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2740B1 - 드릴 작업 없이 장착되는 지게차 캐빈용 도어커튼 및 창틀 - Google Patents

드릴 작업 없이 장착되는 지게차 캐빈용 도어커튼 및 창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2740B1
KR101902740B1 KR1020180036922A KR20180036922A KR101902740B1 KR 101902740 B1 KR101902740 B1 KR 101902740B1 KR 1020180036922 A KR1020180036922 A KR 1020180036922A KR 20180036922 A KR20180036922 A KR 20180036922A KR 101902740 B1 KR101902740 B1 KR 101902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oor
pipe
bar
ca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성
Original Assignee
김학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성 filed Critical 김학성
Priority to KR1020180036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7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9Details of operating station, e.g. seats, levers, operator platforms, cabin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13Details concerning the chas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빈의 틀을 구성하는 파이프에 드릴작업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커튼의 장착이 가능토록 한 지게차에 관한 것으로, 중공상의 파이프로 이루어진 지게차의 캐빈틀 좌,우 양측면에 상,하단에 걸침부와 고정부가 형성된 도어문틀을 위치시켜 상기 도어문틀의 상단 걸침부를 캐빈틀의 상단 파이프에 걸침토록 한 상태에서 하단의 고정부를 캐빈틀의 바닥면에 밀착시켜 볼트조임으로 고정하여 장착하고, 캐빈틀의 후방에는 사각형상의 후면창틀을 캐빈틀의 좌우 양측 후방파이프 사이에 밀착시켜 도어문틀과 볼트조임으로 체결고정하고 상기 캐빈틀의 내측 방향에서 후방파이프에 밀착되면서 도어장착바와 후면창틀을 연결브라켓으로 동시에 체결하고, 상기 도어문틀의 테두리를 따라서 도어커튼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정대로 밀착시켜 볼트조임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드릴 작업 없이 장착되는 지게차 캐빈용 도어커튼 및 창틀{Doors and window frames for forklift cabins mounted without drilling}
본 발명은 지게차의 캐빈에 장착되는 소프트한 재질의 도어커튼과 창틀을 캐빈의 틀을 구성하는 파이프에 드릴작업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장착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현재 지게차의 캐빈은 중공상의 파이프를 사용하여 캐빈의 틀을 구성하게 되고 이러한 파이프는 통상 다각형(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면서 그 내부에는 지게차를 구동에 필요한 각종 전기배선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내입되어 제작되는 것이다.
또한 지게차에는 비가 내리는 흐린 날이나 추운 겨울철이나 더운 여름철에 탑승자의 작업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전면창 및 후면창과 좌우측면에 도어가 장착되고, 지게차 내부의 환기 등을 위하여 전면창 및 후면창과 도어는 개폐가능할 수 있도록 장착하고 있는 것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작업환경에 따라서 탑승이 신속하면서도 작업능률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탑승공간의 비좁은 답답함이나 도어를 열고 닫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하여 투명창이 구비되고 지퍼에 의해 개방되는 개폐부를 형성하여 탑승이 가능한 연질의 PVC시트로 소프트하게 형성된 도어커튼이 개시되어 평상시에 개폐부를 말아 개방시키고 필요시에만 개폐부를 닫아 밀폐토록 하였다.
이러한 도어커튼의 장점은 유연하면서도 가볍고 쉽게 찢어지지 않으면서도 방수가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도어커튼을 캐빈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캐빈의 좌우 양측면의 파이프에 볼트체결방식으로 체결한 후 체결된 테두리를 실리콘으로 도포하여 장착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에 드릴링 작업에 의하여 나사조임이 가능한 볼트구멍을 천공토록 하고 있으나, 캐빈을 구성하는 파이프는 다각형(사각형)의 중공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지게차의 동작 및 제어를 위한 전기배선이 내설되어 있어 볼트구멍을 천공하기 위한 드릴링 작업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미숙하거나 또는 숙련된 작업자 일경우에도 드릴이 파이프를 관통하여 피복되어진 배선을 미세하게 훼손시킬 경우에 운행도중에 문제점을 야기토록 함은 물론 드릴링 작업시에 배선을 건드릴 경우에는 화재 등의 위험이 발생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도어커튼을 천공된 볼트구멍에 볼트체결할 때 대부분 파이프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조임된 볼트가 풀림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도어커튼을 장착하기 위하여 캐빈의 파이프에 드릴링 작업을 하지 않고 봉재에 의한 벌크로를 구비하거나 자석을 사용토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것의 단점이 벌크로를 사용할 경우에는 봉재에 다른 제작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정확한 위치에 도어커튼의 부착이 어렵고, 부착된 상태에서도 당김에 의해 도어커튼이 쉽게 분리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자석을 사용할 경우에는 테두리에 자석을 구비하기 위하여 봉재를 하게 되는데, 봉재시 노루발에 의해 자석과 봉재라인의 사이에 공간이 발생되어 자석이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는 못하고 유동되면서 도어커튼을 장착할 때 우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캐빈의 파이프에 드릴 작업이 없이도 도어커튼의 장착이 가능토록 함은 물론 개폐기능을 갖는 후면창도 드릴작업이 없이 장착가능토록 하면서도 탈착의 용이성을 제공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중공상의 파이프로 이루어진 지게차의 캐빈틀 좌,우 양측면에 상,하단에 걸침부와 고정부가 형성된 도어문틀을 위치시켜 상기 도어문틀의 상단 걸침부를 캐빈틀의 상단 파이프에 걸침토록 한 상태에서 하단의 고정부를 캐빈틀의 바닥면에 밀착시켜 볼트조임으로 고정하여 장착하고, 캐빈틀의 후방에는 사각형상의 후면창틀을 캐빈틀의 좌우 양측 후방파이프 사이에 밀착시켜 도어문틀과 볼트조임으로 체결고정하고 상기 캐빈틀의 내측 방향에서 후방파이프에 밀착되면서 도어장착바와 후면창틀을 연결브라켓으로 동시에 체결하고, 상기 도어문틀의 테두리를 따라서 도어커튼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정대로 밀착시켜 볼트조임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도어문틀의 상단에 형성된 걸침부에는 하단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형성하여 캐빈의 상단파이프를 감싸지게 걸림토록 하여 도어문틀의 장착을 보강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도어문틀은 캐빈의 파이프에 들뜸이 발생되지 않도록 접착제를 도포하여 부착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대에는 도어커튼이 PVC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감안하여 찢어짐을 방지하도록 고정대와 도어커튼 사이에는 고무패킹을 구비토록 한 것이다.
또한 고정대에 의하여 고정된 도어커튼의 테두리에는 당김에 의해 분리가 되지 않도록 도어커튼 테두리에는 봉재에 의해 심이 내장시켜 걸림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개폐가능한 도어 및 후면창을 장착하기 위하여 캐빈의 각종 배선이 내설된 파이프에 드릴작업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장착이 가능하여 배선의 손상을 방지하여 지게차의 오작동이나 화재를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도어커튼의 다양한 방식으로 개폐가 가능하게 됨은 물론 탈착이 용이하여 사용의 편의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어커튼은 물론 후면창이 탈착한 상태에서도 드릴구멍이 존재하지 않게 되면서 지게차의 외관이 항상 원상태로 유지됨은 물론, 드릴가공에 의한 녹 등의 부식이 방지되어 고품질의 지게차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게차 캐빈틀에 도어커튼과 후면창틀이 장착되는 구조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도어문틀과 후방파이프가 조립되는 일측의 부분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도어문틀과 후방파이프가 조립되는 타측의 부분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도어문틀과 후방파이프에 조립된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도어문틀의 캐빈틀에 장착된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도어문틀의 구조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도어문틀의 후면바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도어문틀이 장착된 캐빈틀에 도어커튼이 장착되는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도어커튼을 고정하는 고정대에 패킹이 구비된 일 실시 예.
도10은 본 발명의 도어커튼의 분리방지를 위한 걸림부를 나타낸 일 실시 예.
도11은 도9와 도10에 대한 장착 단면도.
도12는 본 발명의 도어커튼의 개폐부를 말은 상태로 고정한 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지게차에 운전 및 포크를 갖는 캐리지를 구비한 마스트조립체(20)를 조작하는 운전석을 형성하도록 지게차의 좌,우 양측에 전방과 후방과 상단이 하나로 연결된 중공상의 다각형 파이프(11)로 이루어져 상기 파이프(11) 내측에 전기배선이 내설된 캐빈틀(10)이 구비되고, 상기 캐빈틀(10)의 전면에는 전방파이프(11c)에 의해 전면창틀(30)이 장착되고, 좌,우 양측면에는 상단파이프(11a)와 후방파이프(11b)에 의해 도어문틀(100)이 장착되고, 상기 캐빈틀(10)의 후방파이프(11b) 사이에는 사각틀로 이루어진 후면창틀(200)이 장착되고, 상기 도어문틀(100)과 후면창틀(200)을 연결하도록 체결하는 연결브라켓(300)이 장착되고, 상기 도어문틀(100)에 소프트 재질의 도어커튼(400)이 장착되고, 상기 도어커튼(400)을 도어문틀(100)에 볼트 조임으로 고정하는 고정대(500)로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도어문틀(100)과 후면창틀(200)은 다각형(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캐빈틀(10)의 후방파이프(11b)에 밀착되어 직교되게 위치된 상태에서 볼트조임으로 먼저 체결조립되고, 상기 캐빈틀(10)의 탑승공간을 형성하는 내측방향에서 연결브라켓(300)이 후방파이프(11b)에 밀착되면서 도어문틀(100)과 후면창틀(200)을 동시에 체결하여 조립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도어문틀(100)의 구성은, 후면바(110)와 전면바(120)와 상단바(130)로 구성되어 볼트조임 등으로 조립되는 것이다.
상기 후면바(110)는 캐빈틀(10)의 후방파이프(11b)와 대응하는 길이로 이루어져 외측면에 밀착되어지고, 상단에는 캐빈틀(10)이 상단파이프(11a)에 걸침되는 걸침부(111)가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후방파이프(11b)의 후면으로 밀착되어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체결부(112)가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도어문틀(100)과 체결되는 후면창틀(200)은 일정길이로 된 "ㄴ"로 된 복수의 프레임바를 용접에 의하여 사각틀로 형성하여 후방파이프(11b) 사이에 위치토록 한 상태에서 좌우 양측면에는 도어문틀(100)의 후면바(110)에 형성된 체결부(112)와 맞물림되어 볼트조임으로 결합되는 맞물림 체결부(210)가 형성되어 후방파이프(11b)의 외측에서 먼저 조립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후면바(110)에 형성된 체결부(112)는 여러 번 절곡에 의해 후방파이프(11b)에 외측면과 후면에 밀착되면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고, 후면창틀(200)의 맞물림 체결부(210)는 "ㄴ"자 형의 별도의 브라켓을 상기 후면바(110)의 체결부(112)와 대응하는 위치에 용접으로 부착하여 형성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후면바(110)의 체결부(112)가 형성되지 않은 반대방향의 내측면에는 후방파이프(11b)의 전면에 밀착되면서 연결브라켓(300)의 일측과 볼트에 의해 조립되는 제1조립부(113)가 형성되고, 후면창틀(200)의 내측면 각 모서리 부분에는 연결브라켓(300)의 타측과 볼트에 의해 조립되는 제2조립부(220)가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도어장착바(100)와 후면창틀(200)은 다각형(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캐빈틀(10)의 후방파이프(11b)에 외측면과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각각 형성된 체결부(112)과 맞물림 체결부(210)를 볼트로 먼저 체결한 상태에서 캐빈틀(10)의 내측방향에서 후방파이프(11b)에 연결브라켓(300)이 직교되게 밀착되어 도어문틀(100)의 후면바(110)와 후면창틀(200)을 동시에 연결하여 체결토록 함으로써 전기배선이 내설된 파이프(11)에 볼트체결을 위한 드릴구멍을 형성하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 및 후면창을 캐빈틀(10)의 조립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후면바(110)의 상단에 형성된 걸침부(111) 선단에는 절곡에 의한 절곡부(114)를 형성하여 끼움홈(115)을 형성토록 함으로써 상단파이프(11a)의 상측에서 끼임결합방식으로 장착하여 후면창틀(200)과의 조립을 용이토록 하면서도 캐빈틀(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임의적인 이탈이 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조립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도어장착바(100)는 내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캐빈틀(10)의 후방파이프(11b)에서 장착될 경우에 들뜸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더욱 견고한 장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전면바(120)는 캐빈틀(10)의 상단파이프(11a)에서 탑승입구 방향으로 소정 폭으로 이격되어 도어(20)가 설치되는 동시에 전면바(120)와 상단파이프(11a) 사이에는 운전자의 측면시야를 확보하는 측면창(40)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전면바(400)는 캐빈틀(10)의 상단파이프(11a)에서 바닥면까지의 길이로 이루어져 상단에 상단파이프(11a)의 저면방향으로 끼워지는 끼움부(121)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캐빈틀(10)의 바닥면에 볼트조임으로 고정되는 고정면(122)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면바(120)의 상단에 형성된 끼움부(121)는 일측에 상향으로 돌출된 돌출면(121a)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면(121a)과 대응하도록 타측에 별도의 조립체(121b)가 조립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전면바(120)의 하단에 형성된 고정면(122)은 일정한 면적의 판상으로 이루어져 용접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면(122)은 탑승입구의 바닥면 전체를 커버할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바닥판(123)을 조립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캐빈틀(10)의 전면파이프(11c)와 연결되도록 전면바(120)의 하단 일측에는 부착면(124)가 형성되어 상기 캐빈틀(10)의 전면파이프(11c)와 전면바(120)의 타측면 및 부착면(124)에 측면창(30)이 위치된 상태에서 실리콘으로 부착되고, 상기 측면창(40)이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하여 전면창을 형성하는 전면창틀(30)에는 고정브라켓에 의하여 밀착되어 분리되지 않게 지지토록 한 것이다.
상기 상단바(130)는 좌우 양측으로 상기 전면바(120)와 후면바(110)의 상단을 연결하면서 캐빈틀(10)의 상단파이프(11a)에 끼임장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단바(130)는 캐빈틀(10)의 상단파이프(11a) 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일측에 상단파이프(11a) 내측면과 상면에 밀착되도록 절곡되어진 고정편(131)에 의해 간단하게 장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단바(130)의 좌우 양측으로 볼트조임으로 연결되는 일정길이의 연결편(132)을 각각 구비하여 상기 연결편(132)에 의하여 후면바(110)와 전면바(120)를 연결하면서도 캐빈틀(10)의 크기에 따라서 상단바(130) 및 전면바(120)의 미세위치를 조절하여 도어커튼(400)의 폭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연결편(132)의 좌,우 양측에 볼트가 조임되는 조임공(132a)을 일정한 길이로 형성하여 조임공(132a)의 길이범위 내에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도어커튼(400)은 캐빈틀(10)의 좌우 양측에 장착된 도어문틀(100)의 형상으로 재단되어 내측에 투명창(420)이 형성된 커튼본체(410)와 상기 커튼본체(410)의 내측에 중앙에서 좌우 양측으로 일정거리로 이격된 개폐수단(411)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수단(411)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부(412)로 이루어져 좌우 양측과 상단 테두리가 도어문틀(100)에 위치된 상태에서 고정대(500)가 밀착되어 볼트조임에 의해 장착되고, 커튼본체(410)의 하단에는 캐빈틀(10)이 금속의 파이프로 이루어진 것을 감안하여 펄럭임을 방지하도록 봉재나 고주파 또는 저주파 접착에 의해 자석이 내장된 부착부(413)가 일정간격으로 형성하여 균일하게 부착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커튼본체(410)의 상단에는 암수방식으로 결합되는 고정수단(440)이 형성되어 개폐수단(411)으로 개방된 개폐부(412)를 말아서 고정수단(440)으로 풀리지 않게 고정토록 함으로써 평상시 개폐부(412) 개방된 상태로 사용하고, 비가 오는 날 또는 바람이 부는 날 또는 추운 동절기 등의 날씨환경에 따라서 개폐부(412)를 닫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개폐부(412)를 개폐시키는 개폐수단(411)은 지퍼 또는 단추 등의 다양한 부품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커튼본체(410)는 유연하면서 가볍고, 쉽게 찢어지지 않으면서 방수가 가능하고 고주파로 접착 가능한 타포린 재질의 PVC시트를 사용하고, 커튼본체(410)의 내측에 형성된 투명창(420)은 투명성을 갖는 우레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커튼본체(410)의 재질을 타포린으로 설명하고 투명창(420)을 우레탄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러한 커튼본체(410) 및 투명창(420)의 재질이 본 발명의 목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일 실시 예로 설명된 것이다.
이때 상기 도어문틀(100)에 도어커튼(400)의 커튼본체(410)를 밀착시켜 볼트 조임에 의해 고정하는 고정대(500)에는 도어커튼(400)이 PVC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감안하여 찢어짐을 방지하도록 고정대(500)의 밀착면(510)에 고무패킹(520)을 형성토록 한 것이다.
상기 고정대(500)의 밀착면(510)에 형성된 고무패킹(520)은 탈착가능하거나 접착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장착을 용이성을 제공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대(500)에 의하여 고정된 도어커튼(400)의 테두리에는 봉재에 의해 심(431)이 내장되는 걸림부(430)를 형성하여 상기 걸림부(430)에 의하여 고정대(500)에 걸려지도록 함으로써 도어커튼(400)의 개폐부(412)가 당김에 의해 도어문틀(100)과 고정대(500)에 고정된 도어커튼(400)의 테두리가 밀림되어 분리가 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 또는 변형된 실시 예가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10: 캐빈틀 11: 파이프
20: 마스트조립체
30: 전면창틀
40: 측면창
100: 도어문틀
110: 후면바 111: 걸침부
112: 체결부 113: 제1조립부
114: 절곡부 115: 끼움홈
120: 전면바 121: 끼움부
121a: 돌출면 121b: 조립체
122: 고정면 123: 바닥판
124: 부착면
130: 상단바 131: 고정편
132: 연결편 132a: 조임공
200: 후면창틀 210: 맞물림 체결부
220: 제2조립부
300: 연결브라켓
400: 도어커튼
410: 커튼본체 411: 개폐수단
412: 개폐부 413: 부착부
420: 투명창
430: 걸림부
440: 고정수단
500: 고정대
510: 밀착면 520: 고무패킹

Claims (7)

  1. 지게차의 좌,우 양측에 전방과 후방과 상단이 하나로 연결된 중공상의 다각형 파이프(11)로 이루어진 탑승입구를 형성하고 파이프(11) 내측에 전기배선이 내설된 지게차의 캐빈틀(10)에 도어커튼(400)을 장착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캐빈틀(10)의 좌,우 양측면에 장착되는 상단에 캐빈틀(10)의 상단파이프(11a)에 걸침되는 걸침부(111)가 형성되고 하단에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면(122)가 형성된 도어문틀(100)과,
    상기 캐빈틀(10)의 후방 좌우 양측 후방파이프(11b) 사이에 장착되어 도어문틀(100)의 일측과 체결되는 후면창틀(200)과,
    상기 후방파이프(11b)의 외측으로 밀착되어 체결된 도어문틀(100)과 후면창틀(200)을 캐빈틀(10)의 내측방향에서 체결하여 후방파이프(11b)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체결하는 연결브라켓(300)과,
    상기 도어문틀(100)에 장착되는 소프트 재질의 도어커튼(400)과,
    상기 도어커튼(400)을 도어문틀(100)에 볼트 조임으로 고정하는 고정대(50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작업 없이 장착되는 지게차 캐빈용 도어커튼 및 창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문틀(100)은 후면바(110)와 전면바(120)와 상단바(130)로 구성되고,
    상기 상단파이프(11a)에 걸침되도록 상단에 걸침부(111)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후방파이프(11b)의 후면으로 위치되어 후면창틀(200)과 조립되는 체결부(112)로 구성된 후면바(110)와,
    상기 캐빈틀(10)의 탑승입구에는 전방파이프(11c)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도어커튼(400)의 크기를 일정한 면적으로 축소하면서 운전자의 측면 시야를 확보하도록 도어커트(400)와 측면창(40)을 구획하도록 상단에 상단파이프(11a)에 끼임결합되는 끼임부(121)와 하단에 바닥면에 볼트조임으로 고정되는 고정면(122)으로 구성된 전면바(120)와,
    상기 캐빈틀(10)의 상단파이프(11a)에 끼임장착되어 후면바(110)와 전면바(120)를 연결하는 상단바(130)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작업 없이 장착되는 지게차 캐빈용 도어커튼 및 창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바(110)의 걸침부(111)에는 캐빈틀(10)의 상단파이프(11a)에 걸림되어 이탈이 방지되도록 절곡부(114)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작업 없이 장착되는 지게차 캐빈용 도어커튼 및 창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문틀(100)의 후면바(110)는 캐빈틀(10)의 후방파이프(11b)에서 밀착된 상태에서 들뜸이 발생되지 않도록 접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작업 없이 장착되는 지게차 캐빈용 도어커튼 및 창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바(130)에는 캐빈틀(10)의 크기에 따라서 전면바(120)의 미세위치를 조절하여 도어커튼(400)를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연결편(132)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작업 없이 장착되는 지게차 캐빈용 도어커튼 및 창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500)에는 도어커튼(400)이 PVC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감안하여 찢어짐을 방지하도록 고정대(500)의 밀착면(510)에 고무패킹(52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작업 없이 장착되는 지게차 캐빈용 도어커튼 및 창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500)에 의하여 고정된 도어커튼(400)의 테두리에는 당김에 의해 분리가 되지 않도록 봉재에 의해 심(431)이 내장되는 걸림부(430)가 형성되어 고정대(500)에 걸림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작업 없이 장착되는 지게차 캐빈용 도어커튼 및 창틀.
KR1020180036922A 2018-03-29 2018-03-29 드릴 작업 없이 장착되는 지게차 캐빈용 도어커튼 및 창틀 KR101902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922A KR101902740B1 (ko) 2018-03-29 2018-03-29 드릴 작업 없이 장착되는 지게차 캐빈용 도어커튼 및 창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922A KR101902740B1 (ko) 2018-03-29 2018-03-29 드릴 작업 없이 장착되는 지게차 캐빈용 도어커튼 및 창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2740B1 true KR101902740B1 (ko) 2018-09-28

Family

ID=63721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922A KR101902740B1 (ko) 2018-03-29 2018-03-29 드릴 작업 없이 장착되는 지게차 캐빈용 도어커튼 및 창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27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1455A1 (ko) * 2018-11-16 2020-05-22 김학성 드릴 작업 없이 장착되는 지게차 캐빈용 도어 및 창틀의 개선된 장착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1455A1 (ko) * 2018-11-16 2020-05-22 김학성 드릴 작업 없이 장착되는 지게차 캐빈용 도어 및 창틀의 개선된 장착구조
KR20200057567A (ko) * 2018-11-16 2020-05-26 김학성 드릴 작업 없이 장착되는 지게차 캐빈용 도어 및 창틀의 개선된 장착구조
KR102402895B1 (ko) * 2018-11-16 2022-05-27 김학성 드릴 작업 없이 장착되는 지게차 캐빈용 도어 및 창틀의 개선된 장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06302B1 (en) Snap-in window assembly and method
US11629038B2 (en) Forklift cabin door and window frame to be mounted without drilling operation
US5282504A (en) Venetian blind assembly for a glazed door
US20160265274A1 (en) Flexible Window Screen
KR101902740B1 (ko) 드릴 작업 없이 장착되는 지게차 캐빈용 도어커튼 및 창틀
US20070261804A1 (en) Combined window covering and wall-mounted decorative item
AU2021105303A4 (en) Magnetic insect screen assembly for recreational and commercial vehicles
CN211058595U (zh) 幕墙窗扇防脱落连接结构
KR102127704B1 (ko) 장착이 용이한 지게차 캐빈용 도어커튼
JP3685674B2 (ja) シャッター
CN109367369B (zh) 一种dc三点锁自动拉紧房车门
JPH0730867U (ja) 幕体の隙間覆い構造
KR101007075B1 (ko) 도어 트림의 결합구조물
KR20050027649A (ko) 싸이드 도어 커튼 걸이 구조
CN204418995U (zh) 方便拆卸的纱窗
CN220220348U (zh) 一种车窗遮阳帘结构
JP3940733B2 (ja) シェード昇降装置
KR100559053B1 (ko) 자동차용 도어의 몰딩 설치구조
JP4547392B2 (ja) シェード昇降装置
KR100559054B1 (ko) 자동차용 도어의 몰딩 설치구조
EP2955313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ounting a blind
CN201517325U (zh) 可调节半固定卡扣
JP2000080851A (ja) 吊り障子の収納枠における上枠カバーの取付け装置
KR940000690Y1 (ko) 창호용 방충창 조립구조
JP3049263B2 (ja) 自動車用ドアウィンドウのウェザーストリップ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