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5858B1 - 장롱용 이동식 칸막이 - Google Patents

장롱용 이동식 칸막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5858B1
KR101905858B1 KR1020170083109A KR20170083109A KR101905858B1 KR 101905858 B1 KR101905858 B1 KR 101905858B1 KR 1020170083109 A KR1020170083109 A KR 1020170083109A KR 20170083109 A KR20170083109 A KR 20170083109A KR 101905858 B1 KR101905858 B1 KR 101905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partition member
horizontal rail
storage space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진수
Original Assignee
강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진수 filed Critical 강진수
Priority to KR1020170083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8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03Details of garment-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58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partitions horizontally
    • A47B57/581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partitions horizontally specially adapted for shelves made of tubes or wi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58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partitions horizontally
    • A47B57/583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partitions horizontally by sliding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롱의 수납공간에 설치되어 수납공간을 구획하는 장롱용 칸막이에 관한 것으로, 상기 수납공간을 이루는 장롱의 벽면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레일; 상기 수평레일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수납공간을 향해 돌출된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구획하고, 상기 수평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구획공간의 크기를 가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칸막이 부재; 및 상기 칸막이 부재와 상기 수평레일의 결합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칸막이 부재의 이동을 허용하거나 상기 칸막이 부재를 이동한 상태로 고정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장롱용 이동식 칸막이{MOVEABLE PARTITION FOR WARDROBE}
본 발명은 장롱용 이동식 칸막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롱의 수납공간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수납공간을 구획하는 동시에 구획공간의 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는 장롱용 이동식 칸막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장롱은 의류나 침구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가구로서, 실내의 벽면 한 쪽에 길게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장롱은 위치 이동이 자유로운 이동식도 있고, 방 안의 벽면 한 쪽에 고정된 붙박이식도 있다.
후자의 경우가 방 안의 인테리어 가치를 높이는 데에 유리하기 때문에 근자의 고급 아파트 등에서는 붙박이식을 선호하고 있다.
장롱의 형태와 내부 구조는 제조사마다 상이하다. 예컨대, 장롱은 옷을 길게 걸어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한 칸, 다수의 선반을 보유하여 옷을 층층이 쌓아두면서 보관할 있도록 형성한 칸, 선반 등이 없어 이불 등의 큰 물건들의 보관이 쉽도록 형성한 칸 등 여러 칸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과 편의에 맞게 장롱을 선택하게 된다.
여기서, 옷을 걸어서 보관하는 칸은 수납공간의 상부에 걸이봉이 설치되어 있어서 옷을 옷걸이에 걸은 상태로 걸이봉에 걸어서 보관하게 된다.
그런데, 특히 동절기의 의류는 예컨대 오리털 패딩과 같이 부피가 팽창된 상태의 의류가 대부분이어서 적은 수량만으로도 수납공간이 꽉 차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다른 옷을 추가적으로 보관할 경우에는 기존에 수납된 옷들을 한 쪽으로 밀어서 공간을 확보한 후 추가되는 옷을 걸어야하므로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근래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638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장롱서랍의 수납물을 압축하여 보관할 수 있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술은 장롱의 서랍에 보관된 수납물을 압축하는 것일 뿐, 옷걸이에 옷을 걸어서 보관하는 칸에는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638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옷걸이를 통해 옷을 보관하는 장롱의 수납공간을 가변적으로 구획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옷들을 한 쪽으로 밀착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장롱용 이동식 칸막이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칸막이 부재의 수직 폭을 확장시킬 수 있는 장롱용 이동식 칸막이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장롱용 이동식 칸막이는, 장롱의 수납공간에 설치되어 수납공간을 구획하는 장롱용 칸막이로서, 상기 수납공간을 이루는 장롱의 벽면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레일; 상기 수평레일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수납공간을 향해 돌출된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구획하고, 상기 수평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구획공간의 크기를 가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칸막이 부재; 및 상기 칸막이 부재와 상기 수평레일의 결합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칸막이 부재의 이동을 허용하거나 상기 칸막이 부재를 이동한 상태로 고정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레일은, 상기 장롱의 벽면에 인접된 상태로 상기 장롱의 양측벽에 양단부가 각각 고정되고, 한 쌍으로 이루어져 서로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칸막이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파이프에 양단부가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가운데 부분이 만곡되면서 상기 수납공간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구획하는 만곡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스토퍼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칸막이 부재와 상기 수평레일의 결합부위를 이루는 연결하우징에 내장되면서 상기 수평레일의 일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탄성력에 의해 오므라지면서 상기 수평레일에 밀착되어 상기 연결하우징을 상기 수평레일에 구속하는 한 쌍의 스톱블록; 상기 한 쌍의 스톱블록을 연결하면서 서로 오므라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및 상기 한 쌍의 스톱블록 중 하나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연결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고,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면서 상기 한 쌍의 스톱블록을 벌려서 상기 한 쌍의 스톱블록을 상기 수평레일에서 이격시키는 해제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칸막이 부재에 수직방향으로 인출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칸막이 부재의 상부 또는 하부로 인출되면서 상기 칸막이 부재의 수직 폭을 확장시키는 확장 칸막이 부재; 및 상기 확장 칸막이 부재와 상기 칸막이 부재의 결합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확장 칸막이 부재의 인출을 허용하거나 상기 확장 칸막이 부재를 인출된 상태로 고정하는 확장스토퍼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롱용 이동식 칸막이에 의하면, 칸막이 부재가 수평레일을 따라 이동하므로 장롱의 수납공간이 가변적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특히 칸막이 부재가 스토퍼에 의해 고정되면서 지지력을 제공하므로 겨울 재킷과 같은 옷들을 한쪽으로 압축시켜서 추가 수납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확장 칸막이 부재가 추가 구성될 경우, 칸막이 부재의 필요에 따라 수직 폭을 확장시킬 수 있으므로 롱코트와 같은 의류도 원활하게 수납공간의 한 쪽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롱용 이동식 칸막이가 장롱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롱용 이동식 칸막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토퍼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롱용 이동식 칸막이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롱용 이동식 칸막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롱용 이동식 칸막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설명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롱용 이동식 칸막이(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롱(1)의 수납공간 중 상단에 옷걸이를 걸 수 있도록 걸이봉(1a)이 설치된 수납공간에 구비되어 수납공간을 구획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레일(100), 칸막이 부재(200) 및 스토퍼(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레일(100)은 후술되는 칸막이 부재(200)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롱(1)의 걸이봉(1a)과 나란한 방향을 이루도록 장롱(1)의 벽면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고정된다. 즉, 걸이봉(1a)과 나란하도록 걸이봉(1a)의 하측에 수납공간을 이루는 장롱의 벽면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이동 경로를 제공한다.
예컨대, 수평레일(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파이프(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파이프(11)는 양단부가 장롱(1)의 양측벽에 고정되면서 장롱(1)의 벽면과 인접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칸막이 부재(200)는 전술한 수평레일(100)에 이동식으로 결합되어 장롱의 수납공간을 가변적으로 구획하는 구성요소로서, 수평레일(10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수납공간을 향해 돌출되면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수납공간을 구획한다.
즉, 칸막이 부재(200)는 대략 수직방향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수평레일(100)에 결합됨으로써 수납공간에 폭방향의 구획공간을 형성하며, 수평레일(100)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구획된 공간의 크기를 가변시킨다.
이러한 칸막이 부재(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레일(100)을 따라 이동하면서 수납공간의 옷들을 한쪽으로 밀착시킬 수 있으며, 후술되는 스토퍼(300)에 의해 수평레일(100)에 록킹되면서 옷들을 압축시킨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추가 수납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예컨대, 칸막이 부재(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파이프(2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만곡파이프(210)는 가운데 부분이 'U'형태로 만곡형성되며, 양단부가 각각 한 쌍의 슬라이딩 파이프(11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만곡상태로 돌출된 부위를 통해 수납공간을 구획한다.
이러한 만곡파이프(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에 각각 끼움관 형태를 이루는 연결하우징(220)이 구비되어 한 쌍의 슬라이딩 파이프(110)에 연결하우징(220)을 통해 끼워져 결합되며, 사용자에 의해 이동하면서 구획된 공간을 가변시킨다.
또한, 만곡파이프(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가 수직파이프(230)를 통해 연결되면서 수직방향의 지지력이 보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칸막이 부재(200)는 다수의 파이프로 구성될 수도 있고, 파이프가 아닌 판재로 구성되면서 연결하우징(220)이 구비되어 한 쌍의 슬라이딩 파이프(1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스토퍼(300)는 전술한 칸막이 부재(200)를 수평레일(100)에 록킹하거나 언록킹하는 것으로, 칸막이 부재(200)를 수평레일(100)에 록킹함으로써 칸막이 부재(200)를 이동한 상태로 고정하고, 칸막이 부재(200)를 언록킹함으로써 이동을 허용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스토퍼(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칸막이 부재(200)를 이동한 상태로 수평레일(100)에 구속하여 옷들을 압축시킨다.
이러한 스토퍼(300)는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스톱블록(310), 탄성체(320) 및 해제버튼(3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톱블록(310)은 전술한 칸막이 부재(200)와 수평레일(100)의 결합부위, 즉 만곡파이프(210)와 슬라이드 파이프(110)의 결합부위인 연결하우징(220)에 내장된다.
이러한 스톱블록(3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이루어져 슬라이드 파이프(110)의 일부분을 한 쌍이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며, 탄성체(320)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오므라져 간격이 좁아지면서 슬라이드 파이프(110)에 밀착됨으로써 연결하우징(220)을 슬라이드 파이프(210)에 록킹시킨다.
탄성체(320)는 한 쌍의 스톱블록(310)을 연결하면서 서로 오므라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스톱블록(310)들을 슬라이드 파이프(110)의 외주면에 밀착시킨다.
해제버튼(330)은 스톱블록(310)들을 언록킹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면서 스톱블록(310)들을 벌림으로써 슬라이드 파이프(110)에서 이격시켜 언록킹시킨다.
예컨대 해제버튼(3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하우징(220)에 돌출된 상태로 한 쌍의 스톱블록(310)들 중 하나에 대면하고, 하나의 스톱블록(310)에 형성된 경사면의 견인홈(331)에 걸린상태로 대면한다.
이러한 해제버튼(330)은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견인홈(331)으로 삽입되면서 견인홈(331)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스톱블록(310)을 슬라이드 파이프(110)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벌린다. 이에 따라 연결하우징(220)은 스톱블록(310)이 슬라이드 파이프(110)에서 이격됨에 따라 만곡파이프(210)와 함께 이동이 허용된다.
여기서, 해제버튼(330)은 미도시된 리턴스프링을 매개로 연결하우징(220)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가압을 해제할 경우 리턴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한 쌍의 스톱블록(310)은 해제버튼(330)이 원위치로 복귀할 경우 탄성체(320)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서로 간격이 좁아지면서 슬라이드 파이프(110)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이러한 스토퍼(300)는 칸막이 부재(200)를 임의의 이동이 방지되도록 슬라이드 파이프(110)에 록킹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만족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장롱용 이동식 칸막이(10)는 전술한 수평레일(100), 칸막이 부재(200) 및 스토퍼(300)가 미도시된 하나의 고정판에 고정되어 모듈화된 상태로 구성되면서 장롱(1)의 벽면에 일괄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장롱용 이동식 칸막이(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 칸막이 부재(400) 및 확장 스토퍼(4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확장 칸막이 부재(400)는 칸막이 부재(200)에 수직방향으로 인출가능하게 결합되어 칸막이 부재(200)의 상부나 하부로 인출되면서 칸막이 부재(200)의 수직 폭을 확장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확장 칸막이 부재(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뒤집어진 "T"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칸막이 부재(200)에 설치되는 수직 가이드관(400a)에 인출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어 하방으로 인출되면서 칸막이 부재(200)의 수직 폭을 확장시키며, 수직 가이드관(400a)으로 인입되면서 칸막이 부재(200)의 수직 폭을 복원시킨다.
확장 스토퍼(410)는 확장 칸막이 부재(400)를 인출된 상태 또는 인입된 상태로 고정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 칸막이 부재(400)와 칸막이 부재(200)의 연결부위에 구비되어 확장 칸막이 부재(400)를 록킹하면서 확장 칸막이 부재(400)가 임의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확장 스토퍼(410)는 전술한 스토퍼(300)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한 쌍의 스톱블록이 탄성체의 탄성력을 통해 확장 칸막이 부재(400)에 밀착되면서 확장 칸막이 부재(400)를 록킹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해제버튼이 가압될 경우 한 쌍의 스톱블록이 벌어지면서 확장 칸막이 부재(400)를 언록킹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장롱용 이동식 칸막이(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글 칸막이 부재(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앵글 칸막이 부재(500)는 칸막이 부재(200)와 함께 장롱(1)의 수납공간을 앵글형태로 구획하는 구성요소로서, 앵글형태로 제작되어 칸막이 부재(20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앵글 칸막이 부재(500)는 전술한 수직 가이드관(400a)에 인출가능하게 결합되면서 확장 스토퍼(410)를 통해 록킹되면서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앵글 칸막이 부재(500)는 상기 확장 칸막이 부재(400)의 하단에 수납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도록 수평레일(100)과 나란하게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앵글 칸막이 부재(500)는 도시된 바와 달리 수평방향으로 길이가 확장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롱용 이동식 칸막이(10)의 작동 및 작용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장롱의 걸이봉(1a)에 걸린 옷들을 한쪽으로 밀착시킬 경우, 스토퍼(300)의 해제버튼(330)을 눌러서 칸막이 부재(200)를 수평레일(100)에서 언록킹시킨다.
이때, 한 쌍의 스톱블록(310)은 견인홈(331)에 삽입되는 해제버튼(330)이 경사면을 통해 하나의 스톱블록(310)을 이동시킴에 따라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수평레일(100)에서 이격되어 칸막이 부재(200)의 이동이 허용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칸막이 부재(200)를 이동시켜서 옷들을 한쪽으로 밀착시킨 후 스토퍼(300)의 해제버튼(330)에서 손을 분리한다.
이때, 한 쌍의 스톱블록(310)은 해제버튼(330)이 미도시된 리턴스프링에 의해 원위치로 리턴함에 따라 탄성체(320)의 탄성력을 통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오므라지면서 수평레일(100)에 밀착되어 칸막이 부재(200)를 록킹한다.
이에 따라, 칸막이 부재(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옷들을 한쪽으로 밀착시킨 상태로 고정되어 추가 수납공간이 확보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롱용 이동식 칸막이(10)는 칸막이 부재(200)가 수평레일(100)을 따라 이동하므로 장롱(1)의 수납공간이 가변적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특히 칸막이 부재(200)가 스토퍼(300)에 의해 고정되면서 지지력을 제공하므로 겨울 재킷과 같은 옷들을 한쪽으로 압축시켜서 추가 수납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옷장
1a : 걸이봉
10 : 장롱용 이동식 칸막이
100 : 수평레일
110 : 슬라이딩 파이프
200 : 칸막이 부재
210 : 만곡파이프
220 : 연결하우징
230 : 수직파이프
300 : 스토퍼
310 : 스톱블록
320 : 탄성체
330 : 해제버튼
331 : 견인홈
400 : 확장 칸막이 부재
400a : 수직 가이드관
410 : 확장스토퍼
500 : 앵글 칸막이 부재

Claims (4)

  1. 상단에 옷걸이를 걸 수 있도록 걸이봉이 설치된 수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구획하는 장롱용 칸막이로서,
    상기 걸이봉과 나란하도록 상기 걸이봉의 하측에 상기 수납공간을 이루는 장롱의 벽면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레일;
    상기 수평레일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납공간을 향해 돌출되도록 상기 수평레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구획하고, 상기 수평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구획공간의 크기를 가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칸막이 부재;
    상기 칸막이 부재와 상기 수평레일의 결합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칸막이 부재의 이동을 허용하거나, 상기 칸막이 부재를 이동한 상태로 고정하는 스토퍼;
    상기 칸막이 부재에 설치되는 수직 가이드관에 인출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어 상기 칸막이 부재의 상부 또는 하부로 인출되면서 상기 칸막이 부재의 수직 폭을 확장시키는 확장 칸막이 부재; 및
    상기 확장 칸막이 부재와 상기 칸막이 부재의 결합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확장 칸막이 부재의 인출을 허용하거나 상기 확장 칸막이 부재를 인출된 상태로 고정하는 확장스토퍼; 를 포함하되,
    상기 확장 칸막이 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수납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도록 상기 수평레일과 나란하게 연장된 앵글 칸막이 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롱용 이동식 칸막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레일은 상기 장롱의 벽면에 인접된 상태로 상기 장롱의 양측벽에 양단부가 각각 고정되고, 한 쌍으로 이루어져 서로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칸막이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파이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파이프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수직 파이프와, 일단부가 상기 수직 파이프의 일단부와 결합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파이프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연결하우징을 통해 상기 수직 파이프의 타단부와 함께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파이프 중 다른 슬라이딩 파이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수납공간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구획하는 만곡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롱용 이동식 칸막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하우징에 내장되면서 상기 수평레일의 일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탄성력에 의해 오므라지면서 상기 수평레일에 밀착되어 상기 연결하우징을 상기 수평레일에 구속하는 한 쌍의 스톱블록;
    상기 한 쌍의 스톱블록을 연결하면서 서로 오므라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및
    상기 한 쌍의 스톱블록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연결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고,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면서 상기 한 쌍의 스톱블록을 벌려서 상기 한 쌍의 스톱블록을 상기 수평레일에서 이격시키는 해제버튼; 을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스톱블록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해제버튼이 걸리는 견인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롱용 이동식 칸막이.
  4. 삭제
KR1020170083109A 2017-06-30 2017-06-30 장롱용 이동식 칸막이 KR101905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109A KR101905858B1 (ko) 2017-06-30 2017-06-30 장롱용 이동식 칸막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109A KR101905858B1 (ko) 2017-06-30 2017-06-30 장롱용 이동식 칸막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5858B1 true KR101905858B1 (ko) 2018-10-08

Family

ID=63864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109A KR101905858B1 (ko) 2017-06-30 2017-06-30 장롱용 이동식 칸막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58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04909A (zh) * 2021-12-16 2022-04-12 志邦家居股份有限公司 一种具备保护功能的防倾倒衣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1627Y1 (ko) * 2000-07-18 2001-01-15 이명 양면용 서가(書架)의 칸막이 및 북엔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1627Y1 (ko) * 2000-07-18 2001-01-15 이명 양면용 서가(書架)의 칸막이 및 북엔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04909A (zh) * 2021-12-16 2022-04-12 志邦家居股份有限公司 一种具备保护功能的防倾倒衣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5127A (en) Extendable closet organizers
US6305513B1 (en) Mechanism for supporting expandable pouch of luggage
US2269940A (en) Storage device
US20170332782A1 (en) Contractible storage apparatus
KR101905858B1 (ko) 장롱용 이동식 칸막이
US2948406A (en) Trouser hangers
CN206659477U (zh) 一种具有翻转式衣架的衣柜
KR20170107188A (ko) 창틀설치용 다용도 선반
KR200219485Y1 (ko) 슬라이드 출몰식 바지걸이
CN208692518U (zh) 一种简易衣柜
JP3205182U (ja) クローゼットの構造
KR200182260Y1 (ko) 세트장 옷걸이
KR200321924Y1 (ko) 옷장용 회전 인출식 수납 걸이대
KR20100000662U (ko) 바지걸이
KR102666674B1 (ko) 서랍 의류 정리장치
CN217013180U (zh) 一种家居收纳结构
CN213429110U (zh) 一种新型医用床头柜
JPS6142448Y2 (ko)
TW201934070A (zh) 水槽摺疊瀝水籃
JPH0634264A (ja) 冷蔵庫の棚装置
KR200472591Y1 (ko) 다기능 매립형 가구
KR101353402B1 (ko) 가변형 벽체를 이용한 아파트 수납시스템
JPS6130518Y2 (ko)
JPH0546674Y2 (ko)
JP3017548U (ja) 収納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