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2376A - 리본광섬유용 광분배함 - Google Patents

리본광섬유용 광분배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2376A
KR20040102376A KR1020030033723A KR20030033723A KR20040102376A KR 20040102376 A KR20040102376 A KR 20040102376A KR 1020030033723 A KR1020030033723 A KR 1020030033723A KR 20030033723 A KR20030033723 A KR 20030033723A KR 20040102376 A KR20040102376 A KR 20040102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ribbon
fiber
optical
ribbon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3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경석
이정연
Original Assignee
이정연
네트워크케이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연, 네트워크케이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정연
Priority to KR1020030033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02376A/ko
Publication of KR20040102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237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52Distribution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53Cassett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본광섬유케이블과 장비간의 접속, 분배 및 단심코드의 저장에 사용되는 리본광섬유용 광분배함은 광분배함에 관하 것이다.
이는 랙에 적층 고정키 위한 고정셀프와 이 고정셀프에 수납되는 이동셀프로 구성되고, 이 이동셀프에는 외부 광선로에서 인입된 리본광섬유케이블을 접속 보호하며 광섬유의 여장을 정리하기 위한 판형태의 리본광섬유접속보호지지판이 다수개 적층된 리본광섬유보호지지부;와 상기 리본광섬유접속보호지지판에서 나온 리본광섬유를 다수개의 단심광섬유로 분기하여 배출하는 다심광섬유 분기대가 다수개 적층된 다심광섬유 분기부;와 상기 다심광섬유 분기부로부터 분기된 단심광섬유의 곡율을 일정하게 유지토록 조정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을 지난 단심광섬유들의 여장을 감아서 정리하고 고정하는 드럼이 다수개 적층된 여장정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리본광섬유용 광분배함{Ribbon Fiber Management Box}
본 발명은 리본광섬유 케이블이 중계국 등에 인입되어 시스템이나 장비에 연결시키는 경우 광케이블과 장비간의 접속, 분배 및 단심코드의 저장에 사용되는 리본광섬유용 광분배함에 관한 것이다.
현재 광통신망은 초고속정보통신망의 구축과 일반 통신 사업자들의 광섬유 통신망 구성 및 CATV 등 다양한 통신 서비스의 제공을 위하여 가입자 선로 구간에 광섬유가 사용되는 광가입자망이 구축되고 있는데, 이러한 광가입자망의 증가와 초고속 대용량의 서비스 확산으로 많은 수의 광섬유가 요구된다.
이를 충족하기 위해 여려 개의 광섬유를 집적시켜 리본형태로 만든 리본광섬유가 통용되어 사용되어지고 있다.
광분배함은 가입자 선로, 중앙국, 중계국 및 전화국 등에 설치되어, 외부 광선로에서 인입되는 광섬유 케이블을 접속자 보호 및 광섬유 여장정리 기능을 수행하도록 고안된 물품으로서 통상 여러개의 분배함이 랙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종래의 광분배함은 단심 광섬유를 접속, 분배 및 저장하는 기능을 중심으로 개발되어, 용량이 최대 144C(144core)용 이었다. 그러나 리본광섬유 케이블은 용량이 최소 288C 또는 320c 용량이 되도록 설계되고 있어 이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광분배함으로는 추가의 광분배함을 적층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광분배함은 리본광섬유보호지지판만이 몇 개로 적층 구성되는 것이서 후일에 사용될 경우를 대비하는 여장의 광섬유(spared cord)를 보관하기가 용이하지 않았으며, 분배함 내부가 복잡하여 설비나 시스템에의 광섬유 연결이나, 가입자 변경시 등의 작업에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광분배함이 단일의 케이스 형태의 것이어서 어느 한개의 분배함의 작업을 위해 적층된 모든 분배함의 결합을 해체해야 하는 작업상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는 가입자, 전화국 등에 비용의 증가를 초래한다.
또한 이러한 추가적인 광분배함의 적층은 불필요한 적층공간의 증대를 초래하고, 분배함마다의 광섬유 접속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많이 요구된다.
따라서 리본광섬유용 광분배함으로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광분배함이개발된다면, 광분배함 분야에서 큰 진보일 것이다.
본 발명은 다심의 광섬유가 뭉쳐져 있는 리본광섬유를 접속 저장하는 광분배함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입자 변경 등을 이유로 외부의 광케이블에서 인입된 광섬유와 장비간의 접속을 변경할 시 적층된 분배함을 해체함이 없이 필요한 부분의 분배함만을 꺼내어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리본광섬유용 광분배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후일에 사용될 경우를 대비하여 남겨둔 여장의 광섬유를 적절히 정리하고, 불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리본광섬유용 광분배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본광섬유용 광분배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본광섬유용 광분배함의 요부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본광섬유용 광분배함의 어댑터판넬의 개략도이고,
도 4는 다심광섬유분기대에 구비되는 다심분리형 광패치코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보호지지판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리본광섬유케이블로부터 배출된 많은 수의 리본광섬유를 비교적 좁은 공간에 유효적절히 수용할 수 있는 리본광섬유용 광분배함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리본광섬유케이블과 장비간의 접속, 분배 및 단심코드의 저장에 사용되는 리본광섬유용 광분배함은 랙에 적층 고정키 위한 고정셀프와 이 고정셀프에 수납되는 이동셀프로 구성되고, 이 이동셀프에는 외부 광선로에서 인입된 리본광섬유케이블을 접속 보호하며 광섬유의 여장을 정리하기 위한 판형태의 리본광섬유접속보호지지판이 다수개 적층된 리본광섬유보호지지부;와 상기 리본광섬유접속보호지지판에서 나온 리본광섬유를 다수개의 단심광섬유로 분기하여 배출하는 다심광섬유 분기대가 다수개 적층된 다심광섬유 분기부;와 상기 다심광섬유 분기부로부터 분기된 단심광섬유의 곡율을 일정하게 유지토록 조정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을 지난 단심광섬유들의 여장을 감아서 정리하고 고정하는 드럼이 다수개 적층된 여장정리부;와 상기 여장정리부로부터의 단심광섬유가 접속되는 어댑터판넬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분배함은 랙에 고정되는 고정셀프와 이 고정셀프에 서랍식으로 수용되는 이동셀프로 분리하여 구성함으로써, 가입자 변경 등을 이유로 외부의 광케이블에서 인입된 광섬유와 장비간의 접속을 변경할 시 적층된 분배함을 해체함이 없이 필요한 부분의 분배함만을 꺼내어 작업을 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적층식의 다심광섬유 분기대를 채용하여 리본광섬유접속보호지지판에서 나온 리본광섬유를 다수개의 단심광섬유로 분기하여 배출하여 분기된 여러개의 광섬유를 가지런히 실장할 수 있게 하였으며, 적층식의 드럼을 채용하여 여장의 광코드를 좁은공간에서도 효율적으로 실장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에서 리본광섬유접속보호지지판과 다심광섬유 분기대와 드럼의 각 적층개수는 서로 동일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리본광섬유접속보호지지판과 다심광섬유 분기대와 드럼의 각 높이가 같도록 설정하여 제1의 리본광섬유접속보호지지판에서 실장 정리된 광섬유가 역시 제1의 다심광섬유 분기대를 통과하도록 하고, 또한 제1의 드럼에 여장의 광섬유가 권취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설치 후 일정기간이 지난 후의 작업 시에도 어느 한 광섬유가 지나가는 길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광분배함은 전면에 안쪽이 들여다 보이는 투명한 또는 반투명한 문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문은 통상적으로 아크릴로 제작되어 여닫을 수 있도록 본 발명에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본광섬유용 광분배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본광섬유용 광분배함의 요부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본광섬유용 광분배함의 어댑터판넬의 개략도이고, 도 4는 다심광섬유분기대에 구비되는 다심분리형 광패치코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보호지지판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본광섬유용 광분배함은 랙(미도시)에 고정되는 고정셀프(400)와 이 고정셀프(400)에 서랍식으로 수납되는 이동셀프(30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셀프(400)와 이동셀프(300)는 서랍식으로 결합되어 이동셀프(300)가 고정셀프(400)내부로 입출되어 이동셀프(300) 안쪽에 실장된 광코드에 대해 작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이동셀프(300) 앞쪽에는 반투명의 아크릴판으로 제닥된 문(50)이 설치되어 있다.
이동셀프(300)의 후면부에는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안쪽에서부터 인출된 성단(成斷, 광섬유 끝단의 처리)처리된 광코드(섬유)가 결합되는 어댑터판넬(140)이 고정되어 있다. 도 3에서 미설명부호 420은 어댑터판넬(140)을 이동셀프(300)의 안쪽에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브라켓이며, 190은 커넥터(165, 도4)로 성단처리된 광섬유가 삽입, 접속되는 커넥터 삽입부이다.
고정셀프(400)는 표준랙(미도시)에 거치되어 나사 등으로 여러개가 적층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사각형태의 판넬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본광섬유용 광분배함의 요부 평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3부분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광분배함은 외부 광선로에서 인입된 리본광섬유케이블(160a)을 접속 보호하며 광섬유의 여장을 정리하기 위한 시트형태의 리본광섬유접속보호지지판(101)이 다수개 적층된 리본광섬유보호지지부(100)를 포함한다. 이러한 리본광섬유접속보호지지판(101)은 공지의 것으로서 그 구체적인 형태는 여러가지가 제작 사용되고 있으며 통상은 시트형으로 적층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그 한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데, 광섬유 보호지지판(101)은 다수개가 서로 포개져서 적층될 수 있도록 단부의 양측에 힌지(38) 및 이에 대응되는 연결고리(40)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즉, 하나의 광섬유 보호지지판(101)의 단부에 형성된 연결고리(40)에 다른 광섬유 보호지지판(101)에 대응되게 형성된 힌지(38)가 끼워져 결합되므로 연속적으로 적층된다. 또한 광섬유 보호지지판(101)의 중간부분에는 최대 24심의 수용심수가 접속될 수 있도록 다수의 가이드(32)에 의해 접속공간(34)이 형성되고, 이 접속공간(34)의 전면에는 보호커버(35)가 밀착되도록 결합되어 접속공간(34)에서 접속된 광섬유를 보호하게 된다. 그리고, 접속공간(34)을 중심으로 양측에는 서로 대칭되게 케이블이 권취되는 드럼(36)이 돌출 형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리본광섬유접속보호지지판(101)에서 나온 리본광섬유(160b)를 다수개의 단심광섬유(180)로 분기하여 배출하는 격자 형태의 다심광섬유 분기대(201)가 다수개 적층된 다심광섬유 분기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다심광섬유 분기대(201)는 상기 광섬유 보호지지판(101)에 대응되는 개수로 설치되어 각 리본광섬유접속보호지지판(101)에서 나온 리본광섬유(160b)를 처리한다. 상기 다심광섬유 분기대(201)는 상기 광섬유 보호지지판(101)과 동일한 개수로 적층되어 각 층끼리 동일한 군의 광섬유에 의해 연결된다. 한편, 다심광섬유 분기대(201)에는 공지의 다심분리형 광코드(166,도 4)가 설치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다심분리형 광코드는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40029호, 공개특허 특2000-41183호 등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상기 다심광섬유 분기부(200)로부터 분기된 광섬유(180)다발을 감아 여장을 정리할 수 있는 드럼(501)이 다수개 적층된 여장정리부(500)를 포함한다. 이 드럼(501) 역시 상기 다심광섬유 분기대(201)와 같은 개수로 적층되어 같은 층의 분기대(201)에서 나온 광섬유들은 같은 층의 드럼(501)에 권취되도록 구성한다.
도면 2에서 미설명 부호 250은 가이드로서 다심광섬유 분기부(200)로부터 분기된 단심광섬유(180)의 곡율을 일정하게 유지토록 조정한다.
이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광분배함의 사용방법 및 작용효과를설명한다.
광분배함은 랙에 고정되는 고정셀프(400)에 이동셀프(300)가 서랍식으로 수납되기때문에 가입자 변경 등을 이유로 외부의 광케이블에서 인입된 광섬유와 장비간의 접속을 변경할 시 적층된 분배함을 해체함이 없이 필요한 부분의 분배함만을 꺼내어 작업을 할 수 있어 광심선의 유지보수 및 선번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광분배함에는 8C(심)의 리본형광섬유가 8본 보호지지판(101)에 실장될 경우, 대당 320C(8 * 8 * 5)의 광섬유의 실장이 가능하여 실장의 고밀도화를 이룰 수 있어 종래에 비해 많은 광섬유를 접속할 수 있게 된다. .
아울러, 수 개의 광섬유 보호지지판(101)이 힌지(38)와 연결고리(40)에 의해 착탈식으로 적층되기 때문에 각각의 광섬유 보호지지판은 쉽게 결합 및 분리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외부로부터 인입된 광케이블은 광섬유 보호지지판(30)에 형성된 드럼(36)에 권치된 상태로 보관되기 때문에 광케이블이 서로 엉키거나 구부러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며, 아울러 광케이블을 깔끔하게 정리정돈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분기된 광섬유들도 다발로 묶어서 드럼(501)에 권취할 수 있어 광분배함 내부를 깔끔하게 정리정돈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광섬유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분배함 내부 공간은 아크릴문(50)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분배함 내부를 쉽게 관찰할 수 있으며, 접속된 광섬유가 쉽게 손상되거나 파손되지 않으며, 경우에 따라 접속된 광섬유를 수리 또는 교환할 필요가 있을 때는 아크릴문(50)만 개방시키면 되므로 작업이 편리하다.

Claims (2)

  1. 리본광섬유케이블과 장비간의 접속, 분배 및 단심코드의 저장에 사용되는 리본광섬유용 통상의 광분배함으로서, 상기 광분배함은 랙에 적층 고정키 위한 고정셀프와 이 고정셀프에 서랍식으로 수납되는 이동셀프로 구성되고, 이 이동셀프에는
    외부 광선로에서 인입된 리본광섬유케이블(160a)을 접속 보호하며 광섬유의 여장을 정리하기 위한 판형태의 리본광섬유접속보호지지판(101)이 다수개 적층된 리본광섬유보호지지부(100);와
    상기 리본광섬유접속보호지지판(101)에서 나온 리본광섬유(160b)를 다수개의 단심광섬유(180)로 분기하여 배출하는 다심광섬유 분기대(201)가 다수개 적층된 다심광섬유 분기부(200);와
    상기 다심광섬유 분기부(200)로부터 분기된 단심광섬유(180)의 곡율을 일정하게 유지토록 조정하는 가이드(250);와
    상기 가이드(250)을 지난 단심광섬유(180)들의 여장을 권취하여 정리하고 고정하는 드럼(501)이 다수개 적층된 여장정리부(500);와
    상기 여장정리부(500)로부터의 단심광섬유(180)가 접속되는 어댑터판넬(14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본광섬유용 광분배함.
  2. 제 1항에 있어서, 적층된 상기 리본광섬유접속보호지지판(101), 다심광섬유 분기대(201) 및 드럼(501)의 적층개수는 서로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본광섬유용 광분배함.
KR1020030033723A 2003-05-27 2003-05-27 리본광섬유용 광분배함 KR200401023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3723A KR20040102376A (ko) 2003-05-27 2003-05-27 리본광섬유용 광분배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3723A KR20040102376A (ko) 2003-05-27 2003-05-27 리본광섬유용 광분배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2376A true KR20040102376A (ko) 2004-12-08

Family

ID=37378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3723A KR20040102376A (ko) 2003-05-27 2003-05-27 리본광섬유용 광분배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02376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9207B1 (ko) * 2005-07-13 2007-01-16 네트워크케이블 주식회사 슬라이딩 여장판을 구비한 광분배함
WO2008157386A1 (en) * 2007-06-17 2008-12-24 Telect, Inc. Expandable fiber management
KR101460275B1 (ko) * 2012-12-20 2014-11-13 (주)유비쿼스 여장처리함을 구비한 통신케이블용 단자함
KR101460288B1 (ko) * 2012-12-20 2014-11-13 (주)유비쿼스 여장처리함을 구비한 통신케이블용 단자함
KR101898603B1 (ko) * 2018-04-11 2018-09-13 손규열 광케이블 단자함
CN109239859A (zh) * 2018-10-30 2019-01-18 深圳市中兴新地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多芯光器件的精准分纤与防护系统
WO2021076732A1 (en) * 2019-10-17 2021-04-22 Commscope Technologies Llc Rack mounted enclosure
WO2023039099A1 (en) * 2021-09-10 2023-03-16 Commscope Technologies Llc Method of separating a ribbon of optical fibers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9207B1 (ko) * 2005-07-13 2007-01-16 네트워크케이블 주식회사 슬라이딩 여장판을 구비한 광분배함
WO2008157386A1 (en) * 2007-06-17 2008-12-24 Telect, Inc. Expandable fiber management
US7630608B2 (en) 2007-06-17 2009-12-08 Telect Inc. Expandable fiber management
KR101460275B1 (ko) * 2012-12-20 2014-11-13 (주)유비쿼스 여장처리함을 구비한 통신케이블용 단자함
KR101460288B1 (ko) * 2012-12-20 2014-11-13 (주)유비쿼스 여장처리함을 구비한 통신케이블용 단자함
KR101898603B1 (ko) * 2018-04-11 2018-09-13 손규열 광케이블 단자함
CN109239859A (zh) * 2018-10-30 2019-01-18 深圳市中兴新地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多芯光器件的精准分纤与防护系统
CN109239859B (zh) * 2018-10-30 2024-05-10 深圳市中兴新地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多芯光器件的精准分纤与防护系统
WO2021076732A1 (en) * 2019-10-17 2021-04-22 Commscope Technologies Llc Rack mounted enclosure
WO2023039099A1 (en) * 2021-09-10 2023-03-16 Commscope Technologies Llc Method of separating a ribbon of optical fibe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9469B2 (en) Optical fiber management system
US7577331B2 (en) Optical fiber coupler module
US6631237B2 (en) Termination and splice panel
EP1616210B1 (en) Local convergence cabinet for optical fiber cable networks
US6289159B1 (en) Optical fiber distribution system
US7460757B2 (en) Distributor system and method for fibre optic cables
US6766094B2 (en) Aerial closure for local convergence point
US20190072736A1 (en) High density distribution frame with an integrated splicing compartment
US8472772B2 (en) Cable loop device for optical systems
US20120051707A1 (en) Methods, Apparatuses for Providing Secure Fiber Optic Connections
WO1991005281A1 (en) Connector holders and distribution frame and connector holder assemblies for optical cable
KR101718968B1 (ko) 적층형 광심선 저장함
KR20040102376A (ko) 리본광섬유용 광분배함
WO2018172378A1 (en)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s
US6560394B1 (en) Fiber management frame for closure
JP4455414B2 (ja) 光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
EP3905709A1 (en) Outdoor telecommunications cabinet
KR102494099B1 (ko) 루프를 이용한 여장 광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함체
EP4160290A1 (en) Fiber-optic splice storage tray
US20210185416A1 (en) Telecommunications equipment cabinet
KR200228293Y1 (ko) 광 분배셀프
KR20010060733A (ko) 지상용 광중간 절체함
KR20100006978A (ko) 광섬유용 광분배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