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8603B1 - 광케이블 단자함 - Google Patents

광케이블 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8603B1
KR101898603B1 KR1020180041945A KR20180041945A KR101898603B1 KR 101898603 B1 KR101898603 B1 KR 101898603B1 KR 1020180041945 A KR1020180041945 A KR 1020180041945A KR 20180041945 A KR20180041945 A KR 20180041945A KR 101898603 B1 KR101898603 B1 KR 101898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optical cable
optical
slo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규열
Original Assignee
손규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규열 filed Critical 손규열
Priority to KR1020180041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6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52Distribution fram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케이블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광케이블 단자함에 있어서 함체, 상기 함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광케이블 또는 상기 광케이블에서 분기된 복수 개의 광코어선이 권취되는 권취부, 상기 함체 내부 공간을 분리하며 상부면에 복수 개의 어댑터가 고정결합되고, 일측면에 상기 각 어댑터에 대응하는 버튼부가 구비된 슬롯패널, 상기 함체의 하부면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광케이블이 인입되는 광케이블홀, 상기 함체의 하부면 타 측에 형성되어 상기 슬롯패널을 통과한 광코어선이 인출되는 광코어선홀, 상기 슬롯패널의 일 측 공간에 형성되며 상기 함체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슬롯패널을 통과한 광코어선의 인출을 가이드하는 다단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부는 상기 함체의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부에 체결되며, 측면에 하나 이상의 권취막대를 포함하고 다른 권취기둥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가 형성된 권취기둥, 상기 권취기둥의 측면에 부착되며, 길이방향의 신장을 위해 포개어진 복수개의 막대를 포함하는 권취막대, 상기 광케이블 또는 상기 광코어선을 권취할 수 있도록 상기 막대의 각 단부에 돌출형성된 권취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 개로 나눠지는 광케이블을 효율적으로 정리할 수 있으며, 광케이블의 신규 증설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해진다.

Description

광케이블 단자함{TERMINAL BOX FOR OPTICAL CABLE}
본 발명은 광케이블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광케이블 설치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광케이블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의 발달과 통신환경의 변화, 사용자들의 욕구 증대로 인해 초고속 광대역 정보통신 환경이 활발하게 조성되고 있으며, 광케이블을 이용하여 각 가구에 통신선로가 공급되고 있다.
아파트나 연립주택과 같은 다세대 주택의 각 가구에 광케이블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광케이블 단자함이 필요하다. 광케이블을 각 가정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광케이블을 여러 가닥의 광케이블로 나누고 이를 각 가정에 공급하게 되는데, 한가닥의 광케이블이 여러가닥으로 나뉘어지는 부분은 매우 복잡하므로 이를 잘 정리하여 단자함에 내장하고, 상기 단자함을 벽면에 장착하게 되는데 이를 광케이블 단자함이라한다.
종래에 광케이블 단자함과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562912호와 같이 광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는 단자함이 개시된 바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1695269호와 같이 광케이블을 정리할 수 있는 권취 공간이 하나 이상 형성된 단자함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FTTH 가입자 증대에 따른 광케이블의 증설을 수용하기에는 수용 공간이 충분하지 않으며, 다수개로 나눠지는 광케이블을 효율적으로 정리하기에는 그 구성이 단순하여 배선의 복잡화를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어보인다. 따라서 급증하는 FTTH 가입자를 효과적으로 수용하고,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광케이블 단자함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 개로 나눠지는 광케이블을 효율적으로 정리할 수 있는 광케이블 단자함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케이블 내 배선의 복잡화를 간소화하고, 유지보수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광케이블 단자함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자함 관리자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광케이블 연결 상태를 다수의 관리자가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지 보수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스마트 단자함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광케이블 단자함에 있어서 함체, 상기 함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광케이블 또는 상기 광케이블에서 분기된 복수 개의 광코어선이 권취되는 권취부, 상기 함체 내부 공간을 분리하며 상부면에 복수 개의 어댑터가 고정결합되고, 일측면에 상기 각 어댑터에 대응하는 버튼부가 구비된 슬롯패널, 상기 함체의 하부면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광케이블이 인입되는 광케이블홀, 상기 함체의 하부면 타 측에 형성되어 상기 슬롯패널을 통과한 광코어선이 인출되는 광코어선홀, 상기 슬롯패널의 일 측 공간에 형성되며 상기 함체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슬롯패널을 통과한 광코어선의 인출을 가이드하는 다단 가이드를 포함하고, 본 발명은 광케이블 단자함에 있어서 함체, 상기 함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광케이블 또는 상기 광케이블에서 분기된 복수 개의 광코어선이 권취되는 권취부, 상기 함체 내부 공간을 분리하며 상부면에 복수 개의 어댑터가 고정결합되고, 일측면에 상기 각 어댑터에 대응하는 버튼부가 구비된 슬롯패널, 상기 함체의 하부면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광케이블이 인입되는 광케이블홀 , 상기 함체의 하부면 타 측에 형성되어 상기 슬롯패널을 통과한 광코어선이 인출되는 광코어선홀 , 상기 슬롯패널의 일 측 공간에 형성되며 상기 함체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슬롯패널을 통과한 광코어선의 인출을 가이드하는 다단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부는 상기 함체의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부에 체결되며, 측면에 하나 이상의 권취막대를 포함하고 다른 권취기둥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가 형성된 권취기둥 , 상기 권취기둥의 측면에 부착되며, 길이방향의 신장을 위해 포개어진 복수개의 막대를 포함하는 권취막대 , 상기 광케이블 또는 상기 광코어선을 권취할 수 있도록 상기 막대의 각 단부에 돌출형성된 권취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 개로 나눠지는 광케이블을 효율적으로 정리할 수 있으며, 광케이블의 신규 증설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해진다 .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광케이블 내 배선의 복잡화를 간소화할 수 있으며, 광케이블의 관리가 매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단자함 관리자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광케이블 연결 상태를 다수의 관리자가 공유할 수 있어, 유지 보수의 편의성이 크게 높아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케이블 단자함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권취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되며, 명세서 및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모든 조합은 임의의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식으로 규정하지 않는 한, 단수에 대한 언급은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단수 표현에 대한 언급은 또한 복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케이블 단자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케이블 단자함은 함체(1), 권취부(110), 슬롯패널(120), 광케이블홀(13), 광코어선홀(19), 다단 가이드(140)을 포함할 수 있다.
함체(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광케이블 단자함의 구성요소들 포함하는 케이스로, 전주, 건물 벽체, 구내 단자함 등에 설치될 수 있다. 함체(1)은 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후면에는 전신주, 건물 벽체 또는 구내 단자함 등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결합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함체(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광케이블 단자함의 각 구성, 광케이블(3) 및 광코어선(9)를 우천이나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권취부(110)은 함체(1)의 내부에 구비되며, 권취부(110)에는 광케이블(3) 또는 광케이블에서 분기된 복수 개의 광코어선(9)가 권취된다. 권취부(110)은 광케이블(3)과 광코어선(9)의 정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배선의 복잡화, 배선간 간섭문제를 해결하는 역할을 한다. 광케이블은 1 - 스플리터(광섬유 분배기) - n개의 광코어선으로 분배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권취부(110)은 n개의 광코어선을 권취할 수 있는 복수개의 구분된 권취 공간을 제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권취부(110)는 권취기둥(111), 권취돌기(113), 권취막대(115)를 포함한다.
권취기둥(111)은 함체의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부(111c)에 체결되며, 측면에 복수개의 권취막대(115)가 방사형으로 결합되고, 중앙부에는 다른 권취기둥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111a, 111b)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권취기둥(111) 위에 다른 권취기둥(111‘)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필요에 맞는 개수의 권취기둥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권취기둥(111)의 측면에는 권취막대(115)가 방사형으로 결합되는데, 권취막대(115)는 권취기둥(111)의 측면에 부착되며 길이방향의 신장을 위해 포개어진 복수개의 막대를 포함한다. 권취막대(115)는 신축가능한 안테나와 유사한 형태를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권취막대(115)를 구성하는 포개어진 막대의 각 단부에는 광케이블이나 광코어선을 권취할 수 있도록 권취돌기(113)가 돌출형성되어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권취막대(115)를 신장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권취막대(115)를 신장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권취되는 광코어선(9) 간의 간격이 벌어지므로 정리가 용이하다.
하나의 권취부(110)에는 광코어선을 권취할 수 있는 권취 공간이 포개진 막대의 개수, 보다 정확하게는 포개진 막대의 단부에 돌출형성된 권취돌기(113)의 개수만큼 형성될 수 있다. 도 2의 실시 예에서, 권취돌기(113)는 하나의 권취막대(115) 당 다섯 개씩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2의 권취부(110) 하나에는 총 다섯 개의 권취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관리자는 제1 막대의 단부에 형성된 제1 권취돌기 각각에 광코어선을 권취하고, 제2 막대의 단부에 형성된 제2 권취돌기 각각에 광코어선을 권취하는 방식으로 복수개의 광코어선을 권취할 수 있으며, 권취막대(115)를 신장시켜 광코어선이 권취된 공간을 분리할 수 있다.
이렇게 권취막대(115)와 권취돌기(113)에 의해 구획된 권취 공간에 복수의 광코어선을 각각 권취하거나 m(m은 정수)개씩 나누어 권취한 후 어댑터에 연결하면, 추후 문제가 발생된 광코어선을 제거하거나, 광케이블을 증설하는 등의 유지 보수 작업 시 배선이 공간 별로 분리되어있어 관리가 매우 용이하다.
뿐만 아니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부(110)는 관리자의 필요에 맞게 추가 결합될 수 있다. 권취기둥(111)의 중앙부 일 측면에는 다른 권취기둥을 결합할 수 있는 돌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부의 다른 측면에는 돌출 나사산(111a)과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이 안으로 형성되어 있다(111b). 따라서 권취 공간이 추가적으로 필요한 경우, 관리자는 권취기둥에 형성된 돌출 나사산(111a)에 다른 권취기둥을 결합함으로써 권취 공간을 추가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플리터를 이용해 32개의 광코어선으로 분기되는 1개의 광케이블이 단자함으로 인입되는 경우의 일 실시 예를 살펴보자. 관리자는 32개의 광코어선을 4개씩 묶어 권취부(110)가 형성하는 분리된 권취공간에 각각 정리할 수 있다. 이 경우, 8개의 권취공간이 요구되므로, 관리자는 2개의 권취부(11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일 그룹의 광코어선(L1, L2, L3, L4)은 제1 권취부의 제1 막대 권취돌기 각각에, 일 그룹의 광코어선(L5, L6, L7, L8)은 제1 권취부의 제2 막대 권취돌기 각각에, 일 그룹의 광코어선(L9, L10, L11, L12)는 제1 권취부의 제3 막대 권취돌기 각각에 권취되는 식으로 총 32개의 광코어선이 정리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광코어선 일부를 제거 또는 변경하고자 할 때 해당 광코어선이 권취되어있는 권취부(110)를 분리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권취부(110)의 결합 순서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2는 각 권취기둥(111)의 결합부(111a, 111b)가 나사 결합을 지원하는 수단인 경우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결합부결합부(111a, 111b)는 암수결합의 끼움결합을 지원하는 수단일 수도 있다. 즉, 함체의 내측면 및 권취기둥 상부에 형성되는 결합부(111a, 111c)는 끼움결합을 위한 끼움 돌기일 수 있으며, 권취기둥 하부 내측에 형성되는 결합부(111b)는 끼움결합을 위한 끼움 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광케이블 단자함에는 함체(1) 내부 공간을 분리하며 상부면에 복수 개의 어댑터(7)이 고정결합되고, 일측면에 각 어댑터(7)에 대응하는 버튼부(125)가 구비된 슬롯패널(120)이 포함된다. 버튼부(125)는 슬롯패널(120)에 구비된 어댑터의 각 행의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광코어선이 분기되는 개수 n은 2의 배수인 바, 도 1과 같이 슬롯패널의 각 행에 2개의 슬롯이 구비되는 경우 어댑터(7)이 행 별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관리자는 슬롯패널의 슬롯이 사용되는 경우, 즉 광코어선이 어댑터(7)에 연결되는 경우, 연결된 행에 대응하는 버튼부(125)를 눌러 사용 여부를 입력할 수 있다. 버튼부(125)는 LED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LED는 최초 누름 동작 시 사용 입력이 수신된 것으로 보아 켜지고, 사용 입력 수신 후 한 번 더 누름 동작이 입력되면 사용 입력이 취소된 것으로 보아 꺼지도록 동작할 수 있다. 나아가 버튼부(125)에서는 버튼부(125)의 누름 동작에 따른 ON/OFF 신호가 생성되며, 생성된 신호는 제어부(130)로 전송된다.
제어부(130)는 버튼부에서 생성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슬롯 사용 정보를 생성한다. 슬롯 사용 정보는 슬롯패널(120)의 각 슬롯이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슬롯 사용 정보는 통신부(150)을 통해 서버(200)로 전송되며, 관리자는 단말을 통해 서버(200)에서 슬롯 사용 정보를 수신하여 광케이블 단자함 내에 몇 개의 슬롯이 사용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광케이블 단자함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변경되더라도, 변경된 관리자는 서버(200)에 접속하여 슬롯 사용정보를 미리 수신할 수 있으며, 슬롯패널(120)의 변경이 필요한지, 권취부(110)가 추가적으로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한 후 현장에 방문하여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어 관리가 매우 용이하다.
한편, 함체(1)의 하부면 일 측에는 광케이블이 인입되는 광케이블홀(13)과 함체(1)의 하부면 타 측에 형성되어 슬롯패널(120)을 통과한 광코어선(9)이 인출되는 광코어선홀(19)이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광케이블 단자함은 슬롯패널(120)의 일 측 공간에 형성되며 함체(1)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슬롯패널(120)을 통과한 광코어선(9)의 인출을 가이드하는 다단 가이드(140)을 포함한다.
광케이블홀(13)과 광코어선홀(19)에서 광케이블과 광코어선이 인입, 인출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밀폐되어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함체(1)에 구비된 각 구성요소들을 보호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본 발명의 광케이블 단자함에 포함된 통신부(150) 및 센서부(170)를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생성부(133), 인증부(135), 정보 관리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생성부(133)는 버튼부(125)로부터 버튼부의 누름 동작에 따라 생성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슬롯 사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70)에서 수신한 센서값이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면, 점검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서버(200)에 추가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광케이블 단자함에 외부 힘에 의한 충격이 발생하면, 점검 요청 신호 전송을 통해 파손 사실을 서버(200)에 알리고 관리자의 점검을 요청할 수 있다.
인증부(135)는 함체(1)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임의의 단말(300)이 근접하면 단말(300)에 인증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단말(300)로부터 단말(30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식별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여 단말(300)이 인증된 단말인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50)는 블루투스 또는 NFC와 같은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단말(300)이 근접하였음을 인식할 수 있다. 인증부(135)는 단말(300)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서버(200)로 전송하여 해당 단말(300)이 인증된 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정보 관리부(137)는 인증부(135)에서의 확인이 완료되면, 단말(300)에 슬롯 사용 정보를 전송하고, 단말(300)로부터 함체에 결합된 권취부 개수 정보를 수신하면 슬롯 사용 정보에 권취부 개수 정보를 추가하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케이블 단자함에 접근한 관리자는 인증이 완료되면 단말(300)에 기 설치된 광케이블 단자함 관리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해당 함체(10)의 슬롯 사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슬롯 사용 정보는 서버(200)로부터 미리 수신할 수도 있다.
함체(1)에는 별도의 입력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관리자는 단말(3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함체(1)에 설치된 권취부(110)의 개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는 권취부(110)가 두 개 결합되어 있으므로, 관리자는 권취부(110)의 개수 정보로 2를 입력할 수 있다. 즉, 관리자는 광케이블을 설치 또는 증설하거나, 광케이블을 유지보수할 때마다 사용하는 슬롯의 행에 해당하는 버튼을 눌러 슬롯 사용 여부를 입력하고, 권취부의 개수 정보를 단말에 입력함으로써, 개수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슬롯 사용 정보에는 함체의 식별번호가 포함되므로, 슬롯 사용 정보에 권취부(110)의 개수 정보가 결합되면, 정보 관리부(137)는 함체의 식별번호, 슬롯의 식별번호, 슬롯의 사용 여부, 권취부의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슬롯 사용 정보를 서버(200)에 업데이트 함으로써, 서버(200)에 접근하는 관리자 모두가 해당 광케이블 단자함에 몇 개의 권취부가 부착되어 있는지, 몇 개의 슬롯이 사용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저장부(139)에는 센서부(170)에서 측정된 센서값, 정보 생성부(133)에서 생성된 슬롯 사용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다단 가이드(140)는 슬롯패널(120)의 일 측 공간에 형성되며 함체(1)의 내측면에 다수 개 부착되어 슬롯패널(120)을 통과한 광코어선(9)의 인출을 가이드한다. 다단가이드(140)로 인해 광코어선홀(19)을 통해 인출되는 광코어선(9)이 정리되며, 관리자는 문제가 있는 광코어선(9)을 슬롯패널(120)의 좌측 공간에서 빠르게 식별할 수 있다.
통신부(150)은 슬롯 사용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한다. 슬롯 사용 정보에는 함체의 식별번호와 각 슬롯에 기 설정된 슬롯의 식별번호 및 각 슬롯의 사용 여부가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서버(200) 및/또는 단말(30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하여 WIFI, Wibro, Zigbee와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말(300)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BLE, NFC 등과 같이 근거리 통신 방식 등을 지원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70)는 진동 센서 또는 충격 센서로, 측정된 센서 값을 제어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함체(1)에는 함체(1)을 덮어주는 덮개(미도시)가 일측 모서리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생략된 일부 실시 예는 그 실시 주체가 동일한 경우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 함체 3: 광케이블
5: 스플리터 7: 어댑터
9: 광코어선 110: 권취부
120: 슬롯패널 125: 버튼부
130: 제어부 140: 다단가이드
150: 통신부 170: 센서부
200: 서버
300: 단말

Claims (3)

  1. 함체;
    상기 함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광케이블 또는 상기 광케이블에서 분기된 복수 개의 광코어선이 권취되는 권취부;
    상기 함체 내부 공간을 분리하며 상부면에 복수 개의 어댑터가 고정결합되고, 일측면에 상기 어댑터의 각 행에 대응하는 버튼부가 구비된 슬롯패널;
    상기 함체의 하부면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광케이블이 인입되는 광케이블홀;
    상기 함체의 하부면 타 측에 형성되어 상기 슬롯패널을 통과한 광코어선이 인출되는 광코어선홀;
    상기 슬롯패널의 일 측 공간에 형성되며 상기 함체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슬롯패널을 통과한 광코어선의 인출을 가이드하는 다단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부는
    상기 함체의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부에 체결되며 측면에 복수개의 권취막대가 방사형으로 결합되고 중앙부에는 다른 권취기둥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가 형성된 권취기둥;
    상기 권취기둥의 측면에 부착되며, 길이방향의 신장을 위해 포개어진 복수개의 막대를 포함하는 권취막대;
    상기 광케이블 또는 상기 광코어선을 권취할 수 있도록 상기 막대의 각 단부에 돌출형성된 권취돌기를 포함하는 광케이블 단자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에서 상기 버튼부의 누름 동작에 따라 생성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를 이용하여 슬롯 사용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슬롯 사용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버튼부는 최초 누름 동작 시 점등하고, 점등 상태에서 누름 동작이 수신되면 소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슬롯 사용 정보는 상기 함체의 식별번호, 상기 어댑터에 대응하는 슬롯의 식별번호 및 상기 슬롯의 사용 여부가 포함되는 광케이블 단자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함체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임의의 단말이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단말에 인증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이 인증된 단말인지 확인하는 인증부;
    상기 확인이 완료되면, 상기 단말에 상기 슬롯 사용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함체에 결합된 권취부 개수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슬롯 사용 정보에 상기 권취부 개수 정보를 추가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광케이블 단자함.
KR1020180041945A 2018-04-11 2018-04-11 광케이블 단자함 KR101898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945A KR101898603B1 (ko) 2018-04-11 2018-04-11 광케이블 단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945A KR101898603B1 (ko) 2018-04-11 2018-04-11 광케이블 단자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8603B1 true KR101898603B1 (ko) 2018-09-13

Family

ID=63593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945A KR101898603B1 (ko) 2018-04-11 2018-04-11 광케이블 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6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226U (ko) 2021-03-10 2022-09-19 베스트원 주식회사 광케이블 어댑터
CN117555096A (zh) * 2024-01-11 2024-02-13 国网湖北省电力有限公司 一种复合光缆接汇箱组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2376A (ko) * 2003-05-27 2004-12-08 이정연 리본광섬유용 광분배함
KR101480760B1 (ko) * 2014-11-26 2015-01-12 (주)비디씨 광분기함이 착탈가능한 광(ftth-r)케이블 및 동케이블 통합수용 옥외용 단자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2376A (ko) * 2003-05-27 2004-12-08 이정연 리본광섬유용 광분배함
KR101480760B1 (ko) * 2014-11-26 2015-01-12 (주)비디씨 광분기함이 착탈가능한 광(ftth-r)케이블 및 동케이블 통합수용 옥외용 단자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226U (ko) 2021-03-10 2022-09-19 베스트원 주식회사 광케이블 어댑터
CN117555096A (zh) * 2024-01-11 2024-02-13 国网湖北省电力有限公司 一种复合光缆接汇箱组件
CN117555096B (zh) * 2024-01-11 2024-04-05 国网湖北省电力有限公司 一种复合光缆接汇箱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3463B2 (en) Rapid deployment indexing terminal arrangement
US7751674B2 (en) Modular optical fiber cassettes and fiber management methods
US10928602B2 (en) Fiber optic cable deployment assemblies, systems, and methods
US7546018B2 (en) Fiber optic cabling for multi-dwelling unit (MDU) and commercial building deployments
EP2677686B1 (en) Security System and Method using Wireless Adapters and PoE Cameras
US20070176745A1 (en) Telecom Equipment With RFIDs
CN101821655A (zh) 用于将外部通信网络连接到建筑物的用户网络的模块化系统和方法
KR101898603B1 (ko) 광케이블 단자함
KR101898601B1 (ko) 광케이블 단자함
CN105359434A (zh) 使用光纤索引的无源分布系统
US10717627B2 (en) Cable spool assembly
US10444462B2 (en) Optical cable wiring system and optical cable connecting component
JP2007121398A (ja) スプリッタモジュール
JP2008170743A (ja) アウトレット及びその光配線方法
CN110568572B (zh) 一种终端盒
KR101984279B1 (ko) 다층 트레이를 구비한 대용량 광케이블 단자함
KR200405463Y1 (ko) 광분기함
WO2019111058A3 (en) Optical fiber connection box for multi-dwelling unit
JP2008129166A (ja) 光ファイバ配線系およびスプリッタボックス
EP4080258A1 (en) Optical terminal box for distributing optical power
US20150130632A1 (en) Data-collecting system and device
KR101539929B1 (ko) 선번 자동 관리 기능을 갖는 광분배 장치
JP4669795B2 (ja) 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敷設方法
JP4268067B2 (ja) 構内配線方法および構内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5358163B2 (ja) 逓減型の複合通信ブランチケ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