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9294B1 - 신체 자국 이미지의 광학적 포착에 의한 개인 식별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신체 자국 이미지의 광학적 포착에 의한 개인 식별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9294B1
KR101469294B1 KR1020097020071A KR20097020071A KR101469294B1 KR 101469294 B1 KR101469294 B1 KR 101469294B1 KR 1020097020071 A KR1020097020071 A KR 1020097020071A KR 20097020071 A KR20097020071 A KR 20097020071A KR 101469294 B1 KR101469294 B1 KR 101469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body part
individual
data
capt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0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7407A (ko
Inventor
줄리엔 브링거
허베 차벤느
허베 자로스
Original Assignee
모르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르포 filed Critical 모르포
Publication of KR20090127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7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24Sensors therefor by using geometrical optics, e.g. using pris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47Preprocessing; Feature extr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4Vascular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 Image Input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 Holo 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 자국 이미지와 기저 정맥망의 포착에 의한 개인 식별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는, 신체 부위(1)의 병치를 위한 대면(large side, 17)과; 전반사로 대면을 조사하는 제1 조명 수단(7)에 의해 방출된 제1 파장을 갖는 제1 복사를 수신하는 제1 경사 측면(19)과; 신체 자국의 이미지를 운반하는 제1 반사된 복사를 수신하는 제1 센서(6a)와 마주하는 제2 경사 측면(20)과; 제2 조명 수단(8)에 의해 방출된 제2 파장을 가지며 병치 영역에 수직으로 도달하여 신체 부위를 관통하는 제2 복사를 수신하는 소면(small side, 18)을 갖는 프리즘 광학 요소(16)를 포함한다.
개인 식별, 신체 자국, 정맥망, 병치 영역, 프리즘 광학 요소

Description

신체 자국 이미지의 광학적 포착에 의한 개인 식별 방법 및 장치{METHOD AND EQUIPMENT FOR THE IDENTIFICATION OF AN INDIVIDUAL BY OPTICAL CAPTURE OF A BODY IMPRINT IMAGE}
본 발명은, 대체로, 신체 자국 이미지의 광학적 포착, 특히, 개인의 신체 부위에서 지문(fingerprint)을 광학적으로 포착하고, 이 이미지를 처리하여 신체 자국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얻고, 포착된 신체 자국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개인을 식별하는 분야에 관한 것이다.
신체 부위로부터 취해진 신체 자국의 기록에 의한 개인의 식별, 특히, 가장 흔하게는, 손가락들 중 하나의 말단 방진으로부터 취해진 지문에 의한 개인의 식별에는 다양한 어려움이 있다.
신체 자국을 포착할 때, 한 문제는, 특히 지문을 포착하는 경우에, "모델 핑거" 기술이라 불리는 가짜 신체 자국 기술에 의한 이루어지는 사기에 대항하는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사기를 검출할 수 있는 해결책은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어, 출원인에 의한 문서 FR 2 881 856호와 FR 06 09629를 참조)
신체 자국을 포착할 때, 또 다른 문제는, 신체 자국을 지닌 신체 부위와, 메모리에 유지되는 이미지를 제공하는 선행하는 (등록 단계라고 불리는) 등록 포착 동안에 채택된 기준 위치 사이에서 위치 편차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신체 자국의 포착된 이미지와 신체 자국의 저장된 이미지의 비교를 가능케하는 개인 식별을 위한 기술적 해결책이 공지되어 있다. 여기서, 이들 두 이미지는 엄격하게는 일치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데이터의 처리는 매우 복잡하고 길다.
명백히,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체 자국이 취해질 신체 부위 상에서 하나 이상의 기준 마크를 예상해 볼 수 있다. 이 방식에서, 상기 신체 부위를, 예를 들어, 미리결정된 공동 위치(예를 들어, 평행 위치)의 2개의 라인과 같은, 하나 이상의 가시적 또는 비가시적 마크로 마킹하는 준비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변경불가능한 마크를 얻기 위해 절개를 행하여 신체를 마킹하는 것은 예견할 수 없으며, 예를 들어, 아마도 지울수 없는 잉크로 마킹을 행하여야 할 것이다. 이 해결책의 단점은, 이들 마크는 그 수명이 제한적이고, 그 적용도 소규모일 것이라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신체 부위에 존재하는 적은 수의 특징점들(예를 들어, 지문의 세부점 및 델타) 검출하는 것을 예상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준 마크는 너무 부정확하고, 이를 이용하기 위해 과도하게 복잡하고 긴 데이터 처리를 요구한다.
역시 또 다른 문제는, 신체 부위로부터 취해진 신체 자국의 포착된 이미지를 많은 수의 저장된 신체 자국 이미지를 포함하는 수집본으로부터의 저장된 신체 자국 이미지와 비교하여 개인을 식별할 때 발생한다. 이러한 선택 프로세스는, 처리되어야 할 데이터 항목들의 수가 너무 많아서, 길어진다. 포착된 신체 자국 이미지와의 비교를 최종적으로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제한된 갯수의 저장된 신체 자국 이미지의 더 빠른 예비선택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케하는 또 다른 식별 기준을 구현함으로써 이 프로세스를 가속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어, 출원인에 의한 문서 FR 2 810 226호를 참조).
전술된 내용으로부터, 전술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적 장치들이 공지되어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현재의 공지된 해결책들의 단점은, 이들 공지된 기술이 특정 문제를 개별적으로 처리하는데는 적합하지만, 동시에 발생된 전술된 문제점 모두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개개의 해결책들의 병렬 구현이 수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대안은, 구현될 수단이 너무 많고, 추가 비용과 처리 시간의 가중(또는 처리 시간의 불충분한 이득)으로 인해 만족스럽지 못하다.
게다가, 기술된 각각의 문제점들을 처리하기 위한 현재까지의 공지된 해결책들은 분명 존재 가치가 있고, 얻어지는 결과에 관한 한 기술적 관점에서 만족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들은 데이터 처리 속도와 비용 요건(최소 갯수의 수단 구현)을 최상으로 만족하지는 못한다
전술된 단점들을 치유하기 위해, 개인의 신체 부위의 기저 정맥망의 포착을 추가로 이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문서 WO 2006/043252호로부터, 신체 부위로부터 신체 자국을 기록함으로써, 특히, 지문을 기록함으로써 개인을 식별하기 위한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개인의 신체 부위로부터 신체 자국의 이미지, 특히 지문의 이미지를 광학적으로 포착하기 위한 수단과, 개인의 신체 부위의 정맥망의 적어도 일부의 이미지와 기저 신체 자국을 광학적으로 포착하기 위한 수단과, 2개의 별개 파장을 갖는 2개의 광 복사를 포함하는 2개의 광 빔을 방출할 수 있는 2개의 조명 수단과, 각각의 파장과 관련하여 2개의 이미지를 포착할 수 있는 감지 수단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 문서는 이와 같은 시스템의 구조에 관한 어떠한 정보도 제공하지 않고 있는데, 실제의 시행에서는, 가능한한 간단하고 컴팩트하며 비용이 저렴한 시스템이 요구된다.
또한, 전술된 공지된 시스템은, 신체 자국의 포착 및 기저 정맥망의 포착이라는 듀얼 바이오메트릭 제어를 수행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신체 자국을 포착할 때 발생하는 한 곤란한 점은, 개인 식별 목적으로 포착할 때, 신체 부위(예를 들어, 손가락 끝)는, 그 개인의 초기 등록시 포착 동안의 위치와 정확히 동일하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저장된 이미지와 관련하여 포착된 이미지를 위치재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문서 WO 2006/043252호는 이 문제를 기술하지 않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어떠한 해결책도 제안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제 시행의 이들 필요성을 만족시키고, 구현되는 수단의 비용을 저감시키며, 포착된 이미지와 저장된 이미지의 정합을 단순화하고, 그에 따라 적어도 소정 범위까지 데이터 처리를 가속하도록하여, 전술된 문제점의 해결에 있어서 만족을 제공하는 해결책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그 양태들 중 하나에 따른 본 발명은 신체 부위에서 신체 자국, 특히 지문을 기록함으로써 개인을 식별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개인의 신체 부위로부터 신체 자국, 특히 지문의 이미지를 광학적으로 포착하기 위한 수단과, 개인의 신체 부위의 정맥망의 적어도 일부와 기저 신체 자국의 이미지를 광학적으로 포착하기 위한 수단과, 2개의 별개 파장을 갖는 2개의 광 복사를 포함하는 2개의 광 빔을 각각 방출할 수 있는 2개의 조명 수단과, 각각의 파장과 관련하여 2개의 이미지를 포착할 수 있는 감지 수단을 포함한다. 이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라 배열되며,
- 적어도 일부가 개인의 신체 부위의 병치 영역(apposition region)으로 구성된 대면(large face)을 갖는 프리즘 광학 요소와;
- 상기 프리즘 광학 요소의 제1 경사 측면에 마주하여 배열되며 제1 파장을 갖는 제1 광 복사를 방출할 수 있는 제1 조명 수단으로서, 상기 제1 조명 수단에 의해 방출된 제1 복사는 전반사할 수 있는 입사각으로 상기 병치 영역에 도달하도록 상기 프리즘 광학 요소를 통과하는 것인, 상기 제1 조명 수단과;
- 상기 제1 경사 측면에 마주하는 상기 프리즘 광학 요소의 제2 경사 측면에 마주하여 배열되며 상기 제1 복사에 감응하는 제1 센서로서, 상기 프리즘 광학 요소의 상기 대면에 의해 반사되며 개인의 신체 부위가 상기 병치 영역에 가해질 때 신체의 자국의 이미지를 운반하는 상기 제1 복사를 수신하는 상기 제1 센서와;
- 상기 프리즘 광학 요소의 소면(small face)에 마주하여 배열되며 제2 파장을 갖는 제2 광 복사를 방출할 수 있는 제2 조명 수단으로서, 상기 제2 조명 수단에 의해 방출된 제2 복사는 상기 프리즘 광학 요소를 통과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상기 병치 영역에 도달하고, 개인의 신체 부위가 상기 병치 영역에 가해질 때 그 신체 부위를 관통할 수 있는 것인, 상기 제2 조명 수단과;
상기 프리즘 광학 요소의 상기 소면과 마주하여 배열되며 상기 제2 복사에 감응하는 제2 센서로서, 개인의 신체 부위가 상기 병치 영역에 가해질 때 기저 정맥망의 적어도 일부의 이미지를 운반하는 반사된 상기 제2 복사를 수신하는 상기 제2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설계가 간단하고, 컴팩트하게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에, 부피가 적고 설치가 용이하며 비용이 적다는 실용적 기대를 만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광 복사가 상기 제2 경사 측면에 도달하기 이전에 복수의 반사를 겪도록 프리즘 광학 요소가 연장되는 것이 유익하다.
양호하게는, 듀얼 포착 동작의 지속 기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신체 부위의 신체 자국의 이미지를 광학적으로 포착하기 위한 수단과, 개인의 신체 부위의 정맥망의 적어도 일부의 이미지를 광학적으로 포착하기 위한 수단을 동시에 제어하기 위한 준비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소정 유형의 전자기 복사(특히 근적외선)는 신체 조직을 관통하지만 헤모글로빈에 의해 반사된다는 사실에 기초하고 있다. 파장과 입사각의 측면에서 적합한 조명을 구현함으로써, 개인 신체의 미리결정된 부위의 피하 정맥의 맵핑을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실용상, 본 발명의 범위에서, 피하 정맥에 대한 완벽한 맵핑 또는 너무 적은 기록은 쓸모 없다. 등록 단계 동안에 그 신체 부위의 위치에 관하여 신체 자국 포착 프로세스에 예속된 신체 부위의 위치를 리셋할 수 있으며, 반드시 실질적으로 평행한 기준 마킹 라인일 필요는 없는 양호하게는 2개의 라인, 또는 라인을 정의하는 기준 마킹 시스템을 발생시키도록 정맥망의 소수의 특징점을 식별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본 발명의 정황에서, 정맥망의 맵핑은, 개인의 식별을 위한 주요 기준으로서 신체 자국과 같은 수준으로 및 신체 자국과 병렬로 이용되지는 않다는 것을 강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정황에서, 병렬로 처리된 2개의 기준에 기초하여 식별을 행하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정맥망의 맵핑은 신체 자국 이미지의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보조적인 동작상의 기준으로서 이용될 뿐이어서, 결국 단일 식별 기준인 셈이다.
한 실용상의 실시예에서, 신체 자국 이미지를 포착하기 위해 한 파장은 적색(650 nm 정도)에 위치한다. 그리고, 다른 파장은 정맥망을 포착하기 위해 근적외선(950 nm 정도)에 위치한다.
전술된 시스템의 제1 실시예는,
개인의 신체 부위의 신체 자국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저장된 데이터와, 개인의 신체 부위의 정맥망의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저장된 데이터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쌍으로서, 신체 부위가 기준 위치로서 취해진 위치를 점유하는 동안 예비등록(또는 등록) 단계 동안에 데이터가 포착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쌍이 메모리에 저장되는 스토리지 수단과;
개인 식별을 위한 후속 단계 동안에 포착되고 저장되는, 개인 신체 부위의 정맥망의 포착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상기 정맥망으로부터의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고, 그로부터 앞서 정의된 기준 위치와 관련한 신체 부위의 실제 위치를 유추할 수 있는 제1 비교기 수단과;
개인 식별을 위해 상기 후속 단계 동안에 포착되고 저장되는, 개인 신체 부위의 신체 자국의 포착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상기 신체 자국의 저장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는 제2 비교기 수단으로서, 기준 위치와 관련한 상기 신체 부위의 위치를 고려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비교기 수단에 종속되어 배치되는, 상기 제2 비교기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시된 시스템의 제2 실시예는,
한 그룹의 각 개인의 신체 부위의 신체 자국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저장된 데이터와, 한 그룹의 개인들의 각 개인의 신체 부위의 정맥망의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저장된 데이터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쌍으로서, 각 개인의 신체 부위가 기준 위치로서 취해진 위치를 점유하는 동안 예비등록(또는 등록) 단계 동안에 데이터가 포착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쌍이 메모리에 저장되는 스토리지 수단과;
개인 식별을 위한 후속 단계 동안에 포착되는, 개인 신체 부위의 정맥망의 포착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상기 그룹의 개인들의 정맥망의 저장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와 비교하고, 상기 그룹의 개인들의 정맥망 이미지들의 저장된 데이터 중 어느 것이 개인의 정맥망의 포착된 데이터와 동일한지를 식별할 수 있는 제3 비교기 수단과;
개인 식별을 위한 상기 후속 단계 동안에, 개인의 정맥망 이미지의 포착된 데이터를, 상기 그룹의 개인들의 정맥망 이미지들의 상기 식별된 저장된 데이터 각각과 비교하고, 각 경우에서 상기 비교로부터 앞서 결정된 기준 위치와 관련한 신체 부위의 실제 위치를 유추할 수 있는 제1 비교기 수단과;
개인 식별을 위한 후속 단계 동안에, 개인 신체 자국으로부터 추출된 포착된 데이터를, 상기 그룹의 개인들의 정맥망 이미지의 상기 식별된 저장된 데이터와 연관된 신체 자국의 저장된 데이터 항목들 각각과 비교할 수 있는 제2 비교기 수단으로서, 각 경우에서 상기 기준 위치와 관련한 상기 신체 부위의 위치를 고려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비교기 수단에 종속되어 배치되는 상기 제2 비교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앞서 개시된 시스템의 제3 실시예는,
개인의 신체 부위의 신체 자국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저장된 데이터와, 신체 부위가 기준 위치로서 취해진 위치를 점유할 때 예비 등록(또는 등록) 단계 동안에 데이터가 포착되는, 개인의 신체 부위의 정맥망의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저장된 데이터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쌍이 메모리에 저장되는 스토리지 수단과;
개인을 식별하기 위해 후속 단계 동안에 포착된, 개인의 신체 부위의 정맥망의 포착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상기 정맥망으로부터의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며, 그로부터 앞서 정의된 기준 위치와 관련한 신체 부위의 실제 위치를 유추할 수 있는 비교기 수단과;
상기 비교기 수단에 종속되어 배치되며, 기준 위치와 관련한 신체 부위의 실제 위치를 고려하면서, 상기 후속 단계 동안에 포착된 개인의 신체 부위의 신체 자국의 포착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는 보정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두번째 양태에 따른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전술된 제1 실시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개인을 식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 개인의 신체 부위로부터 신체 자국, 특히, 지문의 이미지를 광학적으로 포착하고,
- 개인의 상기 신체 부위로부터 정맥망의 적어도 일부와 기저의 상기 신체 자국의 이미지를 병렬로 광학적으로 포착하며,
- 상기 신체 자국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얻기 위하여 상기 신체 자국 이미지를 처리하고,
- 개인을 식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정맥망의 포착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의 보조와 더불어 상기 신체 자국의 포착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으로 구성된 단계들을 포함하며,
- 개인의 예비등록(등록) 동안에, 신체 자국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저장된 데이터와, 상기 정맥망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저장된 데이터로 구성된 데이터 쌍이 각 개인의 신체 부위로부터 포착되어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포착시 상기 신체 부위는 기준 위치로서 취해진 위치를 점유하고,
그 다음, 후속하여, 개인을 식별하는 단계 동안에,
-- 신체 자국 이미지 및 정맥망 이미지가 개인의 신체 부위로부터 포착되고,
-- 정맥망의 포착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가 먼저 상기 정맥망으로부터의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되며,
-- 이 비교로부터, 앞서 결정된 기준 위치와 관련한 상기 신체 부위의 실제 위치가 유추되고,
-- 기준 위치와 관련된 신체 부위의 위치를 고려하여, 신체 자국의 포착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가 신체 자국으로부터의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전술된 제2 실시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개인 식별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 개인의 신체 부위로부터 신체 자국, 특히, 지문의 이미지를 광학적으로 포착하고,
- 개인의 신체 부위의 상기 영역으로부터의 정맥망의 적어도 일부와 기저 신체 자국의 이미지를 병렬로 광학적으로 포착하며,
- 신체 자국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얻기 위하여 상기 신체 자국 이미지를 처리하고,
- 개인을 식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정맥망의 포착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의 보조와 더불어 신체 자국의 포착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으로 구성된 단계들을 포함하며,
- 한 그룹의 개인들에 대한 예비등록(등록) 단계 동안에, 신체 자국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저장된 데이터와, 정맥망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저장된 데이터로 구성된 데이터 쌍이 각 개인의 신체 부위로부터 포착되어 메모리에 저장되고,
- 후속하여, 개인 식별 단계 동안에,
-- 신체 자국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와 정맥망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가 개인의 신체 영역으로부터 포착되고,
-- 개인의 정맥망으로부터 포착된 데이터가 상기 그룹의 개인들의 각 개인의 정맥망으로부터의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되며,
-- 상기 포착된 정맥망 데이터와 동일한 저장된 정맥망 데이터가 선택되고,
-- 선택된 상기 저장된 정맥망 데이터와 쌍을 이루는 저장된 신체 자국 데이터에 대해, 포착된 정맥망 데이터가 상기 정맥망의 상기 선택된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되고, 이로부터 앞서 결정된 기준 위치와 관련한 신체 부위의 실제 위치가 유추되며, 기준 위치와 관련한 신체 부위의 위치를 고려하면서, 포착된 신체 자국 데이터가 상기 정맥망의 상기 선택된 저장된 데이터와 연관된 저장된 신체 자국 데이터와 비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전술된 제3 실시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개인 식별을 위한 또 다른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이 방법은,
- 개인의 신체 부위로부터 신체 자국, 특히 지문의 이미지를 광학적으로 포착하고,
- 개인의 신체 부위로부터의 정맥망의 적어도 일부와 기저 신체 자국의 이미지를 병렬로 광학적으로 포착하며,
- 신체 자국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얻기 위해 신체 자국 이미지를 처리하고,
- 개인을 식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정맥망의 포착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의 보조와 더불어 신체 자국의 포착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으로 구성된 단계들을 포함하며,
- 개인의 예비등록(등록) 단계 동안에, 신체 자국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저장된 데이터와, 정맥망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저장된 데이터로 구성된 데이터 쌍이 각 개인의 신체 부위로부터 포착되어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신체 부위는 기준 위치로서 취해진 위치를 점유하며,
- 후속하여, 개인의 신체 자국을 기록하는 단계 동안에,
-- 신체 자국 이미지와 정맥망 이미지가 개인의 신체 부위로부터 포착되고,
-- 정맥망의 포착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가 상기 정맥망으로부터의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되며,
-- 이로부터, 앞서 결정된 기준 위치와 관련한 신체 부위의 실체 위치가 유추되고,
-- 기준 위치와 관련한 신체 부위의 실제 위치를 고려하면서, 포착된 신체 자국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위치재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된 3개의 방법들 중 하나의 양호한 구현예에서, 신체 자국 이미지 및 정맥망 이미지는 듀얼 포착의 지속 기간을 최소한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동시에 포착된다.
실용적 관점에서, 신체 영역은 2개의 별개 파장을 갖는 2개의 광 복사로 조사되고, 각 파장과 관련하여 2개의 이미지가 포착된다. 실용적 관점에서, 신체 자국 이미지를 포착하기 위해, 신체 부위는 적색(전형적으로 650 nm 정도)에 위치한 파장을 갖는 복사로 조사되며, 정맥망을 포착하기 위해 신체 부위는 근적외선(전형적으로 950 nm 정도)에 위치한 파장을 갖는 복사로 조사된다.
본 발명은, 비제한적이며 설명을 위해 주어지는 양호한 구현 및 실시예들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잘 이해될 것이다. 이 설명에서, 첨부된 도면이 참조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각기 상이한 기능적 상황에서 도시되어 있는, 신체 부위의 신체 자국, 특히 지문을 기록함으로써 개인을 식별하기 위한 시스템의 일부의 제1 가능한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a 및 도 1b의 제1 실시예의 대안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구조의 대안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신체 부위의 신체 자국, 특히 지문을 기록함으로써 개인을 식별하기 위한 시스템의 일부의 양호한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4의 구조를 구현하는, 신체 부위의 신체 자국, 특히 지문을 기록함으로써 개인을 식별하기 위한 시스템의 제1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4의 구조를 구현하는, 신체 부위의 신체 자국, 특히 지문을 기록함으로써 개인을 식별하기 위한 시스템의 제2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4의 구조를 구현하는, 신체 부위의 신체 자국, 특히 지문을 기록하며, 비배타적으로, 개인을 식별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의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는, 신체 부위의 신체 자국, 특히 지문을 기록함으로써 개인을 식별하기에 적합한 시스템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이 부분은 개인의 신체 부위(1)의 신체 자국, 이 경우, 손가락의 제1 방진(2)의 지문 이미지를 얻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장치는 통상 개인의 신체 부위로부터 취해진 신체 자국의 이미지를 광학적으로 포착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실제로는, 지문을 포착하는 문제이기 때문에, 신체 부위는, 예를 들어, 손가락의 제1 방진(2)이다.
장치는 개인의 신체의 영역에서 정맥망의 적어도 일부의 이미지를 광학적으로 포착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는 신체 자국이 포착될 개인의 신체의 부위(1)(이 경우, 손가락 중앙부 방진)의 병치를 위한 영역(4)을 포함하도록 사용되는 전자기 복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전형적으로 유리 등으로 이루어진) 플레이트(3)를 포함한다.
포커싱 렌즈(5)와, 별개의 파장을 갖는 2개의 전자기 복사를 검출할 수 있는 감지 수단(6)은 플레이트(3) 아래에 배열되어 있으며, 어떤 센서가 이용되든지 이들 2개 파장에 감응하며, 듀얼 센서가 제공되더라도 이들 2개 파장에 감응한다.
제1 조명 수단(7)(예를 들어, LED 다이오드 형태)은, 렌즈(5) 부근에 배치되며 플레이트(3)의 병치 영역(4)과 접촉하여 놓이는 신체 부위(1)의 정면을 조사하 도록 배치된다. 제1 조명 수단(7)은 전형적으로 적색의 제1 파장, 예를 들어, 650nm 정도의 파장을 갖는 복사를 포함한다. 신체 자국에 대한 광학적 정보를 운반하는 반사된 복사(11)는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2 조명 수단(8)(예를 들어, LED 다이오드 형태)은 플레이트(3)의 병치 영역(4)에 가해지는 신체 부위(1)를 측방향으로 조사하도록 배열된다. 제2 조명 수단(8)은, 신체 조직을 통과할 수 있으나 헤모글로빈, 즉, 정맥망에 의해 반사되도록 하는 제2 파장을 갖는 복사를 포함하는 제2 광 빔(12)을 방출한다. 이 파장은 전형적으로 근적외선에 위치하며, 예를 들어, 950 nm정도이다. 정맥망에 대한 광학적 정보를 운반하는 반사된 복사(13)는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어 수단(마이크로컨트롤러)(9)은 감지 수단(6)과 조명 수단(7, 8)을 구동하여, 2개의 요구되는 이미지(신체 자국의 이미지 및 피하 정맥망의 이미지)를 연속 포착하기 위하여 2개의 연속된 단계들이 실행되도록 한다. 한 단계는 제1 조명 수단(7)(도 1a)과 더불어, 나머지 한 단계는 제2 조명 수단(9)(도 1b)과 더불어 행해진다. 이들 2단계는, 한편으로는 개인이 듀얼 포착이 실행되고 있는 신체 부위(1)를 어렵지 않게 플레이트(3) 상에서 움직이지 않고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 한편으로는 이들 두 포착 사이에서 사기성 대체가 이루어질 수 없도록 하기 위해, 충분히 짧아야 한다(예를 들어, 1초를 초과하지 않도록).
도 2는 도 1a 및 도 1b의 배열의 특정한 구성을 더 상세히 도시한다. 여기서, 감지 수단(6)은 각각 상이한 파장을 갖는 2개의 복사에 감응하는 센서들의 듀얼 어레이로 구성된다. 도 2에서, 표시를 간략화하기 위해, 이 구성은 각각 2개 타입의 센서에 대응하는 2개의 병렬 서브블럭(6a, 6b)으로 구성된 블럭 6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제어 수단(9)이 조명 수단(7 및 8)을 동시에 트리거하여, 신체 자국과 피하 정맥망의 2개 이미지 포착이 동시에 발생하도록 하는 것을 예상해 볼 수 있다. 감지 수단(6)의 개개 센서는 그들이 감응하는 복사를 선택적으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제1 센서(6a)는 제1 파장을 갖는 제1 복사를 처리하고, 제2 센서(6b)는 제2 파장을 갖는 제2 복사를 처리한다.
도 2에 관하여 전술된 배열의 대안적 실시예가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대안적 실시예는, 전술된 복사를 방출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별개의 제1 및 제2 조명 수단(7 및 8) 을 더 이상 이용하지 않고, 필요한 2개 파장 모두를 포함하는 단일 빔(15)을 방출할 수 있는 하나의 조명 수단(14)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이것은, 필요한 2개의 파장을 갖는 2개의 복사를 분리할 수 있는, 필터링 수단과 연관된 미리결정된 범위의 파장을 커버링하는 복사를 방출하는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예를 들어 2개의 미리결정된 파장의 듀얼 광 복사를 방출할 수 있는 (예를 들어, LED 다이오드 형태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은 전술된 바와 동일하며, 동작의 최적 모드는, 각각 2개의 파장에 감응하는 2개 타입의 센서들(6a, 6b)을 공동 구현함으로써 동시 포착을 수행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도 4를 참조하여, 2개의 필요한 파장에 대해 2개의 별개 광원을 이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실제 시스템이 이제 기술될 것이다. 도 1a, 1b, 및 2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 또는 부분을 가리키기 위해 이용된다.
도 4에 도시된 배열은, 2개의 주면(principal face), 즉 상부 주면(17)과 하 부 주면(18)을 갖는, 예를 들어 유리로 형성된 투명 플레이트의 형태인 (이하에서, 프리즘이라 언급되는) 프리즘 광학 요소(16)를 구현한다. 2개의 면(17, 18)은 유익하게도 장치의 동작을 간소화하도록 평행하다. 또한, 프리즘(16)은 아래쪽으로 향하며 경사진 2개의 종단면(19, 20)을 포함한다. 이로써, 상부 주면(17)은 하부 주면(18)보다 크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프리즘(16)은 사다리꼴 단면을 가진다. 상부 주면(17)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신체 자국이 포착될 개인의 신체 부위(1), 이 경우에는 손가락에 대한 상기 병치 영역(4)으로 구성된다.
전형적으로 650 nm(적색)의 제1 파장을 갖는 제1 복사(10)를 방출하는 제1 조명 수단(7)은, 신체 부위(10)에 대한 병치 영역(4)에 근접한 경사면(19)에 마주하도록 배열된다. 복사(10)는, 프리즘 광학 요소(16)의 경사면(19)(진입 경사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향함으로써, 프리즘 광학 요소(16) 내로 침투할 때 뚜렷한 편차를 겪지 않을 것이다. 복사(10)는 신체 부위(1) 부분이 병치 영역(4)과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장소(신체 자국의 산등성이부)에서 전반사되도록 할 수 있는 입사각으로 상부 주면(17)에 도달한다. 반면, 신체 부위(1)의 어떠한 부분도 병치 영역(4)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장소(신체 자국의 골짜기 부분)에서, 복사는 어떠한 반사도 겪지 않는다. 프리즘 광학 요소(16) 내부에서, 신체 자국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운반하는 광 복사(10)는 프리즘 광학 요소(16)의 경사면(20)(경사 출구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도달할때까지 복수의 전반사를 겪는다. 포커싱 렌즈(21)를 통한 프리즘 광학 요소(16)의 탈출시, 광 빔(10)은 제1 파장을 갖는 제1 복사를 검출하기에 적합하며 신체 자국의 이미지를 픽업하는 감지 수단(6a)에 도달 한다(신체 자국의 산등성이는 밝고, 신체 자국의 골짜기는 어둡다).
전형적으로 950 nm(근적외선)의 제2 파장을 갖는 제2 복사(12)를 방출하는 제2 조명 수단(8)은 하부 주면(18)에 마주하여 배열되고, 실질적으로 병치 영역(4) 위에서 수직한다. 복사(12)는 프리즘 광학 요소(16)를 통과하며 신체 부위(1) 내로 침투하고, 그 내부에서 헤모글로빈 충만부(실제로, 정맥) 상에서 반사된다. 반사된 복사(13)(도 4의 점선)는 프리즘 광학 요소(16)의 주면들(17, 18)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향하며, 포커싱 렌즈(5)를 통해, 제2 파장을 갖는 제2 복사를 검출하기에 적합하고 신체 자국 하부에 놓인 정맥망의 이미지를 픽업하는 감지 수단(6b)에 도달한다.
양 이미지들의 포착은 양호하게는 동시적일 수 있으며, 제어 수단(마이크로컨트롤러, 9)은 조명 수단의 트리거링과 감지 수단의 동기화를 보장한다.
본 발명의 구현은 전체 정맥망의 완전한 지식을 요구하지 않으며, 제1 감지 수단에 의해 검출된 신체 자국 이미지를 처리하는데 요구되는 기준 시스템을 생성하는데 있어서 단지 정맥망의 소수의 포인트에 대한 지식만으로 충분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정황에서, 표현 "정맥망의 이미지"는, 특히 (위치 오정렬을 보정하기 위한) 신체 부위의 배향 및 (병치 영역에 가해지는 신체 부위의 일그러짐을 고려하기 위한) 스케일링을 결정할 수 있는 기준 시스템을 생성하기 위한 갯수와 상대적 위치에서 충분한 정맥망의 소수의 포인트 또는 부분들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신체 자국을 포착함으로써 개인을 식별하는 프로세스는 전체 신 체 자국의 완전한 지식을 요구하지 않으며, 신체 자국의 소정 갯수의 특징점의 지식만으로 이러한 식별을 보장하기에 충분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제 구현에서, 신체 자국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와 정맥망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만이 사용되며, 이들 모두는 해당 개인으로부터 포착된 것이다.
이미 전술된 바와 같이, 정맥망의 포착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는 신체 자국의 포착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있어서 보조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실제적인 구현예가 이제 도 5 내지 도 7과 연계하여 제공될 것이다.
도 5는 신체 부위의 신체 자국, 특히, 지문을 기록함으로써 개인을 식별하기위한 시스템의 제1 실시예의 블럭도의 형태로 된 개략도이다. 이 시스템은 스토리지 수단(22)을 포함하며, 여기서, 개인의 신체 부위의 신체 자국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저장된 데이터(24)와, 개인의 신체 부위의 정맥망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저장된 데이터(25)로 구성된 데이터 쌍(23)이 메모리에 저장된다. 이들 데이터 쌍은, 전술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이용하여 개인의 예비등록(등록) 단계 동안에 포착되어 메모리에 저장된다. 그 다음, 신체 부위는 기준 위치로서 취해진 위치를 점유한다.
후속 프로시져 동안에 개인의 식별을 가능케하기 위해, 시스템은 개인의 신체 부위의 신체 자국 이미지와 개인의 신체 부위의 정맥망 이미지를 포착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한다. 참조 부호 D로서 표시된 상기 장치는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다.
이 시스템에는,
- 장치 D에 의해 전달되는 정맥망의 포착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 Iv와, 스토리지 수단(22) 내의 메모리에 유지되는 상기 정맥망으로부터의 저장된 데이터(25)를 수신하고,
- 정맥망의 포착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상기 데이터 Iv를 상기 정맥망으로부터의 상기 저장된 데이터(25)와 비교하며,
- 이 비교로부터, 앞서 결정되어 저장된 기준 위치에 관한 신체 부위의 실제 위치를 유추(출력 신호 P)하기 위한 제1 비교기 수단(26)이 제공된다.
마지막으로, 이 시스템에는,
- 장치 D에 의해 전달되는 신체 자국의 포착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 Id와, 스토리지 수단(22) 내의 메모리에 유지되는 신체 자국으로부터의 저장된 데이터(24)를 수신하고,
- 상기 제1 비교기 수단에 의해 전달된 상기 출력 신호 P를 수신하며,
- 상기 제1 비교기 수단(26)에 의해 제공되는 기준 위치에 관한 신체 부위에 대한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신체 자국의 포착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상기 데이터 Id를 신체 자국의 상기 저장된 데이터(24)와 비교하고,
- 특정한 유효성 또는 비유효성(예를 들어, 신원의 확인 또는 미확인, 액세스 동의 또는 거절)과 같은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를 S에서 전달하기 위한 제2 비교기 수단(27)이 제공된다.
상기 제1 실시예 배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개인 식별을 위한 방법은,
- 개인의 신체 부위로부터 신체 자국, 특히 지문을 광학적으로 포착하고,
- 개인의 신체의 상기 부위로부터의 정맥망의 적어도 일부와 기저 신체 자국의 이미지를 병렬로 광학적으로 포착하며,
- 신체 부위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얻기 위하여 상기 신체 자국 이미지를 처리하고,
- 개인을 식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정맥망의 포착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의 보조와 더불어 신체 자국의 포착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으로 구성된 단계들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 개인의 예비등록(등록) 단계 동안에, 신체 자국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저장된 데이터와, 정맥망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저장된 데이터로 구성된 데이터 쌍이 각 개인의 신체 부위로부터 포착되어 메모리에 저장된다. 이 때, 신체 부위는 기준 위치로서 취해진 위치를 점유한다.
- 그 다음, 후속하여, 개인의 식별 단계 동안에,
-- 신체 자국 이미지와 정맥망 이미지가 개인의 신체 부위로부터 포착되고,
-- 정맥망으로부터 포착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가 먼저 상기 정맥망으로부터의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되며,
-- 이로부터, 앞서 결정된 기준 위치와 관련한 신체 부위의 실제 위치가 유 추되고,
-- 기준 위치와 관련된 신체 부위의 위치를 고려하여, 신체 자국의 포착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가 신체 자국으로부터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제2 실시예 배열에서, 전술된 역할에 추가하여, 정맥망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는, 개인 식별 목적을 위해 신체 자국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의 처리를, 선택사항으로서, 개선하는 특히 가속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정맥망의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는 고속 예비분류를 실행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 기능은, 메모리에 유지된 개인으로부터 포착된 정맥망 이미지의 특징 데이터의 비교가 더 간단하며, 그에 따라, 신체 자국 이미지로부터의 특징 데이터의 비교보다 더 고속이라는 사실에 기초하고 있다.
이 목적을 위해, 도 6은 신체 부위의 신체 자국, 특히, 지문을 기록함으로써 개인을 식별하는 프로세스를 가속하기에 적합한 시스템의 제2 예시적 배열의 블럭도 형태의 개략도이다. 이 시스템은, 스토리지 수단(22)을 포함하며, 여기서, 신체 부위의 신체 자국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저장된 데이터(24)와, 한 그룹의 개인들 중 각 개인의 신체 부위의 정맥망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저장된 데이터(25)로 구성된 데이터 쌍(23)이 메모리에 저장된다. 이들 데이터 쌍은, 전술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이용하여 개인의 예비등록(등록) 단계 동안에 포착되어 메모리에 저장된다. 여기서, 신체 부위는 기준 위치로서 취해진 위치를 점유한다.
후속하여 개인 식별을 가능케하기 위해, 시스템은, 개인의 신체 부위의 신체 자국 이미지와, 개인의 신체 부위의 정맥망 이미지를 포착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한다. 참조 부호 D로 표시된 이 장치는,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배열된다.
개인 식별을 위한 후속 단계 동안에,
장치 D에 의해 전달되는 정맥망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포착된 데이터 Iv와, 연속하여, 스토리지 수단(22)의 메모리에 유지되는 한 그룹의 개인들 각 개인의 정맥망의 저장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25)를 수신하고,
정맥망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포착된 데이터(25')를, 상기 그룹의 개인들의 각 개인의 정맥망의 저장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상기 데이터(25)와 연속적으로 비교하며,
개인의 정맥망으로부터 추출된 포착된 데이터 Iv와 동일한 상기 그룹의 개인들의 정맥망의 저장된 데이터(25')를 식별하기 위해
제3 비교기 수단(28)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이해를 간략화하고 도 6의 판독을 돕기 위해, 이와 같이 식별된 정맥망으로부터 추출된 저장된 데이터(25')가 선택되어 임시 스토리지 수단(29)에 저장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절대적 필요한 것은 아니고, 실제적 실시에서는, 이와 같이 식별된 정맥망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저장된 데이터에 대하여 스토리지 수단(22)에서 임의의 방식으로 플래깅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나아가, 도 5에 관해 전술된 바와 같이 시스템이 배열된다.
이 목적을 위해, 이 시스템에는,
장치 D에 의해 전달되는 개인의 정맥망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포착된 데이터 Iv와, 임시 스토리지 수단(29) 내의 선택된 정맥망의 저장된 데이터(25')의 각각을 수신하고,
개인의 정맥망 이미지로부터 포착된 데이터 Iv와, 정맥망의 저장된 데이터(25')의 각각을 비교하며,
이로부터, 앞서 결정되어 저장된 기준 위치에 관해 개인의 신체 부위의 실제 위치를 (병치 영역(4) 상에서 개인의 신체 부위(1)의 병치 동안에) 유추(출력 신호 P)하기 위해, 제1 비교기 수단(26)이 제공된다.
마지막으로, 이 시스템에는,
장치 D에 의해 전달되는 개인의 신체 자국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포착된 데이터 Id와, 저장된 정맥망 데이터(25')와 연관된 신체 자국의 저장된 데이터(24')의 각각을 수신하고,
상기 제1 비교기 수단(26)에 의해 전달되는 출력 신호 P를 수신하며,
제1 비교기 수단(26)에 의해 제공되는 기준 위치에 관한 개인의 신체 부위에 대한 위치 정보를 매번 고려하여, 개인의 신체 자국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포착된 데이터 Id를 각 신체 자국의 저장된 데이터(24')의 각각과 비교하고,
개인의 신체 자국의 포착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로부터 유추된 보정된 데이터를 S에서 전달(그 결과는, 데이터베이스에서 발견되는 식별자로 구성될 수 있다)하기 위한 제2 비교기 수단(27)이 제공된다.
상기 제2 실시예의 시스템 배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개인 식별 방법은,
- 개인의 신체 부위로부터 신체 자국, 특히, 지문을 광학적으로 포착하고,
- 개인의 상기 신체 부위로부터의 정맥망의 적어도 일부와 기저 신체 자국의 이미지를 병렬로 광학적으로 포착하며,
- 상기 신체 자국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얻기 위해 상기 신체 자국 이미지를 처리하고,
- 개인을 식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정맥망의 포착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의 보조와 더불어 신체 자국의 포착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으로 구성된 단계들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 한 그룹의 개인의 예비등록(등록) 단계 동안에, 신체 자국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저장된 데이터와, 정맥망으로부터 추출된 저장된 데이터로 구성된 데이터 쌍이, 각 개인의 신체 부위로부터 포착되어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신체 부위는 기준 위치로서 취해진 위치를 점유하며,
그 다음, 후속하여, 개인 식별 단계 동안에,
-- 신체 자국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와 정맥망으로부터 추출된 데이터가 개인의 신체 부위로부터 포착되고,
-- 개인의 정맥망의 포착된 데이터가 상기 그룹의 개인들의 저장된 정맥망 데이터와 비교되며,
-- 상기 포착된 정맥망 데이터와 동일한 저장된 정맥망 데이터가 선택되고,
-- 선택된 상기 저장된 정맥망 데이터와 쌍을 이루는 저장된 신체 자국 데이 터에 대해, 포착된 정맥망 데이터가 상기 정맥망의 선택된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되고, 이로부터 신체 부위의 실제 위치가 유추되고, 기준 위치에 관한 신체 부위의 위치를 고려하면서, 포착된 신체 자국 데이터가 상기 정맥망의 선택된 저장된 데이터와 연관된 저장된 신체 자국 데이터와 비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도 7은 시스템의 제3 실시예의 블럭도 형태의 개략도로서,
- 개인의 신체 부위의 신체 자국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저장된 데이터(24)와, 개인의 신체 부위의 정맥망으로부터 추출된 저장된 데이터(25)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쌍(23)이 저장되는 스토리지 수단(22)으로서, 데이터는 신체 부위가 기준 위치로서 취해진 위치를 점유하는 동안 예비등록(등록) 단계 동안에 포착되는 것인, 상기 스토리지 수단(22)과,
- 개인을 식별하기 위한 후속 단계 동안에 포착된 개인의 신체 부위의 정맥망의 포착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 Iv를, 상기 정맥망으로부터의 저장된 데이터(25)와 비교하고, 이로부터 앞서 정의된 기준 위치에 관한 신체의 실제 위치를 유추할 수 있는 비교기 수단(26)과,
- 상기 비교기 수단(26)에 종속되어(출력 P) 배치되며, 기준 위치와 관련한 신체 부위의 실제 위치를 고려하면서, 상기 후속 단계 동안에 포착된 개인의 신체 부위의 신체 자국의 포착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 Id를 보정할 수 있는 보정 수단(30)을 포함한다.
상기 제3 실시예 배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개인 식별 방법은,
- 개인의 신체 부위로부터 신체 자국, 특히, 지문의 이미지를 광학적으로 포 착하고,
- 개인의 신체 부위로부터 정맥망의 적어도 일부와 기저 신체 자국의 이미지를 병렬로 광학적으로 포착하며,
- 신체 자국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얻기 위하여 상기 신체 자국 이미지를 처리하고,
- 개인을 식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정맥망의 포착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의 보조와 더불어 신체 자국의 포착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으로 구성된 단계들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 개인의 예비등록(등록) 동안에, 신체 자국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저장된 데이터와, 상기 정맥망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저장된 데이터로 구성된 데이터 쌍이 각 개인의 신체 부위로부터 포착되어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신체 부위는 기준 위치로서 취해진 위치를 점유하고,
후속하여, 개인의 신체 자국을 기록하는 동안에,
-- 신체 자국 이미지 및 정맥망 이미지가 개인의 신체 부위로부터 포착되고,
-- 정맥망의 포착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가 먼저 상기 정맥망으로부터의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되며,
-- 이 비교로부터, 앞서 결정된 기준 위치와 관련한 상기 부위의 실제 위치가 유추되고,
-- 기준 위치와 관련된 신체 부위의 실제 위치를 고려하여, 포착된 신체 자 국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가 재위치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다음, 개인의 신체 자국의 포착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는 위치에 관하여 재조정된 다음, 지문을 통한 개인 식별등의 중간 단계에 해당하는 다양한 목적에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그 최종 단계는, 예를 들어, 구내 액세스, 장치 액세스에 관한 대응 점수, 결정(예/아니오), 또는 데이터베이스 검색의 경우 식별자와 같이, 가시적으로 만들어지거나 및/또는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Claims (13)

  1. 개인의 신체 부위(1)에서 신체 자국(body imprint)을 기록함으로써 개인을 식별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개인의 신체 부위(1)로부터 신체 자국의 이미지를 광학적으로 포착하기 위한 수단과, 개인의 상기 신체 부위(1)의 정맥망의 적어도 일부와 기저 신체 자국의 이미지를 광학적으로 포착하기 위한 수단과, 2개의 별개 파장을 갖는 2개의 광 복사를 포함하는 2개의 광 빔(10, 12)을 각각 방출할 수 있는 2개의 조명 수단(7, 8)과, 각각의 파장과 관련하여 2개의 이미지를 포착할 수 있는 감지 수단(6a, 6b)을 포함하는 상기 시스템에 있어서,
    - 적어도 일부가 개인의 신체 부위(1)의 병치 영역(apposition region, 4)으로 구성된 대면(large face, 17)을 갖는 프리즘 광학 요소(16)와;
    - 상기 프리즘 광학 요소(16)의 제1 경사 측면(19)에 마주하여 배열되며 제1 파장을 갖는 제1 광 복사를 방출할 수 있는 제1 조명 수단(7)으로서, 상기 제1 조명 수단에 의해 방출된 제1 복사는 전반사할 수 있는 입사각으로 상기 병치 영역에 도달하도록 상기 프리즘 광학 요소를 통과하는 것인, 상기 제1 조명 수단(7)과;
    - 상기 제1 경사 측면(19)에 마주하는 상기 프리즘 광학 요소(16)의 제2 경사 측면(20)에 마주하여 배열되며 상기 제1 복사에 감응하는 제1 센서(6a)로서, 상기 프리즘 광학 요소의 상기 대면에 의해 반사되며 개인의 신체 부위(1)가 상기 병치 영역(4)에 가해질 때 신체 자국의 이미지를 운반하는 상기 제1 복사를 수신하는 상기 제1 센서(6a)와;
    - 상기 프리즘 광학 요소(16)의 소면(small face, 18)에 마주하여 배열되며 제2 파장을 갖는 제2 광 복사를 방출할 수 있는 제2 조명 수단(8)으로서, 상기 제2 조명 수단(8)에 의해 방출된 제2 복사는 상기 프리즘 광학 요소를 통과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상기 병치 영역에 도달하고, 개인의 신체 부위(1)가 상기 병치 영역에 가해질 때 그 신체 부위(1)를 관통할 수 있는 것인, 상기 제2 조명 수단(8)과;
    상기 프리즘 광학 요소(16)의 상기 소면(18)에 마주하여 배열되며 상기 제2 복사에 감응하는 제2 센서(6b)로서, 개인의 신체 부위(1)가 상기 병치 영역(4)에 가해질 때 기저 정맥망의 적어도 일부의 이미지를 운반하는 반사된 상기 제2 복사를 수신하는 상기 제2 센서(6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자국을 기록하여 개인을 식별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 광학 요소(16)는, 상기 제1 광 복사가 상기 제2 경사 측면(20)에 도달하기 이전에 복수회의 반사를 겪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자국을 기록하여 개인을 식별하는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개인의 신체 부위(1)의 신체 자국의 이미지를 광학적으로 포착하기 위한 수단과, 개인의 신체 부위(1)의 정맥망의 적어도 일부의 이미지를 광학적으로 포착하기 위한 수단은 동시에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자국을 기록하여 개인을 식별하는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한 파장은 상기 신체 자국 이미지를 포착하기 위해 적색에 위치하고, 다른 파장은 상기 정맥망을 포착하기 위해 근적외선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자국을 기록하여 개인을 식별하는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개인의 신체 부위(1)의 신체 자국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저장된 데이터(24)와, 개인의 신체 부위의 정맥망의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저장된 데이터(25)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쌍으로서, 신체 부위가 기준 위치로서 취해진 위치를 점유하는 동안 예비등록(또는 등록) 단계 동안에 데이터가 포착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쌍이 메모리에 저장되는 스토리지 수단(22)과;
    개인 식별을 위한 후속 단계 동안에 포착되는, 개인 신체 부위의 정맥망의 포착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Iv)를, 상기 정맥망으로부터의 저장된 데이터(25)와 비교하고, 그로부터 앞서 정의된 기준 위치와 관련한 신체 부위의 실제 위치를 유추할 수 있는 제1 비교기 수단(26)과;
    개인 식별을 위해 상기 후속 단계 동안에 포착되는, 개인 신체 부위의 신체 자국의 포착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Id)를, 상기 신체 자국의 저장된 이미지(24)로부터 추출된 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는 제2 비교기 수단(27)으로서, 상기 기준 위치와 관련한 상기 신체 부위의 위치를 고려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비교기 수단(26)에 종속되어(신호 P) 배치되는, 상기 제2 비교기 수단(27)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자국을 기록하여 개인을 식별하는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한 그룹의 각 개인의 신체 부위의 신체 자국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저장된 데이터(24)와, 한 그룹의 개인들의 각 개인의 신체 부위의 정맥망의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저장된 데이터(25)로 구성된 데이터쌍으로서, 각 개인의 신체 부위가 기준 위치로서 취해진 위치를 점유하는 동안 예비 등록(또는 등록) 단계 동안에 데이터가 포착되는 상기 데이터 쌍이 메모리에 저장되는 스토리지 수단(22)과;
    개인 식별을 위해 후속 단계 동안에 포착되는 개인 신체 부위의 정맥망의 포착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Iv)를, 상기 그룹의 개인들의 정맥망의 저장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25)와 비교하고, 상기 그룹의 개인들의 정맥망 이미지들의 저장된 데이터 중 어느 것(25')이 개인의 정맥망 이미지의 포착된 데이터와 동일한지를 식별할 수 있는 제3 비교기 수단(28)과;
    개인 식별을 위한 후속 단계 동안에, 개인의 정맥망 이미지의 포착된 데이터를, 상기 그룹의 개인들의 정맥망 이미지들의 상기 식별된 저장된 데이터 각각과 비교하고, 각 경우에서 상기 비교로부터 앞서 결정된 기준 위치와 관련한 신체 부위의 실제 위치를 유추할 수 있는 제1 비교기 수단(26)과;
    개인 식별을 위한 후속 단계 동안에, 개인 신체 자국으로부터 추출된 포착된 데이터를, 상기 그룹의 개인들의 정맥망 이미지의 상기 식별된 저장된 데이터와 연관된 신체 자국의 저장된 데이터 항목들 각각과 비교할 수 있는 제2 비교기 수단(27)으로서, 각 경우에서 상기 기준 위치와 관련한 상기 신체 부위의 위치를 고려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비교기 수단(26)에 종속되어(신호 P) 배치되는, 상기 제2 비교기 수단(27)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자국을 기록하여 개인을 식별하는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 개인의 신체 부위의 신체 자국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저장된 데이터(24)와, 개인의 신체 부위의 정맥망의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저장된 데이터(25)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쌍(23)으로서, 신체 부위가 기준 위치로서 취해진 위치를 점유하는 동안 예비등록(또는 등록) 단계 동안에 데이터가 포착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쌍(23)이 메모리에 저장되는 스토리지 수단(22)과;
    - 개인 식별을 위해 후속 단계 동안에 포착된 개인의 신체 부위의 정맥망의 포착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Iv)를, 상기 정맥망으로부터의 저장된 데이터(25)와 비교하며, 그 비교로부터 앞서 정의된 기준 위치와 관련한 신체 부위의 실제 위치를 유추할 수 있는 비교기 수단(26)과;
    - 상기 비교기 수단(26)에 종속되어(신호 P) 배치되며, 기준 위치와 관련한 신체 부위의 실제 위치를 고려하면서, 상기 후속 단계 동안에 포착된 개인의 신체 부위의 신체 자국의 상기 포착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Id)를 보정할 수 있는 보정 수단(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자국을 기록하여 개인을 식별하는 시스템.
  8. 제5항의 시스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개인 식별 방법에 있어서,
    - 개인의 신체 부위로부터 신체 자국의 이미지를 광학적으로 포착하는 단계,
    - 개인의 상기 신체 부위로부터 정맥망의 적어도 일부와 기저의 상기 신체 자국의 이미지를 병렬로 광학적으로 포착하는 단계,
    - 상기 신체 자국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얻기 위하여 상기 신체 자국 이미지를 처리하는 단계, 및
    - 개인을 식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정맥망의 포착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의 보조와 더불어 상기 신체 자국의 포착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 개인의 예비등록(등록) 동안에, 신체 자국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저장된 데이터와, 상기 정맥망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저장된 데이터로 구성된 데이터 쌍이 포착되어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신체 부위는 기준 위치로서 취해진 위치를 점유하고,
    그 다음, 후속하여, 개인을 식별하는 단계 동안에,
    -- 신체 자국 이미지 및 정맥망 이미지가 개인의 신체 부위로부터 포착되고,
    -- 정맥망의 포착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가 먼저 상기 정맥망으로부터의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되며,
    -- 이 비교로부터, 앞서 결정된 기준 위치와 관련한 상기 신체 부위의 실제 위치가 유추되고,
    -- 기준 위치와 관련된 신체 부위의 위치를 고려하여, 신체 자국의 포착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가 신체 자국으로부터의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식별 방법.
  9. 제6항의 시스템에 구현될 수 있는 개인 식별 방법에 있어서,
    - 개인의 신체 부위로부터 신체 자국의 이미지를 광학적으로 포착하는 단계,
    - 개인의 상기 신체 부위로부터의 정맥망의 적어도 일부와 기저의 상기 신체 자국의 이미지를 병렬로 광학적으로 포착하는 단계,
    - 상기 신체 자국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얻기 위하여 상기 신체 자국 이미지를 처리하는 단계, 및
    - 개인을 식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정맥망의 포착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의 보조와 더불어 신체 자국의 포착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 한 그룹의 개인들에 대한 예비등록(등록) 단계 동안에, 신체 자국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저장된 데이터와, 정맥망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저장된 데이터로 구성된 데이터 쌍이 각 개인의 신체 부위로부터 포착되어 메모리에 저장되고,
    - 후속하여, 개인 식별 단계 동안에,
    -- 신체 자국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와 정맥망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가 개인의 신체 영역으로부터 포착되고,
    -- 개인의 정맥망으로부터 포착된 데이터가 상기 그룹의 개인들의 각 개인의 정맥망으로부터의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되며,
    -- 상기 포착된 정맥망 데이터와 동일한 저장된 정맥망 데이터가 선택되고,
    -- 선택된 상기 저장된 정맥망 데이터와 쌍을 이루는 저장된 신체 자국 데이터에 대해, 포착된 정맥망 데이터가 상기 정맥망의 상기 선택된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되고, 이로부터 앞서 결정된 상기 기준 위치와 관련한 신체 부위의 실제 위치가 유추되며, 기준 위치와 관련한 상기 신체 부위의 위치를 고려하면서, 포착된 신체 자국 데이터가 상기 정맥망의 상기 선택된 저장된 데이터와 연관된 저장된 신체 자국 데이터와 비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식별 방법.
  10. 제7항의 시스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개인 식별 방법에 있어서,
    - 개인의 신체 부위로부터 신체 자국의 이미지를 광학적으로 포착하는 단계,
    - 개인의 상기 신체 부위로부터의 정맥망의 적어도 일부와 기저의 상기 신체 자국의 이미지를 병렬로 광학적으로 포착하는 단계,
    - 상기 신체 자국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얻기 위하여 상기 신체 자국 이미지를 처리하는 단계, 및
    - 개인을 식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정맥망의 포착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의 보조와 더불어 신체 자국의 포착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 개인의 예비등록(등록) 단계 동안에, 신체 자국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저장된 데이터와, 상기 정맥망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저장된 데이터로 구성된 데이터 쌍이 각 개인의 신체 부위로부터 포착되어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신체 부위는 기준 위치로서 취해진 위치를 점유하고,
    그 다음, 후속하여, 개인의 신체 자국을 기록하는 단계 동안에,
    -- 신체 자국 이미지와 정맥망 이미지가 개인의 신체 부위로부터 포착되고,
    -- 상기 정맥망의 포착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가 상기 정맥망으로부터의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되고,
    -- 이 비교로부터, 앞서 결정된 기준 위치와 관련한 상기 신체 부위의 실제 위치가 유추되고,
    --상기 기준 위치와 관련된 상기 신체 부위의 실제 위치를 고려하여, 포착된 신체 부위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가 재위치조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식별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자국 이미지 및 상기 정맥망은 동시에 포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식별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부위는 2개의 별개 파장을 갖는 2개의 광 복사로 조사되고, 각각의 파장과 관련된 2개의 이미지가 포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식별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자국 이미지를 포착하기 위해, 상기 신체 부위는 적색에 위치한 파장을 갖는 복사로 조사되고, 상기 정맥망을 포착하기 위해, 상기 신체 부위는 근적외선에 위치한 파장을 갖는 복사로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식별 방법.
KR1020097020071A 2007-03-14 2008-03-13 신체 자국 이미지의 광학적 포착에 의한 개인 식별 방법 및 장치 KR1014692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701844A FR2913788B1 (fr) 2007-03-14 2007-03-14 Procede et installation d'identification d'un individu par capture optique d'une image d'une empreinte corporelle
FR0701844 2007-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7407A KR20090127407A (ko) 2009-12-11
KR101469294B1 true KR101469294B1 (ko) 2014-12-04

Family

ID=38656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0071A KR101469294B1 (ko) 2007-03-14 2008-03-13 신체 자국 이미지의 광학적 포착에 의한 개인 식별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130265B2 (ko)
EP (1) EP2118817B1 (ko)
JP (1) JP5123956B2 (ko)
KR (1) KR101469294B1 (ko)
AT (1) ATE522880T1 (ko)
ES (1) ES2372233T3 (ko)
FR (1) FR2913788B1 (ko)
WO (1) WO20081292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46774B1 (fr) * 2009-06-16 2012-03-23 Sagem Securite Dispositif d'imagerie a element prismatique.
FR2956502B1 (fr) 2010-02-17 2012-02-10 Sagem Securite Procede et dispositif de detection de l'orientation d'une zone du corps d'un individu posee sur une zone d'apposition d'un support d'un capteur biometrique
WO2012133110A1 (ja) * 2011-03-25 2012-10-04 日本電気株式会社 認証装置、及び認証方法
US9137438B2 (en) * 2012-03-27 2015-09-15 Synaptics Incorporated Biometric object sensor and method
CN104221050B (zh) * 2012-03-27 2017-08-25 日本电气株式会社 认证装置、用于认证的棱镜元件和认证方法
JP5811386B2 (ja) * 2012-03-27 2015-11-11 日本電気株式会社 認証装置、認証用プリズム体及び認証方法
WO2013146761A1 (ja) * 2012-03-27 2013-10-03 日本電気株式会社 認証装置、認証用プリズム体及び認証方法
RU2616653C2 (ru) * 2012-06-05 2017-04-18 Хайпермед Имэджинг, Инк.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осног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с множеством длин волн
FR2996331B1 (fr) * 2012-09-28 2015-12-18 Morpho Procede de detection de la realite de reseaux veineux a des fins d'identification d'individus
TWI609334B (zh) * 2012-11-02 2017-12-21 金佶科技股份有限公司 指紋取像系統
KR101415644B1 (ko) * 2013-03-21 2014-07-04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광학식 지문 입력 장치 및 그 지문입력방법
US10074005B2 (en) * 2016-06-10 2018-09-11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Vascular pattern detection system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14437A1 (en) * 2004-09-02 2007-01-18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6680A (en) * 1989-04-03 1990-06-26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of, and apparatus for, edge enhancement of fingerprint minutia
US5456256A (en) * 1993-11-04 1995-10-10 Ultra-Scan Corporation High resolution ultrasonic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US6292576B1 (en) 2000-02-29 2001-09-18 Digital Person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a human finger from a reproduction of a fingerprint
JP3558025B2 (ja) * 2000-09-06 2004-08-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個人認証装置及び方法
JP3617476B2 (ja) * 2001-07-19 2005-02-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指認証装置
JP4154874B2 (ja) * 2001-07-30 2008-09-2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指紋読取装置および指紋読取方法
JP3770241B2 (ja) * 2003-03-04 2006-04-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個人認証装置及び個人認証方法
JP4258393B2 (ja) * 2003-03-13 2009-04-30 三菱電機株式会社 個人識別装置および指紋画像撮像装置、指紋画像取得方法
FR2857482B1 (fr) * 2003-07-09 2005-10-21 Groupe Ecoles Telecomm Dispositif d'imagerie optique, destine notamment a la reconnaissance d'empreintes digitales
JP4649833B2 (ja) * 2003-11-25 2011-03-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個人認証装置及び血管画像抽出装置
JP4410543B2 (ja) * 2003-12-09 2010-02-03 三菱電機株式会社 個人識別装置
CN101124588B (zh) * 2004-06-01 2011-11-02 光谱辨识公司 用于多光谱成像生物识别的方法、装置和系统
JP4740251B2 (ja) * 2004-10-22 2011-08-0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バイオメトリクスに基づく識別の方法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14437A1 (en) * 2004-09-02 2007-01-18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522880T1 (de) 2011-09-15
EP2118817A1 (fr) 2009-11-18
KR20090127407A (ko) 2009-12-11
FR2913788B1 (fr) 2009-07-03
JP2010521206A (ja) 2010-06-24
EP2118817B1 (fr) 2011-08-31
US8130265B2 (en) 2012-03-06
FR2913788A1 (fr) 2008-09-19
JP5123956B2 (ja) 2013-01-23
US20100110170A1 (en) 2010-05-06
ES2372233T3 (es) 2012-01-17
WO2008129201A1 (fr) 2008-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9294B1 (ko) 신체 자국 이미지의 광학적 포착에 의한 개인 식별 방법 및 장치
EP2442274B1 (en) Determination device, fingerprint input device, determination method, and determination program
US11908232B2 (en) Authentication using prism
US7254255B2 (en) Biometric sensor apparatus and methods
EP1835438B1 (en) Fingerprint authenticating system
JPH0721373A (ja) 個人識別装置
US7583822B2 (en) Method for identifying persons and system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US20080146952A1 (en) Optical Speckle Pattern Investigation
US200801073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iometric identification
KR101701559B1 (ko) 화상 보정 장치, 화상 보정 방법 및 생체 인증 장치
TW200939134A (e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of user
EP3319009B1 (en) Living body recognition apparatus, living body recognition method and living body authentication system
EP3258419B1 (en) An apparatus for detecting fake fingerprints
KR20050096142A (ko) 인체 인식 방법 및 장치
US8351664B2 (en) Biometric authentication device and biometric authentication method
US10212395B2 (en) Biological imaging device
JP5811386B2 (ja) 認証装置、認証用プリズム体及び認証方法
JP5811385B2 (ja) 認証装置、認証用プリズム体及び認証方法
JP2008198083A (ja) 個人識別装置
JP5047773B2 (ja) 指静脈撮影装置及び個人認証装置
JP2009069981A (ja) 生体画像入力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個人認証システム
CN216014317U (zh) 透射式静脉采集模块及静脉识别系统
AU2020104395A4 (en) Self sanitizing attendance recorder with thermal screening
JP2009054095A (ja) 血管画像読み取り装置および生体画像読み取り装置
CN219997594U (zh) 生物特征识别装置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