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0288B1 - 여장처리함을 구비한 통신케이블용 단자함 - Google Patents

여장처리함을 구비한 통신케이블용 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0288B1
KR101460288B1 KR1020120149601A KR20120149601A KR101460288B1 KR 101460288 B1 KR101460288 B1 KR 101460288B1 KR 1020120149601 A KR1020120149601 A KR 1020120149601A KR 20120149601 A KR20120149601 A KR 20120149601A KR 101460288 B1 KR101460288 B1 KR 101460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ox
cable
front surface
terminal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9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0135A (ko
Inventor
김재국
양신학
Original Assignee
(주)유비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비쿼스 filed Critical (주)유비쿼스
Priority to KR1020120149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0288B1/ko
Publication of KR20140080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0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6Accessories, e.g. window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25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셸프카세트에 접속되는 복수의 케이블을 수용하는 여장처리함을 외부와 차폐시키기 위한 여장처리함을 구비한 통신케이블용 단자함으로서, 일정한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전면이 개구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복수의 케이블이 접속되는 셸프카세트와; 상기 케이블의 일부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외부로 노출되는 그 전면을 외부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전면에는 덮개부가 구비된 여장처리함을; 포함하는 여장처리함을 구비한 통신케이블용 단자함을 제시함으로써, 통신케이블용 단자함에 별도의 여장처리함을 구비하여 접속되는 케이블의 일부분을 여장처리함의 수용공간에 수용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이 가지런히 정리되도록 하여 케이블 정리 작업의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통신케이블용 단자함의 미관을 개선시키고 여장처리함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함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여장처리함을 구비한 통신케이블용 단자함{COMMUNICATING CABLE TERMINAL BOX HAVING ARRANGEMENT BOX}
본 발명은 통신케이블용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통신케이블용 단자함에 접속되는 케이블을 정리할 수 있는 여장처리함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함을 방지할 수 있는 여장처리함을 구비한 통신케이블용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통신케이블용 단자함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통신케이블용 단자함은 외관을 형성하며 일정한 내부공간이 구비된 본체(1)와, 본체(1)의 전면 주연부에 구비되며 복수의 관통공(2a)이 관통 형성되어 본체(1)를 별도의 랙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윙브라켓(2)과, 본체(1)의 내부공간에 마련되어 국선측 케이블과 가입자측 케이블을 배선하기 위한 복수의 셸프카세트(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윙브라켓(2) 전면의 중앙 영역에는 본체(1)를 운반하거나 혹은 이동시에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2b)가 구비되어 있다.
셸프카세트(3)는 국선측 케이블과 가입자측 케이블을 배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방에 복수의 커넥터가 설치된 국선용 셸프 및 가입자용 셸프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국선측 케이블의 단부는 국선용 셸프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커넥터의 일측에 연결되고, 가입자측 케이블의 단부는 가입자용 셸프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커넥터의 일측에 연결됨으로써 국선측과 가입자측이 상호 접속되도록 하여 가입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통신케이블용 단자함에 있어서는, 셸프카세트(3)와 결합되는 복수의 케이블이 외부로 그대로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미관상 보기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복수의 케이블들이 상호 얽히게 되므로 케이블을 셸프카세트(3)에 접속하거나 혹은 접속을 해지하는 작업시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작업이 용이하게 진행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통신케이블용 단자함에 별도의 여장처리함을 구비하여 접속되는 케이블의 일부분을 여장처리함의 수용공간에 수용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이 가지런히 정리되도록 하여 케이블 정리 작업의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통신케이블용 단자함의 미관을 개선시키고 여장처리함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함을 방지할 수 있는 여장처리함을 구비한 통신케이블용 단자함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한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전면이 개구 형성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복수의 케이블이 접속되는 셸프카세트(200)와; 상기 케이블의 일부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외부로 노출되는 그 전면을 외부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전면에는 덮개부(310)가 구비된 여장처리함(300)을; 포함하는 여장처리함을 구비한 통신케이블용 단자함을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여장처리함(300)은 상기 본체(100)의 저부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100)에 대하여 인입출 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여장처리함(300)의 전면은 상기 본체(100)의 전방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장처리함(300)의 전면에는 상기 케이블을 상기 여장처리함(300)에 수납시에 상기 케이블을 가이드하는 케이블 가이드부재(320)가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덮개부(310)는 상기 여장처리함(300)의 경사지게 형성된 전면을 덮는 전면커버(311)와, 상기 전면커버(311)의 단부에서 절곡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여장처리함(300)의 상면을 덮는 상면커버(3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커버(311)의 단부는 결합핀(330)에 의하여 상기 여장처리함(300)의 전면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덮개부(310)가 상기 여장처리함(300)에 덮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핀(330)에는 일측이 상기 덮개부(310)와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여장처리함(300)과 접촉되는 비틀림 스프링(34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장처리함(300)의 단부 상면에는 상기 여장처리함(300)이 상기 본체(100)에 인입되는 깊이를 구속할 수 그 높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구속부재(350)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00)의 하측 양단부에는 상기 구속부재(350)가 삽입되는 삽입홈(11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통신케이블용 단자함에 별도의 여장처리함을 구비하여 접속되는 케이블의 일부분을 여장처리함의 수용공간에 수용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이 가지런히 정리되도록 하여 케이블 정리 작업의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통신케이블용 단자함의 미관을 개선시키고 여장처리함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통신케이블용 단자함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장처리함을 구비한 통신케이블용 단자함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여장처리함에 설치된 덮개부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장처리함을 구비한 통신케이블용 단자함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여장처리함에 설치된 덮개부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여장처리함을 구비한 통신케이블용 단자함은, 일정한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전면이 개구 형성된 본체(100)와, 본체(10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복수의 케이블이 접속되는 셸프카세트(200)와, 상기 케이블의 일부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외부로 노출되는 그 전면을 외부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전면에는 덮개부(310)가 구비된 여장처리함(3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체(100)는 일정한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전면이 개구 형성된 육면체 형상의 부재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케이블용 단자함의 경우에는 별도의 랙에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상기 랙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바닥면은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여장처리함(300)이 본체(100)의 내부로 인입시에 여장처리함(300)에 형성된 구속부재(350)와 접촉되는 본체(100)의 하부 양측에는 구속부재(350)가 삽입되어 여장처리함(300)이 본체(100)의 내부로 인입되는 깊이를 제한하는 삽입홈(110)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10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셸프카세트(200)는 복수의 케이블이 접속됨으로써 국선측과 가입자측이 상호 접속되도록 하여 가입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신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장처리함(300)은 본체(100)의 저부면에 인입출 가능하게 구비되며, 셸프카세트(200)에 접속된 복수의 케이블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부재이다.
이러한 여장처리함(300)은 본체(100)의 저부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본체(100)에 인입되거나 본체(100)로부터 인출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케이블이 여장처리함(300)에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로 노출되는 여장처리함(300)의 전면은 본체(100)의 전방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100)의 전면 입구측에는 상기 케이블을 여장처리함(300)에 수납시에 상기 케이블을 가이드하는 케이블 가이드부재(320)가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케이블 가이드부재(320)가 경사지게 배치됨은 상기 케이블의 일부분을 여장처리함(300)에 수용시에 상기 케이블을 케이블 가이드부재(320)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홈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장처리함(300)의 양측 전면에는 여장처리함(300)을 본체(100)의 내부로 인입시에 여장처리함(300)이 인입되는 깊이를 구속할 수 있도록 본체(100)에 형성된 삽입홈(310)에 삽입되는 구속부재(350)가 여장처리함(3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여장처리함(300) 저부면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전면을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면의 중앙 영역에는 작업자의 손가락을 삽입하여 여장처리함(300)을 용이하게 본체(100)로부터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 삽입홈(120)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부(310)는 상기 여장처리함(300)의 경사지게 형성된 전면을 덮는 전면커버(311)와, 전면커버(311)의 단부에서 절곡되게 연장 형성되어 여장처리함(300)의 상면을 덮는 상면커버(3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면커버(311)는 여장처리함(300)의 전면을 외부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도록 전면과 대응되는 경사 각도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커버(312)는 여장처리함(300)의 상면을 외부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도록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부(310)의 전면커버(311) 단부는 결합핀(330)에 의하여 여장처리함(300)의 전면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덮개부(310)가 여장처리함(300)에 덮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결합핀(330)에는 일측이 덮개부(310)와 접촉되고 타단이 여장처리함(300)과 접촉되는 비틀림 스프링(34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임의로 덮개부(310)를 회동시키기 위하여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덮개부(310)는 항상 여장처리함(300)의 개구된 전면을 덮은 상태를 유지하므로 여장처리함(300)의 내부공간으로 먼지나 이물질이 침투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덮개부(310)의 구성은 여장처리함(300)이 본체(100)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하여 인입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여장처리함(300)에도 구비될 수 있으며, 본체(100)의 일측에 고정식으로 구비되는 여장처리함(300)에도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장처리함을 구비한 통신케이블용 단자함을 이용하여 케이블을 정리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본체(100)의 저부면에 인입출 가능하게 구비된 여장처리함(300)을 손잡이 삽입공(120)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본체(100)의 외부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인출시킨다.
그리고, 셸프카세트(200)의 복수의 개소에 접속된 복수의 케이블의 일부가 여장처리함(3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도록 하면서 덮개부(310)를 회동시켜 케이블 가이브부재(32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여장처리함(3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케이블을 하나씩 케이블 가이드부재(320)의 삽입홈에 삽입시켜 가지런히 정리한 후에 덮개부(310)에서 손을 떼면 덮개부(310)의 일측에 구비된 비틀림 스프링(340)의 탄성에 의하여 덮개부(310)가 원래 여장처리함(300)에 덮여 있던 상태로 복귀된다.
덮개부(310)의 복귀가 완료되면 여장처리함(300)을 본체(100)의 저부면 측으로 밀어서 여장처리함(300)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여 본체(100)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의 정리가 완료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상기 케이블이 가지런히 정리되도록 하여 케이블 정리 작업의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통신케이블용 단자함의 미관을 개선시킬 수 있고, 여장처리함(300)의 내부로 먼지나 이물질이 침투함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본체 110 : 구속부재
120 : 손가락 삽입공 200 : 셸프카세트
300 : 여장처리함 310 : 덮개부
311 : 전면커버 312 : 상면커버
320 : 케이블 가이드부재 330 : 결합핀
340 : 비틀림스프링

Claims (7)

  1. 일정한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전면이 개구 형성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복수의 케이블이 접속되는 셸프카세트(200)와;
    상기 케이블의 일부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외부로 노출되는 그 전면을 외부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전면에는 덮개부(310)가 구비되며, 상기 전면은 상기 본체(100)의 전방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여장처리함(300)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장처리함을 구비한 통신케이블용 단자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장처리함(300)은 상기 본체(100)의 저부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100)에 대하여 인입출 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장처리함을 구비한 통신케이블용 단자함.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장처리함(300)의 전면에는 상기 케이블을 상기 여장처리함(300)에 수납시에 상기 케이블을 가이드하는 케이블 가이드부재(320)가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장처리함을 구비한 통신케이블용 단자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310)는 상기 여장처리함(300)의 경사지게 형성된 전면을 덮는 전면커버(311)와, 상기 전면커버(311)의 단부에서 절곡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여장처리함(300)의 상면을 덮는 상면커버(31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장처리함을 구비한 통신케이블용 단자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311)의 단부는 결합핀(330)에 의하여 상기 여장처리함(300)의 전면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덮개부(310)가 상기 여장처리함(300)에 덮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핀(330)에는 일측이 상기 덮개부(310)와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여장처리함(300)과 접촉되는 비틀림 스프링(34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장처리함을 구비한 통신케이블용 단자함.
  7.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장처리함(300)의 단부 상면에는 상기 여장처리함(300)이 상기 본체(100)에 인입되는 깊이를 구속할 수 그 높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구속부재(350)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00)의 하측 양단부에는 상기 구속부재(350)가 삽입되는 삽입홈(1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장처리함을 구비한 통신케이블용 단자함.
KR1020120149601A 2012-12-20 2012-12-20 여장처리함을 구비한 통신케이블용 단자함 KR101460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601A KR101460288B1 (ko) 2012-12-20 2012-12-20 여장처리함을 구비한 통신케이블용 단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601A KR101460288B1 (ko) 2012-12-20 2012-12-20 여장처리함을 구비한 통신케이블용 단자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135A KR20140080135A (ko) 2014-06-30
KR101460288B1 true KR101460288B1 (ko) 2014-11-13

Family

ID=51130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9601A KR101460288B1 (ko) 2012-12-20 2012-12-20 여장처리함을 구비한 통신케이블용 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028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296Y1 (ko) 2000-12-22 2001-06-15 엘지전자주식회사 통신장비용 쉘프의 케이블 고정장치
KR20040102376A (ko) * 2003-05-27 2004-12-08 이정연 리본광섬유용 광분배함
KR100869875B1 (ko) 2007-04-06 2008-11-24 주식회사 케이티 셸프카세트 및 통신케이블용 단자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296Y1 (ko) 2000-12-22 2001-06-15 엘지전자주식회사 통신장비용 쉘프의 케이블 고정장치
KR20040102376A (ko) * 2003-05-27 2004-12-08 이정연 리본광섬유용 광분배함
KR100869875B1 (ko) 2007-04-06 2008-11-24 주식회사 케이티 셸프카세트 및 통신케이블용 단자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135A (ko) 201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21387U (ja) コネクタ及びガイド設置部材
US10608381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an assisting member for guiding
US9703062B2 (en) Aggregator for a switch rack system
US20100151732A1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US7534132B2 (en) Dustproof cover for electrical connector
TWI656537B (zh) 纜線背板系統之纜線組件
US20100227511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detachable cover
US20070111585A1 (en) Cable management device for use in connection with a power center, and cable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same
JPS60151984A (ja) シールドケーブル用コネクタ
GB2482404A (en) Wire cover for electrical connector
US20030194915A1 (en) Connector
KR101460288B1 (ko) 여장처리함을 구비한 통신케이블용 단자함
US10276975B1 (en) Electrical connector
US9929480B1 (en) Shielded keystone jack structure
KR101393383B1 (ko) 윙브라켓 보호구조
JP5583395B2 (ja) コンセントブロック
EP3214766A1 (en) Electric device
TWM560709U (zh) 電連接器及電連接器組合
KR101460274B1 (ko) 여장처리함을 구비한 통신케이블용 단자함
KR101460275B1 (ko) 여장처리함을 구비한 통신케이블용 단자함
US10168490B2 (en) Communication module
US20190208048A1 (en) Mobile telephone case with storage for auxiliary cable
KR200459492Y1 (ko) 케이블 트레이용 분기박스
KR100370614B1 (ko) 콘센트가 설치된 전선 정리함
CN209784590U (zh) 新型面板防尘门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