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1519B1 - 개인 피부 속 광학 패턴인식 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 피부 속 광학 패턴인식 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1519B1
KR101901519B1 KR1020170064061A KR20170064061A KR101901519B1 KR 101901519 B1 KR101901519 B1 KR 101901519B1 KR 1020170064061 A KR1020170064061 A KR 1020170064061A KR 20170064061 A KR20170064061 A KR 20170064061A KR 101901519 B1 KR101901519 B1 KR 101901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matrix
wrist
detector array
light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4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창
홍혁기
최연식
정석원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64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1519B1/ko
Priority to PCT/KR2018/005817 priority patent/WO201821699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1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1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K9/0088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2Matching criteria, e.g. proximity measures
    • G06K9/58
    • G06K9/620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88Image or video recognition using optical means, e.g. reference filters, holographic masks, frequency domain filters or spatial domain fil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개인 피부 속 광학 패턴인식 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인식 방법은, 사용자의 손목에 광을 조사하여 검출기 어레이로 손목을 확산반사한 광을 검출하여 광 검출 패턴을 등록하고, 사용자의 손목에 광을 조사하여 검출기 어레이로 손목을 확산반사한 광을 검출하여 광 검출 패턴을 측정하고, 측정된 광 검출 패턴과 등록된 광 검출 패턴을 변조하며, 변조된 측정된 광 검출 패턴과 등록된 광 검출 패턴을 비교하여 사용자를 식별한다. 이에 의해, MSP 기반 생체인식 장치에 의해 검출된 개인 피부 속 광학 패턴을 변조하여 처리함으로써, 잡음/오류에 강건한 개인 식별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개인 피부 속 광학 패턴인식 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Signal Processing Method of Device for Recognizing Optical Pattern under Personal Skin}
본 발명은 생체인식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을 식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체 정보를 이용한 생체인식 기술로써, 현재 가장 널리 활용되는 것이 지문 인식 기술이다. 지문은 사람 마다 유일하다는 점을 근거로, 개인을 식별하는 것이다.
하지만, 최근 실리콘에 지문을 찍어 가짜 손가락을 만들고, 이를 이용하여 부정한 지문 인식을 하였다는 뉴스를 통해 알 수 있듯, 지문 인식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부정한 개인 인증이 불가능한 보다 개선된 방식의 생체 정보를 이용한 생체인식 기법이 필요한 이유이다.
이에, MSP(Multispectral Skin Photomatrics) 기반의 생체인식 기술이 개발되었다. 이를 위해서는 생체인식 장치를 손목에 착용하여 생체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등록된 생체정보와 비교하여야 한다.
하지만, 착용할 때마다 생체인식 장치의 위치가 달라 개인 식별 결과가 잘못되고, 검출시에 발생할 수 있는 잡음/오류에 의해 개인 식별 결과가 잘못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잡음/오류에 강건한 개인 식별을 위한 방안으로, MSP 기반 생체인식 장치에 의해 검출된 개인 피부 속 광학 패턴을 변조하여 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인식 방법은, 사용자의 손목에 광을 조사하는 단계; 제1 사이즈의 검출기 어레이로 손목을 확산반사한 광을 검출하여, 광 검출 패턴을 등록하는 단계; 사용자의 손목에 광을 조사하는 단계; 제2 사이즈의 검출기 어레이로 손목을 확산반사한 광을 검출하여, 광 검출 패턴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광 검출 패턴을 변조하는 제1 변조단계; 등록된 광 검출 패턴을 변조하는 제2 변조단계; 제1 변조단계에서 변조된 측정된 광 검출 패턴과 제2 변조단계에서 변조된 등록된 광 검출 패턴을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변조 단계는, 측정된 광 검출 패턴을 구성하는 광 검출 데이터들을 각각 제곱하여 변조하고, 제2 변조 단계는, 등록된 광 검출 패턴을 구성하는 광 검출 데이터들을 각각 제곱하여 변조할 수 있다.
또한, 제1 변조 단계는, 측정된 광 검출 패턴을 구성하는 광 검출 데이터들을 측정된 광 검출 패턴 상에서의 좌표에 따라 가변되는 가중치를 적용하여 변조하고, 제2 변조 단계는, 등록된 광 검출 패턴을 구성하는 광 검출 데이터들을 등록된 광 검출 패턴 상에서의 좌표에 따라 가변되는 가중치를 적용하여 변조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사이즈의 검출기 어레이는, X*Y 매트릭스 형태의 검출기들이고, 제2 사이즈의 검출기 어레이는, S*T 매트릭스 형태의 검출기들이며, X>S이고 Y>T이고, X*Y 패턴 매트릭스와 S*T 패턴 매트릭스의 셀 중심 간 간격은, 검출기들 간 간격일 수 있다.
또한, 등록된 광 검출 패턴은, 광 검출 데이터들이 나열된 X*Y 패턴 매트릭스이고, 측정된 광 검출 패턴은, 광 검출 데이터들이 나열된 S*T 패턴 매트릭스일 수 있다.
그리고, 비교단계는, S*T 패턴 매트릭스를 X*Y 패턴 매트릭스에서 셀 단위로 가로 세로 스캔하면서, S*T 패턴 매트릭스와 X*Y 패턴 매트릭스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비교단계는, S*T 패턴 매트릭스와 X*Y 패턴 매트릭스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되면, S*T 패턴 매트릭스를 X*Y 패턴 매트릭스에서 1/n 셀 단위로 가로 세로 스캔하면서, S*T 패턴 매트릭스와 X*Y 패턴 매트릭스를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비교단계는, S*T 패턴 매트릭스와 X*Y 패턴 매트릭스가 일치한다고 판별될 때까지, n을 증가시면서 가로 세로 스캔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비교단계는, n이 k가 되면, S*T 패턴 매트릭스와 X*Y 패턴 매트릭스가 불일치한다고 판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인증 시스템은, 사용자의 손목에 광을 조사하고, 제1 사이즈의 검출기 어레이로 손목을 확산반사한 광들을 검출하여, 광 검출 패턴을 하기 서버에 등록하는 생체정보 등록 장치; 사용자의 손목에 광을 조사하고, 제2 사이즈의 검출기 어레이로 손목을 확산반사한 광들을 검출하여, 광 검출 패턴을 측정하는 생체인식 장치; 및 생체인식 장치에서 측정된 광 검출 패턴을 변조하고, 등록된 광 검출 패턴을 변조하며, 변조된 측정된 광 검출 패턴과 변조된 등록된 광 검출 패턴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등록 장치는, 사용자의 손목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 어레이; 손목을 확산반사한 광들을 검출하는 제1 사이즈의 검출기 어레이; 및 제1 사이즈의 검출기 어레이에서의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광 검출 패턴을 생성하여 서버로 전송하여 등록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서버는, 사용자의 손목에 광을 조사하고, 제2 사이즈의 검출기 어레이로 손목을 확산반사한 광들을 검출하여, 측정된 광 검출 패턴을 수신하고, 수신된 측정된 광 검출 패턴과 등록된 광 검출 패턴을 변조하고, 변조된 측정된 광 검출 패턴과 변조된 등록된 광 검출 패턴을 비교하며,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인식 장치는, 사용자의 손목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 어레이; 손목을 확산반사한 광들을 검출하는 제2 사이즈의 검출기 어레이; 및 제2 사이즈의 검출기 어레이에서의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광 검출 패턴을 측정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서버는, 사용자의 손목에 광을 조사하고, 제1 사이즈의 검출기 어레이로 손목을 확산반사한 광들을 검출하여 측정된 광 검출 패턴을 등록하고, 수신된 측정된 광 검출 패턴과 등록된 광 검출 패턴을 변조하고, 변조된 측정된 광 검출 패턴과 변조된 등록된 광 검출 패턴을 비교하며,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MSP 기반 생체인식 장치에 의해 검출된 개인 피부 속 광학 패턴을 변조하여 처리함으로써, 잡음/오류에 강건한 개인 식별이 가능해진다.
도 1 내지 도 4는, 다수의 광원을 이용한 수평적 생체인식의 개념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패턴 매트릭스의 개념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8 및 도 9는, 착용 위치 보정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10 내지 도 11은, 패턴 매트릭스의 변조에 대한 개념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12 및 도 13은, 패턴 매트릭스를 변조한 경우의 착용 위치 보정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S 기반 개인인증 시스템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 15 및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생체인식 장치의 상세 블럭도들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가능한 MSP(Multispectral Skin Photomatrics) 기반의 생체인식의 개념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에는 LED(Light Emitting Diode)-어레이들(220-1, 220-2)이 나열되고, 바깥쪽에는 PD(Photo Diode)-어레이들(230-1, 230-2)이 나열되어 있다.
LED-어레이들(220-1, 220-2)과 PD-어레이들(230-1, 230-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인식 장치에 마련되는 소자들이다. 생체인식 장치는 인체의 피부에 부착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들는 피부에 광을 조사하고, PD들은 피부를 확산반사한 광을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1) PD-1은, LED-1에서 조사되어 피부를 확산반사한 광 및 LED-2에서 조사되어 피부를 확산반사한 광을 검출하고,
2) PD-2도, LED-1에서 조사되어 피부를 확산반사한 광 및 LED-2에서 조사되어 피부를 확산반사한 광을 검출한다.
LED-어레이-1(220-1)의 파장과 LED-어레이-2(220-2)의 파장을 다르게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테면, LED-어레이-1(220-1)를 구성하는 LED들은 Red-LED들로 구현하고, LED-어레이-2(220-2)를 구성하는 LED들은 Blue-LED들로 구현할 수 있다.
나아가, LED-어레이(220-1, 220-2)를 구성하는 각각의 LED들을 다양한 파장들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를 테면, LED-어레이-1(220-1)을, IR-LED, Red-LED, Green-LED, Blue-LED를 반복 배치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이는 LED-어레이-2(220-2)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은 구현을 도 3에 예시하였다.
LED-어레이(220-1, 220-2)가 각각 N 개의 LED들로 구성되고, PD-어레이(230-1, 230-2)가 각각 N 개의 PD들로 구성된다고 하면, LED들을 M 가지로 조합하여, M 개의 광 검출 패턴을 얻을 수 있게 된다. 1개의 광 검출 패턴은 2N 개의 광 검출 데이터들을 포함한다. M 개의 광 검출 패턴을 이용하는 것이, 1개의 광 검출 패턴을 이용하는 것보다, 생체인식의 정확도는 더욱 높아진다.
생체인식 시, LED 조합은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 IR-LED과 Red-LED 만을 On 하여, 첫 번째의 광 검출 패턴을 생성,
2) IR-LED과 Green-LED 만을 On 하여, 두 번째의 광 검출 패턴을 생성,
3) IR-LED과 Blue-LED 만을 On 하여, 세 번째의 광 검출 패턴을 생성,
4) Red-LED과 Green-LED 만을 On 하여, 네 번째의 광 검출 패턴을 생성,
...
M) IR-LED, Red-LED 및 Green-LED 만을 On 하여 M 번째의 광 검출 패턴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M*2N 개의 광 검출 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되며, 이는 M 개의 광 검출 패턴에 해당한다. 하나의 광 검출 패턴은 2N 개의 광 검출 데이터들로 구성된다.
한편, 사용자 마다 피부 상태(주름, 건피 두께/밀도, 진피 두께/밀도 등)와 피부 내 조직 상태(혈관 위치/형상, 근육 위치/형상)가 다르기 때문에, M 개의 광 검출 패턴은 생체인식에 이용할 수 있다.
즉, M 개의 광 검출 패턴을 개인 별로 저장하여 DB를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생체인식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LED-어레이와 PD-어레이의 배열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경우, 생체인식 장치에서 PD들은 S*T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다.
그리고, 이 경우 1개의 광 검출 패턴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릭스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지시와 표기의 편의를 위해, 도 6에서 매트릭스 형태로 표현한 광 검출 패턴을 패턴 매트릭스로 지칭한다.
도 6에 도시된 패턴 매트릭스는 광 검출 데이터들을 PD들의 배열에 따라 매칭시킨 이미지 정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패턴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셀들의 중심들은 해당 PD들의 중심들과 일치한다. 또한, 패턴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셀들의 중심 간 거리는 해당 PD들 간의 거리와 일치한다.
LED들을 M 가지로 조합하여 M 개의 광 검출 패턴을 획득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패턴 매트릭스도 M 개가 생성된다.
생성된 M 개의 패턴 매트릭스들은 DB에 등록되어 있는 M 개의 패턴 매트릭스들과 각각 비교되어, 일치도를 기초로 개인 식별 절차가 수행된다.
생체인식 장치에서 측정을 통해 생성된 패턴 매트릭스와 DB에 등록되어 있는 패턴 매트릭스를 구분하여 표기하기 위해, 전자는 측정 패턴 매트릭스로, 후자는 등록 패턴 매트릭스로, 각각 표기한다.
측정 패턴 매트릭스는 도 6에 예시되어 있고, 등록 패턴 매트릭스은 도 7에 예시되어 있다. 도 6과 도 7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등록 패턴 매트릭스의 사이즈는 측정 패턴 매트릭스의 사이즈 보다 크다. 즉, "X>S"이고, "Y>T"이다.
이하에서, 측정 패턴 매트릭스와 등록 패턴 매트릭스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에 대해,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 및 도 9에는 착용 위치를 보정하면서 측정 패턴 매트릭스와 등록 패턴 매트릭스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에 나타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측정 패턴 매트릭스(S*T)를 등록 패턴 매트릭스(X*Y)에서 셀 단위(PD들 간 간격)로 가로 세로 이동(shift) 스캔하면서, 패턴 매트릭스들을 비교하면서 일치하는지 판별한다.
가로 스캔 범위는 1 ~ (Y-T) 이고, 세로 스캔 범위는 1 ~ (X-S) 이므로, 최대 비교 횟수는 (Y-T)*(X-S) 회이다.
스캔 중에 패턴 매트릭스들이 일치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다음 광원 조합에 대한 측정 패턴 매트릭스와 등록 패턴 매트릭스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별하는 절차가 개시된다.
만약, 스캔이 완료되었음에도, 패턴 매트릭스들이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측정 패턴 매트릭스(S*T)를 등록 패턴 매트릭스(X*Y)에서 1/2 셀 단위(PD들 간 간격의 1/2) 가로 세로 이동 스캔하면서, 패턴 매트릭스들을 비교하면서 일치하는지 판별한다.
스캔 중에 패턴 매트릭스들이 일치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다음 광원 조합에 대한 측정 패턴 매트릭스와 등록 패턴 매트릭스를 셀 단위로 가로 세로 이동 스캔하면서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별하는 절차가 개시된다.
반면, 스캔이 완료되었음에도, 패턴 매트릭스들이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되면, 측정 패턴 매트릭스(S*T)를 등록 패턴 매트릭스(X*Y)에서 1/4 셀 단위(PD들 간 간격의 1/4) 가로 세로 이동 스캔하면서, 패턴 매트릭스들을 비교하면서 일치하는지 판별한다.
그래도, 패턴 매트릭스들이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되면, 1/8 셀 단위(PD들 간 간격의 1/8), 1/16 셀 단위(PD들 간 간격의 1/16), 1/32 셀 단위(PD들 간 간격의 1/32), 1/64 셀 단위(PD들 간 간격의 1/64), 1/128 셀 단위(PD들 간 간격의 1/128)로 바꾸어 가면서 가로 세로 이동 스캔을 수행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패턴 매트릭스들이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되면, 측정 패턴 매트릭스(S*T)와 등록 패턴 매트릭스(X*Y)는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취급하고, 다음 광원 조합에 대한 측정 패턴 매트릭스와 등록 패턴 매트릭스를 셀 단위로 가로 세로 이동 스캔하면서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별하는 절차를 개시한다.
측정 패턴 매트릭스와 등록 패턴 매트릭스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별하는 것은, 패턴 매트릭스들을 신호 처리하여 변조하고, 변조된 패턴 매트릭스들에 대해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테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 패턴 매트릭스의 광 검출 데이터들을 각각 제곱하여 측정 패턴 매트릭스를 변조하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록 패턴 매트릭스의 광 검출 데이터들을 각각 제곱하여 등록 패턴 매트릭스를 변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변조된 패턴 매트릭스들을 이용하여 착용 위치를 보정하는 방법을 도 12 및 도 13에 제시하였는데, 변조되지 않은 패턴 매트릭스들을 이용하여 착용 위치를 보정하는 방법과 동등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패턴 매트릭스들을 변조하면, 광 검출 데이터들 간의 분해능(resolution)이 증가하여, 잡음/오류에 강건한 개인 식별에 기여할 수 있다.
한편, 패턴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광 검출 데이터의 변조 방식은 제곱 연산이 아닌 다른 연산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를 테면, 다음의 수학식에 따라 변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측정 패턴 매트릭스 : Rab ← wR(a,b)*Rab
등록 패턴 매트릭스 : Dab ← wD(a,b)*Dab
이는, 광 검출 데이터의 패턴 매트릭스 상의 위치 (a,b)에 따라 가변하는 가중치를 적용하는 변조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광 검출 데이터의 변조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측정 패턴 매트릭스 : Rab ← FR(Rab)
등록 패턴 매트릭스 : Dab ← FD(Dab)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S 기반 개인인증 시스템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인증 시스템은, 생체정보 등록 장치(100), 생체인식 장치(200), 스마트폰(300) 및 개인인증 서버(400)를 포함한다.
생체정보 등록 장치(100)는 사용자에 대한 등록 패턴 매트릭스(X*Y)들을 생성하여 개인인증 서버(400)에 등록한다.
생체인식 장치(200)는 사용자에 대한 측정 패턴 매트릭스(S*T)들을 생성하여 스마트폰(300)을 통해 개인인증 서버(400)에 전송한다.
개인인증 서버(400)는 생체정보 등록 장치(100)에 의해 생성된 등록 패턴 매트릭스(X*Y)들을 변조하여 생체정보(인증정보)로써 DB에 등록하고, 스마트폰(300)을 통해 생체인식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측정 패턴 매트릭스(S*T)들을 변조한 후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별하며, 판별 결과들을 이용하여 개인인증을 수행한다.
도 14에 도시된 생체인식 장치(20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210), LED 어레이(220), PD 어레이(230), LPF & Amp.(240), ADC(250), 제어기(260), 프로세서(270) 및 통신부(280)를 포함한다.
전원(210)은 정전압원 또는 정전류원으로 구현하며, LED 어레이(220)의 발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LED 어레이(220)와 PD 어레이(230)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LPF & Amp.(240)는 PD 어레이(230)에 의한 광 검출 결과인 광 전류에서 노이즈 제거를 위한 필터링을 수행하고, 필터링된 광 전류를 증폭하여, ADC(250)에 인가한다.
ADC(250)는 LPF & Amp.(24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광 전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270)에 인가한다.
프로세서(270)는 ADC(250)로부터 전달되는 광 전류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 패턴 매트릭스(S*T)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측정 패턴 매트릭스(S*T)들을 통신부(280)를 통해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한다.
제어기(260)는 LED 어레이(220)의 선별적인 구동 및 세기를 제어하고, PD 어레이(230)의 선별적인 구동을 제어한다. 즉, 제어기(260)는 LED 어레이(220)를 구성하는 LED들 중 일부만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기(260)는 LPF & Amp.(240)의 차단 주파수를 설정하고, 게인을 제어한다. 프로세서(270)는 제어기(260)에 편입될 수 있다.
생체정보 등록 장치(100)는 도 15에 도시된 생체인식 장치(200)와 거의 동일하게 구현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위 실시예에서, 등록 패턴 매트릭스(X*Y)와 측정 패턴 매트릭스(S*T)의 변조는 개인인증 서버(400)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상정하였으나,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개인인증 서버(400)가 아닌, 생체정보 등록 장치(100)에 의해 등록 패턴 매트릭스(X*Y)의 변조가 수행되고, 생체인식 장치(200)에 의해 측정 패턴 매트릭스(S*T)의 변조가 수행되도록,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6은 생체인식 장치(200)의 다른 예를 제시한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된 생체인식 장치(100)는 통신부(280)를 포함하지 않고, DB(290)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5에 도시된 생체인식 장치(200)와 차이가 있다.
DB(290)에는 변조된 등록 패턴 매트릭스(X*Y)들이 저장되어 있다.
도 16에 도시된 생체인식 장치(200)의 프로세서(270)는 ADC(250)로부터 전달되는 광 전류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 패턴 매트릭스(S*T)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측정 패턴 매트릭스(S*T)들을 변조하며, 변조된 측정 패턴 매트릭스(S*T)들을 DB(280)에 저장된 변조된 등록 패턴 매트릭스(X*Y)들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별하여, 판별 결과들을 이용하여 개인인증을 수행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200 : 생체인식 장치 210 : 전원
220 : LED 어레이 230 : PD 어레이
240 : LPF & Amp. 250 : ADC
260 : 제어기 270 : 프로세서
280 : 통신부 290 : DB

Claims (12)

  1. 사용자의 손목에 광을 조사하는 단계;
    제1 사이즈의 검출기 어레이로 손목을 확산반사한 광을 검출하여, 광 검출 패턴을 등록하는 단계;
    사용자의 손목에 광을 조사하는 단계;
    제2 사이즈의 검출기 어레이로 손목을 확산반사한 광을 검출하여, 광 검출 패턴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광 검출 패턴을 변조하는 제1 변조단계;
    등록된 광 검출 패턴을 변조하는 제2 변조단계;
    제1 변조단계에서 변조된 측정된 광 검출 패턴과 제2 변조단계에서 변조된 등록된 광 검출 패턴을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사이즈의 검출기 어레이는,
    X*Y 매트릭스 형태의 검출기들이고,
    제2 사이즈의 검출기 어레이는,
    S*T 매트릭스 형태의 검출기들이며,
    X>S이고 Y>T이고,
    X*Y 패턴 매트릭스와 S*T 패턴 매트릭스의 셀 중심 간 간격은,
    검출기들 간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식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변조 단계는,
    측정된 광 검출 패턴을 구성하는 광 검출 데이터들을 각각 제곱하여 변조하고,
    제2 변조 단계는,
    등록된 광 검출 패턴을 구성하는 광 검출 데이터들을 각각 제곱하여 변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식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변조 단계는,
    측정된 광 검출 패턴을 구성하는 광 검출 데이터들을 측정된 광 검출 패턴 상에서의 좌표에 따라 가변되는 가중치를 적용하여 변조하고,
    제2 변조 단계는,
    등록된 광 검출 패턴을 구성하는 광 검출 데이터들을 등록된 광 검출 패턴 상에서의 좌표에 따라 가변되는 가중치를 적용하여 변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식 방법.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등록된 광 검출 패턴은,
    광 검출 데이터들이 나열된 X*Y 패턴 매트릭스이고,
    측정된 광 검출 패턴은,
    광 검출 데이터들이 나열된 S*T 패턴 매트릭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식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비교단계는,
    S*T 패턴 매트릭스를 X*Y 패턴 매트릭스에서 셀 단위로 가로 세로 스캔하면서, S*T 패턴 매트릭스와 X*Y 패턴 매트릭스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식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비교단계는,
    S*T 패턴 매트릭스와 X*Y 패턴 매트릭스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되면, S*T 패턴 매트릭스를 X*Y 패턴 매트릭스에서 1/n 셀 단위로 가로 세로 스캔하면서, S*T 패턴 매트릭스와 X*Y 패턴 매트릭스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식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비교단계는,
    S*T 패턴 매트릭스와 X*Y 패턴 매트릭스가 일치한다고 판별될 때까지, n을 증가시면서 가로 세로 스캔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식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비교단계는,
    n이 k가 되면, S*T 패턴 매트릭스와 X*Y 패턴 매트릭스가 불일치한다고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식 방법.
  10. 사용자의 손목에 광을 조사하고, 제1 사이즈의 검출기 어레이로 손목을 확산반사한 광들을 검출하여, 광 검출 패턴을 하기 서버에 등록하는 생체정보 등록 장치;
    사용자의 손목에 광을 조사하고, 제2 사이즈의 검출기 어레이로 손목을 확산반사한 광들을 검출하여, 광 검출 패턴을 측정하는 생체인식 장치; 및
    생체인식 장치에서 측정된 광 검출 패턴을 변조하고, 등록된 광 검출 패턴을 변조하며, 변조된 측정된 광 검출 패턴과 변조된 등록된 광 검출 패턴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제1 사이즈의 검출기 어레이는,
    X*Y 매트릭스 형태의 검출기들이고,
    제2 사이즈의 검출기 어레이는,
    S*T 매트릭스 형태의 검출기들이며,
    X>S이고 Y>T이고,
    X*Y 패턴 매트릭스와 S*T 패턴 매트릭스의 셀 중심 간 간격은,
    검출기들 간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인증 시스템.
  11. 사용자의 손목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 어레이;
    손목을 확산반사한 광들을 검출하는 제1 사이즈의 검출기 어레이; 및
    제1 사이즈의 검출기 어레이에서의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광 검출 패턴을 생성하여 서버로 전송하여 등록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서버는,
    사용자의 손목에 광을 조사하고, 제2 사이즈의 검출기 어레이로 손목을 확산반사한 광들을 검출하여, 측정된 광 검출 패턴을 수신하고,
    수신된 측정된 광 검출 패턴과 등록된 광 검출 패턴을 변조하고, 변조된 측정된 광 검출 패턴과 변조된 등록된 광 검출 패턴을 비교하며,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제1 사이즈의 검출기 어레이는,
    X*Y 매트릭스 형태의 검출기들이고,
    제2 사이즈의 검출기 어레이는,
    S*T 매트릭스 형태의 검출기들이며,
    X>S이고 Y>T이고,
    X*Y 패턴 매트릭스와 S*T 패턴 매트릭스의 셀 중심 간 간격은,
    검출기들 간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등록 장치.
  12. 사용자의 손목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 어레이;
    손목을 확산반사한 광들을 검출하는 제2 사이즈의 검출기 어레이; 및
    제2 사이즈의 검출기 어레이에서의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광 검출 패턴을 측정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서버는,
    사용자의 손목에 광을 조사하고, 제1 사이즈의 검출기 어레이로 손목을 확산반사한 광들을 검출하여 측정된 광 검출 패턴을 등록하고,
    수신된 측정된 광 검출 패턴과 등록된 광 검출 패턴을 변조하고, 변조된 측정된 광 검출 패턴과 변조된 등록된 광 검출 패턴을 비교하며,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제1 사이즈의 검출기 어레이는,
    X*Y 매트릭스 형태의 검출기들이고,
    제2 사이즈의 검출기 어레이는,
    S*T 매트릭스 형태의 검출기들이며,
    X>S이고 Y>T이고,
    X*Y 패턴 매트릭스와 S*T 패턴 매트릭스의 셀 중심 간 간격은,
    검출기들 간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식 장치.
KR1020170064061A 2017-05-24 2017-05-24 개인 피부 속 광학 패턴인식 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 KR101901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061A KR101901519B1 (ko) 2017-05-24 2017-05-24 개인 피부 속 광학 패턴인식 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
PCT/KR2018/005817 WO2018216997A1 (ko) 2017-05-24 2018-05-23 개인 피부 속 광학 패턴인식 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061A KR101901519B1 (ko) 2017-05-24 2017-05-24 개인 피부 속 광학 패턴인식 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1519B1 true KR101901519B1 (ko) 2018-09-28

Family

ID=63721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4061A KR101901519B1 (ko) 2017-05-24 2017-05-24 개인 피부 속 광학 패턴인식 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01519B1 (ko)
WO (1) WO201821699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758B1 (ko) * 2019-03-21 2019-10-21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바이오 시그널 가시화 시스템 및 유효 패턴 추출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3598A (ja) * 2007-04-06 2008-10-23 Seiko Epson Corp 生体認証装置及び生体認証方法
JP2013196152A (ja) 2012-03-16 2013-09-30 Eizaburo Iwata 個人認証方法及び個人認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3444A (ko) * 2005-02-21 2006-08-25 (주)링스텔레콤 손의 정맥 패턴을 이용한 개인 인식 장치
KR101109237B1 (ko) * 2009-09-16 2012-01-30 삼성전기주식회사 생체인증 장치
KR101729563B1 (ko) * 2015-02-13 2017-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의 생체 인증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3598A (ja) * 2007-04-06 2008-10-23 Seiko Epson Corp 生体認証装置及び生体認証方法
JP2013196152A (ja) 2012-03-16 2013-09-30 Eizaburo Iwata 個人認証方法及び個人認証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758B1 (ko) * 2019-03-21 2019-10-21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바이오 시그널 가시화 시스템 및 유효 패턴 추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16997A1 (ko) 2018-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2753B1 (ko) 지문 식별방법 및 이의 지문 식별장치
US9165178B2 (en) Determination device, fingerprint input device, determination method and determination program for detecting the forgery of a finger
EP1835438B1 (en) Fingerprint authenticating system
KR101720957B1 (ko) 지문과 지정맥을 동시에 인증하는 다면 입체 촬영장치
US770869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blood flow
US7925056B2 (en) Optical speckle pattern investigation
EP3319009B1 (en) Living body recognition apparatus, living body recognition method and living body authentication system
KR102009000B1 (ko) 지문 센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안티-스푸핑 방법 및 시스템
KR102146089B1 (ko) 지문 센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안티-스푸핑 방법 및 시스템
KR101672541B1 (ko) 지문과 지정맥을 동시에 인증하는 3d 입체 촬영장치
KR101701559B1 (ko) 화상 보정 장치, 화상 보정 방법 및 생체 인증 장치
KR101469294B1 (ko) 신체 자국 이미지의 광학적 포착에 의한 개인 식별 방법 및 장치
US8942439B2 (en) Fingerprint authentication system, fingerprint authentication method, and fingerprint authentication program
KR102635069B1 (ko) 단일-픽셀 센서
KR102643438B1 (ko) 가짜 핑거프린트를 검출하는 방법
WO2008109507A1 (en) Skin detection sensor
US10380408B2 (en) Method of detecting fraud
KR101901519B1 (ko) 개인 피부 속 광학 패턴인식 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
US20240081649A1 (en) 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registration process in the wearable device
KR101757592B1 (ko) Msp 기반 생체인식 장치의 착용 위치 보정 방법
KR101842771B1 (ko) Msp 기반 수평-수직 생체인식 장치 및 방법
KR101792014B1 (ko) 지정맥1과 지정맥2의 알고리즘을 동시에 연동시키는 입출력 통합모듈
KR101068397B1 (ko) 위조지문 검출이 가능한 광학식 지문입력 장치
KR20120076984A (ko) 지정맥 다중 인증 장치
KR20200002128A (ko) 순차 스캔 방식의 피부 광학 패턴 기반 개인 생체인증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