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0345B1 - 송풍 장치 - Google Patents

송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0345B1
KR101900345B1 KR1020167031556A KR20167031556A KR101900345B1 KR 101900345 B1 KR101900345 B1 KR 101900345B1 KR 1020167031556 A KR1020167031556 A KR 1020167031556A KR 20167031556 A KR20167031556 A KR 20167031556A KR 101900345 B1 KR101900345 B1 KR 101900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blade
edge portion
shielding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1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6808A (ko
Inventor
유우마 야마다
히로시 쟈키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5/005438 external-priority patent/WO2016072068A1/ja
Publication of KR20160146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6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3Sound atten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공기를 송풍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30, 300)를 가진 축류형의 팬(3)과, 상기 팬을 지지하는 팬 슈라우드(2)를 구비하고, 상기 팬 슈라우드는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과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상기 팬의 외주를 둘러싸는 링부(21, 210)와, 상기 팬 슈라우드의 외주 가장자리(22)와 상기 링부를 접속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팬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를 상기 링부의 내측으로 유도하는 도풍부(23)를 갖고, 상기 외주 가장자리(22)에는 상기 외주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이웃하는 코너부(22a)와 코너부(22d)의 사이에 상기 링부까지의 거리가 상기 코너부 사이에서 가장 짧은 특정 가장자리부(22ad)가 설치되고, 상기 특정 가장자리부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링부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보다 송풍 공기의 하류에 설치되며 상기 링부로부터 상기 팬의 외주보다 상기 팬의 중심 근처에 위치하도록 연장되는 차폐부(24, 240)를 갖는 송풍 장치.

Description

송풍 장치{BLOWER DEVICE}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해당 개시 내용이 참조에 의하여 본 출원에 편입된 2014년 11월 3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4―223868호 및 2015년 3월 3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5―041630호를 토대로 한다.
본 개시는 축류형 팬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팬 슈라우드(fan shroud)를 구비한 송풍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는 자동차의 라디에이터의 냉각에 이용되는 송풍 장치로서 축류형 팬을 구비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과 같은 송풍 장치에 있어서는, 팬 슈라우드 전체의 형상에 기인하는 팬 외주에 있어서의 흡입 풍량의 분포가 소음 발생의 하나의 요인으로 될 염려가 있다.
최근, 차량에 있어서의 정음성(靜音性)과 관련된 요구의 높이에 따라, 팬의 회전 소음에 관한 피크음, 예를 들면, 1차 성분 등의 피크음을 저감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회전 소음은 회전체와 그 주변으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의 간섭 현상에 의해 현저히 증대하여 단일 주파수 성분에서 특히 높은 음압으로 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팬 슈라우드를 구비하는 송풍 장치에 대하여 밴드 패스 필터(band pass filter)를 걸어서 소음 측정한 경우에도 회전 소음과 관련된 피크음이 발생할 염려가 있다.
특허 문헌 1과 같이, 팬 슈라우드의 도풍부(導風部)에 넓은 부분과 좁은 부분이 생기는 경우에는, 상기 넓은 부분을 따라 흐르는 공기와 좁은 부분을 따라 흐르는 공기의 풍량에 차이가 발생하여 팬 외주에 있어서의 흡입 풍량이 불균일하게 된다. 이 때문에, 팬 전체 둘레 영역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에 불균형이 발생하여 팬의 회전에 따른 소음, 이른바 회전 소음이 발생할 염려가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제5549686호 공보
발명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종래의 팬 슈라우드의 도풍부에 있어서, 팬 슈라우드의 외주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이웃하는 코너부의 사이에 설치된 특정 가장자리부로부터 링부에 이르는 좁은 부분과 그 이외의 넓은 부분에서는 흐르는 공기의 풍량에 차이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팬 외주에 있어서의 흡입 풍량이 불균일하게 됨으로써, 팬 전체 둘레 영역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에 불균형이 발생하여, 팬의 회전 소음이 발생하기 쉽다.
본 개시는 상기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회전 소음과 관련된 피크 소음 레벨을 저감할 수 있는 팬 슈라우드를 가진 송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른 송풍 장치는, 공기를 송풍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가진 축류형의 팬 및 팬을 지지하는 팬 슈라우드를 구비한다. 팬 슈라우드는 블레이드의 선단과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팬의 외주를 둘러싸는 링부 및 팬 슈라우드의 외주 가장자리와 링부를 접속하는 부분으로서, 팬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를 링부의 내측으로 유도하는 도풍부를 가진다.
팬 슈라우드의 외주 가장자리에는 외주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이웃하는 코너부와 코너부의 사이에 링부까지의 거리가 상기 코너부 사이에서 가장 짧은 특정 가장자리부가 설치된다.
특정 가장자리부에 대응하는 위치의 링부에 있어서 블레이드보다 송풍 공기의 하류에 설치되며 링부로부터 팬의 외주보다 팬의 중심 근처에 위치하도록 연장되는 차폐부를 가지고, 차폐부가 설치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특정 가장자리부는 팬 슈라우드의 외주 가장자리에 있어서 링부까지의 거리가 가장 짧은 부위이다.
링부에 있어서 특정 가장자리부에 대응하는 부위에 블레이드보다 송풍 공기의 하류를 차단하는 차폐부를 구비함으로써 도풍부로부터 차폐부를 향하여 흐르는 공기의 양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차폐부에 의한 공기량의 억제에 의하여 팬 외주에 있어서의 흡입 풍량의 불균일 상태를 개선할 수 있고, 팬 전체 둘레 영역에 있어서의 압력 변동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팬의 회전 소음과 관련된 피크 소음 레벨의 저감을 도모하는 송풍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된 송풍 장치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 형태의 팬 슈라우드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3은 팬 슈라우드의 도풍부에 있어서의 광대부에서의 공기 흐름을 설명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팬 슈라우드의 도풍부에 있어서의 협소부에서의 공기 흐름을 설명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비교예 1의 송풍 장치에 대하여 소음 측정한 실험 결과이다.
도 6은 제 1 실시 형태의 송풍 장치에 대하여 소음 측정한 실험 결과이다.
도 7은 제 1 실시 형태의 차폐부의 형상을 설명하는 확대도이다.
도 8은 제 1 실시 형태의 차폐부와 블레이드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확대도이다.
도 9는 블레이드의 앞 가장자리부와 차폐부의 선단의 겹침 부분이 블레이드에 대하여 같은 위치인 송풍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 블레이드의 앞 가장자리부와 차폐부의 선단의 겹침 부분이 이동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 블레이드 선단 각도와 차폐부 각도 사이에 성립하는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블레이드 선단 각도와 차폐부 각도의 최적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를 실시하기 위한 복수의 형태를 설명한다. 각 형태에 있어서 선행하는 형태에서 설명한 사항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각 형태에 있어서 구성의 일부만을 설명하는 경우, 구성의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선행하여 설명한 다른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각 실시 형태에서 구체적으로 조합이 가능한 것을 명시하는 부분 간의 조합뿐만 아니라, 특별히 조합에 지장이 발생하지 않으면, 명시하지 않더라도 실시 형태 간의 부분적인 조합도 가능하다.
(제 1 실시 형태)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인 제 1 실시 형태의 송풍 장치(1)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송풍 장치의 일례로서, 차량에 엔진 등을 냉각하기 위해 탑재되는 라디에이터에 대하여 송풍을 제공하는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 장치(1)는 1개의 축류형의 팬(3) 및 팬(3)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32)를 지지하며 팬(3)이 흡입하는 공기를 유도하는 팬 슈라우드(2)를 구비한다. 팬(3)은 회전의 중심으로 되는 보스부 및 보스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30)를 구비한다. 복수 개의 블레이드(30)는, 그 일단이 보스부와 일체이며 타단이 원형의 링부(31)와 일체로 되도록 구성된다. 팬(3)은 회전 동력을 부여하는 모터(32)를 구비한다. 모터(32)는 회전축인 모터 샤프트를 가진다. 모터 샤프트와 보스부는 고정 부재에 의해 연결된다. 모터(32)는 전동식이며, 예를 들면, 페라이트식의 직류 모터로 구성된다. 모터(32)에는 전기자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하네스부가 접속되며, 이 하네스부는 커넥터 등을 통하여 차량의 배터리에 접속된다.
팬(3)은 열교환기의 일례인 라디에이터(4)보다 흡입 공기의 하류측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팬(3)은 모터(32)가 회전 구동됨으로써 차량 전면(前面)의 그릴측으로부터 엔진측을 향하여 외기를 흡인한다.
팬 슈라우드(2)는 엔진의 냉각수의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라디에이터(4)에 냉각풍을 제공하는 팬(3)을 덮도록 지지하는 부재이다. 팬 슈라우드(2)는 팬(3)의 모터(32)를 지지 고정하고, 또한 라디에이터(4)에 일체로 부착된다. 예를 들면, 팬 슈라우드(2)는, 그 연직 방향 하부 및 연직 방향 상부에 나사 등이 삽입 통과 가능한 관통 구멍을 구비한 하측 부착부 및 상측 부착부를 가진다. 팬 슈라우드(2)는, 그 하측 부착부 및 상측 부착부의 각각을 라디에이터(4)에 설치된 각 암나사부에 나사로 맞춤으로써 라디에이터(4)에 일체로 부착된다. 라디에이터(4)는 상측 단부, 하측 단부, 측단부 등의 각각에 패킹(43)을 통하여 차량측의 부재, 예를 들면, 프레임에 부착된다.
팬 슈라우드(2)는 직사각형상이며 라디에이터(4)에 있어서 열교환이 실시되는 열교환부에 대하여 냉각풍을 통과시키는 팬(3)을 1개 배치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라디에이터(4)의 열교환부는, 예를 들면, 각각의 내부를 냉각수가 유통하는 복수 개의 튜브 및 튜브 간에 튜브와 일체로 설치되는 아우터 핀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엔진으로부터의 냉각수는 워터 펌프가 구동됨으로써 라디에이터 회로를 지나 유입 배관(41a)으로부터 라디에이터(4)의 입구측 탱크(41)로 유입된 후, 열교환부(40)의 튜브 내를 흐른다. 그리고 냉각수는 팬(3)에 의해 제공되는 차실외 공기와의 사이에서 열교환되어 냉각된 후, 출구측 탱크(42)로부터 유출 배관(42a)을 통하여 유출되어 엔진으로 되돌아간다.
팬 슈라우드(2)는, 팬(3)의 선단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팬(3)의 외주를 둘러싸는 링부(21) 및 팬(3)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를 유도하는 도풍부(23)를 구비한다. 도풍부(23)는 팬 슈라우드(2)의 외주 가장자리(22)와 링부(21)를 접속하는 부분으로서, 팬(3)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를 링부(21)의 내측으로 유도하는 가이드 기능을 가진다. 또한, 팬 슈라우드(2)는, 팬(3)의 모터(32)가 부착되는 모터 부착부(25) 및 모터 부착부(25)로부터 방사상으로 복수 개 연장 설치되는 스테이(25a)를 구비한다. 링부(21)는 팬(3)의 복수(예를 들면, 5장)의 블레이드(30)의 외주(팬의 외주)를 둘러싸는 원형상의 통부이며 스테이(25a)의 방사 방향 단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스테이(25a)를 통하여 모터 부착부를 지지한다.
팬 슈라우드(2)는, 그 외주 가장자리(22)와 링부(21)의 사이를 접속하는 부분으로서, 매끄럽게 경사 또는 만곡하는 형상을 이루는 도풍부(23)를 구비한다. 도풍부(23)는 라디에이터(4)의 열교환부의 전면(全面)에 외기를 효율적으로 흡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팬 슈라우드(2)의 외주 가장자리(22)에 있어서의 라디에이터(4)측에 위치하는 단부로부터 링부(21)의 내주 가장자리에 이르는 도풍부(23)에 의하여 형성되는 부분은 풍동부(風洞部)를 구성하고, 외기의 효율적인 흡입 기류의 형성에 기여한다. 팬 슈라우드(2)는 예를 들면, 수지 성형 부재이고, 사전결정된 금형을 이용한 사출 성형 등에 의하여 성형된다. 이 수지 성형 부재는, 예를 들면, 유리 섬유나 탤크재에 의하여 강도가 높여진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에 의하여 완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 슈라우드(2)는 직사각형상의 외주 가장자리(22)를 가진다. 이러한 외주 가장자리(22)에는 4개의 코너부(22a, 22b, 22c, 22d)가 설치된다. 이웃하는 코너부의 사이에는 링부(21)까지의 거리가 상기 코너부 사이에서 가장 짧은 특정 가장자리부가 형성된다. 특정 가장자리부(22ab)는 이웃하는 코너부(22a)와 코너부(22b)의 사이에 있어서 링부(21)까지의 거리가 가장 짧은 외주 가장자리(22)의 일부이다. 특정 가장자리부(22bc)는 이웃하는 코너부(22b)와 코너부(22c)의 사이에 있어서 링부(21)까지의 거리가 가장 짧은 외주 가장자리(22)의 일부이다. 특정 가장자리부(22cd)는 이웃하는 코너부(22c)와 코너부(22d)의 사이에 있어서 링부(21)까지의 거리가 가장 짧은 외주 가장자리(22)의 일부이다. 특정 가장자리부(22ad)는 이웃하는 코너부(22a)와 코너부(22d)의 사이에 있어서 링부(21)까지의 거리가 가장 짧은 외주 가장자리(22)의 일부이다.
또한, 코너부 "22a" 또는 코너부 "22b"는 코너부 "22a"와 코너부 "22b"를 연결하는 외주 가장자리(22)의 일부에 있어서 링부(21)까지의 거리가 가장 길며 특정 가장자리부(22ab)보다 긴 부분이다. 따라서, 특정 가장자리부(22ab)와 링부(21)를 접속하는 도풍부(23)의 일부에는 이웃하는 코너부 "22a"와 코너부 "22b"의 사이에 있어서 표면적이 가장 작은 제 1 영역의 하나인 협소부(23ab)가 형성된다. 코너부(22a)와 링부(21)를 접속하는 도풍부(23)의 부분에는 협소부(23ab)에 대하여 표면적이 광대한 제 2 영역의 하나인 광대부(23a)가 형성된다. 또한, 코너부(22b)와 링부(21)를 접속하는 도풍부(23)의 부분에는 협소부(23ab)에 대하여 표면적이 광대한 제 2 영역의 하나인 광대부(23b)가 형성된다. 광대부(23a)와 협소부(23ab)는 공기 흐름 상류측의 면이 매끄러운 표면 형상에 의하여 접속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협소부(23ab)와 광대부(23b)는 공기 흐름 상류측의 면이 매끄러운 표면 형상에 의하여 접속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코너부 "22b" 또는 코너부 "22c"는 코너부 "22b"와 코너부 "22c"를 연결하는 외주 가장자리(22)의 일부에 있어서 링부(21)까지의 거리가 가장 길며 특정 가장자리부(22bc)보다 긴 부분이다. 따라서, 특정 가장자리부(22bc)와 링부(21)를 접속하는 도풍부(23)의 일부에는 이웃하는 코너부 "22b"와 코너부 "22c"의 사이에 있어서 표면적이 가장 작은 제 1 영역의 하나인 협소부(23bc)가 형성된다. 코너부(22c)와 링부(21)를 접속하는 도풍부(23)의 부분에는 협소부(23bc)에 대하여 표면적이 광대한 제 2 영역의 하나인 광대부(23c)가 형성된다. 광대부(23b)와 협소부(23bc)는 공기 흐름 상류측의 면이 매끄러운 표면 형상에 의하여 접속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협소부(23bc)와 광대부(23c)는 공기 흐름 상류측의 면이 매끄러운 표면 형상에 의하여 접속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특정 가장자리부(22bc)는 링부(21)의 내주면 형상을 따르는 형상이고, 코너부 "22b" 또는 코너부 "22c"보다 가로 방향으로 돌출하는 위치에 있다. 이와 같은 특정 가장자리부(22bc)의 형상에 따라서 협소부(23bc)는 링부(21)의 내주면 형상을 따르도록 코너부(22b) 및 코너부(22c)를 향하여 같은 폭으로 연장되는 매끄러운 표면 형상을 가진다.
또한, 코너부 "22c" 또는 코너부 "22d"는 코너부 "22c"와 코너부 "22d"를 연결하는 외주 가장자리(22)의 일부에 있어서 링부(21)까지의 거리가 가장 길며 특정 가장자리부(22cd)보다 긴 부분이다. 따라서, 특정 가장자리부(22cd)와 링부(21)를 접속하는 도풍부(23)의 일부에는 이웃하는 코너부 "22c"와 코너부 "22d"의 사이에 있어서 표면적이 가장 작은 제 1 영역의 하나인 협소부(23cd)가 형성된다. 코너부(22d)와 링부(21)를 접속하는 도풍부(23)의 부분에는 협소부(23cd)에 대하여 표면적이 광대한 제 2 영역의 하나인 광대부(23d)가 형성된다. 광대부(23c)와 협소부(23cd)는 공기 흐름 상류측의 면이 매끄러운 표면 형상에 의하여 접속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협소부(23cd)와 광대부(23d)는 공기 흐름 상류측의 면이 매끄러운 표면 형상에 의하여 접속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코너부 "22a" 또는 코너부 "22d"는 코너부 "22a"와 코너부 "22d"를 연결하는 외주 가장자리(22)의 일부에 있어서 링부(21)까지의 거리가 가장 길며 특정 가장자리부(22ad)보다 긴 부분이다. 따라서, 특정 가장자리부(22ad)와 링부(21)를 접속하는 도풍부(23)의 일부에는 이웃하는 코너부 "22a"와 코너부"22d"의 사이에 있어서 표면적이 가장 작은 제 1 영역의 하나인 협소부(23ad)가 형성된다. 광대부 "23a" 또는 광대부 "23d"는 협소부(23ad)에 대하여 표면적이 광대한 제 2 영역의 하나이다. 광대부(23a)와 협소부(23ad)는 공기 흐름 상류측의 면이 매끄러운 표면 형상에 의하여 접속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협소부(23ad)와 광대부(23d)는 공기 흐름 상류측의 면이 매끄러운 표면 형상에 의하여 접속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특정 가장자리부(22ad)는 링부(21)의 내주면 형상을 따르는 형상이고, 코너부 "22a" 또는 코너부 "22d"보다 가로 방향으로 돌출하는 위치에 있다. 이와 같은 특정 가장자리부(22ad)의 형상에 따라서 협소부(23ad)는 링부(21)의 내주면 형상을 따르도록 코너부(22a) 및 코너부(22d)를 향하여 같은 폭으로 연장되는 매끄러운 표면 형상을 가진다.
팬 슈라우드(2)는 특정 가장자리부에 대응하는 위치의 링부(21)에 있어서 블레이드(30)보다 송풍 공기의 하류에 설치되며 링부(21)로부터 팬(3)의 외주보다 팬(3)의 중심 근처에 위치하도록 연장되는 차폐부(24)를 가진다. 차폐부(24)는 특정 가장자리부 "22ab", 특정 가장자리부 "22bc", 특정 가장자리부 "22cd", 특정 가장자리부 "22ad" 중의 어느 쪽에 대응하는 부위에도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차폐부(24)는 특정 가장자리부 "22ab", 특정 가장자리부 "22bc", 특정 가장자리부 "22cd" 및 특정 가장자리부 "22ad"의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부위에 설치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도 1 및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부분의 특정 가장자리부를 대표하여 특정 가장자리부(22ad)에 대응하는 부위에 설치된 차폐부(24)에 대하여 설명한다. 차폐부(24)는 링부(21)의 하류 단부로부터 팬(3)의 중심측으로 돌출하는 판형상부이다. 차폐부(24)는 팬(3)의 외주와 겹치는 위치까지 링부(21)로부터 돌출한다. 따라서, 팬(3)의 외주 부근으로부터 흘러나오는 공기, 바꾸어 말하면, 링부(21)의 내주 가장자리를 따라 흘러나오는 공기는 차폐부(24)에 충돌한다. 차폐부(24)는 둘레 방향으로도 사전결정된 치수 길이를 가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송풍 장치(1)에 따르면, 코너부 "22a", 코너부 "22d" 등의 내측에서는, 라디에이터(4)의 열교환부(40)를 통과한 공기가 도풍부(23)의 광대부 "23a", 광대부 "23d" 등에 충돌하여 감속한 후, 광대부 "23a", 광대부 "23d" 등을 따라 흐른다. 광대부 "23a" 또는 광대부 "23d"를 따라 흐르는 공기는 이와 같이 실속(失速)한 후, 링부(21)의 내주 가장자리를 따르는 방향에서 링부(21)의 내측으로 유입되고, 링부(21)의 하류측 단부로부터 회전축 방향으로 매끄럽게 유출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가장자리부(22ad) 등의 내측에서는, 라디에이터(4)의 열교환부(40)를 통과한 공기가 도풍부(23)에 있어서의 협소부(23ad) 등을 따라 흐른다. 협소부(23ad) 등을 따라 흐르는 공기는 링부(21)의 내주 가장자리를 따르는 방향에서 링부(21)의 내측으로 유입되고, 링부(21)의 하류측 단부에서 차폐부(24)에 의해 흐름이 방해된다. 즉, 협소부(23ad) 등으로부터 링부(21)의 내측으로 흡입되는 공기는 차폐부(24)에 의하여 저지되기 때문에 흐르기 곤란해진다.
발명자들의 연구에 의해 링부(21)의 전체 둘레에 있어서 매끄러운 흐름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팬(3)의 외주에 있어서의 흡입 풍량이 불균일하게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특히, 협소부(23ad) 등을 따라 링부(21)의 내측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풍량은 협소부(23ad) 등을 제외한 광대부(23a) 등을 따라 링부(21)의 내측으로 흡입되는 공기보다 많아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것은 광대부(23a) 등을 경유하여 링부(21)의 내측으로 흡입되는 공기는 면적이 큰 제 2 영역(광대부(23a) 등)에 부딪힘으로써 실속하므로, 풍량이 억제되는 경향으로 되기 때문이다. 반대로, 협소부(23ad) 등을 경유하여 링부(21)의 내측으로 흡입되는 공기는 면적이 작은 제 1 영역(협소부(23ad) 등)에서는 충돌의 정도가 작으므로 별로 실속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팬(3)의 외주에 있어서의 불균일한 풍량 분포는 팬의 회전 소음을 초래하게 된다. 송풍 장치(1)에 따르면, 링부(21)의 전체 둘레에 있어서, 차폐부(24)가 설치되는 부위에서의 흡입 풍량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팬(3)의 외주에 있어서의 흡입 풍량의 불균일한 상태를 개선하는 것에 기여한다.
도 5는 발명자들이 비교예의 송풍 장치에 대하여 소음 레벨을 측정한 실험 결과를 도시한다. 도 6은 발명자들이 차폐부(24)를 가진 제 1 실시 형태의 송풍 장치(1)에 대하여 소음 레벨을 측정한 실험 결과를 도시한다. 비교예와 관련된 송풍 장치는 차폐부(24)와 같은 풍량 조정 기능을 갖지 않는 팬 슈라우드를 구비한 종래의 장치이다.
그 밖의 실험 조건은 각 송풍 장치에 대하여, 라디에이터를 일체로 부착한 상태에서 모터에 동일한 전압을 인가하고, 팬 슈라우드의 외주 가장자리의 위치로부터 1m 공기 흐름 하류로 이격되고, 팬의 중심과 같은 높이에 설치한 마이크로 소음을 측정하였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음압 레벨은 A 특성 주파수 가중치를 이용하여 측정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의 비교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주파수 150㎐ 부근, 300㎐ 부근에 있어서, 피크값이 함께 측정되고, 도 6의 송풍 장치(1)쪽이 도 5의 비교예쪽보다 피크값이 저하한다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송풍 장치(1)에 따르면, 사람의 청각에 대하여 불쾌한 소음이라고 느껴지기 쉬운 저주파역에서의 피크음의 레벨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사람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는 회전 소음을 저하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부(24)는 회전 방향(R)의 단부(24b)(앞 가장자리부)가 반대측의 단부(24a)(뒤 가장자리부)보다 팬(3)의 중심측에 가까운 위치까지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차폐부(24)는 상기 회전 방향의 단부(24b)쪽이 반대측의 단부(24a)보다 링부(21)로부터 돌출하는 폭치수가 커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블레이드(30)가 회전 방향(R)에 의해 전진한 위치에서 블레이드(30)와 차폐부(24)는 큰 면적으로 겹치게 된다.
또한, 차폐부(24)는 팬(3)의 회전 방향(R)으로 전진함에 따라 표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되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블레이드(30)는 회전 방향(R)으로 전진할수록 보다 큰 면적으로 차폐부(24)와 겹치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선으로 나타낸 블레이드(30)는, 차폐부(24)의 역회전 방향에 위치하는 단부(24a)(뒤 가장자리부)와 겹치는 위치에 있을 때, 블레이드(30)에 있어서의 회전 방향의 앞 가장자리부(30a)와 작은 면적으로 겹친다.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보다 회전 방향(R)으로 전진한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블레이드(30)는 차폐부(24)의 회전 방향(R)에 위치하는 단부(24b)(앞 가장자리부)와 겹치는 위치에 있고, 실선의 블레이드(30)보다 큰 면적으로 차폐부(24)와 겹치게 된다. 앞 가장자리부(30a)는 각 블레이드(30)에 있어서 회전 방향(R)에 위치하는 단부를 말하고, 블레이드(30)의 팬 중심 근처의 기단으로부터 팬 중심에서 가장 이격된 외측단(30at)까지에 걸쳐서 연장되는 부분이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30)의 앞 가장자리부(30a)가 차폐부(24)에 있어서의 단부(24a)(뒤 가장자리부)와 겹칠 때, 회전 방향(R)으로 선행하는 하나 앞에 위치하는 블레이드(30)에 있어서의 뒤 가장자리부(30b)가 차폐부(24)와 겹치지 않는다. 차폐부(24)의 둘레 방향 길이는 이와 같은 관계로 되는 길이로 설정된다. 즉, 회전 방향(R)으로 선행하는 하나 앞에 위치하는 블레이드(30)의 뒤 가장자리부(30b)가 차폐부(24)와 겹쳐 있는 동안에는 블레이드(30)의 앞 가장자리부(30a)가 차폐부(24)의 단부(24a)(뒤 가장자리부)와 겹치지 않도록 차폐부(24)의 둘레 방향 길이는 설정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송풍 장치가 초래하는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송풍 장치(1)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30)를 가진 축류형의 팬(3) 및 팬(3)을 지지하는 팬 슈라우드(2)를 구비한다. 팬 슈라우드(2)는 블레이드(30)의 선단과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팬(3)의 외주를 둘러싸는 링부(21) 및 팬 슈라우드(2)의 외주 가장자리(22)와 링부(21)를 접속하여 팬(3)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를 링부(21)의 내측으로 유도하는 도풍부(23)를 가진다. 팬 슈라우드(2)의 외주 가장자리(22)에는 외주 가장자리(22)에 있어서의 이웃하는 코너부의 사이에 링부(21)까지의 거리가 상기 코너부 사이에서 가장 짧은 특정 가장자리부가 설치된다. 팬 슈라우드(2)는 특정 가장자리부에 대응하는 위치의 링부(21)에 있어서 블레이드(30)보다 송풍 공기의 하류에 설치되며 링부(21)로부터 팬(3)의 외주보다 팬(3)의 중심 근처에 위치하도록 연장되는 차폐부(24)를 가진다.
이에 따르면, 특정 가장자리부에 대응하는 부위에, 블레이드(30)보다 송풍 공기의 하류를 차단하는 차폐부(24)를 구비함으로써 도풍부(23)로부터 차폐부(24)를 향하여 흐르는 공기의 양을 억제할 수 있다. 이 차폐부(24)에 의하여 초래되는 공기량의 억제에 의하여 팬 주위에 있어서 흡입 풍량의 불균일한 상태를 개선할 수 있고, 또한, 흡입 공기의 둘레 방향의 밸런스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팬(3) 주위의 전체 둘레 영역에 있어서의 압력 변동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팬(3)의 회전 소음과 관련된 피크 소음 레벨의 저감을 도모하는 송풍 장치(1)가 얻어진다.
또한, 차폐부(24)는 팬(3)의 회전 방향(R)으로 전진함에 따라서 표면적이 커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바꾸어 말하면, 차폐부(24)는 팬(3)의 회전 방향(R)으로 전진함에 따라서 표면적이 서서히 증가하는 형상으로 되도록 팬(3)의 중심측을 향하여 돌출된다. 이에 따르면, 각 블레이드(30)가 회전 방향(R)으로 전진함에 따라서 차폐부(24)와 겹치는 면적이 조금씩 커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팬(3)의 회전에 따라 차폐부(24)에 충돌하여 실속하는 공기의 풍량을 서서히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풍량이 급격히 억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블레이드(30)에 있어서의 회전 방향(R)의 앞 가장자리부(30a)가 차폐부(24)에 있어서의 회전 방향(R)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단부(24a)(뒤 가장자리부)와 겹칠 때, 회전 방향(R)으로 선행하는 하나 앞의 블레이드(30)에 있어서의 회전 방향(R)의 반대측에 있는 뒤 가장자리부(30b)는 차폐부(24)와 겹치지 않는다. 차폐부(24)의 둘레 방향 길이는 이와 같은 관계로 되는 길이로 설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하나의 차폐부(24)에 대하여 하나의 블레이드(30)가 겹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팬(3)의 회전에 따라 하나의 차폐부(24)와 블레이드(30)가 겹쳐지는 면적의 변화를 항상 일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팬 전체로서, 차폐부(24)와의 겹침 정도를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차폐부(24)가 설치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특정 가장자리부는 팬 슈라우드(2)의 외주 가장자리(22)에 있어서 링부(21)까지의 거리가 가장 짧은 부위이다. 이에 따르면, 가장 회전 소음의 요인으로 될 수 있는 특정 가장자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차폐부(24)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위치에 흡입되는 공기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팬 슈라우드(2)에 형성하는 차폐부(24)의 개수를 적게 하거나 크기를 작게 하여도 효과적으로 회전 소음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회전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한에 있어서, 차폐부(24)의 개수나 크기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팬(3)의 하류측에서의 통풍 저항을 억제할 수 있다.
(제 2 실시 형태)
제 2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된 도면과 동일 부호를 붙인 구성 부품 및 설명하지 않는 구성은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하고, 동일한 작용 효과를 이룬다.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실시 형태와 다른 부분만을 설명한다.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블레이드의 형상과 차폐부의 형상의 관계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차폐부(240)는 제 1 실시 형태의 차폐부(24)에 대한 다른 형태이고,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이기도 하다. 차폐부(240)는 특정 가장자리부에 대응하는 위치의 링부(210)에 있어서 블레이드(300)보다 송풍 공기의 하류에 설치되며 링부(210)로부터 팬의 외주보다 팬의 중심 근처에 위치하도록 연장되는 형상이다. 또한, 차폐부(240)는 링부(210)에 대한 돌출 높이가 회전 방향(R)의 전체에 대하여 대략 동등하게 설정된다. 링부(210)는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링부(21)와 동일하여도 좋다.
또한, 블레이드(300)는 회전 방향(R)의 앞 가장자리부(300a)가 팬의 중심측과 외주측에서 회전 방향(R)으로 변위되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바꾸어 말하면, 앞 가장자리부(300a)는 팬의 중심에 가까운 위치의 기단과 중심으로부터 가장 이격된 위치의 외측단이 회전 방향(R)에 대하여 어느 쪽도 선행하지 않는 관계에 있다. 이러한 블레이드(300)와 차폐부(240)의 경우에도 특정 가장자리부에 대응하는 부위에 차폐부(240)를 구비하기 때문에 도풍부(23)로부터 차폐부(240)를 향하여 흐르는 공기의 양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차폐부(240)에 의하여 초래되는 공기량의 억제에 의하여 팬 주위에 있어서 흡입 풍량의 불균일한 상태를 개선할 수 있고, 또한, 흡입 공기의 둘레 방향의 밸런스를 개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폐부(240)의 형상과 블레이드(300)의 형상에 따르면, 팬의 회전에 따라서 블레이드(300)는 차폐부(240)의 돌출 높이의 길이 치수로서 차폐부(240)의 뒤 가장자리부(240a)와 겹치기 시작한다. 즉, 블레이드(300)가 차폐부(240)와 겹치기 시작할 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300)의 앞 가장자리부(300a)에는 상기 길이 치수에 걸쳐서 소용돌이가 발생한다. 또한, 블레이드(300)가 회전 방향(R)으로 변위하게 되면, 예를 들면, 도 9의 파선으로 나타낸 위치로 변위하고, 또한, 회전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9의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위치로 변위한다. 따라서, 블레이드(300)는 차폐부(240)와 겹쳐 있는 동안에는 차폐부(240)의 돌출 높이의 길이 치수로서 차폐부(240)에 계속 겹친다. 또한, 블레이드(300)와 차폐부(240)가 겹쳐져 있는 동안에는 블레이드(300)의 앞 가장자리부(300a)가 차폐부(240)의 선단과 겹치는 부분은 블레이드에 대하여 같은 위치로 된다. 즉, 블레이드(300)와 차폐부(240)가 겹쳐져 있는 동안에는 블레이드(300)의 앞 가장자리부(300a)에 있어서 소용돌이가 발생하는 부분은 변화하지 않는다. 블레이드(300)의 앞 가장자리부(300a)가 차폐부(240)의 선단과 겹치는 부분은 직경 방향에 있어서 같은 위치이어도 좋다.
도 10에 도시된 차폐부(24)는 차폐부(240)의 다른 형태이다. 차폐부(24)는, 그 선단이 회전 방향(R)으로 전진함에 따라 팬(3)의 중심에 가까워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차폐부(24)는 링부(21)로부터의 돌출 높이 치수가 회전 방향(R)으로 전진함에 따라 서서히 커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30)는 회전 방향(R)의 앞 가장자리부(30a)가 팬의 외주측에 있어서 회전 방향(R)으로 돌출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앞 가장자리부(30a)는 팬(3)의 중심에 가까운 위치의 기단에 대하여 중심으로부터 가장 이격된 위치의 외측단(30at)이 회전 방향(R)으로 선행하는 형상이다. 따라서, 블레이드(30)에 있어서의 회전 방향(R)의 앞 가장자리부(30a)는 앞 가장자리부(30a) 중 외측단(30at)이 회전 방향(R)으로 가장 전진한 위치로 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차폐부(24)의 형상과 블레이드(30)의 형상에 따르면, 팬(3)의 회전에 따라서 블레이드(30)는 외측단(30at)부터 차폐부(24)와 겹치기 시작한다. 즉, 겹침의 개시 시에는 앞 가장자리부(30a)의 외측단(30at)에서 소용돌이가 발생한다. 즉, 겹침 개시는 팬(3)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이격된 블레이드(30)의 외측단(30at)에서만 차폐부(24)와의 겹침에 따라 소용돌이가 발생한다.
또한, 블레이드(30)가 회전 방향(R)으로 변위하게 되면, 예를 들면, 도 10의 파선으로 나타낸 위치로 변위하고, 또한, 회전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10의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위치로 변위한다. 차폐부(24)의 선단은 회전 방향(R)으로 전진함에 따라 팬(3)의 중심에 가까워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파선으로 나타낸 블레이드(30)는 앞 가장자리부(30a)에 있어서 겹침 개시 시보다 팬(3)의 중심에 가까운 위치에서 차폐부(24)의 선단과 겹친다. 또한,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블레이드(30)는 앞 가장자리부(30a)에 있어서 파선으로 나타낸 블레이드(30)보다 더욱 팬(3)의 중심에 가까운 위치에서 차폐부(24)의 선단과 겹친다. 이와 같이, 블레이드(30)와 차폐부(24)가 겹쳐있는 동안에는 블레이드(30)의 앞 가장자리부(30a)가 차폐부(24)의 선단과 겹치는 부분은 서서히 팬(3)의 중심측으로 이동한다. 즉, 블레이드(30)와 차폐판(24)이 겹쳐 있는 동안에는 블레이드(30)의 앞 가장자리부(30a)에 있어서 소용돌이가 발생하는 부분이 팬(3)의 중심 근처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차폐부(24)와 블레이드(30)의 관계에 따르면, 블레이드(30)에 있어서 소용돌이가 발생하는 지점이, 회전 변위와 함께 또는 시간 경과와 함께 어긋나게 된다. 이 때문에, 블레이드(30)에 있어서의 소용돌이의 발생을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소음을 억제하는 효과를 이룬다. 도 10에 도시된 송풍 장치에 따르면, 상기의 차폐부(24)에 의하여 초래되는 공기량의 억제 효과 및 소용돌이 분산의 효과가 상승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팬(3)의 회전 소음과 관련된 소음 레벨를 보다 저감시킬 수 있는 송풍 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블레이드 선단 각도(A)와 차폐부 각도(B)의 사이에 성립하는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블레이드 선단 각도(A)와 차폐부 각도(B)는 후술하는 수학식(1)의 관계가 성립하는 경우 소음 억제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30)의 앞 가장자리부(30a)가 차폐부(24)에 대하여 겹치기 시작할 때, 앞 가장자리부(30a)와 차폐부(24)의 선단의 교차 각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파라미터로서 블레이드 선단 각도(A)와 차폐부 각도(B)를 정의한다.
블레이드 선단 각도(A)는 블레이드(30)의 외측단(30at)으로부터 연장되는 앞 가장자리부(30a)의 각도를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회전 방향(R)과는 반대 방향으로 외측단(30at)으로부터 사전결정된 둘레 방향 길이(C)만큼 변위한 앞 가장자리부(30a)의 점에서 접선(t1)을 긋는다. 또한, 회전 방향(R)과는 반대 방향으로 외측단(30at)으로부터 사전결정된 둘레 방향 길이(C)만큼 변위한 블레이드(30)의 외주 상의 점에서 접선(t2)을 긋는다. 둘레 방향 길이(C)는 외측단(30at)의 근처에 있어서의 블레이드(30)의 선단각을 규정하기 위해 미리 정할 수 있는 가정의 수치이다. 이러한 접선(t1)과 접선(t2)이 이루는 도 11에 도시된 각도(A)를 블레이드 선단 각도로서 정의할 수 있다.
차폐부 각도(B)는 차폐부(24)의 뒤 가장자리부인 단부(24a)로부터 연장되는 차폐부(24)의 선단이 이루는 각도를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차폐부(24)의 선단 상을 회전 방향(R)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단부(24a)(뒤 가장자리부)로부터 회전 방향(R)으로 둘레 방향 길이(C)만큼 변위시킨 점에서 접선(t3)을 긋는다. 또한, 뒤 가장자리부로부터 회전 방향(R)으로 사전결정된 둘레 방향 길이(C)만큼 변위한 차폐부(24)의 기단(24c)상의 점에서 접선(t4)을 긋는다. 이러한 접선(t3)과 접선(t4)이 이루는 도 11에 도시된 각도(B)를 차폐부 각도로서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블레이드 선단 각도(A)와 차폐부 각도(B)를 정의하면, 차폐부 각도(B)는 블레이드 선단 각도(A2)를 2배로 한 값보다 작아지도록 설정하여도 좋다. 즉, 하기의 수학식(1)이 성립한다.
B<2×A …수학식(1)
이러한 수학식(1)을 만족하는 블레이드 선단 각도(A)와 차폐부 각도(B)를 구비한 송풍 장치(1)에 따르면, 팬(3)의 회전에 따라 블레이드(30)의 선단 형상과 차폐부(24)의 돌출 형상이 대칭에 가까운 형태로 되도록 블레이드(30)와 차폐부(24)를 교차시킬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블레이드(30)가 차폐부(24)를 통과할 때의 풍속을 서서히 저하시키는 것에 공헌할 수 있기 때문에 팬(3)의 회전 소음과 관련된 피크 소음 레벨의 저감에 관하여 바람직한 송풍 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학식(1)은 차폐부 각도(B)와 블레이드 선단 각도(A)가 동등한 관계에 있는 수학식(2)으로 치환되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팬(3)의 회전 소음과 관련된 피크 소음 레벨의 저감에 관하여 최적의 송풍 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A=B …수학식(2)
이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30)가 차폐부(24)와 겹치기 직전의 상태에 있어서, 블레이드(30)의 선단과 차폐부(24)의 뒤 가장자리부가 일점쇄선에 대하여 좌우 대칭인 관계로 되는 것이기도 하다.
(다른 실시 형태)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특정 가장자리부(22ad)에 대응하는 부위에 차폐부(24)를 설치한 예가 설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차폐부(24)는 특정 가장자리부 "22ab", 특정 가장자리부 "22bc", 특정 가장자리부 "22cd"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한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이룬다.
상기의 실시 형태의 송풍 장치(1)에 있어서의 차폐부(24)는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개수나 설치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실시 형태의 송풍 장치(1)는 차량의 엔진 냉각수를 냉각하기 위한 라디에이터(4)에 대하여 냉각풍을 제공하는 장치이지만, 본 개시는 이 실시 형태에 한정하여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공조 장치, 급탕 장치 등의 실외기에 탑재되어 냉각풍을 제공하는 장치, 컴퓨터, 전자 부품 등을 냉각하는 냉각풍을 제공하는 장치 등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의 실시 형태의 송풍 장치(1)는 라디에이터(4)보다 공기 흐름의 하류에 배치되지만, 이 형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송풍 장치(1)가 불어낸 공기를 열교환기 등에 공급하도록 배치되는 것이어도 좋다.

Claims (7)

  1. 공기를 송풍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30)를 가진 축류형의 팬(3) 및
    상기 팬을 지지하는 팬 슈라우드(2)를 구비하고,
    상기 팬 슈라우드는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과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상기 팬의 외주를 둘러싸는 링부(21) 및 상기 팬 슈라우드의 외주 가장자리(22)와 상기 링부를 접속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팬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를 상기 링부의 내측으로 유도하는 도풍부(23)를 가지고,
    상기 외주 가장자리(22)에는 상기 외주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이웃하는 코너부(22a)와 코너부(22d)의 사이에 상기 링부까지의 거리가 상기 코너부 사이에서 가장 짧은 특정 가장자리부(22ad)가 설치되고,
    상기 특정 가장자리부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링부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보다 송풍 공기의 하류에 설치되며 상기 링부로부터 상기 팬의 외주보다 상기 팬의 중심 근처에 위치하도록 연장되는 차폐부(24)를 가지며,
    상기 차폐부(24)는 상기 팬의 회전 방향으로 전진함에 따라 표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차폐부가 설치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가장자리부는 상기 팬 슈라우드의 외주 가장자리에 있어서 상기 링부까지의 거리가 가장 짧은 부위인
    송풍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그 선단이 상기 팬의 회전 방향으로 전진함에 따라 상기 팬의 중심에 가까워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 방향의 앞 가장자리부(30a)는 상기 앞 가장자리부 중 상기 팬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이격된 위치의 외측단(30at)이 상기 회전 방향으로 가장 전진한 위치로 되도록 구성되는
    송풍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앞 가장자리부에 대하여 상기 외측단으로부터 상기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사전결정된 둘레 방향 길이(C) 변위한 점에서의 접선(t1) 및 상기 블레이드의 외주 상을 상기 외측단으로부터 상기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사전결정된 둘레 방향 길이(C) 변위한 점에서의 접선(t2)이 이루는 각도를 블레이드 선단 각도(A)로 정의하고,
    상기 차폐부의 선단 상을 상기 회전 방향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차폐부의 뒤 가장자리부(24a)로부터 상기 회전 방향으로 사전결정된 둘레 방향 길이(C) 변위한 점에서의 접선(t3) 및 상기 차폐부의 기단(24c) 상을 상기 뒤 가장자리부로부터 상기 회전 방향으로 사전결정된 둘레 방향 길이(C) 변위한 점에서의 접선(t4)이 이루는 각도를 차폐부 각도(B)로 정의한 경우,
    상기 차폐부 각도(B)는 상기 블레이드 선단 각도(A)를 2배로 한 값보다 작은
    송풍 장치.
  4. 공기를 송풍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30, 300)를 가진 축류형의 팬(3) 및
    상기 팬을 지지하는 팬 슈라우드(2)를 구비하고,
    상기 팬 슈라우드는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과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상기 팬의 외주를 둘러싸는 링부(21, 210) 및 상기 팬 슈라우드의 외주 가장자리(22)와 상기 링부를 접속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팬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를 상기 링부의 내측으로 유도하는 도풍부(23)를 가지고,
    상기 외주 가장자리(22)에는 상기 외주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이웃하는 코너부(22a)와 코너부(22d)의 사이에 상기 링부까지의 거리가 상기 코너부 사이에서 가장 짧은 특정 가장자리부(22ad)가 설치되고,
    상기 특정 가장자리부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링부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보다 송풍 공기의 하류에 설치되며 상기 링부로부터 상기 팬의 외주보다 상기 팬의 중심 근처에 위치하도록 연장되는 차폐부(24, 240)를 가지고,
    상기 차폐부는 그 선단이 상기 팬의 회전 방향으로 전진함에 따라 상기 팬의 중심에 가까워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 방향의 앞 가장자리부(30a)는 상기 앞 가장자리부 중 상기 팬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이격된 위치의 외측단(30at)이 상기 회전 방향으로 가장 전진한 위치로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앞 가장자리부에 대하여 상기 외측단으로부터 상기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사전결정된 둘레 방향 길이(C)만큼 변위한 점에서의 접선(t1) 및 상기 블레이드의 외주 상을 상기 외측단으로부터 상기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사전결정된 둘레 방향 길이(C)만큼 변위한 점에서의 접선(t2)이 이루는 각도를 블레이드 선단 각도(A)로 정의하고,
    상기 차폐부의 선단 상을 상기 회전 방향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차폐부의 뒤 가장자리부(24a)로부터 상기 회전 방향으로 사전결정된 둘레 방향 길이(C)만큼 변위한 점에서의 접선(t3) 및 상기 차폐부의 기단(24c) 상을 상기 뒤 가장자리부로부터 상기 회전 방향으로 사전결정된 둘레 방향 길이(C)만큼 변위한 점에서의 접선(t4)이 이루는 각도를 차폐부 각도(B)로 정의한 경우,
    상기 차폐부 각도(B)는 상기 블레이드 선단 각도(A)를 2배로 한 값보다 작은
    송풍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 각도(B)와 상기 블레이드 선단 각도(A)는 동등한
    송풍 장치.
  6. 삭제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의 둘레 방향 길이는, 상기 블레이드에 있어서의 상기 팬의 회전 방향의 앞 가장자리부(30a)가 상기 차폐부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 방향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뒤 가장자리부(24a)와 겹칠 때, 상기 회전 방향으로 선행하는 하나 앞의 상기 블레이드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 방향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뒤 가장자리부(30b)가 상기 차폐부와 겹치지 않는 관계로 되는 길이로 설정되는
    송풍 장치.
KR1020167031556A 2014-11-03 2015-10-29 송풍 장치 KR1019003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23868 2014-11-03
JP2014223868 2014-11-03
JP2015041630A JP6406068B2 (ja) 2014-11-03 2015-03-03 送風装置
JPJP-P-2015-041630 2015-03-03
PCT/JP2015/005438 WO2016072068A1 (ja) 2014-11-03 2015-10-29 送風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808A KR20160146808A (ko) 2016-12-21
KR101900345B1 true KR101900345B1 (ko) 2018-09-19

Family

ID=56019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1556A KR101900345B1 (ko) 2014-11-03 2015-10-29 송풍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406068B2 (ko)
KR (1) KR1019003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14045B (zh) * 2018-07-23 2019-12-31 湖南科技大学 一种风机减震降噪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3494A (ja) * 2002-05-27 2003-12-03 Mitsubishi Heavy Ind Ltd 冷却ファン
JP2013142374A (ja) * 2012-01-12 2013-07-22 Denso Corp 送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4432A (ja) * 1997-07-24 1999-02-16 Hitachi Ltd 空気調和機
JP2012107538A (ja) * 2010-11-16 2012-06-07 Panasonic Corp 軸流ファンまたは斜流ファンおよびこれを有する室外ユニットを搭載した空気調和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3494A (ja) * 2002-05-27 2003-12-03 Mitsubishi Heavy Ind Ltd 冷却ファン
JP2013142374A (ja) * 2012-01-12 2013-07-22 Denso Corp 送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808A (ko) 2016-12-21
JP6406068B2 (ja) 2018-10-17
JP2016089820A (ja) 2016-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1837B1 (ko) 송풍 장치
JP6394409B2 (ja) 送風装置
KR101942123B1 (ko) 개선된 음향 성능을 갖는 기류 어셈블리
KR101848717B1 (ko) 송풍 장치
US20080253897A1 (en) Axial Flow Fan
KR20170031173A (ko) 송풍기
JP2010084701A (ja) 送風装置
JP4650588B2 (ja) 遠心送風機
KR20150054674A (ko) 원심식 팬
KR101900345B1 (ko) 송풍 장치
KR101833277B1 (ko) 송풍 장치
JP5024349B2 (ja) 送風機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並びに空気清浄機
CN109072943B (zh) 送风装置
KR101843477B1 (ko) 송풍 장치
WO2016072068A1 (ja) 送風装置
JP6550909B2 (ja) 送風装置
JP2015038338A (ja) 送風装置
JP2016089628A (ja) 送風装置
WO2015122134A1 (ja) 送風装置
JP2017180187A (ja) 車両用遠心送風機
WO2020050059A1 (ja) 送風機
JP2010151047A (ja) 多翼遠心ファンおよび車両用空調装置
JP7187285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10024869A (ja) ファン
JP2005076573A (ja) 電動送風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