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5377B1 -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그리스트랩 장치. - Google Patents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그리스트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5377B1
KR101905377B1 KR1020180031094A KR20180031094A KR101905377B1 KR 101905377 B1 KR101905377 B1 KR 101905377B1 KR 1020180031094 A KR1020180031094 A KR 1020180031094A KR 20180031094 A KR20180031094 A KR 20180031094A KR 101905377 B1 KR101905377 B1 KR 101905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microbubble
micro bubble
gas supply
nozz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교
복민갑
Original Assignee
신상교
복민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상교, 복민갑 filed Critical 신상교
Priority to KR1020180031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3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수 등에 포함되어 배출되는 폐유지를 분리하여 포집하는 그리스트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집된 상기 폐유지를 마이크로버블, 오존 등에 의하여 신속히 분해하여 배출하는 그리스트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그리스트랩 장치는, 그리스트랩 저수부(11)에 구비되며 액체공급부(24)로 유입되는 액체와 기체공급부(25)로 유입되는 기체를 이용하여 상기 폐수에 마이크로버블 혼합액체를 분사하도록 구비된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 및 상기 폐수에 공기 및 오존, 수산화라디칼, 플라즈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체를 제공하기 위하여 구비된 기능성 기체공급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기능성 기체공급부재(60)에 의하여 제공되는 기체는 상기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의 기체공급관부(25)를 통하여 공급되어 마이크로버블 혼합액체에 포함되어 상기 폐수에 제공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마이크로버블 및 오존 등에 의하여 폐유지를 신속히 분해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Description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그리스트랩 장치.{Grease trap apparatus using microbubbles}
본 발명은 폐수 등에 포함되어 배출되는 폐유지를 분리하여 포집하는 그리스트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집된 상기 폐유지를 마이크로버블, 오존 등에 의하여 신속히 분해하여 배출하는 그리스트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학교 등 단체의 급식시설, 호텔, 백화점, 패스트 푸드점, 슈퍼마켓, 식당주방, 생선, 정육코너, 편의점, 육가공 식품을 조리·생산하는 식품공장, 주유소, 선박 등에서 배출되는 폐수 또는 하수, 오수 등(이하 ‘폐수’로 통칭한다)에는 유지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폐유지는 관로에 부착되어 유효 유동 단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유동을 지연시키고 하수 관로의 수압을 상승시켜 여러 문제를 야기할 뿐만 아니라 폐수의 배출지연으로 인하여 폐수가 발생하는 관련 작업의 진행에 지장을 주며, 다른 유기물들과 함께 악취 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폐유지를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폐수의 유동 경로에 도 1과 같은 그리스트랩 등의 제거장치를 설치하는 방식이 통상적으로 이용되는데, 종래의 제거장치들은 단순히 폐유지를 수집하여 보유하는 방식으로 형성되어 보유된 폐유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별도의 흡착포를 추가로 이용하거나 고형화되어 부유된 폐유지를 주기적으로 수거하는 방식 등으로 제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폐수에는 폐유지뿐만 아니라 유기물 조각들도 포함되어 배출되는 경우가 많은데, 큰 유기물 조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망 부재(14)를 이용하여 수집하고 주기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나 미세 유기물 등은 수중에 존재하거나 바닥에 침전되어 대기에 의해 자연 분해되기 어렵고 장기적으로는 그리스트랩 등의 제거장치 바닥에 축적됨으로써 내부 저수공간의 저수용량을 감소시켜 폐유지 등이 그대로 배출되거나 폐수의 배수시간이 지연되거나 심지어 그리스트랩의 폐수가 범람하는 등 제거장치의 원활한 기능을 약화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그리스트랩 등의 제거장치로부터 폐유지를 분해하여 오염수 배출을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 장치의 유지관리를 위한 사용자의 수고를 감소시킬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고, 또한, 원활한 폐유지 분해 및 미세 유기물 등의 부유를 위하여 마이크로버블 규모의 미세기포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는 세부적인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83998호(2011.11.16.) 등록특허공보 제10-1755113호(2017.07.06.)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그리스트랩 등의 제거장치로부터 폐유지를 신속히 분해할 수 있으며 장치의 유지관리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그리스트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마이크로버블을 더욱 효과적으로 생성하는 기술수단을 제공함으로써 그리스트랩 장치의 효과를 더욱 개선하고자 한다.
또한,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의 내부구조를 개선하여 진동 및 소음 등을 감소시키며 안정적으로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할 수 있는 개선된 세부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의 내부에서 안정적이며 강력한 와류유동을 형성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여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의 배출 부분이나 내부 공간에 대한 오염 또는 폐색을 방지하는 기술수단을 제공함으로써 그리스트랩 장치의 운용 신뢰성 등을 더욱 향상시키고자 한다.
또한,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기 위한 액체를 그리스트랩 저수부로부터 순환수로 공급할 수 있는 기술수단을 추가로 제공함으로써 장치의 운용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고자 한다.
또한, 의도하지 않은 임시적인 유동에 의하여 그리스트랩 장치의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 등이 오염되거나 폐색되는 문제점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선된 세부구조를 갖는 입수선택 제어밸브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를 거치구조로 설치할 수 있는 기술수단을 제공함으로써 기존 그리스트랩을 이용하여 본원 발명의 개선된 그리스트랩 장치를 간편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의 분사 위치 및 분사 방향, 설치 개수 등을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그리스트랩 장치는, 액체공급부(24)로 유입되는 액체와 기체공급부(25)로 유입되는 기체를 이용하여 그리스트랩 저수부(11)의 폐수 측에 마이크로버블 혼합액체를 분사하도록 구비된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 및 상기 폐수에 공기 및 오존, 수산화라디칼, 플라즈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체를 제공하기 위하여 구비된 기능성 기체공급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기능성 기체공급부재(60)에 의하여 제공되는 기체는 상기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의 기체공급부(25)를 통하여 공급되어 마이크로버블 혼합액체에 포함되어 상기 폐수에 제공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그리스트랩 장치에서 상기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는, 배출부(23)를 향하여 노즐본체(21)의 내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유동압축부(28)를 구비하며, 상기 액체공급부(24)는 상기 노즐본체(21)의 내경에 접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유입되는 액체는 노즐본체(21)의 내부에서 와류를 형성하며 배출부(23) 측으로 유동하며, 상기 기체공급부(25)는 상기 노즐본체(21)의 내부에서 노즐본체(21)의 내부 공간 중심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배출부(23)에 근접하여 기체를 제공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그리스트랩 장치에서 상기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는, 상기 노즐본체(21)의 내부에서 노즐본체(21)의 내경과 이격된 유동공간을 형성하도록 노즐본체(21)의 내부 공간 중심을 따라 중심지지체(26)를 구비하며, 상기 중심지지체(26)는 상기 유동압축부(28)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상기 배출부(23)를 향하여 중심지지체(26)의 외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유동압축지지부(27)를 구비하고, 상기 기체공급부(25)는 상기 중심지지체(26)의 중심을 관통하여 구비된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그리스트랩 장치에서 상기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는, 배출부(23)를 향하여 노즐본체(21)의 내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유동압축부(28)를 구비하며, 상기 노즐본체(21)의 내부에서 노즐본체(21)의 내경과 이격된 유동공간을 형성하도록 노즐본체(21)의 내부 공간 중심을 따라 중심지지체(26)를 구비하며, 상기 기체공급부(25)는 상기 중심지지체(26)의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배출부(23)에 근접하여 기체를 제공하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중심지지체(26)와 노즐본체(21)의 상기 유동압축부(28)의 이격된 유동공간에는 나선날개부(29)가 구비된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그리스트랩 장치에서 상기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는, 상기 노즐본체(21)의 단부에 배출부(23)를 통한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부재(80)를 추가로 구비한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그리스트랩 장치는 외부수원의 액체와 그리스트랩 저수부(11)의 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의 액체공급부(24)로 제공하도록 입수선택 제어밸브(70)를 추가로 구비하며, 그리스트랩 저수부(11)의 물은 필터부재(44)에 의하여 여과되어 제공된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그리스트랩 장치에서 상기 입수선택 제어밸브(70)는, 밸브바디(77)의 위치에 따라, 외부수원으로부터 입수되는 액체의 유동을 허용하거나 그리스트랩 저수부(11)의 물이 순환유동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모든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더불어, 본원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그리스트랩 장치에서 상기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는 거치부재(30)에 고정되어 그리스트랩 저수부(11)에 설치되며, 상기 거치부재(30)는, ‘
Figure 112018080619445-pat00009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리스트랩 저수부(11)의 양 측벽 및 바닥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지지프레임(31); 및 상기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를 고정하여 상기 지지프레임(31)에 결합되는 거치프레임(32);으로 구성되고, 상기 거치부재(30)의 지지프레임(31)에는,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로부터 분사되는 마이크로버블 혼합액체의 분사방향이나 분사위치를 변경하거나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의 개수를 변경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복수의 자세설정 체결공(36)을 구비하며, 고정수단에 의해 그리스트랩 저수부(11)의 측벽을 가압함으로써 그 반력이 상기 지지프레임(31)에 작용하여 거치부재(30)의 설치자세가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를 이용하여 미세기포 형태로 기능성 기체를 공급함으로써 폐유지, 유기물 등을 신속하게 분해할 수 있는 개선된 효과를 가지며, 이로 인하여 폐유지 및 유기물의 배출에 의한 환경오염을 현저히 감소시키기는 효과를 가질 수 있고, 더불어, 부유 폐유지 등을 인위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수고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리스트랩 저수부의 악취 발생 및 하수관로 배수지연 등의 불편도 해소할 수 있는 향상된 효과를 가진다. 더불어, 저수부에 보유된 폐수에 기능성 기체가 제공됨으로써 각종 수인성 전염병균 등을 살균하게 되어 더욱 개선된 위생효과를 가진다.
또한,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에 유동압축부를 구비하고 액체가 노즐본체의 내부에서 와류를 형성하며 배출부 측으로 유동하며 배출부에 근접하여 기체를 제공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의 미세기포 형성 기능이 현저히 상승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노즐본체의 내부 공간 중심을 따라 중심지지체를 구비하며 기체공급부가 상기 중심지지체의 중심을 관통하여 구비됨으로써,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의 진동 및/또는 소음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며, 기체공급부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함으로써 생성되는 미세기포의 크기 및 수 등이 고르게 유지되어 폐유지, 유기물 등에 대한 분해성능이 안정적으로 확보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에 유동압축부를 구비하고 중심지지체의 중심을 관통하여 배출부에 근접하여 기체를 제공하며 중심지지체와 유동압축부의 이격된 유동공간에 나선날개부를 구비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효과와 함께,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 내부에서 와류속도 성분을 더욱 상승시킬 수 있게 되어 고품질의 미세기포를 얻을 수 있는 향상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노즐본체의 단부에 역류방지부재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의 배출부를 통한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이로 인하여 배출부 또는 노즐부재 내부로 폐유지가 유착되거나 유기물 조각 등에 의하여 막히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향상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입수선택 제어밸브를 이용하여 그리스트랩 저수부의 물을 순환수로 이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폐유지 분해를 위한 운용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필터부재를 채용함으로써 고장 및/또는 유지관리의 빈도 등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입수선택 제어밸브를 이용하여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에 제공되는 액체를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시 모든 유동을 차단하여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의 오염문제 등을 개선할 수 있는 향상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거치부재를 이용하여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를 그리스트랩 저수부에 설치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기존 그리스트랩을 활용하여 본 발명의 개선된 그리스트랩 장치를 쉽게 구성할 수 있게 되어 자원 활용성이 현저히 개선되는 효과를 가지며,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로부터 분사되는 마이크로버블 혼합액체의 분사방향이나 분사위치를 변경하거나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의 개수를 변경하여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그리스트랩의 개별 사용환경에서 폐유지의 특성이나 미세 유기물의 포함 정도 등을 고려하여 세부 장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의 개선된 효과를 그리스트랩의 개별 사용환경에서도 우수하게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종래기술에 따른 그리스트랩.
도 2.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그리스트랩 장치의 예시적인 조립 개념도.
도 3.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그리스트랩 장치의 예시적인 설치도.
도 4.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그리스트랩 장치의 예시적인 세부 거치구조.
도 5.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그리스트랩 장치에 구비된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의 예시적인 세부 구조.
도 6.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그리스트랩 장치에 구비된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의 다른 예시적인 세부 구조.
도 7.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그리스트랩 장치에 구비된 입수선택 제어밸브의 예시적인 세부 구조.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을 살펴보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그리스트랩 장치의 예시적인 조립 개념도로서,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를 거치부재를 이용하여 그리스트랩 저수부에 설치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그리스트랩 장치의 예시적인 설치도로서, 그리스트랩 저수부에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를 설치하고 액체공급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그리스트랩 장치의 예시적인 세부 거치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a)는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의 예시적인 거치구조이고, 도 4(b)는 거치구조의 조립전 세부구조를 표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그리스트랩 장치에 구비된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의 예시적인 세부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5(a)는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의 길이방향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b)는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의 액체공급부 위치에서 노즐부재의 길이방향에 수직되는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그리스트랩 장치에 구비된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의 다른 예시적인 세부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6(a)는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의 길이방향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b)는 예시적인 역류방지부재의 단면도와 정면투시도를 함께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그리스트랩 장치에 구비된 입수선택 제어밸브의 예시적인 세부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좌측 그림은 외부수원의 액체를 제공할 수 있는 상태이고 가운데 그림은 액체의 유동을 방지하는 상태이고 우측 그림은 그리스트랩 저수부의 폐수의 순환유동을 허용하는 상태이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그리스트랩 장치는, 크게, 그리스트랩 저수부(11) 및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 기능성 기체공급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그리스트랩 저수부(11)에는, 일측에 하수 또는 폐수 등을 그리스트랩 저수부(11)로 제공하는 입수배관(12); 및 타측에 그리스트랩 저수부(11)의 유체를 배출하는 배수배관(13)이 구비되며, 그리스트랩 저수부(11)의 바닥에는 그리스트랩 저수부(11)의 공간을 상호 유동 가능하게 구획하거나 침전물의 이동을 방지하는 배플부재(15)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입수배관(12) 측에는 하수 또는 폐수 등에 포함된 큰 폐기물질이 여과되어 보유되는 걸름망 부재(1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안전사고 방지 및 미관 성능, 이물질 유입 방지 등을 고려하여 그리스트랩 저수부(11)의 상부에는 그리스트랩 커버(16)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 상기 그리스트랩 커버(16)를 통기 구조로 형성하거나 별도의 통기용 배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그리스트랩 장치는 그리스트랩 등의 제거장치를 포함하는 의미하며 그 설치형태가 제한되지 않는다. 즉, 바닥에 매립된 시설물 형태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독립된 장치구조(stand-alone)로 형성되어 주방의 씽크대처럼 하수 또는 폐수 등을 배출하는 기계나 기구 등의 측면에 배치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기능성 기체공급부(60)는, 공기 및 오존, 수산화 라디칼, 플라즈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체를 제공한다. 이때, 단순히 공기만 제공하는 방식도 선택될 수 있으나 오존 및 수산화 라디칼, 플라즈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체를 생성하여 공기와 함께 공급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능성 기체공급부(60)는 대기중의 공기를 이용하여 고주파 전원에 의하여 오존 및 수산화 라디칼, 플라즈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체를 생성하여 공기와 함께 공급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오존 및 수산화 라디칼, 플라즈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체를 생성하기 위한 세부 구조는 통상의 기술자가 공지된 기술로부터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성 기체에 의하여 폐유지의 분해 및 미세 유기물의 분해 등의 작용효과가 발생될 뿐만 아니라 그리스트랩 저수부(11)에 대하여 미생물 살균 효과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기능성 기체공급부(60)에 의해서 생성된 기능성 기체는 급기관로(50)를 통하여 그리스트랩 저수부(11) 측에 제공되는데, 이때 상기 기능성 기체를 그리스트랩 저수부(11)의 하수 또는 폐수 등에 직접 제공할 수도 있으나 상기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를 이용하여 마이크로버블 형태로 그리스트랩 저수부(11)의 하수 또는 폐수 등에 제공하는 것이 폐유지 분해 등의 측면에서 현저하게 향상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치부재(30)에 고정되어 그리스트랩 저수부(11)에 설치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설치가 완료되면 도 3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마이크로버블은 직경 1㎜ 이하의 미세한 기포를 의미하며, 특히, 직경 50㎛ 이하의 기포에서는 일반 기포와는 다른 성질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 기포는 급격히 수면으로 상승하여 파열하나 마이크로버블은 기포 체적이 미세하여 상승속도가 느려 수중에 오랫동안 머물 수 있으며, 자기 가압 효과, 표면 전위 특성, 자기 압괴 특성 등에 의하여 수처리에 있어서 일반 기포보다 우수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버블은 수중 입자에 부착되어 해당 입자를 수면으로 부상시킬 수 있는 부수효과도 발생시킨다. 이밖에도 마이크로버블에 의한 각종 효과는 다수의 공지문헌에 의하여 알려져 있다.
한편, 폐유지의 유지성분은 통상적으로 1 미만의 비중을 가지고 있어서 수면으로 부상하여 부유되는 경우가 많지만 물과 근접한 비중을 가진 유지성분이 배출되는 경우나 혹은 유지성분이 미세 폐기물 조각 등에 부착되어 유효 비중이 물과 근접한 경우에는 수면으로 부상하는 시간이 지연되거나 부상하지 않고 침전되기도 하므로, 그리스트랩 장치의 이용 환경에서 폐유지의 특성 및 미세 유기물의 포함 정도 등을 고려하여 마이크버블의 분사 위치 또는 방향, 개수 등을 변경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를 고정하는 거치부재(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스트랩 저수부(11)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31); 및 상기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를 고정하여 상기 지지프레임(31)에 결합되는 거치프레임(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거치프레임(32)은 선형 부재 및 판상 부재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예시적인 구조에서는, 선형 부재 및 판상부재를 조합하여 거치프레임(32)을 구성하고 노즐고정 브라켓(33)에 의하여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를 상기 거치프레임(32)에 고정한다. 상기 거치프레임(32)은 체결수단에 의하여 지지프레임(31)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프레임(31)은 지지프레임 고정수단(37)에 의하여 그리스트랩 저수부(11)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거치부재(30)의 지지프레임(31)은 그리스트랩 저수부(11)에 고정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일실시예에서는 지지프레임(31)이 ‘
Figure 112018026782705-pat00001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리스트랩 저수부(11)의 양 측벽 및 바닥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구조로서 지지프레임 고정수단(37)이 지지프레임(31)을 체결관통하여 그리스트랩 저수부(11)의 내측면을 가압함으로써 그 반력에 의하여 지지프레임(31)의 설치자세가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구조의 지지프레임(31)은 단순히 그리스트랩 저수부(11)의 내부공간을 활용하는 것이어서 기존에 설치되거나 기존 제작된 그리스트랩 저수부(11)를 아무런 변경없이 그대로 활용하여 본 발명의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그리스트랩 장치를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거치프레임(32)을 지지프레임(31)에 고정하는 구조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거치부재(30)의 지지프레임(31)은, 거치프레임(32)을 복수의 위치에 고정하거나 복수의 다른 자세로 고정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31)에 거치프레임(32)을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자세설정 체결공(36)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치프레임(32)은 지지프레임(31)의 상부에 수평 분사방향을 형성하도록 자세설정 고정수단(34) 및 자세설정 고정공(35)을 이용하여 지지프레임(31)의 상부에 형성된 자세설정 체결공(36)에 체결고정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버블이 동일 위치에서 상향 분사되도록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각도 θ1 만큼 회전된 위치에 형성된 자세설정 체결공(36)에 체결고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부 위치에서 수평방향으로, 또는 각도 θ2 만큼 상향으로, 또는 각도 θ3 만큼 하향으로, 마이크로버블을 분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하부에 형성된 해당 자세설정 체결공(36)에 체결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버블의 분사 위치 및/또는 분사방향을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마이크로버블 및 기능성 기체가 수면 부분에 존재하는 부유 폐유지에 신속히 제공되거나 그리스트랩 저수부(11)에 보유된 하수 또는 폐수 내에 분산되어 존재하는 폐유지 혹은 유기물들에 신속히 제공되거나 그리스트랩 저수부(11)의 바닥 부분에 침전된 미세 유기물 등에 신속히 제공되는 구조를 용이하게 선택하여 그리스트랩 장치를 구성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그리스트랩 장치의 이용 환경에서 폐유지의 특성 및 미세 유기물의 포함 정도 등을 고려하여 처리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자세설정 체결공(36)을 이용하여 복수의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를 그리스트랩 저수부(11)에 각각 구비하여 상기 기능 또는 효과를 더욱 향상되게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는, 크게, 내부에 유동 공간이 구비되고 일단부에 배출부(23)가 형성된 노즐본체(21); 및, 상기 노즐 본체(21)의 타단부에서 상기 노즐본체(21)를 폐쇄하여 상기 유동공간을 완성하는 노즐베이스캡(22); 노즐 본체(21)의 내부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액체공급부(24); 노즐 본체(21)의 내부로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기체공급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의 노즐본체(21)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부(23)를 향하여 노즐본체(21)의 내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유동압축부(28)를 구비하며, 상기 기체공급부(25)는 상기 노즐본체(21)의 내부에서 노즐본체(21)의 내부 공간 중심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배출부(23)에 근접하여 기체를 제공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체공급부(24)는 상기 노즐본체(21)의 내경에 접선으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접선 유입 구조에 의하여 상기 노즐본체(21)의 내부로 유입되는 액체는 노즐본체(21)의 내부에서 상기 노즐본체(21)의 내벽을 따라 유동하여 나선형 와류를 형성하면서 상기 배출부(23) 측으로 유동하게 되어 상기 기체공급부(25)의 말단부 근방에서 하수 또는 폐수의 유속을 현저히 상승시킬 수 있게 되어 강력한 부압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부압작용에 의하여 기체공급부(25)로부터 기체가 흡입되어 유동에 혼합됨으로써 미세한 기포 형태의 마이크로버블을 갖는 유동이 생성된다. 더불어, 이러한 부압작용을 이용한 마이크로 버블 생성 구조는 상기 노즐본체(21)의 내측으로 기체를 공급하기 위하여 필요한 별도의 구동수단을 생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에 의하여 마이크로버블이 우수하게 생성되는 효과는, 상기 배출부(23)를 향하여 노즐본체(21)의 내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므로 상기 유동압축부(28) 구간에서 유동 단면적의 감소에 따라 상기 배출부(23)로 향하는 속도성분의 크기가 증가하는 효과와 함께, 노즐본체(21)의 내벽을 따라 유동하는 나선형 와류가 상기 유동압축부(28) 구간에서 곡선 유동의 유동 반경 감소에 따라 그 회전속도 성분이 더욱 증가하는 효과에 의한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는, 상기 노즐본체(21)의 내부에서 노즐본체(21)의 내경과 이격된 유동공간을 형성하도록 노즐본체(21)의 내부 공간 중심을 따라 중심지지체(26)를 구비하며, 상기 기체공급부(25)는 상기 중심지지체(26)의 중심을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심지지체(26)는 노즐베이스캡(22)에 고정될 수 있으며, 억지끼움 방식 또는 체결부재에 의한 체결방식 등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중심지지체(26)는, 상기 노즐본체(21)의 유동압축부(28)와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배출부(23) 측을 향하여 중심지지체(26)의 외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태로 유동압축지지부(27)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중심지지체(26)에 의하여 노즐본체(21) 내부의 유동공간에 배치된 상기 기체공급관(25)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마이크로버블의 크기 및 수가 고르게 형성된 마이크로버블 혼합액체를 안정적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그리스트랩 장치의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심지지체(26)는 금속재질로 형성할 수 있으며, 감쇠성능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앞선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는, 적어도 상기 유동압축부(28) 구간에서 나선날개부(29)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심지지체(26)의 유동압축지지부(27) 구간에서 상기 중심지지체(26)와 노즐본체(21)의 상기 유동압축부(28)의 이격된 유동공간에 나선날개부(29)를 추가로 구비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나선날개부(29)에 의하여 유동압축지지부(27) 구간에서 강력한 나선형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액체공급부(24)가 상기 노즐본체(21)의 내경에 접선으로 연결되지 않더라도 마이크로버블 생성 효과가 크게 저하되지 않으므로 상기 액체공급부(24)의 형성구조 및 형성작업 등을 단순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나선날개부(29)가 구조적인 강성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되어 중심지지체(26)를 구조 또는 재질 측면에서 경량화하거나 중심지지체(26)의 외경을 대폭 감소시키더라도 기체공급부(25)가 노즐본체(21)의 내부에서 여전히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는 상기 노즐본체(21)의 단부에서 상기 배출부(23)를 통하여 역류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역류방지부재(8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역류방지부재(80)는, 상기 노즐본체(21)의 선단에 결합하여 고정되는 체결부(81); 및 상기 배출부(23)를 막기 위한 막음부(83); 상기 체결부(81)와 상기 막음부(83)를 연결하며 상기 막음부(83)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편(8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막음부(83)는 상기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의 분사 기능이 이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배출부(23)를 가압하여 막으며, 분사 기능이 이용되는 경우에는 분사압력에 의하여 상기 배출부(23)로부터 이격되어 마이크로버블 혼합액체의 분사를 허용하게 된다. 여기서 역류방지부재(80)의 세부구조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플랩밸브 형태 또는 볼 형태, 평판 형태 등으로 형성된 막음부를 코일스프링 또는 판스프링, 토션스프링 등에 의해서 탄성지지하여 배출부를 임시적으로 막는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역류방지부재(80)에 의하여 유분이 포함된 유체가 역류하여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의 배출부(23) 또는 내부 공간의 표면에 유착되어 유동저항을 상승시키거나 상기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이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의 내부 공간 또는 상기 배출부(23)를 폐색하는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의 액체공급부(24)는 노즐 본체(21)의 내부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액체는 외부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액체일 수 있으며, 그리스트랩 장치의 설치현장에서 얻을 수 있는 일반적인 급수 또는 유지분해 및/또는 악취제거 등을 위한 각종 기능성 첨가성분이 보조적으로 혼합된 혼합액 등이 선택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의 액체공급부(24)를 통하여 노즐 본체(21)의 내부로 공급되는 액체는 그리스트랩 저수부(11)에 보유된 하수 또는 폐수 등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는 순환수를 이용하여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여 그리스트랩 저수부(11)에 공급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순환수를 취수하는 부분에 필터부재(44)를 채용하여 그리스트랩 저수부(11)에 보유된 하수 또는 폐수를 여과하여 순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불어, 그리스트랩 저수부(11)에서 잔류물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닥에 구비된 배플부재(15)의 외측에서 순환수를 취수할 수 있도록 상기 필터부재(44)의 배치위치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의 액체공급부(24)는 단독으로 한 종류의 액체를 공급하는 구조 외에도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액체의 종류를 선택하여 공급하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의 액체공급부(24)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수관로(40) 및 펌프(41)를 통하여 액체를 제공받아 노즐 본체(21)의 내부로 액체를 공급하며, 복수의 종류의 액체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입수선택 제어밸브(7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외부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액체의 유동경로를 제공하는 외부수 관로(42)와, 그리스트랩 저수부(11)에 보유된 하수 또는 폐수 등의 유동경로를 제공하는 순환수 관로(43)를, 상기 입수선택 제어밸브(70)와 연결하고 상기 액체의 종류 및/또는 혼합비 등을 선택 또는 조절하여 공급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입수선택 제어밸브(7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액체가 유입되는 제1 입수부(71); 및 제2 액체가 유입되는 제2 입수부(72); 내부의 유동 경로를 변경하기 위한 밸브바디(77); 상기 밸브바디(77)의 위치에 따라 제1 액체 또는 제2 액체의 선택적 유동을 허용하거나 아무런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동경로를 모두 차단하는 제1 유동경로부재(74)와, 제2 유동경로부재(75); 유동되는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출수부(73); 상기 밸브바디(77)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어구동부(7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구동부(76)는 전기모터, 유압모터 등의 구동원 중에서 선택되거나 단순히 수동 조작수단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7의 왼쪽 그림처럼, 밸브바디(77)가 제2 입수부(72)를 차단하는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1 입수부(71)를 통하여 유입된 제1 액체가 출수부(73)를 통하여 입수선택 제어밸브(70)의 외부로 배출되고, 도 7의 오른쪽 그림처럼, 밸브바디(77)가 제1 입수부(71)의 유동경로를 차단하는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2 입수부(72)를 통하여 유입된 제2 액체가 출수부(73)를 통하여 입수선택 제어밸브(70)의 외부로 배출되며, 도 7의 가운데 그림처럼, 밸브바디(77)가 제1 입수부(71)의 유동경로를 차단하면서 동시에 제2 입수부(72)를 차단할 수 있는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1 액체 및 제2 액체의 유입이 모두 차단되어 출수부(73)측으로 아무런 유동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모든 유동을 차단하는 선택에 의하여,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 등에 의도하지 않은 유동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외부수원의 임시적인 수압변동에 의하여 또는 그리스트랩 저수부(11) 공간의 임시적인 수압변동에 의하여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 등에 역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역류 현상에 의한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 등의 내부 오염이나 폐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상기 입수관로(40) 및 순환수 관로(43) 등을 테프론과 같은 불소수지 등의 비유성(非濡性) 재질로 구비하거나 그러한 재질로 표면 코팅하여 이용함으로써 액체 또는 순환수의 유동에서 유동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순환수 유동이나 역류 상황에서 폐유지 등이 상기 구성의 표면에 부착되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 및 펌프(41) 등에 대해서도 내부 구성의 재질이나 표면을 상기 비유성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마찬가지의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2 및 3에서 걸름망 부재(14)를 측면이 개방된 구조로 도시하였으나 도 1의 걸름망 부재(14)처럼 측면이 폐쇄된 구조로 형성하여 구비할 수 있으며, 걸름망 부재(14)의 장착 위치도 수중 또는 수면 바깥 등으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걸름망 부재(14)의 장착 위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그리스트랩 저수부(11) 또는 그리스트랩 커버(16), 걸름망 부재(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세부 장착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서 기능성 기체공급부재(60)에 의하여 제공된 기능성 기체의 살균효과 등은 수중 또는 수면 바깥 등에 위치한 상기 걸름망 부재(14) 측에도 전달되어 큰 유기물 조각들의 부패 및/또는 악취 발생을 억제하는 부수적인 효과도 가진다.
이외에도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 또는 분할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 또는 분할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범위 안에서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방법이나 처리의 각 단계는 단독으로 복수회 실시되거나 혹은 적어도 다른 어느 한 단계와 조합으로 복수회 수행되는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그리스트랩 장치
11 : 그리스트랩 저수부 12 : 입수배관
13 : 배수배관 14 : 걸름망 부재
15 : 배플부재 16 : 그리스트랩 커버
20 :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 21 : 노즐본체
22 : 노즐베이스캡 23 : 배출부
24 : 액체공급부 25 : 기체공급부
26 : 중심지지체 27 : 유동압축지지부
28 : 유동압축부 29 : 나선날개부
30 : 거치부재 31 : 지지프레임
32 : 거치프레임 33 : 노즐고정 브라켓
34 : 자세설정 고정수단 35 : 자세설정 고정공
36 : 자세설정 체결공 37 : 지지프레임 고정수단
40 : 입수관로 41 : 펌프
42 : 외부수 관로 43 : 순환수 관로
44 : 필터부재
50 : 급기관로
60 : 기능성 기체공급부
70 : 입수선택 제어밸브 71 : 제1 입수부
72 : 제2 입수부 73 : 출수부
74 : 제1 유동경로부재 75 : 제2 유동경로부재
76 : 제어구동부 77 : 밸브바디
80 : 역류방지부재 81 : 체결부
82 : 탄성편 83 : 막음부

Claims (8)

  1. 유입되는 폐수로부터 유지 또는 미세 유기물을 분리하고 분해하기 위한 그리스트랩에 있어서,
    액체공급부(24)로 유입되는 액체와 기체공급부(25)로 유입되는 기체를 이용하여 그리스트랩 저수부(11)의 폐수 측에 마이크로버블 혼합액체를 분사하도록 구비된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 및
    상기 폐수에 공기 및 오존, 수산화라디칼, 플라즈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체를 제공하기 위하여 구비된 기능성 기체공급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기능성 기체공급부재(60)에 의하여 제공되는 기체는 상기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의 기체공급부(25)를 통하여 공급되어 마이크로버블 혼합액체에 포함되어 상기 폐수에 제공되며,
    상기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는, 배출부(23)를 향하여 노즐본체(21)의 내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유동압축부(28)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공급부(24)는 상기 노즐본체(21)의 내경에 접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유입되는 액체는 노즐본체(21)의 내부에서 와류를 형성하며 배출부(23) 측으로 유동하며,
    상기 기체공급부(25)는 상기 노즐본체(21)의 내부에서 노즐본체(21)의 내부 공간 중심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배출부(23)에 근접하여 기체를 제공하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는 거치부재(30)에 고정되어 그리스트랩 저수부(11)에 설치되며, 상기 거치부재(30)는, ‘
    Figure 112018080619445-pat00010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리스트랩 저수부(11)의 양 측벽 및 바닥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지지프레임(31); 및 상기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를 고정하여 상기 지지프레임(31)에 결합되는 거치프레임(32);으로 구성되고, 상기 거치부재(30)의 지지프레임(31)에는,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로부터 분사되는 마이크로버블 혼합액체의 분사방향이나 분사위치를 변경하거나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의 개수를 변경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복수의 자세설정 체결공(36)을 구비하며, 고정수단에 의해 그리스트랩 저수부(11)의 측벽을 가압함으로써 그 반력이 상기 지지프레임(31)에 작용하여 거치부재(30)의 설치자세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그리스트랩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는,
    상기 노즐본체(21)의 내부에서 노즐본체(21)의 내경과 이격된 유동공간을 형성하도록 노즐본체(21)의 내부 공간 중심을 따라 중심지지체(26)를 구비하며,
    상기 중심지지체(26)는 상기 유동압축부(28)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상기 배출부(23)를 향하여 중심지지체(26)의 외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유동압축지지부(27)를 구비하고,
    상기 기체공급부(25)는 상기 중심지지체(26)의 중심을 관통하여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그리스트랩 장치.
  4. 유입되는 폐수로부터 유지 또는 미세 유기물을 분리하고 분해하기 위한 그리스트랩에 있어서,
    액체공급부(24)로 유입되는 액체와 기체공급부(25)로 유입되는 기체를 이용하여 그리스트랩 저수부(11)의 폐수 측에 마이크로버블 혼합액체를 분사하도록 구비된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 및
    상기 폐수에 공기 및 오존, 수산화라디칼, 플라즈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체를 제공하기 위하여 구비된 기능성 기체공급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기능성 기체공급부재(60)에 의하여 제공되는 기체는 상기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의 기체공급부(25)를 통하여 공급되어 마이크로버블 혼합액체에 포함되어 상기 폐수에 제공되며,
    상기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는, 배출부(23)를 향하여 노즐본체(21)의 내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유동압축부(28)를 구비하며, 상기 노즐본체(21)의 내부에서 노즐본체(21)의 내경과 이격된 유동공간을 형성하도록 노즐본체(21)의 내부 공간 중심을 따라 중심지지체(26)를 구비하며,
    상기 기체공급부(25)는 상기 중심지지체(26)의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배출부(23)에 근접하여 기체를 제공하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중심지지체(26)와 노즐본체(21)의 상기 유동압축부(28)의 이격된 유동공간에는 나선날개부(29)가 구비되며,
    상기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는 거치부재(30)에 고정되어 그리스트랩 저수부(11)에 설치되며, 상기 거치부재(30)는, ‘
    Figure 112018080619445-pat00011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리스트랩 저수부(11)의 양 측벽 및 바닥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지지프레임(31); 및 상기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를 고정하여 상기 지지프레임(31)에 결합되는 거치프레임(32);으로 구성되고, 상기 거치부재(30)의 지지프레임(31)에는,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로부터 분사되는 마이크로버블 혼합액체의 분사방향이나 분사위치를 변경하거나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의 개수를 변경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복수의 자세설정 체결공(36)을 구비하며, 고정수단에 의해 그리스트랩 저수부(11)의 측벽을 가압함으로써 그 반력이 상기 지지프레임(31)에 작용하여 거치부재(30)의 설치자세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그리스트랩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본체(21)의 단부에는, 배출부(23)를 통한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부재(80)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그리스트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외부수원의 액체와 그리스트랩 저수부(11)의 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마이크로버블 노즐부재(20)의 액체공급부(24)로 제공하도록 입수선택 제어밸브(70)를 추가로 구비하며, 그리스트랩 저수부(11)의 물은 필터부재(44)에 의하여 여과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그리스트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선택 제어밸브(70)는,
    밸브바디(77)의 위치에 따라, 외부수원으로부터 입수되는 액체의 유동을 허용하거나 그리스트랩 저수부(11)의 물이 순환유동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모든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그리스트랩 장치.
  8. 삭제
KR1020180031094A 2018-03-16 2018-03-16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그리스트랩 장치. KR101905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094A KR101905377B1 (ko) 2018-03-16 2018-03-16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그리스트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094A KR101905377B1 (ko) 2018-03-16 2018-03-16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그리스트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5377B1 true KR101905377B1 (ko) 2018-10-05

Family

ID=63878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094A KR101905377B1 (ko) 2018-03-16 2018-03-16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그리스트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537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572B1 (ko) * 2010-11-24 2011-06-15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분리형 폭기 산기관 블럭
KR101108279B1 (ko) * 2009-08-05 2012-01-31 위성수 마이크로 버블 디퓨져
JP2014226615A (ja) * 2013-05-23 2014-12-08 広播電子工業株式会社 グリーストラップ内の廃液処理方法及び廃液処理装置
KR101483412B1 (ko) * 2014-07-23 2015-01-21 주식회사 디스텍 마이크로 버블 노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279B1 (ko) * 2009-08-05 2012-01-31 위성수 마이크로 버블 디퓨져
KR101041572B1 (ko) * 2010-11-24 2011-06-15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분리형 폭기 산기관 블럭
JP2014226615A (ja) * 2013-05-23 2014-12-08 広播電子工業株式会社 グリーストラップ内の廃液処理方法及び廃液処理装置
KR101483412B1 (ko) * 2014-07-23 2015-01-21 주식회사 디스텍 마이크로 버블 노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2794B2 (en) Water purification system with active vibration
CA2299134C (en) Wastewater separator and method of using same
JP2008012532A (ja) サイクロン流機構を備えた逆洗ストレーナー
US9458028B2 (en) Mixed fluid filtration system
KR100884847B1 (ko) 정수기용 필터
KR101905377B1 (ko)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그리스트랩 장치.
WO2001063060A1 (en) Wastewater separator and method of using same
DK1838631T3 (da) Anordning til sönderdeling af partikulære organiske substanser i suspensioner af mikororganismer i et bæremedium, især i spildevand
JPH0647990Y2 (ja) グリース阻集器
EP1783287A2 (en) Waste water separator device
KR200391730Y1 (ko) 실내 공기 정화장치
US9828759B2 (en) Inlet baffle assembly for an in-line interceptor
US20100269913A1 (en) Gravity-assisted drain valve for restricting intake of mildew spores
KR20180113329A (ko) 공기정화용 기포발생장치
EP2254702A2 (en) Self-cleaning nozzle for flotation clarifiers
JP5597794B2 (ja) 槽体と槽体の排水器
KR102647638B1 (ko) 수족관용 정수장치
KR100619180B1 (ko) 배수트랩
JPH04134594U (ja) グリーストラツプ
JP2002224682A (ja) 汚水浄化槽
RU179675U1 (ru) Фильтр самоочищающийся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JP2003225660A (ja) 浮上物体回収装置
KR200360444Y1 (ko) 오수받이장치
JP3190162U (ja) 臭気を遮断しながら廃液を排出するための排水トラップアセンブリ
JPS624491A (ja) 浮遊物除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