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6984A - 지정맥 다중 인증 장치 - Google Patents

지정맥 다중 인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6984A
KR20120076984A KR1020100138780A KR20100138780A KR20120076984A KR 20120076984 A KR20120076984 A KR 20120076984A KR 1020100138780 A KR1020100138780 A KR 1020100138780A KR 20100138780 A KR20100138780 A KR 20100138780A KR 20120076984 A KR20120076984 A KR 201200769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image
finger vein
imaging
captured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8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봉규
Original Assignee
최봉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봉규 filed Critical 최봉규
Priority to KR1020100138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6984A/ko
Publication of KR20120076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69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41Sensing with light passing through the fing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4Vascular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지정맥 다중 인증 장치는 손가락을 향하여 광을 발산하는 광원; 그리고 상기 손가락을 투과한 상기 광을 촬상하는 화상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화상장치는 제1 및 제2 촬상소자들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및 제2 촬상소자들은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쪽에 배치되어 상기 광을 촬상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정맥 다중 인증 장치{FINGER VEIN MULTIMODAL AUTHENT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지정맥 인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지정맥 패턴을 사용하여 인증하는 지정맥 다중 인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이오 인식(bio-metrics)이란 인간의 생리학적 혹은 행동학적 특징을 이용하여 개인을 인식하는 방법이다. 대표적인 바이오 인식 기술로는 지문, 얼굴, 홍채, 지정맥, 서명, 화자 인식 등이 있다. 이러한 바이오 인식 방법 중 지문인식과 지정맥 인식은 높은 인식 성능을 가지며, 사용자의 거부감과 불편함이 적고 인식시간이 빠르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인간의 지문을 이용하여 본인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는 개념은 오래전부터 범죄자를 찾는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사람마다 지문의 모양이 다르다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하지만, 지문의 해당 손가락의 외상이 있을 경우, 또는 건조하거나 젖은 손가락에서는 일반 지문 스캐너를 통해 표피 지문의 패턴을 취득하기 곤란한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Lumidigm" 사에서는 가시광선을 손가락에 투과시켜서, 손가락의 진피 지문을 취득하고, 이를 인식에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진피 지문은 손가락에 심한 상처를 입지 않는 이상 어떠한 조건에서도 취득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Yanagawa"의 연구에 의해 인간의 지정맥으로 본인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는 개념이 입증되었다. 상기 "Yanagawa"의 연구에 따르면 각 개인마다 열손가락의 지정맥 패턴이 모두 다르며 하나의 지정맥 패턴은 신뢰도가 매우 높은 홍채 패턴과 유사한 자유도로써 개인인증에 적합하다고 한다.
이처럼, 손가락의 진피 지문의 취득 및 손가락 정맥을 취득하여 개인인증을 사용함으로써, 표피 지문의 패턴이 잘 취득되지 않는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정맥 패턴을 이용하여 개인에 대한 인증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지정맥 다중 인증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정맥 패턴에 대하여 복수의 이미지를 취득하고 취득한 이미지를 대조데이터와 대조하여 인증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지정맥 다중 인증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정맥 패턴의 위변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지정맥 다중 인증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지정맥 다중 인증 장치는 손가락을 향하여 광을 발산하는 광원; 그리고 상기 손가락을 투과한 상기 광을 촬상하는 화상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화상장치는 제1 및 제2 촬상소자들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및 제2 촬상소자들은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쪽에 배치되어 상기 광을 촬상할 수 있다.
상기 지정맥 인증장치는 상기 제1 촬상소자를 통해 기등록된 제1 대조데이터와 상기 제2 촬상소자를 통해 기등록된 제2 대조데이터가 저장된 기억장치; 그리고 상기 제1 대조데이터와 상기 제1 촬상소자를 통해 입력된 제1 촬상이미지를 대조하고, 상기 제2 대조데이터와 상기 제2 촬상소자를 통해 입력된 제2 촬상이미지를 대조하여 인증 여부를 판단하는 중앙처리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정맥 인증장치는 상기 제1 촬상소자를 통해 기등록된 제1 대조데이터와 상기 제2 촬상소자를 통해 기등록된 제2 대조데이터가 저장된 기억장치; 그리고 상기 제1 촬상소자를 통해 입력된 제1 촬상이미지를 상기 제2 대조데이터와 대조하여 인증 여부를 판단하는 중앙처리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정맥 인증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촬상소자를 통해 각각 기등록된 제1 및 제2 대조데이터를 이용해 구현한 입체데이터가 저장된 기억장치;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촬상소자를 통해 각각 입력된 제1 및 제2 촬상이미지를 이용하여 입체이미지를 구현하고, 상기 입체데이터와 상기 입체이미지를 대조하여 인증 여부를 판단하는 중앙처리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촬상소자를 통해 입력된 제1 촬상이미지와 상기 제2 촬상소자를 통해 입력된 제2 촬상이미지를 대조하여 위변조를 판단하는 중앙처리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지정맥 패턴을 이용하여 개인에 대한 인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지정맥 패턴에 대하여 복수의 이미지를 취득하고 취득한 이미지를 대조데이터와 대조하여 인증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개인에 대한 인증여부를 더욱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지정맥 패턴의 위변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정맥 다중 인증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정맥 다중 인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정맥 다중 인증장치의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정맥 다중 인증처리를 이용하여 위변조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정맥 다중 인증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정맥 다중 인증장치는 광원(23), 손가락 거치대(2), 그리고 화상장치(9a,9b)를 구비한다.
손가락(1)은 손가락 거치대(2) 상에 놓여지며, 손가락 거치대(2) 상에 손가락(1)이 놓여진 상태에서 인증이 이루어진다. 손가락 거치대(2)는 개구부(101)를 가지며, 손가락(1)은 개구부(101) 상에 놓여진다. 이때, 손가락(1)의 손바닥 부분이 아래를 향하도록 놓여지며, 손가락(1)의 제1 관절 부분이 개구부(101) 상에 위치한다. 이는 제1 관절이 비교적 표피가 얇아, 내부의 혈관 패턴을 선명하게 관찰하기 쉽기 때문에, 이 부위를 이용함으로써 고정밀도의 인증을 실현할 수 있다.
광원(23)은 광원지지부(105)에 고정설치되며, 손가락 거치대(2)의 상부에 배치된다. 광원(23)은 예를 들어 적외선 LED이며, 손가락 거치대(2) 상에 놓여진 손가락(1)을 향해 아래로 광(예를 들어, 적외선)을 조사한다. 지정맥 패턴을 얻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태양광에도 함유된 광선인 근적외선이 사용된다. 근적외선을 이용하는 이유는 혈액 중의 적혈구에 함유된 헤모글로빈이 특정 파장의 근적외선을 흡수하려는 성질이 있어, 근적외선을 지정맥에 조사하여 촬영하면 표면 근처의 지정맥 부분이 어둡게 찍혀 지정맥 패턴을 취득할 수 있다.
한편, 조사된 광은 손가락 거치대(2)에 형성된 개구부(101)를 통과하며, 개구부(101)를 통해 하부에 설치된 촬상소자(9a,9b)에 도달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와 달리, 광원(23)이 손가락(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부를 향해 광을 조사할 수 있으며, 광원(23)이 손가락(1)의 전방 상부에 설치되어 후방 하부를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장치는 복수의 촬상소자들(9a,9b)를 구비하며, 촬상소자들(9a,9b)은 손가락 거치대(2) 상에 놓여진 손가락(1)을 투과한 광을 촬상한다. 촬상소자들(9a,9b)은 손가락을 지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편에 설치되며, 손가락(1)의 동일한 부위를 다른 각도에서 촬상한다.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소자들(9a,9b)은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θ1,θ2)로 경사진 방향을 향하며, 서로 다른 위치에서 손가락(2)의 동일한 부위를 촬상한다.
따라서, 제1 촬상소자(9a)를 통해 취득한 지정맥 패턴에 대한 제1 촬상이미지와 제2 촬상소자(9b)를 통해 취득한 지정맥 패턴에 대한 제2 촬상이미지는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도 1은 손가락(1) 내의 동일한 지정맥 패턴에 대한 제1 및 제2 촬상이미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즉, 지정맥 패턴은 입체적으로 위치하는 반면에, 촬상소자(9a,9b)를 통해 취득한 촬상이미지는 평면 이미지에 해당하므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정맥 다중 인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지정맥 다중 인증장치는 인증 처리부(10), 기억 장치(14), 표시부(15), 입력부(16), 스피커(17) 및 화상입력부(18)를 더 포함한다.
화상 입력부(18)는 화상장치(9)에서 촬상된 이미지(또는 추출된 특징 데이터)를 인증 처리부(10)에 입력한다. 인증 처리부(10)는 중앙처리장치(11) 및 메모리(12)를 포함한다. 중앙처리장치(11)는 메모리(1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각종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메모리(12)는 CPU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또한, 메모리(12)는 화상 입력부(18)로부터 입력된 이미지(또는 추출된 특징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기억 장치(14)는 이용자가 기등록한 대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대조 데이터는 이용자를 대조하기 위한 정보로서, 예를 들면, 지정맥 패턴의 이미지 또는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특징 데이터 등이다. 지정맥 패턴의 이미지는 손가락의 바닥측의 피하에 분포하는 혈관(지정맥)을 어두운 그림자의 패턴으로서 촬상한 이미지이다.
표시부(15)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등이며, 인증 처리부(1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표시한다. 입력부(16)는, 예를 들면 키보드 등이며, 이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인증 처리부(10)에 송신한다. 스피커(17)는 인증 처리부(1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음성으로 발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정맥 다중 인증장치의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통해, 지정맥 다중 인증 장치의 처리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손가락(1)이 손가락 거치대(2) 상에 놓여진 것을 확인하는 손가락 검지 처리(S10)를 실시한다. 다음으로, 지정맥을 촬영하기 위해 적합한 광량을 조사하기 위한 광량 조정 처리(S20)를 실시한다. 그 후, 손가락의 위치 어긋남 등을 보정하는 위치 보정 처리(S30)와, 지정맥의 특징 추출 처리(S40)를 행한다. 마지막으로, 등록된 대조 데이터와 대조 처리(S50)를 실시하여, 인증 여부를 판정한다.
손가락 검지 처리(S10)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광원(23)을 점멸시켜 촬상소자들(9a,9b)로부터 얻어진 촬상이미지의 휘도값을 조사하고, 광원(23)과 촬상소자들(9a,9b) 사이에 차폐물이 들어간 경우의 휘도값의 저하의 정도를 조사한다. 또는 손가락 거치대(102)에 터치 센서 등을 구비하여, 접촉을 검지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광량 조정 처리(S20)에서는, 촬상된 이미지의 휘도값이 일정값이 되도록 피드백 제어를 행한다.
이하, 특징 추출 처리(S40) 및 대조 처리(S5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손가락 거치대(2)의 개구부(101) 상에 손가락(1)을 올려 둔 상태에서, 손가락(1)의 등측에 설치된 광원(23)을 통해 광을 조사하면, 조사된 광은 손가락(1)을 투과하여 촬상소자(9a,9b)에 도달한다. 촬상소자(9a,9b)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손가락(1)의 지정맥 패턴에 대한 이미지를 촬상한다.
촬상소자(9a,9b)를 통해 취득한 이미지는 화상 입력부(18)를 통해 인증 처리부(10)에 입력되어 메모리(12)에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이때, 특징 추출 처리(S40) 과정을 통해 이미지의 특징 데이터들이 추출될 수 있으며, 특징데이터들이 메모리(12)에 기억될 수 있다. 특징 추출 처리(S40)는 선 패턴을 강조하는 처리로서, 매칭 필터에 의한 방법이나 선을 차례대로 추적하는 방법, 휘도 프로파일의 오목부를 검출하는 방법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후, 중앙처리장치(11)는 메모리(12)에 기억된 촬상이미지를 기억 장치(14)에 기억된 대조 데이터를 대조하여 인증 여부를 판단한다.
위 내용에 대해,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용자는 각각의 촬상소자(9a,9b)를 통해 대조데이터를 등록한다. 즉, 제1 촬상소자(9a)를 통해 제1 대조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으며, 제2 촬상소자(9b)를 통해 제2 대조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취득된 제1 및 제2 대조데이터는 기억 장치(14)에 저장된다. 중앙처리장치(11)는 제1 촬상소자(9a)를 통해 취득한 제1 촬상이미지를 제1 대조데이터와 대조하고, 제2 촬상소자(9b)를 통해 취득한 제2 촬상이미지를 제2 대조데이터와 대조하여, 이용자에 대한 인증여부를 판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간의 지정맥 패턴은 입체적으로 위치하는 반면에, 촬상소자(9a,9b)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이미지는 평면 이미지이므로, 서로 다른 지정맥 패턴일지라도 동일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촬상소자(9a)를 통해 이미지를 취득할 경우, 서로 다른 지정맥 패턴을 동일한 것으로 인식하는 인증 오류(즉, 타인을 본인으로 오인)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동일한 지정맥 패턴에 대하여 둘 이상의 각도에서 복수의 이미지를 취득하고, 취득한 이미지를 각각 대조데이터와 대조함으로써, 인증의 정밀도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타인수용률(타인을 본인으로 오인하는 비율)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방법과 다른 인증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11)는 제1 촬상소자(9a)를 통해 취득한 제1 촬상이미지를 제2 대조데이터와 대조하거나, 제2 촬상소자(9b)를 통해 취득한 제2 촬상이미지를 제1 대조데이터와 대조하여, 이용자에 대한 인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손가락(1)을 손가락 거치대(2)에 올려 놓을 때, 손가락(1)이 장축을 기준으로 한 회전(손가락의 굴림; 롤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촬상소자(9a)를 통해 취득한 제1 촬상이미지가 제2 촬상소자(9b)를 통해 등록한 제2 대조데이터와 대응되거나, 제2 촬상소자(9b)를 통해 취득한 제2 촬상이미지가 제1 촬상소자(9a)를 통해 등록한 제1 대조데이터와 대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롤링에 의한 촬상이미지의 입력 오류를 보상할 수 있으며, 본인거부율(본인을 본인이 아니라고 오인하는 비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방법과 또 다른 인증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즉, 둘 이상의 평면 이미지를 통해 입체이미지를 구현함으로써, 개인의 지정맥 패턴을 그대로 구현하는 방법을 통해 인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제1 및 제2 대조데이터를 이용하여 중앙처리장치(11)는 입체데이터를 구현할 수 있으며, 구현된 입체데이터는 기억 장치(14)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중앙처리장치(11)는 제1 촬상소자(9a)를 통해 취득한 제1 촬상이미지와 제2 촬상소자(9b)를 통해 취득한 제2 촬상이미지를 이용하여 입체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으며, 구현된 입체이미지는 메모리(12)에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이후, 중앙처리장치(11)는 입체데이터와 입체이미지를 대조하여 이용자에 대한 인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의 지정맥 패턴을 그대로 구현함으로써, 인증의 신뢰성을 최대한으로 높일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손가락(1)을 손가락 거치대(2)에 올려 놓을 때, 손가락(1)이 장축을 기준으로 한 회전(손가락의 굴림; 롤링(rolling))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촬상소자(9a,9b)를 통해 취득한 촬상이미지가 사용자가 기등록한 대조데이터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본인을 본인이 아니라고 오인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촬상이미지를 이용하여 구현한 입체이미지를 대조데이터를 이용하여 구현한 입체데이터와 비교할 경우, 회전 여부와 관계 없이 인증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본인거부율(본인을 본인이 아니라고 오인하는 비율)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촬상소자를 이용하여 취득한 촬상이미지는 평면 이미지에 해당하므로, 위조변조를 통해 인증을 받을 수 있는 여지가 있다. 즉, 사용자의 지정맥 패턴(평면 이미지)을 투명필름 등과 같이 광이 투과하는 매체에 복제하고, 매체를 손가락 거치대(2)의 개구부(101) 상에 올려 놓으면, 광원(23)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매체를 투과하면서 촬상소자는 매체로부터 복제된 지정맥 패턴(평면 이미지)을 취득한다. 이때, 매체에 사용자의 지정맥 패턴을 복제하였으므로, 촬상소자가 취득한 촬상이미지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제시되었을 경우의 촬상이미지와 동일하며, 중앙처리장치(11)는 인증을 허락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촬상소자를 사용할 경우, 위와 같은 위변조에 대한 판단이 불가능한 현실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촬상소자들(9a,9b)을 이용할 경우, 위와 같은 위변조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높은 수준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정맥 다중 인증처리를 이용하여 위변조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고하여 위변조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앞서 설명한 특징 추출 처리(S40)와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다. 광원(23)을 점멸하여(S110) 제시된 물체(사용자의 손가락(1)이 아닌 평면 이미지가 복제된 투명필름일 수 있음)에 광을 조사하며, 조사된 광은 물체를 투과한 후 개구부(101)를 통해 촬상소자(9a,9b)에 도달한다.
촬상소자(9a,9b)는 물체를 투과한 광을 촬상하여 촬상이미지를 취득하며(S120), 취득한 촬상이미지는 메모리(12)에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이때, 메모리(12)는 제1 촬상소자(9a)를 통해 취득한 제1 촬상이미지와 제2 촬상소자(9b)를 통해 취득한 제2 촬상이미지를 기억한다. 중앙처리장치(11)는 메모리(12)에 기억된 제1 촬상이미지와 제2 촬상이미지를 대조하여(S130) 제1 촬상이미지와 제2 촬상이미지가 서로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140).
만일, 손가락(1)을 통해 실제 지정맥 패턴이 제시되었을 경우,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지정맥 패턴은 입체적으로 배치되어, 제1 촬상이미지와 제2 촬상이미지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진다. 그러나, 손가락(1)이 아닌 투명필름 등을 통해 복제된 평면 이미지가 제시되었을 경우, 평면 이미지는 촬상하는 위치에 따라(즉, 촬상소자(9a,9b)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촬상이미지를 취득할 수 없으므로, 제1 촬상이미지와 제2 촬상이미지는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제1 촬상이미지와 제2 촬상이미지가 동일한 경우, 중앙처리장치(11)는 위/변조임을 판정한다(S150). 제1 촬상이미지와 제2 촬상이미지가 서로 다른 경우, 중앙처리장치(11)는 정상임을 판정하며(S160), 앞서 설명한 대조 처리(S50)를 계속하여 진행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인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손가락
2 : 손가락 거치대
9 : 화상장치
23 : 광원
101 : 개구부
105 : 광원 지지부

Claims (6)

  1. 손가락을 향하여 광을 발산하는 광원; 및
    상기 손가락을 투과한 상기 광을 촬상하는 화상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화상장치는 제1 및 제2 촬상소자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정맥 다중 인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촬상소자들은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쪽에 배치되어 상기 광을 촬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정맥 다중 인증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맥 인증장치는,
    상기 제1 촬상소자를 통해 기등록된 제1 대조데이터와 상기 제2 촬상소자를 통해 기등록된 제2 대조데이터가 저장된 기억장치; 및
    상기 제1 대조데이터와 상기 제1 촬상소자를 통해 입력된 제1 촬상이미지를 대조하고, 상기 제2 대조데이터와 상기 제2 촬상소자를 통해 입력된 제2 촬상이미지를 대조하여 인증 여부를 판단하는 중앙처리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정맥 다중 인증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맥 인증장치는,
    상기 제1 촬상소자를 통해 기등록된 제1 대조데이터와 상기 제2 촬상소자를 통해 기등록된 제2 대조데이터가 저장된 기억장치; 및
    상기 제1 촬상소자를 통해 입력된 제1 촬상이미지를 상기 제2 대조데이터와 대조하여 인증 여부를 판단하는 중앙처리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정맥 다중 인증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맥 인증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촬상소자를 통해 각각 기등록된 제1 및 제2 대조데이터를 이용해 구현한 입체데이터가 저장된 기억장치; 및
    상기 제1 및 제2 촬상소자를 통해 각각 입력된 제1 및 제2 촬상이미지를 이용하여 입체이미지를 구현하고, 상기 입체데이터와 상기 입체이미지를 대조하여 인증 여부를 판단하는 중앙처리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정맥 다중 인증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상소자를 통해 입력된 제1 촬상이미지와 상기 제2 촬상소자를 통해 입력된 제2 촬상이미지를 대조하여 위변조를 판단하는 중앙처리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정맥 다중 인증장치.
KR1020100138780A 2010-12-30 2010-12-30 지정맥 다중 인증 장치 KR201200769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780A KR20120076984A (ko) 2010-12-30 2010-12-30 지정맥 다중 인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780A KR20120076984A (ko) 2010-12-30 2010-12-30 지정맥 다중 인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984A true KR20120076984A (ko) 2012-07-10

Family

ID=46710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8780A KR20120076984A (ko) 2010-12-30 2010-12-30 지정맥 다중 인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69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0453A (ko) * 2015-04-08 2016-10-18 주식회사 나르테크놀로지 주위 환경에 강건한 지정맥 패턴인식에 의한 차량용 사용자 인증시스템 및 그 인증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0453A (ko) * 2015-04-08 2016-10-18 주식회사 나르테크놀로지 주위 환경에 강건한 지정맥 패턴인식에 의한 차량용 사용자 인증시스템 및 그 인증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07377B (zh) 生物體資訊處理裝置
KR101720957B1 (ko) 지문과 지정맥을 동시에 인증하는 다면 입체 촬영장치
JP5297997B2 (ja) 個人認証装置及び移動通信端末
JP4095659B2 (ja) 静脈認証装置
KR101210750B1 (ko) 지정맥 인증 장치
KR101120932B1 (ko) 촬상 장치, 촬상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촬상 방법, 인증 장치, 인증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인증 방법
KR101672541B1 (ko) 지문과 지정맥을 동시에 인증하는 3d 입체 촬영장치
US20170339137A1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authenticating a user
CN109858316A (zh) 用于生物计量识别的系统和方法
EP2848196A1 (en) Apparatus for blood vessel imaging
CA319970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fingerprint based user authentication using imagery captured using mobile devices
KR20070093312A (ko) 지문 인증 장치, 생체 손가락 판정 장치 및 생체 손가락판정 방법
US20220300593A1 (en) System and method of biometric identification of a subject
KR20150104544A (ko) 지정맥과 손가락마디지문을 통한 통합인증장치
JP5923524B2 (ja) 生体認証装置、血管画像撮影装置、および方法
JP2011100317A (ja) 指の屈伸運動時の静脈パターンを利用した個人認証方法及び個人認証システム
JP4945505B2 (ja) 生体情報処理装置
JP6071967B2 (ja) 血管画像撮影装置
KR20120076984A (ko) 지정맥 다중 인증 장치
JP5765071B2 (ja) 生体情報処理装置、生体情報処理方法、および生体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5182341B2 (ja) 個人認証装置及び方法
KR20120076985A (ko) 다중 파장을 이용한 지정맥 인증장치
JP5768441B2 (ja) 生体情報取得装置、生体情報取得方法、および生体情報取得プログラム
JP2018081469A (ja) 血管画像撮影装置および個人認証システム
KR101792011B1 (ko) 남녀 식별구분하여 지문과 지정맥을 동시에 인증하는 다면 입체 촬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217

Effective date: 2014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