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0066B1 - 마레신 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마레신 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0066B1
KR101900066B1 KR1020170022466A KR20170022466A KR101900066B1 KR 101900066 B1 KR101900066 B1 KR 101900066B1 KR 1020170022466 A KR1020170022466 A KR 1020170022466A KR 20170022466 A KR20170022466 A KR 20170022466A KR 101900066 B1 KR101900066 B1 KR 101900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esin
skin
composition
acid
m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6158A (ko
Inventor
정태우
이태승
박형섭
최금희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170022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0066B1/ko
Publication of KR20180096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20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 A61K31/20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e.g. linolenic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r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마레신 1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피부 노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마레신 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aging comprising maresin 1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마레신 1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피부 주름 생성을 포함한 피부노화 과정은 일반적으로 내인성 노화 (intrinsic aging)와 광노화 (photoaging)에 의해 일어난다. 내인성 노화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각종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고, 면역 세포의 기능과 세포들의 활성이 저하되어 생체에 필요한 면역 단백질 및 생체 구성 단백질들의 생합성이 줄어들게 되어 일어난다. 외인성 노화는 오존층 파괴로 인하여 태양 광선 중 지표에 도달하는 자외선의 함량이 증가하게 되고 환경 오염이 더욱 심화됨에 따라, 피부의 두께가 감소하고, 주름이 증가되고, 탄력이 감소될 뿐 아니라, 기미, 주근깨 및 검버섯 또한 증가하는 등 여러 가지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피부는 표피, 표피 진피 경계부, 진피, 피하지방층의 순서로 구성되며, 표피는 외부로부터 순서대로 표피층,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으로 구분되며, 표피층의 세포들은 벽돌과 같은 역할을 하고 표피 세포 사이의 세포간 지질들은 모르타르와 같은 역할로 작용하여 피부 장벽을 구성한다. 또한, 건강한 사람의 표피 세포에는 고농도의 자연 보습 인자 (Natural Moisturing Factor: NMF)가 존재하여 피부의 수분 보유를 돕는데, 예를 들면 아미노산과 같은 물질은 수용성이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수분과 결합하여 피부에서 수분이 건조되는 것을 억제한다.
그러나, 요즘과 같이 환경의 변화나 생활 패턴의 변화에 따른 냉/난방의 인위적인 온도 조절, 사회 생활에서 발생되는 각종 스트레스와 환경 오염으로 인한 피부 스트레스, 화장 습관에 따른 잦은 세안 및 연령 증가에 따른 자연적인 피부 노화 등의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표피층의 수분이 감소하여 피부가 건조해지고 표면이 거칠게 되며 피부가 촉촉함을 잃어 생기가 없어 보이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피부 보습제의 필요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받는 과도한 물리적, 화학적 자극, 자외선, 스트레스 및 영양 결핍 등은 피부의 정상 기능을 저하시키고 탄력 손실, 표피화, 주름 생성 등의 피부 노화 현상을 촉진시키게 되는데, 특히 자외선에 의해 표피, 표피 진피 경계부 및 진피는 심하게 손상을 받는다.
진피는 섬유아세포 (fibroblast)가 있어 콜라겐, 엘라스틴 등의 단백질과 여러 가지 뮤코 다당류 (mucopolysaccharide)를 생산하여 세포외기질 (extracellularmatrix: ECM)을 형성하고 있으며, 적절한 분해 과정을 통해 조직의 흡수와 재형성이 일어난다. 진피의 세포 분해는 주로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나제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가 담당하고 있다. MMP는 아연-의존성 엔도펩티다제 (zinc-dependent endopeptidase)이며, 내인성 저해제로 TIMP (Tissue Inhibitor of Matrix Metalloproteinases)가 있다. MMP는 분해하는 기질 특이성에 따라서 콜라게나제 (collagenase)(MMP-1, MMP-8, MMP-13), 젤라티나제 (gelatinase) (MMP-2, MMP-9), 스트로멜리신 (stromelysins) (MMP-3, MMP-10, MMP-11), 마트릴리신 (matrilysin) (MMP-6, MMP-26), 에나멜리신 (enamelysin)(MMP-20), 메탈로엘라스타제 (metalloelastase) (MMP-12), 막타입 (membranetype) MMP (MMP-14 ~ 17, MMP-24, MMP-25) 등으로 분류된다. 이들의 강력한 전사 유도제로는 종양 괴사 인자 (Tumor Necrosis Factor: TNF), BSG (Extracellular metrix metalloproteinase inducer: EMMPRIN), 및 TCF20 (Transcription Factor 20)이 있다. 내인성 노화 또는 광노화에 의해 MMP의 발현 및 활성이 부적절하게 조절되면 생리적 기능 저하로 인해 진피에 있는 세포외기질이 손상되고 파괴되어 탄력성과 신축성을 잃어 피부 주름을 만들게 되며 뮤코 다당류의 감소로 피부 건조 현상이 나타난다.
또한, 피부 노화는 자외선이 피부로 흡수되면서 나타나는 활성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 ROS)을 경유한 이차적 반응들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이희경, 2012; Afaq & Mukhtar, 2006; Bowden, 2004). 이 때, ROS는 결합 조직 성분인 콜라겐 등의 사슬 절단 및 비정상적인 교차 결합에 의해 주름 생성을 유발하며, MMP-1의 활성을 증가시켜 콜라겐 합성을 감소시키므로 노화를 가속화시키는 원인으로 작용된다 (권승빈, 2014; Fisher et al. , 2002; Rhee, 1999; Torres et al. , 2003).
따라서, 자외선 및 내ㆍ외부 인자에 의해 MMP의 과발현을 억제 및 조절하고, ROS에 의한 피부 노화를 억제시킬 수 있는, 물질을 발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일 양상은 마레신 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마레신 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마레신 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상기한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의 피부 노화를 억제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양상은 마레신 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마레신 1 (Maresin 1: MaR1)은 오메가-3 지방산, 즉 도코사헥사엔산 (docosahexaenoic acid: DHA)로부터 유래된 리폭시게나제 (lipoxygenase: LOX) 대사 산물이며, 염증해소촉진물질 (specialized pro-resolving mediator: SPM)이다. 상기 마레신 1은 7R,14S-디히드록시(dihydroxy)-4Z,8E,10E,12Z,16Z,19Z-도코사헥사엔산(docosahexaenoic acid)으로서, 하기 식 1의 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Figure 112017017482475-pat00001
(식 1)
상기 마레신 1은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염은 약학 분야, 예를 들면 피부 외용제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산 부가염, 예를 들면 염산, 브롬산, 황산, 술팜산, 인산 또는 질산과 같은 무기산으로부터 유도된 염 및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숙신산, 글리콜산, 스테아르산, 시트르산, 말레산, 말론산, 메탄술폰산, 타르타르산, 말산, 페닐아세트산, 글루탐산, 벤조산, 살리실산, 2-아세톡시벤조산, 푸마르산, 톨루엔술폰산, 옥살산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과 같은 유기산으로부터 유도된 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염은, 암모늄, 디메틸아민, 모노메틸아민, 모노에틸아민, 디에틸아민과 같은 염기 부가 염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염은 통상의 금속염 형태, 예를 들면 소듐, 칼륨, 리튬, 마그네슘, 또는 칼슘과 같은 금속으로부터 유도된 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산 부가염, 염기 부가염 또는 금속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염기 부가염 또는 금속염은 마레신 1의 이온 형태 즉, 7R,14S-디히드록시-4Z,8E,10E,12Z,16Z,19Z-도코사헥사엔산을 적절한 염기 또는 금속 이온과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마레신 1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하기 식 2의 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Figure 112017017482475-pat00002
(식 2)
식 2에서, M은 소듐, 칼륨, 리튬, 마그네슘, 또는 칼슘을 나타낸다.
상기 마레신 1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소듐 7R,14S-디히드록시-4Z,8E,10E,12Z,16Z,19Z-도코사헥사엔산 또는 포타슘 7R,14S-디히드록시-4Z,8E,10E,12Z,16Z,19Z-도코사헥사엔산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마레신 1은 또한 그의 용매화물 (solvate)의 형태일 수 있다.
"용매화물"이란 하나 이상의 용질 분자, 즉 마레신 1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하나 이상의 용매 분자에 의해 형성되는 복합체 또는 집합체를 의미한다. 용매화물은 예를 들면 물,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또는 아세트산과 형성된 복합체 또는 집합체일 수 있다.
상기 마레신 1은 또한 그의 입체이성질체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입체이성질체는 거울상 이성질체 (enantiomer) 및 부분입체이성질체 (diastereomer)와 같은 모든 입체이성질체를 포함한다. 상기 화합물은 입체이성질체의 순수 형태 (stereoisomerically pure form) 또는 하나 이상의 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예를 들면 라세미 혼합물일 수 있다. 특정 입체이성질체의 분리는 당해 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 중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활성 성분"이란 상기 조성물에 언급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의도한 것이며, 불순물로 소량으로 포함되어 있어서 상기 기능을 수행하지 않은 것을 제외한다.
상기 마레신 1은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피부 주름을 억제, 지연 또는 개선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피부 탄력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피부 광노화, 기미, 또는 주근깨를 억제, 지연 또는 개선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세포 중 콜라겐 분해를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나제 (matrix metalloproteinase: MMP)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하여 콜라겐 분해를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예를 들면, 젤라틴, 타입 4 콜라겐 또는 피브로넥틴 (fibronectin)을 분해하는 MMP-9 및/또는 MMP2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하여 세포외기질 분해를 억제하는 것이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항산화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활성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 ROS) 생성을 억제하여 항산화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 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세포 사멸을 억제시키는 것 또는 세포 생존율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표피 세포의 사멸 (apoptosis)을 억제시키는 것 또는 그의 생존율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마레신 1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용매화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치료학적 유효량"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치료학적 유효량"은 치료를 필요로 하는 개체 또는 세포에게 투여되는 경우 치료 효과를 나타내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치료"는 개체, 예를 들면 사람을 포함한 포유동물에서 질환 또는 의학적 증상을 치료함을 의미하고, 이는 다음을 포함한다: (a) 질환 또는 의학적 증상의 발생을 예방, 즉, 환자의 예방적 치료; (b) 질환 또는 의학적 증상의 완화, 즉, 환자에서 질환 또는 의학적 증상의 제거 또는 회복 야기; (c) 질환 또는 의학적 증상의 억제, 즉, 개체에서 질환 또는 의학적 증상의 진행을 늦춤 또는 정지; 또는 (d) 개체에서 질환 또는 의학적 증상을 경감.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80 중량%, 예를 들면, 0.01 중량% 내지 60 중량%, 0.01 중량% 내지 40 중량%, 0.01 중량% 내지 30 중량%, 0.01 중량% 내지 20 중량%, 0.01 중량% 내지 10 중량%, 0.01 중량% 내지 5 중량%, 0.05 중량% 내지 60 중량%, 0.05 중량% 내지 40 중량%, 0.05 중량% 내지 30 중량%, 0.05 중량% 내지 20 중량%, 0.05 중량% 내지 10 중량%, 0.05 중량% 내지 5 중량%, 0.1 중량% 내지 60 중량%, 0.1 중량% 내지 40 중량%, 0.1 중량% 내지 30 중량%, 0.1 중량% 내지 20 중량%, 0.1 중량% 내지 10 중량%, 또는 0.1 중량% 내지 5 중량%의 마레신 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가능한 담체"는 활성 성분의 적용을 돕기 위하여 활성 성분과 조합되어 사용되는 물질, 일반적으로 불활성 물질을 나타낸다. 상기 담체는 부형제, 붕해제, 결합제, 활택제, 희석제,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미결정 셀룰로오즈, 유당, 저치환도 히드록시셀룰로오즈,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붕해제는 전분글리콜산 나트륨, 무수인산일수소 칼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결합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활택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이산화규소, 탈크,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비경구 또는 경구 투여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 제형은 주사제, 또는 피부외용제일 수 있다. 피부외용제는 크림, 겔, 연고, 피부 유화제, 피부 현탁액, 경피전달성 패치, 약물 함유 붕대, 로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통상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의 피부외용제에 사용되는 성분, 예를 들면 수성성분, 유성성분, 분말성분, 알코올류, 보습제, 증점제, 자외선흡수제, 미백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계면활성제, 향료, 색제, 각종 피부 영양제등을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에데트산이나트륨, 에데트산삼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글루콘산 등의 금속봉쇄제, 카페인, 탄닌, 벨라파밀, 감초추출물, 글라블리딘, 칼린의 과실의 열수추출물, 각종생약, 아세트산토코페롤, 글리틸리틴산, 트라넥삼산 및 그 유도체 또는 그 염등의 약제, 비타민 C, 아스코르브산인산마그네슘, 아스코르브산글루코시드, 알부틴, 코지산, 글루코스, 프룩토스, 트레할로스 등의 당류 등도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경구 투여 제형은 정제, 캡슐제, 수성액제 또는 현탁제일 수 있다. 정제의 경우 락토즈, 옥수수 전분 등의 부형제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활택제가 통상 가해질 수 있다. 캡슐제의 경우, 락토즈 및/또는 건조 옥수수 전분이 희석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현탁제가 필요할 경우, 활성성분을 유화제 및/또는 현탁화제와 결합시킬 수 있다. 필요할 경우, 특정 감미제 및/또는 향미제를 가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마레신 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인체를 청결, 미화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 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인체에 사용되는 물품으로서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노화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갖는 기능성 화장품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노화를 억제, 지연 또는 개선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의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성분, 예를 들면 보습제, 분말 성분,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미용 성분, 당지질, 식물 추출액, 방부제, 향료, pH 조정제, 색소, 점도 조정제 또는 겔화제 등을 보조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스킨, 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팩,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영양에센스,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또는 아이섀도의 제형인 것일 수 있다.
마레신 1, 피부 노화 및 담체에 대하여는 상기한 바와 같다.
다른 양상은 마레신 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및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피부 노화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갖는 기능성 식품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유효성분 이외에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품보조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품보조첨가제"는 식품에 보조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구성 요소를 의미하며,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데 첨가되는 것으로서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예를 들면,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식품보조첨가제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약학적 조성물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 피부 노화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
마레신 1, 피부 노화 및 담체에 대하여는 상기한 바와 같다.
다른 양상은 상기 조성물을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의 피부 노화를 개선, 지연, 또는 억제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투여는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투여될 수 있다. 투여는 예를 들면, 정맥내, 근육내, 경구, 경피 (transdermal), 점막, 코안 (intranasal), 기관내 (intratracheal) 또는 피하 투여와 같은 경로로, 임의의 수단에 의하여 개체로 직접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투여는 전신적으로 또는 국부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투여는 피부 노화가 존재하는 부위에 국소적으로 투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투여는 예를 들면 도포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도포는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의 피부에 상기 조성물을 접촉시키는 모든 방법을 의미하며, 이를 통하여 상기 조성물을 피부 내부로 흡수시킬 수 있다.
상기 개체는 포유동물, 예를 들면, 사람, 소, 말, 돼지, 개, 양, 염소, 또는 고양이일 수 있다. 상기 개체는 피부 노화를 개선, 지연, 또는 억제시키는 것을 필요로 하는 개체일 수 있다. 상기 개체는 세포 사멸을 억제시키는 것, 콜라겐 분해를 억제제시키는 것 또는 항산화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필요로 하는 개체일 수 있다.
상기 투여는 마레신 1을 개체당 일당 0.01mg 내지 10,000 mg, 0.1 mg 내지 1,000 mg, 예를 들면, 0.1 mg 내지 500 mg, 0.1 mg 내지 100 mg, 0.1 mg 내지 50 mg, 0.1 mg 내지 25 mg, 1 mg 내지 1,000 mg, 1 mg 내지 500 mg, 1 mg 내지 100 mg, 1 mg 내지 50 mg, 1 mg 내지 25 mg, 5mg 내지 1,000 mg, 5 mg 내지 500 mg, 5 mg 내지 100 mg, 5 mg 내지 50 mg, 5 mg 내지 25 mg, 10mg 내지 1,000 mg, 10 mg 내지 500 mg, 10 mg 내지 100 mg, 10 mg 내지 50 mg, 또는 10 mg 내지 25 mg을 투여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상기 투여는 마레신 1을 0.01 내지 25μM, 0.05 내지 5μM, 0.075 내지 3.75μM, 0.1 내지 2.5μM, 0.15 내지 2μM, 0.25 내지 1.5μM, 0.4 내지 1.25μM, 0.5 내지 1.2μM, 또는 0.75 내지 1.15μM의 농도 (working concentration)로 작용하도록 투여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피부 노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의하면, 개체의 피부 노화를 억제, 지연, 또는 개선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른 개체의 피부 노화를 개선시키는 방법에 의하면, 개체의 피부 노화를 효율적으로 억제, 지연, 또는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은 Hacat 세포에 마레신 1을 투여하고 자외선을 조사한 후, 세포 생존율 및 활성산소종 생성 정도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2는 Hacat 세포에 마레신 1을 투여하고 자외선을 조사한 후, MMP-2 및 MMP-9의 발현 정도를 나타낸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마레신 1의 피부 노화 억제 효과의 확인
1. 마레신 1에 의한 세포 생존율 증가 확인
본 실시예에서는 마레신 1은 상업적으로 판매하는 것을 사용하였다 (Cayman Chemical, Ann Arbor, MI, USA). 마레신 1은 에탄올에 1 mM의 농도로 용해하여, -70 ℃에 보관하였다.
인간 표피 세포주 (Human keratinocyte cell line)인 Hacat 세포 (ATCC, Rockville, MD, USA)에서 마레신 1이 세포 생존에 미치는 효과를 MTT 분석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MTT 분석은 살아있는 세포의 효소 활성으로 인한 테트라졸리움 (tetrazolium) 염료인 MTT를 자주빛 불용성 포르마잔으로 환원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Hacat 세포는 10%의 우태아혈청, 100 U/㎖의 페니실린, 및 100 ㎍/㎖의 스트렙토마이신 (Invitrogen, Carlsbad, CA, USA)을 함유하는 둘베코스 변형 이글스 배지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Hyclone; Logan, UT, USA)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Hacat 세포를 96웰 (well) 마이크로 플레이트 (microplate)에 5 x 104 세포/웰의 농도를 분주하고, 37℃, 5%의 CO2 조건의 인큐베이터에서 약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0.25, 0.5, 1 μM의 마레신 1을 함유한 각각의 배지로 교체하여 12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서, 세포에 자외선 B (70 mJ/cm2)를 조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MTT 용액은 상업적으로 판매하는 것을 사용하였고 (Sigma, St. Louis, MO, USA), 인산염완충식염수에 1mg/㎖의 농도로 용해하여 제조하였다. 제조된 MTT 용액 50㎕를 세포가 존재하는 각 웰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상기 세포를, 약 37℃, 5%의 CO2, 95%의 공기 및 완전한 습도 조건에서, 약 3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3시간 동안 배양한 후, MTT 용액을 제거하고, 다이메틸설폭사이드 (dimethyl sulfoxide: DMSO) 200㎕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DMSO가 잘 혼합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 상온에서 약 5분 동안 추가로 배양시켰다. 플레이트 판독기를 이용하여, 각 웰의 광학 밀도 (optical density: OD)를 측정하였다. 이 때, 플레이트 판독기는 테스트 파장에 대하여 570nm, 참조 파장에 대하여 630nm로 설정하였다. 도 1은 Hacat 세포에 마레신 1을 투여하고 자외선을 조사한 후, 세포 생존율 변화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1a을 참조하면, 마레신 1을 투여한 경우에는 자외선 조사에 의한 세포 사멸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된 것을 알 수 있다.
2. 마레신 1에 의한 항산화 효능 측정
Hacat 세포에서 마레신 1이 세포 내 활성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 ROS) 생성에 미치는 효과를 카르복시-H2DCFDA가 포함된 ROS 검출 키트 (Abcam)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DCFH-DA는 쉽게 세포막을 뚫고 세포 안으로 확산되어 세포 안의 에스테라아제에 의해 형광을 잃은 DCFH로 가수분해 되고, 이후 ROS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높은 형광을 띄는 DCF로 빠르게 산화된다. 따라서 DCF의 형광 강도는 세포 안의 ROS의 양과 비례한다.
Hacat 세포를 암 (dark) 환경이면서 바닥이 투명한 96웰 (well) 마이크로 플레이트 (microplate)에 25,000 세포/웰의 농도를 분주하고, 37℃, 5%의 CO2 조건의 인큐베이터에서 약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0.25, 0.5, 1 μM의 마레신 1을 함유한 각각의 배지로 교체하여, 1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서, 세포에 자외선 B (70 mJ/cm2)를 조사하고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각 웰에서 배지를 제거하고, 각 웰에 1 x 희석 버퍼 100㎕를 첨가하고,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그 후, 각 웰에서 1x 희석 버퍼를 제거하고, 각 웰에 희석된 DCFDA 용액 100㎕를 첨가하여 세포를 염색하였다. 상기 염색은 Hacat 세포를, 약 37℃의 암 환경에서, 약 45분 동안, 희석된 DCFDA 용액과 반응시킴으로써 수행하였다. 그 후, 각 웰에서 DCFDA 용액을 제거하고, 각 웰에 1 x 희석 버퍼 또는 1x 인산염완충식염수 100㎕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플레이트 판독기를 이용하여 플레이트 상의 형광을 측정하였다. 이 때, 플레이트 판독기는 엔드 포인트 (end point) 모드로 설정하고, 여기에 대하여 485nm, 방출에 대하여 535nm의 파장으로 설정하였다.
도 1b는 Hacat 세포에 마레신 1을 투여하고 자외선을 조사한 후, 세포 내 ROS 생성 정도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마레신 1을 투여한 경우에는 자외선 조사에 의한 세포 내 ROS 생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
3. 마레신 1의 MMP -2 및 MMP -9의 합성 억제 효능 측정
Hacat 세포에서 마레신 1이 피부 탄력 및 신축성과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 실시간중합효소연쇄반응법 (quantitative real-time PCR: qPCR)으로 측정하였다.
상기 Hacat 세포를 96웰 (well) 마이크로 플레이트 (microplate)에 5 x 104 세포/웰의 농도를 분주하고, 37℃, 5%의 CO2 조건의 인큐베이터에서 약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0.25, 0.5, 1 μM의 마레신 1을 함유한 각각의 배지로 교체하고 1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서, 세포에 자외선 B (70 mJ/cm2)를 조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cDNA의 유전자 발현 정도는 Applied Biosystems 700 서열 검출 시스템 (Foster City, CA, USA) 상에서, 형광 TaqMan 5` 뉴클레아제 분석을 사용하여 qPCR로 분석하였다. 이 때, 합성된 cDNA, MMP-2 및 MMP-9 특이적인 프라이머 세트, 2 x TaqMan 마스터 혼합물 및 20 x premade TaqMan 유전자 발현 분석 (Applied Biosystems) 키트를 이용하였다. qPCR 조건은 다음과 같다: 95℃에서 10분, 95℃에서 15초 및 60℃에서 1분, 40회 반복. MMP-2, MMP-9 및 베타-액틴 특이적인 프라이머 세트는 각각 상업적으로 판매하는 것을 사용하였다 (MMP-2에 대하여 Hs01548727_m1, # 4331182, MMP-9에 대하여 Hs00957562_m1, # 4331182, 베타-액틴에 대하여 Hs01060665_g1, # 4331182, ThermoFisher; Fremont, CA, USA).
도 2a 및 2b는 Hacat 세포에 마레신 1을 투여하고 자외선을 조사한 후, MMP-2 및 MMP-9의 발현 정도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2a 및 2b를 참조하면, 마레신 1을 투여한 경우에는 자외선 조사에 의한 MMP-2 및 MMP-9의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조성물은 하기와 같이 여러 가지 제형으로 응용 가능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1] 피부외용 연고
조성물 중량%
마레신 1 0.5
디에틸세바케이트 8
경납 5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포스페이트 6
벤조산나트륨 1
바셀린 적량
[제제예 2] 크림
조성물 중량%
마레신 1 0.3
스테아린산 15.0
에탄올 1.0
수산화칼륨 0.7
글리세린 5.0
프로필렌글리콜 3.0
방부제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to 100)
[제제예 3] 에센스
조성물 중량%
마레신 1 0.2
프로필렌글리콜 10.0
글리세린 10.0
히알루론산나트륨 (1% 수용액) 5.0
에탄올 5.0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1.0
파라옥시안식향상메틸 0.1
적량
정제수 잔량 (to 100)
[제제예 4] 팩
조성물 중량%
마레신 1 0.3
폴리비닐알코올 13.00
L-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1.00
라우로일히드록시프롤린 1.00
수용성 콜라겐 (1% 수용액) 2.00
1,3-부틸렌글리콜 3.00
에탄올 6.00
정제수 잔량 (to 100)
[제제예 5] 드링크제
조성물 중량%
마레신 1 100mg
포도당 10g
홍삼추출물 50mg
구연산 2g
정제수 187.7g (to 200㎖)

Claims (14)

  1. 마레신 1 (Maresin 1: MaR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마레신 1은 7R,14S-디히드록시(dihydroxy)-4Z,8E,10E,12Z,16Z,19Z-도코사헥사엔산(docosahexaenoic acid)이고, 상기 피부 노화는 피부의 광노화, 기미, 주근깨, 주름, 또는 탄력 감소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부 노화는 자외선에 의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레신 1은 세포 중 콜라겐 분해를 억제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레신 1은 메탈로프로테나제 (matrix metalloproteinase: MMP)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레신 1은 항산화 활성을 갖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7. 마레신 1 (Maresin 1: MaR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마레신 1은 7R,14S-디히드록시(dihydroxy)-4Z,8E,10E,12Z,16Z,19Z-도코사헥사엔산(docosahexaenoic acid)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피부 노화는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 기미, 또는 주근깨, 또는 주름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9. 삭제
  10. 청구항 7에 있어서, 화장수, 스킨, 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또는 팩 중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11. 마레신 1 (Maresin 1: MaR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상기 마레신 1은 7R,14S-디히드록시(dihydroxy)-4Z,8E,10E,12Z,16Z,19Z-도코사헥사엔산(docosahexaenoic acid)인 것인 건강기능식품.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피부 노화는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 기미, 또는 주근깨, 또는 주름인 것인 건강기능식품.
  13. 삭제
  14. 삭제
KR1020170022466A 2017-02-20 2017-02-20 마레신 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01900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466A KR101900066B1 (ko) 2017-02-20 2017-02-20 마레신 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466A KR101900066B1 (ko) 2017-02-20 2017-02-20 마레신 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158A KR20180096158A (ko) 2018-08-29
KR101900066B1 true KR101900066B1 (ko) 2018-09-18

Family

ID=63434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466A KR101900066B1 (ko) 2017-02-20 2017-02-20 마레신 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00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68359A4 (en) * 2018-10-15 2022-08-10 Amorepacific Corporation SKIN BARRIER STRENGTHENING COMPOSITION
KR20200046458A (ko) * 2018-10-24 2020-05-07 (주)아모레퍼시픽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35032A2 (en) 2011-03-25 2012-10-04 The Brigham And Women's Hospital, Inc. Anti-inflammatory particles
WO2016144569A1 (en) 2015-03-10 2016-09-15 Elc Management Ll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skin to resolve inflammation and screening for actives that stimulate pro-resolution pathway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35032A2 (en) 2011-03-25 2012-10-04 The Brigham And Women's Hospital, Inc. Anti-inflammatory particles
WO2016144569A1 (en) 2015-03-10 2016-09-15 Elc Management Ll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skin to resolve inflammation and screening for actives that stimulate pro-resolution pathway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nnate Immunity, Volume22, Issue3, Pages186-195, 2016
Journal of Immunology, Volume193, Issue8, Pages 4235-4244, 201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158A (ko) 2018-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1809B2 (en) Compositions including a botanical extract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in skin whitening and skin lightening applications
KR102493443B1 (ko) 친환경 천연 공융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00065B1 (ko) 프로텍틴 dx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01900066B1 (ko) 마레신 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20090103992A (ko) 감마-아미노 부티르산의 탈색제로서 용도
KR102284168B1 (ko) 해양 유래 신규 미생물 렌티스페라 아라네오사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RU2548794C2 (ru) Ингибитор эластазы
KR101621499B1 (ko) 속수자 추출물을 포함한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티나제의 발현을 증가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01956666B1 (ko) 사마귀풀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02626704B1 (ko) 장미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416653B1 (ko) 배초향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86125B1 (ko) 복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 및 피부 항노화 조성물
KR102609655B1 (ko) 스트렙토코커스 소브리너스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609656B1 (ko) 스타필로코커스 호미니스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495404B1 (ko) 브레분디모나스 베지큘라리스 균주 및 그의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 용도
KR102488136B1 (ko) 살구 추출물 및 수용성 콜라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40061413A (ko) 석시닉 애씨드를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119520A (ko) 샤프란 꽃 추출물 및 단삼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168633A (ko) 아미노산을 이용한 식물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20230168267A (ko) 스타필로코커스 코흐니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20220113587A (ko) 카르니틴, 아르기닌, 크레아틴, 및 비타민 c 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
KR20230168268A (ko)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리큘라리스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20220128316A (ko) 스노우베리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20220096110A (ko) 버크홀데리아 비에트나미엔시스 균주 및 그의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 용도
JPH0987163A (ja) 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