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8374B1 - 환자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환자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8374B1
KR101898374B1 KR1020170010833A KR20170010833A KR101898374B1 KR 101898374 B1 KR101898374 B1 KR 101898374B1 KR 1020170010833 A KR1020170010833 A KR 1020170010833A KR 20170010833 A KR20170010833 A KR 20170010833A KR 101898374 B1 KR101898374 B1 KR 101898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transfer
worker
main body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0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6861A (ko
Inventor
박인주
Original Assignee
(주)제니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니엘 filed Critical (주)제니엘
Priority to KR1020170010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374B1/ko
Publication of KR20180086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6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환자 이송장치는, 근로자에 의해 이송 중인 환자의 상태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환자의 이송경로가 출력되고, 감지된 환자의 상태가 기설정된 위급진단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될 때, 상기 근로자가 담당자를 호출할 수 있도록 입력 영역이 형성되는 출력부 및 이송지시가 수신되면 이송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호출에 따라 관련 정보를 담당자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담당자 단말의 응답에 따라 상기 이송경로를 재설정하고, 일정기간 상기 호출에 따른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 기설정된 응급경로로 상기 이송경로를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환자 이송장치{PATIENT TRANSFER DEVICE}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환자 이송 시 이송경로를 제공하여 근로자가 이송업무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이송 중 환자의 상태가 위급상황일 때, 응급처리를 위한 이송경로를 재설정하여 제공하는 환자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병원에는 스스로 거동이 불가능한 환자가 많이 있으며, 이러한 환자를 치료, 병실 변경, 검사 등의 이유로 이송시키는 작업이 빈번하기 때문에, 최근 병원에서는 환자이송 업무를 외주업체에 맡겨 이송업무와 환자를 진료하는 진료업무를 분리시켜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외주업체는 근로자를 병원에 파견하여, 근로자가 병원으로부터 환자 에 대한 이송 지시를 전달받아 업무를 수행하도록 지시하고 있다.
그러나, 병원에 새로 파견된 근로자는 병원 내 시설 위치를 파악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기 때문에, 이송 목적지를 찾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여러 사정으로 인하여 다시 다른 의료 시설 위치로 이송해야 하는 경우도 있어서 매우 비효율적이고 위험한 상황에 빠질 수도 있게 된다.
또한, 근로자는 의료진이 아니기 때문에, 병원으로부터 환자이송 지시에 따라 환자를 이송하는 도중, 환자의 상태가 갑자기 위독한 상태로 급변할 때, 목적지에 이송시키는 것 말고는 응급상황을 대처할 수가 없고, 이송장치나 주위의 사정으로 인하여 이송시간이 길어지고 원하는 목표지점에 도착할 때까지 안전이 위협을 받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병원에서는 이송 중 환자가 사망하거나, 위독한 상태로 이송될 때, 근로자가 미숙한 조작으로 인하여 환자를 다치게 했는지 또는 환자의 상태가 갑자기 급변한 것인 지 대한 책임의 소재를 파악할 수 없다.
이에 따라, 근로자가 병원 내 출발지에서 도착지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이송경로를 제공하는 동시에 환자를 이송시키는 중 환자의 위급한 상태가 감지되면, 환자를 응급 진료할 수 있는 담당자가 위치한 이송경로를 제설정하여 응급상황을 처리할 수 있는 환자 이송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1035744호 (2011.05.12 등록)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환자 이송 시 이송경로를 제공하여 근로자가 이송업무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환자 이송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송 중 환자의 상태가 위급상황일 때, 응급처리를 위한 경로를 재설정하여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송 시 환자상태에 대한 암호화된 정보를 제공하여 정보조작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정보 유출 시 데이터를 사전에 보호할 수 있고, 환자 상태에 대한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는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환자 이송장치는, 근로자에 의해 이송 중인 환자의 상태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환자의 이송경로가 출력되고, 감지된 환자의 상태가 기설정된 위급진단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될 때, 상기 근로자가 담당자를 호출할 수 있도록 입력 영역이 형성되는 출력부 및 이송지시가 수신되면 이송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호출에 따라 관련 정보를 담당자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담당자 단말의 응답에 따라 상기 이송경로를 재설정하고, 일정기간 상기 호출에 따른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 기설정된 응급경로로 상기 이송경로를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로자에 의해 상기 입력 영역이 입력 또는 터치될 때, 상기 정보에 암호화키를 봉인하여 암호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에 장착된 감지부가 기설정된 범위 밖의 충격량을 감지하였을 때, 상기 본체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상기 담당자 단말에 전송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가 상기 이송경로 또는 상기 응급경로를 이탈했을 때, 근로자단말을 호출하고, 상기 이송경로 또는 상기 응급경로를 재설정하는 위치추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담당자 위치가 상기 이송경로에서 일정 거리 이상 떨어져 위치할 때, 기등록된 보조담당자가 순차적으로 호출되도록 또는 상기 근로자가 응급경로를 수동 설정할 수 있도록 상기 입력 영역을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증강현실 영상 제공장치는 병원 내 시설위치를 확인하지 않은 근로자에게 환자 이송 시 이송경로를 제공하여 이송업무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송 중 환자의 상태가 위급 상황일 때, 응급처리를 위한 경로를 재설정하여 제공하기 때문에, 근로자가 신속하게 환자의 위급상황을 보고 및 대처할 수 있도록 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송 시 환자상태에 대한 암호화된 정보를 제공하여 정보조작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정보 유출 시 데이터를 사전에 보호할 수 있고, 환자 상태에 대한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된 환자 이송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환자 이송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출력부가 출력하는 영역의 실시 예이다.
도 4는 도 3의 출력영역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실시 예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 이송장치의 동작 프로세스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환자 이송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도면도에 표시된 기능들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각각의 기능은 전용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된 환자 이송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환자 이송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환자이송 시스템(1000)은 근로자 단말(10), 담당자 단말(20), 보조 담당자 단말(30), 환자 이송장치(100), 이송관리서버(300) 및 의료정보 저장서버(400)를 포함한다.
먼저, 근로자 단말(10)은 환자를 환자 이송장치(100)에 실어 이송시키는 근로자가 소지한 단말일 수 있고, 담당자 단말(20)은 병원 내에서 환자를 담당하는 의사 또는 간호사가 소지한 단말일 수 있고, 보조 담당자 단말(30)은 담당자 부재 시 또는 담당자를 대신하여 환자를 담당하는 보조담당자가 소지한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이란, 네트워크(5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으로 구현된다.
예컨대, 컴퓨터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한다.
또한, 각 단말들(10~30)은 후술할 이송관리서버(300) 및 의료정보 저장서버(400)가 제공하는 서비스들을 제공받는다. 이를 위해 각 단말에는 이송관리서버(300)와 네트워크(10)를 통해 교환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설치된다. 특히, 애플리케이션 간 데이터 조회가 불가능한 운영체제에 적용 가능하며, 운영체제로는 IOS, 안드로이드(ANDROID), 심비안(SYMBIAN), 바다(BADA) 등의 모바일 운영체제가 포함될 수 있고, 이러한 조건들을 합쳐서 모바일 환경이 형성된다.
또한, 각 단말들(10~30)은 이송관리서버(300)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문서 등의 웹페이지(Web Page)를 가져와 화면에 디스플레이(Display)될 수 있도록 통상의 웹브라우저(Web Browser)가 구비되고, 이송관리서버(300)에 접속하여 다양한 웹서비스(Web Service)를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유무선 통신 장치다.
다음으로, 네트워크(50)는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하며, 하나 이상의 단말들(10~30)을 소지한 담당자, 보조담당자 또는 근로자가 후술하는 이송관리서버(300)에 접속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한편, 네트워크(50)는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일 수도 있고, 이외에도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 망이다.
다음으로, 이송관리서버(300)는 각 단말들(10~30)과 네트워크(50)를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각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처리장치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어를 우선 정리한다. 이하에서 '서비스'는 온라인에서 콘텐츠 그 외 오프라인 상의 재화 등의 생성, 소비, 교환, 거래 등을 가능하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각 단말로 제공하는 행위로서, 예를 들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행위가 될 수도 있고, 게임이나 채팅방 등 온라인 상에서 독립적으로 구분되는 가상공간을 제공하는 행위가 될 수 있으며, 특정 콘텐츠나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행위가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콘텐츠'는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어떠한 형태의 데이터라도 될 수 있다. 텍스트, 오디오, 비디오,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오프라인 상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물품이나 서비스 등의 객체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이송관리서버(300)는 담당자, 보조담당자 또는 근로자가 환자 이송을 지시 및 이행하기 위한 회원 가입 시 식별정보 예컨대, ID 및 비밀번호를 각 단말들(10~30)을 통해 입력받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이송관리서버(300)는 각 단말들(10~30)을 통해 환자 이송에 대한 이송정보를 전송받거나 입력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이송정보는 담당자, 보조담당자 또는 근로자가 환자들을 이송 관리하는 정보, 예컨대 침대이송, 휠체어, 도보, 병실 내 이송, 수술환자 이송 등을 포함하는 이송방법, 환자명, 출발지, 도착지, 필요인원, 이송시간, 요청자 연락처, 기타사항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이다.
예컨대, 담당자 또는 보조담당자가 이송관리서버(300)에서 제공된 서비스를 이용하여 담당자 단말(20)을 통해 환자 이송에 대한 이송정보를 입력하고, 이송관리서버(300)로 전송하면, 근로자는 근로자 단말(10)을 통해 이송관리서버(300)에서 제공된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이송정보를 확인하고, 환자를 이송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송관리서버(300)는 후술할 환자 이송장치(100)와 네트워크(50)를 통해 실시간으로 통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의료정보 저장서버(400)는 각 단말들(10~30)로부터 전송받은 이송정보 또는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한다. 예컨대, 저장서버(500)는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고,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당한 필드(field)들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의료정보 저장서버(400)는 의료사고 발생시 책임소재를 명확히 하기 위해, 이송관리서버(300)와 각 단말들(10~30) 및 환자 이송장치(100)가 송수신되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업데이트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1에서는 이송관리서버(300)와 의료정보 저장서버(400)를 독립된 구성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하, 본 발명에서, 이송관리서버(300)는 의료정보 저장서버(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설명한다.
이하, 도 2a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환자 이송장치(100)를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된 환자 이송장치(100)의 개념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실시예이며, 도 3a 및 도 3b는 도 2a의 출력부의 실시 예이다.
도 2a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환자 이송장치(100)는 본체(101), 감지부(110), 출력부(120), 제어부(130), 위치추적부(140) 및 카메라(150)를 포함한다.
먼저, 본체(101)는 병실 침대에서 검사 테이블, 다른 병실 침대 또는 수술 테이블로 환자를 이송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근로자에 의해 이송되는 들것이나 휠이 형성된 환자 이동용 침대, 휠체어와 같은 이송장치일 수 있다.
다음으로, 감지부(110)는 본체(101)의 일측에 형성되어 본체(101)에 탑승된 환자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감지부(110)는 환자의 위급 상태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근전도 센서, 압력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심전도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출력부(12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1)의 어느 일 측에 형성되어, 후술할 제어부(130)에서 설정된 이송경로를 출력 영역(121)에 실시간으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이송경로는, 환자가 현재 위치한 출발지, 환자를 이송시킬 목적지, 환자정보, 경유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2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110)를 통해 감지된 환자의 상태가 기설정된 위급상황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될 때, 근로자가 담당자를 호출할 수 있도록 입력 영역(123)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출력부(120)는 출력 영역(121)과 입력 영역(123)을 구분하여 도시하였지만, 출력부(120)는 출력과 입력이 모두 가능한 터치 액정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출력부(120)는 감지부(110)를 통해 감지된 환자의 상태가 기설정된 위급상황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지를 판단하는 진단부(미도시)와 연동되거나 진단부(미도시)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출력부(120)는, 감지부(110)를 통해 감지된 환자의 맥박 값이 기설정된 정상범위가 아닐 때, 위급상황정보에 해당되는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예컨대, 근로자는 본체(101)에 환자를 실어, 도 4에 도시된 출력 영역(121)에 출력된 이송경로를 따라 본체(101)를 이송시킬 수 있고, 이송 중인 환자의 상태가 기설정된 위급상황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될 때, 본체(101)를 이송시키는 근로자가 위급상황을 대처할 수 있도록 형성된 도 3b에 도시된 입력 영역(123)을 터치하여 담당자를 호출할 수 있다.
즉, 출력부(120)는 입력 영역(123)이 터치 또는 입력될 때, 담당자 단말(20)을 호출하는 호출부(미도시)와 연동되거나 호출부(미도시)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근로자에 의하여 입력 영역(123)이 입력 또는 터치될 때, 출력부(120)를 통해 담당자를 호출할 때, 담당자 단말(20)에 감지부(110)를 통해 감지된 정보를 전송함과 동시에 호출에 따른 응답을 요청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30)는 근로자에 의해 입력 영역(123)이 입력 또는 터치될 때, 감지정보에 암호화키를 봉인하여 암호화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근로자에 의해 입력 영역(123)이 입력 또는 터치될 때, 의료정보 저장서버(400)로부터 암호화키를 전송받고, 감지정보에 암호화키를 봉인하여 암호화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256바이트 이상의 키를 가지는 예컨대 SHA-256 등의 암호화 승인 메커니즘을 적용하여 암호화한 데이터를 생성하고, 암호화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담당자 단말(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담당자 단말(20)은 의료정보 저장서버(400)로부터 사전에 발급받은 복호화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이송관리서버(300) 또는 담당자 단말(20)로부터 이송관리서버(300)를 통해 이송지시를 수신하면, 이송지시에 포함된 이송정보에 기초하여 이송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근로자가 출력부(120)를 통해 담당자를 호출할 때, 감지된 정보를 담당자 단말(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담당자 단말(20)로부터 응답을 수신함에 따라 담당자가 위치한 지점으로 이송경로를 재설정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30)는 담당자 단말(20)로부터 일정기간 상기 호출에 따른 응답이 미수신되면, 기설정된 응급경로로 상기 이송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3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담당자 위치가 상기 이송경로에서 일정 거리 이상 떨어져 위치할 때, 기등록된 보조담당자가 순차적으로 호출되도록 또는 상기 근로자가 응급경로를 수동 설정할 수 있도록 출력부(120)의 입력 영역(123)을 변경시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담당자 단말(20)을 호출한 이후, 담당자의 위치한 거리가 이송경로에서 일정거리 이상 떨어져 있음에 따라, 다음의 기등록된 보조담당자를 순차적으로 호출하기 위하여 입력 영역(123)을 변경시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위치추적부(140)는 본체(101)에 형성되어, 본체(101)가 상기 이송경로 또는 상기 응급경로를 이탈했을 때, 근로자 단말(10)을 호출하고, 제어부(130)에 경로이탈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위치추적부(140)는 일정 거리마다 위치하는 식별객체를 감지하고, 일정시간 동안 식별객체가 검출되지 않을 때, 경로이탈로 추정하고, 추정된 경로이탈 신호를 제어부(13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위치추적부(140)로부터 수신한 경로이탈 신호에 응답하여 마지막에 감지된 식별객체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이송경로 또는 상기 응급경로를 재설정할 수 있다.
또한, 위치추적부(140)는 최후에 감지된 객체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이송경로 또는 상기 응급경로가 재설정되도록 제어부(130)에 상기 경로이탈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카메라(150)는 환자의 낙상 여부나 외부 충격 등의 증거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장치로서, 본체(101)에 형성되어 환자 또는 본체(101)의 외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설정 영역을 촬영하는 영상장치일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본체(101)에 장착된 감지부(110)가 기설정된 범위 밖의 움직임을 감지하였을 때, 본체(101)에 장착된 카메라(15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담당자 단말(20)에 전송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환자 이송장치의 동작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도 4는 도 3a 및 도 3b의 출력영역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실시 예이고,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 이송장치의 동작 프로세스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이송관리서버(300) 또는 담당자 단말(20)로부터 이송관리서버(300)를 통해 이송지시가 수신되면(S100), 이송지시에 포함된 이송정보에 기초하여 이송경로를 설정하고, 출력부(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에서 설정된 제1 이송경로를 출력할 수 있다(S110).
또한, 출력부(120)는 감지부(110)를 통해 감지된 환자의 상태가 기설정된 위급상황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될 때(S120), 근로자가 담당자를 호출할 수 있도록 입력 영역(123)을 형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S130).
이때, 제어부(130)는 근로자에 의하여 입력 영역(123)이 입력 또는 터치될 때, 즉, 담당자를 호출할 때(S140), 담당자 단말(20)에 감지부(110)를 통해 감지된 정보를 전송함과 동시에 호출에 따른 응답을 요청할 수 있다(S150).
한편, 제어부(130)는 일정기간 입력 영역(123)이 입력 또는 터치가 입력되지 않을 때, 근로자로부터 입력 영역(123)을 입력 또는 터치입력 받을 수 있도록 근로자 단말(10)을 호출할 수 있다(S160).
이후, 제어부(130)는 담당자 단말(20)로부터 호출에 따른 응답을 수신함에 따라 담당자가 위치한 지점으로 이송경로를 재설정하고(S170), 출력부(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에서 재설정된 제2 이송경로를 출력할 수 있다(S180).
한편, 제어부(130)는 일정기간 담당자 단말(20)로부터 상기 호출에 따른 응답이 미수신되면, 기설정된 응급경로로 이송경로를 설정하고, 출력부(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에서 설정된 응급경로를 출력할 수 있다(S190).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30)는 일정기간 담당자 단말(20)로부터 응답이 미수신되면, 기등록된 보조담당자들이 지정된 순서대로 호출되도록 또는 응급경로가 출력되도록 출력부(120)의 입력 영역(123)을 변경하여 출력시킬 수 있기 때문에, 출력부(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에서 보조담당자가 위치한 지점으로 재설정된 제3 이송경로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근로자가 병원 내 출발지에서 도착지로 환자를 이송시키는 중에, 환자의 위중 상태가 감지되면, 환자 이송장치(100)는 담당자가 위치한 이송경로로 재설정하여 출력시킬 수 있으므로, 응급상황을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환자 이송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된다.
10: 근로자 단말
20: 담당자 단말
30: 보조담당자 단말
50: 네트워크
100: 환자 이송장치
110: 감지부
120: 출력부
121: 출력영역
123: 입력영역
130: 제어부
140: 위치추적부
150: 카메라
300: 이송관리서버
400: 의료정보저장서버
1000: 환자 이송시스템

Claims (5)

  1. 환자가 눕거나 앉을 수 있도록 형성된 본체를 구비하고, 병원내 상기 환자의 이송경로를 관리하는 이송관리서버에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하부에 복수의 휠이 형성되어 근로자가 상기 본체를 밀어 이동시키는 환자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환자 이송장치는,
    상기 환자의 상태를 감지하도록 상기 본체에 복수로 장착되는 감지부들;
    상기 본체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고, 감지된 환자의 상태가 기설정된 위급진단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될 때, 상기 근로자가 담당자를 호출할 수 있도록 입력 영역이 형성되는 출력부;
    상기 이송관리서버로부터 이송지시가 수신되면 이송경로를 설정하여 상기 출력부에 출력하고, 상기 호출에 따라 관련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담당자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담당자 단말의 응답에 따라 상기 이송경로를 재설정하고, 일정기간 상기 호출에 따른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 기설정된 응급경로로 상기 이송경로를 설정하는 제어부; 및
    일정거리마다 식별객체가 형성된 상기 병원내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식별객체를 감지하는 위치추적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추적부는 상기 식별객체를 감지하여 현재 위치를 확인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에 장착된 감지부가 기설정된 범위 밖의 충격량을 감지하였을 때, 상기 본체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상기 담당자 단말에 전송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일정시간 동안 상기 위치추적부를 통해 상기 식별객체가 검출되지 않을 때, 경로 이탈 신호를 수신하여, 마지막에 감지된 상기 식별객체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이송경로 또는 상기 응급경로를 재설정하고, 상기 위치추적부는 근로자 단말을 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로자에 의해 상기 입력 영역이 입력 또는 터치될 때, 상기 정보에 암호화키를 봉인하여 암호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이송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담당자의 위치가 상기 이송경로에서 일정 거리 이상 떨어져 위치할 때, 기등록된 보조담당자가 순차적으로 호출되도록 또는 상기 근로자가 응급경로를 수동 설정할 수 있도록 상기 입력 영역을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이송장치.




KR1020170010833A 2017-01-24 2017-01-24 환자 이송장치 KR101898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833A KR101898374B1 (ko) 2017-01-24 2017-01-24 환자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833A KR101898374B1 (ko) 2017-01-24 2017-01-24 환자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861A KR20180086861A (ko) 2018-08-01
KR101898374B1 true KR101898374B1 (ko) 2018-10-31

Family

ID=63227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833A KR101898374B1 (ko) 2017-01-24 2017-01-24 환자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37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8775A (ja) * 2009-08-28 2011-03-10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救急病院選択システム、管理サーバ及び病院サー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8775A (ja) * 2009-08-28 2011-03-10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救急病院選択システム、管理サーバ及び病院サー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861A (ko) 2018-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1036B2 (en) Initial rescu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operation method thereof, recording medium, and system
CA2655110C (en) On-line healthcare consultation services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US9066211B2 (en) Decision support
KR101268506B1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구급정보 및 응급의료 시스템
US20160070875A1 (en) On-Line Healthcare Consultation Services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160147941A1 (en) Medical support system
JP2015058030A (ja) 見守りシステム
KR20180038868A (ko) 멸균 기록 관리 시스템 및 멸균 기록 관리 방법
JP2021096828A (ja) 見守りバンド監視システム、見守りバンド監視デバイス、見守りバンド監視方法及び見守りバンド監視プログラム
Haider et al. Automated robotic system for assistance of isolated patients of coronavirus (COVID-19)
JP2016164770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200135002A1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JP5770332B1 (ja) 傷病者受入状況表示装置、救急医療情報システム、傷病者受入状況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50065812A1 (en) Telemedicine information system, monitoring method and computer-accessible storage medium
KR101222379B1 (ko)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방법
KR101898374B1 (ko) 환자 이송장치
US20150379217A1 (en) Medical information display system, server, and portable terminal
JP2020109568A (ja) 患者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患者情報提供方法
KR102167761B1 (ko) 환자 케어 시스템
JP2018084934A (ja) 端末装置、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6131001A (ja) 服薬管理システム、服薬管理方法および端末装置
KR101835433B1 (ko) 환자 병상위치 확인시스템
Leow et al. Surgery beyond coronavirus disease 2019
Murata et al. Proposal of Field Oriented Event Messaging System
KR102514829B1 (ko) 돌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