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4731B1 - 폐수 저감형 탈지기 - Google Patents

폐수 저감형 탈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4731B1
KR101904731B1 KR1020170055848A KR20170055848A KR101904731B1 KR 101904731 B1 KR101904731 B1 KR 101904731B1 KR 1020170055848 A KR1020170055848 A KR 1020170055848A KR 20170055848 A KR20170055848 A KR 20170055848A KR 101904731 B1 KR101904731 B1 KR 101904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degreasing
tank
wastewa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5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선
Original Assignee
(주)건홍지오메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건홍지오메트 filed Critical (주)건홍지오메트
Priority to KR1020170055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47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4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4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17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centrifugal for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Cleaning And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s By Chemical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수 저감형 탈지기에 관한 것으로, 피세척물을 전방으로 다단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의해 다단 이송되는 피세척물을 탈지액으로 세척하는 제1세척부와, 상기 제1세척부의 후단에 설치되고, 상기 피세척물의 표면에 존재하는 상기 탈지액을 제거한 후 용수로 세척하는 제2세척부와, 상기 제2세척부의 후단에 설치되고, 상기 피세척물을 건조하는 건조부;로 구성되되, 상기 제1세척부의 전단에 설치되고, 상기 피세척물을 탈지액으로 세척하고 세척에 사용한 상기 탈지액을 원심분리하여 상기 피세척물의 오염물을 분리 배출하는 예비탈지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폐수 저감형 탈지기는 예비탈지부를 구성함으로써 피세척물에 존재하는 이물질 및 오일을 효과적으로 원심분리 및 배출한다. 따라서 탈지액으로 세척하는 제1세척부에서 탈지액의 오염과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2세척부에서 원심분리기 및 폐수처리기가 설치되어 탈지액을 탈수 시킨 후 용수로 세척하고 탈수가 용이하다
그리고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폐수를 분리 및 제거함에 의해 폐수의 발생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따라서 폐수처리비용이 절감되고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폐수 저감형 탈지기 {Waste water Reduction Apparatus for fat-removing }
본 발명은 가공물의 세척 및 탈지작업을 자동으로 할 수 있도록 하며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폐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폐수 저감형 탈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삭, 연삭 등의 금속가공공정에서는 작업대상 금속과 공작기계 사이에 매우 높은 마찰력과 열이 작용하기 때문에 상기 작업대상 금속과 공작기계 사이의 윤활성을 높이고 마찰과정에서 발생하는 마찰열을 냉각시키기 위해서 절삭유, 연삭유 등과 같은 윤활성과 냉각성이 우수한 오일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가공물을 가공 또는 도금하기 위해서는 가공물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과 오일 등을 제거하는 세척 및 탈지작업을 거쳐야 한다.
이와 같이 세척 및 탈지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세척과 탈지에 필요한 각종 용액이 담긴 수조에 상기 가공물을 순차적으로 담가 가공물에 묻은 각종 이물질과 오일을 세척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가공물은 사이즈가 작아서 각각의 가공물을 각기 별도로 세척 및 탈지할 경우, 작업효율이 매우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가공물을 세척 및 탈지할 때는 둘레면에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케이스에 다수개의 가공물을 담아서, 케이스를 각종 용액이 담긴 수조에 투입하여 가공물이 용액에 잠기도록 함으로써, 케이스에 담겨진 다수개의 가공물이 한꺼번에 세척 및 탈지되도록 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케이스를 작업순서에 따라 다른 수조로 옮기는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세척 및 탈지장치가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장치는 각 수조에 가공물의 오일 및 탈지제가 빠르게 누적되어 이것을 제거하기 위한 수세과정에서 다량의 폐수가 발생하는데 이를 처리하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고 환경적으로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KR 10-0727103 B1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가공물을 세척 및 탈지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수를 줄여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고, 환경오염에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폐수발생 저감형 탈지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저감형 탈지기에 있어서, 피세척물을 전방으로 다단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의해 다단 이송되는 피세척물을 탈지액으로 세척하는 제1세척부; 상기 제1세척부의 후단에 설치되고, 상기 피세척물의 표면에 존재하는 상기 탈지액을 제거한 후 용수로 세척하는 제2세척부; 상기 제2세척부의 후단에 설치되고, 상기 피세척물을 건조하는 건조부;로 구성되되, 상기 제1세척부의 전단에 설치되고, 상기 피세척물을 탈지액으로 세척하고 세척에 사용한 상기 탈지액을 원심분리하여 상기 피세척물의 오염물을 분리 배출하는 예비탈지부;가 포함되는 것으로, 상기 제1세척부는 탈지액이 담겨진 세척조; 상기 세척조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탈지액이 유동하도록 상기 세척조를 좌우로 시소운동시키는 시소장치;로 구성되되, 상기 제1세척부는 상기 세척조의 상단일측에 설치되어 이물질 및 탈지액을 타측으로 밀어주는 복수 개의 푸쉬노즐; 상기 세척조의 타측에 설치되어 푸쉬노즐에 의해 밀려온 이물질 및 탈지액을 각각 분리하는 유수분리기; 상기 유수분리기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유수분리기로부터 분리된 탈지액을 수용하는 탈지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예비탈지부는 예비탈지조; 상기 예비탈지조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피세척물에 탈지액을 분사하는 복수 개의 노즐; 상기 예비탈지조의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노즐을 통해 분사되어진 탈지액과 상기 피세척물의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 및 오일을 원심분리시키는 원심분리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 제2세척부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에 설치되어 용수가 유입되는 용수유입관; 상기 세척조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피세척물을 회전시키되, 상기 세척조의 내부에 용수의 존재 유무에 따라 상기 피세척물로부터 탈지액을 분리하거나 상기 피세척물을 용수로 세척하고 탈수하는 원심분리기; 상기 세척조와 상기 세척부를 연결하여 상기 원심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탈지액을 상기 제1세척부로 회귀하는 탈지액회귀관; 상기 세척조에 설치되어 상기 원심분리기에 탈수된 폐수를 배출하는 폐수배출관; 상기 폐수배출관과 상기 용수유입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폐수를 정화시켜 상기 용수유입관으로 공급하는 폐수처리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심분리기에서 탈수된 폐수를 임시 저장하는 수세탱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세척부는 복수 개가 다단으로 배치된 세척조; 상기 세척조 중 최후단에 배치된 세척조에 설치되어 용수가 유입되는 용수유입관; 상기 세척조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피세척물을 회전시키되, 상기 세척조 중 최선단에 배치된 세척조에서는 상기 피세척물로부터 탈지액을 분리 후 용수로 세척하고 탈수하며, 상기 최선단에 배치된 세척조를 제외한 나머지 세척조에서는 상기 피세척물을 용수로 세척하고 탈수하는 원심분리기; 상기 세척조의 사이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세척조에서 탈수된 폐수를 전단에 배치된 세척조로 회귀하여 용수로 사용하도록 하는 폐수회귀관; 상기 최전단에 위치한 세척조에 설치되어 상기 원심분리기에 탈수된 폐수를 배출하는 폐수배출관; 상기 최전단에 위치한 세척조와 상기 제1세척부를 연결하여 상기 최전단에 위치한 세척조에서 분리된 탈지액을 상기 제1세척부로 회귀하는 탈지액회귀관; 상기 폐수배출관과 상기 용수유입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폐수를 정화시켜 상기 용수유입관으로 공급하는 폐수처리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조부는 건조탱크; 상기 건조탱크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피세척물을 회전시켜 건조하는 원심분리기; 상기 건조탱크의 상측에 설치되어 열을 발생 및 송풍하여 상기 피세척물을 건조하는 열풍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부는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피세척물을 수용하고, 다수 개의 관통홀이 구비되어 상기 세척물로부터 탈지액 또는 폐수가 배출 가능한 세척통; 상기 세척통을 승강하여 다단으로 이송하는 이송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저감형 탈지기에 의하면 예비탈지부를 구성함으로써 피세척물에 존재하는 이물질 및 오일을 효과적으로 원심분리 및 배출한다. 따라서 탈지액으로 세척하는 제1세척부에서 탈지액의 오염과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2세척부에서 원심분리기 및 폐수처리기가 설치되어 탈지액을 탈수 시킨 후 용수로 세척 및 탈수가 용이하다.
그리고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폐수를 분리 및 제거함에 의해 폐수의 발생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이에 따라 폐수처리비용이 절감되고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수 저감형 탈지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수 저감형 탈지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수 저감형 탈지기의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에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저감형 탈지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크게 이송부(100), 예비탈지부(200), 제1세척부(300), 제2세척부(400), 건조부(50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이송부(100)는 피세척물(115)을 예비탈지부(200), 제1세척부(300), 제2세척부(400), 건조부(500)를 따라 전방으로 다단 이송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이송부(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세척물(115)이 수용되는 세척통(110)과, 상기 세척통(110)을 이송하는 이송장치(130)로 구성된다.
이때 세척통(110)은 상부가 개방되어 피세척물(115)의 수용이 가능하고, 다수 개의 배수홀이 구비되어 피세척물(115)을 탈지 및 세척하기 위한 탈지액 및 용수가 원활하게 유입 및 배출된다.
또한, 이송장치(130)는 예비탈지부(200), 제1세척부(300), 제2세척부(400), 건조부(500)의 좌우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대(120)와, 지지대(120)의 상측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제1레일(131)과, 제1레일(131)을 따라 전후로 수평 이동하는 수평이동체(132)와, 수평이동체(132)에서 수직이동하는 승강체(133)와, 승강체(133)의 단부에 설치되어 세척통(110)을 파지하는 지그(134)로 구성된다.
이때 수평이동체(132)는 롤러 방식으로 수평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승강체(133)는 체인방식으로 수직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예비탈지부(200)는 피세척물(115)에 탈지액을 분사하여 예비탈지한 후 피세척물(115)로부터 탈지액과 이물질 및 오일을 원심분리시키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예비탈지부(2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비탈지조(210)와, 예비탈지조(210)의 내측에 설치되어 피세척물(115)에 탈지액을 분사하는 노즐(220)과, 예비탈지조(210)의 중앙에 설치되고 피세척물(115)로부터 탈지액과 이물질 및 오일을 원심분리하는 제1원심분리기(230)로 구성된다.
즉, 이송장치(130)에 의해 피세척물(115)이 제1원심분리기(230)의 상측에 놓이면 내측에 설치된 복수 개의 노즐(220)에서 탈지액이 분사되어 피세척물(115)에 존재하는 이물질과 오일을 씻어낸다.
그리고 제1원심분리기(230)가 회전하면서 피세척물(115)에 남아있는 이물질과 오일 및 탈지액을 원심분리한다. 단, 탈지액은 세척력이 뛰어난 알칼리 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피세척물(115)은 다시 이송장치(130)에 의해 후단의 제1세척부(300)로 이송된다. 따라서 예비탈지부(200)는 피세척물(115)에 존재하는 이물질과 오일을 분리하여 후단의 제1세척부(300)에서 세척효과를 높이고 후술될 제1세척부(300)의 탈지액이 오염되는것을 줄여 탈지액 유지비용이 절약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세척부(300)는 예비탈지부(200)에서 예비탈지된 피세척물(115)을 탈지액으로 세척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1세척부(300)는 탈지액이 담겨진 제1세척조(310)와, 제1세척조(3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제1세척조(310)를 좌우로 기울여주는 시소장치(320), 푸쉬노즐(330), 유수분리기(340) 및 탈지탱크(350) 로 구성된다.
이때 제1세척조(310)는 단위시간당 많은 수의 피세척물(115)을 동시에 세척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다단으로 설치된다. 즉, 제1세척조(310)는 제1a세척조(311)와 제1b세척조(312) 및 제1c세척조(313)가 다단 설치된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예비탈지부(200)에서 예비탈지된 피세척물(115)은 각각 차례대로 제1a세척조(311)와 제1b세척조(312) 및 제1c세척조(313)에 각각 투입되어 1차 세척된다.
또한, 시소장치(320)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체(321)와, 회전체(321)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편심되어 연결된 로드(322)와, 로드(322)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연결바(323)와, 연결바(323)의 단부에 고정되고 제1세척조(310)의 하부 중간에 고정된 시소축(324)과, 시소축(324)이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받이(325)로 구성된다.
따라서 세척통(110)이 이송장치(130)에 의해 제1세척조(310)에 투입되면 로드(322)가 승강운동하여 제1세척조(310)는 시소축(324)을 중심으로 시소운동하면서 탈지액의 유동을 일으켜 탈지력을 높인다.
한편, 푸쉬노즐(330)은 제1세척조(310)의 상단일측에 설치되어 피세척물을 세척하고 떠오른 이물질과 탈지액을 타측으로 밀어준다.
이때 유수분리기(340)는 제1세척조(310)의 타측에 설치되어 푸쉬노즐(330)에 의해 밀려온 이물질 및 탈지액을 각각 분리한다.
또한, 탈지탱크(350)는 유수분리기(340)의 측면에 설치되어 유수분리기(340)로부터 분리된 탈지액을 수용하고, 제1세척조(310)에서 1차세척이 끝나면 탈지액이 제1세척조(310)로 이송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2세척부(400)는 제1세척부(300)에 탈지액으로 1차 세척된 피세척물(115)을 용수로 세척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2세척부(400)는 도 2를 참조하면 제2세척조(410), 수세탱크, 용수유입관(420), 제2원심분리기(430), 폐수회귀관(440), 폐수배출관(450), 탈지액회귀관(460), 폐수처리기(470)로 구성된다.
이때 제2세척조(410)는 다단으로 배치된 제2a세척조(411)와 제2b세척조(412)로 구성된다.
또한, 수세탱크는 제2a수세탱크(413) 및 제2b수세탱크(414)로 구성되어 제2a세척조(411) 및 제2b세척조(412)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고, 제2세척조(410)에서 세척 후 오염된 폐수를 수용하거나 용수로 유입하여 세척한다.
그리고 용수유입관(420)은 제2b수세탱크(414)와 폐수처리기(470)의 사이에 설치되어 폐수처리기(470)에서 정화된 용수를 제2b수세탱크(414)로 공급한다.
또한, 제2원심분리기(430)는 제2a세척조(411)와 제2b세척조(412)의 내측에 각각 설치되어 제2a세척조(411)에서는 피세척물(115)을 회전시켜 원심분리 또는 세척 및 탈수하고, 제2b세척조(412)에서는 피세척물(115)을 회전시켜 세척 및 탈수한다.
즉, 제2원심분리기(430)는 제2a세척조(411)의 내부에 용수가 존재하지 않을 때는 피세척물(115)로부터 탈지액을 분리하고 용수가 존재할 때는 피세척물(115)을 용수로 세척한다.
또한, 폐수회귀관(440)은 제2a수세탱크(413)와 제2b수세탱크(414)의 사이에 연결되어 제2b세척조(412)에서 탈수되어 제2b수세탱크(414)에 수용된 폐수를 제2a수세탱크(413)로 회귀시켜 용수로 사용가능하게 한다.
한편, 폐수배출관(450)은 제2a수세탱크(413)와 폐수처리기(470)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2a세척조(411)의 제2원심분리기(430)에서 탈수되어 제2a수세탱크(413)에 수용된 폐수를 폐수처리기(470)로 배출한다.
또한, 탈지액회귀관(460)은 제2a세척조(411)와 제1세척부(300)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2a세척조(411)에서 원심분리된 탈지액을 제1세척부(300)로 회귀시킨다.
한편, 폐수처리기(470)는 폐수배출관(450)과 용수유입관(420)의 사이에 설치되어 폐수배출관(450)을 통해 유입된 폐수를 정화시켜 다시 용수유입관(420)으로 공급한다.
따라서 피세척물(115)은 제2a세척조(411)에서 탈지액 탈수 및 수세된 후 제2b세척조(412)로 이송되고 폐수처리기(470)에서 정화된 용수가 용수유입관(420)을 통해 제2b수세탱크(414)로 유입되면 제2b세척조(412)의 제2원심분리기(430)에 의해 세척된 후 탈수된다. 그리고 탈수된 폐수는 폐수회귀관(440)을 통해 제2a수세탱크(413)로 회귀하여 제2a세척조(411)에서 용수로 다시 사용된다.
단, 각 수세탱크에서 일어나는 폐수배출 및 용수유입은 제2a수세탱크(413)가 기준오염도이상이 되었을때 동시에 이루어진다.
또한, 제2세척조(410)는 탈지액 탈수 및 수세 효과가 보장된다면 제2a세척조(411) 한 개로도 구성 가능하다. 이때는 용수유입관(420)은 제2a수세탱크(413)와 폐수처리기(470)의 사이에 설치되고, 폐수배출관(450)은 제2a수세탱크(413)와 폐수처리기(470)의 사이에 설치된다.
따라서 피세척물(115)은 제2a세척조(411)에서 탈지액 탈수 및 수세된 후 건조부(500)로 이송되고, 제2a세척조(411)에서 탈지된 탈수액은 제1세척부(300)로 회귀되며, 제2a세척조(411)에서 사용된 폐수는 폐수처리기(470)에서 정화된 후 다시 용수로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건조부(500)는 전단의 제2세척부(400)에서 탈지액 탈수 및 수세후 탈수된 피세척물(115)을 건조시키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건조부(500)는 도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실과, 제3원심분리기(520)와, 열풍기(530)로 구성된다.
이때 건조실(510)은 단위시간당 많은 수의 피세척물(115)을 동시에 건조할 수 있도록 제1세척조(310)와 대응되게 복수 개가 다단으로 설치된다. 즉, 건조실(510)는 제1건조실(511)과 제2건조실(512) 및 제3건조실(513)이 다단 설치된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2세척부(400)에서 세척된 피세척물(115)이 순차적으로 제1건조실(511), 제2건조실(512) 및 제3건조실(513)에 각각 투입되어 건조된 후 외부로 순차적으로 이송된다.
한편, 제3원심분리기(520)는 제1건조실(511), 제2건조실(512), 제3건조실(513)의 내측에 각각 설치되어 피세척물(115)을 회전시켜서 건조한다.
또한, 열풍기(530)는 제1건조실(511), 제2건조실(512), 제3건조실(513)의 상측에 각각 설치되어 열을 발생 및 송풍시켜 피세척물(115)에 존재하는 수분이 증발된다.
또한, 예비탈지조(210), 제1세척조(310), 제2세척조(410), 건조실(510)이 동작될 때 내부에 존재하는 피세척물(115)이 밖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개폐장치(600)가 더 포함된다.
이때 개폐장치(600)는 예비탈지조(210), 제1세척조(310), 제2세척조(410), 건조실(510) 각각의 상부 양측에 수평으로 설치된 제2레일(610)과, 예비탈지조(210), 제1세척조(310), 제2세척조(410), 건조실(510) 각각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어 제2레일(610)을 따라 수평이동하여 개폐하는 커버(612)로 구성된다.
이때 커버(612)는 양측에 설치되어 제2레일(610)을 따라 회전하는 롤러에 의해 수평이동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저감형 탈지기는 예비탈지부(200)를 구성함으로써 피세척물(115)에 존재하는 이물질 및 오일을 효과적으로 원심분리 및 배출한다. 따라서 탈지액으로 세척하는 제1세척부(300)에서 탈지액의 오염과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2세척부(400)에서 원심분리기 및 폐수처리기(470)가 설치되어 탈지액을 탈수 시킨 후 용수로 세척하고 탈수가 용이하다.
그리고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폐수를 분리 및 제거함에 의해 폐수의 발생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이에 따라 폐수처리비용이 절감되고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0: 이송부
110: 세척통
115: 피세척물
120: 지지대
130: 이송장치
131: 제1레일
132: 수평이동체
133: 승강체
134: 지그
200: 예비탈지부
210: 예비탈지조
220: 노즐
230: 제1원심분리기
300: 제1세척부
310: 제1세척조
311: 제1a세척조
312: 제1b세척조
313: 제1c세척조
320: 시소장치
321: 회전체
322: 로드
323: 연결바
324: 시소축
325: 축받이
330: 푸쉬노즐
340: 유수분리기
350: 탈지탱크
400: 제2세척부
410: 제2세척조
411: 제2a세척조
412: 제2b세척조
413: 제2a수세탱크
414: 제2b수세탱크
420: 용수유입관
430: 제2원심분리기
440: 폐수회귀관
450: 폐수배출관
460: 탈지액회귀관
470: 폐수처리기
500: 건조부
510: 건조실
511: 제1건조실
512: 제2건조실
513: 제3건조실
520: 제3원심분리기
530: 열풍기
600: 개폐장치
610: 제2레일
612: 커버

Claims (9)

  1. 피세척물을 전방으로 다단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의해 다단 이송되는 피세척물을 탈지액으로 세척하는 제1세척부;
    상기 제1세척부의 후단에 설치되고, 상기 피세척물의 표면에 존재하는 상기 탈지액을 제거한 후 용수로 세척하는 제2세척부;
    상기 제2세척부의 후단에 설치되고, 상기 피세척물을 건조하는 건조부;로 구성되되,
    상기 제1세척부의 전단에 설치되고, 상기 피세척물을 탈지액으로 세척하고 세척에 사용한 상기 탈지액을 원심분리하여 상기 피세척물의 오염물을 분리 배출하는 예비탈지부;가 포함되는 것으로,
    상기 제1세척부는
    탈지액이 담겨진 세척조;
    상기 세척조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탈지액이 유동하도록 상기 세척조를 좌우로 시소운동시키는 시소장치;로 구성되되,
    상기 제1세척부는
    상기 세척조의 상단일측에 설치되어 이물질 및 탈지액을 타측으로 밀어주는 복수 개의 푸쉬노즐;
    상기 세척조의 타측에 설치되어 푸쉬노즐에 의해 밀려온 이물질 및 탈지액을 각각 분리하는 유수분리기;
    상기 유수분리기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유수분리기로부터 분리된 탈지액을 수용하는 탈지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저감형 탈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탈지부는
    예비탈지조;
    상기 예비탈지조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피세척물에 탈지액을 분사하는 복수 개의 노즐;
    상기 예비탈지조의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노즐을 통해 분사되어진 탈지액과 상기 피세척물의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 및 오일을 원심분리시키는 원심분리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저감형 탈지기.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세척부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에 설치되어 용수가 유입되는 용수유입관;
    상기 세척조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피세척물을 회전시키되, 상기 세척조의 내부에 용수의 존재 유무에 따라 상기 피세척물로부터 탈지액을 분리하거나 상기 피세척물을 용수로 세척하고 탈수하는 원심분리기;
    상기 세척조와 상기 제1세척부를 연결하여 상기 원심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탈지액을 상기 제1세척부로 회귀하는 탈지액회귀관;
    상기 세척조에 설치되어 상기 원심분리기에 탈수된 폐수를 배출하는 폐수배출관;
    상기 폐수배출관과 상기 용수유입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폐수를 정화시켜 상기 용수유입관으로 공급하는 폐수처리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저감형 탈지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세척부는
    상기 원심분리기에서 탈수된 폐수를 임시 저장하는 수세탱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저감형 탈지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세척부는
    복수 개가 다단으로 배치된 세척조;
    상기 세척조 중 최후단에 배치된 세척조에 설치되어 용수가 유입되는 용수유입관;
    상기 세척조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피세척물을 회전시키되, 상기 세척조 중 최선단에 배치된 세척조에서는 상기 피세척물로부터 탈지액을 분리 후 용수로 세척하고 탈수하며, 상기 최선단에 배치된 세척조를 제외한 나머지 세척조에서는 상기 피세척물을 용수로 세척하고 탈수하는 원심분리기;
    상기 세척조의 사이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세척조에서 탈수된 폐수를 전단에 배치된 세척조로 회귀하여 용수로 사용하도록 하는 폐수회귀관;
    상기 최전단에 위치한 세척조에 설치되어 상기 원심분리기에 탈수된 폐수를 배출하는 폐수배출관;
    상기 최전단에 위치한 세척조와 상기 제1세척부를 연결하여 상기 최전단에 위치한 세척조에서 분리된 탈지액을 상기 제1세척부로 회귀하는 탈지액회귀관;
    상기 폐수배출관과 상기 용수유입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폐수를 정화시켜 상기 용수유입관으로 공급하는 폐수처리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저감형 탈지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는
    건조탱크;
    상기 건조탱크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피세척물을 회전시켜 건조하는 원심분리기;
    상기 건조탱크의 상측에 설치되어 열을 발생 및 송풍하여 상기 피세척물을 건조하는 열풍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저감형 탈지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피세척물을 수용하고, 다수 개의 관통홀이 구비되어 상기 피세척물로부터 탈지액 또는 폐수가 배출 가능한 세척통;
    상기 세척통을 승강하여 다단으로 이송하는 이송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저감형 탈지기.
KR1020170055848A 2017-05-01 2017-05-01 폐수 저감형 탈지기 KR101904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848A KR101904731B1 (ko) 2017-05-01 2017-05-01 폐수 저감형 탈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848A KR101904731B1 (ko) 2017-05-01 2017-05-01 폐수 저감형 탈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4731B1 true KR101904731B1 (ko) 2018-11-21

Family

ID=64602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5848A KR101904731B1 (ko) 2017-05-01 2017-05-01 폐수 저감형 탈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473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1779A (ja) * 2002-05-01 2003-11-14 Nissan Motor Co Ltd 塗装前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1779A (ja) * 2002-05-01 2003-11-14 Nissan Motor Co Ltd 塗装前処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08172C1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деталей жидкостью
US5421883A (en) Industrial parts cleaning method and system
US9375126B2 (en) Waterless dishwasher
CN106964598A (zh) 全自动动力壳超声波清洗机
JP5404196B2 (ja) 洗浄装置
EP1140381B1 (en) Rinsing device
RU2391153C2 (ru) Бутылкомоечная машина
CN114453313A (zh) 一种金属除油蜡的方法
KR101904731B1 (ko) 폐수 저감형 탈지기
CN117918768A (zh) 一种无刷洗鞋机及其工艺
CN206716609U (zh) 全自动动力壳超声波清洗机
KR20050096050A (ko) 초음파 세척 시스템
CN214767634U (zh) 一种陶瓷瓶加工生产用内壁清洗烘干装置
CN213700974U (zh) 一种线路板加工用沉金前处理机
KR100630947B1 (ko) 전처리 설비
CN112545005A (zh) 一种生姜多功能高效去皮装置
JPH0596254A (ja) 超音波洗浄装置並びに該装置に用いる洗浄槽
JP4482304B2 (ja) 電池用金属缶の洗浄装置
JP3321636B2 (ja) 精密洗浄装置
RU2489338C2 (ru) Установка 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поверхности деталей, в частности, кузовов автомобилей
KR101744532B1 (ko) 열처리 부품용 세척장치
RU2036734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изделий
CN210506582U (zh) 一种电镀液回收装置
JPH06277637A (ja) 洗浄装置
CN212977851U (zh) 一种环保型钢材表面除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