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1547B1 - 탈기필터 및 이를 구비한 탈기장치 - Google Patents

탈기필터 및 이를 구비한 탈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1547B1
KR101901547B1 KR1020180008832A KR20180008832A KR101901547B1 KR 101901547 B1 KR101901547 B1 KR 101901547B1 KR 1020180008832 A KR1020180008832 A KR 1020180008832A KR 20180008832 A KR20180008832 A KR 20180008832A KR 101901547 B1 KR101901547 B1 KR 101901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degassing
coupled
packaged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연
Original Assignee
세원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원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원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8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15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1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1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031Degasification of liquids by filt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Vacuum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예를 들어 전분, 제분, 사료첨가제, 화학파우더, 시멘트, 식품 프리믹스, 산화방지제, 난연제 등과 같은 미분형 포장대상물이 투입된 포대 내로 직접 삽입되어 공기를 외부로 빼내어 제거함에 따라 최상의 탈기효율로 포대의 배불림 현상을 최소화하여 파렛트 상에 포대가 다층으로 안정적으로 적재될 수 있도록 한 탈기필터 및 이를 구비한 탈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기필터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필터본체와, 상기 필터본체의 하단에 일체로 결합되고 미분형 포장대상물이 투입된 포대 내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하단원추부와, 상기 필터본체의 상단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하이동봉이 결합되며 배기펌프가 연결되는 상단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기장치는 미분형 포장대상물이 저장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로부터 배출되는 미분형 포장대상물이 수평이송되는 수평이송로와, 상기 수평이송로로부터 투입되는 미분형 포장대상물이 정량으로 저장되는 계량호퍼와, 상기 계량호퍼로부터 배출되는 미분형 포장대상물을 포대 내로 투입하는 투입슈트와, 상기 투입슈트를 관통하여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에는 전술한 탈기필터가 결합되는 상하이동봉과, 상기 투입슈트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상하이동봉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유닛과, 상기 탈기필터에 연통결합되어 상기 탈기필터의 내부에 진공압을 제공하는 배기펌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탈기필터 및 이를 구비한 탈기장치{EXHAUSTING FILTER AND EXHAUSTING APPARATUS WHICHWITH}
본 발명은 탈기필터 및 이를 구비한 탈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분형 포장대상물이 투입된 포대 내로 직접 삽입되어 공기를 외부로 빼내어 제거함에 따라 최상의 탈기효율로 포대의 배불림 현상을 최소화하여 파렛트 상에 포대가 다층으로 안정적으로 적재될 수 있도록 한 탈기필터 및 이를 구비한 탈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분, 제분, 사료첨가제, 화학파우더, 시멘트, 식품 프리믹스, 산화방지제, 난연제 등과 같은 미분형 포장대상물은 포대에 투입되어 포장된 후 파렛트 상에 다층으로 적재되어 운송된다.
전술한 미분형 포장대상물은 포대에 투입되어 포장되기에 앞서 공기가 외부로 빼내어 제거하는 탈기공정이 행해진다.
이러한 탈기공정은 미분 사이의 공극에 포함된 공기를 제거함으로써 포대의 측면이 불룩해지는 배불림 현상을 최소화하여 파렛트 상에 포대가 다층으로 안정적으로 적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탈기공정은 포대 내의 공기를 최소화시킴으로써 미분형 포장대상물의 산화를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전술한 탈기공정을 위한 탈기장치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5-0107073호(2005.11.11. 공개)에는 상단은 호퍼의 저부에 장착되며 진공펌프의 흡입라인과 연결되도록 중도에 연결포트가 마련된 통형상의 하우징과, 이 하우징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수용 설치되되 호퍼의 배출구에 상단이 직접 연통되게 설치되며 내부에는 이송스크루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원통 형상의 필터 조립체를 구비하는 탈기수단을 갖춘 분입체 제품 공급장치가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12928호(2017.12.27. 공고)에는 산업용 원료수지나 분진형태의 고형물에 함유된 공기를 진공으로 탈기하기 위한 진공탈기장치로서,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된 프레임과, 유입되는 분체를 가압하도록 회전되는 가압롤러와; 상기 가압롤러와 대향되어 분체를 가압하고, 진공펌프와 연동되어 가압되는 분체의 공기를 진공으로 흡입하여 탈기시키도록 외주연에 필터가 구비된 원통형의 진공롤러와; 상기 진공롤러의 일측에서 공기가 탈기되도록 진공펌프와 연결되어 유로가 형성된 진공탈기부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서 상기 가압롤러와 진공롤러의 간격를 조절하도록 가압롤러를 전후로 왕복이동시키는 간격조절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이 조절되는 진공탈기장치가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1999-0037056호(1999.10.05. 공개)에는 분말상태의 의약, 화학화공, 식품, 및 농약 제품을 용기 혹은 봉투에 자동, 수동 포장할 경우에 분말 자체에 함유되어 있는 공기량에 따라 부피가 다르게 됨으로 인하여 호퍼 내에서 분말 속에 함유된 공기량을 일정하게 만들어 주는 충진호파 분체탈기장치에 있어서, 충전호퍼 내에 분말을 일정 수준으로 레벨로 제어하고 분말의 수위보다 높은 곳에 분말의 입도보다 작은 필터를 장치하여 분말 속의 공기만 일정 하게 진공장치로 강제 배출하여 분말의 밀도를 일정하게 하는 충진호퍼 분체탈기장치가 개시된다.
그러나 종래의 탈기장치의 경우에는 미분형 포장대상물이 수용된 호퍼의 내부 또는 호터의 배출구 측에 탈기필터가 적용됨에 따라 실제 미분형 포장대상물이 투입된 포대로부터 탈기를 행하는 것이 아니라 사전에 탈기가 행해진 미분형 포장대상물을 포대에 투입하는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탈기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사전 탈기처리된 미분형 포장대상물의 낙하시 충격량이 배가되어 포대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5-0107073호(2005.11.11. 공개)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12928호(2017.12.27. 공고) 특허문헌 3 :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1999-0037056호(1999.10.05.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예를 들어 전분, 제분, 사료첨가제, 화학파우더, 시멘트, 식품 프리믹스, 산화방지제, 난연제 등과 같은 미분형 포장대상물이 투입된 포대 내로 직접 삽입되어 공기를 외부로 빼내어 제거함에 따라 최상의 탈기효율로 포대의 배불림 현상을 최소화하여 파렛트 상에 포대가 다층으로 안정적으로 적재될 수 있도록 한 탈기필터 및 이를 구비한 탈기장치를 제공하는 과제를 기초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필터본체와, 상기 필터본체의 하단에 일체로 결합되고 미분형 포장대상물이 투입된 포대 내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하단원추부와, 상기 필터본체의 상단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하이동봉이 결합되며 배기펌프가 연결되는 상단연결부를 포함하는 탈기필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필터본체는 상기 미세필터망과, 상기 미세필터망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외측지지망과, 상기 미세필터망의 내주면을 둘러싸는 내측지지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필터본체는 상기 외측지지망, 상기 미세필터망 및 상기 내측지지망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후 가압에 의해 판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된 다음 원통형으로 말려져 서로 맞대어지는 측면 가장자리가 용접되어 제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필터본체는 1.5 내지 2.5 mm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미세필터망은 1.5 내지 2.5 ㎛의 메시크기를 가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단연결부에는 상기 상하이동봉이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돌출형성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필터본체와, 상기 필터본체의 하단에 일체로 결합되고 미분형 포장대상물이 투입된 포대 내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하단원추부와, 상기 필터본체의 상단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하이동봉이 결합되며 배기펌프가 연결되는 상단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기장치는 미분형 포장대상물이 저장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로부터 배출되는 미분형 포장대상물이 수평이송되는 수평이송로와, 상기 수평이송로로부터 투입되는 미분형 포장대상물이 정량으로 저장되는 계량호퍼와, 상기 계량호퍼로부터 배출되는 미분형 포장대상물을 포대 내로 투입하는 투입슈트와, 상기 투입슈트를 관통하여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에는 전술한 탈기필터가 결합되는 상하이동봉과, 상기 투입슈트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상하이동봉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유닛과, 상기 탈기필터에 연통결합되어 상기 탈기필터의 내부에 진공압을 제공하는 배기펌프를 포함하는 탈기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평이송로의 일측에는 구동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수평이송로 내에는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구동되면서 상기 미분형 포장대상물을 수평이송시키는 회전스크류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계량호퍼의 배출구에는 개폐밸브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하이동유닛은 상기 상하이동봉을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수직가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배기펌프는 컨트롤러에 의해 일정시간 주기로 작동이 온오프되면서 상기 탈기필터의 내부에 진공압펄스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기필터 및 이를 구비한 탈기장치에 의하면, 예를 들어 전분, 제분, 사료첨가제, 화학파우더, 시멘트, 식품 프리믹스, 산화방지제, 난연제 등과 같은 미분형 포장대상물이 투입된 포대 내로 탈기필터가 직접 삽입되어 공기를 외부로 빼내어 제거함에 따라 최상의 탈기효율로 포대의 배불림 현상을 최소화하여 파렛트 상에 포대가 다층으로 안정적으로 적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기필터 및 이를 구비한 탈기장치에 의하면, 배기펌프가 컨트롤러에 의해 일정시간 주기로 작동이 온오프되면서 탈기필터의 내부에 진공압펄스가 형성됨에 따라, 탈기필터의 표면에 묻은 미분형 포장대상물이 용이하게 탈락됨과 동시에 포대 내의 미분형 포장대상물이 지속적인 탈기에 의해 탈기필터의 상향이동이 불가능할 정도로 응집되는 것을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기필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기필터를 구비한 탈기장치의 개략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기필터 및 이를 구비한 탈기장치에 의해 탈기처리된 포대의 다단적층상태도.
이하에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기필터(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필터본체(110)와, 필터본체(110)의 하단에 일체로 결합되고 미분형 포장대상물이 투입된 포대(3) 내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하단원추부(120)와, 필터본체(110)의 상단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하이동봉(600)이 결합되며 배기펌프(800)가 연결되는 상단연결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필터본체(110)는 포대(3) 내로 투입된 미분형 포장대상물(3)은 통과하지 못하지만 내부의 공기는 통과 가능하여 배기펌프(800)에 의한 진공압의 인가시에 미분형 포장대상물 사이사이에 포함된 공기가 외부로 탈기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부재이다.
이러한 필터본체(110)은 도 1에 상세히 도시되는 바와 같이 미세필터망(111)과, 미세필터망(111)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외측지지망(113)과, 미세필터망(111)의 내주면을 둘러싸는 내측지지망(115)을 포함하며, 전체적으로는 원통 형상을 가진다.
미세필터망(111)은 미분형 포장대상물(3)은 통과하지 못하지만 내부의 공기는 통과 가능한 미세망체에 해당하는 것으로, 1.5 내지 2.5 ㎛, 특히 2 ㎛의 메시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지지망(113)과 내측지지망(115)은 필터본체(110)의 이중격벽을 형성하여 일종의 지지프레임을 형성함과 동시에 미세필터망(111)을 내와측에서 둘러싸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미세필터망(111)에 대응되는 메시크기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외측지지망(113)만 미세필터망(111)에 대응되는 메시크기를 가지고 내측지지망(115)은 원통형 지지프레임의 형성을 위한 타공원통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필터본체(110)는 외측지지망(113), 미세필터망(111) 및 내측지지망(115)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후 가압에 의해 판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된 다음 원통형으로 말려져 서로 맞대어지는 측면 가장자리가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필터본체(110)을 가압하지 않으면 외측지지방, 미세필터망 및 내측지지망 사이에 미세 간격이 발생하거나 탈기 과정에서 미분형 포장 대상물이 각각의 층 사이에 끼이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가압에 의해 판 형상으로 일체 형성이 중요하다.
필터본체(110)는 미세필터망(111), 외측지지망(113) 및 내측지지망(115)으로 이루어지는 3겹의 전체 두께가 1.5 내지 2.5 mm, 특히 2.0 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필터본체(110)의 하단에는 하단원추부(120)가 일체로 결합된다. 하단원추부(1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기필터(100)가 상하이동봉(600)의 작동에 따라 미분형 포장대상물이 투입된 포대(3) 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부재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추형으로 형성된다.
하단원추부(120)의 상단은 예를 들어 용접 등과 같은 방법으로 필터본체(110)의 하단에 일체로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필터본체(110)의 상단에는 상단연결부(130)가 일체로 결합된다. 상단연결부(1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기필터(100)가 상하이동봉(60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부에는 상하이동봉(600)이 결합되는 결합돌기(131)가 돌출형성된다.
또한 상단연결부(13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기필터(100)의 내부에 진공압이 형성될 수 있도록 배기펌프(600)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상하이동봉(600)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상단연결부(130)의 하단은 예를 들어 용접 등과 같은 방법으로 필터본체(110)의 상단에 일체로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기장치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미분형 포장대상물이 저장되는 호퍼(200)와, 호퍼(200)로부터 배출되는 미분형 포장대상물이 수평이송되는 수평이송로(300)와, 수평이송로(300)로부터 투입되는 미분형 포장대상물이 정량으로 저장되는 계량호퍼(400)와, 계량호퍼(400)로부터 배출되는 미분형 포장대상물을 포대(3) 내로 투입하는 투입슈트(500)와, 투입슈트(500)를 관통하여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에는 전술한 탈기필터(100)가 결합되는 상하이동봉(600)과, 투입슈트(500)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하이동봉(60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유닛(700)과, 탈기필터(100)에 연통결합되어 탈기필터(100)의 내부에 진공압을 제공하는 배기펌프(8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호퍼(200)는 포대(3) 내로 투입될 미분형 포장대상물이 최초로 저장되는 일종의 원재료저장고에 해당한다. 호퍼(200)의 상부 또는 일측 상부에는 미분형 포장대상물이 투입되는 투입관이 연결되고 호퍼(200)의 하단에는 수평이송로(300)의 일단 상부에 연결되는 배출관이 연결된다.
전술한 호퍼(200)로부터 배출된 미분형 포장대상물은 수평이송로(300)을 통해 일측에서 타측으로 수평이송된다. 미분형 포장대상물의 수평이송을 위해 수평이송로(300)의 일측에는 구동모터(310)가 구비되고 수평이송로(300) 내에는 구동모터(310)에 의해 회전구동되면서 미분형 포장대상물을 수평이송시키는 회전스크류(320)가 설치된다. 회전스크류(320)의 외주면에는 나선그루브가 형성된다.
전술한 수평이송로(300)의 타측 하단은 계량호퍼(400)의 상단과 연통된다. 계량호퍼(400)는 수평이송로(300)로부터 투입되는 미분형 포장대상물이 포대(3) 내에 투입되기에 적절한 정량으로 투입에 앞서 일시 저장되는 일시저장조에 해당한다.
계량호퍼(400)의 하단에 형성되는 배출구에는 개폐밸브(410)가 설치된다. 개폐밸브(410)는 수평이송로(300)로부터 미분형 포장대상물이 계량호퍼(400) 내로 정량으로 투입되기 전까지는 폐쇄되었다가 정랭 투입 이후 일정시간동안 개방되면서 정량의 미분형 포장대상물이 투입슈트(500)를 거쳐 포대(3) 내로 투입되도록 한다.
전술한 계량호퍼(400)로부터 배출되는 미분형 포장대상물은 투입슈트(500)로 공급되어 최종적으로 포대(3) 내로 투입된다.
투입슈트(500)는 순차적으로 위치이동되는 포대(3)의 상부에 하단에 위치되어 미분형 포장대상물이 최종적으로 포대(3) 내로 투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차후에 설명될 상하이동봉(600)과 상하이동유닛(700)의 설치와 작동을 위한 일종의 지지프레임을 형성하는 구성부재이다.
전술한 투입슈트(500)에는 상하이동봉(600)이 수직으로 관통결합되어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하이동봉(600)은 하단에 결합되는 탈기필터(100)를 상하이동시킴에 따라 탈기필터(100)가 포대(3) 내로 삽입되었다가 다시 상부로 원위치되도록 하는 구성부재로, 중공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하이동봉(600)의 하단은 탈기필터(100)의 결합돌기(131)에 일체로 결합되되, 교체장착이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상하이동봉(600)의 상하이동을 위해 전술한 투입슈트(500)의 상측에는 상하이동유닛(700)이 구비된다. 상하이동유닛(700)은 상하이동봉(60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 리드스크류, 랙과 피니언 조합체 등 공지된 다양한 선형왕복이동기구로 형성 가능하다.
다만 상하이동유닛(700)은 상하이동봉(600)을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수직가이드(7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직가이드(710)는 상하이동봉(600)의 상측 다수 개소에 설치되는 베어링구조체로 형성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탈기필터(100)에는 배기펌프(800)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통결합된다. 배기펌프(800)는 탈기필터(100)의 내부에 진공압을 부여함으로써 미분형 포장대상물이 투입된 포대(3) 내의 공기가 탈기필터(100)와 상하이동봉(600)을 통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통상의 진공펌프로 형성 가능하다.
배기펌프(800)는 컨트롤러(미도시)에 의해 일정시간 주기로 작동이 온오프되면서 탈기필터(100)의 내부에 진공압펄스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진공압펄스는 탈기필터(100)의 표면에 묻은 미분형 포장대상물을 세정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포대(3) 내의 미분형 포장대상물이 지속적인 탈기에 의해 탈기필터(100)의 상향이동이 불가능할 정도로 응집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기필터(100)의 직경, 길이 등의 치수와 미세필터망(111)의 메시 크기, 배기펌프(600)의 용량, 작동시점 및 시간, 온오프 주기 등은 미분형 포장대상물의 종류 또는 포대(3)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기필터(100) 및 이를 구비한 탈기장치를 사용할 경우에, 예를 들어 전분, 제분, 사료첨가제, 화학파우더, 시멘트, 식품 프리믹스, 산화방지제, 난연제 등과 같은 미분형 포장대상물이 투입된 포대(3) 내로 탈기필터(100)가 직접 삽입되어 공기를 외부로 빼내어 제거함에 따라 최상의 탈기효율로 포대(3)의 배불림 현상을 최소화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파렛트(5) 상에 포대(3)가 다층으로 안정적으로 적재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3 : 포대
5 : 파렛트
100 : 탈기필터
110 : 필터본체
111 : 미세필터망
113 : 외측지지망
115 : 내측지지망
120 : 하단원추부
130 : 상단연결부
131 : 결합돌기
200 : 호퍼
300 : 수평이송로
310 : 구동모터
320 : 회전스크류
400 : 계량호퍼
410 : 개폐밸브
500 : 투입슈트
600 : 상하이동봉
700 : 상하이동유닛
710 : 수직가이드
800 : 배기펌프

Claims (10)

  1. 미세필터망(111)과, 상기 미세필터망(111)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외측지지망(113)과, 상기 미세필터망(111)의 내주면을 둘러싸는 내측지지망(115)을 포함하며,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필터본체(110);
    상기 필터본체(110)의 하단에 일체로 결합되고 미분형 포장대상물이 투입된 포대(3) 내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하단원추부(120); 및
    상기 필터본체(110)의 상단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하이동봉(600)이 결합되며 배기펌프(800)가 연결되는 상단연결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본체(110)는 상기 외측지지망(113), 상기 미세필터망(111) 및 상기 내측지지망(115)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후 가압에 의해 판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된 다음 원통형으로 말려져 서로 맞대어지는 측면 가장자리가 용접되고,
    상기 필터본체(110)는 1.5 내지 2.5 mm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미세필터망(111)은 1.5 내지 2.5 ㎛의 메시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필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단연결부(130)에는 상기 상하이동봉(600)이 결합되는 결합돌기(131)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필터.
  6. 미분형 포장대상물이 저장되는 호퍼(200);
    상기 호퍼(200)로부터 배출되는 미분형 포장대상물이 수평이송되는 수평이송로(300);
    상기 수평이송로(300)로부터 투입되는 미분형 포장대상물이 정량으로 저장되는 계량호퍼(400);
    상기 계량호퍼(400)로부터 배출되는 미분형 포장대상물을 포대(3) 내로 투입하는 투입슈트(500);
    상기 투입슈트(500)를 관통하여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에는 청구항 1,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탈기필터(100)가 결합되는 상하이동봉(600);
    상기 투입슈트(500)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상하이동봉(60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유닛(700); 및
    상기 탈기필터(100)에 연통결합되어 상기 탈기필터(100)의 내부에 진공압을 제공하는 배기펌프(800)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펌프(800)는 컨트롤러에 의해 일정시간 주기로 작동이 온오프되면서 상기 탈기필터(100)의 내부에 진공압펄스를 형성하는 탈기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송로(300)의 일측에는 구동모터(310)가 구비되고 상기 수평이송로(300) 내에는 상기 구동모터(310)에 의해 회전구동되면서 상기 미분형 포장대상물을 수평이송시키는 회전스크류(32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계량호퍼(400)의 배출구에는 개폐밸브(41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유닛(700)은 상기 상하이동봉(600)을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수직가이드(7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장치.
  10. 삭제
KR1020180008832A 2018-01-24 2018-01-24 탈기필터 및 이를 구비한 탈기장치 KR101901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832A KR101901547B1 (ko) 2018-01-24 2018-01-24 탈기필터 및 이를 구비한 탈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832A KR101901547B1 (ko) 2018-01-24 2018-01-24 탈기필터 및 이를 구비한 탈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1547B1 true KR101901547B1 (ko) 2018-11-02

Family

ID=64328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832A KR101901547B1 (ko) 2018-01-24 2018-01-24 탈기필터 및 이를 구비한 탈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15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1409A (ko) 2019-12-06 2021-06-16 이은경 분체 충진용 감압 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9123Y2 (ja) * 1990-08-03 1997-03-19 日本セメント株式会社 微粉体気密包装用脱気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9123Y2 (ja) * 1990-08-03 1997-03-19 日本セメント株式会社 微粉体気密包装用脱気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1409A (ko) 2019-12-06 2021-06-16 이은경 분체 충진용 감압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35673C (en) Device and method for filling foil bags with food
JP6417010B2 (ja) 医薬品を調製するための方法
US9650161B2 (en) Packing machine and method for filling open sacks
KR102154171B1 (ko) 분체 일괄처리 시스템
WO2007007155A1 (en) Process for moving powdered material, dosing machine for powdered material and system for bagging said material
KR101901547B1 (ko) 탈기필터 및 이를 구비한 탈기장치
JP2007126290A (ja) コンベア配送システム
KR101200818B1 (ko) 혼합사료 성형포장장치
JP2006219270A (ja) 気体輸送装置における粉粒体投入装置
CN115783346B (zh) 基于扬尘量限制的吨袋包装机
KR102083269B1 (ko) 분체 진공탈기장치
EP4155218A1 (en) Device for removing air from bag containing a granular product, machine, and corresponding method
WO2008039627A2 (en) Dust controlled container filling system
CN210971698U (zh) 一种两面、六面整形真空包装装置
US20160200503A1 (en) Intermodal bulk aggregate container
EP3567998B1 (en) Device comprising a filling unit for filling containers with a product
EP1908687A1 (en) Vertical packaging machine with high-speed volumetric batching unit
CN114746197A (zh) 能够在惰性气氛下将粉末转移到容器中的增材制造粉末供应模块
CN110641753A (zh) 一种两面、六面整形真空包装装置及其工作方法
CN214649111U (zh) 一种颗粒物包装生产线
CN108990709A (zh) 一种可实现缓冲进料的食用菌包装进料装置
JP5412151B2 (ja) 物品投入装置および物品投入方法
CN219097617U (zh) 一种物流运输用集装箱
KR102605525B1 (ko) 봉지포장상품의 패키지 포장시스템
CN210311091U (zh) 一种药卷中包的堆垛进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