기용 수평 철선을 구성하여 바닥판의 분리타설이 용이하도록 하며, 트랙레일을 미리 구성하여 스크리드 장비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평활도 유지가 매우 용이하도록 하고, 데크 플레이트의 단부의 직봉에 별도의 레벨봉을 구성하도록 함으로써 바닥판 콘크리트의 최종 타설 높이를 확인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The deck plate for the warehous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deck plate and the deck plate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deck plate. It is possible to easily maintain smoothness by facilitating the movement of the screed equipment by preliminarily constructing the rails, and by constructing a separate level bar at the end of the deck plate, the height of the final casting of the bottom plate concrete can be checked and easily adjusted There is a very useful effect to make.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light of the above teachings. will be.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but is limited only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1 : 데크 플레이트
110 : 데크 패널
120 : 트러스 거더
130 : 직봉
140 : 수평 철선
150 : 트랙레일
160 : 레벨봉
161 : 탄성 스프링
162 : 확인봉
163 : 레벨 표지
164 : 확인 표지
165 : 가늠부
2 : 보
21 : 스터드 볼트
1: Deck plate
110: Deck panel
120: Truss girder
130: Vanguard
140: Horizontal wire
150: track rail
160: Level stick
161: Elastic spring
162: Identification stick
163: Level indicator
164: Confirmation sign
165:
2:
21: Stud bolt

Claims (5)

일정 크기의 데크 패널(110)과,
데크 패널(110)의 상부에 구성되며 상부근(121)과, 상부근(121)의 하부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구성되는 하부근(122)과, 상부근(121) 및 하부근(122)을 연결하는 래티스재(123)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트러스 거더(120)와,
트러스 거더(120)의 단부에 구성되는 직봉(130)과;
트러스 거더(120)의 1개 이상의 래티스근(123)의 소정 높이에 결합되는 수평 철선(140)과;
탄성 스프링(161)과, 탄성 스프링(161)의 상부에 하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며 일정 높이에 레벨 표지(163)가 형성되고 상단부에 수평면으로 형성되는 확인 표지(164)와 확인 표지(164)의 상부로 돌출하는 일정 높이의 가늠부(165)로 구성되는 확인봉(162)으로 이루어져, 폭방향 외측에 위치한 1개 이상의 직봉(130)의 상단부에 탄성 스프링(161)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레벨봉(160); 및
ㄷ단면형상으로 개방부가 상부로 향하도록 구성되어 1개 이상의 수평 철선(140)에 결합되는 트랙레일(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창고용 분리타설이 용이한 데크 플레이트.
A deck panel 110 of a predetermined size,
The upper panel 121 and the lower panel 122 are separated from the upper panel 12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upper panel 121 and the lower panel 122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eck panel 110, A plurality of truss girders 120 made of a lattice material 123 to be connected,
A swivel (130) configured at the end of the truss girder (120);
A horizontal wire (140) coupled to a predetermined height of one or more lattice roots (123) of the truss girder (120);
An elastic spring 161 and a check mark 164 having a level mark 163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horizontal surface at an upper end of the elastic mark 161, And a resilient spring 161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at least one swivel 130 located on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check bar 162 composed of a height- 160); And
And a track rail (150) having a cross section and having an open portion facing upward, and being coupled to one or more horizontal wire rods (140).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트랙레일(150)은 수평 철선(140)에 수평방향으로 결합 플레이트(155)가 결합되고, 결합 플레이트(155)의 상부에 트랙레일(150)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창고용 분리타설이 용이한 데크 플레이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ack rail (150) is configured such that a coupling plate (155) is coupled horizontally to a horizontal wire (140), and a track rail (150)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plate (155) Deck plate for easy installation.
청구항 1항 또는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의 데크 플레이트(1)를 이용하여 물류창고의 바닥판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보(2)를 설치하고 데크 플레이트(1)를 보(2)의 상부에 거치하는 단계;
(b) 데크 플레이트(1) 상부에 수평 철선(140) 까지의 높이로 1차 콘크리트(5)를 타설하는 단계;
(c) 1차 콘크리트(5)를 면처리하고 양생하는 단계;
(d) 양생된 1차 콘크리트(5)의 상부에 상부근(61)을 배근한 후 2차 콘크리트(6)를 타설하는 단계;
(e) 2차 콘크리트(6)를 트랙레일(150)을 따라 스크리드를 이동시켜 레벨봉(160)을 활용하여 레벨 표지(163) 까지 2차 콘크리트(6)의 피니시 레벨을 조정하도록 하여 2차 콘크리트(6)의 상부의 평활도를 확보하도록 하는 단계;
(f) 2차 콘크리트(6)를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창고용 분리타설이 용이한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물류창고의 바닥판 시공방법.
A method for constructing a bottom plate of a warehouse using a deck plate (1)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and 3,
(a) installing the beam (2) and mounting the deck plate (1) on the top of the beam (2);
(b) placing the primary concrete (5) at a height up to the horizontal wire (140) on the deck plate (1);
(c) treating and curing the primary concrete (5);
(d) placing a secondary concrete (6) after placing an upper surface (61) on the upper part of the cured primary concrete (5);
(e) Moving the screed along the track rail 150 with the secondary concrete 6 to adjust the finish level of the secondary concrete 6 to the level mark 163 using the level bar 160, Securing the smoothnes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ar concrete (6);
(f) curing the second concrete (6).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concrete (6) is cured.
청구항 4에 있어서,
(a) 단계에서, 데크 플레이트(1)에 트랙레일(150)이 구성된 경우에는,
(e) 2차 콘크리트(6)를 트랙레일(150)을 따라 스크리드를 이동시켜 2차 콘크리트(6)의 상부의 평활도를 확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창고용 분리타설이 용이한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물류창고의 바닥판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4,
In the step (a), when the track rail 150 is formed on the deck plate 1,
(e) securing smoothnes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ary concrete (6) by moving the secondary concrete (6) along the track rail (150) so as to secure smoothnes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ary concrete (6) A method for constructing a bottom plate of a warehouse using a.
KR1020170028296A 2017-03-06 2017-03-06 Deck Plate For Warehous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KR1019065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296A KR101906562B1 (en) 2017-03-06 2017-03-06 Deck Plate For Warehous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296A KR101906562B1 (en) 2017-03-06 2017-03-06 Deck Plate For Warehous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246A KR20180102246A (en) 2018-09-17
KR101906562B1 true KR101906562B1 (en) 2018-10-12

Family

ID=63722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296A KR101906562B1 (en) 2017-03-06 2017-03-06 Deck Plate For Warehous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656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9240A (en) * 1999-12-03 2001-06-12 Asanuma Corp Concrete direct finishing method and jig
KR200246028Y1 (en) * 2001-06-12 2001-10-29 김진술 Concrete leveling rod
KR200390911Y1 (en) * 2005-04-25 2005-07-29 주식회사 윈스틸 Truss deck plate with vertical fixing bar attached to lattice wi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9240A (en) * 1999-12-03 2001-06-12 Asanuma Corp Concrete direct finishing method and jig
KR200246028Y1 (en) * 2001-06-12 2001-10-29 김진술 Concrete leveling rod
KR200390911Y1 (en) * 2005-04-25 2005-07-29 주식회사 윈스틸 Truss deck plate with vertical fixing bar attached to lattice wi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246A (en) 2018-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5762B1 (en) Cantilever part for bridg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1699888B1 (en) Cantilever part of bridge and method thereof
KR102017684B1 (en) Precast Concrete Deck Module
KR101916744B1 (en) Upper structure of bridge with improved stiffness,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it
KR102008773B1 (en) Elastic form precast joint member and quick construction method of bridge expansion joint using of the same
CN103255717A (en) Method for constructing hit-preventing wall
JP2015071907A (en) Mounting structure of concrete wall railing
KR101638093B1 (en) Rahmen using hinge type pc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KR20070106256A (en) Concrete device for covering opened road
CN105525571A (en) Construction method of anti-collision wall
KR102080492B1 (en) Construction method for cantilever in steel composite girder bridge
CN108643217A (en) A kind of high-speed railway subgrade contact net upright post basic construction method
KR100454405B1 (en) Method for changing steel bridge of supporting rail into concreat bridge
JP4934779B2 (en) Boarding / exit structure and boarding / exiting method
KR101906562B1 (en) Deck Plate For Warehous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KR101405468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ncrete block for railway track and method for laying railway track using concrete block manufactured by the same method
KR102003695B1 (en) Rail Track Assembly For Steel Railway Bridge
KR100631029B1 (en) Precasted concrete plate assembly and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JP6360769B2 (en) Widening method of existing road bridge
JP4977110B2 (en) Composite digit structure and composite digit construction method
KR101682442B1 (en) Temporary bridge
JP2018131877A (en) Installation method of precast member, temporary presser
KR102120857B1 (en) System for constructing bridge deck
KR20210028869A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hollow core slab
JP4403189B2 (en) Precast concrete plate construction method and precast concrete plate and sliding plate used in the constru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