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5421A - 카메라 레벨링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레벨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5421A
KR20180055421A KR1020160153267A KR20160153267A KR20180055421A KR 20180055421 A KR20180055421 A KR 20180055421A KR 1020160153267 A KR1020160153267 A KR 1020160153267A KR 20160153267 A KR20160153267 A KR 20160153267A KR 20180055421 A KR20180055421 A KR 20180055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nular member
camera
bracket
imaginary lin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3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한경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53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5421A/ko
Publication of KR20180055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54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35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204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constituted of several dependent joints
    • F16M11/205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constituted of several dependent joints the axis of rotation intersecting in a single point, e.g. gimbals
    • GPHYSICS
    • G12INSTRUMENT DETAILS
    • G12BCONSTRUCTIONAL DETAILS OF INSTRUMENTS, OR COMPARABLE DETAILS OF OTHE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2B5/00Adjusting position or attitude, e.g. level, of instruments or other apparatus, or of parts thereof; Compensating for the effects of tilting or acceleration, e.g. for optical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카메라 레벨링 장치가 개시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레벨링 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 각각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서로 대향하는 복수의 지지대; 상기 복수의 지지대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상방 이격되도록 제공되고,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1 중공부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지지대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환형부재; 상기 제 1 중공부 내에 제공되고,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2 중공부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지지대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가상선과 상기 제 2 중공부의 중심에서 직교하는 제 2 가상선 상에서 상기 제 1 환형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환형부재; 및 상기 제 1 환형부재 및 상기 제 2 환형부재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상방 이격되며, 카메라가 장착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환형부재 및 상기 제 2 환형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카메라 및 상기 브라켓의 무게중심의 이동에 따라 지면에 대하여 기울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레벨링 장치{CAMERA LEVELING APPARATUS}
이하의 설명은 카메라 레벨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상 관측 중에서 구름 관측은 운량, 운고 및 운형 등에 대한 관측을 모두 포함한다. 그 중에서 운량이란 구름의 양을 의미하며, 전체 관측 면적 중에서 구름이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을 숫자로 표시한다. 구름에 대한 관측은 태양의 일조시간이나 일사량의 변화에 절대적인 변수이기 때문에, 구름 관측 중 특히 운량에 대한 관측은 태양 에너지를 이용하는 산업분야에서 중요한 정보로써 활용되고 항공 분야에서도 중요도가 높게 활용되는 기상 정보이다.
이러한 중요도에 불구하고, 현재 구름 관측은 숙달된 관측자가 육안으로 관측하는 목측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목측은 관측자의 주관에 의존하게 되므로 일관성이 부족하고, 정해진 주기마다 관측되기 때문에 시간적인 측면에서 연속성이 부족하다.
구름 관측에 있어서 목측을 대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카메라 등의 촬상수단을 이용하여 하늘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한 후 상기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이 실제로 구현되기 위해서는, 카메라가 설치되는 장소의 지면의 기울기 등에도 불구하고 카메라가 수평 상태를 가지도록 하여 하늘을 잘 바라볼 수 있도록 해야 하고, 지속적인 하늘 이미지 획득 과정에서 발생되는 바람, 진동 등의 노이즈에도 불구하고 카메라가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통상의 카메라 레벨링 장치는 기울기 센서 등의 센서류, 상기 센서류의 측정 결과에 따라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어회로, 모터 등의 각종 전기기계 부품을 채용하고 있는바, 그 자체로 구조적 측면 및 경제적 측면에서 불리할 수 있고, 반응속도가 느리다는 단점도 가질 수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1994-0008043호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동력의 제공 없이도 지면의 상태에 적응하여 카메라의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카메라 레벨링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레벨링 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 각각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서로 대향하는 복수의 지지대; 상기 복수의 지지대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상방 이격되도록 제공되고,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1 중공부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지지대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환형부재; 상기 제 1 중공부 내에 제공되고,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2 중공부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지지대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가상선과 상기 제 2 중공부의 중심에서 직교하는 제 2 가상선 상에서 상기 제 1 환형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환형부재; 및 상기 제 1 환형부재 및 상기 제 2 환형부재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상방 이격되며, 카메라가 장착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환형부재 및 상기 제 2 환형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카메라 및 상기 브라켓의 무게중심의 이동에 따라 지면에 대하여 기울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의 촬상부는 수평면으로부터 수직인 방향을 바라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가상선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지지대를 관통하되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는 회전이 억제되고, 일단부가 상기 제 1 환형부재에 삽입되며, 상기 제 1 환형부재와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한 제 1 샤프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환형부재는 측면 상에 비곡면 형태의 플랫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랫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 1 환형부재에 삽입된 상기 제 1 샤프트의 일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가상선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 1 환형부재를 관통하되 상기 제 1 환형부재에 대하여는 회전이 억제되고, 일단부가 상기 제 2 환형부재에 삽입되며, 상기 제 2 환형부재와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한 제 2 샤프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환형부재는 측면 상에 비곡면 형태의 플랫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랫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환형부재에 삽입된 상기 제 2 샤프트의 일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환형부재 및 상기 제 2 환형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중량물이 수용되는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환형부재에 형성되는 상기 슬롯은 상기 제 2 가상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환형부재에 형성되는 상기 슬롯은 상기 제 1 가상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 2 환형부재로부터 하방 연장되는 제 1 측판과, 상기 제 2 환형부재로부터 하방 연장되며 상기 제 1 측판과 대향하는 제 2 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 1 측판 및 상기 제 2 측판 사이에서 협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과 연결되고, 상기 카메라로부터 하방 이격되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상방 이격되며, 복수의 장공이 형성되는 서스펜션 플레이트; 및 상기 복수의 장공 중 적어도 일부에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장공은 상기 제 1 가상선 또는 상기 제 2 가상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장공은 상기 서스펜션 플레이트의 테두리부를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서스펜션 플레이트의 일측 테두리에 형성되는 어느 하나의 장공과 상기 서스펜션 플레이트의 중심을 연결하는 제 3 가상선의 연장 방향과, 상기 일측 테두리와 대향하는 타측 테두리에 형성되는 다른 하나의 장공과 상기 어느 하나의 장공을 연결하는 제 4 가상선의 연장 방향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장공을 상하로 관통하고, 상기 카메라를 상방 지지하며, 상기 카메라와 상기 체결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카메라 레벨링 장치는, 프레임;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1 중공부를 가지고,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되 제 1 측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좌우로 기울어지는 제 1 환형부재;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2 중공부를 가지고,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되 상기 제 1 측방과 수직인 제 2 측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좌우로 기울어지는 제 2 환형부재; 및 상기 제 1 환형부재 및 상기 제 2 환형부재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지면으로부터 상방 이격되며, 카메라가 장착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환형부재 및 상기 제 2 환형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카메라 및 상기 브라켓의 무게중심의 이동에 따라 지면에 대하여 기울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동력의 제공 없이도 지면의 상태에 적응하여 카메라의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카메라 레벨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레벨링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카메라 레벨링 장치의 제 1 환형부재, 제 2 환형부재 및 인접 구성 간의 연결관계 및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카메라 레벨링 장치를 지면에 설치했을 때의 제 1 환형부재 및 제 2 환형부재의 작동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1의 카메라 레벨링 장치의 제 1 환형부재의 정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각각 도 1의 카메라 레벨링 장치의 서스펜션 플레이트의 사시도 및 저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공지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상기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닌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리고 특정 부분이 특정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상기 특정 부분은 상기 특정 구성 외의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레벨링 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레벨링 장치(100)는 프레임, 제 1 및 2 환형부재(120, 130), 브라켓(140), 서스펜션 플레이트(1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은 베이스 플레이트(110), 제 1 지지대(115), 제 2 지지대(116), 제 1 바닥판(190) 및 제 2 바닥판(19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레임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레벨링 장치(100)의 작동 간에 움직일 수 있는 제 1 환형부재(120), 제 2 환형부재(130), 브라켓(140), 서스펜션 플레이트(170) 및 관련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 즉 움직임 없이 고정되어 있는 구성을 의미할 수 있다.
제 1 지지대(115) 및 제 2 지지대(116)는 각각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양단부로부터 상방 연장될 수 있다. 제 1 지지대(115) 및 제 2 지지대(116)는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기준 Y축 방향으로 대향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이러한 제 1 지지대(115)와 제 2 지지대(116) 사이에 후술할 제 1 환형부재(120), 제 2 환형부재(130), 브라켓(140) 및 서스펜션 플레이트(170) 등의 구성이 베이스 플레이트(110)로부터 상방 이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제 1 바닥판(190) 상에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바닥판(190)은 제 2 바닥판(195)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제 2 바닥판(192)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레벨링 장치(100)가 설치되는 지면에 접할 수 있다. 제 1 바닥판(190)과 제 2 바닥판(195)은 베이스 플레이트(110)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는 판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제 1 바닥판(190)과 제 2 바닥판(195)은 고무 등 탄성 재질의 고정부재(192)에 의해 서로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면에서 발생되는 진동 등의 노이즈가 상측에 위치한 구성, 예를 들어 제 1 환형부재(120) 및 제 2 환형부재(130) 등의 구성에 전달되는 정도가 저감될 수 있다. 이러한 노이즈의 저감은 후술할 카메라(10)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제 1 환형부재(120)는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제 1 중공부(125)를 가질 수 있고, 상술한 제 1 지지대(115) 및 제 2 지지대(116)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제 1 환형부재(120)는 전체적으로 원형 단면의 링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변형예에서는 이와는 달리 다각형 단면의 링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제 1 환형부재(120)는 제 1 지지대(115) 및 제 2 지지대(116)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지지대(115) 및 제 2 지지대(116)를 도면 기준 Y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1 샤프트(150)의 일단부가 제 1 환형부재(120)의 측면에 삽입될 수 있다. 제 1 샤프트(150)는 너트 등의 회전억제부재(151)로 인해 제 1 지지대(115) 및 제 2 지지대(116)와의 관계에서는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제 1 샤프트(150)는 제 1 환형부재(120)와는 상대적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제 1 샤프트(150)와 제 1 환형부재(120)의 원활한 상대적 회전을 위해 제 1 환형부재(120)에는 베어링(123)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베어링(123)은 제 1 환형부재(120)로 삽입된 제 1 샤프트(150)의 일단부를 감쌀 수 있다. 그리고 위와 같은 베어링(123)의 제공, 제 1 샤프트(150)와 제 1 환형부재(120)의 원활한 상대적 회전을 위해, 제 1 샤프트(150)와 제 1 환형부재(120)의 연결은 제 1 환형부재(120)의 측면 상에 비(非)곡면 형태로 마련되는 플랫부(121)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환형부재(120)의 저면 측에는 슬롯(129)이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레벨링 장치(100)의 초기 설치 시, 상기 슬롯(129)에 무게추 등의 중량물을 배치하여 카메라(10)의 각도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뒤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제 2 환형부재(130)는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제 2 중공부(135)를 가질 수 있고, 상술한 제 1 중공부(125)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환형부재(130)의 직경은 제 1 환형부재(120)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제 2 환형부재(130)는 전체적으로 원형 단면의 링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변형예에서는 이와는 달리 다각형 단면의 링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제 2 환형부재(130)도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환형부재(130)가 제 1 환형부재(120)에 직접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에 의해 프레임에 대하여는 간접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면, 제 1 환형부재(120)의 측면을 도면 기준 X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2 샤프트(160)의 일단부가 제 2 환형부재(130)의 측면에 삽입될 수 있다. 제 2 샤프트(160)는 너트 등의 회전억제부재(161)로 인해 제 1 환형부재(120)와의 관계에서는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제 2 샤프트(160)는 제 2 환형부재(130)와는 상대적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제 2 샤프트(160)와 제 2 환형부재(130)의 원활한 상대적 회전을 위해 제 2 환형부재(130)에는 베어링(133)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베어링(133)은 제 2 환형부재(130)로 삽입된 제 2 샤프트(160)의 일단부를 감쌀 수 있다. 그리고 위와 같은 베어링(133)의 제공, 제 2 샤프트(160)와 제 2 환형부재(130)의 원활한 상대적 회전을 위해, 제 2 샤프트(160)와 제 2 환형부재(130)의 연결은 제 2 환형부재(130)의 측면 상에 비곡면 형태로 마련되는 플랫부(132)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너트 등의 회전억제부재(161)의 적절한 체결 및 작용을 위해 제 2 샤프트(160)와 제 1 환형부재(120)의 연결은 제 1 환형부재(120)의 측면 상에 비곡면 형태로 마련되는 플랫부(122)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브라켓(140)은 제 1 환형부재(120) 및 제 2 환형부재(13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환형부재(130)에 연결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브라켓(140)은, 제 2 환형부재(130)의 일측에서 하방 연장되는 제 1 측판(141)과, 제 2 환형부재(130)의 타측에서 하방 연장되는 제 2 측판(14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제 1 측판(141) 및 제 2 측판(142) 모두 베이스 플레이트(110)로부터는 상방 이격될 수 있다. 카메라(10)의 본체(11)는 상기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제 1 측판(141) 및 제 2 측판(142) 사이에 협지될 수 있다. 특히, 카메라(10)의 본체(11)는 핫슈마운트(15, hot shoe mount)에 의해 제 1 측판(141)에 고정될 수 있다.
렌즈 등 카메라(10)의 촬상부(12)는 개구된 제 2 중공부(135)를 통해 카메라 레벨링 장치(100)의 상측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촬상부(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면을 기준으로 수직한 방향을 바라볼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10)는 지면의 기울기, 굴곡 등의 상태에 불구하고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카메라(10)가 수평 상태를 갖는다는 것은 촬상부(12)가 수평면에서 수직한 방향을 바라보는 상태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서스펜션 플레이트(170)는 카메라(10)의 본체(11)로부터 하방 이격된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서스펜션 플레이트(170)는, 예를 들어 양측부가 각각 제 1 측판(141) 및 제 2 측판(142)에 각각 연결되는 것에 의하여 카메라(10)의 본체(11)의 아래에서 부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서스펜션 플레이트(170)에는 여러 개의 장공(175)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장공(175)에 체결부재(180)가 체결될 수 있다. 장공(175) 안에서의 체결부재(180)의 위치 조정으로 인하여, 카메라 레벨링 장치(100)의 초기 설치 시 카메라(10)의 각도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뒤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체결부재(180)가 장공(175)을 상하로 관통하는 경우, 체결부재(180)는 카메라(10)의 본체(11)를 상방 지지할 수도 있다. 이때, 체결부재(180)의 상단부에는 고무 등의 탄성부재(185)가 제공되어 카메라(10) 본체(1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레벨링 장치(100)에 있어서, 제 1 환형부재(120)와 제 2 환형부재(130)는 프레임에 대하여 각기 다른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여기서, 환형부재(120, 130)가 회동한다는 것은 지면에 대하여 기울어진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레벨링 장치(100)를 제 1 측방(도면 기준 Y축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 1 환형부재(120)는 좌우로 기울어질 수 있고, 카메라 레벨링 장치(100)를 제 2 측방(도면 기준 X축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 2 환형부재(130)는 좌우로 기울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환형부재(120)의 회동(기울어짐)은 제 1 환형부재(120)와 제 1 샤프트(150)의 상대적 회전에 의해 일어날 수 있고, 제 2 환형부재(130)의 회동(기울어짐)은 제 2 환형부재(130)와 제 2 샤프트(160)의 상대적 회전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그리고 위와 같은 환형부재(120, 130)와 샤프트(150, 160) 간의 상대적 회전은 카메라(10) 및 브라켓(140)의 무게중심의 이동에 따라 일어날 수 있다. 카메라(10) 및 브라켓(140)의 무게중심의 이동은 카메라 레벨링 장치(100)가 비(非)수평면 상에 설치될 때 일어날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는 뒤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카메라 레벨링 장치(100)의 제 1 환형부재(120), 제 2 환형부재(130) 및 인접 구성 간의 연결관계 및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 1 환형부재(120)와 제 1 샤프트(150)는, 제 1 지지대(115) 및 제 2 지지대(116)가 대향하는 방향(도면 기준 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제 2 중공부(135)의 중심(C)을 지나는 제 1 가상선(P1) 상에서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환형부재(130)와 제 2 샤프트(160)는, 제 2 중공부(135)의 중심(C)에서 제 1 가상선(P1)과 직교하는 제 2 가상선(P2) 상에서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환형부재(120)는 도면에서 제 1 샤프트(150)에 인접하게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지면에 대하여 기울어질 수 있고, 제 2 환형부재(130)는 도면에서 제 2 샤프트(160)에 인접하게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지면에 대하여 기울어질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카메라 레벨링 장치(100)를 지면에 설치했을 때의 제 1 환형부재(120) 및 제 2 환형부재(130)의 작동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카메라 레벨링 장치(100)를 Y축 방향으로 경사진 지면(1)에 설치한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카메라(10) 및 브라켓(140)은 카메라 레벨링 장치(100)가 수평면에 위치할 때에 수평 상태(촬상부(12)가 수평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을 바라보는 도 1과 같은 상태)를 가지는데, 카메라 레벨링 장치(100)가 도 3과 같이 경사진 지면(1)에 위치하는 경우 카메라(10) 및 브라켓(140)의 전체적인 무게중심은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카메라(10) 및 브라켓(140)의 무게중심은 수평 상태를 유지하려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 2 환형부재(130)가 도면 기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기울어지면서) 카메라(10)는 수평 상태를 가질 수 있다(물이 담긴 그릇을 경사면에 놓았을 때 수면이 수평면과 평행하게 유지되는 것과 같은 원리임). 제 2 환형부재(130)의 회동은 앞서 설명한 제 2 샤프트(160)와의 상대적 회전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도 4는 카메라 레벨링 장치(100)를 X축 방향으로 경사진 지면(1)에 설치한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에도 카메라(10) 및 브라켓(140)의 무게중심은 수평 상태를 유지하려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 1 환형부재(120)는 도면 기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기울어지면서) 카메라(10)는 수평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제 1 환형부재(120)의 회동은 앞서 설명한 제 1 샤프트(150)와의 상대적 회전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제 1 환형부재(120)와 제 2 환형부재(130)가 제 2 샤프트(160)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는바, 제 1 환형부재(120)가 기울어질 때 제 2 환형부재(130)도 함께 기울어질 수 있다.
한편, 카메라 레벨링 장치(100)가 설치되는 지면이 수평면에 대하여 2축 방향(X축 및 Y축)으로의 경사를 가질 경우, 도 3과 관련하여 설명한 작동 모습과 도 4와 관련하여 설명한 작동 모습이 동시에 나타남은 자명하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1의 카메라 레벨링 장치(100)의 제 1 환형부재(120)의 정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환형부재(120)의 측면 상에는 비곡면 형태의 플랫부(122)가 제공될 수 있고, 상기 플랫부(122)에는 통공(127)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샤프트(160)는 상기 통공(127)을 관통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환형부재(120)에는 슬롯(129)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슬롯(129)이 제 1 환형부재(120)의 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카메라 레벨링 장치(100)의 초기 설치 시, 카메라(10) 각도의 미세한 조정을 위해 사용자는 상기 슬롯(129)에 무게추 등의 중량물을 배치할 수 있다. 중량물의 추가에 따라 카메라(10) 및 브라켓(140)의 무게중심이 미세하게 변할 수 있는 것이다.
제 1 환형부재(120)가 기울어지는 방향을 고려하여, 슬롯(129)은 제 1 환형부재(120)의 양측에 형성되되 제 2 가상선(P2, 도 2 참조)과 평행한 방향, 즉 도면 기준 X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좌우의 슬롯(129)에 서로 다른 중량의 중량물을 제공할 수 있고, 하나의 슬롯(129)의 길이방향을 따라서도 적어도 하나의 중량물을 원하는 위치에 제공할 수 있으며 그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제 1 환형부재(120)가 제 1 가상선(P1, 도 2 참조)을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하기 때문에 회동축과 수직인 제 2 가상선(P2)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129)은 무게중심의 미세한 조정에 유리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슬롯(129)이 제 1 환형부재(120)에만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변형예에서는 제 2 환형부재(130)에도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환형부재(130)가 기울어지는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슬롯은 제 1 가상선(P1)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 2 환형부재(130)가 제 2 가상선(P2)을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하기 때문에 회동축과 수직인 제 1 가상선(P1)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은 무게중심의 미세한 조정에 유리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각각 도 1의 카메라 레벨링 장치(100)의 서스펜션 플레이트(170)의 사시도 및 저면도이다. 서스펜션 플레이트(170)는 전술한 슬롯(129)과 유사한 취지로 무게중심의 미세 조정을 가능케 하는 구성일 수 있다.
서스펜션 플레이트(170)에는 복수의 장공(175)이 형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장공(175)이 서스펜션 플레이트(170)의 테두리부를 따라 서로 이격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특히, 서스펜션 플레이트(170)가 도시된 것처럼 다각형의 플레이트인 경우에는 복수의 장공(175)은 각 변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장공(175)에는 체결부재(180)가 체결될 수 있다. 카메라 레벨링 장치(100)의 초기 설치 시, 사용자는 체결부재(180)의 장공(175) 내에서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하여 카메라(10) 및 브라켓(140)의 전체적인 무게중심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보다 원활한 무게중심 조정을 위해, 장공(175)은 전체적으로 서스펜션 플레이트(170)의 중심(O)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공(175)은 제 1 가상선(P1, 도 2 참조) 또는 제 2 가상선(P2, 도 2 참조)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도면 기준 X축 또는 Y축 방향).
아울러, 도 8을 참조하면, 서스펜션 플레이트(170)의 일측 테두리에 형성되는 어느 하나의 장공(175a)과 서스펜션 플레이트(170)의 중심(O)을 연결하는 제 3 가상선(P3)의 연장 방향과, 서스펜션 플레이트(170)의 타측 테두리에 형성되는 다른 하나의 장공(175b)과 상기 어느 하나의 장공(175a)을 연결하는 제 4 가상선(P4)의 연장 방향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대향되는 두 개의 장공(175a, 175b)이 서스펜션 플레이트(170)의 중심(O)을 기준으로 대칭되지 않기 때문에 작은 중량의 체결부재(180)의 위치 변경(예를 들어, 도 8에서 상측의 장공(175c)에 체결된 체결부재(180)를 그 좌측의 장공(175b)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등)에 의한 무게중심 조정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체결부재(180)가 장공(175)을 상하로 관통하는 경우, 체결부재(180)는 카메라(10)의 본체(11)를 상방 지지할 수 있다. 이 때, 체결부재(180)와 카메라(10)의 본체(11) 사이에는 탄성부재(185)가 개재되어 본체(1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면, 별도의 동력 제공 없이, 지면의 기울기 등에 의한 카메라(10)의 무게중심의 이동에 따라 작동하여 신속하게 카메라(10)의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카메라 레벨링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카메라 레벨링 장치(100)는 초기 설치 후의 각종 노이즈(바람, 진동 등) 발생 시 그 노이즈에도 적응하여 카메라(10)의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기술 사상의 일부 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기술 사상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에서 함께 설명된 구성들 내지는 특징들은 서로 분산되어 실시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실시예 각각에서 설명된 구성들 내지는 특징들은 서로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각 청구항에 기재된 구성들 내지는 특징들도 서로 분산되어 실시되거나 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위와 같은 실시는 모두 본 기술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카메라 레벨링 장치 110: 베이스 플레이트
120: 제 1 환형부재 130: 제 2 환형부재
140: 브라켓 150: 제 1 샤프트
160: 제 2 샤프트 170: 서스펜션 플레이트
180: 체결부재

Claims (14)

  1. 베이스 플레이트;
    각각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서로 대향하는 복수의 지지대;
    상기 복수의 지지대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상방 이격되도록 제공되고,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1 중공부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지지대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환형부재;
    상기 제 1 중공부 내에 제공되고,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2 중공부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지지대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가상선과 상기 제 2 중공부의 중심에서 직교하는 제 2 가상선 상에서 상기 제 1 환형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환형부재; 및
    상기 제 1 환형부재 및 상기 제 2 환형부재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상방 이격되며, 카메라가 장착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환형부재 및 상기 제 2 환형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카메라 및 상기 브라켓의 무게중심의 이동에 따라 지면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카메라 레벨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촬상부는 수평면으로부터 수직인 방향을 바라보는 카메라 레벨링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상선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지지대를 관통하되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는 회전이 억제되고, 일단부가 상기 제 1 환형부재에 삽입되며, 상기 제 1 환형부재와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한 제 1 샤프트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레벨링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환형부재는 측면 상에 비곡면 형태의 플랫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랫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 1 환형부재에 삽입된 상기 제 1 샤프트의 일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 레벨링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상선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 1 환형부재를 관통하되 상기 제 1 환형부재에 대하여는 회전이 억제되고, 일단부가 상기 제 2 환형부재에 삽입되며, 상기 제 2 환형부재와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한 제 2 샤프트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레벨링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환형부재는 측면 상에 비곡면 형태의 플랫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랫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환형부재에 삽입된 상기 제 2 샤프트의 일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 레벨링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환형부재 및 상기 제 2 환형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중량물이 수용되는 슬롯이 형성되는 카메라 레벨링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환형부재에 형성되는 상기 슬롯은 상기 제 2 가상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환형부재에 형성되는 상기 슬롯은 상기 제 1 가상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카메라 레벨링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 2 환형부재로부터 하방 연장되는 제 1 측판과, 상기 제 2 환형부재로부터 하방 연장되며 상기 제 1 측판과 대향하는 제 2 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 1 측판 및 상기 제 2 측판 사이에서 협지되는 카메라 레벨링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과 연결되고, 상기 카메라로부터 하방 이격되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상방 이격되며, 복수의 장공이 형성되는 서스펜션 플레이트; 및
    상기 복수의 장공 중 적어도 일부에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레벨링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장공은 상기 제 1 가상선 또는 상기 제 2 가상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카메라 레벨링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장공은 상기 서스펜션 플레이트의 테두리부를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서스펜션 플레이트의 일측 테두리에 형성되는 어느 하나의 장공과 상기 서스펜션 플레이트의 중심을 연결하는 제 3 가상선의 연장 방향과, 상기 일측 테두리와 대향하는 타측 테두리에 형성되는 다른 하나의 장공과 상기 어느 하나의 장공을 연결하는 제 4 가상선의 연장 방향은 서로 상이한 카메라 레벨링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장공을 상하로 관통하고, 상기 카메라를 상방 지지하며,
    상기 카메라와 상기 체결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레벨링 장치.
  14. 프레임;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1 중공부를 가지고,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되 제 1 측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좌우로 기울어지는 제 1 환형부재;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2 중공부를 가지고,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되 상기 제 1 측방과 수직인 제 2 측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좌우로 기울어지는 제 2 환형부재; 및
    상기 제 1 환형부재 및 상기 제 2 환형부재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지면으로부터 상방 이격되며, 카메라가 장착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환형부재 및 상기 제 2 환형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카메라 및 상기 브라켓의 무게중심의 이동에 따라 지면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카메라 레벨링 장치.
KR1020160153267A 2016-11-17 2016-11-17 카메라 레벨링 장치 KR201800554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267A KR20180055421A (ko) 2016-11-17 2016-11-17 카메라 레벨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267A KR20180055421A (ko) 2016-11-17 2016-11-17 카메라 레벨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421A true KR20180055421A (ko) 2018-05-25

Family

ID=62299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3267A KR20180055421A (ko) 2016-11-17 2016-11-17 카메라 레벨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542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439A (ko) * 2018-10-24 2020-05-07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평유지 장치
KR20220075891A (ko) * 2020-11-30 2022-06-08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평 유지 장치 및 이러한 수평 유지 장치를 구비한 무인 반송 차량
KR20220077204A (ko) * 2020-11-30 2022-06-09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기계식 수평 유지 장치 및 이러한 수평 유지 장치를 구비한 무인 반송 차량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439A (ko) * 2018-10-24 2020-05-07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평유지 장치
KR20220075891A (ko) * 2020-11-30 2022-06-08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평 유지 장치 및 이러한 수평 유지 장치를 구비한 무인 반송 차량
KR20220077204A (ko) * 2020-11-30 2022-06-09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기계식 수평 유지 장치 및 이러한 수평 유지 장치를 구비한 무인 반송 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5421A (ko) 카메라 레벨링 장치
US6239353B1 (en) Solar tracker
JPH029820B2 (ko)
US20070194183A1 (en) Stand of display device
JP4237462B2 (ja) 建設用レーザ装置
CN103988011B (zh) 用于支承设备的摩擦调整机制
US20100243851A1 (en) Pan and tilt heads
EP2426392A3 (en) Micro-adjustable supporting device
CN107407863A (zh) 用于负载稳定器的平衡支撑接口
RU2014109029A (ru) Качательная опора гантри для систем визуализации
KR20120124207A (ko) 낚시받침대용 거치틀
CN110319308B (zh) 用于led显示屏的可调地梁
KR20050080139A (ko) 텔레비젼 거치대의 원격 자동 각도 조절장치
KR200452426Y1 (ko) 태양전지판의 각도 조절 시스템
KR101489872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
KR101222929B1 (ko) 촬영장치용 팬틸트장치
KR101905611B1 (ko) 영상처리를 위한 고해상도 카메라 수직이동장치
CN206234566U (zh) 一种底座旋转结构及其支撑座
JP3504615B2 (ja) Tvカメラ用傾動可能取付台における、またはそれに関連する改良
KR101753089B1 (ko) 태양광발전장치
JP3097842U (ja) ディスプレイ構造
KR20090030401A (ko)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 장치
JP2005337484A (ja) 上下・水平調節スタンド
JP5058230B2 (ja) 太陽光発電装置
JP3148587B2 (ja) 墨出し用レー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