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0619B1 - 절삭형 공구장치 - Google Patents

절삭형 공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0619B1
KR101900619B1 KR1020170174645A KR20170174645A KR101900619B1 KR 101900619 B1 KR101900619 B1 KR 101900619B1 KR 1020170174645 A KR1020170174645 A KR 1020170174645A KR 20170174645 A KR20170174645 A KR 20170174645A KR 101900619 B1 KR101900619 B1 KR 101900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t
housing
cover
head
cutting b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4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창규
Original Assignee
강창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창규 filed Critical 강창규
Priority to KR1020170174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06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securing to a spindle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26Securing milling cutters to the driving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9/00Details or accessori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to milling machines or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70/00Details of milling machines, milling processes or mill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2270/20Milling external areas of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절삭형 공구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절삭형 공구장치는: 절삭비트가 삽입되는 장착홀부를 구비하며 절삭비트의 외측을 탄성 가압하는 콜렛부와, 개구된 일측을 통하여 콜렛부의 타측이 삽입되며 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하우징부 및 콜렛부의 일측을 감싸며 하우징부에 체결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콜렛부는 커버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절삭형 공구장치{DEVICE FOR CUTTING TOOL}
본 발명은 절삭형 공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절삭비트의 장착과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절삭형 공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삭공구는 금속이나 비금속 재료를 깎아내 가공할 수 있는 공구로, 금속을 깎는 역할을 하는 선반의 바이트, 밀링의 커터, 드릴링 머신의 드릴 등이 있다.
초기에는 절삭 공구의 재료에 탄소강이 주로 사용되었지만, 고온에서 절삭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최근에는 절삭력이 좋은 텅스텐과 크롬을 넣어 합금한 고속도강, 탄화 텅스텐으로 만든 초경합금 등 충격이나 진동에 쉽게 부러지거나 파손되지 않을 정도의 강도가 높은 도구를 사용한다. 또는 목재와 같은 재료를 가공할 때는 강도와 내구성을 고려한 절삭비트가 사용된다.
종래에는 다른 사이즈를 갖는 절삭비트의 장착과 분리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0149호(2001. 07. 16. 등록, 고안의 명칭 : 공작기계용 절삭공구)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절삭비트의 장착과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절삭형 공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절삭형 공구장치는: 절삭비트가 삽입되는 장착홀부를 구비하며 절삭비트의 외측을 탄성 가압하는 콜렛부와, 개구된 일측을 통하여 콜렛부의 타측이 삽입되며 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하우징부 및 콜렛부의 일측을 감싸며 하우징부에 체결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콜렛부는 커버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콜렛부는, 커버부의 내측에 삽입되며 커버부에서 하우징부를 향한 방향으로 외경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헤드부와, 헤드부에서 연장되어 원주 방향으로 홈부를 형성하며 커버부의 내측에 구비된 걸림돌기에 걸려서 이동이 구속되는 걸림홈부 및 걸림홈부에서 연장되어 하우징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하우징부의 내측을 향하여 외경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콜렛부는, 몸체부의 단부에서 헤드부를 향하여 길이 방향으로 홀부를 형성하는 제1변형유도홀부 및 헤드부의 단부에서 몸체부를 향하여 길이 방향으로 홀부를 형성하는 제2변형유도홀부를 포함하며, 제1변형유도홀부와 제2변형유도홀부는 원주 방향을 따라 번갈아가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콜렛부는, 헤드부의 중앙에 구비된 장착홀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절삭비트가 삽입되는 중앙홀부를 구비하고 절삭비트의 외측을 탄성 가압하는 인서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인서트부는, 헤드부에 구비된 안착홈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인서트몸체부와, 인서트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돌출되어 헤드부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 및 연장부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굽어져서 헤드부에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우징부는, 커버부와 결합되기 위한 나사산이 외측에 구비되는 하우징몸체 및 하우징몸체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구동부에 연결되는 연결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커버부는, 하우징몸체의 외측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산산을 구비하며 하우징몸체의 외측에 체결되는 커버몸체 및 커버몸체에서 연장되며 내측에는 콜렛부가 걸리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커버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부가 하측에 설치되는 선반테이블을 더 포함하며, 콜렛부를 감싸는 하우징부의 일측은 구동부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측으로 연장되고, 콜렛부에 장착된 절삭비트는 선반테이블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피가공물을 절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삭형 공구장치는, 절삭비트가 콜렛부의 장착홀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절삭비트의 장착과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져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서트부를 추가 설치하므로 직경이 작은 절삭비트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인서트부의 마모 발생시 인서트부만 교체하면 되므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형 공구장치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콜렛부에 절삭비트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콜렛부가 하우징부와 커버부의 내측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형 공구장치의 주요 구성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부가 헤드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형 공구장치가 선반테이블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형 공구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형 공구장치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콜렛부에 절삭비트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콜렛부가 하우징부와 커버부의 내측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형 공구장치의 주요 구성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부가 헤드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형 공구장치가 선반테이블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형 공구장치(1)는, 콜렛부와 구동부(50)와 하우징부(60)와 커버부(70)와 선반테이블(80)과 가이드패널(82)을 포함한다.
절삭비트(10)는 콜렛부(20)에 고정되어 콜렛부(20)와 함께 회전된다. 절삭비트(10)의 측면이나 단부에는 피가공물(15)을 가공하기 위한 날부재가 구비된다. 절삭비트(10)의 하측은 봉 형상이며, 콜렛부(20)의 장착홀부(22)의 내측에 삽입되거나 인서트부(40)의 중앙홀부(42) 내측에 장착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콜렛부(20)는 절삭비트(10)가 삽입되는 장착홀부(22)를 구비하며 절삭비트(10)의 외측을 탄성 가압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콜렛부(20)는 장착홀부(22)와 헤드부(24)와 걸림홈부(26)와 몸체부(28)와 제1변형유도홀부(30)와 제2변형유도홀부(32)와 인서트부(40)를 포함한다.
헤드부(24)는 커버부(70)의 내측에 삽입되며, 커버부(70)에서 하우징부(60)를 향한 방향으로 외경이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콜렛부(20)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장착홀부(22)에 절삭비트(10)가 삽입되거나 인서트부(40)가 삽입된다. 헤드부(24)는 커버부(70)의 내측에 위치한다.
걸림홈부(26)는 헤드부(24)에서 연장되어 원주 방향으로 홈부를 형성하며 커버부(70)의 내측에 구비된 걸림돌기(76)에 걸려서 이동이 구속된다. 헤드부(24)의 타측(도 5기준 우측)에 연결된 걸림홈부(26)는 링 형상의 홈부를 형성한다.
몸체부(28)는 걸림홈부(26)에서 연장되어 하우징부(60)의 내측에 위치하며, 하우징부(60)의 내측을 향하여 외경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을 구비한다. 콜렛부(20)의 일측(도 5기준 좌측)에서 타측으로 헤드부(24)와 걸림홈부(26)와 몸체부(28)의 순서로 위치한다.
제1변형유도홀부(30)는 몸체부(28)의 단부에서 헤드부(24)를 향하여 길이 방향으로 홀부를 형성한다. 제2변형유도홀부(32)는 헤드부(24)의 단부에서 몸체부(28)를 향하여 길이 방향으로 홀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제1변형유도홀부(30)와 제2변형유도홀부(32)는 원주 방향을 따라 번갈아가며 형성되므로 콜렛부(20)가 장착홀부(22)의 중심을 향하여 모아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장착홀부(22)의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제1변형유도홀부(30)와 제2변형유도홀부(32)가 번갈아 가며 형성되므로 콜렛부(20)는 탄성을 갖는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지므로 장착홀부(22)에 삽입된 절삭비트(10)를 향하여 이동되거나 벌어지는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콜렛부(20)에 인서트부(4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인서트부(40)는 헤드부(24)의 중앙에 구비된 장착홀부(22)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절삭비트(10)가 삽입되는 중앙홀부(42)를 구비하고 절삭비트(10)의 외측을 탄성 가압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부(40)는, 헤드부(24)에 구비된 안착홈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인서트몸체부(44)와, 인서트몸체부(44)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돌출되어 헤드부(24)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46) 및 연장부(46)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굽어져서 헤드부(24)에 걸리는 걸림부(48)를 포함한다.
인서트몸체는 헤드부(24)의 중앙에 구비된 장착홀부(22)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원기둥 형상이다. 인서트몸체의 테두리에서 돌출된 복수의 연장부(46)는 장착홀부(2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연장부(46)의 일측에는 걸림부(48)가 연결되며 타측에는 인서트몸체부(44)가 연결된다. 연장부(46)의 일측 단부에 연결된 걸림부(48)는 헤드부(24)의 측면에 형성된 단부에 걸려서 이동이 구속된다.
연장부(46)와 걸림부(48)는 일체로 형성되며 각 연장부(46)의 사이에는 연장부(46)의 탄성 변형을 가능하게 하는 직선방향의 홀부가 구비된다.
도 1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콜렛부(2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50)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몸체(52)와, 구동몸체(52)의 출력축에 연결되는 커넥터부(54)를 포함한다. 커넥터부(54)는 구동몸체(52)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되며, 하우징부(60)의 연결바(64)가 커넥터부(54)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60)의 개구된 일측을 통하여 콜렛부(20)의 타측이 삽입되며, 하우징부(60)의 타측으로 돌출된 돌기가 구동부(50)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60)는 하우징몸체(62)와 연결바(64)를 포함한다.
하우징몸체(62)는 커버부(70)와 결합되기 위한 나사산이 외측에 구비되는 파이프 형상이다. 하우징몸체(62)의 일측은 개구되고 타측은 막혀 있는 형상이다. 연결바(64)는 하우징몸체(62)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구동부(50)에 연결되는 원형바 형상이며, 구동부(50)의 커넥터부(54)에 탈착된다. 한편 하우징몸체(62)의 내경은 콜렛부(20)의 외경과 같거나 약간 크게 형성되므로 콜렛부(20)의 장착과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커버부(70)는 콜렛부(20)의 일측을 감싸며 하우징부(60)에 체결되며, 콜렛부(20)는 커버부(7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70)는, 하우징몸체(62)의 외측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산산을 구비하며 하우징몸체(62)의 외측에 체결되는 커버몸체(72) 및 커버몸체(72)에서 연장되며 내측에는 콜렛부(20)가 걸리는 걸림돌기(76)를 구비하는 커버헤드부(74)를 포함한다.
커버부(70)와 마주하는 하우징몸체(62)의 외측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커버몸체(72)의 내측에 형성되므로, 커버몸체(72)는 하우징몸체(62)에 나사 체결된다. 커버몸체(72)는 파이프 형상이며, 커버몸체(72)의 일측에 연결된 커버헤드부(74)의 외측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커버헤드부(74)의 내측에는 링 형상의 걸림돌기(76)가 돌출된다. 따라서 콜렛부(20)의 걸림홈부(26)가 걸림돌기(76)에 걸려서 이동이 구속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형 공구장치(1)는 구동부(50)가 하측에 설치되는 선반테이블(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콜렛부(20)를 감싸는 하우징부(60)의 일측은 구동부(50)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측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콜렛부(20)에 장착된 절삭비트(10)는 선반테이블(8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피가공물(15)을 절삭한다.
선반테이블(80)의 하측에 설치된 구동부(50)의 설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절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선반테이블(80)의 상측으로 돌출된 절삭비트(10)의 상하 방향 높이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선반테이블(80)의 상측에는 가이드패널(82)이 고정되므로, 절삭비트(10)를 향하여 피가공물(15)을 이동할 때 피가공물(15)의 측면에 가이드패널(82)이 접하면서 피가공물(15)의 이동을 안내한다.
하우징부(60)와 커버부(70)가 콜렛부(20)를 감싸며 설치되고, 하우징부(60)에 구비된 연결바(64)가 구동부(50)의 커넥터부(54)에 연결되므로 콜렛부(20)의 길이를 확장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작업자가 선반테이블(80)의 밑으로 들어가서 콜렛부(20)를 교체하지 않고 선반테이블(80)의 상측에서 커버부(70)를 분리하는 작업 만으로도 콜렛부(2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60)와 커버부(70)를 교체하는 작업 만으로 다른 사이즈의 콜렛부(20)를 사용할 수 있으며, 연결바(64)의 사이즈를 변경하는 작업만으로도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우징부(60)와 커버부(70)는 황삭 가공 후 열처리를 하며, 이후 정삭 가공되어 높은 표면 경도를 보유할 수 있으며, 콜렛부(20)는 스프링 콜렛을 사용하므로 절삭비트(10)와 면접촉을 하여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형 공구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커버부(70)의 내측에 헤드부(24)를 삽입한 후 커버부(70)의 내측에 구비된 걸린돌기가 콜렛부(20)의 걸림홈부(26)에 삽입되므로 커버부(70)에 콜렛부(20)가 고정된다. 만약 커버부(70)에서 콜렛부(2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커버부(70)를 손으로 잡고 몸체부(28)의 측면을 가압하는 동작에 의해 커버부(70)에서 콜렛부(20)가 분리된다.
다시 커버부(70)에 콜렛부(20)를 결합할 때는 커버부(70)에 삽입된 콜렛부(20)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작업자의 손으로 콜렛부(20)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동작만으로 콜렛부(20)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걸림돌기(76)에 걸려서 고정된다.
작은 직경의 절삭비트(1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헤드부(24)에 별도의 인서트부(40)를 추가 설치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큰 직경의 절삭비트(1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인서트부(40)를 헤드부(24)에서 분리한 후 사용하면 되므로 다양한 절삭비트(10)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공구를 추가 구입하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커버부(70)에 콜렛부(20)를 먼저 결합한 후 하우징부(60)의 내측에 콜렛부(20)의 몸체부(28)를 삽입한다. 그리고 커버부(70)가 하우징부(60)에 체결되므로 콜렛부(20)의 장착이 완료된다. 하우징부(60)의 연결바(64)가 구동부(50)의 커넥터부(54)에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선반케이블의 상측으로 콜렛부(20)가 노출된다. 선반테이블(80)의 상측으로 돌출된 콜렛부(20)에 절삭비트(10)를 삽입하므로 선반테이블(80)의 상측으로 절삭비트(10)가 돌출된다.
피가공물(15)은 선반테이블(80)의 상측에 설치된 가이드패널(82)을 따라 이동되며 절삭비트(10)에 의해 가공작업이 이루어진다. 절삭비트(10)의 교환작업이 필요할 경우, 절삭비트(10)를 콜렛부(20)에서 제거한 후 다른 절삭비트(10)를 콜렛부(20)의 장착홀부(22)에 삽입되는 작업을 한다.
작은 사이즈의 절삭비트(10)를 사용하는 경우, 인서트부(40)를 헤드부(24)의 장착홀부(22)에 삽입하는 작업을 한 후 절삭비트(10)를 인서트부(40)의 중앙홀부(42)로 삽입한다. 인서트부(40)가 파손되거나 교체할 필요가 있을 경우, 헤드부(24)에서 인서트부(40)를 분리한 후 다른 인서트부(40)를 설치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절삭비트(10)가 콜렛부(20)의 장착홀부(2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절삭비트(10)의 장착과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져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인서트부(40)를 추가 설치하므로 직경이 작은 절삭비트(10)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인서트부(40)의 마모 발생시 인서트부(40)만 교체하면 되므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절삭형 공구장치
10: 절삭비트 15: 피가공물
20: 콜렛부 22: 장착홀부 24: 헤드부 26: 걸림홈부 28: 몸체부 30: 제1변형유도홀부 32: 제2변형유도홀부 40: 인서트부 42: 중앙홀부 44: 인서트몸체부 46: 연장부 48: 걸림부
50: 구동부 52: 구동몸체 54: 커넥터부
60: 하우징부 62: 하우징몸체 64: 연결바
70: 커버부 72: 커버몸체 74: 커버헤드부 76: 걸림돌기
80: 선반테이블 82: 가이드패널

Claims (6)

  1. 절삭비트가 삽입되는 장착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절삭비트의 외측을 탄성 가압하는 콜렛부;
    개구된 일측을 통하여 상기 콜렛부의 타측이 삽입되며, 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하우징부; 및
    상기 콜렛부의 일측을 감싸며 상기 하우징부에 체결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콜렛부는, 상기 커버부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커버부에서 상기 하우징부를 향한 방향으로 외경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에서 연장되어 원주 방향으로 홈부를 형성하며, 상기 커버부의 내측에 구비된 걸림돌기에 걸려서 이동이 구속되는 걸림홈부; 상기 걸림홈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을 향하여 외경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몸체부; 및 상기 헤드부의 중앙에 구비된 상기 장착홀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절삭비트가 삽입되는 중앙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삭비트의 외측을 탄성 가압하는 인서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서트부는, 상기 헤드부에 구비된 안착홈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인서트몸체부; 상기 인서트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돌출되어 상기 헤드부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굽어져서 상기 헤드부에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와 상기 걸림부는 일체로 형성되며 각 연장부의 사이에는 연장부의 탄성 변형을 가능하게 하는 직선방향의 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형 공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콜렛부는, 상기 몸체부의 단부에서 상기 헤드부를 향하여 길이 방향으로 홀부를 형성하는 제1변형유도홀부; 및
    상기 헤드부의 단부에서 상기 몸체부를 향하여 길이 방향으로 홀부를 형성하는 제2변형유도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변형유도홀부와 상기 제2변형유도홀부는 원주 방향을 따라 번갈아가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형 공구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커버부와 결합되기 위한 나사산이 외측에 구비되는 하우징몸체; 및
    상기 하우징몸체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는 연결바;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하우징몸체의 외측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산산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몸체의 외측에 체결되는 커버몸체; 및
    상기 커버몸체에서 연장되며 내측에는 상기 콜렛부가 걸리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커버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형 공구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2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가 하측에 설치되는 선반테이블;을 더 포함하며,
    상기 콜렛부를 감싸는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콜렛부에 장착된 상기 절삭비트는 상기 선반테이블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피가공물을 절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형 공구장치.
KR1020170174645A 2017-12-18 2017-12-18 절삭형 공구장치 KR101900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645A KR101900619B1 (ko) 2017-12-18 2017-12-18 절삭형 공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645A KR101900619B1 (ko) 2017-12-18 2017-12-18 절삭형 공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0619B1 true KR101900619B1 (ko) 2018-09-19

Family

ID=63719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4645A KR101900619B1 (ko) 2017-12-18 2017-12-18 절삭형 공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061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2714B2 (en) Hydraulic chuck with a reduction sleeve
US7112020B2 (en) Cutting tool configured for improved engagement with a tool holder
EP2319645A1 (en) A rotatable tool for chip removing machining as well as a loose top and a basic body therefor
KR101900619B1 (ko) 절삭형 공구장치
KR101441794B1 (ko) 구멍 가공용 백챔퍼링 공구
KR20190100752A (ko) 절삭형 공구장치
CN210548356U (zh) 一种铣刀盘
CN210080818U (zh) 一种球头立铣刀
CN108723455B (zh) 一种硬质合金铣刀
KR200489244Y1 (ko) 인서트 드릴
KR102217335B1 (ko) 건드릴 머신의 숏드릴 연결구조
EP1180420B1 (en) Carving/planing attachment for a rotary hand tool
KR101526790B1 (ko) 디버링 공구
KR200489326Y1 (ko) 선반용 척
KR101051599B1 (ko) 슬로터 공구
KR102622761B1 (ko) 핸드머신용 목재 곡면가공 툴
CN101863047B (zh) 便携式切割机
CN212599145U (zh) 一种深孔合金开孔器
KR102621093B1 (ko) 목재용 구형 가공툴
KR102466656B1 (ko) 원심력이 최소화되면서 호환성이 향상된 건드릴 어셈블리
CN216832910U (zh) 一种用于装订机的打孔电机
CN202037461U (zh) 镗刀夹套
CN219254162U (zh) 一种定位倒角组合刀具
CN220659317U (zh) 导套
CN210755425U (zh) 便于更换刀头的t型铣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