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5611B1 - 영상처리를 위한 고해상도 카메라 수직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영상처리를 위한 고해상도 카메라 수직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5611B1
KR101905611B1 KR1020180041088A KR20180041088A KR101905611B1 KR 101905611 B1 KR101905611 B1 KR 101905611B1 KR 1020180041088 A KR1020180041088 A KR 1020180041088A KR 20180041088 A KR20180041088 A KR 20180041088A KR 101905611 B1 KR101905611 B1 KR 101905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plate
support
resolution camera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우균
이천용
Original Assignee
대한항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항업(주) filed Critical 대한항업(주)
Priority to KR1020180041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6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5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left-right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처리를 위한 고해상도 카메라 수직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고해상도 카메라를 통한 다양한 위치에서의 촬영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고해상도 카메라의 수직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영상처리를 위한 고해상도 카메라 수직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영상처리를 위한 고해상도 카메라 수직이동장치{HIGH RESOLUTION CAMERA VERTICAL MOVEMENT APPARATUS FOR IMAGE PROCESSING}
본 발명은 영상처리 기술 분야 중 영상처리를 위한 고해상도 카메라 수직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고해상도 카메라를 통한 다양한 위치에서의 촬영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고해상도 카메라의 수직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영상처리를 위한 고해상도 카메라 수직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공촬영을 통해 촬영된 영상은 도화기를 통해 도화이미지로 제작되고, 이러한 도화이미지는 GIS 정보와 결합되어 수치지도 등의 지도 제작에 사용된다.
이러한 항공촬영은 모형 항공기를 이용하여 이루어지거나 실제 항공기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하지만, 항공촬영에 의한 도화작업은 정확한 지형지물의 변화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항공촬영에 의해 식별이 어려운 지형지물에 대해서는 별도의 카메라 장치를 통한 직접촬영이 시행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213608호(2012.12.18.)에는 '지리정보 및 지형정보 수집을 통한 수치지도 정확성 향상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지리정보 및 지형정보 수집을 통한 수치지도 정확성 향상시스템은 카메라의 수직이동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213608호(2012.12.18.) '지리정보 및 지형정보 수집을 통한 수치지도 정확성 향상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고해상도 카메라를 통한 다양한 위치에서의 촬영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고해상도 카메라의 수직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영상처리를 위한 고해상도 카메라 수직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삼각대 형상의 지지대(100); 하부가 상기 지지대(10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체(210)와, 일측이 상기 지지대(100)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개방되어 제1관통홀(221c)이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홀(221c)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제1수용공간(221a)이 형성되고 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수용공간(221a)과 연통되는 제1개구홀(221b)이 형성되는 제1수용부(221)와 상기 제1관통홀(221c)을 이루는 둘레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1돌출부(222)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체(210)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수용체(220)를 포함하는 하부굴곡폴대(200); 일측 전면에 제1고정홀(311a)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용공간(221a)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삽입부(311) 및 상기 제1삽입부(311)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돌출부(222)에 걸리는 제1걸림부(312)를 구비하는 제1이동체(310)와, 하부가 상기 제1이동체(310)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제2수용공간(321)이 형성되고 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수용공간(321)과 연통되는 제2개구홀(322)이 형성되는 제2수용체(320)와, 하부가 상기 제2수용공간(321)으로 수직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2고정홀(331)이 형성되는 삽입체(330)와, 타측이 상기 삽입체(330)의 상부에 연결되며 일측 전면에 제3고정홀(341a)이 형성되는 제2삽입부(341) 및 상기 제2삽입부(341)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2걸림부(342)를 구비하는 제2이동체(340)를 포함하는 중부굴곡폴대(300); 타측이 개방되어 제2관통홀(411c)이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홀(411c)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이동체(340)의 일측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3수용공간(411a)이 형성되며 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3수용공간(411a)과 연통되는 제3개구홀(411b)이 형성되는 제2수용부(411) 및 상기 제2관통홀(411c)을 이루는 둘레로부터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돌출부(412)를 구비하는 제3수용체(410)와, 상기 제3수용체(410)의 일측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100)의 중심과 동일선상을 이루며 상부에 상판(421)이 구비되어 고해상도 카메라(800)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카메라설치체(420)를 포함하는 상부굴곡폴대(400); 상기 제1개구홀(221b)을 관통하며, 상기 제1고정홀(311a)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체결부재(500); 상기 제2개구홀(322)을 관통하고, 상기 제2고정홀(331)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체결부재(600); 상기 제3개구홀(411b)을 관통하며, 상기 제3고정홀(341a)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제3체결부재(700)로 구성되는 영상처리를 위한 고해상도 카메라 수직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해상도 카메라(800)의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평형부(900); 및 상기 제1수용체(220)로부터 상기 제3수용체(410)를 지지하는 지지부(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평형부(900)는, 상기 상판(421)의 상부 양측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바(910); 상기 한 쌍의 지지바(91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조절수단(920); 상기 한 쌍의 수평조절수단(930)에 연결되며, 상기 고해상도 카메라(800)가 안착되는 수평유지판(930); 및 상기 수평유지판(930)에 구비되는 수준기(940)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수평조절수단(920)은, 상,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지지바(910)의 외측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수평유지판(930)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이드부재(921); 및 상기 가이드부재(921)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910)에 나사결합되면서 회전에 따라 상하 이동되며 상기 수평유지판(930)의 수평을 조절하는 조절부재(922)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10)는, 상기 제3수용체(410)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판(20); 상기 제1수용체(220)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판(30); 상기 하판(30)으로부터 상기 상판(2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40)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수단(40)은, 상,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상판(20)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바(41); 상기 하판(30)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부바(41)의 하부 내측으로 인입되는 하부바(42); 및 상기 하부바(42)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상기 하판(30)으로부터 상기 상부바(41)를 지지하는 스프링(43)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바(41)는, 하부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44)가 형성되면서 상기 스프링(43)의 상부와 안정적으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를 위한 고해상도 카메라 수직이동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위치에서 영상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고해상도 카메라의 수직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를 위한 고해상도 카메라 수직이동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를 위한 고해상도 카메라 수직이동장치에서 평형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를 위한 고해상도 카메라 수직이동장치에서 지지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5에서 지지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를 위한 고해상도 카메라 수직이동장치는 지지대(100), 하부굴곡폴대(200), 중부굴곡폴대(300), 상부굴곡폴대(400), 제1체결부재(500), 제2체결부재(600), 제3체결부재(700) 및 고해상도 카메라(80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100)는 복수의 지지다리(110) 및 상기 복수의 지지다리(1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판(120)을 포함하며, 삼각대 형태를 이룬다.
상기 각 지지다리(110)에는 이동성 확보를 위해 바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20)은 상부에 체결돌기(121)가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하부굴곡폴대(200)는 지지체(210) 및 제1수용체(22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지지체(210)는 하부에 체결홈(211)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211)은 상기 체결돌기(12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체결홈(211) 및 상기 체결돌기(121)는 압입식으로 결합되거나,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체(220)는 제1수용부(221) 및 제1돌출부(222)를 포함하며, 'ㄱ'자 형상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지지체(210)로부터 굴곡되게 연장된다.
상기 제1수용부(221)는 일측이 상기 지지대(100)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개방되어 제1관통홀(221c)이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홀(221c)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제1수용공간(221a)이 형성되고, 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수용공간(221a)과 연통되는 제1개구홀(221b)이 형성된다.
상기 제1돌출부(222)는 상기 제1관통홀(221c)을 이루는 둘레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제1관통홀(221c)을 이루는 둘레가 상기 제1수용공간(221a)을 이루는 둘레보다 작도록 한다.
상기 중부굴곡폴대(300)는 제1이동체(310), 제2수용체(320), 삽입체(330) 및 제2이동체(340)를 포함하며, 'ㄷ'자 형태를 이룬다.
상기 제1이동체(310)는 일측 전면에 제1고정홀(311a)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용공간(221a)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삽입부(311) 및 상기 제1삽입부(311)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돌출부(222)에 걸리는 제1걸림부(3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걸림부(312)는 상기 제1이동체(310)가 상기 제1수용부(22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2수용체(320)는 하부가 상기 제1이동체(310)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제2수용공간(321)이 형성되고, 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수용공간(321)과 연통되는 제2개구홀(322)이 형성된다.
상기 제2수용체(320)는 상기 제2개구홀(322)에 이웃되게 표면에 눈금이 표시될 수 있으며, 눈금은 상기 제2개구홀(322)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일측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체(330)는 하부가 상기 제2수용공간(321)으로 수직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2고정홀(331)이 형성된다.
상기 제2수용공간(321)으로 수용된 상기 삽입체(330)의 하부는 상기 제2수용체(320)의 표면에 표시된 눈금을 지시한다.
이에 따라, 상기 고해상도 카메라(800)에 대한 수직이동시, 상기 삽입체(330)의 수직이동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적절한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삽입체(330)는 상기 제2수용공간(321)으로부터 이탈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삽입체(330)와 상기 제2수용체(320) 간의 분리,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얼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이동체(340)는 타측이 상기 삽입체(330)의 상부에 연결되며 일측 전면에 제3고정홀(341a)이 형성되는 제2삽입부(341) 및 상기 제2삽입부(341)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2걸림부(342)를 포함하며, 상기 제1이동체(310)와 상하 대향된다.
상기 제2걸림부(342)는 상기 제2이동체(340)가 상기 제2수용부(41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상부굴곡폴대(400)는 제3수용체(410) 및 카메라설치체(420)를 포함하며, 상기 중부굴곡폴대(30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3수용체(410)는 제2수용부(411) 및 제2돌출부(412)를 포함하며, 상기 제2이동체(340)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제2수용부(411)는 타측이 개방되어 제2관통홀(411c)이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홀(411c)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이동체(340)의 일측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3수용공간(411a)이 형성된다.
상기 제2돌출부(412)는 상기 제2관통홀(411c)을 이루는 둘레로부터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2관통홀(411c)을 이루는 둘레가 상기 제3수용공간(411a)을 이루는 둘레보다 작도록 한다.
상기 카메라설치체(420)는 'ㄱ'자 형상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3수용체(410)로부터 굴곡지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100)의 중심과 동일선상을 이룬다.
상기 카메라설치체(420)는 상기 중부굴곡폴대(300)의 길이조절방식을 통해 길이조절 가능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1체결부재(500)는 상기 제1개구홀(221b)을 관통하며, 상기 제1고정홀(311a)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체결부재(500)의 결합방식은 압입방식 또는 나사결합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재(600)는 상기 제2개구홀(322)을 관통하며, 상기 제2고정홀(33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체결부재(600)의 결합방식은 압입방식 또는 나사결합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3체결부재(700)는 상기 제3개구홀(411b)을 관통하며, 상기 제3고정홀(341a)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3체결부재(700)의 결합방식은 압입방식 또는 나사결합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해상도 카메라(800)는 상기 카메라설치체(42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를 위한 고해상도 수직이동장치는 상기 고해상도 카메라(800)를 통한 다양한 위치에서의 촬영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해상도 카메라(800)의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평형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형부(900)는 상기 지지대(100)가 안착되는 지면이 경사를 이루거나 상기 상부굴곡폴대(400)가 하방향으로 처지는 등에 따른 상기 카메라설치체(42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판(421)이 일측으로 기울어지면서 발생될 수 있는 상기 고해상도 카메라(800)의 기울어짐을 방지하여 상기 고해상도 카메라(800)의 수평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상판(421)의 기울어짐은 수평인 상태를 기준으로 5도 이하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평형부(900)는 상기 카메라설치체(420)에 설치되는 상기 고해상도 카메라(800)의 수평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고해상도 카메라(800)에 의한 촬영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평형부(900)는 상기 카메라설치체(420)의 상부 양측 즉, 상기 상판(421)의 상부 양측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바(910), 상기 한 쌍의 지지바(91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조절수단(920), 상기 한 쌍의 수평조절수단(930)에 연결되며 상기 고해상도 카메라(800)가 안착되는 수평유지판(930) 및 상기 수평유지판(930)에 구비되는 수준기(940)를 포함한다.
상기 고해상도 카메라(800)는 상기 수평유지판(930)에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안착,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수평조절수단(920)은 상기 수준기(940)를 통한 상기 수평유지판(930)의 수평 여부에 따라 인위적인 조절에 의해 상하 이동되면서 상기 수평유지판(930)의 좌,우가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며 수평이 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고해상도 카메라(800)에 대한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수평유지판(930)의 좌,우는 상기 수평유지판(930)의 상부면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측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910)는 원형봉 형태를 이루며 상기 상판(421)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평형부(900)는 상기 지지바(910)를 상기 상판(421)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9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상판(421)은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체결공(421a)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바(91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수단(950)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너트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상판(421)의 상,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910)에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지지바(910)를 상기 상판(421)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바(910)는 상기 상판(42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평형부(900)가 상기 카메라설치체(4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평형부(900)가 상기 카메라설치체(420)에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평조절수단(920)은 상,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지지바(910)의 외측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수평유지판(930)이 연결되는 가이드부재(921) 및 상기 가이드부재(921)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910)에 나사결합되는 조절부재(922)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유지판(930)은 양측이 상기 가이드부재(921)에 힌지결합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준기(940)는 상기 수평유지판(930)이 수평 여부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며, 공지된 일반적인 형태를 이루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조절부재(922)는 상부에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돌기(923)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921)는 하부에 상기 지지돌기(923)가 인입되는 지지홈(92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절부재(922)는 일측으로 편향됨이 없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지지바(9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재(922)는 회전에 따라 상기 지지바(910)의 길이방향으로 상하 이동되면서 상기 가이드부재(921)가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부재(921)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수평유지판(930)이 함께 상하 이동되면서 상기 수평유지판(930)에 대한 좌,우 수평이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조절부재(922)는 인위적인 가압에 의한 풀림 회전에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가이드부재(921)를 상방향으로 밀어올려 상기 수평유지판(930)이 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조임 회전에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가이드부재(921)가 하중에 의해 하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수평유지판(930)이 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수평유지판(930)이 수평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조절부재(922)는 상기 수평유지판(930)의 수평상태에 따른 가압해제 즉, 회전 정지에 따라 상기 고해상도 카메라(800)에 대한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영상처리를 위한 고해상도 카메라 수직이동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상기 수준기(940)를 확인하면서 상기 한 쌍의 수평조절수단(920) 중 어느 하나의 수평조절수단이나 상기 한 쌍의 수평조절수단(920)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상기 수평유지판(930)의 좌,우가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조절하는 한편, 수평인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평형부(900)는 상기 수평유지판(930)의 일측이 하방향으로 처지면서 기울어지는 현상 없이 상기 고해상도 카메라(800)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수용체(220)로부터 상기 제3수용체(410)를 지지하는 지지부(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0)는 상기 제1수용체(220)로부터 상기 제3수용체(410)를 지지하여 상기 고해상도 카메라(800)가 배치되는 상기 제3수용체(410)의 일측이 하방향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지지부(10)는 상기 제3수용체(410)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판(20), 상기 제1수용체(220)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판(30) 및 상기 하판(30)으로부터 상기 상판(2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40)을 포함한다.
상기 상판(20)은 상기 제3수용체(41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판(30)은 상기 제1수용체(22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수단(40)은 상,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상판(20)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바(41), 상기 하판(30)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부바(41)의 하부 내측으로 인입되는 하부바(42) 및 상기 하부바(42)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상기 하판(30)으로부터 상기 상부바(41)를 지지하는 스프링(43)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바(41)는 하부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44)가 형성되면서 상기 스프링(43)의 상부와 안정적으로 접할 수 있다.
상기 상부바(41)는 상부가 상기 상판(20)을 통과하고, 상기 지지수단(40)은 상기 상판(20)의 상,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부바(41)의 외측으로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상부바(41)를 상기 상판(2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상부고정부재(45)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하부바(42)는 하부가 상기 하판(30)을 통과하고, 상기 지지수단(40)은 상기 하판(3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부바(42)의 외측으로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하부바(42)를 상기 하판(3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하부고정부재(46) 및 상기 스프링(43)과 상기 하판(30)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부바(42)에 승,하강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면서 회전에 따라 상기 스프링(43)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성력조절부재(47)를 더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상,하부바(41,42)는 상기 상,하부고정부재(45,46) 및 상기 탄성력조절부재(47)의 조절에 따라 상기 상,하판(20,3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영상처리를 위한 고해상도 카메라 수직이동장치에 대한 미사용시에 따른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스프링(43)은 상기 하판(30)으로부터 상기 상부바(4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한편, 외력에 의한 상기 제3수용체(410)의 승,하강에 따라 수축,이완되면서 충격을 완충한다.
상기 지지수단(40)은 상기 제1,3수용체(220,410) 간의 이격거리에 따라 상기 상부바(41)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하부바(42)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부재(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바(41)는 양측에 하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공(41a)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바(42)는 상부 양측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공(41a)을 통과하는 가이드돌기(42a)가 형성된다.
상기 길이조절부재(48)는 상기 가이드돌기(42a)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부바(41)의 외측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나사결합된다.
이로 인해, 상기 길이조절부재(48)는 회전에 따라 상기 상부바(41)의 길이방향으로 승,하강되면서 상기 상부바(41)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하부바(42)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바(41)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하부바(42)의 길이 변화에 따라 상기 탄성력조절부재(47)를 조절하여 상기 스프링(43)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를 위한 고해상도 카메라 수직이동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지지대 200 : 하부굴곡폴대
210 : 지지체 220 : 제1수용체
300 : 중부굴곡폴대 310 : 제1이동체
320 : 제2수용체 330 : 삽입체
340 : 제2이동체 400 : 상부굴곡폴대
410 : 제3수용체 420 : 카메라설치체
500 : 제1체결부재 600 : 제2체결부재
700 : 제3체결부재 800 : 고해상도 카메라
900 : 평형부 910 : 지지대
920 : 수평조절수단 930 : 수평유지판
940 : 수준기 950 : 고정부재
10 : 지지부 20 : 상판
30 : 하판 40 : 지지수단
41 : 상부바 42 : 고정바
43 : 스프링 44 : 플랜지
45 : 상부고정부재 46 : 하부고정부재
47 : 탄성력조절부재 48 : 길이조절부재

Claims (1)

  1. 지지대(100);
    상기 지지대(100)에 설치되는 지지체(210)와, 일측이 상기 지지대(100)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개방되어 일측 방향으로 제1수용공간(221a)이 형성되는 제1수용부(221)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체(210)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수용체(220)를 포함하는 하부굴곡폴대(200);
    일측 전면에 제1고정홀(311a)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용공간(221a)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삽입부(311)를 구비하는 제1이동체(310)와, 하부가 상기 제1이동체(310)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제2수용공간(321)이 형성되는 제2수용체(320)와, 하부가 상기 제2수용공간(321)으로 수직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2고정홀(331)이 형성되는 삽입체(330)와, 타측이 상기 삽입체(330)의 상부에 연결되며 일측 전면에 제3고정홀(341a)이 형성되는 제2삽입부(341) 및 상기 제2삽입부(341)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2이동체(340)를 포함하는 중부굴곡폴대(300);
    타측이 개방되어 상기 제2이동체(340)의 일측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3수용공간(411a)이 형성되는 제2수용부(411)를 구비하는 제3수용체(410)와, 상기 제3수용체(410)의 일측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100)의 중심과 동일선상을 이루며 상부에 상판(421)이 구비되어 고해상도 카메라(800)가 설치되는 카메라설치체(420)를 포함하는 상부굴곡폴대(400);
    상기 제1고정홀(311a)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체결부재(500);
    상기 제2고정홀(331)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체결부재(600); 및
    상기 제3고정홀(341a)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제3체결부재(700)로 구성되는 영상처리를 위한 고해상도 카메라 수직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해상도 카메라(800)의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평형부(900); 및
    상기 제1수용체(220)로부터 상기 제3수용체(410)를 지지하여 상기 고해상도 카메라(800)가 배치되는 상기 제3수용체(410)의 일측이 하방향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평형부(900)는,
    상기 상판(421)의 상부 양측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바(910);
    상기 한 쌍의 지지바(91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조절수단(920);
    상기 한 쌍의 수평조절수단(920)에 연결되며, 상기 고해상도 카메라(800)가 안착되는 수평유지판(930); 및
    상기 수평유지판(930)에 구비되는 수준기(940)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수평조절수단(920)은,
    상,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지지바(910)의 외측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수평유지판(930)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이드부재(921); 및
    상기 가이드부재(921)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910)에 나사결합되면서 회전에 따라 상하 이동되며 상기 수평유지판(930)의 수평을 조절하는 조절부재(922)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10)는,
    상기 제3수용체(410)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판(20);
    상기 제1수용체(220)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판(30);
    상기 하판(30)으로부터 상기 상판(2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40)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수단(40)은,
    상,하부가 개방되고, 상부가 상부 상판(20)을 통과하는 상부바(41);
    상부가 상기 상부바(41)의 하부 내측으로 인입되고, 하부가 상기 하판(30)을 통과하는 하부바(42);
    상기 하부바(42)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상기 하판(30)으로부터 상기 상부바(41)를 지지하는 스프링(43);
    상기 상판(20)의 상,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부바(41)의 외측으로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상부바(41)를 상기 상판(2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상부고정부재(45);
    상기 하판(3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부바(42)의 외측으로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하부바(42)를 상기 하판(3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하부고정부재(46);
    상기 스프링(43)과 상기 하판(30)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부바(42)에 승,하강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면서 회전에 따라 상기 스프링(43)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성력조절부재(47); 및
    상기 제1,3수용체(220,410) 간의 이격거리에 따라 상기 상부바(41)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하부바(42)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재(48)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부바(41,42)는,
    상기 상,하부고정부재(45,46) 및 상기 탄성력조절부재(47)의 조절에 따라 상기 상,하판(20,30)으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스프링(43)은,
    상기 하판(30)으로부터 상기 상부바(4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한편, 외력에 의한 상기 제3수용체(410)의 승,하강에 따라 수축,이완되면서 충격을 완충하고,
    상기 상부바(41)는,
    하부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44)가 형성되면서 상기 스프링(43)의 상부와 안정적으로 접하며, 양측에 하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공(41a)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바(42)는,
    상부 양측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공(41a)을 통과하는 가이드돌기(42a)가 형성되며,
    상기 길이조절부재(48)는,
    상기 가이드돌기(42a)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부바(41)의 외측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나사결합되고, 회전에 따라 상기 상부바(41)의 길이방향으로 승,하강되면서 상기 상부바(41)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하부바(42)의 길이를 조절하는 한편, 상기 스프링(43)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를 위한 고해상도 카메라 수직이동장치.
KR1020180041088A 2018-04-09 2018-04-09 영상처리를 위한 고해상도 카메라 수직이동장치 KR101905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088A KR101905611B1 (ko) 2018-04-09 2018-04-09 영상처리를 위한 고해상도 카메라 수직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088A KR101905611B1 (ko) 2018-04-09 2018-04-09 영상처리를 위한 고해상도 카메라 수직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5611B1 true KR101905611B1 (ko) 2018-12-05

Family

ID=64743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088A KR101905611B1 (ko) 2018-04-09 2018-04-09 영상처리를 위한 고해상도 카메라 수직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56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877B1 (ko) * 2021-05-06 2021-09-09 율삼엔지니어링(주) 변전소의 변전설비 감시장치
KR102380632B1 (ko) * 2021-09-16 2022-03-30 제일항업(주) 지피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CN115218102A (zh) * 2022-07-20 2022-10-21 长春建筑学院 一种移动式便于调整角度的ar摄像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936B1 (ko) * 2012-11-30 2013-03-06 에스제이공간정보(주) 다단식 지적 측량용 폴
KR101668320B1 (ko) 2016-08-16 2016-10-24 주식회사 이화엔지니어링 측지측량시 장비 보호장치
KR101752794B1 (ko) 2017-04-12 2017-06-30 대원항업 주식회사 우천시 측량 레벨 보호장치
KR101820124B1 (ko) * 2017-09-19 2018-01-18 태양정보시스템(주) 수치지도의 정밀성 향상을 위한 기준점측량장치
KR101820122B1 (ko) * 2017-07-19 2018-01-18 (주)해강 측지측량을 위한 스테레오 카메라 수평유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936B1 (ko) * 2012-11-30 2013-03-06 에스제이공간정보(주) 다단식 지적 측량용 폴
KR101668320B1 (ko) 2016-08-16 2016-10-24 주식회사 이화엔지니어링 측지측량시 장비 보호장치
KR101752794B1 (ko) 2017-04-12 2017-06-30 대원항업 주식회사 우천시 측량 레벨 보호장치
KR101820122B1 (ko) * 2017-07-19 2018-01-18 (주)해강 측지측량을 위한 스테레오 카메라 수평유지장치
KR101820124B1 (ko) * 2017-09-19 2018-01-18 태양정보시스템(주) 수치지도의 정밀성 향상을 위한 기준점측량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877B1 (ko) * 2021-05-06 2021-09-09 율삼엔지니어링(주) 변전소의 변전설비 감시장치
KR102380632B1 (ko) * 2021-09-16 2022-03-30 제일항업(주) 지피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CN115218102A (zh) * 2022-07-20 2022-10-21 长春建筑学院 一种移动式便于调整角度的ar摄像装置
CN115218102B (zh) * 2022-07-20 2023-09-12 长春建筑学院 一种移动式便于调整角度的ar摄像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5611B1 (ko) 영상처리를 위한 고해상도 카메라 수직이동장치
US7976227B2 (en) Stabilized equipment support and method of balancing same
US10979607B2 (en) Camera apparatus and methods
US20070012843A1 (en) Device for levelling a support, particularly a support for cameras and cinecameras
CA2399143A1 (en) Optical projection system including projection dome
US20170307972A1 (en) Panoramic photography head and photographiy system using the same
KR200485121Y1 (ko) 멀티비전의 디스플레이 고정장치
KR101820122B1 (ko) 측지측량을 위한 스테레오 카메라 수평유지장치
KR20200106809A (ko) 회전식 촬영기구
US2449886A (en) Apparatus for magnifying the images on television screens
KR101668320B1 (ko) 측지측량시 장비 보호장치
KR101870681B1 (ko) 측지측량용 표척과 삼각대의 높이조절시스템
WO2016137116A1 (ko) 고정장치가 구비된 이젤
US5203871A (en) Tripod with horizontal and vertical sensing means for a camcorder
KR20200040191A (ko) 교육 영상모니터용 가상현실 영상 장치
KR20180055421A (ko) 카메라 레벨링 장치
US3696856A (en) Swivel standard for portable projection screen
US9591222B1 (en) Optical platform system for alignment of digital display device to telescope
KR101687251B1 (ko) 스마트 기기와 오토레벨 장비의 결합을 통한 측량장치
CN106247133B (zh) 能够提高地投安装稳固性的固定部件
KR101848325B1 (ko) 영상데이터와 영상이미지 합성에 의한 항공 촬영 후 영상처리시스템
KR102001924B1 (ko) 측지측량 기기의 높이조절장치
CN209517316U (zh) 一种相机、镜头固定装置
KR101866921B1 (ko)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영상정보를 통합관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1405680B1 (ko) 조명 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