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1811B1 - 반지상형 전력설비 지지구조물 - Google Patents

반지상형 전력설비 지지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1811B1
KR101901811B1 KR1020170009384A KR20170009384A KR101901811B1 KR 101901811 B1 KR101901811 B1 KR 101901811B1 KR 1020170009384 A KR1020170009384 A KR 1020170009384A KR 20170009384 A KR20170009384 A KR 20170009384A KR 101901811 B1 KR101901811 B1 KR 101901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ain body
ground
base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9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5612A (ko
Inventor
이주억
Original Assignee
신성산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산전(주) filed Critical 신성산전(주)
Priority to KR1020170009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1811B1/ko
Publication of KR20180085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5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1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1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7/00Enclosed substations, e.g. compact substations
    • H02B7/06Distribution substations, e.g. for urban network
    • H02B7/08Underground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Frameworks
    • H02B1/013Profiles for cabinet fram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상형 설치에 따르는 시야 가림 문제, 상권 침해 문제, 보행자의 불편 유발 문제 등을 해결함과 동시에, 지하형 설치에 따르는 침수 문제와 시공 및 유지/보수의 불편함을 동시에 해결하고자, 지상에 설치되는 개폐기, 변압기과 같은 전력설비를 반지상형으로 구성하여, 지상형 및 지하형 두 방식의 장점을 모두 취합한 반지상형 전력설비 지지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 개구부를 갖고, 일부는 지상에 노출되고 다른 일부는 지중에 매립되는 반지상형 본체, 그리고 상기 개구부를 덮는 외함, 그리고 상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를 지지하고, 지중배선용 통공을 구비한 지지대, 그리고 지중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 및 지지대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기초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반지상형 전력설비 지지구조물{SUPPORTING STRUCTURE FOR ELECTRIC POWER FACILITIES}
본 발명은 변압기, 개폐기 등과 같은 전력설비를 시공하기 위한 지지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상형 설치에 따르는 시야 가림 문제, 상권 침해 문제, 보행자의 불편 유발 문제 등을 해결함과 동시에, 지하형 설치에 따르는 침수 문제와 시공 및 유지/보수의 불편함을 동시에 해결하고자, 지상에 설치되는 개폐기, 변압기과 같은 전력설비를 반지상형으로 구성하여, 지상형 및 지하형 두 방식의 장점을 모두 취합한 반지상형 전력설비 지지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배전 시스템은 변전소에서 수용가로 전력을 지상에서 전력을 공급하는 가공전선 전력공급과 지하에서 전력을 공급하는 지중전선 전력공급 방식을 취하고 있다.
지중전선 전력공급 방식은 개폐기, 변압기 등을 포함하여 전기를 수용가로 공급하는데, 변압기 및 개폐기 등의 전력설비는 용이한 관리를 위해서 때에 따라 수용가의 부동산에 설치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이용가의 설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안전상을 고려하여 보도 및 공유지에 설치되어 진다.
이러한 전력설비는 배전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수용가의 많은 토지를 매입하거나 임대하여야하기 때문에 배전 시스템의 구축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지상 설치형은 설치 및 유지, 보수, 점검이 용이하나 설치높이가 높아 수용가의 시야를 가리고 공간을 침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더불어, 지하 설치형(매립형)은 도로 점유가 없고, 미관을 해치지 않으며 상권의 훼손이 없으나, 설치 및 유지보수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어 민원이 발생하며, 설치공간이 늘어남에 따라 추가 공간 확보가 불가능하며(보도 여건상 불가능한 경우가 대부분임), 방수 및 환풍 구조 등의 기술적인 설치비용이 추가로 증가한다. 특히 장마, 태풍, 우천 등의 천재지변에 따른 진흙과 이물질이 장비에 침투하여 운용가의 유지, 보수 시 일일이 진흙과 이물질을 걷어내야 하는 어려움에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보도 및 상권에 설치 시, 노점상의 무단점거, 수용가의 상권에서는 물품 적재공간 및 휴식공간 등의 무단 점거사용으로 인해 운용가 측에서의 상연결 접속제 등의 상시점검과 같은 유지보수에 지장을 주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반지상형 전력설비 지지구조물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데, 반지상형 구조물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 등록특허 제10-1208902호(2012년11월30일)[급전인버터 설치구조물]이 있는데, 본 발명과 기술분야도 다르고, 관련성도 상당 부분 동떨어져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함에 의해 보호되고, 지지대 및 기초대에 의해 지지되는 본체를 반지상형으로 구비하여, 운용가의 유지, 보수, 점검 등을 확보하고, 지상 설치형의 50% 정도의 높이로 수용가의 도시미관의 개선 및 상권훼손을 방지하여 상인과 전력사간의 민원발생 소지를 없애고자 함은 물론, 추가적으로 노점상과 사용가의 상권에서의 무단점거를 방지하고, 설치 및 시공비용을 최소화하여 변압기 및 개폐기 등의 전력설비를 반지상형 구조물의 구조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상부에 개구부를 갖고, 일부는 지상에 노출되고 다른 일부는 지중에 매립되는 반지상형 본체, 그리고 상기 개구부를 덮는 외함, 그리고 상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를 지지하고, 지중배선용 통공을 구비한 지지대, 그리고 지중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 및 지지대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기초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기초대는 상부 기초대 및 하부 기초대로 이루어지고, 이에 상기 상부 기초대를 대체하여 상기 하부 기초대에 결합되는 'ㄴ'자 형상의 보강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지지대는 상기 본체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양단에 구비된 제1결합부를 구비한 제1지지체 및, 중앙에 개구공을 갖는 지지틀과, 상기 지지틀 하부에 구비된 다리와, 상기 지지틀에 구비되고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하는 제2결합부를 구비한 제2지지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지지체와 상기 제2지지체는 상호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안착부의 양단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벽체부, 상기 벽체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 상에 형성된 제1결합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지지틀의 내벽면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 상에 형성된 제2결합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체와 상기 제2지지체는 상기 절곡부와 상기 연장부가 중첩된 채로 상기 제1결합공과 상기 제2결합공을 모두 관통하는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변압기 및 개폐기 등과 같은 전력설비를 반지상으로 설치함으로써, 지상 설치형의 50% 정도의 높이로 수용가의 시야를 가리지 않아 상권훼손을 방지하고 도시미관을 개선하여 상인과 전력회사간의 민원발생 소지가 없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운용가의 상연결 접속제 등의 상시점검과 같은 유지보수가 용이하여 지중형(매립형)의 경우와 같이 해마다 반복되는 장마, 태풍, 우천 등의 천재지변으로 인해 전력설비가 침수 및 파손이 되지 않는 효과를 동시에 갖는다.
또한, 기설된 전력설비의 교체의 경우, 지중에 기설된 기초대 전체를 교체하지 않아도 되고 상부 기초대만 교체가 가능하여 반지상형 전력설비를 구현 할 수 있으며, 신증설, 과부하 상위 용량 교체에 따른 과다한 정전시간,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고, 기초대 교체 공정에 대한 회피현상을 잠재울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적용 실시예.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도.
도 6은 지지대의 전체 구성도.
도 7은 지지대의 분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상형 설치에 따르는 시야 가림 문제, 상권 침해 문제, 보행자의 불편 유발 문제 등을 해결함과 동시에, 지하형 설치에 따르는 시공 및 유지/보수의 불편함을 동시에 해결하고자, 지상에 설치되는 개폐기, 변압기과 같은 전력설비를 반지상형으로 구성하여, 지상형 및 지하형 두 방식의 장점을 모두 취합한 반지상형 전력설비 지지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지상형 전력설비 지지구조물(이하 본 구조물(S))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구조물(S)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구조물(S)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구조물(S)의 측면도이고, 도 3은 기존의 전력설비(지상형)에 본 구조물(S`)을 적용한 실시예이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구조물(S)은 본체(1), 외함(2), 지지대(3) 및 기초대(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각 구성 별로 설명하면,
먼저 본체(1)는 개폐기, 변압기 등과 같은 전력설비(E)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전력설비(E)와 본체(1)를 합쳐서 본체(1)로 간주하는 것도 무방하며, 전력설비(E)의 조작을 제공하기 위해 상부에 개구부를 갖고, 일부는 지상에 노출되고 다른 일부는 지중에 매립되는 반지상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체(1)는 우천 등에 의해 지면에서 일정 높이까지는 침수되어도 전력설비(E)가 침수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상부에 개구부를 가져 상부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침수나 우천 등을 대비하여 전 방향의 측면과 하면이 방수처리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체(1)는 전력설비(E)의 일부가 지하에 위치하는 것을 고려하여 상과 상의 연결이 접속재 없이 몰드 성형 시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외함(2)에 의해 보호되고, 지지대(3) 및 기초대(4)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본체(1)가 반지상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핵심 특징으로 하는데, 이를 통해 지상형 설치 방식과 지하형 설치 방식들 각각의 장점만을 취득하고 단점은 해소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상형 설치는 설치 시공, 유지 보수가 용이한 반면, 시야를 가려 교통사고를 유발하거나 또는 상권에 따른 민원 유발 및 보행자의 불편 초래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지상 노출 부위를 최소화하여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본체(1)가 지상 위로 일부 노출되게 하여 설치 시공, 유지 보수 용이성은 보장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하형 설치는 공간의 확보가 어렵고, 설치 시공이 곤란하고, 시공 등에 소요되는 비용이 높으며, 유지 보수가 불편하다는 단점과 반복되는 장마, 태풍, 우천 등의 천재지변으로 인한 전력설비(E)의 침수나 토질 유입 및 파손 우려가 있었으나, 본 발명은 본체(1)가 지상에 일부 노출되기 때문에 전력설비(E)의 설치가 지상에 이루어질 수 있어 시공 및 유지 보수 용이성이 탁월하다는 효과와 더불어 전력설비(E)의 침수나 토질 유입 및 파손 우려를 해결한다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반지상형 설치는 케이블 접속재의 작업이 지하에서 이루어지며, 지하 작업성을 위해 기초대(4)의 크기를 증가시키면서도 도로 점유를 최소로 하기 때문에, 지상형과 지하형 상기 두 방식의 장점을 모두 갖는다.
다음으로, 외함(2)은 본체(1)의 개구부를 덮는 구성으로, 본체(1)를 덮은 일종의 하우징으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체(1) 내부에 설치된 전력설비(E)에 접근할 수 있도록 개폐식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일 측에 회동수단을 구비하여 회동에 의해 개폐되는 식으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구성인 본체(1), 외함(2) 및 전력설비(E)의 구조를 도시한 도 4를 참고하면, 전력설비(E)에 해당하는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Freeder Remote Terminal Unit, FRTU), 배터리, 변압기, 컨트롤러, 통신수단 등이 본체(1) 내부에 내장되어 있다는 것, 외함(2)이 개폐식으로 본체(1)에 결합되어 본체(1)의 개구부를 덮고 있다는 것 등, 상기한 설명에 대한 실시의 일 예를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우수 등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외함(2)과 본체(1)의 경계는 방수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지지대(3)는 본체(1)의 하부에 구비되어 본체(1)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본체(1) 내부에 설치된 전력설비(E)에 전원 공급 등을 제공하는 지중배선(C)이 통과할 수 있도록 지중배선(C)용 통공(30)을 구비한다.
이러한 지지대(3)는 일부는 지상, 특히 지면에 밀착하고, 다른 일부는 지중에 배치되는데, 바람직하게는 '
Figure 112017006884323-pat00001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양 날개 측은 지면에 밀착하고 함몰된 중앙에는 본체(1)가 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대(3)는 본 발명의 핵심 구성으로, 본체(1)를 비롯하여 본 구조물(S)이 반지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인 지지대(3)의 구성 및 특징은 이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기초대(4)는 지중에 구비되어 본체(1) 및 지지대(3)의 설치공간(40)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굴착된 지중 설치공간(40)에 일종의 벽면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초대(4)는 일반적인 지상형 또는 지하형 전력설비 지지구조물에도 구비되는 일반적인 구성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기존에 지상형 지지구조물을 본 발명의 반지상형 지지구조물로 교체하는 경우, 본체(1)와 외함(2)의 시공을 위해 기 설치된 지상형 지지구조물의 기초대(4)에 그대로 적용할 수 없어 기초대(4)를 모두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보강대(5)를 도입하였는데, 다시 말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구조물(S`)은 기초대(4) 중 하부 기초대(4L)에 결합되는 'ㄴ'자 형상의 보강대(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보강대(5)는, 기존 지상형 지지구조물의 기초대(4)가 상부 기초대(4U)와 하부 기초대(4L)로 이루어진 것을 감안(또는 기존 지상형 지지구조물의 기초대(4)를 잘라서 둘로 나눌 수도 있음), 상부 기초대(4U)를 제거하고 하부 기초대(4L)는 그대로 사용하여, 하부 기초대(4L)에 보강대(5)를 결합함으로써 반지상형 지지구조물의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보강대(5)의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기존 지상형 지지구조물의 기초대(4)를 전부 들어내지 않고 하부 기초대(4L)를 그대로 사용하여 반지상형 지지구조물을 구현할 수 있어 편리한 시공을 가능하게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인 본체(1), 외함(2) 및 지지대(3)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일부 구성도를, 도 6은 지지대(3)의 전체 구성도를, 도 7은 지지대(3)의 분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한 본 구조물(S)의 본체(1), 외함(2) 및 지지대(3) 간의 결합 구조에 대해 전체적으로 다시 한 번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을 통해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에 해당하는 지지대(3)의 상세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먼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의 지지대(3)는 상호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제1지지체(31) 및 제2지지체(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지지체(31)는 제2지지체(32)의 내측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본체(1)가 안착되는 안착부(311)와, 안착부(311)의 양단에 구비된 제1결합부(313)를 구비한다.
또한 제2지지체(32)는 제1지지체(31)의 외곽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중앙에 개구공을 갖는 지지틀(321)과, 지지틀(321) 하부에 구비된 다리(322)와, 지지틀(321)에 구비되고 제1결합부(313)와 결합하는 제2결합부(323)를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지지체(31)의 안착부(311)는 본체(1)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본체(1)의 외형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미 상기한 바 있는 '
Figure 112017006884323-pat00002
'자 형상의 지지대(3)에서 함몰된 중앙부분을 구성한다.
다음 제2지지체(32)의 지지틀(321)은 기초대(4) 상부에 안착되는 부분으로, '
Figure 112017006884323-pat00003
'자 형상의 지지대(3)에서 날개 부분을 구성하며, 지지틀(321)에 형성된 개구공은 본체(1)가 관통하는 구성으로, 본체(1)는 지지틀(321)을 기준으로 하여 상측은 지상에 하측은 지중에 배치되게 된다.
다음 제2지지체(32)의 다리(322)는 지중에 매립된 지지대(3)의 수평 외력에 대한 강성을 부여하는 부분으로, 기초대(4)가 삽입된 설치공간(40)의 깊이에 따라 또는 작용하는 수평 외력 예상치에 따라 그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지지대(3)는 제1지지체(31)와 제2지지체(32)가 제1결합부(313)와 제2결합부(323)를 통해 상호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다는 점을 통해, 전력설비(E)의 설치를 지상에서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시공의 간편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제1지지체(31)와 제2지지체(32)의 상호 분리 및 결합을 제공하는 제1결합부(313)와 제2결합부(323)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대략적인 방향을 특정하면, 도 7 [A]를 기준으로, 도시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상, 하, 좌, 우를 나누고, 가까이 보이는 방향을 전방으로 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313)는, 안착부(311)의 양단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벽체부(313a), 벽체부(313a)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절곡부(313b) 및, 절곡부(313b) 상에 형성된 제1결합공(313c)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제2결합부(323)는, 지지틀(321)의 내벽면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연장부(323b) 및, 연장부(323b) 상에 형성된 제2결합공(323c)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제1지지체(31)와 제2지지체(32)는 절곡부(313b)와 연장부(323b)가 중첩된 채로 제1결합공(313c)과 제2결합공(323c)을 모두 관통하는 결합부재(미도시)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결합부(313)와 관련하여, 벽체부(313a)는 안착부(311)의 양단, 특히 좌우 양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데, 안착부(311)와 벽체부(313a)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한 것은 안착부(311)와 벽체부(313a)가 용접 결합되거나 또는 안착부(311)에서 벽체부(313a)가 절곡 형성되는 것이다.
다음 절곡부(313b)는 벽체부(313a)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되는 부분으로, 후술하는 제2지지체(32)와 함께 '
Figure 112017006884323-pat00004
'자 형상에서 양 날개 측을 구성한다. 이러한 절곡부(313b)는 벽체부(313a)에서 절곡 형성될 수도 있으나, 역시 용접 결합에 의해 구비되는 것도 무방하다.
다음 제1결합공(313c)은 절곡부(313b) 상에 형성된 구멍으로, 결합 안정성을 위해 다수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미도시)의 관통을 제공하여 제2지지체(32)와의 결합을 제공한다.
이러한 제1지지체(31)는 이미 상기한 바 있는 '
Figure 112017006884323-pat00005
'자 형상을 갖는 지지대(3)의 기초가 된다.
이어서 보다 구체적으로 제2결합부(323)와 관련하여, 먼저 연장부(323b)는 지지틀(321)의 내벽면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부분으로, 제1지지체(31)의 절곡부(313b)가 포개어져 걸림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부분이다.
다음 제2결합공(323c)은 연장부(323b) 상에 형성된 구멍으로, 제1결합공(313c)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데, 제1결합공(313c)과 마찬가지로 결합 안정성을 위해 다수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지지체(32)는 이미 상기한 바 있는 '
Figure 112017006884323-pat00006
'자 형상을 갖는 지지대(3)의 기초가 되며, 이에 따라 지지대(3)는 제1지지체(31)와 제2지지체(32)는 절곡부(313b)와 연장부(323b)가 중첩된 채로 제1결합공(313c)과 제2결합공(323c)을 모두 관통하는 결합부재(미도시)에 의해 결합되게 된다.
추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구조물(S)은 상기한 제1지지체(31)의 안착부(311)가 각각 지지벽을 갖고 상호 평행 배치된 한 쌍의 'ㄴ'자 형상의 제1프레임(F1)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한 제1지지체(31)의 벽체부(313a)가 내측으로 돌출된 날개를 갖는 'ㄷ'자 형상의 제2프레임(F2)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제1프레임(F1)은 제1지지체(31)의 다른 부위에 용접 결합되어 일체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안착부(311)는 지지벽을 갖는 한 쌍의 제1프레임(F1)의 평행 배치에 의해 구성되기 때문에, 지지벽에 의해 본체(1)가 이탈될 염려가 없음은 물론, 본체(1)의 다양한 규격에 따라 제1프레임(F1)의 이격 거리만을 조절하여 제작하면 되기 때문에 향상된 제조 용이성을 제공한다.
또한 제2프레임(F2)은 벽체부(313a)를 구성하는 부분에서 날개 부분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벽체부(313a)는 서로 이격된 날개를 통해 본체(1)를 이탈 우려 없이 고정시키고, 역시 본체(1)의 다양한 규격에 따라 두 날개의 이격 거리만을 조절하면 되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구조물(S)을 이용한 전력설비 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방법의 설명에서, 가령 반지상형 전력설비를 새로 시공하는 경우에는 이하의 (S5) 내지 (S7)단계를 따르면 되는 것인 바, 이하에는 기존에 설치된 지상형 전력설비를 반지상형 전력설비로 교체하는 방법(본 방법)을 특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방법은 기존 전력설비 해체단계(S1), 상부 기초대(4U) 해체단계(S2), 굴착단계(S3), 다짐단계(S4), 기초대(4) 조립단계(S5), 지지대(3) 설치단계(S6), 본체(1) 설치단계(S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 단계 별로, 먼저 기존 전력설비 해체단계(S1)는 기존의 전력설비 지지구조물(지상형 또는 지하형, 특히 지상형)을 반지상형 지지구조물로 시공하기 위해 기 설치된 기존의 전력설비(E)를 일시적으로 제거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S1)에서는, 기 설치된 전력설비(E)의 본체(1)와 연결된 지중배선(C) 선로를 해체하는 작업, 맨홀과 연결된 하단부 앵커볼트를 분리하는 작업, 외함(2)과 본체(1)를 분리하는 작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 상부 기초대(4U) 해체단계(S2)는 기존의 전력설비 지지구조물에서 상부 기초대(4U)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다음 굴착단계(S3)는 보강대(5) 설치를 위한 매립공간을 형성하는 단계이고, 다짐단계(S4)는 굴착된 매립공간의 바닥면을 잡석으로 다짐하는 단계이다.
만약 새로운 반지상형 전력설비 시공을 위해서는 위의 (S1) 내지 (S4)단계는 생략할 수 있다.
다음 기초대(4) 조립단계(S5)는 다짐된 매립공간에 'ㄴ'형 보강대(5)가 위치하도록 기존의 하부 기초대(4L)에 보강대(5)를 결합하는 단계이다.(신규 시공 시에는 보강대(5)를 생략할 수도 있음)
다음 지지대(3) 설치단계(S6)는 기초대(4)에 상부에 지지대(3)를 설치하는 단계로, 이 단계(S6)에서 '
Figure 112017006884323-pat00007
'형 지지대(3)의 양 날개 부분을 상부 기초대(4U)(또는 보강대(5))에 고정한다.
다음 본체(1) 설치단계(S7)는 지지대(3)에 본체(1)를 안착시키고, 본체(1)의 개구부를 외함(2)으로 덮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S1~S7)로 이루어진 본 방법은 상기 단계(S1~S7)들을 거쳐 기존의 지상형 전력설비를 간편하게 반지상형 전력설비로 교체할 수 있고, 이에 상기한 반지상형 전력설비의 장점을 아주 손쉽게 누릴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 본 구조물 S`: 본 구조물(기존 지지대 활용)
1: 본체 2: 외함
3: 지지대 30: 지중배선용 통공
31: 제1지지체 311: 안착부
313: 제1결합부 313a: 벽체부
313b: 절곡부 313c: 제1결합공
32: 제2지지체 321: 지지틀
322: 다리
323: 제2결합부 323b: 연장부
323c: 제2결합공
4: 기초대 40: 설치공간
4U: 상부 기초대 4L: 하부 기초대
5: 보강대
E: 전력설비 C: 지중배선

Claims (4)

  1. 상부에 개구부를 갖고, 일부는 지상에 노출되고 다른 일부는 지중에 매립되는 반지상형 본체;
    상기 개구부를 덮는 외함;
    상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를 지지하고, 지중배선용 통공을 구비한 지지대; 및
    지중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 및 지지대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기초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대는
    상기 본체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양단에 구비된 제1결합부를 구비한 제1지지체 및,
    중앙에 개구공을 갖는 지지틀과, 상기 지지틀 하부에 구비된 다리와, 상기 지지틀에 구비되고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하는 제2결합부를 구비한 제2지지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지지체와 상기 제2지지체는 상호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상형 전력설비 지지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초대는 상부 기초대 및 하부 기초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기초대를 대체하여 상기 하부 기초대에 결합되는 'ㄴ'자 형상의 보강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반지상형 전력설비 지지구조물.
  3. 삭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안착부의 양단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벽체부, 상기 벽체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 상에 형성된 제1결합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지지틀의 내벽면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 상에 형성된 제2결합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체와 상기 제2지지체는 상기 절곡부와 상기 연장부가 중첩된 채로 상기 제1결합공과 상기 제2결합공을 모두 관통하는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상형 전력설비 지지구조물.
KR1020170009384A 2017-01-19 2017-01-19 반지상형 전력설비 지지구조물 KR101901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384A KR101901811B1 (ko) 2017-01-19 2017-01-19 반지상형 전력설비 지지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384A KR101901811B1 (ko) 2017-01-19 2017-01-19 반지상형 전력설비 지지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612A KR20180085612A (ko) 2018-07-27
KR101901811B1 true KR101901811B1 (ko) 2018-09-27

Family

ID=63078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9384A KR101901811B1 (ko) 2017-01-19 2017-01-19 반지상형 전력설비 지지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18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0601A (ko) 2021-09-16 2023-03-23 (주)태승정보통신 지상개폐기를 이용한 광심선접속단자함과 광모뎀의 접속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242B1 (ko) * 2019-10-18 2021-06-30 한국전력공사 반매입형 지상변압기
KR102271241B1 (ko) * 2019-10-18 2021-06-30 한국전력공사 반매입형 지상변압기용 기초대
CN116565736B (zh) * 2023-07-10 2023-09-19 新乡电力变压器有限公司 一种全埋预装式变电站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211B1 (ko) * 2009-11-24 2010-04-09 주식회사 대아전기소방 절연형 지중매설 배전선 인입가이드
CN204333677U (zh) 2014-12-02 2015-05-13 湖南新兴电器控制设备有限公司 箱式变电站
WO2016012820A1 (en) * 2014-07-25 2016-01-28 Jet-Vill Korlátolt Felelősségű Társaság Tiltable underground protective cabinet for electrical equipment with counterweight tilting mechanis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211B1 (ko) * 2009-11-24 2010-04-09 주식회사 대아전기소방 절연형 지중매설 배전선 인입가이드
WO2016012820A1 (en) * 2014-07-25 2016-01-28 Jet-Vill Korlátolt Felelősségű Társaság Tiltable underground protective cabinet for electrical equipment with counterweight tilting mechanisme
CN204333677U (zh) 2014-12-02 2015-05-13 湖南新兴电器控制设备有限公司 箱式变电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0601A (ko) 2021-09-16 2023-03-23 (주)태승정보통신 지상개폐기를 이용한 광심선접속단자함과 광모뎀의 접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612A (ko) 2018-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1811B1 (ko) 반지상형 전력설비 지지구조물
CN109469392B (zh) 智能化弱电立杆及施工方法
WO2015168245A1 (en) Modular monopole tower foundation
KR101295890B1 (ko) 도로 및 전기통신 시설물을 포함하는 지주시설물의 지주 매립형 기초 조립체
KR102439545B1 (ko) 송전철탑 교체용 지지물 및 그 설치방법
KR101066030B1 (ko) 높이 및 기울기 조절이 용이한 지주 및 핸드홀 커버 장치
KR101784654B1 (ko) 반지상 개폐기 및 그 설치방법
KR101353515B1 (ko) 낙상 방지장치를 가지고 있는 맨홀틀
KR102094526B1 (ko) L형 패널에 적용하는 교량 배수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N106451271B (zh) 一种电缆过道桥架结构及其安装方法
KR20120040042A (ko) 펜스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14528B1 (ko) 교량 상판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판 인상 방법
KR101701220B1 (ko) 도로 확장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1259860B1 (ko) 수지재의 조립형 원형수로관 및 그 시공방법
GB2517550A (en) Flood barriers
CN104047247B (zh) 固定式中央分隔墩
CN217439693U (zh) 一种快速装拆可周转的电箱防护棚
KR100920128B1 (ko) 도로교통 시설물용 지주 구조물
KR100516440B1 (ko) 지상기기용 방호대
KR100920127B1 (ko) 강성을 보강한 도로교통 시설물용 지주 구조물 및 시공방법
CN208884529U (zh) 基坑防护网
KR100761064B1 (ko) 지중배전 지상기기용 보호장치
CN208874243U (zh) 一种综合管廊避雷装置
KR200437253Y1 (ko) 지주설치구조
CN203977337U (zh) 固定式中央分隔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