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8096B1 - 통신장비를 위한 커버 개폐형 케이블 여장처리 구조 - Google Patents

통신장비를 위한 커버 개폐형 케이블 여장처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8096B1
KR101648096B1 KR1020140012185A KR20140012185A KR101648096B1 KR 101648096 B1 KR101648096 B1 KR 101648096B1 KR 1020140012185 A KR1020140012185 A KR 1020140012185A KR 20140012185 A KR20140012185 A KR 20140012185A KR 101648096 B1 KR101648096 B1 KR 101648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able
cover
front surfac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2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1675A (ko
Inventor
변광수
Original Assignee
(주)유비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비쿼스 filed Critical (주)유비쿼스
Priority to KR1020140012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096B1/ko
Publication of KR20150091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1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Bundling And Securing Of Wires For Electric Apparatuses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이 연결되는 복수의 통신모듈이 설치되는 케이블 여장처리 및 그를 가지는 통신장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블(10)이 결합되는 복수의 통신모듈(20)들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전면에 개구(110)가 형성된 본체부(100)를 포함하는 통신장비에 사용되는 케이블 여장처리모듈로서, 상기 개구(110)의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통신모듈(20)들에 결합되는 케이블(10)을 가이드 하며 상기 본체부(100)의 수평방향을 회전축(311)으로 하여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에 힌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가이드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여장처리모듈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통신장비를 위한 커버 개폐형 케이블 여장처리 구조 {Cable management having cover opening and closing for communication equipment}
본 발명은 통신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이 연결되는 복수의 통신모듈이 설치되는 케이블 여장처리 및 그를 가지는 통신장비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케이블TV, IPTV, 키폰, 휴대폰 등 유무선 통신은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그 수요 또한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통신환경의 발전 및 수요증가에 따라서 유무선 통신사업자는 물론, 아파트, 기지국, 회사 등에서의 보다 안정적인 통신환경이 구축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유무선 통신사업자, 아파트, 기지국, 회사 등은 안정된 통신환경의 구축을 위하여 라우터, 스위치 등의 통신모듈을 통신장비에 설치하여 통합 관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통신장비에 설치되는 통신모듈에는 UTP선, 광케이블 등의 통신 케이블이 결합된다.
그런데 통신장비에 설치되는 통신모듈의 수가 증가하면서 케이블의 수 또한 증가하고 이에 따라서 통신모듈에 결합되는 케이블이 원활하게 정리되지 않는 경우 미관을 해치며, 광케이블의 경우 과도한 휨에 의하여 파손될 수 있으며, 통신장비에 설치된 모듈들의 유지보수시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LG 유플러스, KT, SK와 같은 유무선 통신사업자는 통신서버 단에 각 기지국 등과의 연결 및 분배를 위한 다수의 통신모듈들이 설치되며 이러한 통신모듈들은 UTP선, 광케이블과 같은 다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바 이러한 다수의 케이블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통신장비에 설치된 통신모듈에 결합되는 케이블을 효율적으로 정리할 수 있는 케이블 여장처리모듈 및 그를 가지는 통신장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신장비에 설치된 통신모듈에 결합되는 케이블을 효율적으로 정리할 수 있는 케이블 여장처리모듈이 통신장비의 타구성과의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설치된 케이블 여장처리모듈 및 그를 가지는 통신장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케이블(10)이 결합되는 복수의 통신모듈(20)들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전면에 개구(110)가 형성된 본체부(100)를 포함하는 통신장비에 사용되는 케이블 여장처리모듈로서, 상기 개구(110)의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통신모듈(20)들에 결합되는 케이블(10)을 가이드 하며 상기 본체부(100)의 수평방향을 회전축(311)으로 하여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에 힌지 결합되는 커버(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여장처리모듈(200)을 개시한다.
상기 커버(210)는, 제1위치(P1)에서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의 일부를 복개하고, 상기 보조모듈을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00)의 복개부분을 개방하도록 제2위치(P2)로 힌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커버(210)와 힌지 결합되는 베이스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210)는, 케이블(10)의 지지를 위한 하나 이상의 보빈(29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210)는, 상기 본체부(100)의 전방에서 보았을 때 측면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케이블(10)이 결합되는 복수의 통신모듈(20)들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전면에 개구(110)가 형성된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케이블 여장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비를 개시한다.
상기 개구(110)의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적어도 하나의 보조모듈이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며, 상기 커버(210)는, 제1위치(P1) 및 제2위치(P2) 사이에서 힌지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보조모듈은, 상기 커버(210)가 상기 제1위치(P1)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커버(210)에 의하여 전방에서 복개되며 상기 커버(210)가 상기 제2위치(P2)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조모듈은, 상기 복수의 통신모듈(20)들 사이로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팬 트레이(410) 및 필터 트레이(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여장처리모듈(200)은,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되어 상기 보조모듈이 설치된 전방 쪽으로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하우징(130)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210)는,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하우징(130)의 개방부분을 복개할 수 있다.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커버(210)에 의하여 복개되는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에는 케이블(10)의 지지를 위한 하나 이상의 보빈(290)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여장처리모듈 및 그를 가지는 통신장비는, 케이블이 결합되는 복수의 통신모듈들이 설치되도록 개구가 형성된 본체부의 상측 및 하측 중 어느 하나에 케이블의 가이드를 위한 케이블 여장처리모듈이 본체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케이블을 효율적으로 정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여장처리모듈 및 그를 가지는 통신장비는, 제1위치에서 보조모듈이 설치된 본체부의 전면을 복개하고, 보조모듈을 인출할 수 있도록 본체부의 전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제2위치로 힌지 회전되는 커버를 포함함으로써 케이블 여장처리모듈의 설치에 따른 타 구성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팬 트레이, 필터 트레이와 같은 보조모듈이 커버의 부근에 설치, 특히 커버가 제1위치(P1)에 위치되었을 때 보조모듈이 복개되도록 하고, 보조모듈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본체부로부터 분리할 때 커버를 보조모듈을 수평방향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제2위치(P2)로 이동시킴으로써 케이블 여장처리모듈의 설치에 따른 타 구성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케이블 여장처리모듈을 구성하는 커버에 케이블의 지지를 위한 보빈이 설치됨으로써 케이블의 정리가 보다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장비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통신장비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통신장비에서 케이블가이드부의 이동과정을 보여주는 일부 측면도들로서, 도 3은 케이블가이드부의 결합부가 제1위치(P1)에 위치되었을 때를 보여주는 일부 측면도, 도 4는 케이블가이드부의 결합부가 제2위치(P2)에 위치되었을 때를 보여주는 일부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여장처리모듈 및 그를 가지는 통신장비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장비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10)이 결합되는 복수의 통신모듈(20)들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전면에 개구(110)가 형성된 본체부(100)와; 본체부(10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통신모듈(20)에 결합되는 케이블(10)을 가이드 하는 케이블 여장처리모듈(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모듈(20)은, 케이블(10)이 결합되는 통신모듈로서, 네트워크, 케이블TV, IPTV 등의 네트워크 통신망 구축을 위한 통신모듈, 특히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인 코어 라우터들로서, 라우터, 스위치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모듈(20)에 결합되는 케이블(10)은, UTP선, 광케이블 등 통신에 사용되는 통신 케이블은 모두 가능하다.
상기 본체부(100)는, 케이블(10)이 결합되는 복수의 통신모듈(20)들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전면에 개구(110)가 형성되며, 프레임 및 플레이트 등에 의하여 구성되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일예로서, 상기 본체부(100)는, 전체 형상이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전면에 직사각형의 개구(11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110)는, 복수의 통신모듈(20)들이 수직으로 결합, 즉 복수의 통신모듈(20)들의 양끝단이 각각 본체부(100)의 상측 및 하측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개구(110)의 주변에는 각 통신모듈(20)의 탈착을 위한 이젝터(미도시)가 설치되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본체부(100)는, 개구(100)를 중심으로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복수의 통신모듈(20)들 주변에서의 공기유동 형성을 위한 하나 이상의 팬 트레이(410),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필터 트레이(420) 등의 보조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통신모듈(20), 팬 트레이(4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파워박스(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파워박스는, 복수의 통신모듈(20), 팬 트레이(410) 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요구되는 전력에 따라서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며 본체부(100)의 최하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전면에는 미관형성 및 안정적 공기유동 형성을 위하여 본체부(100)에 결합되는 공기유입구(14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여장처리모듈(200)은, 본체부(10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통신모듈(20)에 결합되는 케이블(10)을 가이드 하는 모듈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일예로서, 상기 케이블 여장처리모듈(20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 개구(110)의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어 통신모듈(20)들에 결합되는 케이블(10)을 가이드 하며 본체부(100)의 수평방향을 회전축(311)으로 하여 본체부(100)의 전면에 힌지 결합되는 커버(2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21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위치(P1)에서 본체부(100)의 전면을 복개하고, 본체부(100)의 복개부분을 개방할 수 있도록 제2위치(P2)로 힌지 회전되는 커버(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210)는, 본체부(100)의 전면에 대하여 흰 지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제1위치에서 본체부(100)의 전면을 복개하고 있다가 제2위치로 회전됨으로써 본체부(100)의 전면 중 복개된 부분을 개방함에 특징이 있다.
특히 상기 커버(210)는, 보조모듈이 설치된 부분을 복개하고 있다가 보조모듈의 인출이 필요한 경우 힌지 회전에 의하여 이 부분을 개방하도록 회전됨으로써 사용의 편리를 도모할 수 있다.
즉, 상기 개구(110)의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적어도 하나의 보조모듈이 본체부(10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커버(210)는, 제1위치(P1) 및 제2위치(P2) 사이에서 힌지 회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보조모듈은, 커버(210)가 제1위치(P1)에 위치되었을 때 커버(210)에 의하여 전방에서 복개되며 커버(210)가 상기 제2위치(P2)에 위치되었을 때 본체부(100)의 전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모듈은, 본체부(100) 내에 설치되는 모듈로서 복수의 통신모듈(20)들 사이로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팬 트레이,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 트레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보조모듈이, 커버(210)가 제1위치(P1)에 위치되었을 때 커버(210)에 의하여 전방에서 복개되며 커버(210)가 제2위치(P2)에 위치되었을 때 본체부(100)의 전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 통신장비의 높이를 낮추어 보다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커버(210)는 보빈(290) 등의 설치에 의하여 케이블(10)의 가이드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커버(210)의 회전에 의하여 케이블(10)도 함께 이동됨으로써 보조모듈의 인출시 케이블(10)과의 간섭이 없어 보조모듈의 인출이 용이하며 보조모듈과의 간섭에 의한 케이블(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모듈은 개구(110)를 중심으로 상측 및 하측 모두, 상측에만 또는 하측에만 설치되는 등 통신장비의 구조에 따라서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모듈에 대응되어 케이블 여장처리모듈(200)은 보조모듈 전체에 대응되거나 하나에만 대응되어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커버(210)는, 본체부(100)의 전면을 복개한 상태, 즉 제1위치(P1)에 위치되었을 때 복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록킹상태를 유지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록킹상태가 해제되어 제2위치(P2)로 회전되도록 하는 록킹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록킹부는, 복개상태의 유지 및 해제가 가능한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며 도어의 잠금 및 해제 등에 사용되는 잠금장치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커버(210)는, 케이블(10)의 지지를 위한 하나 이상의 보빈(29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빈(290)은, 케이블(10)의 지지를 위한 구성으로서 원통형상, 반원통형상, 플레이트 형상 등 케이블(10)을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특히 상기 보빈(290)은, 커버(210)의 내측면, 즉 본체부(100)의 전면을 향하는 면에서 본체부(100)의 전면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결합될 통신모듈(10)의 위치 및 케이블(10)의 가이드를 위한 적절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보빈(290)은, 케이블(10)의 지지를 위한 구성으로서 UTP케이블의 경우 케이블 설치의 편의상 잉여길이가 존재하는바 잉여 된 부분이 감김으로써 케이블의 관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보빈(290)은, 광케이블과 같이 굽힘 각도의 제한 등 세심한 관리가 필요한 경우 적절한 케이블의 굽힘 각도를 가이드 함으로써 케이블에 대한 최적의 가이드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보빈(290)이 커버(210)에 설치됨으로써 커버(210)의 개방, 즉 제1위치(P1)에서 제2위치(P2)로 회전된 경우 커버(210)와 함께 회전됨으로써 광케이블의 과도한 꺾임을 방지하여 케이블 관리에 만전을 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빈(290)은 인접한 통신모듈(20)의 인출시 케이블(10)이 방해되지 않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통신모듈(20)에 대응되어 설치되어 통신모듈(20)에 연결되는 케이블(10)을 연결된 통신모듈(20)을 따라서 커버(210)로 가이드 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커버(210)는, 본체부(100)의 전방에서 보았을 때 측면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커버(210)는, 케이블(10)의 설치의 편의를 위하여 통신모듈(20)을 향하는 부분에 케이블(10)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개구로서 개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커버(210)는 통신모듈(20)에 연결된 케이블(10)이 커버(210)의 내부 및 측면방향으로 유도되어 안정적인 케이블(10)의 가이드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보빈(290)은, 커버(210)에 설치되는 대신에 제1위치에서 커버(210)에 의하여 복개되는 본체부(100)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블 여장처리모듈(200)은, 본체부(100)에 결합되어 보조모듈이 설치된 전방 쪽으로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하우징(130)을 포함하며, 커버(210)는, 제1위치에서 하우징(130)의 개방부분을 복개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30)은, 케이블 여장처리모듈(200)의 일부를 구성하여 본체부(100)에 결합됨으로써 외관상 미감을 더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케이블 여장처리모듈(200)은, 본체부(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의 모듈을 구성하기 위하여 본체부(10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커버(210)와 힌지 결합되는 베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체부(10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커버(210)와 힌지 결합됨으로써 통신장비를 구성하는 본체부(100)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하나의 케이블 여장처리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블 여장처리모듈(200)이 하우징(130)을 포함하는 경우 별도의 베이스부의 설치 없이 하우징(130)이 베이스부를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케이블 20 : 통신모듈
100 : 본체부 110 : 개구
200 : 케이블 여장처리모듈 210 : 커버

Claims (10)

  1. 케이블(10)이 결합되는 복수의 통신모듈(20)들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전면에 개구(110)가 형성된 본체부(100)를 포함하는 통신장비에 사용되는 케이블 여장처리모듈로서,
    상기 본체부(10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개구(110)의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통신모듈(20)들에 결합되는 케이블(10)을 가이드 하며 상기 본체부(100)의 수평방향을 회전축(311)으로 하여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에 결합된 베이스부에 힌지 결합되는 커버(210)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110)의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적어도 하나의 보조모듈이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며,
    상기 커버(210)는,
    제1위치(P1)에서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의 일부를 복개하고, 상기 보조모듈을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00)의 복개부분을 개방하도록 제2위치(P2)로 힌지 회전되고,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을 향하는 면에서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케이블(10)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보빈(290)을 포함하며,
    상기 보빈(290)은, 상기 보조모듈이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210)과 함께 회전하여 상기 본체부(100)의 복개부분 전면에서 상기 케이블(10)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여장처리모듈(200).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210)는, 상기 본체부(100)의 전방에서 보았을 때 측면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여장처리모듈(200).
  6. 케이블(10)이 결합되는 복수의 통신모듈(20)들과
    상기 복수의 통신모듈(20)들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전면에 개구(110)가 형성된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개구(110)의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통신모듈(20)들에 결합되는 케이블(10)을 가이드 하며 상기 본체부(100)의 수평방향을 회전축(311)으로 하여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에 결합된 베이스부에 힌지 결합되는 커버(210)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110)의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적어도 하나의 보조모듈이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며,
    상기 커버(210)는,
    제1위치(P1) 및 제2위치(P2) 사이에서 힌지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을 향하는 면에서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케이블(10)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보빈(290)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모듈은, 상기 커버(210)가 상기 제1위치(P1)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커버(210)에 의하여 전방에서 복개되며 상기 커버(210)가 상기 제2위치(P2)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보빈(290)은,
    상기 보조모듈이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210)과 함께 회전하여 상기 본체부(100)의 복개부분 전면에서 상기 케이블(10)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비.
  7. 삭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보조모듈은, 상기 복수의 통신모듈(20)들 사이로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팬 트레이(410) 및 필터 트레이(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비.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되어 상기 보조모듈이 설치된 전방 쪽으로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하우징(13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210)는,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하우징(130)의 개방부분을 복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비.
  10. 삭제
KR1020140012185A 2014-02-03 2014-02-03 통신장비를 위한 커버 개폐형 케이블 여장처리 구조 KR101648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185A KR101648096B1 (ko) 2014-02-03 2014-02-03 통신장비를 위한 커버 개폐형 케이블 여장처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185A KR101648096B1 (ko) 2014-02-03 2014-02-03 통신장비를 위한 커버 개폐형 케이블 여장처리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1675A KR20150091675A (ko) 2015-08-12
KR101648096B1 true KR101648096B1 (ko) 2016-08-12

Family

ID=54056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2185A KR101648096B1 (ko) 2014-02-03 2014-02-03 통신장비를 위한 커버 개폐형 케이블 여장처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80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4099B1 (ko) 2022-06-28 2023-02-06 (주)에프엠이엔지 루프를 이용한 여장 광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함체
KR20230138072A (ko) 2022-03-23 2023-10-05 김찬열 통신 케이블 정리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4808A (ja) 2002-10-22 2004-05-20 Nippon Tsushin Denzai Kk 光接続箱
JP2006086459A (ja) 2004-09-17 2006-03-30 Fujitsu Ltd シェルフ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2050A (ja) * 1997-05-15 1998-12-04 Oki Electric Ind Co Ltd 光ファイバー収容構造
KR100797742B1 (ko) * 2004-02-10 2008-01-24 주식회사 케이티 초고속 가입자망 구조에 사용되는 옥외 설치용 함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4808A (ja) 2002-10-22 2004-05-20 Nippon Tsushin Denzai Kk 光接続箱
JP2006086459A (ja) 2004-09-17 2006-03-30 Fujitsu Ltd シェルフ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8072A (ko) 2022-03-23 2023-10-05 김찬열 통신 케이블 정리함
KR102494099B1 (ko) 2022-06-28 2023-02-06 (주)에프엠이엔지 루프를 이용한 여장 광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함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1675A (ko) 2015-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11514A1 (en) Optical Fiber Distribution Apparatus and Method
US7599597B2 (en) Network termination apparatus
US20080011990A1 (en) Installation of Fiber Optic Cables
US20080013956A1 (en) Provisioning of Services Via an Optical Fiber Network
US20080013909A1 (en) Modular Optical Fiber Network Interface
US20080013957A1 (en) Service Aggregation Gateway
US9882362B2 (en) Enclosure for controling access to different telecommunication components
US11719900B2 (en) Universal multi-purpose compartmentalized telecommunications box
US10976512B2 (en) House box with mounting surface for mounted access
US20080013893A1 (en) Optical Fiber Ferrule and Ferrule Receiv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4866330B2 (ja) マルチメディアポート用ボックスおよびマルチメディアポート
US20080013907A1 (en) Optical Fiber Blowing Device and Method
KR101648096B1 (ko) 통신장비를 위한 커버 개폐형 케이블 여장처리 구조
JP5891457B2 (ja) マルチメディア情報盤
KR200405463Y1 (ko) 광분기함
KR101608260B1 (ko) 통신장비를 위한 이동 가이드형 케이블 여장처리 구조
CN101868894A (zh) 用于缆线槽系统的柔性盖
KR100869875B1 (ko) 셸프카세트 및 통신케이블용 단자함
US20170346268A1 (en) Protective skirt for telecommunications lines
KR101553636B1 (ko) 통신장비를 위한 슬라이드형 케이블 여장처리 구조
JP2012134246A (ja) マルチメディア情報盤
KR200261552Y1 (ko) 광섬유 설치부를 갖는 통신 단자함
KR200444464Y1 (ko) 광단자함
KR101726405B1 (ko) 광케이블과 동축케이블의 분기 접속 함체
NL2006704C2 (nl) Optische telecommunicatiekabel en haspel voorzien van telecommunicatiekab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