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8237B1 - 유량 측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 설비 - Google Patents

유량 측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8237B1
KR101898237B1 KR1020160175712A KR20160175712A KR101898237B1 KR 101898237 B1 KR101898237 B1 KR 101898237B1 KR 1020160175712 A KR1020160175712 A KR 1020160175712A KR 20160175712 A KR20160175712 A KR 20160175712A KR 101898237 B1 KR101898237 B1 KR 101898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expansion
inner diameter
passage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5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2289A (ko
Inventor
최익준
박용민
김복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175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237B1/ko
Publication of KR20180072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2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1/00Shutting-down of machines or engines, e.g. in emergency; Regulating, controlling, or safet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D21/003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11/00Feed-water supply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 F22D11/02Arrangements of feed-water pumps
    • F22D11/06Arrangements of feed-water pumps for returning condensate to boil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34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 G01F1/3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the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being created by the use of flow constriction
    • G01F1/40Details of construction of the flow constriction devices
    • G01F1/42Orifices or 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발전 설비는, 증기 상태의 매체에 의해 회전하는 증기터빈; 상기 증기터빈에서 배출된 상기 매체가 유입되어 유입된 상기 매체를 응축시키는 복수기; 상기 복수기에서 응축된 상기 매체를 가열하는 보일러; 상기 복수기에서 응축된 상기 매체를 상기 보일러에 공급하는 펌프; 상기 보일러에서 가열된 상기 매체가 채워지며, 상기 매체를 상기 터빈에 공급하는 드럼; 상기 드럼에 연결되며, 상기 드럼 내의 상기 매체를 배출가능한 배출라인; 그리고 상기 배출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라인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매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 측정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유량 측정 장치는, 내부에 상기 매체가 흐르는 제1 유로가 형성된 제1 배관; 상기 제1 배관으로부터 상기 매체가 유입되어 흐르는 제2 유로가 형성된 제2 배관; 그리고 상기 제1 배관과 상기 제2 배관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유로와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홀을 가지는 타공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배관은, 상기 타공판에 인접하여 제1 내경을 가지는 제1 확장관과, 상기 제1 확장관을 기준으로 상기 타공판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내경보다 작은 제2 내경을 가지는 유입관을 가지며, 상기 제2 배관은, 상기 타공판에 인접하여 상기 제3 내경을 가지는 제2 확장관과, 상기 제2 확장관을 기준으로 상기 타공판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상기 제3 내경보다 작은 제4 내경을 가지는 배출관을 가진다.

Description

유량 측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 설비{APPARATUS FOR MEASURING MASS FLOW RATE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POW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량 측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 설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타공판을 이용하여 유량을 측정하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의 각종 배관은 수질에 매우 민감한 반응을 보인다. 수질이 좋지 못한 경우, 각종 스케일이 수관의 내벽에 형성되며, 이로 인해 배관의 열전도율이 크게 저하된다. 또한, 스케일은 열응력을 유발하여 배관의 파손이나 변형을 유발한다. 따라서, 수질이 불량한 경우 증기를 배출하여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며, 수질이 양호한 경우 배출구를 차단한다.
일반적으로, 발전설비 보일러에 사용되는 매체는 염 및 염기 성분 등의 불순물에 의한 보일러 배관 내부에 스케일 부착으로 국부 과열에 의한 보일러 배관의 팽출 및 파열 발생과 열전도 방해에 따른 열효율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용존되어 있는 염 및 염기 성분 등의 불순물이 이온 교환수지를 이용하여 완전히 제거된 순수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순수가 보일러 내의 매체로 사용되며, 순수에 약품을 투입하여 수질을 유지하나, 약품이 드럼 내에 잔존 부유물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복수기가 파손되어 해수가 누출될 경우 수질이 불량해질 수 있다.
그러나, 보일러 내의 매체가 고온고압의 습포화 증기 상태로 배출되며, 이로 인해 배출된 증기의 유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다. 증기의 유량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보일러의 효율 향상과 원가 절감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1998-020340호 1998.07.15.
본 발명의 목적은 배출되는 증기의 유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유량 측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 설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발전 설비는, 증기 상태의 매체에 의해 회전하는 증기터빈; 상기 증기터빈에서 배출된 상기 매체가 유입되어 유입된 상기 매체를 응축시키는 복수기; 상기 복수기에서 응축된 상기 매체를 가열하는 보일러; 상기 복수기에서 응축된 상기 매체를 상기 보일러에 공급하는 펌프; 상기 보일러에서 가열된 상기 매체가 채워지며, 상기 매체를 상기 터빈에 공급하는 드럼; 상기 드럼에 연결되며, 상기 드럼 내의 상기 매체를 배출가능한 배출라인; 그리고 상기 배출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라인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매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 측정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유량 측정 장치는, 내부에 상기 매체가 흐르는 제1 유로가 형성된 제1 배관; 상기 제1 배관으로부터 상기 매체가 유입되어 흐르는 제2 유로가 형성된 제2 배관; 그리고 상기 제1 배관과 상기 제2 배관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유로와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홀을 가지는 타공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배관은, 상기 타공판에 인접하여 제1 내경을 가지는 제1 확장관과, 상기 제1 확장관을 기준으로 상기 타공판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내경보다 작은 제2 내경을 가지는 유입관을 가지며, 상기 제2 배관은, 상기 타공판에 인접하여 상기 제3 내경을 가지는 제2 확장관과, 상기 제2 확장관을 기준으로 상기 타공판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상기 제3 내경보다 작은 제4 내경을 가지는 배출관을 가진다.
상기 제1 내경은 상기 제3 내경과 동일하며, 상기 제2 내경은 상기 제4 내경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배관은, 상기 제1 내경을 가지는 제1 확장유로와 상기 제2 내경을 가지는 유입유로, 상기 제1 확장유로와 상기 유입유로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확장유로를 향해 내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제1 연결유로를 가지며, 상기 제2 배관은, 상기 제3 내경을 가지는 제2 확장유로와 상기 제4 내경을 가지는 배출유로, 상기 제2 확장유로와 상기 배출유로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확장유로를 향해 내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제2 연결유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연결유로의 내주면은 라운드진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유입유로는 상기 타공판을 기준으로 상기 배출유로와 대칭을 이루며, 상기 제1 확장유로는 상기 타공판을 기준으로 상기 제2 확장유로와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 확장관은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된 제1 지지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제2 확장관은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된 제2 지지플랜지를 가지며, 상기 타공판은 상기 제1 지지플랜지와 상기 제2 지지플랜지 사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확장관은 상기 제1 지지플랜지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된 제1 고정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제2 확장관은 상기 제2 지지플랜지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된 제2 고정플랜지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고정플랜지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플랜지를 관통하는 체결구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확장관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고정플랜지의 이격거리는 상기 타공판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발전 설비는, 상기 제1 고정플랜지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관통된 제1 압력측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유로 내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1 압력센서; 상기 제2 고정플랜지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관통된 제2 압력측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유로 내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2 압력센서; 그리고 상기 배출관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관통된 온도측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유로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유량 측정 장치는, 내부에 증기 상태의 매체가 흐르는 제1 유로가 형성된 제1 배관; 상기 제1 배관으로부터 상기 매체가 유입되어 흐르는 제2 유로가 형성된 제2 배관; 그리고 상기 제1 배관과 상기 제2 배관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유로와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홀을 가지는 타공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배관은, 상기 타공판에 인접하여 제1 내경을 가지는 제1 확장관과, 상기 제1 확장관을 기준으로 상기 타공판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내경보다 작은 제2 내경을 가지는 유입관을 가지며, 상기 제2 배관은, 상기 타공판에 인접하여 상기 제3 내경을 가지는 제2 확장관과, 상기 제2 확장관을 기준으로 상기 타공판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상기 제3 내경보다 작은 제4 내경을 가지는 배출관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배관은, 상기 제1 내경을 가지는 제1 확장유로와 상기 제2 내경을 가지는 유입유로, 상기 제1 확장유로와 상기 유입유로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확장유로를 향해 내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제1 연결유로를 가지며, 상기 제2 배관은, 상기 제3 내경을 가지는 제2 확장유로와 상기 제4 내경을 가지는 배출유로, 상기 제2 확장유로와 상기 배출유로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확장유로를 향해 내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제2 연결유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확장관은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된 제1 지지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제2 확장관은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된 제2 지지플랜지를 가지며, 상기 타공판은 상기 제1 지지플랜지와 상기 제2 지지플랜지 사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확장관은 상기 제1 지지플랜지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된 제1 고정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제2 확장관은 상기 제2 지지플랜지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된 제2 고정플랜지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고정플랜지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플랜지를 관통하는 체결구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확장관은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최적화된 증기 상태에서 타공판을 통과하는 증기의 차압을 측정하며, 이를 통해 배출되는 증기의 유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 설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유량 측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유량 측정 장치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타공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압력센서 및 온도센서와 제어기의 관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 설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터빈(1)은 증기 상태의 매체에 의해 회전하여 발전기(도시안함)를 구동함으로써 발전이 이루어지며, 터빈(1)에서 배출된 증기는 복수기(2)에서 응축된 후에 펌프(3)에 의해 보일러(4) 및 드럼(5)으로 공급된다. 매체는 보일러(4)의 내부를 따라 흐르면서 가열되어 증기상태로 변환되며, 증기상태의 매체는 드럼(5)에 채워지고 다시 터빈(1)으로 공급된다.
복수기(2)는 해수인양펌프 및 순환펌프에 의해 해수가 순환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져 터빈(1)에서 배출된 증기를 응축시킨다. 복수기(2)는 보일러 공급수를 보충하기 위한 공급원으로써 해수담수화 설비인 원수탱크, 물처리설비, 및 순수탱크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매체가 약품이나 해수에 의해 오염될 경우, 드럼(5)에 연결된 배출라인을 통해 증기 상태의 매체를 배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매체의 품질을 관리할 수 있다. 이때, 후술하는 배출라인에 설치된 유량 측정 장치를 통해 배출되는 매체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유량 측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유량 측정 장치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유량 측정 장치는 상류배관과 하류배관 사이에 설치된 타공판(40)을 구비하며, 타공판(40) 전후의 차압을 이용하여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상류배관 및 하류배관은 배출라인에 설치되며, 매체가 흐르는 유로가 내부에 형성된다. 각각의 유로는 동일한 중심축(일점쇄선으로 표시)을 가지며, 드럼(5)으로부터 배출된 매체는 상류배관의 유로 및 하류배관의 유로를 차례로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후술하는 타공판(40)은 상류배관의 유로와 하류배관의 유로 사이에 설치되며, 상류배관의 유로와 하류배관의 유로는 그 형상이 타공판(40)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룬다.
상류배관은 유입관(12) 및 제1 확장관(14)을 구비한다. 유입관(12)의 내경(d1)은 제1 확장관(14)의 내경(d2) 보다 작다. 제1 연결관(13)은 유입관(12)과 제1 확장관(14) 사이에 위치하며, 내경이 제1 확장관(14)을 향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형상이다. 제1 연결관(13)의 내주면은 내측을 향해 라운드진 형상이다.
마찬가지로, 하류배관은 배출관(22) 및 제2 확장관(24)을 구비한다. 배출관(22)의 내경(d1)은 유입관(12)의 내경(d1)과 동일하며, 제2 확장관(24)의 내경(d2)은 제1 확장관(d2)의 내경과 동일하다. 제2 연결관(23)은 배출관(22)과 제2 확장관(24) 사이에 위치하며, 내경이 제2 확장관(24)을 향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형상이다. 제2 연결관(23)의 내주면은 내측을 향해 라운드진 형상이다.
제1 확장관(14)은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된 제1 플랜지(16a,16b)를 가지며, 제1 플랜지(16a,16b)는 내측에 위치하는 제1 지지플랜지(16a)와 제1 지지플랜지(16b)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고정플랜지(16b)를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제2 확장관(24)은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된 제2 플랜지(26a,26b)를 가지며, 제2 플랜지(26a,26b)는 내측에 위치하는 제2 지지플랜지(26a)와 제2 지지플랜지(26b)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고정플랜지(26b)를 구비한다.
후술하는 타공판(40)은 제1 지지플랜지(16a)와 제2 지지플랜지(26a)의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제1 및 제2 지지플랜지(16a,26a)에 밀착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복수의 체결구는 제1 및 제2 고정플랜지(16b,26b)를 관통하여 제1 및 제2 지지플랜지(16a,26a)가 타공판(40)에 밀착되도록 제1 및 제2 고정플랜지(16b,26b)를 가압한다.
이때, 제1 및 제2 지지플랜지(16b,26b)는 타공판(40)의 두께보다 큰 거리(a)를 두고 이격되며, 작업자는 이격된 공간을 통해 타공판(40)의 위치(또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즉, 타공판(40)과 접하는 제1 및 제2 지지플랜지(16a,16b)의 일면은 타공판(40)과 대체로 동일한 직경을 가지므로, 타공판(40)이 정해진 위치를 이탈할 경우 작업자는 제1 및 제2 지지플랜지(16a,16b)의 일면으로부터 이탈하여 이격된 공간으로 돌출된 상태를 쉽게 확인하고 즉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타공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타공판(40)은 원판 형상의 몸체(42)를 구비하며, 몸체(42)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하나 이상의 타공(44)을 포함한다.
한편, 제1 플랜지(16a,16b)는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관통된 하나 이상의 제1 압력측정홀(17)을 가지며, 제2 플랜지(26a,26b)는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관통된 하나 이상의 제2 압력측정홀(27)을 가진다. 상류측 압력센서(32)는 제1 압력측정홀(17)에 삽입설치되며, 타공판(40)의 전단에서 매체의 압력을 측정한다. 하류측 압력센서(34)는 제2 압력측정홀(27)에 삽입설치되며, 타공판(40)의 후단에서 매체의 압력을 측정한다. 또한, 배출관(22)은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관통된 온도측정홀(222)을 가지며, 온도센서(52)는 온도측정홀(222)에 삽입되어 매체의 온도를 측정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압력센서 및 온도센서와 제어기의 관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상류측/하류측 압력센서(32,34) 및 온도센서(52)를 통해 측정된 매체의 상태는 제어기(60)로 전달되며, 제어기(60)는 분산 제어 시스템(Distributed Control System, DCS)일 수 있다.
이하, 앞서 설명한 유량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매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매체가 약품이나 해수에 의해 오염될 경우, 드럼(5)에 연결된 배출라인을 통해 증기 상태의 매체를 배출하여 매체의 품질을 관리할 수 있으며, 배출라인에 설치된 밸브를 개방하여 매체를 배출할 수 있다.
매체는 유입관(12)의 유로를 통해 유입된 후 제1 확장관(14)의 유로로 이동하며, 제1 확장관(14)의 유로가 유입관(12)의 유로에 비해 크므로, 매체는 압력저하 현상과 응축화 현상을 거치며, 이를 통해 매체는 안정된 측정 조건을 가질 수 있다.
매체는 타공판(40)의 타공(44)을 통과하여 제2 확장관(24) 및 배출관(22)으로 이동하며, 배출관(2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류측/하류측 압력센서(32,34)는 타공판(40)의 전후에서 매체의 압력을 측정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제어기(60)로 전달하며, 온도센서(52)는 매체의 온도를 측정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제어기(60)로 전달한다.
제어기(60)는 상류측/하류측 압력센서(32,34)를 통해 측정된 압력과 온도센서(52)를 통해 측정된 온도를 이용하여 배출된 매체의 유량을 연산할 수 있으며, 적당한 유량의 매체가 배출된 이후 제어기(60)는 배출밸브(도시안함)를 통해 매체의 배출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터빈 2 : 복수기
3 : 펌프 4 : 보일러
5 : 드럼 12 : 유입관
13 : 제1 연결관 14 : 제1 확장관
16a,16b : 제1 플랜지 22 : 배출관
23 : 제2 연결관 24 : 제2 확장관
26a,26b : 제2 플랜지 32 : 상류측 압력센서
34 : 하류측 압력센서 40 : 타공판
52 : 온도센서

Claims (13)

  1. 증기 상태의 매체에 의해 회전하는 증기터빈; 상기 증기터빈에서 배출된 상기 매체가 유입되어 유입된 상기 매체를 응축시키는 복수기; 상기 복수기에서 응축된 상기 매체를 가열하는 보일러; 상기 복수기에서 응축된 상기 매체를 상기 보일러에 공급하는 펌프; 상기 보일러에서 가열된 상기 매체가 채워지며, 상기 매체를 상기 증기터빈에 공급하는 드럼; 상기 드럼에 연결되며, 상기 드럼 내의 상기 매체를 배출가능한 배출라인; 상기 배출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라인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매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 측정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유량 측정 장치는,
    내부에 상기 매체가 흐르는 제1 유로가 형성된 제1 배관; 상기 제1 배관으로부터 상기 매체가 유입되어 흐르는 제2 유로가 형성된 제2 배관; 및 상기 제1 배관과 상기 제2 배관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유로와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홀을 가지는 타공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배관은, 상기 타공판에 인접하여 제1 내경을 가지는 제1 확장관과, 상기 제1 확장관을 기준으로 상기 타공판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내경보다 작은 제2 내경을 가지는 유입관을 가지며,
    상기 제2 배관은, 상기 타공판에 인접하여 제3 내경을 가지는 제2 확장관과, 상기 제2 확장관을 기준으로 상기 타공판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상기 제3 내경보다 작은 제4 내경을 가지는 배출관을 가지고,
    상기 제1 확장관은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된 제1 지지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제2 확장관은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된 제2 지지플랜지를 가지며,
    상기 타공판은 상기 제1 지지플랜지와 상기 제2 지지플랜지 사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제1 확장관은 상기 제1 지지플랜지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된 제1 고정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제2 확장관은 상기 제2 지지플랜지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된 제2 고정플랜지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고정플랜지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플랜지를 관통하는 체결구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확장관은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 고정플랜지의 이격거리는 상기 타공판의 두께보다 큰, 발전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경은 상기 제3 내경과 동일하며,
    상기 제2 내경은 상기 제4 내경과 동일한, 발전 설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관은, 상기 제1 내경을 가지는 제1 확장유로와 상기 제2 내경을 가지는 유입유로, 상기 제1 확장유로와 상기 유입유로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확장유로를 향해 내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제1 연결유로를 가지며,
    상기 제2 배관은, 상기 제3 내경을 가지는 제2 확장유로와 상기 제4 내경을 가지는 배출유로, 상기 제2 확장유로와 상기 배출유로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확장유로를 향해 내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제2 연결유로를 가지는, 발전 설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유로의 내주면은 라운드진 형상인, 발전 설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유로는 상기 타공판을 기준으로 상기 배출유로와 대칭을 이루며,
    상기 제1 확장유로는 상기 타공판을 기준으로 상기 제2 확장유로와 대칭을 이루는, 발전 설비.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 설비는,
    상기 제1 고정플랜지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관통된 제1 압력측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유로 내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1 압력센서;
    상기 제2 고정플랜지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관통된 제2 압력측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유로 내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2 압력센서;
    상기 배출관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관통된 온도측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유로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발전 설비.
  10. 내부에 증기 상태의 매체가 흐르는 제1 유로가 형성된 제1 배관; 상기 제1 배관으로부터 상기 매체가 유입되어 흐르는 제2 유로가 형성된 제2 배관; 및 상기 제1 배관과 상기 제2 배관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유로와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홀을 가지는 타공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배관은, 상기 타공판에 인접하여 제1 내경을 가지는 제1 확장관과, 상기 제1 확장관을 기준으로 상기 타공판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내경보다 작은 제2 내경을 가지는 유입관을 가지며,
    상기 제2 배관은, 상기 타공판에 인접하여 제3 내경을 가지는 제2 확장관과, 상기 제2 확장관을 기준으로 상기 타공판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상기 제3 내경보다 작은 제4 내경을 가지는 배출관을 가지고,
    상기 제1 확장관은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된 제1 지지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제2 확장관은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된 제2 지지플랜지를 가지며,
    상기 타공판은 상기 제1 지지플랜지와 상기 제2 지지플랜지 사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제1 확장관은 상기 제1 지지플랜지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된 제1 고정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제2 확장관은 상기 제2 지지플랜지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된 제2 고정플랜지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고정플랜지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플랜지를 관통하는 체결구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확장관은 고정되는, 유량 측정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관은, 상기 제1 내경을 가지는 제1 확장유로와 상기 제2 내경을 가지는 유입유로, 상기 제1 확장유로와 상기 유입유로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확장유로를 향해 내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제1 연결유로를 가지며,
    상기 제2 배관은, 상기 제3 내경을 가지는 제2 확장유로와 상기 제4 내경을 가지는 배출유로, 상기 제2 확장유로와 상기 배출유로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확장유로를 향해 내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제2 연결유로를 가지는, 유량 측정 장치.
  12. 삭제
  13. 삭제
KR1020160175712A 2016-12-21 2016-12-21 유량 측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 설비 KR101898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712A KR101898237B1 (ko) 2016-12-21 2016-12-21 유량 측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712A KR101898237B1 (ko) 2016-12-21 2016-12-21 유량 측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 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289A KR20180072289A (ko) 2018-06-29
KR101898237B1 true KR101898237B1 (ko) 2018-10-04

Family

ID=62781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5712A KR101898237B1 (ko) 2016-12-21 2016-12-21 유량 측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2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02964B (zh) * 2020-10-29 2022-07-08 西安西热节能技术有限公司 一种独立凝汽式汽动给水泵效率的测定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0979B2 (ja) * 1989-11-06 1999-11-22 バイコア モニタリング システムズ 可変流過妨害面積ガス流量計
JP2012052785A (ja) * 2010-08-05 2012-03-15 Nippon Steel Corp 蒸気供給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蒸気供給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0979B2 (ja) * 1989-11-06 1999-11-22 バイコア モニタリング システムズ 可変流過妨害面積ガス流量計
JP2012052785A (ja) * 2010-08-05 2012-03-15 Nippon Steel Corp 蒸気供給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蒸気供給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289A (ko) 2018-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71810B (zh) 甩负荷扰动下管束间两相流不稳定性与交变热应力研究试验装置
JPS6255097B2 (ko)
KR101898237B1 (ko) 유량 측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 설비
CN107289439B (zh) 云计算智能控制排污时间的锅炉系统
JP6064166B2 (ja) 熱交換システム
CN200996922Y (zh) 防垢性能评价试验装置
JP5213324B2 (ja) 復水器の漏洩冷却管の特定方法
RU2008122544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олиэтилена и этиленовых сополимеров
CN108800098A (zh) 一种智能控制设置分切换热部件的锅炉系统
JP6137981B2 (ja) 漏えい検出装置および原子力設備
CN107166364B (zh) 根据ph值智能控制排污速度的锅炉系统
KR101186974B1 (ko) 개선된 수위감지 시스템을 가지는 보일러
CN107166366B (zh) 智能ph值控制排污时间的锅炉系统
TWI679417B (zh) 水垢檢測系統
JP2014159914A (ja) 補給水系統制御装置、及び補給水系統制御方法
JPH0499938A (ja) 給水加熱器の漏洩検出方法
RU2626614C2 (ru) Узел подачи пара в теплообменный аппарат
JP5613092B2 (ja) ガス加温システム
CN220609837U (zh) 一种易清洗的反渗透装置
JP6380170B2 (ja) 蒸気配管の熱エネルギー損失評価方法
CN105783101A (zh) 一种工厂用生活热水供应装置及操作方法
CN107062191B (zh) 一种智能存储排污数据的锅炉系统
CN107289441B (zh) 一种云计算智能存储排污数据的锅炉系统
JP2023176114A (ja) 陰イオン検出装置
CN203731890U (zh) 一种新型水增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