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4906B1 - 수륙양용 보트용 트레일러 자동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수륙양용 보트용 트레일러 자동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4906B1
KR101904906B1 KR1020170040283A KR20170040283A KR101904906B1 KR 101904906 B1 KR101904906 B1 KR 101904906B1 KR 1020170040283 A KR1020170040283 A KR 1020170040283A KR 20170040283 A KR20170040283 A KR 20170040283A KR 101904906 B1 KR101904906 B1 KR 101904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ain frame
pivot
rotator
exte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0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영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40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49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4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4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1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for carrying b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61Amphibious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or of a particular type
    • B60F3/0069Recreational amphibiou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8Semi-trailers, articulat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2Amphibious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륙양용 보트용 트레일러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수륙양용 보트(1)를 지지하는 한 쌍의 메인 프레임(110)에는 힌지축(220)을 중심으로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후단부가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간격을 조절하는 익스텐더(500)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110)과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후단 하부에 피벗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벗 차륜(300) 사이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벌어짐이나 오므라짐을 위해 상기 피벗 차륜(300)의 피벗 회전이 가능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로테이터(400)가 설치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110)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110) 또는 상기 피벗 차륜(300)의 원격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외부 단말(T)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600)가 설치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110)에는 상기 익스텐더(500) 또는 상기 로테이터(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0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여러 사람 도움 없이도 혼자서 수륙양용 보트를 트레일러에 탑재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용이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탑재 시간도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수륙양용 보트용 트레일러 자동개폐장치{Automatic opening shutting apparatus of trailer for amphibious boat}
본 발명은 수륙양용 보트용 트레일러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륙양용 보트가 용이하게 탑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륙양용 보트용 트레일러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트(boat)라 함은 수상(水上)에서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스크루에 의해 운행되는 이동수단으로서, 트레일러(railer)와 같은 별도의 장치 없이는 지상에서의 이동이 불가능하다. 즉, 보트를 육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트레일러와 같은 별도의 장치를 통해 보트를 견인해야만 한다.
또한, 보트는 접안하여 정박할 수 있는 부두시설이 마련되어야 하고, 이를 통해 승객 등의 탑승자가 승, 하차함으로써 안전성이 보장된다.
그런데 최근 레저 문화의 급속한 발전에 힘입어 수상에서 운항되는 보트를 육상에서도 운행할 수 있도록 한 수륙양용 보트가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수륙양용 보트는 지상에서 운행되다가 필요 시 아무런 준비절차 없이 곧바로 수상으로 진입하여 보트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갯벌이 아닌 비교적 딱딱한 해안가가 조성된 곳에서 호평받고 있다.
이와 같은 수륙양용 보트는 일반적으로 접이식 차륜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접이식 차륜 시스템은, 수륙양용 운송기구가 수중에서 이동하는 경우, 바퀴를 접어서 선체의 전면부로 상승시키는 원리로 구동되고 있다.
또한, 수륙양용 보트는 선수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이므로 차륜이 3개인 삼륜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수륙양용 보트는 지상에서 운행될 때 속도 및 연비가 일반 차량에 비해 떨어지므로, 장거리 이동시에는 트레일러와 같은 별도의 장치에 탑재하여 이동해야 한다.
이때, 수륙양용 보트의 바퀴가 상기 트레일러의 상면에 정확하게 위치되어야 하는데, 운전자가 혼자 상기 수륙양용 보트를 운행하면서 바퀴의 위치를 확인할 수 없어, 다른 사람들이 바퀴의 위치를 안내하면서 운전자에게 지시해줘야 하므로 번거로울 뿐만아니라 시간도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혼자서도 수륙양용 보트를 용이하게 탑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륙양용 보트용 트레일러 자동개폐장치가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993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15230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혼자서도 수륙양용 보트를 용이하게 탑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륙양용 보트용 트레일러 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보트용 트레일러 자동개폐장치에 따르면, 수륙양용 보트를 지지하고, 선단부가 힌지축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후단부가 서로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는 한 쌍의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단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피벗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벌어짐이나 오므라짐을 허용하는 피벗 차륜;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단부가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의 간격을 조절하는 익스텐더;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피벗 차륜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벌어짐이나 오므라짐을 위해 상기 피벗 차륜의 피벗 회전이 가능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로테이터;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 또는 상기 피벗 차륜의 원격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익스텐더 또는 상기 로테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제어신호의 종류를 분석하여 신호 종류에 따라 상기 익스텐더 또는 로테이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메인 프레임 또는 피벗 차륜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익스텐더를 작동시키는 신호인지 또는 상기 로테이터를 작동시키는 신호인지 상기 제어 신호의 신호 종류를 결정하는 신호결정모듈, 상기 신호결정모듈에서 결정된 신호 종류가 상기 익스텐더를 작동시키는 신호인 경우 상기 신호결정모듈로부터 전송받은 분석신호를 통해 상기 익스텐더의 작동을 위한 작동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익스텐더로 전송하는 익스텐더 작동모듈, 및 상기 신호결정모듈에서 결정된 신호 종류가 상기 로테이터를 작동시키는 신호인 경우 상기 신호결정모듈로부터 전송받은 분석신호를 통해 상기 로테이터의 작동을 위한 작동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로테이터로 전송하는 로테이터 작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익스텐더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유압 실린더, 및 일측이 상기 유압 실린더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메인 프레임에 각각 연결되는 피스톤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테이터는, 일단이 상기 피벗 차륜과 연결되어 상기 피벗 차륜을 피벗 회전시키는 피벗축,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피벗축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피벗축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모터, 및 상기 피벗축에 설치되어 상기 피벗축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는 스러스트 베어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벗축에는 상기 피벗축의 회전 거리를 제한하여 상기 모터의 작동을 규제하는 규제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피벗축과 동심을 이루면서 상기 피벗축에 고정되어 상기 피벗축과 함께 회전하고, 원주방향의 일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규제부가 형성되는 회전판과, 상기 메인 프레임 내에 상기 회전판과 인접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규제부의 회전 거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규제부를 감지하는 한 쌍의 규제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규제센서는 90˚ 간격의 서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규제센서로부터 감지된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모터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보트용 트레일러 자동개폐장치에 따르면, 외부 단말을 통해 수륙양용 보트용 트레일러를 원격 제어하여 메인 프레임이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도록 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이동을 위해 차륜이 피벗 회전하므로, 수륙양용 보트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로 용이하게 탑재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사람 도움 없이도 혼자서 수륙양용 보트를 트레일러에 탑재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용이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탑재 시간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보트용 트레일러 자동개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보트용 트레일러 자동개폐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트레일러 자동개폐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트레일러 자동개폐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규제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트레일러 자동개폐장치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트레일러 자동개폐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보트용 트레일러 자동개폐장치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륙양용 보트(1)는 육상 및 수상에서의 운행이 가능한 것으로, 수상에서 운행될 때는 프로펠러(미도시)의 추력으로 운행되고, 육상에서는 바퀴(10)의 구동력으로 운행된다.
상기 바퀴(10)는 상기 수륙양용 보트(1)의 저면에 설치된다. 상기 바퀴(10)는 휠(11) 및 상기 휠(11)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지면에 접하여 구동되는 타이어(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륙양용 보트(1)는 일반적으로 선수 측에 하나 선미 측에 두 개인 삼륜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륙양용 보트(1)에는 접이식 차륜 시스템이 구비된다. 상기 접이식 차륜 시스템은 통상적인 것으로, 상기 수륙양용 보트(1)가 수중에서 이동하는 경우, 차륜을 접어서 선체의 전면부로 상승시키는 원리로 구동되고 있다.
한편, 상기 수륙양용 보트(1)를 장거리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수륙양용 보트용 트레일러(100)를 사용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륙양용 보트용 트레일러(100)의 골격은 메인 프레임(110) 및 견인 프레임(20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110) 및 상기 견인 프레임(200)은 강성 및 내부식성이 강한 알루미늄 합금 소재 예를 들어 SUS 315 등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110)은 한 쌍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110)은 상기 수륙양용 보트(1)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선단부는 아래에서 설명될 힌지축(220)에 의해 힌지 결합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110)은 힌지축(220)을 중심으로 후단부가 서로 벌어지거나 오므라진다. 이는 상기 수륙양용 보트(1)를 상기 메인 프레임(110) 사이에 오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110)을 서로 오므라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륙양용 보트(1)를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상부로 용이하게 탑재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길이는 상기 수륙양용 보트(1)의 선수로부터 뒷바퀴(10)까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메인 프레임(110)이 회동될 때 상기 수륙양용 보트(1)의 뒷바퀴(10)에 의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일단에는 플랜지(120)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플랜지(12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힌지축(220)이 삽입되는 관통공(122)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플랜지(120)는 각각 서로 다른 요철(凹凸) 형상으로 형성되어 결합된다.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프레임(110)에는 복수 개의 보강 프레임(1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 프레임(140)은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보강 프레임(140)은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강성 및 안전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타단 상에는 규제 플레이트(15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규제 플레이트(150)는 대략 판 형상으로, 서로 면접촉에 의해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중첩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규제 플레이트(150)는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타단을 보강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도 1과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프레임(100) 상에는 보트 지지대(160)가 구비된다. 상기 보트 지지대(160)는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보트 지지대(160)는 상기 수륙양용 보트(1)의 저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트 지지대(160)는 지상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수륙양용 보트(1)의 저면 까지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메인 프레임(110)이 오므라질 때, 상기 보트 지지대(160)가 상기 수륙양용 보트(1)의 저면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선단부에는 견인프레임(200)이 연결된다. 상기 견인 프레임(200)의 선단부에는 걸림후크(210)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후크(210)는 상기 수륙양용 보트(1)를 차량(미도시)에 견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에 구비된 고정고리에 걸리는 부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견인프레임(200)의 후단부에는 상기 플랜지(120)의 관통공(122)이 삽입되는 힌지축(220)이 구비된다. 상기 힌지축(220)은 상기 견인 프레임(200)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견인 프레임(200)의 상부에는 렌치(230)가 설치된다. 상기 렌치(230)는 상기 수륙양용 보트(1)의 앞바퀴(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렌치(230)는 대략 외팔보 형상으로, 선단은 상기 수륙양용 보트(1)의 앞바퀴(10)의 외면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렌치(230)의 측면에는 윈치(240)가 구비된다. 상기 윈치(240)는 와이어(W)의 타단이 권선되는 부분이다.
상기 와이어(W)의 일단은 상기 윈치(240)가 설치되는 면과 반대되는 상기 렌치(230)의 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수륙양용 보트(1)의 앞바퀴(10)를 관통하여 상기 윈치(240)에 권선된다. 상기 와이어(W)는 상기 수륙양용 보트(1)의 앞바퀴(10)를 상기 렌치(23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W)의 일단을 상기 차륜(10)의 휠(11)에 형성된 관통홀(11')에 관통시켜 상기 렌치(230)의 측면에 고정한 후, 상기 와이어(W)의 타단이 권선된 상기 윈치(240)를 감게 되면, 상기 수륙양용 보트(1)의 앞바퀴(10)가 상기 렌치(230)에 지지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견인 프레임(200)의 하부에는 지지용 바퀴(2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용 바퀴(250)는 상기 견인 프레임(2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후단 하부에는 복수 개의 피벗 차륜(300)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피벗 차륜(300)은 피벗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벌어짐이나 오므라짐을 허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피벗 차륜(300)은 아래에서 설명될 피벗축(410)의 타단에 설치되는 타이어 커버(310), 상기 타이어 커버(310) 내에 설치되는 휠(320) 및 상기 휠(320)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타이어(3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피벗 차륜(300)은 상기 메인 프레임(110)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휠(320)에는 상기 타이어 커버(310)를 관통하는 중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공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이어 커버(310)와 상기 휠(320)을 연결하는 중공축(340)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중공축(340)은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바(350)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중공축(340)에는 연결바(350)가 삽입된다. 상기 연결바(350)는 상기 중공축(340)에 삽입되어 상기 휠(320)의 방향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바(3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휠(320)이 평소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110)과 나란한 방향을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프레임(110)과 상기 피벗 차륜(300) 사이에는 로테이터(400)가 설치된다. 상기 로테이터(400)는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벌어짐이나 오므라짐을 위해 상기 피벗 차륜(300)의 피벗 회전이 가능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테이터(400)는 피벗축(410), 모터(M) 및 스러스트 베어링(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피벗축(410)의 일단은 상기 피벗 차륜(300)과 연결되어 상기 피벗 차륜(300)을 피벗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피벗축(410)의 타단에는 상기 모터(M)가 연결된다. 상기 모터(M)는 상기 메인 프레임(110) 내에 형성된 로테이터 설치공간(170)에 설치된다. 상기 모터(M)는 상기 피벗축(41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모터(M)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어부(700)에 의해 제어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벗축(410)은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B)에 의해 상기 메인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피벗축(410)은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B)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B)은 상기 피벗축(410)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벗축(410)에는 규제부재(4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규제부재(420)는 상기 피벗축(410)의 회전 거리를 제한하여 상기 모터(M)의 작동을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규제부재(420)는 회전판(430)과, 한 쌍의 규제센서(44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430)은 상기 피벗축(410)과 동심을 이루면서 상기 피벗축(410)에 고정되어 상기 피벗축(410)과 함께 회전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430)의 원주방향의 일부분에는 적어도 하나의 규제부(431)가 형성된다. 상기 규제부(431)는 감지부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규제부(431)는 상기 회전판(430)을 관통하는 슬릿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규제센서(440)는 상기 로테이터 설치공간(170)에 상기 회전판(430)과 인접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규제부(431)의 회전 거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규제센서(440)는 상기 규제부(431)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7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규제센서(440)는 90˚ 간격의 서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피벗축(410)의 회전 거리 및 상기 규제부(431)의 개수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 개가 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규제센서(440)는 포토센서로, 발광소자가 빔을 쏘면 상기 회전판(430)으로부터 빔이 반사되어 소광소자에서 신호를 받게 되며, 상기 소광소자에서 신호를 받는 동안 상기 피벗축(410)은 계속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발광소자에서 쏜 빔이 상기 규제부(431)를 통과하여 소광소자에서 신호를 받지 못하게 되면, 이때 감지된 감지신호가 제어부(700)에 전달되고, 제어부(700)는 상기 모터(M)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규제센서(440)는 포토센서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레이저센서 또는 초음파센서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때, 규제부(431)는 반사판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힌지축(220)을 중심으로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후단부는 익스텐더(500)에 의해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익스텐더(5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프레임(110)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익스텐더(500)는 상기 메인 프레임(1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익스텐더(500)는 유압 실린더(510) 및 피스톤(5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압 실린더(510)는 상기 메인 프레임(110)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유압 실린더(510)는 제어부(700)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피스톤(520)의 일측은 상기 유압 실린더(510)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메인 프레임(110)에 각각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피스톤(520)이 상기 유압 실린더(510)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길이에 따라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후단부가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유압 실린더(510)는 상기 메인 프레임(110) 또는 견인 프레임(200)의 일측에 설치되는 동력전달부재, 예를 들어 유압 펌프(미도시) 등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프레임(110)에는 통신부(600)가 설치된다. 상기 통신부(600)는 상기 메인 프레임(110) 또는 상기 피벗 차륜(300)의 원격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외부 단말(T)(도 6참조)로부터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외부 단말(T)이란 상기 통신부(600)로 상기 메인 프레임(110) 또는 상기 피벗 차륜(300)의 원격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앱이 설치된 단말기로써, 태블릿 PC(tablet PC), 슬레이트 PC(slate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스마트폰(smartphone) 등이 해당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프레임(110)에는 제어부(700)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로테이터(400) 또는 익스텐더(5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통신부(600)에서 수신된 제어신호의 종류를 분석하여 신호 종류에 따라 상기 로테이터(400) 또는 익스텐더(500)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메인 프레임(110) 또는 피벗 차륜(300)을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700)는 신호결정모듈(710), 익스텐더 작동모듈(720) 및 로테이터 작동모듈(730)로 구성된다. 상기 신호결정모듈(710)은 상기 통신부(600)에서 수신된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익스텐더(500)를 작동시키는 신호인지 또는 상기 로테이터(400)를 작동시키는 신호인지 상기 제어신호의 신호 종류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익스텐더 작동모듈(720)은 상기 신호결정모듈(710)에서 결정된 신호 종류가 상기 익스텐더(500)를 작동시키는 신호인 경우, 상기 신호결정모듈(710)로부터 전송받은 분석신호를 통해 상기 익스텐더(500)의 작동을 위한 작동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익스텐더(5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로테이터 작동모듈(730)은 상기 신호결정모듈(710)에서 결정된 신호 종류가 상기 로테이터(400)를 작동시키는 신호인 경우, 상기 신호결정모듈(710)로부터 전송받은 분석신호를 통해 상기 로테이터(400)의 작동을 위한 작동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로테이터(4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익스텐더 작동모듈(720) 및 상기 로테이터 작동모듈(730)을 통한 상기 익스텐더(500) 및 로테이터(400)의 동작은 아래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보트용 트레일러 자동개폐장치의 동작을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상기 수륙양용 보트(1)의 앞에 상기 수륙양용 보트용 트레일러(100)(이하 트레일러(100)라 칭함)가 오도록 위치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외부 단말(T)을 이용하여 상기 수륙양용 보트용 트레일러(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수륙양용 보트용 트레일러(100)에 전송하면, 상기 트레일러(100)의 통신부(600)가 해당 제어신호를 수신하는데, 이때, 상기 제어부(700)가 해당 제어신호를 분석한다.
상기 제어부(700)의 신호 분석 결과, 해당 신호가 상기 로테이터(400)를 제어하여 상기 피벗 차륜(300)을 90˚ 회전시키는 신호인 경우, 체크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로테이터 작동모듈(730)로 해당신호를 전송하고, 이때, 상기 로테이터 작동모듈(730)은 상기 체크신호를 전송받은 후 상기 로테이터(400)의 작동을 위한 작동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로테이터(40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작동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로테이터(400)는 작동하면서, 상기 피벗 차륜(300)을 90˚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외부 단말(T)을 조작하여 다음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트레일러(100)의 통신부(600)가 해당 제어신호를 수신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어부(700)가 해당 제어신호를 분석한다.
상기 제어부(700)의 신호 분석 결과, 해당 신호가 상기 익스텐더(500)를 제어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사이가 벌어지는 신호인 경우, 체크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익스텐더 작동모듈(720)로 해당신호를 전송하고, 이때, 상기 익스텐더 작동모듈(720)은 상기 체크신호를 전송받은 후 상기 익스텐더(500)의 작동을 위한 작동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익스텐더(50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작동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익스텐더(500)는 작동하면서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사이가 벌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수륙양용 보트(1)를 운행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110) 사이에 오도록 위치시킨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수륙양용 보트(1)의 앞바퀴(10)가 상기 렌치(230)를 향해 오도록 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수륙양용 보트(1)의 앞바퀴(10)가 상기 렌치(230)에 지지되도록 조작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와이어(W)의 일단을 상기 차륜(10)의 관통홀(11')을 통해 관통시켜 상기 랜치(230)의 일측에 고정한 후, 상기 와이어(W)의 타단이 감긴 상기 윈치(240)를 감는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수륙양용 보트(1)의 앞바퀴(10)가 상기 렌치(230)에 지지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외부 단말(T)을 조작하여 다음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트레일러(100)의 통신부(600)가 해당 제어신호를 수신하는데, 이때, 상기 제어부(700)가 제어신호를 분석한다.
상기 제어부(700)의 신호 분석 결과, 해당 신호가 상기 익스텐더(500)를 제어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사이가 오므라지는 신호인 경우, 체크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익스텐더 작동모듈(720)로 해당신호를 전송하고, 이때, 상기 익스텐더 작동모듈(720)은 상기 체크신호를 전송받은 후 상기 익스텐더(500)의 작동을 위한 작동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익스텐더(50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작동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익스텐더(500)는 작동하면서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사이가 오므라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상기 외부 단말(1)을 조작하여 다음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트레일러(100)의 통신부(600)가 해당 제어신호를 수신하는데, 이때, 상기 제어부(700)가 제어신호를 분석한다.
상기 제어부(700)의 신호 분석 결과, 해당 신호가 상기 로테이터(400)를 제어하여 피벗 차륜을 90˚ 회전시키는 신호인 경우, 체크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로테이터 작동모듈(730)로 해당신호를 전송하고, 이때, 상기 로테이터 작동모듈(730)은 상기 체크신호를 전송받은 후 상기 로테이터(400)의 작동을 위한 작동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로테이터(40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작동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로테이터(400)는 작동하면서, 상기 피벗 차륜(300)을 90˚로 회전시켜, 상기 피벗 차륜(300)을 원위치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로테이터(400)에는 규제부재(420)가 구비되어 상기 로테이터(400)의 회전을 제어하므로, 상기 로테이터(400)가 오작동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수륙양용 보트(1)를 외부 단말(T)을 통해 원격 제어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상부로 용이하게 탑재할 수 있으므로, 여러 사람 도움 없이도 혼자서 상기 수륙양용 보트(1)를 트레일러(100)에 탑재할 수 있어, 작업의 용이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탑재 시간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수륙양용 보트 22: 휠
12: 타이어 100: 수륙양용 보트용 트레일러
110: 메인 프레임 120: 플랜지
140: 보강 프레임 150: 규제 플레이트
160: 보트 지지대 200: 견인 프레임
210: 걸림후크 220: 힌지축
230: 렌치 240: 윈치
250: 지지용 바퀴 300: 피벗 차륜
400: 로테이터 410: 피벗축
420: 규제부재 430: 회전판
431: 규제부 440: 규제센서
500: 익스텐더 510: 유압 실린더
520: 피스톤 600: 통신부
700: 제어부 710: 신호결정모듈
720: 익스텐더 작동모듈 730: 로테이터 작동모듈
M: 모터 B: 스러스트 베어링

Claims (7)

  1. 수륙양용 보트를 지지하고, 선단부가 힌지축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후단부가 서로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는 한 쌍의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단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피벗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벌어짐이나 오므라짐을 허용하는 피벗 차륜;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단부가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의 간격을 조절하는 익스텐더;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피벗 차륜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벌어짐이나 오므라짐을 위해 상기 피벗 차륜의 피벗 회전이 가능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로테이터;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 또는 상기 피벗 차륜의 원격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익스텐더 또는 상기 로테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제어신호의 종류를 분석하여 신호 종류에 따라 상기 익스텐더 또는 로테이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메인 프레임 또는 피벗 차륜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보트용 트레일러 자동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익스텐더를 작동시키는 신호인지 또는 상기 로테이터를 작동시키는 신호인지 상기 제어 신호의 신호 종류를 결정하는 신호결정모듈,
    상기 신호결정모듈에서 결정된 신호 종류가 상기 익스텐더를 작동시키는 신호인 경우 상기 신호결정모듈로부터 전송받은 분석신호를 통해 상기 익스텐더의 작동을 위한 작동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익스텐더로 전송하는 익스텐더 작동모듈, 및
    상기 신호결정모듈에서 결정된 신호 종류가 상기 로테이터를 작동시키는 신호인 경우 상기 신호결정모듈로부터 전송받은 분석신호를 통해 상기 로테이터의 작동을 위한 작동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로테이터로 전송하는 로테이터 작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보트용 트레일러 자동개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텐더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유압 실린더, 및
    일측이 상기 유압 실린더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메인 프레임에 각각 연결되는 피스톤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보트용 트레일러 자동개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터는,
    일단이 상기 피벗 차륜과 연결되어 상기 피벗 차륜을 피벗 회전시키는 피벗축,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피벗축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피벗축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모터, 및
    상기 피벗축에 설치되어 상기 피벗축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는 스러스트 베어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보트용 트레일러 자동개폐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축에는 상기 피벗축의 회전 거리를 제한하여 상기 모터의 작동을 규제하는 규제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보트용 트레일러 자동개폐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피벗축과 동심을 이루면서 상기 피벗축에 고정되어 상기 피벗축과 함께 회전하고, 원주방향의 일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규제부가 형성되는 회전판과,
    상기 메인 프레임 내에 상기 회전판과 인접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규제부의 회전 거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규제부를 감지하는 한 쌍의 규제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규제센서는 90˚ 간격의 서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보트용 트레일러 자동개폐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규제센서로부터 감지된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모터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보트용 트레일러 자동개폐장치.
KR1020170040283A 2017-03-29 2017-03-29 수륙양용 보트용 트레일러 자동개폐장치 KR101904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283A KR101904906B1 (ko) 2017-03-29 2017-03-29 수륙양용 보트용 트레일러 자동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283A KR101904906B1 (ko) 2017-03-29 2017-03-29 수륙양용 보트용 트레일러 자동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4906B1 true KR101904906B1 (ko) 2018-11-28

Family

ID=64561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0283A KR101904906B1 (ko) 2017-03-29 2017-03-29 수륙양용 보트용 트레일러 자동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49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39513A (zh) * 2020-11-26 2021-02-09 江苏大学 一种两栖船行驶的操控方法和系统
CN114274719A (zh) * 2022-01-06 2022-04-05 北京理工大学 一种水陆两栖无人车的模式自适应切换方法
CN112339513B (zh) * 2020-11-26 2024-06-07 江苏大学 一种两栖船行驶的操控方法和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3888A (ja) 1998-07-18 2000-02-02 Taito Japan:Kk トレーラー及びそれに用いる車軸取付装置
KR101489934B1 (ko) 2014-04-02 2015-02-06 박인식 보트 트레일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3888A (ja) 1998-07-18 2000-02-02 Taito Japan:Kk トレーラー及びそれに用いる車軸取付装置
KR101489934B1 (ko) 2014-04-02 2015-02-06 박인식 보트 트레일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39513A (zh) * 2020-11-26 2021-02-09 江苏大学 一种两栖船行驶的操控方法和系统
CN112339513B (zh) * 2020-11-26 2024-06-07 江苏大学 一种两栖船行驶的操控方法和系统
CN114274719A (zh) * 2022-01-06 2022-04-05 北京理工大学 一种水陆两栖无人车的模式自适应切换方法
CN114274719B (zh) * 2022-01-06 2023-11-10 北京理工大学 一种水陆两栖无人车的模式自适应切换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3489B2 (en) Personal watercraft and off-power steering system for a personal watercraft
US7614356B2 (en) Foldable mast assembly for a sailing vessel
WO2016163559A1 (ja) 小型船舶および小型船舶のトレーリングシステム
KR101904906B1 (ko) 수륙양용 보트용 트레일러 자동개폐장치
US20170066510A1 (en) Boat with submersible stern hatch
US20040029459A1 (en) Watercraft compensation system
KR101862103B1 (ko) 수륙양용 보트 견인용 트레일러
KR101028825B1 (ko) 수륙 양용 캠핑카
US3469558A (en) Marine propulsion unit
KR100679385B1 (ko) 잠수함에서 견인 안테나 또는 견인 케이블을 수면 아래에서 빼내기 위한 장치
KR102266331B1 (ko) 캐터필러가 구비된 수륙양용보트
JP2015140637A (ja) 建設機械
KR101540582B1 (ko) 육상 또는 해상에서의 조향구동력 자동변환장치를 갖는 수륙양용보트
KR101609195B1 (ko) 선외기 선박용 원격 조타 및 엔진 조정장치
JP3118172U (ja) 動力駆動小型船
KR101852152B1 (ko) 수륙양용 보트용 트레일러
JP3211588U (ja) 船舶模型
US3520265A (en) Control means for stabilizing watercraft
KR102293321B1 (ko) 선박용 육상전원공급설비
KR101876475B1 (ko) 수륙양용 보트용 리프트 장치
KR20190089407A (ko) 보트용 육상주행장치
JP2006219026A (ja) 船尾水流案内翼付きポッドプロペラ船
KR101862104B1 (ko) 수륙양용 보트용 트레일러
KR102392456B1 (ko) 선박용 추진 모터
CN209905018U (zh) 具有爬壁功能的ro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