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4099B1 - 루프를 이용한 여장 광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함체 - Google Patents

루프를 이용한 여장 광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함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4099B1
KR102494099B1 KR1020220078971A KR20220078971A KR102494099B1 KR 102494099 B1 KR102494099 B1 KR 102494099B1 KR 1020220078971 A KR1020220078971 A KR 1020220078971A KR 20220078971 A KR20220078971 A KR 20220078971A KR 102494099 B1 KR102494099 B1 KR 102494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able
loop
storing
main body
en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8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장근
Original Assignee
(주)에프엠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프엠이엔지 filed Critical (주)에프엠이엔지
Priority to KR1020220078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40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57Bobbins; Re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루프를 이용한 여장 광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함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루프(갓머리)에 여장의 케이블을 수납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여장의 케이블을 수납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여장의 광케이블이 수납된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루프를 이용한 여장 광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함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갓머리를 이용한 여장 광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함체는 일정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전면에 도어가 구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루프; 및 상기 루프 내부에 설치되어 여장의 광케이블이 권취되어 수납되는 여장 트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루프를 이용한 여장 광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함체{ENCLOSURE FOR STORING WITH FIBER-OPTIC CABLE USING ROOF}
본 발명은 루프를 이용한 여장 광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함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루프(갓머리)에 여장의 케이블을 수납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여장의 케이블을 수납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여장의 광케이블이 수납된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루프를 이용한 여장 광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함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케이블 선로상에서 전화국으로부터의 휘더 광케이블과 가입자로의 분배광케이블의 효율적인 분배/절체를 위해 광 중간절체장치가 설치된다. 광 중간절체장치와 같은 광케이블 분배/절체 시스템으로는 광분배반, 광단자함 등이 있으며, 광섬유의 신속한 분배/절체를 위하여 광커넥터를 사용한다.
또한, 분배/절체 장치가 내장되는 외함의 내부에는 광케이블의 분배 및 절체를 위해서 인입 광섬유와 편단 광코드를 연결하고 접속지점과 광섬유를 보호하는 접속 트레이 등이 포함되게 된다.
광케이블 함체 여장판은 광 케이블간 연결 부위나 분기 위치를 다른 장소로 옮기게 되거나 하는 경우를 대비하고, 광 케이블의 시설 전, 후에 광섬유에 가해지는 여러 가지 요소에 의한 파손이나 접속불량, 또는 옮겨 설치하는 이설작업 및 함체를 교체하는 환체작업 등에 대비해 광 섬유를 일정길이 이상 여장할 수 있도록 규정하거나 설치를 권유하고 있다.
종래 광케이블의 여장을 확보하기 위해 여장의 광케이블을 소정의 길이로 권취하여 함체 내부에 수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광케이블을 유지 또는 보수하기 위해 수납된 여장의 광케이블을 모두 인출하고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을 수행한 후 다시 인출된 모든 여장의 광케이블을 함체 다시 수납하는 방식이어서 여장의 광케이블을 인출하여 식별하고, 다시 수납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여장의 광케이블을 처리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었으며, 그러한 기술 중의 하나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648096호에 통신장비를 위한 커버 개폐형 케이블 여장처리 구조가 개시되었다.
상기 기술은 케이블이 결합되는 복수의 통신모듈들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전면에 개구가 형성된 본체부를 포함하는 통신장비에 사용되는 케이블 여장처리모듈로서, 상기 개구의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통신모듈들에 결합되는 케이블을 가이드 하며, 상기 본체부의 수평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힌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은 본체부의 전면을 향하여 돌출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보빈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함체의 구조를 변경해야 함은 물론, 함체의 전면측으로 돌출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2078155호에 접속함체용 여장판이 개시되었다.
상기 기술은 함체 내부에 트레이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트레이 케이스에 광케이블을 여장할 수 있는 여장판으로서, 여장판이 적층되는 복수의 트레이를 구비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48096호(2016. 08. 08.) 등록특허공보 제10-2078155호(2020. 02. 11.)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함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루프(갓머리)를 이용하여 여장의 광케이블을 권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함체 내부에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광케이블을 여장할 수 있는 루프를 이용한 여장 광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함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여장 케이블의 수납이 쉽고 여장 케이블을 별도로 관리할 수 있으면서, 권취된 여장 광케이블의 확인이 쉬운 루프를 이용한 여장 광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함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갓머리를 이용한 여장 광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함체는 일정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전면에 도어가 구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루프; 및 상기 루프 내부에 설치되어 여장의 광케이블이 권취되어 수납되는 여장 트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루프의 상부에는 개방 가능한 덮개가 구성되고, 상기 덮개에는 잠금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장 트레이는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구역을 형성하는 측판; 상기 측판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광케이블이 인입되는 인입통공; 상기 인입통공에 설치되고 관통된 광케이블의 고정하는 스토퍼; 상기 측판의 내측에 구성되어 여장의 광케이블이 권취되는 보빈; 및 상기 측판의 내측에 설치되는 인출통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판의 상부측에는 패킹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함체의 전면측 도어를 개방하지 않아도 권취된 여장 광케이블의 확인이 가능하고, 여장 케이블의 증설, 교체 및 확인이 쉬운 장점이 있다.
또한, 함체를 변경하지 않아도 여장의 광케이블을 수납할 수 있고, 수납된 여장의 광케이블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루프를 이용한 여장 광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함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를 이용한 여장 광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함체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루프를 이용한 여장 광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함체에 적용된 루프의 덮개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측면도이며, 도 5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루프를 이용한 여장 광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함체에 적용된 여장 트레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갓머리를 이용한 여장 광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함체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동일한 기능을 하는 기술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반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효과적으로 보여주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루프를 이용한 여장 광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함체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를 이용한 여장 광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함체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루프를 이용한 여자 광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함체는 본체(10), 루프(갓머리, 20) 및 여장 트레이(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는 대략 육각형태로 구성되어 그 내측은 일정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전면에는 도어가 구성된다.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에는 복수의 통신모듈, 통신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파워모듈 및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거나 유입시키기 위한 팬모듈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파워모듈은 복수의 통신모듈, 팬모듈 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요구되는 전력에 따라서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며 본체의 최하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전면에는 미관형성 및 안정적인 공기 유동을 위하여 본체에 결합되는 공기유입구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루프(20)는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우수 등이 본체 내부로 유입되거나 태양광으로부터 발생된 열기가 본체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실내에 설치되는 함체에는 설치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루프를 이용한 여장 광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함체는 여장 광케이블을 수납하는 것에 목적이 있으므로, 실외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내에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상기 루프(20)에는 덮개(21)가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루프를 이용한 여장 광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함체에 적용된 루프의 덮개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측면도이며, 도 5는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루프(20)의 덮개(21)의 후단부는 힌지(도면부호 미표시)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덮개(21)는 개방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에서 상기 덮개(21)가 닫힌 상태에서 제3자 또는 임의의 외력에 의해 개방되지 못하도록 잠금모듈(22)이 설치된다.
도면에 도시된 상기 잠금모듈(22)은 적합한 열쇠의 삽입에 의해 회동되어 잠금편에 걸리거나 걸림해재되도록 하는 잠금쇠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설계조건에 따라서 본체(10) 내부에 배치되는 파워모듈을 이용하여 디지털 번호, 생체정보 등을 이용한 잠금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덮개(20)에 잠금모듈(22)이 구비됨으로써, 여장된 광케이블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여장 트레이(30)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여장 트레이(30)는 상기 루프(20) 내부에 설치되고, 광케이블을 유도하여 여장의 광케이블이 권취되어 수납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루프를 이용한 여장 광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함체에 적용된 여장 트레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된 여장 트레이(30)는 측판(31), 인입통공(32), 스토퍼(33), 보빈(34), 인출통공(35) 및 패킹(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측판(31)은 상기 루프(20)의 내부를 구획하여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소정의 높이를 갖는 판 형태의 패널 4개가 전후좌우로 입설된다.
도면에 도시된 상기 측판(31)은 직사각형 구조의 패널 4개가 서로 연결된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타원형 또는 원형 등 다양하게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
한편, 광케이블(FOC, FIBER-OPTIC CABLE)은 지중 또는 지상을 통해 본체(10) 내부로 안내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본체(10) 내부로 안내된 광케이블(FOC)는 루프(20)의 내측으로 유도되어 인입되고, 루프(20) 내부에 설치된 여장 트레이(30)에 권취되어 다시 본체(10) 내부로 안내되어 연결되게 된다.
상기 인입통공(32) 및 인출통공(35)은 광케이블(FOC)이 통과하는 통공으로써, 인입토공(32)은 본체(10)로 안내된 광케이블(FOC)을 상기 루프(20)의 여장 트레이(30)로 유입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측판(31)에 의해 구획된 영역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광케이블(FOC)이 인입되는 통공이다.
상기 인출통공(35)은 여장된 광케이블(FOC)을 본체(10) 내부로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측판(31)에 의해 구획된 영역의 내측에 설치되며, 장공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본체(10)로 안내되어 상기 인입통공(32)를 통해 측판(32)이 내측 영역으로 안내된 광케이블(FOC)은 본체(10)의 외부에서 당기는 인장력에 의해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입통공(32)에는 관통되어 안내된 광케이블(FOC)를 고정하는 스토퍼(33)가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33)는 조임유닛의 조임에 의해 통공 단면적이 좁아지게 되어 강케이블(FOC)를 물어 잡아 고정하게 된다.
보빈(34)는 상기 유입통공(32)으로 안내된 여장의 광케이블(FOC)이 권취되는 것으로서, 상기 측판(31)의 내측에 구성되어 여장의 광케이블이 권취되게 된다.
상기 보빈(34)는 광케이블(FOC)이 곡률손실이 발생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휘어질 수 있도록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고,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설계조건에 따라 2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보빈(34)은 권취된 광케이블(FOC)이 탈리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서, 덮개(21)를 닫게 되면, 측판(31)의 상부 선단과 상기 덮개(21)의 하부면 사이에 소정의 틈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틈을 통해 먼지 또는 습기 등이 측판(31)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고, 유입된 먼지 또는 습기에 의해 여장의 광케이블(FOC)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패킹(36)은 상기 측판(31)의 상부측에 끼워지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덮개(21)의 닫힘에 의해 상기 측판(31) 내부 영역을 밀폐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함체의 전면측 도어를 개방하지 않아도 권취된 여장 광케이블의 확인이 가능하고, 여장 케이블의 증설, 교체 및 확인이 쉬운 장점이 있다.
또한, 함체를 변경하지 않아도 여장의 광케이블을 수납할 수 있고, 수납된 여장의 광케이블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를 이용한 여자 광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함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 및 발명의 설명, 첨부한 도면의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한다.
10: 본체 11: 도어
20: 루프 21: 덮개
22: 잠금모듈 30: 여장 트레이
31: 측판 32: 인입통공
33: 스토퍼 34: 보빈
35: 인출통공 36: 패킹

Claims (5)

  1. 일정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전면에 도어가 구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루프; 및
    상기 루프 내부에 설치되어 여장의 광케이블이 권취되어 수납되는 여장 트레이;
    를 포함하고,
    상기 루프의 상부에는 개방 가능한 덮개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를 이용한 여장 광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함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에는 잠금모듈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를 이용한 여장 광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함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여장 트레이는,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구역을 형성하는 측판;
    상기 측판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광케이블이 인입되는 인입통공;
    상기 인입통공에 설치되고 관통된 광케이블의 고정하는 스토퍼;
    상기 측판의 내측에 구성되어 여장의 광케이블이 권취되는 보빈; 및
    상기 측판의 내측에 설치되는 인출통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를 이용한 여장 광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함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측판의 상부측에는 패킹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를 이용한 여장 광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함체.
KR1020220078971A 2022-06-28 2022-06-28 루프를 이용한 여장 광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함체 KR102494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971A KR102494099B1 (ko) 2022-06-28 2022-06-28 루프를 이용한 여장 광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함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971A KR102494099B1 (ko) 2022-06-28 2022-06-28 루프를 이용한 여장 광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함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4099B1 true KR102494099B1 (ko) 2023-02-06

Family

ID=85224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8971A KR102494099B1 (ko) 2022-06-28 2022-06-28 루프를 이용한 여장 광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함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409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0134A (ko) * 2004-06-28 2006-01-06 주식회사 에이엔티 광통신용 옥외함체의 도어형 보드케이스
KR200410218Y1 (ko) * 2005-12-15 2006-03-07 (주) 노브컴 광분배함
KR20110117639A (ko) * 2011-09-28 2011-10-27 양두영 이중바디형 커버가 구비된 옥외함체
KR20130017488A (ko) * 2011-08-11 2013-02-2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분배함
KR101648096B1 (ko) 2014-02-03 2016-08-12 (주)유비쿼스 통신장비를 위한 커버 개폐형 케이블 여장처리 구조
KR102078155B1 (ko) 2017-09-12 2020-02-17 윤병건 접속함체용 여장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0134A (ko) * 2004-06-28 2006-01-06 주식회사 에이엔티 광통신용 옥외함체의 도어형 보드케이스
KR200410218Y1 (ko) * 2005-12-15 2006-03-07 (주) 노브컴 광분배함
KR20130017488A (ko) * 2011-08-11 2013-02-2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분배함
KR20110117639A (ko) * 2011-09-28 2011-10-27 양두영 이중바디형 커버가 구비된 옥외함체
KR101648096B1 (ko) 2014-02-03 2016-08-12 (주)유비쿼스 통신장비를 위한 커버 개폐형 케이블 여장처리 구조
KR102078155B1 (ko) 2017-09-12 2020-02-17 윤병건 접속함체용 여장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4751B2 (en) High density panel with rotating tray
US6631237B2 (en) Termination and splice panel
US6944387B2 (en) Fiber optic connector tray system
US6360050B1 (en) High density fiber distribution tray system
US8144457B2 (en) Fiber containment system
US20190072736A1 (en) High density distribution frame with an integrated splicing compartment
EP3594729B1 (en) Fiber optic cabinet and cabinet lift
KR200426037Y1 (ko) 광케이블 단자함
KR102494099B1 (ko) 루프를 이용한 여장 광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함체
KR200405463Y1 (ko) 광분기함
US20130228368A1 (en) Wall box and wall mounted plate with integrated ducts
CN213069276U (zh) 一种大容量光纤配线架
KR20040102376A (ko) 리본광섬유용 광분배함
KR100760715B1 (ko) 지하용 광중간절체장치의 내부모듈
US20230072251A1 (en) Telecommunications enclosure
WO1999047960A1 (en) Optical fibre overlength storage
KR200363041Y1 (ko) 광통신용 옥외함체
KR200141917Y1 (ko) 통신장비의 광 케이블 저장함
KR20060000135A (ko) 광통신용 옥외함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