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8596B1 - 스위치커버의 후크 조립구조체 - Google Patents

스위치커버의 후크 조립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8596B1
KR101898596B1 KR1020160161418A KR20160161418A KR101898596B1 KR 101898596 B1 KR101898596 B1 KR 101898596B1 KR 1020160161418 A KR1020160161418 A KR 1020160161418A KR 20160161418 A KR20160161418 A KR 20160161418A KR 101898596 B1 KR101898596 B1 KR 101898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switch cover
hole
main body
assembly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1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1832A (ko
Inventor
김희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60161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596B1/ko
Publication of KR20180061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1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1Mounting on appliance
    • H01H2223/026Hook and loop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위치커버의 후크 조립구조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커버의 후크 조립구조체는 차량에 설치되는 스위치커버와 본체를 결합할 수 있는 스위치커버의 후크 조립구조체에 있어서,상기 본체(110)에 형성되는 후크홀(112)과, 상기 본체(110)와 결합되는 스위치커버(120)에 형성되어 상기 후크홀(112) 내로 삽입되게 결합되는 것으로, 일측에 걸림턱(122b)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122b)의 상측으로 제1경사면(122c)을 갖도록 형성되는 후크(122) 및 상기 후크홀(112)의 측면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후크홀(112) 내로 삽입되는 후크(122)를 후방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0)에 형성되는 유동방지돌기(114)를 포함하는 스위치커버의 후크 조립구조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스위치커버의 후크 조립구조체{Hook assembly structure}
본 발명은 후크 조립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후크가 결합되는 후크홀 내에 후크를 일방향으로 가압하여 후크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스위치커버의 후크 조립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설치되는 각종 스위치커버는 커버를 개폐하기 위하여 여러 형상의 후크가 이용된다.
즉, 후크는 커버에 형성하고, 상기 커버와 장착되는 본체에는 상기 후크가 삽입될 수 있는 후크홀을 형성한 다음 후크를 후크홀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커버와 몸체를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삭제
종래에는 커버에 후크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후크에는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의 상측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후크를 후크홀에 삽입하면 상기 걸림턱에 형성된 경사면과 후크홀의 내측면이 접촉하면서 후크가 탄성력에 의해 뒤로 밀리면서 삽입되고, 상기 후크의 걸림턱이 후크홀을 통과한 후 본체의 후크홀에 후크의 걸림턱 단부가 걸리게 되므로써 커버와 후크가 조립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후크를 사용할 경우 커버와 본체의 조립 후 후크가 상기 후크홀 내에서 유동됨에 따라 노이즈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즉, 차량의 주행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후크가 후크홀 내에서 유동되면서 각종 노이즈가 발생함으로써,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에게 불쾌감을 불러 일으켰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스위치커버의 후크 조립구조체를 강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후크홀 내로 삽입된 후크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후크의 유동시 발생할 수 있는 노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스위치커버의 후크 조립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스위치커버의 후크 조립구조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커버의 후크 조립구조체는 차량에 설치되는 스위치커버와 본체를 결합할 수 있는 스위치커버의 후크 조립구조체에 있어서,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후크홀과,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스위치커버에 형성되어 상기 후크홀 내로 삽입되게 결합되는 것으로, 일측에 걸림턱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의 상측으로 제1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후크 및 상기 후크홀의 측면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후크홀 내로 삽입되는 후크를 후방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유동방지돌기를 포함하는 스위치커버의 후크 조립구조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후크가 결합되는 후크홀의 일측에 상기 후크를 걸림턱이 형성된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걸림턱이 후크홀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등 후크홀 내에서 후크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후크홀 내에서 후크가 유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주행시 후크 및 후크홀과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노이즈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차량의 스위치커버 및 암레스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커버의 후크 조립구조체가 적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커버의 후크 조립구조체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커버의 후크 조립구조체를 결합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위치커버의 후크 조립구조체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커버의 후크 조립구조체는 후크홀 내에서 후크가 유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유동시 발생하는 노이즈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차량의 스위치커버 및 암레스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커버의 후크 조립구조체가 적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커버의 후크 조립구조체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커버의 후크 조립구조체는 차량의 암레스트(이하 '본체(110)'라 칭함.)와, 상기 본체(110)에 결합되는 스위치커버(120)에 형성되는 것으로, 본체(110)에 형성되는 후크홀(112)과, 상기 본체(110)와 결합되는 스위치커버(120)에 형성되어 상기 후크홀(112) 내로 삽입되게 결합되는 것으로, 일측에 걸림턱(122b)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122b)의 상측으로 제1경사면(122c)을 갖도록 형성되는 후크(122) 및 상기 후크홀(112)의 측면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후크홀(112) 내로 삽입되는 후크(122)를 후방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0)에 형성되는 유동방지돌기(114)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홀(112)은 본체(110)의 측면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크홀(112)은 직사각형 형태로 상기 후크(1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경우에 따라 삼각형 또는 원형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후크홀(112) 내로 삽입되는 후크(122)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이라면 그 형상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후크(122)는 상기 본체(110)와 결합되는 스위치커버(120)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후크홀(112)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후크(122)는 일단이 상기 스위치커버(120)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기둥부(122a)가 구비되고, 상기 기둥부(122a)의 끝단이 위치되는 부분에 외측으로 걸림턱(122b)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기둥부(122a)의 끝단까지 소정의 각을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기둥부(122a)의 끝단이 위치되는 부분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걸림턱(122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턱(122b)은 기둥부(122a)의 끝단으로 향할수록 경사지게 제1경사면(122c)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경사면(122c)이 형성된 걸림턱(122b)의 타측면, 즉 상기 기둥부(122a)의 타측에는 제2경사면(122d)을 갖도록 하여 상기 걸림턱(122b)이 형성된 기둥부(122a)의 말단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유동방지돌기(114)는 상기 후크홀(112)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크홀(112) 내로 삽입되는 후크(122)의 걸림턱(122b) 타측 방향의 본체(110)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유동방지돌기(114)는 탄성복원력을 갖는 것으로, 상기 후크(122)에 형성된 걸림턱(122b)의 타측에 위치되어 상기 후크홀(112) 내로 삽입되는 후크(122)의 제2경사면(122d)과 접촉시 상기 후크(122)가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후크(122)와 접촉되는 부분에 곡면부(114a)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홀(112) 내로 후크(122)의 걸림턱(122b)이 삽입되면 제1경사면(122c)이 후크홀(112)의 내측면과 접촉되면서 후크(122)의 기둥부(122a)가 후방으로 다소 밀리면서 삽입되는데, 이때, 후크(122)의 후방에 돌출되게 형성된 유동방지돌기(114)가 상기 제2경사면(122d)과 접촉되어 구부려지면서 후크(122)와 후크홀(112)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후크(122)와 후크홀(112)의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후크(122)의 걸림턱(122b)은 상기 후크홀(112)의 내측면에 걸리게 되고, 유동방지돌기(114)는 상기 후크(122)에 의해 구부려진 부분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펴지면서 본래의 위치로 이동된다.
따라서, 차량의 주행중 후크(122)가 후방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주행시 후크(122) 및 후크홀(112)과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노이즈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10 : 본체 112 : 후크홀
114 : 유동방지돌기 114a : 곡면부
120 : 스위치커버 122 : 후크
122a : 기둥부 122b : 걸림턱
122c : 제1경사면 122d : 제2경사면

Claims (4)

  1. 차량에 설치되는 스위치커버와 본체를 결합할 수 있는 스위치커버의 후크 조립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에 형성되는 후크홀(112)과,
    상기 본체(110)와 결합되는 스위치커버(120)에 형성되어 상기 후크홀(112) 내로 삽입되게 결합되는 것으로, 일측에 걸림턱(122b)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122b)의 상측으로 제1경사면(122c)을 갖도록 형성되는 후크(122) 및
    상기 후크홀(112)의 측면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후크홀(112) 내로 삽입되는 후크(122)를 후방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0)에 형성되는 유동방지돌기(114)를 포함하되,
    상기 후크(122)는 일단이 상기 스위치커버(120)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기둥부(122a)가 구비되고, 상기 기둥부(122a)의 끝단이 위치되는 부분에 외측으로 걸림턱(122b)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기둥부(122a)의 끝단까지 소정의 각을 갖는 제1경사면(122c)이 형성되며, 상기 제1경사면이 형성된 기둥부의 타측에 상기 유동방지돌기(114)와 접촉되는 제2경사면(122d)이 형성되고,
    상기 유동방지돌기(114)는 탄성복원력을 갖는 것으로, 상기 제2경사면(122d)과 접촉되는 부분에 곡면부(114a)를 갖는 스위치커버의 후크 조립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161418A 2016-11-30 2016-11-30 스위치커버의 후크 조립구조체 KR101898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418A KR101898596B1 (ko) 2016-11-30 2016-11-30 스위치커버의 후크 조립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418A KR101898596B1 (ko) 2016-11-30 2016-11-30 스위치커버의 후크 조립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832A KR20180061832A (ko) 2018-06-08
KR101898596B1 true KR101898596B1 (ko) 2018-09-13

Family

ID=62600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1418A KR101898596B1 (ko) 2016-11-30 2016-11-30 스위치커버의 후크 조립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59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456Y1 (ko) * 2004-12-07 2005-03-11 엘지산전 주식회사 배선용차단기의 보조 커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8822A (ja) * 1996-04-30 1997-11-18 Yazaki Corp 電気接続箱相互の接続構造
JP3690022B2 (ja) * 1996-12-05 2005-08-31 オムロン株式会社 制御機器の取付構造
KR100597008B1 (ko) * 2004-03-09 2006-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용 조작키
KR101329249B1 (ko) * 2007-12-31 2013-11-1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456Y1 (ko) * 2004-12-07 2005-03-11 엘지산전 주식회사 배선용차단기의 보조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832A (ko) 2018-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026553A (ja) クリップ
US20180105144A1 (en) Windscreen wiper device
JP2004210040A (ja) 衝撃吸収部材の取付構造
JP2015203480A (ja) クリップ
KR101898596B1 (ko) 스위치커버의 후크 조립구조체
JP2016150599A (ja) シートレールカバー構造及びシートスライド構造
US10486569B2 (en) Motor vehicle seat headrest
JP5911023B2 (ja) 樹脂部材取付構造
JP7050613B2 (ja) シャッタースラット用緩衝材
JP2006188082A (ja) 蓋体
JP5911790B2 (ja) ホールプラグ
JP4179689B2 (ja) 車両用内装部品のクリップ取付座
JP2014136456A (ja) 車両用ルーフ装置のパネル構造及び車両用ルーフ装置のウエザストリップ
JP2012224337A (ja) フロアマットの敷設方法
JP3684255B2 (ja) 部品の取付構造
JP6795366B2 (ja) プラグ
JP2016094110A (ja) シートベルト装置用ベゼル
JP2000081013A (ja) 車両用内装部品のクリップ取付座
KR100868617B1 (ko) 거울 고정홀더 장식구
JP6466726B2 (ja) フェンダライナ取付構造およびフェンダライナ取付用挟持部材
JP2013079726A (ja) クリップ
KR102056422B1 (ko) 마운팅 유닛
KR102221651B1 (ko) 리어시트 안전벨트 흘러내림 방지 장치
KR101371250B1 (ko) 버튼형 토잉 후크 캡
JP2011079446A (ja) フロアマットとその敷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