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4196B1 - 피부 상처 치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상처 치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4196B1
KR101904196B1 KR1020170049540A KR20170049540A KR101904196B1 KR 101904196 B1 KR101904196 B1 KR 101904196B1 KR 1020170049540 A KR1020170049540 A KR 1020170049540A KR 20170049540 A KR20170049540 A KR 20170049540A KR 101904196 B1 KR101904196 B1 KR 101904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und
skin
wound healing
extract
leaf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9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이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철 filed Critical 이상철
Priority to KR1020170049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41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4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41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7Vitaceae or Ampelidaceae (Vine or Grape family), e.g. wine grapes, muscadine or pepperv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26Glycosaminoglycans, i.e. mucopolysaccharides
    • A61K31/728Hyaluro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61K35/644Beeswax; Propolis; Royal jelly; Hon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5Ericaceae or Vacciniaceae (Heath or Blueberry family), e.g. blueberry, cranberry or bi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상처 치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글리세린에 히알루론산 및 허브 엑기스를 혼합하여 피부 상처에 도포하여 줌으로써, 상기 피부 상처는 글리세린의 높은 삼투압에 의해 피부 내부로부터 피부 상처에 삼출물을 배출시켜서 감염된 세균 및 기타 오염물질을 살균하고, 히알루론산에 의해 세균 침투를 방지하여 상처의 감염을 방지하며, 식물성추출물에 의해 세포 간 매트릭스를 파괴하는 단백질 분해효소를 중화시켜서 매트릭스를 복구하고 세포의 성장을 촉진하여 상처 치료를 촉진하며, 첨가된 콜라겐에 의해 콜라겐 분해효소를 더욱 빠르게 중화시킬 뿐만아니라, 상기 글리세린과 함께 수분증발을 억제하여 보습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처 치료를 촉진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피부 상처 치료 조성물{SKIN WOUND HEAL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피부 상처 치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화상, 외상, 창상, 욕창 등의 피부 상처 부위에 통증을 완화하고 치유할 수 있도록 한 피부 상처 치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는 신체에서 가장 큰 표면적을 차지하는 중요한 기관으로, 가장 중요한 기능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물리적인 방어 기능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주요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피부 조직에 발생한 상처는 빠른시간 내에 치료되어야 한다.
따라서 피부의 상처 치료는 손상의 정도에 따라서 세가지로 분류되는데, 일차봉합은 간단한 상처, 즉 외과적 수술에 의한 상처와 같이 간단한 봉합으로 치료를 할 수 있는 치료이며, 2차 봉합은 피부 조직이 손상되어 외과적 봉합만으로는 상처를 치료할 수 없으며 표피의 재생 과정을 거쳐야 하고, 또한 흉터가 생길 수 있는 상처의 치료이며, 연장된 일차 봉합 즉 삼차 봉합은 상처를 봉합하였으나 감염 및 조직의 괴사가 발생하여 항생제 투여를 필요로 하는 치료이다.
욕창 등 피부의 상처가 점막의 손상과 함께 내부조직까지 손상되고, 만성으로 진행되는 것은 상기 손상된 피부나 점막에는 죽어가는 세포, 미생물, 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상기 세포, 미생물, 오염물질을 분해하기 위해 단백질 분해효소(protease)를 분비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분비되는 단백질 분해효소가 과잉 분비되는 경우, 단백질 분해효소는 세포의 성장 및 세포부착에 필수적인 세포 간 매트릭스를 분해 및 파괴시켜서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여 상처치유를 지연시키게 된다.
상기 세포 간 매트릭스(MMP; matrix metalloproteins)는 세포와 세포 사이에 공간을 채워주는 단백질로서 콜라겐, 엘라스틴, 히알루론산 등이 있다.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를 제거하여 중화시키기 위해서는 삼투압이 높은 글리세린을 도포하여 상처 부위의 삼출물을 조직 밖으로 끌어내고 상기 끌어낸 삼출물을 후술할 허브 엑기스와 결합하여 다시 체내로 들어가는 것을 막아 주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피부 조직에 발생한 상처 치료제로 미국 등록특허 제 4,891,359호(명칭;지혈제 콜라겐 페이스트 조성물)(종래기술)에 의하면, 새로운 제형의 스폰지를 파쇄하여 콜라겐 분말을 만들고 식염수와 혼합하여 페이스트 혹은 반죽으로 만들어 상처 부위에 도포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콜라겐에 식염수만을 혼합하였기 때문에, 상처 표면에 밀접하게 접촉되어 지혈에 효과를 갖게 되나, 이는 단지 지혈제로 사용하는 것에 불과할 뿐 상처 치유를 촉진하는 효과에는 미흡한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콜라겐의 보습성이 높지 않아 수분은 쉽게 증발하기 때문에 공기 차단 효과가 적어 통증 완화 효과가 낮고 쉽게 건조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상처부위에 쉽게 수분 증발 및 공기의 차단 효과로 건조를 방지하여 상처를 치료하는 기존 상처 치료제로 마데카솔, 후시딘 등의 항생제를 함유하는 연고 제품은 감염을 일으키는 병원균을 살균하는 효과가 있으나, 상처의 세포의 성장 및 분열을 도와 상처치료를 촉진하는 효과가 없는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게 되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과제는 만성 상처에서 과잉으로 존재하는 단백질 분해효소를 억제하고 중화시켜 줌으로써, 매트릭스의 분해를 억제하여 상처 치료를 촉진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에 따른 본 발명의 수단은 허브 엑기스, 액상의 글리세린,분말 상의 히알루론산을 혼합한 후, 이에 꿀, 및 잔탄검을 더 혼합하여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수단은 허브 엑기스, 액상의 글리세린, 분말 상의 히알루론산을 혼합하고 이에 꿀, 잔탄검을 혼합한 후, 콜라겐을 더 혼합하여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단에서 상기 허브 엑기스는 비티스 비니페라 열매(vitis vinifera fruit)엑기스, 카멜리아 시넨시스 잎(camellia sinensis leaf)엑기스, 바시니움 미르틸루스 잎(vaccinium myrtillus leaf)엑기스, 알케미라 불가리스 잎(Alchemilla vulgaris leaf)엑기스, 미모사 테누이플로라 잎(Mimosa tenuiflora leaf)엑기스 중 적어도 둘 이상으로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 해결수단에 따른 본 발명의 효과는 허브 엑기스, 액상의 글리세린, 분말상의 히알루론산을 혼합하고, 꿀을 혼합하여 피부 상처에 도포하여 줌으로써, 피부 상처에 도포된 글리세린은 높은 삼투압에 의해 피부 내부로부터 피부 상처에 삼출물을 배출시켜서 감염된 세균 및 기타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허브 엑기스와 히알루론산은 세포 간 매트릭스(MMPs)를 파괴하는 단백질 분해효소를 중화시켜서 매트릭스를 복구하여 세포의 성장을 촉진함으로써, 상처치료를 촉진하고, 상기 히알루론산은 글리세린, 꿀과 함께 수분증발을 억제하여 보습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통증완화에 효과적인 상처의 덮개 역할을 해 주고 신속하게 상처 치료 효과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허브 엑기스(Herb extracts)를 액상의 글리세린(Glycerol)에 혼합하고, 분말 상의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을 혼합한 후, 이에 꿀(honey) 및 잔탄검(Xanthan Gum)을 더 혼합하여 내부의 공기 압력을 낮춘 후 저어서 조성한다.
삭제
또한, 허브 엑기스(Herb extracts)를 액상의 글리세린(Glycerol)에 혼합하고, 분말 상의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를 혼합한 후, 이에 콜라겐(Collagen)을 더 혼합하여 조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허브 엑기스(Herb extracts)는 비티스 비니페라 열매(vitis vinifera fruit)엑기스, 카멜리아 시넨시스 잎(camellia sinensis leaf)엑기스, 바시니움 미르틸루스 잎(vaccinium myrtillus leaf)엑기스, 알케미라 불가리스 잎(Alchemilla vulgaris leaf)엑기스, 미모사 테누이플로라 잎(Mimosa tenuiflora leaf)엑기스, 안토시아닌 올리고머(Anthocyanin Oligomer)엑기스로 조성하게 된다.
이렇게 조성되는 상기 글리세린(Glycerol)은 높은 삼투압을 가지며, 폴리머의 형태로 결합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조직 속으로 침투하지 않고 상처 밖에서 존재하여 높은 보습효과로 상처를 치유할 수 있으나, 상기 보습 효과로 통증을 완화하는 효과는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삭제
또한 높은 농도의 글리세린은 체 내의 세포를 수축하여 외부로 이동하는 삼출물을 조직 밖으로 끌어내고 상처 내부에서 외부로 삼출물을 배출함으로써, 상처의 미생물 및 기타 오염물질을 밖으로 분리 배출되게 되고, 상기 배출된 삼출물은 다시 체 내로 들어가는 것을 막아주게 되어, 상기 상처의 내부를 깨끗하게 해 주어 상처의 치료를 촉진하게 된다.
상기 허브 엑기스(Herb extracts)는 식물에 존재하는 탄닌(tannin) 성분으로 바이러스 혹은 단백질과 결합하여 침전되게 된다.
그래서 상기 글리세린에 허브 엑기스가 함유되어 있으면, 상처에 효과가 있고, 이때 상기 허브 엑기스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효과를 나타나게 되어 치료할 수 있는 질병의 종류도 다양해진다.
또한, 상기 허브 엑기스(Herb extracts)는 폴리페놀(Polyphenol) 및 다당류(Polysaccharide)가 단백질 분해효소에 결합하여 단백질 분해효소를 중화시키고,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성 단백질에 결합하여 감염, 미생물 기원의 독성 물질의 해방을 감소시켜 세포성장을 촉진하는데 도움이 된다.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와 결합하는 능력이 있는 허브 엑기스에서 알케미라 불가리스 잎(Alchemilla vulgaris leaf)엑기스는 위장관 장애 치료와 상처 치료에 사용된다.
상기 미모사 테누이플로라 잎(Mimosa Tenuiflora leaf)엑기스는 피부의 상처나 화상 치료, 그리고 구강 상처 등을 치료되며, 상기 두 허브 엑기스에는 프로시아니딘(Procyanidins)이 풍부하다.
상기 프로시아니딘이 상처 치유를 촉진시키는 기전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지 않지만, 상처에서 프로테아제(protease)와 세포 간 매트릭스(MMPs)를 분해하는 다른 효소들(intercellular matrix degrading enzymes)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상처 치유를 돕는 세포의 부착과 성장에 도움이 되는 환경을 형성하여 치유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상기 허브 엑기스 중 상기 비티스 비니페라 열매(vitis vinifera grape)엑기스는 항산화제 물질인 프로엔토사이아니딘스를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고, 이 성분이 지니는 항산화 효과는 비타민보다 20~50배 높은 강력한 항산화 효과로 피부 노화 방지 및 피부 보호하는데 효과가 있다.
상기 카멜리아 시넨시스 잎(camellia sinensis leaf)엑기스는 차(茶)에 함유된 카테킨 성분으로 소염 ,해독, 살균, 항균작용 효과가 있다.
상기 바시니움 미르틸루스 잎(vaccinium myrtillus leaf)엑기스는 황산화 성분으로 동맥, 정맥, 모세관 혈관을 강화하여 상처 치료를 촉진하게 된다.
상기 안토시아닌 올리고머(Anthocyanin oligomer)엑기스는 탄닌 산의 한 종류로서 단백질과 결합력이 높고, 과일의 껍질을 압축하여 추출하는 추출물로 대부분이 단위체(monomer)의 형태로 추출이 되며, 공기 중에서 쉽게 산화되어 자기가 산화됨으로써 주위의 물질이 산화되지 않게 하는 항산화제로서 작용이 가능하며, 상기 단위체(monomer)형태의 안토시아닌을 효소를 이용하여 발효시키면 2개에서 10개 정도의 올리고머(oligomer)형태가 되는데, 이 안토시아닌 올리고머(Anthocyanin oligomer)는 항산화 효과가 높을 뿐만 아니라 단백질과의 결합력이 높아, 상기 허브 액기스 추출물보다 효과가 높다.
한편, 상기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은 아미노산과 우론산으로 이루어지는 복잡한 다당류의 하나로 N-아세틸글루코사민과 글루쿠론산으로 이루어진 고분자 화합물로서, 결합 조직에 손상을 받으면 급속한 회복을 위해 히알루론산의 합성이 일시적으로 활발히 이루어져 조직을 재구축하여 세포의 활성화로 재생시키며, 세균의 침입이나 독물의 침투를 방지하여 상처의 오염 및 감염 확산을 방지하게 되므로 상처 치료를 촉진하게 된다.
상기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은 피부의 결합 조직에 손상을 받으면 급속한 회복을 위해 히알루론산의 합성이 일시적으로 활발히 이루어져 조직이 재구축되어 세포의 활성화시키고 세균의 침입이나 독물의 침투를 방지하여 상처 치료를 촉진하게 된다.
상기 콜라겐(collagen)은 피부의 상처에 도포시 피부의 세포와 세포를 결합하여 피부의 두께를 증진함과 아울러, 피부의 수분 증발을 억제하여 지혈작용, 저 항원성 및 생체적 합성을 가지며, 임상 지혈 및 세포 생장 촉진하여 상처 치료를 촉진하게 된다.
상기 꿀(honey)는 예로부터 상처 난 피부를 회복하는데 탁월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피부에 도포시 충분한 수분을 피부에 공급하기 때문에 건성 피부에도 효과적이고, 또한 꿀은 항박테리아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치료성분으로 상처 치유를 촉진하게 된다.
상기 잔탄검(Xanthan Gum)은 고분자 다당류 검(Gum)물질을 아이소프로필알코올에 정제·건조·분쇄한 분말 혼합물로, 물에 용해되어 혼합물에 점착성 및 점도를 증가시키는 증점제로 사용하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글리세린 75.0wt%, 히알루론산 1.0wt%, 알케미라 불가리스 잎 엑기스, 5.0wt%, 미모사 테누이플로라 잎 엑기스 5.0wt%를 혼합하고, 꿀 13.0wt%, 잔탄검 1.0wt% 를 혼합한 후, 내부의 공기 압력을 낮춘 후 저어서 조성하게 된다.
정제수 60.0wt%, 글리세린 35.7wt%, 히알루론산 1.0wt%, 알케미라 불가리스잎 엑기스 1.5wt%, 미모사 테누이플로라 잎 엑기스 1.5wt%, 안토시아닌 올리고머 잎 엑기스 0.3wt%를 혼합하여 조성하게 된다.
글리세린 31.7wt%, 히알루론산 5.0wt%, 정제수 48.0wt%, 비티스 비니페라 열매 엑기스 5.0wt%, 바시니움 미르틸루스 잎 엑기스 5.0wt%, 카멜리아 시넨시스 잎 엑기스 5.0wt%, 안토시아닌 올리고머 엑기스 0.3wt%를 혼합하여 조성하게 된다.
글리세린 79.7wt%, 히알루론산 5.0wt%, 비티스 비니페라 열매 엑기스 5.0wt%, 바시니움 미르틸루스 잎 엑기스 5.0wt%, 카멜리아 시넨시스 잎 엑기스5.0wt%, 안토시아닌 올리고머 엑기스 0.3wt%를 혼합하여 조성하게 된다.
글리세린 82.0wt%, 히알루론산 1.0wt%, 알케미라 불가리스 잎 엑기스 0.3wt%, 미모사 테누이플로라 잎 엑기스 0.3wt%를 혼합하고, 이에 꿀 16.2wt%, 잔탄검 0.1wt%를 혼합한 후, 콜라겐 0.1wt%를 더 혼합하여 내부의 공기 압력을 낮춘 후 저어서 조성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에 각각 조성된 본 발명의 치료제는 피부 상처에 도포하였을 때 글리세린의 높은 삼투압에 의해 피부 내부로부터 피부 상처에 삼출물을 배출시켜서 감염된 세균 및 기타 오염물질을 살균하고, 상기 히알루론산에 의해 세균 침투를 방지하여 상처의 감염을 방지하며, 허브 엑기스에 의해 세포 간 매트릭스를 파괴하는 단백질 분해효소를 중화시켜 매트릭스를 복구하고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성 단백질에 결합하여 감염 및 독성물질의 해방을 감소시켜 세포의 성장을 촉진하여 상처 치료를 촉진하며, 상기 콜라겐에 의해 콜라겐 분해효소를 더욱 빠르게 중화시킬 뿐만아니라 상기 글리세린과 함께 수분증발을 억제하여 보습상태를 유지하고, 꿀에 의해 피부에 도포시 상처부위에 충분한 수분을 공급과 함께 항 박테리아 성분에 의해 상처 치유를 촉진하게 된다.
상기 상처 치유를 촉진하도록 조성된 각각의 본 발명의 치료제(Neo Dermal Activator)(NDA) 중 실시예 1 및 실시예 5로 생체실험용 Balb/C Mice(쥐)를 이용하여 창상 치유 효과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상기 생체실험용 Balb/C Mice(쥐)는 등 쪽에 털을 제거한 후, 외과적으로 좌우에 5mm 크기의 창상을 유도하고, 상기 좌측 창상에 일반 치료 연고(Fusimed) 및 포비든(povidone)으로 치료하고, 우측 창상에 본 발명 치료제(NDA:Neo Dermal Activator)를 1일 3회씩 14일간에 걸쳐 치료하였다.
상기 치료기간 중에 상기 치료과정을 입체 현미경을 이용하여 2일에 한 번씩 창상 부위를 촬영하여 육안적인 변화를 관찰하였다.
또한, 창상 치유 과정과 관련하여 케라틴의 생성, 섬유아 세포나 육아조직 등의 조직학적인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조직 염색에 자주 사용되는 헤마토실렌(heamatoxylin), 에오신(eosin)염색법, 트리크롬(Trichrome)염색법 등을 이용하였으며, 창상 부위와 주변의 혈관 생성 과정을 보기 위하여 혈관 특이 항체를 사용한 면역조직 화학 염색법을 하였다.
상기 육안적인 관찰을 통해 창상 부위의 면적 변화를 측정해본 결과,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일반 연고(Fusimed)에 비하여 본 발명 치료제(NDA)가 약 20 ~ 25%의 창상 치유효과가 더 좋게 나타났으며, 포비돈(povidone)에 비교하여 본 발명 치료제(NDA)가 40 ~ 50% 가까이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조직학적인 변화 관찰 결과 도 3 내지 도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일반 연고에 비하여 본 발명 치료제(NDA)에서 육아조직이나 케라틴의 생성 효과가 더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을 통한 실험 결과 일반 연고에 비하여 본 발명 치료제(NDA)의 처리가 창상 부위의 모세관 망(capillary network) 뿐만 아니라, 안정화된 혈관들이 더 많이 생성되었고, 또한 성숙기(anagen)의 머리털 모낭(hair follicle)발생을 증가시켰다.
이번 실험 결과를 통하여 일반 연고에 비하여 본 발명 치료제(NDA)의 처리가 육아조직이나 혈관들의 생성 과정을 촉진시켜 창상 치유 효과가 더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창상 치유 과정에 중요한 혈관들의 변화, 림프관의 생성, 섬유아세포와 대식세포들의 변화, 케라틴의 형성 과정 등은 다양한 실험 기술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5로 조성된 본 발명의 치료제(Neo Dermal Activator)(NDA)는 생체실험용 Balb/C Mice(쥐)를 이용하여 창상 치유 효과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아래의 사진에서와 같이, 상기 생체실험용 Balb/C Mice(쥐)는 등 쪽에 털을 제거한 후, 외과적으로 좌우에 5mm 크기의 창상을 유도하고 설치류의 피부에 인체의 피부가 새로운 피부를 재생시키는 것과는 달리 상처를 수축시키는 치료과정으로 진행한다.
설치류에서 인체의 피부와 같은 기전으로 상처를 치료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처 주위에 둥근 모양의 실리콘 부목을 상처 주위에 설치하여 수축이 일어나기 않게 방지함으로써 인체의 피부와 같이 상처의 치료가 피부 세포의 재생에 의해서 진행되도록 하였다.
시중에 나와 있는 일반 연고(후시메드; Fusimed)와 본 발명품(NDA)을 사용하여 창상 치유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Figure 112018083420224-pat00001
설치류의 창상 좌측에 일반 연고를, 우측에 본 발명품을 하루에 세 번씩 14일 동안 멸균된 면봉을 이용하여 창상 부위에 처리하였다.
입체 현미경을 이용하여 2 일에 한 번씩 창상 부위를 촬영하여 육안적인 변화를 관찰하였고, 창상 치유 과정과 관련하여 케라틴의 생성, 섬유아세포나 육아조직 등의 조직학적인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조직 염색에 자주 사용되는 헤마톡실린(heamatoxylin)과 에오신(eosin)염색법, 트래이코롬(Trichrome)염색법 등을 이용하였으며, 창상 부위와 주변의 혈관 생성 과정을 보기 위하여 혈관 특이 항체를 사용한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을 하였다.
상처의 치료 과정을 도식화하면 아래와 같다.
Figure 112018083420224-pat00002
지혈과 손상된 피부 조직을 응급 처치하기 위해서 피브린(fibrin)이 임시 조직을 형성하고, 표피세포 및 진피세포는 이미 성장이 완료된 세포이므로 기저층에 있는 줄기세포의 기능이 있는 섬유아세포(Granulation tissue)가 이동하여 단백질 분해효소를 분비하여 피브린 (fibrin)을 녹이는 한편 세포분열과 표피세포로 성장을 해서 원래의 피부 조직을 복구한다.
큰 상처의 경우에는 기저층으로 부터 섬유아 세포(Granulation tissue)의 이동뿐만 아니라 새로운 혈관을 형성하고 콜라겐층을 복구하여 표피 조직을 재건한다.
Figure 112018083420224-pat00003
E; 표피 (Epidermis)
D; 진피 (Dermis)
GT; 섬유아세포 (Granulation Tissue)
M; 근육 (Muscle)
정상세포와 치료 8일차에 관찰해 보면, 후시메드(Fusimed)로 치료한 상처와 본 발명(NDA)으로 치료한 상처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아래의 사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후시메드(Fusimed)로 치료한 경우 상처가 넓고 깊게 남아 있는 반면, 본 발명(NDA)으로 치료한 상처는 정상적인 피부조직으로 재건이 거의 마무리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정상피부와 치료 8일 후 후시메드(Fusimed) 치료 및 본 발명(NDA) 치료 피부를 세포 염색 후 현미경으로 비교한 결과, 후시메드(Fusimed)로 치료한 상처에서는 딱지가 여전히 남아 있으며 섬유아세포(Granulation Tissue)가 많지 않은 반면, 본 발명(NDA)치료 상처에서는 딱지가 거의 없으며 섬유아세포(Granulation Tissue)가 과립의 형태로 매우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112018083420224-pat00004
ES; 딱지 (Eschar)
D; 진피 (Dermis)
E; 표피 (Epidermis)
F; 지방 (Fat)
G; 섬유아세포 (Granulation Tissue)
육안적인 관찰을 통해 창상 부위의 면적 변화를 측정해본 결과, 아래의 사진 및 도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반 연고(Fusimed)에 비하여 본 발명(NDA)이 약 20~25%의 창상 치유 효과가 더 좋게 나타났으며, 포비돈(Povidone)에 비교하여 본 발명(NDA)가 40~50% 가까이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직학적인 변화 관찰 결과 일반 연고(Fusimed)에 비하여 본 발명(NDA)에서 육아조직이나 케라틴의 생성 효과가 더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을 통한 실험 결과 일반 연고(Fusimed)에 비하여 본 발명(NDA)의 처리가 창상 부위의 모세관 망(capillary network)의 베드(bed) 뿐만아니라 안정화된 혈관들이 더 많이 생성되었고, 또한 성숙기(anagen)의 모낭(hair follicle) 발생을 증가시켰다.
시중의 일반 연고(Fusimed)와 본 발명(NDA)의 상처 치료 효과의 비교 사진
Figure 112018083420224-pat00005
상처 부위의 면적의 변화
Figure 112018083420224-pat00006
시중의 일반 연고(Fusimed)와 본 발명(NDA) 상처 치료 효과의 비교 사진
Figure 112018083420224-pat00007
상처부위의 면적의 변화
Figure 112018083420224-pat00008
8일 후 상처 부위의 세포를 염색한 후 조직학적 변화의 관찰
Figure 112018083420224-pat00009
E; Epidermis 표피
D; Dermis 진피
GT; Granulation tissue 육아조직
M; Muscle 근육
실험 결과를 통하여 일반 연고(Fusimed)에 비하여 본 발명(NDA)의 처리가 육아조직이나 혈관들의 생성 과정을 촉진시켜 창상 치유 효과가 더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9)

  1. 비티스 비니페라 열매(vitis vinifera fruit)엑기스, 카멜리아 시넨시스 잎(camellia sinensis leaf)엑기스, 바시니움 미르틸루스 잎(vaccinium myrtillus leaf)엑기스, 알케미라 불가리스 잎(Alchemilla vulgaris leaf)엑기스, 미모사 테누이플로라 잎(Mimosa tenuiflora leaf)엑기스 중 적어도 둘 이상 혼합된 허브 엑기스, 액상의 글리세린, 분말 상의 히알루론산을 혼합하여 조성한 피부 상처 치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알케미라 불가리스 잎 엑기스 5.0wt%, 미모사 테누이플로라 잎 엑기스 5.0wt%, 글리세린 75.0wt%, 히알루론산 1.0wt%를 혼합하고, 이에 꿀 13.0wt%, 및 잔탄검 1.0wt%를 혼합하여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처 치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비티스 비니페라 열매(vitis vinifera fruit)엑기스, 카멜리아 시넨시스 잎(camellia sinensis leaf)엑기스, 바시니움 미르틸루스 잎(vaccinium myrtillus leaf)엑기스, 알케미라 불가리스 잎(Alchemilla vulgaris leaf)엑기스, 미모사 테누이플로라 잎(Mimosa tenuiflora leaf)엑기스 중 적어도 둘 이상 혼합된 허브 엑기스, 액상의 글리세린, 분말 상의 히알루론산을 혼합하여 조성한 피부 상처 치료 조성물에 있어서,
    알케미라 불가리스 0.3wt%, 미모사 테누이플로라 0.3wt%, 글리세린 82.0wt%, 히알루론산 1.0wt%를 혼합하고 꿀 16.2wt%, 잔탄검 0.1wt%를 혼합하며, 이에 콜라겐 0.1wt% 더 혼합하여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처 치료 조성물.
  9. 삭제
KR1020170049540A 2017-04-18 2017-04-18 피부 상처 치료 조성물 KR101904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540A KR101904196B1 (ko) 2017-04-18 2017-04-18 피부 상처 치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540A KR101904196B1 (ko) 2017-04-18 2017-04-18 피부 상처 치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4196B1 true KR101904196B1 (ko) 2018-10-04

Family

ID=63862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540A KR101904196B1 (ko) 2017-04-18 2017-04-18 피부 상처 치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41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17331A (zh) * 2019-11-13 2020-03-27 安徽科门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促进手术后伤口愈合的重要组合物及制备工艺
WO2022086047A1 (ko) * 2020-10-22 2022-04-28 이상철 점막 손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4200A (en) * 1994-05-02 1997-02-18 Taylor-Mccord; Darlene Wound therapeutic mixture containing medical grade hyaluronic acid and tissue culture grade plasma-fibronectin in a delivery system that creates a moist environment which simulates in utero healing
KR101649450B1 (ko) 2015-08-19 2016-08-18 이상철 피부 상처 치료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4200A (en) * 1994-05-02 1997-02-18 Taylor-Mccord; Darlene Wound therapeutic mixture containing medical grade hyaluronic acid and tissue culture grade plasma-fibronectin in a delivery system that creates a moist environment which simulates in utero healing
KR101649450B1 (ko) 2015-08-19 2016-08-18 이상철 피부 상처 치료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정희경 외. 야관문 추출물의 창상치유 효과.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3), pp. 374-380(2014)*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17331A (zh) * 2019-11-13 2020-03-27 安徽科门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促进手术后伤口愈合的重要组合物及制备工艺
WO2022086047A1 (ko) * 2020-10-22 2022-04-28 이상철 점막 손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20053266A (ko) * 2020-10-22 2022-04-29 이상철 점막 손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446051B1 (ko) * 2020-10-22 2022-09-21 이상철 점막 손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aspar-Pintiliescu et al. Natural composite dressings based on collagen, gelatin and plant bioactive compounds for wound healing: A review
Abdulla et al. Wound healing activities of Rafflesia hasseltii extract in rats
JP6130441B2 (ja) 創傷、皮膚障害および脱毛を治療するための1以上のハマアズキ、ココヤシまたはモモタマナ抽出物
US20070116750A1 (en) Compositions for disrupting and inhibiting reconstitution of wound biofilm
JP7378486B2 (ja) 医療用接着剤及びその調製方法、その用途
US20110301118A1 (en) Methods of treatment utilising glucan formulations
KR101904196B1 (ko) 피부 상처 치료 조성물
KR101649450B1 (ko) 피부 상처 치료조성물
CA2627223C (en) Wound-heal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s in the form of a sterile powder based on amino acids and sodium hyaluronate
RU2699362C2 (ru) Композиция на основе наночастиц диоксида церия и полисахаридов бурых водорослей для лечения ран
CN109820945B (zh) 促进皮肤创伤愈合及毛发生长的组合药物及其制备方法
US20080102106A1 (en) Wound Healing Composition Comprising Substances From Diptera Larvae
RU70792U1 (ru) Медицинский аппликатор
US20140030365A1 (en) Compositions for the debridement, granulation and reepithelialization of wounds in man
Madihah et al. Application of common greenbottle fly (Lucilia sericata Meigen, 1826) larvae extract for incision wound treatments in rats
Waqiah et al. Potential Of Moringa Leaf Extract (Moringa Oleifera Lam) As Wound Medicine In Livestock
CN114984294A (zh) 一种敷料及其制备方法
Ismail Mahmood A. Abdulla*, Khaled A. Ahmed, Hapipah M. Ali3, Suzita M. Noor
CN113144176A (zh) 一种含植物提取物的皮肤创面修复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020087210A (ko) 상처치유 조성물
Bhattacharjee et al. A Technical Overview: Polymers for Wounds and Burns Dressing as Hydrogel Drug Delivery System
Grotte Honey as a Dressing for Wounds, Burns, and Ulcers
DE102004034493A1 (de) Zubereitung enthaltend ein Wurzel-Extrakt
NZ759509A (en) Composition,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sk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