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0752A - 절삭형 공구장치 - Google Patents

절삭형 공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0752A
KR20190100752A KR1020180020697A KR20180020697A KR20190100752A KR 20190100752 A KR20190100752 A KR 20190100752A KR 1020180020697 A KR1020180020697 A KR 1020180020697A KR 20180020697 A KR20180020697 A KR 20180020697A KR 20190100752 A KR20190100752 A KR 20190100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anel
fixed
guid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0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창규
Original Assignee
강창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창규 filed Critical 강창규
Priority to KR1020180020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0752A/ko
Publication of KR20190100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07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5/00Machines designed for producing special profiles or shaped work, e.g. by rotary cutters; Equipment therefor
    • B27C5/02Machines with table
    • B27C5/06Arrangements for clamping or feed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7/00Wood-turning machines; Equipment therefor
    • B27C7/06Arrangements for guiding or supporting the tool, e.g. tool res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절삭형 공구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절삭형 공구장치는: 절삭비트를 파지하는 비트파지부와 연결되며 비트파지부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와, 구동부에 연결되는 장착패널과 결합되는 승하강패널부와, 승하강패널부의 상측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고정패널부와, 고정패널부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승하강패널부를 관통하며 승하강패널부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승하강패널부에 고정되며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공을 구비하는 나사안내부 및 고정패널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나사안내부와 나사 결합되어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승하강패널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절삭형 공구장치{DEVICE FOR CUTTING TOOL}
본 발명은 절삭형 공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절삭비트의 상하 이동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절삭형 공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삭공구는 금속이나 비금속 재료를 깎아내 가공할 수 있는 공구로, 금속을 깎는 역할을 하는 선반의 바이트, 밀링의 커터, 드릴링 머신의 드릴 등이 있다.
초기에는 절삭 공구의 재료에 탄소강이 주로 사용되었지만, 고온에서 절삭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최근에는 절삭력이 좋은 텅스텐과 크롬을 넣어 합금한 고속도강, 탄화 텅스텐으로 만든 초경합금 등 충격이나 진동에 쉽게 부러지거나 파손되지 않을 정도의 강도가 높은 도구를 사용한다. 또는 목재와 같은 재료를 가공할 때는 강도와 내구성을 고려한 절삭비트가 사용된다.
종래에는 절삭비트의 상하 이동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장비를 다시 분해하고 조립하는 작업이 요구되므로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0149호(2001. 07. 16. 등록, 고안의 명칭 : 공작기계용 절삭공구)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절삭비트의 상하 이동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절삭형 공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절삭형 공구장치는: 절삭비트를 파지하는 비트파지부와 연결되며 비트파지부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와, 구동부에 연결되는 장착패널과 결합되는 승하강패널부와, 승하강패널부의 상측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고정패널부와, 고정패널부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승하강패널부를 관통하며 승하강패널부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승하강패널부에 고정되며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공을 구비하는 나사안내부 및 고정패널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나사안내부와 나사 결합되어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승하강패널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패널부에 설치되며, 상하조절부의 측방향을 가압하는 블록을 구비하며 상하조절부의 회전을 구속하는 잠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잠금부는, 고정패널부의 하측에 고정되는 잠금하우징과, 잠금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하조절부와 마주하는 잠금블록과, 잠금블록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잠금블록을 상하조절부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블록 및 가압블록에 나사 체결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가압블록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절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잠금블록은, 상하조절부와 마주하는 일측에 상하조절부의 외측과 접하는 곡면부 및 가압블록과 마주하는 타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1경사면을 포함하며, 가압블록은 제1경사면과 마주하는 측면에 제1경사면에 접하는 제2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이드부는 환봉 형상이며, 가이드부의 하측은 하부지지부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하조절부는,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환봉 형상의 스크루바와, 스크루바의 상측과 하측으로 돌출되는 삽입돌기 및 고정패널부로 삽입된 삽입돌기의 상측에 공구가 삽입되기 위한 홈부를 형성하는 장착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삭형 공구장치는, 스크루바의 회전으로 승하강패널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와 함께 장착패널과 구동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절삭비트의 상하 이동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형 공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형 공구장치에서 비트파지부와 구동부가 삭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커버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패널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패널부에 장착패널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형 공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조절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가 동작되어 스크루바의 회전을 구속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형 공구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패널부가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트파지부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트파지부에 절삭비트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콜렛부가 하우징부와 커버부의 내측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트파지부의 주요 구성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부가 헤드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형 공구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형 공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형 공구장치에서 비트파지부와 구동부가 삭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커버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패널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패널부에 장착패널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형 공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조절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의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가 동작되어 스크루바의 회전을 구속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형 공구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패널부가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트파지부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트파지부에 절삭비트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콜렛부가 하우징부와 커버부의 내측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트파지부의 주요 구성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부가 헤드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형 공구장치(11)는, 비트파지부(1)와 절삭비트(10)와 구동부(50)와 고정패널부(80)와 가이드부(90)와 상하조절부(100)와 하부지지부(110)와 승하강패널부(120)와 봉안내부(130)와 나사안내부(140)와 잠금부(150)와 장착패널(160)을 포함한다.
도 13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트파지부(1)는 콜렛부(20)와 하우징부(60)와 커버부(70)를 포함한다. 절삭비트(10)는 콜렛부(20)에 고정되어 콜렛부(20)와 함께 회전된다. 절삭비트(10)의 측면이나 단부에는 피가공물을 가공하기 위한 날부재가 구비된다. 절삭비트(10)의 하측은 봉 형상이며, 콜렛부(20)의 장착홀부(22)의 내측에 삽입되거나 인서트부(40)의 중앙홀부(42)의 내측에 장착된다.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콜렛부(20)는 절삭비트(10)가 삽입되는 장착홀부(22)를 구비하며 절삭비트(10)의 외측을 탄성 가압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콜렛부(20)는 장착홀부(22)와 헤드부(24)와 걸림홈부(26)와 몸체부(28)와 제1변형유도홀부(30)와 제2변형유도홀부(32)와 인서트부(40)를 포함한다.
헤드부(24)는 커버부(70)의 내측에 삽입되며, 커버부(70)에서 하우징부(60)를 향한 방향으로 외경이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콜렛부(20)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장착홀부(22)에 절삭비트(10)가 삽입되거나 인서트부(40)가 삽입된다. 헤드부(24)는 커버부(70)의 내측에 위치한다.
걸림홈부(26)는 헤드부(24)에서 연장되어 원주 방향으로 홈부를 형성하며 커버부(70)의 내측에 구비된 걸림돌기(76)에 걸려서 이동이 구속된다. 헤드부(24)의 타측(도 16기준 우측)에 연결된 걸림홈부(26)는 링 형상의 홈부를 형성한다.
몸체부(28)는 걸림홈부(26)에서 연장되어 하우징부(60)의 내측에 위치하며, 하우징부(60)의 내측을 향하여 외경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을 구비한다. 콜렛부(20)의 일측(도 16기준 좌측)에서 타측으로 헤드부(24)와 걸림홈부(26)와 몸체부(28)의 순서로 위치한다.
제1변형유도홀부(30)는 몸체부(28)의 단부에서 헤드부(24)를 향하여 길이 방향으로 홀부를 형성한다. 제2변형유도홀부(32)는 헤드부(24)의 단부에서 몸체부(28)를 향하여 길이 방향으로 홀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제1변형유도홀부(30)와 제2변형유도홀부(32)는 원주 방향을 따라 번갈아가며 형성되므로 콜렛부(20)가 장착홀부(22)의 중심을 향하여 모아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장착홀부(22)의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제1변형유도홀부(30)와 제2변형유도홀부(32)가 번갈아 가며 형성되므로 콜렛부(20)는 탄성을 갖는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지므로 장착홀부(22)에 삽입된 절삭비트(10)를 향하여 이동되거나 벌어지는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콜렛부(20)에 인서트부(4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인서트부(40)는 헤드부(24)의 중앙에 구비된 장착홀부(22)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절삭비트(10)가 삽입되는 중앙홀부(42)를 구비하고 절삭비트(10)의 외측을 탄성 가압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부(40)는, 헤드부(24)에 구비된 안착홈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인서트몸체부(44)와, 인서트몸체부(44)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돌출되어 헤드부(24)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46) 및 연장부(46)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굽어져서 헤드부(24)에 걸리는 걸림부(48)를 포함한다.
인서트몸체부(44)는 헤드부(24)의 중앙에 구비된 장착홀부(22)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원기둥 형상이다. 인서트몸체부(44)의 테두리에서 돌출된 복수의 연장부(46)는 장착홀부(2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연장부(46)의 일측에는 걸림부(48)가 연결되며 타측에는 인서트몸체부(44)가 연결된다. 연장부(46)의 일측 단부에 연결된 걸림부(48)는 헤드부(24)의 측면에 형성된 단부에 걸려서 이동이 구속된다.
연장부(46)와 걸림부(48)는 일체로 형성되며 각 연장부(46)의 사이에는 연장부(46)의 탄성 변형을 가능하게 하는 직선방향의 홀부가 구비된다.
도 1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콜렛부(2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50)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몸체(52)와, 구동몸체(52)의 출력축에 연결되는 커넥터부(54)를 포함한다. 커넥터부(54)는 구동몸체(52)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되며, 하우징부(60)의 연결바(64)가 커넥터부(54)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60)의 개구된 일측을 통하여 콜렛부(20)의 타측이 삽입되며, 하우징부(60)의 타측으로 돌출된 돌기가 구동부(50)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60)는 하우징몸체(62)와 연결바(64)를 포함한다.
하우징몸체(62)는 커버부(70)와 결합되기 위한 나사산이 외측에 구비되는 파이프 형상이다. 하우징몸체(62)의 일측은 개구되고 타측은 막혀 있는 형상이다. 연결바(64)는 하우징몸체(62)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구동부(50)에 연결되는 원형바 형상이며, 구동부(50)의 커넥터부(54)에 탈착된다. 한편 하우징몸체(62)의 내경은 콜렛부(20)의 외경과 같거나 약간 크게 형성되므로 콜렛부(20)의 장착과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커버부(70)는 콜렛부(20)의 일측을 감싸며 하우징부(60)에 체결되며, 콜렛부(20)는 커버부(7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70)는, 하우징몸체(62)의 외측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산산을 구비하며 하우징몸체(62)의 외측에 체결되는 커버몸체(72) 및 커버몸체(72)에서 연장되며 내측에는 콜렛부(20)가 걸리는 걸림돌기(76)를 구비하는 커버헤드부(74)를 포함한다.
커버부(70)와 마주하는 하우징몸체(62)의 외측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커버몸체(72)의 내측에 형성되므로, 커버몸체(72)는 하우징몸체(62)에 나사 체결된다. 커버몸체(72)는 파이프 형상이며, 커버몸체(72)의 일측에 연결된 커버헤드부(74)의 외측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커버헤드부(74)의 내측에는 링 형상의 걸림돌기(76)가 돌출된다. 따라서 콜렛부(20)의 걸림홈부(26)가 걸림돌기(76)에 걸려서 이동이 구속된다.
콜렛부(20)에 장착된 절삭비트(10)는 고정패널부(8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피가공물을 절삭한다. 고정패널부(80)의 하측에 설치된 구동부(50)의 설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절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고정패널부(80)의 상측으로 돌출된 절삭비트(10)의 상하 방향 높이도 조절할 수 있다.
하우징부(60)와 커버부(70)가 콜렛부(20)를 감싸며 설치되고, 하우징부(60)에 구비된 연결바(64)가 구동부(50)의 커넥터부(54)에 연결되므로 콜렛부(20)의 길이를 확장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작업자가 고정패널부(80)의 밑으로 들어가서 콜렛부(20)를 교체하지 않고 고정패널부(80)의 상측에서 커버부(70)를 분리하는 작업 만으로도 콜렛부(2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60)와 커버부(70)를 교체하는 작업 만으로 다른 사이즈의 콜렛부(20)를 사용할 수 있으며, 연결바(64)의 사이즈를 변경하는 작업만으로도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우징부(60)와 커버부(70)는 황삭 가공 후 열처리를 하며, 이후 정삭 가공되어 높은 표면 경도를 보유할 수 있으며, 콜렛부(20)는 스프링 콜렛을 사용하므로 절삭비트(10)와 면접촉을 하여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50)는 절삭비트(10)를 파지하는 비트파지부(1)와 연결되며, 비트파지부(1)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50)는 모터를 사용하며, 이러한 구동부(50)는 장착패널(160)에 결합된다.
고정패널부(80)는 승하강패널부(120)의 상측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판 형상이다. 고정패널부(80)는 선반테이블 등에 고정되며, 상하 및 좌우 이동이 구속된 상태로 설치된다. 고정패널부(80)의 내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구멍을 형성하는 커버안착부(85)가 구비된다. 커버안착부(85)에는 원판 형상의 장착커버(87)가 착탈될 수 있다. 장착커버(87)의 내측에 형성된 구멍의 크기는 절삭비트(10)의 크기에 따라 변경된다. 한편 상하조절부(100)의 스크루바(102)와 마주하는 상측에는 원형판 형상의 캡부재(88)가 설치되며, 이러한 캡부재(88)에는 눈금이 형성되므로 작업자가 스크루바(102)를 회전시키는 작업을 정밀하게 할 수 있다.
가이드부(90)는 고정패널부(80)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승하강패널부(120)를 관통하며, 승하강패널부(12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9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환봉 형상이며, 가이드부(90)의 하측은 하부지지부(110)에 의해 고정되거나 봉안내부(130)를 관통하여 하측으로 연장된다. 가이드부(90)는 고정패널부(8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가이드부(90)의 상측은 고정패널부(80)에 고정된다. 고정패널부(80)의 일측에는 2개의 가이드부(90)가 설치되며 고정패널부(80)의 타측에는 1개의 가이드부(90)가 설치된다. 이러한 가이드부(90)는 봉안내부(130)와 승하강패널부(120)를 관통하며 승하강패널부(120)의 하측으로 연장된다.
상하조절부(100)는 고정패널부(8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나사안내부(140)와 나사 결합되어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승하강패널부(12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조절부(100)는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환봉 형상의 스크루바(102)와, 스크루바(102)의 상측과 하측으로 돌출되는 삽입돌기(104) 및 고정패널부(80)로 삽입된 삽입돌기(104)의 상측에 공구가 삽입되기 위한 홈부를 형성하는 장착홈부(105)를 포함한다.
스크루바(10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스크루바(102)의 상측과 하측으로 각각 연장된 삽입돌기(104)의 외경은 스크루바(102)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스크루바(102)의 상측으로 연장된 삽입돌기(104)의 상측에는 공구가 삽입되기 위한 장착홈부(105)가 형성되며, 이러한 삽입돌기(104)는 고정패널부(80)의 내측에 삽입되어 중공이 형성된 캡부재(88)의 내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스크루바(102)의 하측으로 연장된 삽입돌기(104)는 하부지지부(1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스크루바(102)의 상측과 하측에 구비된 삽입돌기(104)의 외측에는 지지베어링(106)이 설치되어 스크루바(102)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한다.
스크루바(102)의 하측으로 돌출된 삽입돌기(104)와 가이드부(90)의 하부를 지지하는 블록 형상의 하부지지부(1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가이드부(90)의 하단은 하부지지부(110)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스크루바(102)의 하측으로 연장된 삽입돌기(104)는 하부지지부(110)의 내측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승하강패널부(120)는 구동부(50)에 연결되는 장착패널(160)과 결합되는 판 형상으로 고정패널부(80)의 하측에 위치한다. 승하강패널부(120)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판 형상이며, 고정패널부(80)의 커버안착부(85)와 마주하는 내측에 중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승하강패널부(120)의 양측에는 가이드부(90)의 관통이 이루어지는 봉안내부(130)가 고정된다.
봉안내부(130)의 내측은 상하 방향으로 통공이 형성되며, 몸체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파이프 형상이다. 또한 봉안내부(130)의 상측은 승하강패널부(120)의 상측에 고정되므로 승하강패널부(120)와 함께 봉안내부(130)가 상하로 이동된다. 가이드부(90)와 마주하는 봉안내부(130)의 내측에는 볼베어링이 설치될 수 있으며, 마찰 저감을 위한 부시부재가 설치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나사안내부(140)는 승하강패널부(120)에 고정되며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공을 구비한다. 나사안내부(140)는 봉안내부(130)와 같은 외형을 가지며 승하강패널부(120)에 고정된다. 그리고 나사안내부(140)의 내측에는 스크루바(102)와 나사 결합되기 위한 암나사산이 형성된다. 따라서 스크루바(102)가 나사안내부(140)를 관통하며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나사안내부(140)와 스크루바(102)의 나사 형상의 기어가 연결된다.
잠금부(150)는 고정패널부(80)에 설치되며, 상하조절부(100)의 측방향을 가압하는 블록을 구비하며 상하조절부(100)의 회전을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잠금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150)는, 고정패널부(80)의 하측에 고정되는 잠금하우징(151)과, 잠금하우징(151)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하조절부(100)와 마주하는 잠금블록(154)과, 잠금블록(154)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잠금블록(154)을 상하조절부(100)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블록(152) 및 가압블록(152)에 나사 체결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가압블록(152)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절볼트(158)를 포함한다.
잠금하우징(151)은 고정패널부(80)의 하측에 고정되며, 스크루바(102)가 잠금하우징(151)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며 설치된다. 또한 스크루바(102)의 양측에 위치한 2개의 가이드부(90)도 잠금하우징(151)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며 설치된다.
가압블록(152)과 잠금블록(154)은 수평방향으로 연이어 설치되며, 스크루바(102)와 마주하는 측면에 잠금블록(154)이 위치한다. 또한 가압블록(152)과 잠금블록(154)이 마주하는 측면에는 경사면이 설치되므로, 가압블록(152)이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잠금블록(154)이 스크루바(102)를 향한 방향으로 가압되거나 가압됨이 해지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블록(154)은, 상하조절부(100)의 스크루바(102)와 마주하는 일측에 상하조절부(100)의 외측과 접하는 곡면부(156) 및 가압블록(152)과 마주하는 타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1경사면(155)을 포함한다. 곡면부(156)는 스크루바(102)의 외경에 대응하는 곡률을 구비하며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경사면(155)은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그리고 가압블록(152)은 제1경사면(155)과 마주하는 측면에 제1경사면(155)에 접하는 제2경사면(153)을 포함한다. 제1경사면(155)과 제2경사면(153)의 경사각도는 동일하며, 같은 방향을 향하여 경사면을 형성한다. 가압블록(152)의 높이는 잠금블록(154)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며, 이러한 가압블록(152)은 조절볼트(158)에 의해 상하로 이동된다.
조절볼트(158)는 고정패널부(80)와 잠금하우징(151)의 상측을 차례로 관통하며 가압블록(152)에 체결된다. 또한 조절볼트(158)의 몸체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된 측면돌기(159)는 가압블록(152)의 상측에 걸리므로, 조절볼트(158)의 회전에 의해 가압블록(152)이 하측으로 이동되는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장착패널(160)은 사각판재 형상이며, 다양한 위치와 각도에서도 승하강패널부(120)의 하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의 체결공을 구비한다. 따라서 원통형 뿐만 아니라 특이 형상의 구동부(50)도 장착패널(160)에 장착이 가능하다. 또한 장착패널(160)은 복수의 체결공을 구비한 유니버셜 플레이트(Univesal Plate) 구조이므로 다양한 크기와 종류의 구동부(50)를 장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형 공구장치(1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구동부(50)에 장착패널(160)이 고정된 상태에서, 승하강패널부(120)의 하측에 장착패널(160)을 고정한다. 이때 구동부(50)의 상측에 연결된 비트파지부(1)는 승하강패널부(120)의 가운데에 형성된 중공을 통해 고정패널부(80)의 하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비트파지부(1)의 상측에 연결된 절삭비트(10)는 고정패널부(8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목재와 같은 피가공물을 가공한다.
절삭비트(10)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경우, 공구를 장착홈부(105)에 삽입하여 스크루바(102)를 회전시킨다. 스크루바(102)의 회전으로 나사안내부(140)는 상하 방향로 이동되며, 나사안내부(140)가 고정된 승하강패널부(120)도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승하강패널부(120)는 가이드부(90)에 의해 회전이 구속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만 허용되므로, 스크루바(102)의 회전에 의해 나사안내부(140)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승하강패널부(120)의 상하 방향 이동으로, 장착패널(160)과 구동부(50)도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절삭비트(10)의 상하 이동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트파지부(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커버부(70)의 내측에 헤드부(24)를 삽입한 후 커버부(70)의 내측에 구비된 걸림돌기(76)가 콜렛부(20)의 걸림홈부(26)에 삽입되므로 커버부(70)에 콜렛부(20)가 고정된다. 만약 커버부(70)에서 콜렛부(2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커버부(70)를 손으로 잡고 몸체부(28)의 측면을 가압하는 동작에 의해 커버부(70)에서 콜렛부(20)가 분리된다.
다시 커버부(70)에 콜렛부(20)를 결합할 때는 커버부(70)에 삽입된 콜렛부(20)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작업자의 손으로 콜렛부(20)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동작만으로 콜렛부(20)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걸림돌기(76)에 걸려서 고정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은 직경의 절삭비트(1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헤드부(24)에 별도의 인서트부(40)를 추가 설치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큰 직경의 절삭비트(1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부(40)를 헤드부(24)에서 분리한 후 사용하면 되므로 다양한 절삭비트(10)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공구를 추가 구입하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커버부(70)에 콜렛부(20)를 먼저 결합한 후 하우징부(60)의 내측에 콜렛부(20)의 몸체부(28)를 삽입한다. 그리고 커버부(70)가 하우징부(60)에 체결되므로 콜렛부(20)의 장착이 완료된다. 승하강패널부(120)의 상측으로 돌출된 콜렛부(20)에 절삭비트(10)를 삽입하므로 고정패널부(80)의 상측으로 절삭비트(10)가 돌출된다.
피가공물은 고정패널부(80)의 상측에 설치된 가이드패널(도시생략)을 따라 이동되며 절삭비트(10)에 의해 가공작업이 이루어진다. 절삭비트(10)의 교환작업이 필요할 경우, 절삭비트(10)를 콜렛부(20)에서 제거한 후 다른 절삭비트(10)를 콜렛부(20)의 장착홀부(22)에 삽입되는 작업을 한다.
작은 사이즈의 절삭비트(10)를 사용하는 경우, 인서트부(40)를 헤드부(24)의 장착홀부(22)에 삽입하는 작업을 한 후 절삭비트(10)를 인서트부(40)의 중앙홀부(42)로 삽입한다. 인서트부(40)가 파손되거나 교체할 필요가 있을 경우, 헤드부(24)에서 인서트부(40)를 분리한 후 다른 인서트부(40)를 설치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루바(102)의 회전으로 승하강패널부(12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와 함께 장착패널(160)과 구동부(5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절삭비트(10)의 상하 이동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절삭비트(10)가 콜렛부(20)의 장착홀부(2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절삭비트(10)의 장착과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져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인서트부(40)를 추가 설치하므로 직경이 작은 절삭비트(10)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인서트부(40)의 마모 발생시 인서트부(40)만 교체하면 되므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비트파지부 11: 절삭형 공구장치 10: 절삭비트
20: 콜렛부 22: 장착홀부 24: 헤드부 26: 걸림홈부 28: 몸체부 30: 제1변형유도홀부 32: 제2변형유도홀부 40: 인서트부 42: 중앙홀부 44: 인서트몸체부 46: 연장부 48: 걸림부
50: 구동부 52: 구동몸체 54: 커넥터부
60: 하우징부 62: 하우징몸체 64: 연결바
70: 커버부 72: 커버몸체 74: 커버헤드부 76: 걸림돌기
80: 고정패널부 85: 커버안착부 87: 장착커버 88: 캡부재 90: 가이드부
100: 상하조절부 102: 스크루바 104: 삽입돌기 105: 장착홈부 106: 지지베어링
110: 하부지지부 120: 승하강패널부 130: 봉안내부 140: 나사안내부
150: 잠금부 151: 잠금하우징 152: 가압블록 153: 제2경사면 154: 잠금블록 155: 제1경사면 156: 곡면부 158: 조절볼트 159: 측면돌기
160: 장착패널

Claims (6)

  1. 절삭비트를 파지하는 비트파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비트파지부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는 장착패널과 결합되는 승하강패널부;
    상기 승하강패널부의 상측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고정패널부;
    상기 고정패널부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승하강패널부를 관통하며 상기 승하강패널부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상기 승하강패널부에 고정되며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공을 구비하는 나사안내부; 및
    상기 고정패널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나사안내부와 나사 결합되어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승하강패널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형 공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패널부에 설치되며, 상기 상하조절부의 측방향을 가압하는 블록을 구비하며 상기 상하조절부의 회전을 구속하는 잠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형 공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고정패널부의 하측에 고정되는 잠금하우징;
    상기 잠금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상하조절부와 마주하는 잠금블록;
    상기 잠금블록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잠금블록을 상기 상하조절부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블록; 및
    상기 가압블록에 나사 체결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가압블록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절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형 공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블록은, 상기 상하조절부와 마주하는 일측에 상기 상하조절부의 외측과 접하는 곡면부; 및
    상기 가압블록과 마주하는 타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1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블록은 상기 제1경사면과 마주하는 측면에 상기 제1경사면에 접하는 제2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형 공구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환봉 형상이며, 상기 가이드부의 하측은 하부지지부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형 공구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조절부는,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환봉 형상의 스크루바;
    상기 스크루바의 상측과 하측으로 돌출되는 삽입돌기; 및
    상기 고정패널부로 삽입된 상기 삽입돌기의 상측에 공구가 삽입되기 위한 홈부를 형성하는 장착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형 공구장치.
KR1020180020697A 2018-02-21 2018-02-21 절삭형 공구장치 KR201901007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697A KR20190100752A (ko) 2018-02-21 2018-02-21 절삭형 공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697A KR20190100752A (ko) 2018-02-21 2018-02-21 절삭형 공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752A true KR20190100752A (ko) 2019-08-29

Family

ID=67776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0697A KR20190100752A (ko) 2018-02-21 2018-02-21 절삭형 공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075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93648A (zh) * 2021-12-15 2022-04-26 潘岐育 一种笔冠安装用毛笔笔杆切削设备
KR102517202B1 (ko) * 2022-10-24 2023-04-03 주식회사 청진 알루미늄 각창 커버 가공 베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93648A (zh) * 2021-12-15 2022-04-26 潘岐育 一种笔冠安装用毛笔笔杆切削设备
KR102517202B1 (ko) * 2022-10-24 2023-04-03 주식회사 청진 알루미늄 각창 커버 가공 베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00752A (ko) 절삭형 공구장치
KR100644400B1 (ko) 면취기의 직선구간용 면취장치
CN213701878U (zh) 一种用于钢板快速打孔的低能耗磁性钻孔机
KR101116564B1 (ko) 테이블 타입 면취기
KR101900619B1 (ko) 절삭형 공구장치
CN210160789U (zh) 一种龙门数控铣床
KR20090021066A (ko) 내측 면취기
CN210254305U (zh) 镗刀
CN210756349U (zh) 一种龙门钻铣一体机
KR101526790B1 (ko) 디버링 공구
AU2018101473B4 (en) Improvements relating to cutting devices to make internal keyways, splines and other shapes in blind bores and through bores
CN218051339U (zh) 一种吊锣机
CN213614355U (zh) 一种镗钻一体式刀具
KR100438016B1 (ko) 금속가공기용 공작물 지지장치
CN217291421U (zh) 一种花键轴与花键套加工固定装置
CN110860711A (zh) 一种数控机床用镗削装置
CN209902396U (zh) 一种用于缸套类零件的内孔多径向孔的倒角机
CN212266103U (zh) 一种便于快速更换的木工扁钻
CN217941959U (zh) 一种自动化金属钻床
CN219254162U (zh) 一种定位倒角组合刀具
CN220093769U (zh) 一种超精密机床的排刀结构
CN218658091U (zh) 一种可调节的数控铣床定位机构
CN209970984U (zh) 一种铣床进料机构
CN214517642U (zh) 一种机械加工用切割刀具
CN101780550B (zh) 台式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