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2540B1 - 수용공간 분할형 튜브타입 사출용기 및 이를 위한 사출금형 - Google Patents

수용공간 분할형 튜브타입 사출용기 및 이를 위한 사출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2540B1
KR101902540B1 KR1020180035227A KR20180035227A KR101902540B1 KR 101902540 B1 KR101902540 B1 KR 101902540B1 KR 1020180035227 A KR1020180035227 A KR 1020180035227A KR 20180035227 A KR20180035227 A KR 20180035227A KR 101902540 B1 KR101902540 B1 KR 101902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ut
partition
injection
mold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5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동주
Original Assignee
한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동주 filed Critical 한동주
Priority to KR1020180035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5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1Moulds having tubular mould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에서 주둥이까지 격벽에 의하여 수용공간이 분할되어 구획공간을 이루는 사출용기, 특히 튜브타입 사출용기 및 이를 위한 사출금형에 관한 것이며, 구획공간에 내장된 이종성분의 충진물이 동시에 토출되어 화장품, 의약품, 염색약, 식품, 살충제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 이종성분 동시토출형, 그리고 수용공간 분할형 사출용기 및 이를 위한 사출금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용공간 분할형 사출용기는 전방 배출구 및 캡결합부를 구비한 주둥이; 상기 주둥이와 연결된 어깨부; 상기 어깨부와 연결되고 후방 충진개구부 및 수용공간을 구비한 본체; 및 본체, 어깨부 및 주둥이의 내벽에 결합되어 수용공간을 분할하여 주둥이의 배출구까지 이어진 구획공간을 형성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수용공간 분할형 튜브타입 사출용기 및 이를 위한 사출금형{MOLDING CASE HAVING DIVIDED SPACE AND INJECTION MOLD THEREOF}
본 발명은 수용공간 분할형 사출용기 및 이를 위한 사출금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에서 주둥이까지 격벽에 의하여 수용공간이 분할되어 구획공간을 이루는 사출용기, 특히 튜브타입 사출용기로 구성되고,
이를 위한 사출금형은 본체 성형용 일체형 상부금형과, 이 상부금형의 캐비티에 삽입되고 격벽 성형용 이격부를 구비한 코어와, 주둥이 및 어깨부 성형용의 제1 및 제2 블록으로 구성된 하부금형으로 구성되며, 성형 완료 후 하부금형의 두 블록이 벌어지면 완성 사출용기가 배출되도록 하여, 본체 외면에는 파팅라인이 없어 외관품질 및 인쇄품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결국 구획공간에 내장된 이종성분의 충진물이 동시에 토출되어 화장품, 의약품, 염색약, 식품, 살충제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 이종성분 동시토출형, 그리고 수용공간 분할형 사출용기 및 이를 위한 사출금형에 관한 것이다.
이종 성분 내용물을 한 공간에 내장하는 용기와 관련된 기술로는 실용신안공개 제20-2008-0006222호(공개일자 2008년12월16일) [구조물 고착제용 카트리지]가 있는데,
이 공개고안은 주제조성물과 경화제가 각각 충진되어 주입기에 의해 토출되는 구조물 고착제용 카트리지를 제공하며,
구체적으로 주제조성물이 포장재에 충진된 상태로 수용되는 제1수용체와, 상기 제1수용체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경화제가 포장재에 충진된 상태로 수용되는 제2수용체, 및 상기 제1ㆍ제2수용체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주제조성물 및 상기 경화제를 혼합된 상태로 토출시키는 토출부재를 포함하고,
주제조성물과 경화제가 각각 포장재에 수용된 상태로 제1ㆍ제2수용체 내부에 구비되기 때문에, 주제조성물에 함유되어 있는 용제 및 경화제에 함유된 가소제가 외부로 흘러나오거나 가스 및 냄새가 방출되지 않으며, 또 분리된 상태로 수용된 주제조성물과 경화제가 하나의 토출부재를 통해 혼합된 상태로 토출되므로, 상기 주제조성물과 상기 경화제의 토출량이 일정하게 배출되는 효과를 갖는다고 기재되어 있다.
또 특허공개 제10-2010-0038064호(공개일자 2010년04월12일) [시료 처리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시료 처리 방법]이 있는데,
이 공개특허는 검출목적에 맞는 시약을 포함하는 깨지기 쉬운 특성의 제1 용기 및 상기 용기를 포함하며 구부러지기 쉬운 특성을 갖는 제2 용기를 포함하고, 본 키트 및 방법을 사용하면 생물학적 시료를 추가한 후 간단한 조작으로 시료를 처리하여 다양한 생물학적 검사기기에 곧바로 적용할 수 있게 되며,
생물학적 검사를 위해, 시료를 미리 분주된 시약을 포함하는 용기에서 간단한 조작을 통해 반응시켜 직접 생물학적 검사기기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특허등록 제10-1756765호(등록일자 2017년07월05일) [이액분리 연결튜브]가 있는데,
이 등록특허는 이액분리 튜브용기에 있어서 경계접착부로 인해 두 개 이상의 분리튜브로 분리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 상부에 도포액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경계접착부에 일정한 압력에 의해 떨어지는 파열면을 구비하여 이형의 도포액을 분리하여 보관하고 필요에 따라 파열면을 압력으로 터트려 튜브용기 내에서 혼합하여 사용하며, 경계접착부의 파열면을 터트려 분리된 튜브를 연결하고 이에 튜브내부에서 이형의 도포액을 손으로 주물러서 혼합하여 혼합과정을 쉽게 하며, 혼합을 위한 별도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아 사용의 편리성이 크게 증가되며, 튜브 내부에서 혼합되어 혼합과정중에 주변의 오염이 되지 않는 장점을 제공한다.
아울러 특허등록 제10-1768399호(등록일자 2017년08월08일) [이액분리 혼합튜브]가 있는데,
이 등록특허는 이액분리 튜브용기에 있어서 내부에 혼합공간을 구비한 밀폐된 튜브형태의 혼합외통을 구비하고, 상기 혼합외통 내부 하부에 이형의 도포액을 각각 담는 두개 이상의 내부튜브를 하부에 고정하여 구비하고, 상기 내부튜브의 상부에 밀봉된 파열접착부를 구비하여 이형의 도포액을 하나의 용기에 분리보관하며 필요에 따라 파열접착부를 터트려 튜브용기 내에서 이액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이들 종래기술들은 서로 다른 외장 접합용기에 내장된 충진물이 하나의 노즐을 통하여 분출되거나(첫 번째 문헌), 내장된 이종 충진체의 파열을 통해 이종 내장물이 혼합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기술(두 번째~네 번째 문헌)이어서 기존 튜브 제조 및 충진장치를 활용하기 어렵고, 그만큼 생산성이 낮고 단가경쟁력이 떨어져 범용 용기로 활용되기 어렵고 시장성이 부족한 기술에 해당한다.
이에 본 발명은 본체에서 주둥이까지 격벽에 의하여 수용공간이 분할되어 구획공간을 이루는 사출용기, 특히 튜브타입 사출용기로 구성되고, 또 이를 위한 사출금형은 본체 성형용 일체형 상부금형과, 이 상부금형의 캐비티에 삽입되고 격벽 성형용 이격부를 구비한 코어와, 주둥이 및 어깨부 성형용의 제1 및 제2 블록으로 구성된 하부금형으로 구성되며, 성형 완료 후 하부금형의 두 블록이 벌어지면 완성 사출용기가 배출되도록 하여, 본체 외면에는 파팅라인이 없어 외관품질 및 인쇄품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수용공간 분할형 사출용기 및 이를 위한 사출금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사출용기 본체의 외경 및 내경이 주둥이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경사져 있어 사출금형에서의 분리가 자연스러운 수용공간 분할형 사출용기 및 이를 위한 사출금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사출용기에서 어깨부와 주둥이에는 격벽과 엇갈린 위치에 파팅라인이 형성되어 있어 파팅라인의 후가공을 통한 제거가 용이하고, 충진시 파팅라인을 촬상카메라를 통하여 확인하여 구획공간에 이종 충진물이 정확하게 채워지도록 하는 수용공간 분할형 사출용기 및 이를 위한 사출금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사출금형에서 코어의 제1 및 제2 분체 사이의 격벽 성형용 이격부가 사출용기의 주둥이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태여서 완성된 사출용기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한 수용공간 분할형 사출용기 및 이를 위한 사출금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용공간 분할형 사출용기는
전방 배출구 및 캡결합부를 구비한 주둥이;
상기 주둥이와 연결된 어깨부;
상기 어깨부와 연결되고 후방 충진개구부 및 수용공간을 구비한 본체; 및
본체, 어깨부 및 주둥이의 내벽에 결합되어 수용공간을 분할하여 주둥이의 배출구까지 이어진 구획공간을 형성하는 격벽;
을 포함하는 이루어지며,
나아가 상기 본체는 주둥이를 향하여 외경과 내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경사져 있고, 본체에는 파팅라인이 없고,
상기 어깨부와 주둥이에는 격벽과 엇갈린 위치에 파팅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수용공간 분할형 사출용기를 위한 사출금형은
캐비티를 구비한 본체 성형용 상부금형;
상기 상부금형의 캐비티 내에 배열되고 격벽 성형용 이격부를 중심으로 제1분체 및 제2분체로 구성된 코어; 및
사출용기 성형시 조립되고 배출시 분리되며, 주둥이 및 어깨부 성형용의 제1 및 제2 블록으로 구성된 하부금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또 상부금형 캐비티의 내벽과 코어의 외벽은 본체가 주둥이를 향하여 외경과 내경이 좁아지는 형태가 되도록 경사져 있고,
하부금형의 제1 및 제2 블록은 코어의 이격부와 교차하는 운동궤적을 가져, 어깨부와 주둥이에 격벽과 엇갈린 위치에 파팅라인이 형성되도록 하고,
수지주입용 게이트는 하부금형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용공간 분할형 사출용기 및 이를 위한 사출금형은 본체에서 주둥이까지 격벽에 의하여 수용공간이 분할되어 구획공간을 이루는 사출용기, 특히 튜브타입 사출용기로 구성되고, 또 이를 위한 사출금형은 본체 성형용 일체형 상부금형과, 이 상부금형의 캐비티에 삽입되고 격벽 성형용 이격부를 구비한 코어와, 주둥이 및 어깨부 성형용의 제1 및 제2 블록으로 구성된 하부금형으로 구성되며, 성형 완료 후 하부금형의 두 블록이 벌어지면 완성 사출용기가 배출되도록 하여, 본체 외면에는 파팅라인이 없어 외관품질 및 인쇄품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또 사출용기 본체의 외경 및 내경이 주둥이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경사져 있어 사출금형에서의 분리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고, 아울러 사출용기에서 어깨부와 주둥이에는 격벽과 엇갈린 위치에 파팅라인이 형성되어 있어 파팅라인의 후가공을 통한 제거가 용이하고, 충진시 파팅라인을 촬상카메라를 통하여 확인하여 구획공간에 이종 충진물이 정확하게 채워지도록 하며, 나아가 사출금형에서 코어의 제1 및 제2 분체 사이의 격벽 성형용 이격부가 사출용기의 주둥이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태여서 완성된 사출용기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여, 결국 구획공간에 내장된 이종성분의 충진물이 동시에 토출되어 화장품, 의약품, 염색약, 식품, 살충제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 이종성분 동시토출형, 그리고 수용공간 분할형 사출용기 및 이를 위한 사출금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용공간 분할형 사출용기를 위한 사출금형의 단면도 및 저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용공간 분할형 사출용기에 대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 등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우열이나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용공간 분할형 사출용기(C) 및 이를 위한 사출금형(M)을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도시한 그대로의 상태에서 상하, 좌우, 전후를 나누고, 이를 기준으로 기술한다.
먼저 도 1 [A]의 사출금형(M) 측단면도 및 [B]의 저면도, 그리고 도 2 [A]의 사출용기(C) 측면도와 [B][C]의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용공간 분할형 사출용기(C), 특히 튜브타입 사출용기(C)는 주둥이(10), 어깨부(20), 본체(30), 격벽(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주둥이(10)는 전방 배출구(11A,11B) 및 캡결합부(13)를 갖는다.
전방 배출구(11A,11B)는 본체의 수용공간(S30)을 구획하는 격벽(40)에 의하여 주둥이까지 분리된 구획공간(s30) 마다 따로 구비되어 있다.
캡결합부(13)는 특히 나사결합을 위하여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캡(C1)이 체결된다(도 2 [B] 하단의 캡 사진 참조).
다음으로 어깨부(20)는 주둥이(10)와 연결되어 있다.
본체(30)는 어깨부(20)와 연결되고 후방 충진개구부(31) 및 수용공간(S30)을 갖는다. 충진개구부 역시 격벽(40)에 의하여 분리되어 있다.
격벽(40)은 본체(30), 어깨부(20) 및 주둥이(10)의 내벽에 결합되어 수용공간(S30을 분할하여 주둥이(10)의 배출구(11A)(11B)까지 이어진 구획공간(s30)을 형성한다. 구획공간은 양산성을 고려하여 2~6개 정도이며, 구획공간은 필요에 따라 대칭형 또는 비대칭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본체(30)는 또 주둥이(10)를 향하여 외경과 내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경사져 있어, 충진개구부(31)측 직경(또는 외경 및 내경)(ℓ1)이 어깨부(20) 직전의 본체 직경(또는 외경 및 내경)(ℓ2) 보다 더 길다.
아울러 격벽(40) 역시 사출금형(M)에서 코어(M2)의 제1 및 제2 분체(M2A,M2B) 사이의 격벽(40) 성형용 이격부(M2C)가 사출용기의 주둥이(10)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태여서 완성된 격벽(40) 역시 하단, 즉 주둥이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커지는 형태여서 완성된 사출용기(C)가 쉽게 금형에서 분리하여 낙하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나아가 사출금형(M)의 캐비티(M1a) 내면이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완성된 본체(30) 외면에는 파팅라인이 없어 외관품질 및 인쇄품질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어깨부(20)와 주둥이(30)에는 격벽(40)과 엇갈린 위치에 파팅라인(Ca)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도 2 [C] 및 하부 일점 쇄선 원 내 저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상부금형(M1)에도 불구하고 용이한 사출용기(C) 배출을 보장하기 위하여 도입된, 필수적인 상호 분리되는 하부금형(M3)의 제1 및 제2 블록(M3A,M3B)을 도입하면서도,
필연적인 제1 및 제2 블록의 접면에 의한 미세 파팅라인(Ca)이 격벽(40)과 엇갈린 위치에 형성됨으로 인하여
(만약 격벽과 일치되는 위치에 파팅라인이 형성되는 경우 격벽으로 인하여 더 두꺼워져서 상대적으로 육안(또는 자동화 공정시 카메라 촬상) 확인이 어렵게 된다)
파팅라인의 후가공을 통한 제거가 용이하고,
더 나아가 충진시 파팅라인을 촬상카메라를 통하여 확인하여 구획공간(s30)에 이종 충진물이 정확하게 채워지도록 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사출용기(C)는 격벽(40)과 일치되고 전방배출구(11A,11B) 사이에 게이트버(Cb)가 위치하여 균일하고 빠르게 용융 수지가 사출금형(M)의 캐비티(M1a)를 채우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A]의 하부금형(M3)의 게이트(M4)에 대응되는 전방배출구(11A,11B) 사이에 제1게이트버(Cb) 외에도, 제1게이트(M4) 양측의 두 제2게이트(M4a,M4b)(제1 및 제2 게이트는 하부금형의 두 제1 및 제2 블록(M3A,M3B)의 접면에 형성된다)로 인한 두 제2게이트버(Cc)가 어깨부(20)에 더 형성된다.
제1게이트(M4) 및 제1게이트버(Cb)는 주둥이(10) 및 어깨부(20)와 함께 격벽(40)을 주로 형성하기 위한 것이며,
제2게이트(M4a,M4b) 및 제2게이트버(Cc)는 주로 본체(30)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어서
높은 성형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용공간 분할형 사출용기(C), 특히 튜브타입 사출용기(C)를 한 번에 일체로 제조하기 위한 사출금형(M)은 상부금형(M1), 코어(M2), 하부금형(M3), 게이트(M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금형(M1)은 캐비티(M1a)를 구비하며, 그 내벽이 일체형이어서 용기(C) 본체(30) 성형용으로 활용되며, 특히 파팅라인이 없는 본체의 성형을 보장한다.
코어(M2)는 상부금형의 캐비티(M1a) 내에 배열되고, 용기의 격벽(40) 성형용 이격부(M2C)를 중심으로 제1분체 및 제2분체(M2A,M2B)로 구성된다. 제1 및 제2 분체는 필요에 따라 하나의 블록 형태의 금속괴를 가공하여 일체형으로 제조하거나, 따로 가공된 두 분체를 조립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하단(주둥이)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용기의 격벽(40)을 위하여 사출금형(M)에서 코어(M2)의 제1 및 제2 분체(M2A,M2B) 사이의 격벽(40) 성형용 이격부(M2C)는 사출용기의 주둥이(10)로 갈수록(게이트(M4)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하부금형(M3)은 사출용기(C) 성형시 조립되고 배출시 분리되며, 주둥이(10) 및 어깨부(20) 성형용의 제1 및 제2 블록(M3A,M3B)로 구성되고, 특히 제1 및 제2 블록은 대칭된 형상을 갖는다.
나아가 상부금형(M1) 캐비티(M1a)의 내벽과 코어의 외벽은 본체가 주둥이를 향하여 외경과 내경이 좁아지는 형태가 되도록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하부금형(M3)의 제1 및 제2 블록(M4A,M4B)은 코어(M2)의 이격부(M2C)와 교차하는 운동궤적을 가져, 어깨부(20)와 주둥이(10)에 격벽(40)과 엇갈린 위치에 파팅라인(Ca)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융수지 주입용 게이트, 특히 제1게이트(M4)는 하부금형의 중앙에 위치한다.
아울러 성형품질 보장을 위하여 동시에 복수의 위치로 수지가 주입되도록 함에 있어, 성형품질까지 고려하여 하부금형(M3)의 제1게이트(M4) 외에 제1게이트(M4) 양측의 두 제2게이트(M4a,M4b)를 더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1게이트(M4)에 상응하는 용기(C)의 제1게이트버(Cb)가 형성되고,
전방배출구(11A,11B) 사이에 제1게이트버(Cb) 외에도, 제1게이트(M4) 양측의 두 제2게이트(M4a,M4b)(제1 및 제2 게이트는 모두 성형 품질을 위하여 하부금형의 두 제1 및 제2 블록(M3A,M3B)의 접면에 형성된다)가 구비되고,
이 제2게이트로 인하여 용기(C)에는 제2게이트버(Cc)가 더 형성된다.
제1게이트(M4) 및 제1게이트버(Cb)는 주둥이(10) 및 어깨부(20)와 함께 격벽(40)을 주로 형성하기 위한 것이며,
제2게이트(M4a,M4b) 및 제2게이트버(Cc)는 주로 본체(30)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제1 및 제2 게이트버(Cb,Cc)는 파팅라인(Ca) 선상에 위치하고, 필요에 따라 후가공을 통하여 제거되거나 제거가 불필요한 정도로 작은 정밀 금형을 통하여 그대로 충진에 활용될 수 있다.
양산성과 위생성을 고려하여 자동 충진장치를 활용하는 경우 사출용기(C)는 주둥이(10)의 전방배출구(11A,11B)가 밀봉된 형태로, 또는 별도로(또는 동시에) 캡(C1)이 결합된 상태에서
충진개구부(31)를 상부로 향한 상태에서 각 구획공간(s30)에 화장품, 의약품, 염색약, 식품, 살충제 등 다양한 이종 충진물을 충진한 후
충진개구부(31)를 접합하여 충진한다.
이때 도 2 [B]의 상부 일점 쇄선 타원 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40) 상단은 굽히지 않고 일자로 펼쳐진 상태에서 개구부(31) 둘레의 본체 상단부(31a,31b)를 눌러서 상호 맞닿게 한 상태에서 접합(열접합, 접착제 접합, 초음파 융착 등의 방식을 이용함)하고,
필요시 1~3회 상단부를 말아서 접고 다양한 접합 방식으로 고정하여, 내구성을 강화하여 충진을 완료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금형, 사출, 수지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은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사출용기 및 사출금형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 사출용기 C1: 캡
10: 주둥이 11A,11B: 배출구
13: 캡결합부 20: 어깨부
30: 본체 31: 충진개구부
S30: 수용공간 s30: 구획공간
40: 격벽 Cb: 게이트버
M: 사출금형 M1: 상부금형
M2: 코어 M2A,M2B: 분체
M2C: 이격부 M3: 하부금형
M4: 게이트

Claims (4)

  1. 캐비티를 구비한 본체 성형용 상부금형;
    상기 상부금형의 캐비티 내에 배열되고 격벽 성형용 이격부를 중심으로 제1분체 및 제2분체로 구성된 코어; 및
    사출용기 성형시 조립되고 배출시 분리되며, 주둥이 및 어깨부 성형용의 제1 및 제2 블록으로 구성된 하부금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사출금형을 통하여 한 번에 일체로 제조되며,

    전방 배출구 및 캡결합부를 구비한 주둥이;
    상기 주둥이와 연결된 어깨부;
    상기 어깨부와 연결되고 후방 충진개구부 및 수용공간을 구비한 본체; 및
    본체, 어깨부 및 주둥이의 내벽에 결합되어 수용공간을 분할하여 주둥이의 배출구까지 이어진 구획공간을 형성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는 주둥이를 향하여 외경과 내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경사져 있어 충진개구부측 직경이 어깨부 직전의 본체 직경 보다 더 길고,
    사출금형에서 코어의 제1 및 제2 분체 사이의 격벽 성형용 이격부가 사출용기의 주둥이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태여서 완성된 격벽은 주둥이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커지는 형태이고,
    본체에는 파팅라인이 없고,
    상기 전방 배출구는 본체의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에 의하여 주둥이까지 분리된 구획공간 마다 따로 구비되어 있고,
    격벽과 일치되는 주둥이의 전방배출구 사이에 하부금형의 제1게이트로 인한 제1게이트버가 형성되고,
    상기 주둥이의 전방배출구가 밀봉된 상태에서 충진개구부를 상부로 향하게 하여 각 구획공간에 이종 충진물을 충진한 후 충진개구부를 접합하여 충진을 완료한 경우, 격벽 상단은 일자로 펼쳐진 상태에서 개구부 둘레의 본체 상단부를 눌러서 상호 맞닿게 한 상태에서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공간 분할형 튜브타입 사출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금형의 제1게이트 양측에 배열된 두 제2게이트로 인한 두 제2게이트버가 어깨부에 형성되고,
    상기 어깨부와 주둥이에는 격벽과 엇갈린 위치에 파팅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공간 분할형 튜브타입 사출용기.
  3. 청구항 1의 수용공간 분할형 튜브타입 사출용기를 위한 사출금형으로,
    캐비티를 구비한 본체 성형용 상부금형;
    상기 상부금형의 캐비티 내에 배열되고 격벽 성형용 이격부를 중심으로 제1분체 및 제2분체로 구성된 코어; 및
    사출용기 성형시 조립되고 배출시 분리되며, 주둥이 및 어깨부 성형용의 제1 및 제2 블록으로 구성된 하부금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부금형 캐비티의 내벽과 코어의 외벽은 본체가 주둥이를 향하여 외경과 내경이 좁아지는 형태가 되도록 경사져 있고,
    하부금형의 제1 및 제2 블록은 코어의 이격부와 교차하는 운동궤적을 가져, 어깨부와 주둥이에 격벽과 엇갈린 위치에 파팅라인이 형성되도록 하고,
    격벽과 일치되는 사출용기 주둥이의 전방배출구 사이에 제1게이트버가 형성되도록 수지주입용 제1게이트는 하부금형의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사출용기의 격벽을 위한 코어의 제1 및 제2 분체 사이의 격벽 성형용 이격부는 사출용기의 주둥이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
  4. 제 3 항에 있어서,
    청구항 2의 튜브타입 사출용기를 위한 사출금형으로,
    사출용기의 두 제2게이트버가 어깨부에 형성되도록 하부금형의 제1게이트 외에 제1게이트 양측의 두 제2게이트를 더 도입되고,
    하부금형의 제1 및 제2 블록은 코어의 이격부와 교차하는 운동궤적을 가져 사출용기의 어깨부와 주둥이에 격벽과 엇갈린 위치에 파팅라인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
KR1020180035227A 2018-03-27 2018-03-27 수용공간 분할형 튜브타입 사출용기 및 이를 위한 사출금형 KR101902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227A KR101902540B1 (ko) 2018-03-27 2018-03-27 수용공간 분할형 튜브타입 사출용기 및 이를 위한 사출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227A KR101902540B1 (ko) 2018-03-27 2018-03-27 수용공간 분할형 튜브타입 사출용기 및 이를 위한 사출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2540B1 true KR101902540B1 (ko) 2018-10-01

Family

ID=63877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5227A KR101902540B1 (ko) 2018-03-27 2018-03-27 수용공간 분할형 튜브타입 사출용기 및 이를 위한 사출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254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575B1 (ko) * 2010-07-19 2013-04-23 전기평 크림타입 염색약 용기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575B1 (ko) * 2010-07-19 2013-04-23 전기평 크림타입 염색약 용기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9635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storing and mixing separate substances
CN102164830B (zh) 用于尤其是药物、化妆品、食品等的流体产品的容器
CN101087569B (zh) 用于存储和分配组合物的装置
US3410444A (en) Container having separate chambers and provided with means for connecting said chambers
EP3259199B1 (en) Multi chamber delivery system
AU2010200458A1 (en) Intermediate piece for the connection of a storage container to a static mixer
AU2012325253B2 (en) Cartridge, method for producing said cartridge, and multi-component cartridge
JP2011529424A (ja) 特に医薬、化粧品、食品等の液体製品のための容器
EP2470108B1 (en) Device for storing and dispensing a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such a device
KR101902540B1 (ko) 수용공간 분할형 튜브타입 사출용기 및 이를 위한 사출금형
JP2017527339A (ja) 液体を貯蔵及び分配するための容器
CN107176375A (zh) 可分配密闭器具和分配系统
CN102730289B (zh) 薄膜料盒以及用于制造薄膜料盒的方法
JP2003525817A (ja) 二成分製品用パ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00398490A1 (en) Disposable 3d printer cartridge
EP3722814B1 (en) Cartridge
KR200485639Y1 (ko) 이종성분 동시토출형 다중용기
CZ2004521A3 (cs) Nádoba opatřená hrdlem s drážkami a způsob jejího použití
WO1984000707A1 (en) Dispensing bottle and method
WO2002068286A1 (en) Container
JP6679901B2 (ja) 反応容器
PL202756B1 (pl) Pojemnik zespołowy
EP2434980B1 (en) Dispensing device for a dental substance
CN210794094U (zh) 一种分隔式试剂瓶
JP4733081B2 (ja) 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