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3640B1 -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3640B1
KR101903640B1 KR1020170081132A KR20170081132A KR101903640B1 KR 101903640 B1 KR101903640 B1 KR 101903640B1 KR 1020170081132 A KR1020170081132 A KR 1020170081132A KR 20170081132 A KR20170081132 A KR 20170081132A KR 101903640 B1 KR101903640 B1 KR 101903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communication
power supply
power
supply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1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호
최찬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1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6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1R31/0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02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y, e.g. pulse repetition rate; Arrangements for measuring period of current or vol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기 및 실외기로 구성되는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와 상기 실외기를 연결하고 외부전원으로부터 상기 실내기 및 상기 실외기로 전력을 공급하는 제1전력선 및 제2전력선, 상기 실내기와 상기 실외기를 연결하고 상기 실내기와 상기 실외기 사이의 통신을 담당하는 통신선, 상기 통신선과 연결되고 상기 통신선에 흐르는 신호의 주파수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의 종류를 판단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전원으로부터 상기 제1전력선 및 상기 제2전력선과 각각 연결되는 제1전력공급선 및 제2전력공급선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통신선에 연결된 경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전력공급선 또는 제2전력공급선 중 어느 하나가 오결선 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장치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며, 실외기와 실내기를 연결하는 통신선에 전력공급선이 오결선 된 것을 감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공기조화장치는 실내의 온도, 습도, 세균, 냄새, 기류 등의 조건을 그 장소의 사용 목적에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는 장치로서, 대표적으로 실내의 온도를 냉각시키는 냉방용 에어컨과 실내의 온도를 가열시킬 수 있는 난방용 장치가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장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실내공기와 열교환하는 실내열교환기,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 실외공기와 열교환하는 실외열교환기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압축기와 실외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실외기와 상기 팽창밸브와 실내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실내기로 구분될 수 있으나, 팽창밸브가 실외기 내부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실내열교환기의 일측에는 실내팬이 구비되고,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일측에는 실외팬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일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냉매 순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0)는 압축기(11), 실내열교환기(12), 팽창밸브(13), 실외열교환기(14)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I"는 실내기를 나타내고 "O"는 실외기로 정의될 수 있다.
압축기(11)는 냉매를 압축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압축기(11)는 저온 저압의 냉매를 가압하여 고온 고압의 냉매로 만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1)는 공기조화장치(10) 내에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1)가 공기조화장치(10) 내에 복수 개 구비되는 경우, 복수 개의 압축기는 냉매의 유동방향을 따라서 직렬 및/또는 병렬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2)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실내열교환기(12)는 실내 공기와 상기 실내열교환기(12) 내로 유동하는 냉매가 열교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내열교환기(12)는 공기조화장치(10)의 냉방 모드에서 증발기의 기능을 수행하고, 난방 모드에서 응축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실외열교환기(14)는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실외열교환기(14)는 실외 공기와 상기 실외열교환기(14) 내로 유동하는 냉매가 열교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외열교환기(14)는 공기조화장치(10)의 냉방 모드에서 응축기의 기능을 수행하고, 난방 모드에서 증발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2) 및 실외열교환기(14)는 핀-튜브 방식의 열교환기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열교환기(12) 측에는 실내 팬(121)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14) 측에는 실외 팬(141)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장치(10)는 냉방 모드와 난방 모드가 전환될 때, 냉매의 순환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유로전환밸브(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전환밸브(16)는 4방 밸브(four-way valve)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로전환밸브(16)는 냉방모드에서 압축기(11)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실외기로 안내하고, 난방모드에서 압축기(11)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실내기로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실내기(10)와 실외기(20) 사이를 연결하는 연락배선이 도시된 것이다. 상기 연락배선은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상기 실외기(20)를 통해 상기 실내기(1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2개의 전원 라인(L1, L2)과, 상기 실내기(10)와 상기 실외기(20) 사이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1개의 신호라인(L3)로 구성된다. 전원 라인(L1, L2)에 각각 외부전원(30)이 연결된다.
공기조화장치에 대한 일반적인 구조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1996-0029725호에서 다뤄지고 있으며, 실내기(10)와 실외기(20) 사이를 연결하는 연락배선 구조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63041호에서 다뤄지고 있다.
한편, 외부전원(30)을 구성하는 두 개의 선 중 적어도 하나의 선이 신호라인(L3)에 오결선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상기 오결선은 공기조화장치 고장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지만 이를 쉽게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오결선 여부를 소프트웨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에 전력이 정상적으로 공급되기 전에 오결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오결선된 외부전력원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내기 및 실외기로 구성되는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와 상기 실외기를 연결하고 외부전원으로부터 상기 실내기 및 상기 실외기로 전력을 공급하는 제1전력선 및 제2전력선, 상기 실내기와 상기 실외기를 연결하고 상기 실내기와 상기 실외기 사이의 통신을 담당하는 통신선, 상기 통신선과 연결되고 상기 통신선에 흐르는 신호의 주파수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의 종류를 판단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전원으로부터 상기 제1전력선 및 상기 제2전력선과 각각 연결되는 제1전력공급선 및 제2전력공급선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통신선에 연결된 경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전력공급선 또는 제2전력공급선 중 어느 하나가 오결선 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며, 오결선 여부를 사용자가 직접 확인하지 않고 소프트웨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의 주파수가 설정된 주파수와 같은 경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전력공급선이 오결선 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며, 오결선 여부뿐만 아니라 오결선된 외부전원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설정된 주파수와 다른 경우, 상기 통신부는 상기 감지된 신호의 주파수가 등가속 또는 등감속하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며, 오결선 여부뿐만 아니라 오결선된 외부전원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의 주파수가 등가속 또는 등감속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전력공급선이 오결선 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오결선 여부뿐만 아니라 오결선된 외부전원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설정된 주파수는 50Hz 또는 60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며, 220V 외부 전원으로 오결선 되었는지 110V 외부 전원으로 오결선 되었는지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설정된 주파수와 다르고 등가속 또는 등감속하지 않는 경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전력공급선이 정상결선 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전력공급선이 오결선 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통신부는 사용자에게 에러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전력선과 상기 통신선을 연결하는 제1릴레이, 상기 실외기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통신선에 구비되는 제2릴레이 및 상기 실외기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전력선에 구비되는 제3릴레이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며, 오결선 또는 정상결선에 따른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전력공급선이 오결선 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릴레이 및 상기 제3릴레이는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전력공급선이 정상결선 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3릴레이가 연결된 후 상기 제2릴레이와 상기 제1릴레이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오결선 여부를 소프트웨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기조화장치에 전력이 정상적으로 공급되기 전에 오결선 여부를 판단하여, 오결선에 따라 회로에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오결선된 외부전력원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내부의 일반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실내기와 실외기 내부에 구비된 회로와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는 연결선들이 도시된 것이다.
도 3은 전력공급선이 연결선에 정상결선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전력공급선이 연결선에 오결선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전력공급선의 오결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실내기(I)와 실외기(O)로 이루어지며, 실내기(I)와 실외기(O)는 다수개의 연결선(L)으로 연결된다.
다수개의 연결선(L)은, 외부전력원(6)으로부터 실내기(I)와 실외기(O)로 전력을 공급하는 제1전력선(1)과 제2전력선(2), 및 상기 실내기(I)와 상기 실외기(O) 사이의 통신을 담당하는 통신선(3)으로 구성된다.
제1전력선(1) 및 제2전력선(2)과 외부전력원(6)은 전력공급선을 통해 연결된다. 전력공급선은 제1전력공급선(4)과 제2전력공급선(5)으로 구성되며, 제1전력공급선(4)은 외부전력원과 제1전력선(1) 사이를 연결하며, 제2전력공급선(5)은 외부전력원과 제2전력선(2) 사이를 연결한다.
제1전력공급선(4)은 제1전력선(1)과 연결되고, 제2전력공급선(5)은 제2전력선(2)과 연결되어야 실내기(I)와 실외기(O)에 전력이 정상적으로 공급되지만, 제1전력공급선(4) 및 제2전력공급선(5) 중 하나가 통신선(3)에 잘못 연결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제1전력공급선(4) 및 제2전력공급선(5) 중 하나가 통신선(3)에 잘못 연결되는 경우, 실내기(I) 및 실외기(O) 고장의 주요 원인이 되거나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실내기(I) 내부에는, 통신선(3)과 연결되고 통신선(3)을 흐르는 신호의 주파수 수치를 파악할 수 있는 센서(8), 상기 센서(8)에서 감지된 신호의 종류를 판단하는 통신부(7) 및 실내기(I)에 과도한 전력이 공급될 경우를 대비한 퓨즈(9)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실내기(I)는, 실내기(I) 내부에 구비된 통신선(3)과 제1전력선(1) 사이에 구비되고 통신선(3)과 제1전력선(1)을 단선 또는 결선시킬 수 있는 제1릴레이(R1)을 더 포함한다.
실외기(O) 내부에 구비되는 통신선(3)은 제2릴레이(R2)를 포함하며, 제1전력선(1)은 제3릴레이(R3)를 포함한다. 제2릴레이(R2)는 통신선(3)의 단선 또는 결선을 담당하며, 제3릴레이(R3)는 제1전력선(1)의 단선 또는 결선을 담당한다. 제1릴레이(R1) 내지 제3릴레이(R3)의 작동 태양은 후술하도록 한다.
통신부(7)는 센서(8)에서 감지된 신호의 종류를 분석하여 전력공급선(4, 5)이 전력선(1, 2)에 정상결선 되었는지 또는 오결선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감지된 신호에 근거하여 외부전력원(6)의 종류를 파악할 수도 있다.
도 4는 제2전력공급선(5)이 제2전력선(2)과 연결되지 않고 통신선(3)과 오결선 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오결선 지점이 도 4의 작은 원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의 알고리즘을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전력선(1, 2)에 전력공급선(4, 5)이 잘못 연결되는 경우, 실외기(O) 및 실내기(I)가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통신부(7)가 정상결선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만 실외기(O) 및 실내기(I)에 전력이 공급된다. 이는 제1릴레이(R1) 내지 제3릴레이(R3)를 통해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5의 알고리즘은 실외기(O) 및 실내기(I)에 정상적으로 전력을 공급할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가장 먼저 전력선(1, 2)에 전력공급선(4, 5)을 통해 외부전력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면 통신선(3)에 연결된 센서(8)가 통신선(3)을 흐르는 신호의 주파수를 측정한다.
통신부(7)는 센서(8)에 의해 측정된 주파수가 통신부(7)에 저장된 기 설정된 주파수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기 설정된 주파수와 측정된 주파수가 동일한 경우, 통신부(7)는 전력공급선(4, 5) 중 하나가 통신선(3)과 오결선된 것으로 판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기 설정된 주파수는 50Hz 또는 60Hz일 수 있다. 대부분의 국가는 110V, 220V를 사용하되 개별 국가의 상황에 따라 50Hz 또는 60Hz를 선택적으로 사용한다.
정리하면, 센서(8)에 의해 측정된 통신선(3)에 흐르는 신호의 주파수가 50Hz 또는 60Hz일 경우 통신선(3)에 제1전력공급선(4) 또는 제2전력공급선(5) 중 하나가 통신선(3)과 연결된 것에 해당하므로, 통신부(7)는 전력선(1, 2)과 전력공급선(4, 5)이 오결선 된 것으로 판단한다.
만약 센서(8)에 의해 측정된 주파수가 통신부(7)에 저장된 기 설정된 주파수와 상이한 경우, 상기 측정된 주파수가 등가속 또는 등감속하는지 여부를 통신부(7)가 판단한다.
상기 측정된 주파수가 등가속 또는 등감속하는 경우, 통신부(6)는 전력선(1, 2)과 전력공급선(4, 5)이 오결선 된 것으로 판단한다.
측정된 주파수가 등가속 또는 등감속하는 경우는 발전기를 사용할 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상기 발전기에 걸리는 부하(load)에 따라서 등가속 또는 등감속하는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발전기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측정된 주파수가 등가속 또는 등감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상기 측정된 주파수가 등가속 또는 등감속하지 않는 경우, 통신부(6)는 전력선(1, 2)과 전력공급선(4, 5)이 정상결선 된 것으로 판단한다.
통신부(7)에서 전력선(1, 2)과 전력공급선(4, 5)이 상기 조건에 의해 오결선이라고 판단내리는 경우, 오류(Error) 표시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오류(Error) 표시는 실내기(I)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내기(I)에 포함된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통신부(7)에 의해 전력선(1, 2)과 전력공급선(4, 5)이 서로 정상결선 또는 오결선된 것이 판단된 후에, 통신부(7)는 상기 판단된 조건에 따라 제1릴레이(R1) 내지 제3릴레이(R3)의 개폐 제어를 진행한다.
우선 정상결선인 경우부터 살펴보면, 제1릴레이(R1)가 닫히고 제3릴레이(R3)가 닫히면서 실외기에 전력이 정상적으로 공급된다. 즉 실외기(O)가 작동을 시작한다. 그 후 제2릴레이(R2) 및 제1릴레이(R1)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개방된다. 실외기(O) 및 실내기(I)에 정상적으로 전력이 공급되면 제1릴레이(R1)는 더 이상 닫힐 필요가 없다.
오결선된 경우를 살펴보면, 통신부(7)는 제1릴레이(R1) 및 제3릴레이(R3)가 개방되도록 제어한다. 도 4와 같이 오결선 상황에서 제1릴레이(R1) 내지 제3릴레이(R3)가 닫히면 통신선에 부하가 걸린다. 결과적으로 회로에 쇼트가 발생하게 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전류가 흐르지 못하도록 릴레이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경우 전력이 정상적으로 실외기(O)와 실내기(I)에 공급되기 전에 오결선 여부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회로가 쇼트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오결선 여부를 확인하지 않고 소프트웨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공함으로써 오결선 여부를 보다 확실하게 해결할 수 있는 효과 또한 있다.
또한 외부전력원의 종류에 상관없이 오결선 여부를 모두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I: 실내기 O: 실외기 L: 연결선
1: 제1전력선 2: 제2전력선 3: 통신선
4: 제1전력공급선 5: 제2전력공급선 6: 외부전력원
7: 통신부 8: 센서 9: 퓨즈
R1: 제1릴레이 R2: 제2릴레이 R3: 제3릴레이

Claims (10)

  1. 실내기 및 실외기로 구성되는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와 상기 실외기를 연결하고, 외부전력원으로부터 상기 실내기 및 상기 실외기로 전력을 공급하는 제1전력선 및 제2전력선;
    상기 실내기와 상기 실외기를 연결하고, 상기 실내기와 상기 실외기 사이의 통신을 담당하는 통신선;
    상기 통신선과 연결되고 상기 통신선에 흐르는 신호의 주파수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의 종류를 판단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전력원으로부터 상기 제1전력선 및 상기 제2전력선과 각각 연결되는 제1전력공급선 및 제2전력공급선 중 어느 하나와 상기 통신선의 오결선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의 주파수가 설정된 주파수와 같은 경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전력공급선 및 상기 제2전력공급선 중 어느 하나와 상기 통신선이 오결선 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설정된 주파수와 다른 경우, 상기 통신부는 상기 감지된 신호의 주파수가 등가속 또는 등감속하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의 주파수가 등가속 또는 등감속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전력공급선 및 상기 제2전력공급선 중 어느 하나와 상기 통신선이 오결선 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주파수는 50Hz 또는 60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설정된 주파수와 다르고 등가속 또는 등감속하지 않는 경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전력공급선 및 상기 제2전력공급선 이 상기 제1전력선 및 상기 제2전력선과 정상결선 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력공급선 및 상기 제2전력공급선 중 어느 하나와 상기 통신선이 오결선 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통신부는 사용자에게 에러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실내기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전력선과 상기 통신선을 연결하는 제1릴레이;
    상기 실외기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통신선에 구비되는 제2릴레이; 및,
    상기 실외기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전력선에 구비되는 제3릴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력공급선 및 상기 제2전력공급선 중 어느 하나와 상기 통신선이 오결선 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릴레이 및 상기 제3릴레이는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력공급선 및 상기 제2전력공급선이 상기 제1전력선 및 상기 제2전력선과 정상결선 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3릴레이가 연결된 후 상기 제2릴레이와 상기 제1릴레이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KR1020170081132A 2017-06-27 2017-06-27 공기조화장치 KR101903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132A KR101903640B1 (ko) 2017-06-27 2017-06-27 공기조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132A KR101903640B1 (ko) 2017-06-27 2017-06-27 공기조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3640B1 true KR101903640B1 (ko) 2018-10-04

Family

ID=63862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132A KR101903640B1 (ko) 2017-06-27 2017-06-27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364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74412A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detecting malfunction thereof
US1166211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ir temperature control including R-32 sensors
US9459033B2 (en) Multi air-conditioning apparatus
US1166848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ir temperature control including A2L sensors
CN114127480A (zh) 冷冻循环系统
US11609046B2 (en) Detecting loss of charge in HVAC systems
US1192080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ir temperature control using A2L refrigerants
CN109282424A (zh) 空调器控制方法、空调器控制装置
CA320626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ir temperature control including r-454b sensors
CN110542196B (zh) 用于空调器的检测组件、控制方法、控制装置及空调器
CN108488991A (zh) 空调器故障检测方法、检测装置、空调器及存储介质
KR102150441B1 (ko) 공기조화장치
KR101903640B1 (ko) 공기조화장치
CN108458443A (zh) 空调器故障检测方法、检测装置、空调器及存储介质
JPH0297848A (ja) マルチ形空気調和機
US7784290B2 (en) Refrigeration systems having diagnostic devices
CN114729769A (zh) 空调装置
KR101477799B1 (ko) 공기 조화기
KR100656162B1 (ko) 멀티 에어컨 시스템의 고장진단방법
JPH11325538A (ja) マルチ形空気調和機の誤配線検出方法
US2024017559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ir temperature control using a2l refrigerants
US11796201B2 (en) HVAC sensor validation while HVAC system is off
CN116997753A (zh) 制冷系统
JP2002221348A (ja) 空気調和機
JPH10300174A (ja) 多室型空気調和システムの誤配管・誤配線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