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7488A - 광분배함 - Google Patents

광분배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7488A
KR20130017488A KR1020110079935A KR20110079935A KR20130017488A KR 20130017488 A KR20130017488 A KR 20130017488A KR 1020110079935 A KR1020110079935 A KR 1020110079935A KR 20110079935 A KR20110079935 A KR 20110079935A KR 20130017488 A KR20130017488 A KR 20130017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able
fastening means
light distribu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9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7821B1 (ko
Inventor
김상엽
정협재
윤명륜
문태선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주식회사 씨티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주식회사 씨티네트웍스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9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7821B1/ko
Priority to US13/432,419 priority patent/US8774584B2/en
Publication of KR20130017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7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자의 작업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광분배함 내부에서의 케이블의 간편한 선정리가 가능하며, 광케이블 등에 인가되는 장력 또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는 광분배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분배함{FIBER DISTRIBUTION HOUSING}
본 발명은 FTTH(Fiber To The Home) 및 초고속 광정보통신을 위한 세대단자함용 광분배함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작업자의 작업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광분배함 내부에서의 케이블의 간편한 선정리가 가능하며, 광케이블 등에 인가되는 장력 또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는 광분배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분배함은 가입자 선로, 중앙국, 중계국 등에 설치되어, 다수의 시스템 또는 수요 세대와의 연결을 위하여 광케이블을 분배하는 역할 등을 수행한다.
이러한 광분배함은 광통신을 필요로 하는 세대수 또는 사무공간의 수에 대응하여 광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급자가 제공하는 광케이블이 각각의 건물로 인입되거나 각각의 수요처로 분배됨에 있어서 광분배함은 필수적으로 효율적인 분배능력을 가져야 한다.
광분배함의 효율적인 분배능력은 작업자의 광분배함의 케이블 연결작업의 효율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종래의 광분배함은 광분배함의 일부 면이 개방되며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과 외부에서 인입되는 광케이블과 외부로 분기되는 광케이블이 각각 연결되는 커넥팅 패널이 광분배함 내부에 고정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자는 케이블 연결작업 등을 수행하는 경우, 커넥팅 패널의 전면과 후면에 구비되는 각각의 케이블 연결 어뎁터에 각각 케이블을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커넥팅 패널 또는 하우징의 일부를 광분배함으로부터 분리하여 커넥팅 패널로 접근하도록 구성하거나, 커넥팅 패널이 광분배함에서 분리되지 않는 경우에는 하우징의 일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광분배함 내부공간으로 작업자가 접근하여 불편하게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각종 전장부품이 실장되는 광분배함의 내부공간에 커넥팅 패널이 힌지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광분배함에 장착되는 경우에도 커넥팅 패널 주변의 광케이블 등은 커넥팅 패널과 간섭이 발생되거나, 케이블 선정리 등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커넥팅 패널을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는 경우, 외부에서 인입된 광케이블 또는 분기된 케이블과 회전하는 커넥팅 패널과 간섭이 발생될 수 있으며, 간섭에 의하여 케이블 등에 손상이 가거나 장력 또는 스트레스로 인한 통신 장애가 발생될 수도 있으며, 커넥팅 패널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케이블 연결작업의 작업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작업자의 작업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광분배함 내부에서의 케이블의 간편한 선정리가 가능하며, 광케이블 등에 인가되는 장력 또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는 광분배함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수용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전면도어, 상기 하우징으로 인입된 피딩 케이블을 분기하는 스플리터 유닛, 전면과 후면에 복수 개의 커넥션 어뎁터가 구비되고 제1 위치와 제2 위치로 변위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커넥팅부, 상기 커넥팅부를 상기 하우징에 장착시키며, 상기 스플리터 유닛에서 분기된 분기 케이블이 관통되어 상기 커넥팅부의 커넥션 어뎁터 측으로 배치되게 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광분배함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플리터 유닛은 상기 하우징 내측 벽면에 장착되며,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스플리터 유닛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 벽면에 체결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를 관통하여 장착되는 중공 연결부재 및 상기 중공 연결부재 외주면을 지지하는 베어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기 케이블은 상기 중공 연결부재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넥팅부에 장착되며, 상기 베어링 부재가 안착되는 브라켓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 벽면 중 측면에 수평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팅부는 상기 커넥션 어뎁터가 전면과 후면에 구비되는 커넥팅 패널과 상기 커넥팅 패널이 장착되며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커넥팅 케비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팅 케비닛이 상기 체결수단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과 체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넥팅 케비닛의 전면 개방구의 면적이 후면 개방구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팅부는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제1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후면과의 이격거리는 30mm 이상 100mm 이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넥팅 케비닛의 내부 측벽면에 상기 분기 케이블이 권취되는 스풀이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풀은 상기 체결수단을 구성하는 중공 연결부와 상하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경사면를 갖는 탑커버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커버의 높이는 증가 후 감소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탑커버 내부에 보강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재는 상기 탑커버의 두께가 변화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외부에서 제공된 피딩 케이블을 분기하는 스플리터 유닛, 전면과 후면에 복수 개의 커넥션 어뎁터가 구비되는 커넥팅부 및 상기 커넥팅부를 상기 하우징에 변위 가능하도록 장착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광분배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플리터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 벽면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플리터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 벽면 중 천정에 설치된 마운터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운터는 상기 스플리터 유닛으로 연결되는 피딩 케이블 또는 상기 스플리터 유닛에서 분기된 분기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홀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팅부는 미리 결정된 제1 위치와 제2 위치로 변위 가능하도록 상기 체결수단을 매개로 상기 하우징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스플리터 유닛에서 분기된 분기 케이블이 관통하는 중공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분배함에 의하면, 광분배함의 하우징에 장착된 스플리터 유닛이 광분배함을 구성하는 하우징 내부에 고정되므로, 광분배함의 커넥팅 패널이 전개됨에 따라 스플리터 유닛으로 인입되는 피딩 케이블에 인가될 수 있는 장력 또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광분배함의 커넥팅 패널이 전개됨에 따라 스플리터 유닛에 장착되는 피딩 케이블에 인가되는 장력 또는 스트레스로 인한 통신장애가 모든 광통신 수요자에게 동시에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분배함에 의하면, 광분배함의 커넥팅 패널을 광분배함의 하우징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통해 스플리터 유닛에서 분기된 분기 케이블이 배치되므로, 분기 케이블과 회전 또는 변위되는 커넥팅 패널 간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분배함에 의하면, 광분배함의 커넥팅 패널을 광분배함의 하우징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통해 스플리터 유닛에서 분기된 분기 케이블이 배치되므로, 커넥팅 패널을 주변에서의 분기 케이블의 선정리가 용이하게 되어 작업자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분배함은 스플리터 모듈을 하우징에 고정하는 방법을 채용하여, 전개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커넥팅부의 무게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분배함의 전면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분배함의 전면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분배함의 커넥팅부가 전개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광분배함의 커넥팅부와 체결수단의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분배함을 상부에서 관찰한 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분배함을 측면에서 관찰한 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광분배함의 스플라이스 트레이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분배함(1000)의 전면도어(200)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분배함(1000)의 전면도어(200)가 개방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분배함의 커넥팅부가 전개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100), 상기 수용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전면도어(200), 외부에서 인입된 피딩 케이블을 분기하는 스플리터 유닛(300), 전면과 후면에 복수 개의 커넥션 어뎁터(420, 440)가 구비되고 제1 위치와 제2 위치로 변위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에 장착되는 커넥팅부(400), 상기 커넥팅부(400)를 상기 하우징(100)에 장착시키며, 상기 스플리터 유닛(300)에서 분기된 분기 케이블(SC)이 관통되어 상기 커넥팅부(400)의 커넥션 어뎁터(420, 440) 방향으로 배치되는 체결수단(500)을 포함하는 광분배함(1000)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분배함(1000)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 형태의 하우징(100)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100) 내부의 수용공간은 후술하는 커넥팅부(400)가 수용되는 공간이다. 상기 하우징(100)의 수용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전면도어(200)가 상기 하우징(100)에 힌지(도면부호 미도시)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면도어(200)와 하우징(100) 사이에 댐퍼(22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은 장착장소 등에서 장착을 위한 각각의 연결공간이 구비되는 장착부재(140)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재(140)는 상기 하우징(100)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구성으로 상기 하우징(100)에 체결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100)에는 외부에서 제공된 피딩 케이블(IC)을 분기하는 스플리터 유닛(3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플리터 유닛(300)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스플리터 유닛(300)은 적어도 1개 이상의 스플리터 모듈(320)과 상기 스플리터 모듈(320)이 나란히 장착될 수 있는 마운터(310)로 구성되며, 상기 마운터(31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 벽면에 고정될 수 있다.
만일 광분배함을 구성하는 커넥팅부의 상부 등에 스플리터 모듈을 장착하면 커넥팅부의 전체 무게를 증가시켜 하우징에 커넥팅부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에 물리적 부하를 주고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분배함은 스플리터 모듈을 하우징에 고정하는 방법을 채용하여, 전개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커넥팅부의 무게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스플리터 모듈을 전개 동작이 가능한 커넥팅부가 아닌 하우징의 내측 벽면에 고정하여 설치하면, 광분배함의 커넥팅 패널이 전개됨에 따라 스플리터 유닛으로 삽입되는 피딩 케이블에 인가될 수 있는 장력 또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광분배함의 커넥팅 패널이 전개됨에 따라 스플리터 유닛에 장착되는 피딩 케이블에 인가되는 장력 또는 스트레스로 인한 통신장애가 모든 광통신 수요자에게 동시에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즉, 특정 분기 케이블에 인가되는 장력 또는 스트레스는 특정 광통신 수요자만의 통신장애로 귀결될 수 있으나, 피딩 케이블 손상 등의 경우 전체 광통신 수요자의 통신장애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스플리터 모듈의 위치를 고정하는 방법을 채용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마운터(31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 벽면 중 천정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천정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상기 마운터(310)에 복수 개의 스플리터 모듈(320)이 나란히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마운터(310)에 장착되는 스플리터 모듈(320)의 개수는 가변될 수 있다. 즉, 피딩 케이블 또는 광통신 수요에 따라 그 수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각각의 스플리터 모듈(320)은 외부에서 제공된 광케이블에 포함된 피딩 케이블(IC)을 복수 개의 분기 케이블(SC)로 스플리팅한다.
스프리터 모듈(320)에 의하여 스플리팅된 분기 케이블(SC)은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된 커넥팅부(400)의 커넥션 어뎁터(420)에 장착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팅부(400)는 스플리터 유닛(300) 하부에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분배함(1000)의 커넥팅부(400)는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을 위하여 작업시 하우징(100)으로부터 전개되어 변위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비작업시에는 상기 커넥팅부(4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수용공간에 수납된 상태로 보관되며, 작업자의 케이블 연결 작업시에만 전개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100)의 수납공간 외부로 노출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상기 커넥팅부(400)는 커넥션 어뎁터(420, 440)이 전면과 후면에 구비되는 커넥팅 패널(410)과 상기 커넥팅 패널(410)이 장착되는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커넥팅 케비닛(450, 도 3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케비닛(450)은 상기 커넥팅 패널(410)이 안정적으로 장착되는 장착장소를 제공하며, 상기 커넥팅부(400)를 하우징(100)에 전개 또는 변위가능하도록 장착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체결수단(500)과 체결되기 위한 체결장소를 제공한다.
상기 체결수단(500)은 상기 커넥팅 패널(410)을 상기 하우징(100)에 변위 가능하도록 장착하여, 상기 커넥팅부(400)를 제1 위치(수용위치)와 제2 위치(전개위치)로 변위 또는 전개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에 체결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분배함(1000)은 작업자가 케이블 연결 작업 등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커넥팅부(400)를 상기 하우징(100) 내부의 수용공간으로부터 전개시켜 상기 커넥팅부(400)를 구성하는 커넥팅 패널(410)의 후면에 장착된 커넥팅 어뎁터(440)이 작업자 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도어(200)만 개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100)의 수용공간 내부에 상기 커넥팅부(400)가 수용된 상태로 커넥팅부(400)를 구성하는 커넥팅 패널(410)의 전면의 커넥션 어뎁터(420)에 케이블을 장착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팅부(400)를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전개시켜 커넥팅 패널(410)의 후면이 작업자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하여 작업자의 케이블 연결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커넥팅 패널(410)은 전면과 후면에 각각 커넥션 어뎁터(420, 440)가 구비되어, 상기 스플리터 유닛(300)에서 분배된 분기 케이블(SC)이 전면에 장착되고 후면에 각각의 분기 케이블(SC)과 후술하는 스플라이스 트레이(splice tray, 광접속 트레이)를 연결하는 연결 케이블(OC)이 장착된다.
도 3에 도시된 상기 커넥팅부(400)를 구성하는 커넥팅 케비닛(450) 하부에는 스플라이스 트레이(600)를 위한 수납공간(470)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넥팅 케비닛(450)의 상부공간은 상기 커넥팅 패널(410)이 설치되는 커넥팅 패널(410)의 설치공간(460)으로 사용되고 커넥팅 케비닛(450)의 하부공간은 스플라이스 트레이(600)를 위한 수납공간(470)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납공간(470)을 커넥팅 패널의 장착장소와 분리하여 작업자의 스플라이스 트레이를 통한 광접속 작업 시의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커넥팅부(400)는 커넥팅 패널(410)의 설치공간(460)과 상기 스플라이스 트레이의 수납공간(470)을 구획하기 위한 구획부재(4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재(480)는 상기 커넥팅 패널(410)의 하단에 수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재(480)는 상기 커넥팅 패널(410)과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구성되어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패널(410)은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며 파이프 형태의 상기 커넥팅 케비닛(450) 중심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획부재(480)는 상기 커넥팅 케비닛(450)의 하단부에 수평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팅 케비닛(450)의 내부 측면에 상기 분기 케이블(SC)이 권취되는 스풀(430)이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스풀(430)은 상기 체결수단(500)을 구성하는 중공 연결부재(510, 도 4 참조)와 상하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공 연결부재(510)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분기 케이블이 필요에 따라 상기 스풀(430)에 권취될 수 있으므로, 상기 커넥팅부(400) 내에서 선정리가 간편해질 수 있다.
상기 스플라이스 트레이(600)는 수평하게 복수 개가 적층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피딩 케이블의 스플라이싱을 위한 스플라이스 트레이(600a, 도 2 및 6 참조)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 벽면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피딩 케이블의 스플라이싱과 스플리팅을 위한 스플리터 유닛과 스플라이스 트레이는 하우징의 내측 벽면에 고정되고, 분기 케이블과 접속된 연결 케이블의 스플라이싱하기 위한 스플라이스 트레이는 상기 커넥팅부의 하부의 수납공간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스플라이스 트레이(600, 600a)는 직결식 광접속 커넥터로 대체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구획부재(480)는 평판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획부재(480)가 “ㄱ”자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커넥팅부(400)의 수납공간에 구비된 스플라이스 트레이(600)는 상기 커넥팅부(400)가 상기 하우징(100)의 수용공간에 수납된 경우 상기 구획부재(480)의 수직 부분에 의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커넥팅부(4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연결 작업시의 필요에 따라 하우징(100)의 수용공간에 수용되거나 수용공간 외부로 전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분배함(1000)은 상기 커넥팅부(400)를 상기 하우징(100)에 전개 가능하도록 장착하기 위한 체결수단(500)을 구비한다.
상기 체결수단(500)은 상기 커넥팅부(400)를 제1 위치(수용위치, 도 1 및 도 2 참조)와 제2 위치(전개위치, 도 3 참조)로 변위 또는 전개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100)에 체결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상기 체결수단(500)은 상기 커넥팅부(400)를 상기 하우징(100)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시킴과 동시에 상기 스플리터 유닛(300)에서 분기된 분기 케이블(SC)이 관통되어 상기 커넥팅 패널(410)의 커넥션 어뎁터(420, 440) 방향으로 배치하는 케이블 홀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체결수단(500)이 상기 스플리터 유닛(300)에 의하여 분기된 분기 케이블(SC)을 그 내부를 통해 관통시키는 이유는 상기 커넥팅부(400)가 상기 체결수단(500)에 의하여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전개되는 경우, 분기 케이블(SC)이 상기 커넥팅부(400)의 전개 또는 변위동작시 분기 케이블(SC)에 인가되는 장력 또는 스트레스 등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분배함(1000)의 스플리터 유닛(300)을 구성하는 스플리터 모듈(320)은 피딩 케이블(IC, 도 2 참조) 등에 인가되는 장력 또는 스트레스 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광분배함(1000)의 내측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고정되어 체결된다.
따라서, 고정된 스플리터 모듈(320)에서 분기된 분기 케이블(SC)은 커넥팅부(400)의 전개 또는 변위 과정에서 전개 또는 변위 동작에 의하여 배치 경로가 간섭될 수 있으며 스플리터 유닛(300)과 커넥팅 패널(410)의 연결 어뎁터 사이의 거리가 변화되어 이를 연결하는 분기 케이블(SC)에 가변적인 장력 또는 스트레스가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넥팅부(400)의 전개 또는 변위 여부와 무관하게 고정된 위치의 스플리터 모듈(320)과 커넥팅 패널(410)의 커넥션 어뎁터(420, 440)과의 거리의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분배함(1000)은 상기 커넥팅부(400)를 상기 하우징(100)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500)은 분기 케이블(SC)의 배치 경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5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이하 기술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광분배함(1000)의 커넥팅부(400)와 체결수단(500)의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수단(500)은 상기 스플리터 유닛(300)보다 낮은 위치, 즉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기 케이블(SC)이 스플리터 유닛(300)에서 커넥팅부(400)로 배치되는 배치경로 상에 배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수단(500)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 벽면에 체결되는 고정부재(520), 상기 고정부재(520)를 관통하여 장착되는 중공 연결부재(510) 및 상기 중공 연결부재(510) 외주면을 지지하는 베어링 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광분배함(1000)의 체결수단(500)은 상기 커넥팅부(400)에 장착되며, 상기 베어링 부재(530)가 안착되는 브라켓 부재(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부재(540)는 상기 커넥팅부(400)를 구성하는 커넥팅 케비닛(450)에 체결되어 장착되며, 상기 베어링 부재(530)를 안착시킨 상태로 수용하고, 상기 중공 연결부재(510)의 외주면은 상기 베어링 부재의 내측면(532)에 의하여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넥팅부(400)를 구성하는 커넥팅 케비닛(450)은 전개동작시 상기 베어링 부재(530)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재(520)에 장착된 중공 연결부재(510)와 마찰을 최소화하며 부드럽게 전개될 수 있으며, 상기 중공 연결부재(510)의 중공부(512)는 상기 분기 케이블의 배치경로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플리터 모듈(320)에서 분기된 분기 케이블(SC)은 상기 중공 관통부재의 중공부(512)를 관통하는 내측 경로를 통과하여 상기 커넥팅부(400)를 구성하는 커넥팅 패널(410)의 커넥션 어뎁터(420) 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공 연결부재(510)는 상기 베어링 부재(530) 등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상기 커넥팅부(400)는 필요시 부드럽게 전개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상기 체결수단(500)은 상기 커넥팅부(400)를 상기 하우징(100)으로부터 전개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에 장착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100) 내부 고정된 위치에 구비된 상기 스플리터 모듈(320)에서 분기된 분기 케이블(SC)이 배치되는 배치경로로 사용되어 분기 케이블(SC) 등에 인가될 수 있는 장력 또는 스트레스 등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광분배함(1000) 내부의 케이블 정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수단(500)은 상기 커넥션 케비닛(450)의 하부를 하우징의 하면과 마찰력을 최소화하며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560)와 상기 지지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57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는 상기 커넥팅 케비닛(450)의 전개동작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100b, 도 6 참조)이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체결수단(500)의 구성은 상기 커넥팅부를 전개 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구성의 하나의 예이며, 분기 케이블이 내부를 관통하며 배치되며 커넥팅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다면 다양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 해석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분배함(1000)을 상부에서 관찰한 투시도이며,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광분배함(1000)을 측면에서 관찰한 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분배함(1000)은 하우징(100)의 수용공간으로부터 전개가능한 커넥팅부(40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커넥팅부(400)는 전면과 후면에 연결 어뎁터가 구비된 커넥팅 패널(410)과 상기 커넥팅 패널(410)이 장착되는 커넥팅 케비닛(4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커넥팅부(400)는 광분배함(1000)을 구성하는 하우징(100)의 수용공간에 수용되거나, 상기 하우징(100) 외부로 전개될 수 있다.
상기 커넥팅부(400)는 복수 개의 커넥션 어뎁터(420, 440)이 전면과 후면에 구비되고, 각각 분기 케이블(SC)과 연결 케이블(OC)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 등에 의하여 케이블 등의 연결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특히 광분배함(1000)은 공공장소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광분배함(1000)의 하우징(100) 등에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광분배함(1000)의 하우징(100)이 흡수하거나 차단하지 못하고 손상되는 경우, 손상된 하우징(100)에 의하여 광분배함(1000)의 커넥팅부(400)에 직접 타격된다면, 커넥팅부(400)의 커넥팅 어뎁터에 연결된 각각의 수요자의 광통신에 장애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분배함(1000)의 하우징(100)이 어느 정도 파손되어 손상되어도 상기 커넥팅부(40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설계상의 고려가 필요하다.
상기 커넥팅부(400)를 구성하는 커넥팅 패널(410)은 상기 커넥팅 케비닛(450) 깊숙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인가되는 충격 등에 의하여 손상된 전면도어(200)에 의하여 커넥팅부(400)에 충격이 전달될 가능성은 낮다.
그러나, 상기 커넥팅부(400)가 상기 하우징(100)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하우징(100)의 후면에 가해지는 충격은 상기 하우징(100)의 후면을 손상시킬 수 있으며, 손상된 하우징(100)의 후면은 상기 커넥팅부(400)를 타격하거나 손상시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분배함(1000)은 광분배함(1000)을 구성하는 하우징(100)의 후면과 수납된 커넥팅부(400) 사이의 이격거리(D)를 실험적으로 30mm 이상이 되도록 설계하였다.
아래의 표 1은 광분배함(1000)을 구성하는 금속 재질의 하우징(100)의 두께와 외부 충격시 하우징(100) 후면의 변형량을 표시한다.
하우징이 손상될 수 있는 미리 결정된 크기의 충분한 충격이 인가되는 경우, 하우징(100)의 후면의 변형량은 두께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하우징(100)의 두께를 충분히 두껍게 하면 이격거리(D)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원가 또는 제품의 무게 등을 고려하는 경우 대략 3.5mm 이상의 두께를 갖는 하우징(100)을 사용하는 것은 어려움이 많다.
광분배함의 하우징(100)의 두께를 현실적인 최대 두께인 3.5mm로 하는 경우, 그 하우징 후면의 변형거리는 약 30mm인 것으로 관찰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광분배함(1000)의 커넥팅부(400)와 하우징(100) 후면 간의 이격거리는 30mm 이상이 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분배함(1000)의 최소 요구되는 강성 등을 고려하는 경우, 최소한의 하우징(100)의 두께는 요구되고, 광분배함(1000)의 전체 두께가 지나치게 증가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상기 이격거리(D)는 100mm는 넘지 않도록 설계한다.

광분배함 하우징 후면 두께(mm)

광분배함 하우징 후면변형량(mm)

2

45

3

35

3.5

30
그리고, 상기 커넥팅부(400)를 구성하는 상기 커넥팅 케비닛(450)의 폭(W)은 전방 폭(W1)이 후방 폭(W2)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팅부(400)를 전개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에 체결하는 체결수단(500)은 상기 커넥팅부(400)의 좌측 전방에 체결되므로 커넥팅부(400)의 전개시 커넥팅부(400)의 후방 모서리가 하우징(100)의 내측면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상면에 경사면를 갖는 탑커버(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탑커버(120)는 빗물 등에 쉽게 노출되므로 내부식성 등을 위하여 광분배함(1000)의 하우징(100)과 이종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탑커버(120)는 일정한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분배함(1000)은 야외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빗물 등 하우징(100) 상면에 고이거나 머물지 못하도록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사면은 가변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을 가변시키는 방법은 상기 탑커버(120)의 높이를 증가 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탑커버(120)는 5도 내지 30도 정도의 기울기를 갖을 수 있다.
상기 탑커버(120)를 이종재질로 구성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커버(120)에 경사면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탑커버(120) 내부에는 잉여공간이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잉여공간 내부에 보강재(128)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재(128)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커버(120)의 높이가 변화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 또는 탑커버(120)에 광분배함의 설치시 광분배함 등을 운반 등이 용이하도록 운반용 고리(125)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광분배함(1000)의 스플리터 유닛(300)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 벽면 중 천정에 설치된 마운터(31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마운터(310)는 상기 스플리터 유닛(300)으로 연결되는 피딩 케이블 또는 상기 스플리터 유닛(300)에서 분기된 분기 케이블(SC)을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홀더(330, 3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홀더는 케이블이 다발로 안착되는 프레임 홀더(330)와 링 홀더(3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플리터 유닛(300)에서 분기된 케이블(SC, 도 2 참조) 또는 분기될 케이블(IC, 도 2 참조)이 선택적으로 홀딩될 수 있다.
상기 스플리터 유닛(300)을 구성하는 스플리터 모듈(320)은 분기될 케이블과 분기된 케이블이 연결되는 위치가 동일 면이거나 대향하는 면일 수도 있다. 상기 스플리터 유닛(300)을 구성하는 스플리터 모듈(320)은 분기될 케이블과 분기된 케이블이 연결되는 위치가 동일 면인 경우에도 분기될 케이블 및 분기된 케이블을 별도로 홀딩하여 정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분배함은 피딩 케이블과 분기 케이블 등을 스플라이싱하기 위한 각각의 스플라이스 트레이를 구비할 수 있다.
피딩 케이블을 스플라이싱하기 위한 스플라이스 트레이(600a)는 하우징의 벽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분기된 분기 케이블 또는 연결 케이블 등을 스플라이싱하기 위한 스플라이스 트레이(600b)는 상기 커넥팅부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분기된 분기 케이블 또는 연결 케이블 등을 스플라이싱하기 위한 스플라이스 트레이(600b)는 상기 커넥팅부의 전개 동작시 함께 전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광분배함(1000)의 커넥팅부에 장착된 스플라이스 트레이(600b)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팅 케비닛(450)의 상부공간은 상기 커넥팅 패널(410)이 설치되는 커넥팅 패널(410)의 설치공간으로 사용되고 커넥팅 케비닛(450)의 하부공간은 스플라이스 트레이(600b)를 위한 수납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플라이스 트레이(600b)가 수납된 수납공간의 하면부재(700)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하여 상기 스플라이스 트레이(600b)의 연결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광접속 작업 등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수납공간의 하면부재(700)는 그 하부에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미도시) 등을 따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인출되어 케이블 연결작업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0 : 광분배함
100 : 하우징
200 : 전면도어
300 : 스플리터 유닛
400 : 커넥팅부
500 : 체결수단

Claims (23)

  1.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으로 인입된 피딩 케이블을 분기하는 스플리터 유닛;
    전면과 후면에 복수 개의 커넥션 어뎁터가 구비되고 제1 위치와 제2 위치로 변위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커넥팅부;
    상기 커넥팅부를 상기 하우징에 장착시키며, 상기 스플리터 유닛에서 분기된 분기 케이블이 관통되어 상기 커넥팅부의 커넥션 어뎁터 측으로 배치되게 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광분배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리터 유닛은 상기 하우징 내측 벽면에 장착되며,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스플리터 유닛 하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분배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 벽면에 체결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를 관통하여 장착되는 중공 연결부재 및 상기 중공 연결부재 외주면을 지지하는 베어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분배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 케이블은 상기 중공 연결부재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분배함.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부에 장착되며, 상기 베어링 부재가 안착되는 브라켓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분배함.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 벽면 중 측면에 수평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분배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부는 상기 커넥션 어뎁터가 전면과 후면에 구비되는 커넥팅 패널과 상기 커넥팅 패널이 장착되며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커넥팅 케비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분배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케비닛이 상기 체결수단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분배함.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케비닛의 전면 개방구의 면적이 후면 개방구의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분배함.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부는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제1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후면과의 이격거리는 30mm 이상 100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분배함.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케비닛의 내부 측벽면에 상기 분기 케이블이 권취되는 스풀이 복수 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분배함.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은 상기 체결수단을 구성하는 중공 연결부재와 상하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분배함.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경사면를 갖는 탑커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분배함.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탑커버의 높이는 증가 후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분배함.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탑커버 내부에 보강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분배함.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탑커버의 높이가 변화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분배함.
  17. 전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피딩 케이블을 분기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스플리터 모듈;
    전면과 후면에 복수 개의 커넥션 어뎁터가 구비되는 커넥팅부; 및,
    상기 커넥팅부를 상기 하우징에 변위 가능하도록 장착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광분배함.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리터 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 벽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분배함.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리터 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 벽면 중 천정에 설치된 마운터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분배함.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터는 상기 스플리터 모듈에 연결되는 피딩 케이블 또는 상기 스플리터 유닛에서 분기된 분기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홀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분배함.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부는 미리 결정된 제1 위치와 제2 위치로 변위 가능하도록 상기 체결수단을 매개로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분배함.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스플리터 모듈에서 분기된 분기 케이블이 관통하는 중공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분배함.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부는 상기 커넥션 어뎁터가 전면과 후면에 구비되는 커넥팅 패널과 상기 커넥팅 패널이 장착되며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커넥팅 케비닛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팅 케비닛의 상부에는 상기 커넥팅 패널이 설치되는 설치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커넥팅 케비닛의 하부에는 상기 스플라이스 트레이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분배함.
KR1020110079935A 2011-08-11 2011-08-11 광분배함 KR101897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935A KR101897821B1 (ko) 2011-08-11 2011-08-11 광분배함
US13/432,419 US8774584B2 (en) 2011-08-11 2012-03-28 Fiber distribution hous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935A KR101897821B1 (ko) 2011-08-11 2011-08-11 광분배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488A true KR20130017488A (ko) 2013-02-20
KR101897821B1 KR101897821B1 (ko) 2018-09-13

Family

ID=47677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9935A KR101897821B1 (ko) 2011-08-11 2011-08-11 광분배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774584B2 (ko)
KR (1) KR1018978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4099B1 (ko) * 2022-06-28 2023-02-06 (주)에프엠이엔지 루프를 이용한 여장 광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함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35975B2 (en) 2013-03-15 2016-09-06 Commscope Technologies Llc Modular high density telecommunications frame and chassis system
US20180031788A1 (en) * 2016-07-29 2018-02-01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Sealed fiber optic/electrical distribution device
CN106532483A (zh) * 2016-08-05 2017-03-22 杭州鸿雁智能科技有限公司 智能信息箱
USD835040S1 (en) 2016-09-09 2018-12-04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1×4 distribution point unit
CN107121741B (zh) * 2017-05-10 2019-08-20 国网浙江省电力公司丽水供电公司 一种内置odf的转接结构
CN107121740B (zh) * 2017-05-10 2019-08-20 国网浙江省电力公司丽水供电公司 一种光纤配线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4888A (en) * 1987-04-13 1989-09-1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Robot articulation joint
US20080079341A1 (en) * 2006-10-02 2008-04-03 Steve Anderson Fiber Distribution Hub with Dual Swing Frames
US20090305538A1 (en) * 2005-09-08 2009-12-10 Panduit Corp. Wall Mounted Enclosure with Rotating Patch Panel Frame
US20100290753A1 (en) * 2007-10-22 2010-11-18 Adc Telecommunications, Inc. Fiber distribution hub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5710A (en) * 1985-07-30 1988-08-23 Siemens Aktiengesellschaft Distributing frame for optical waveguides and the like
JPH06508448A (ja) * 1991-06-18 1994-09-22 ブリテイッシュ・テレ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パブリック・リミテッド・カンパニー 光ファイバー接続装置
US5274731A (en) * 1992-12-24 1993-12-28 Adc Telecommunications, Inc. Optical fiber cabinet
GB2282457B (en) * 1993-09-29 1996-10-02 Pirelli General Plc An assembly for use in connecting optical fibres
US6837007B2 (en) * 2001-01-12 2005-01-04 Rubbermaid Inc. Roof support with integral gutter
FR2832225B1 (fr) * 2001-11-13 2004-08-27 Nexans Repartiteur optique a haute densite et procede pour le jarretierage d'un tel repartiteur
US6995813B2 (en) * 2003-08-18 2006-02-07 Transpacific System Co., Ltd. Rotating and reversing mechanism for LCD display
CA2490102C (en) * 2004-12-13 2013-08-13 Pii (Canada) Limited Hollow universal joint
US7773850B2 (en) * 2006-03-13 2010-08-10 Panduit Corp. Cable slack manager
US8068715B2 (en) * 2007-10-15 2011-11-29 Telescent Inc. Scalable and modular automated fiber optic cross-connect systems
US7751672B2 (en) * 2007-10-31 2010-07-06 Adc Telecommunications, Inc. Low profile fiber distribution hub
US7889961B2 (en) * 2008-03-27 2011-02-15 Corning Cable Systems Llc Compact, high-density adapter module, housing assembly and frame assembly for optical fiber telecommunications
US7756380B2 (en) * 2008-07-31 2010-07-13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Hinged cable guide panel providing access to panel rea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4888A (en) * 1987-04-13 1989-09-1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Robot articulation joint
US20090305538A1 (en) * 2005-09-08 2009-12-10 Panduit Corp. Wall Mounted Enclosure with Rotating Patch Panel Frame
US20080079341A1 (en) * 2006-10-02 2008-04-03 Steve Anderson Fiber Distribution Hub with Dual Swing Frames
US20100290753A1 (en) * 2007-10-22 2010-11-18 Adc Telecommunications, Inc. Fiber distribution hub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4099B1 (ko) * 2022-06-28 2023-02-06 (주)에프엠이엔지 루프를 이용한 여장 광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함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74584B2 (en) 2014-07-08
US20130039628A1 (en) 2013-02-14
KR101897821B1 (ko) 2018-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17488A (ko) 광분배함
RU2577086C2 (ru) Органайзер для оптоволокна и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ая коробка
US8472775B2 (en) Enclosure for telecommunications cables, with removable organizer
US20190302387A1 (en) Telecommunications assembly
US10895695B2 (en) Enclosure for splicing of optical fibers
US7964793B2 (en) Fiber distribution hub with dual swing frames
US7986864B2 (en) Modular cable head for optical networks
JP3176906B2 (ja) 光配線盤
US20110052133A1 (en) Fiber organizer tray and telecommunications enclosure
US20060193588A1 (en) Fiber access terminal
US9995900B2 (en) Stacked optical fiber storage compartment
MX2013011556A (es) Separador de interfaz de cable de fibra óptica.
CN102792204A (zh) 具有可取出的光纤管理托盘的终端箱
US20200233168A1 (en) Fiber optic management device
US10502914B2 (en) Stackable telecommunication cabinet construction
JP2003215352A (ja) 光配線盤及び光接続ユニット
KR101848932B1 (ko) 스플리터 모듈
EP4365655A1 (en) Fiber-optic apparatus
CN215867246U (zh) 光缆分纤箱
JP2006113380A (ja) 光配線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