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8195B1 - 나선관 제조장비 및 방법 - Google Patents

나선관 제조장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8195B1
KR101898195B1 KR1020160087877A KR20160087877A KR101898195B1 KR 101898195 B1 KR101898195 B1 KR 101898195B1 KR 1020160087877 A KR1020160087877 A KR 1020160087877A KR 20160087877 A KR20160087877 A KR 20160087877A KR 101898195 B1 KR101898195 B1 KR 101898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ral groove
spiral
tube
circular tube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7111A (ko
Inventor
김철복
조영태
Original Assignee
김철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복 filed Critical 김철복
Priority to KR1020160087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195B1/ko
Publication of KR20180007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HMAKING PARTICULAR METAL OBJECTS BY ROLLING, e.g. SCREWS, WHEELS, RINGS, BARRELS, BALLS
    • B21H3/00Making helical bodies or bodies having parts of helical shape
    • B21H3/02Making helical bodies or bodies having parts of helical shape external screw-threads ; Making dies for thread rolling
    • B21H3/04Making by means of profiled-rolls or die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HMAKING PARTICULAR METAL OBJECTS BY ROLLING, e.g. SCREWS, WHEELS, RINGS, BARRELS, BALLS
    • B21H3/00Making helical bodies or bodies having parts of helical shape
    • B21H3/02Making helical bodies or bodies having parts of helical shape external screw-threads ; Making dies for thread rolling
    • B21H3/04Making by means of profiled-rolls or die rolls
    • B21H3/042Thread-rolling heads
    • B21H3/046Thread-rolling heads working radi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에 제1나선홈(111)을 형성하는 하부금형(110); 하부에 상기 제1나선홈(111)의 위치와 동일하도록 제2나선홈(121)을 형성하되 상기 제1나선홈(111)과 제2나선홈(121)의 내부에 원형관(10)을 삽입하여 상기 하부금형(110)의 상부면과 맞닿도록 설치하는 상부금형(120); 상기 원형관(10)의 내경에 삽입하여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원형관(10)의 내측면을 외측으로 밀어서 상기 제1나선홈(111) 및 제2나선홈(121)의 내부에 밀착하도록 압입시키기 위한 압입부재(130);로 이루어지는 나선관 제조장비 및 상부에 제1나선홈(111)을 형성하는 하부금형(110); 하부에 상기 제1나선홈(111)의 위치와 동일하도록 제2나선홈(121)을 형성하는 상부금형(120); 상기 원형관(10)의 내경에 삽입하여 전진 또는 후진함과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압입부재(130);로 이루어지는 나선관 제조장비를 이용하는 나선관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나선홈(111) 및 제2나선홈(121)의 내부에 원형관(10)을 삽입한 후 상기 하부금형(110)과 상부금형(120)을 서로 맞닿도록 설치하는 제1단계; 상기 원형관(10)의 내경에 상기 압입부재(130)를 삽입하여 전진 또는 후진시켜 원형관(10)의 내측면을 외측으로 밀어서 상기 제1나선홈(111) 및 제2나선홈(121)의 내부에 밀착하도록 압입시켜 나선관(20)을 제조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지는 나선관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원형관을 압입시켜 나선관을 제조하므로 종래와 같이 얇은 판재를 나선형태로 말아서 제조하는 방식에 비해 제조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접합부분에 대한 용접 또는 융착 작업을 진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접합부분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부하 및 충격으로 인해서 쉽게 떨어지거나 분리되지 않으므로 내구성 및 사용수명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나선관 제조장비 및 방법{Spiral pip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나선관 제조장비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나선관의 제작시간을 단축하고 비용을 절감하며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나선관 제조장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선관은 표면에 나선형태의 홈을 형성하여 지지력을 향상하고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나선관은 얇은 판재를 나선형태로 말아서 제조하므로 제조과정이 복잡하고 제조시간이 증가하여 작업효율을 저하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특히 얇은 판재를 나선형태로 말아서 제조한 후 접합부분을 별도의 용접 또는 융착 작업을 진행해야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이때 접합부분이 부하 및 충격으로 인해서 쉽게 떨어져 내구성 및 사용수명을 단축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1994-0025663호(1994.12.08)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34349호(2001.09.26)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87263호(2002.08.27) 한국공개특허 제10-2003-0027129호(2003.04.07)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009713호(2004.01.31)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110967호(2004.12.31)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09841호(2013.10.0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금형 사이에 원형관(파이프)을 고정한 후 원형관의 내부에 압입부재를 통과시켜 원형관의 표면이 금형의 내측에 형성한 나선홈에 밀착하도록 변형시켜 나선관을 제조할 수 있는 나선관 제조장비 및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나선관 제조장비(100)는,
상부에 제1나선홈(111)을 형성하는 하부금형(110); 하부에 상기 제1나선홈(111)의 위치와 동일하도록 제2나선홈(121)을 형성하되 상기 제1나선홈(111)과 제2나선홈(121)의 내부에 원형관(10)을 삽입하여 상기 하부금형(110)의 상부면과 맞닿도록 설치하는 상부금형(120); 상기 원형관(10)의 내경에 삽입하여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원형관(10)의 내측면을 외측으로 밀어서 상기 제1나선홈(111) 및 제2나선홈(121)의 내부에 밀착하도록 압입시키기 위한 압입부재(1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압입부재(130)는 전방에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전몸체(131); 상기 회전몸체(131)의 외측면에 나선형태로 빙둘러 배열하는 다수개의 압입돌기(13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압입돌기(132)는 공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나선관 제조방법은,
상부에 제1나선홈(111)을 형성하는 하부금형(110); 하부에 상기 제1나선홈(111)의 위치와 동일하도록 제2나선홈(121)을 형성하는 상부금형(120); 상기 원형관(10)의 내경에 삽입하여 전진 또는 후진함과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압입부재(130);로 이루어지는 나선관 제조장비를 이용하는 나선관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나선홈(111) 및 제2나선홈(121)의 내부에 원형관(10)을 삽입한 후 상기 하부금형(110)과 상부금형(120)을 서로 맞닿도록 설치하는 제1단계;
상기 원형관(10)의 내경에 상기 압입부재(130)를 삽입하여 전진 또는 후진시켜 원형관(10)의 내측면을 외측으로 밀어서 상기 제1나선홈(111) 및 제2나선홈(121)의 내부에 밀착하도록 압입시켜 나선관(20)을 제조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원형관을 압입시켜 나선관을 제조하므로 종래와 같이 얇은 판재를 나선형태로 말아서 제조하는 방식에 비해 제조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접합부분에 대한 용접 또는 융착 작업을 진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접합부분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부하 및 충격으로 인해서 쉽게 떨어지거나 분리되지 않으므로 내구성 및 사용수명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나선관 제조장비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과 원형관의 결합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나선관 제조장비의 사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나선관 제조장비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과 원형관의 결합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나선관 제조장비의 사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나선관 제조장비는,
상부에 제1나선홈(111)을 형성하는 하부금형(110); 하부에 상기 제1나선홈(111)의 위치와 동일하도록 제2나선홈(121)을 형성하되 상기 제1나선홈(111)과 제2나선홈(121)의 내부에 원형관(10)을 삽입하여 상기 하부금형(110)의 상부면과 맞닿도록 설치하는 상부금형(120); 상기 원형관(10)의 내경에 삽입하여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원형관(10)의 내측면을 외측으로 밀어서 상기 제1나선홈(111) 및 제2나선홈(121)의 내부에 밀착하도록 압입시키기 위한 압입부재(130);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하부금형(110)과 상부금형(120)은 서로 맞닿은 상태로 원형관(10)을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1나선홈(111) 및 제2나선홈(121)은 상기 압입부재(130)가 원형관(10)의 내부에 삽입한 상태로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압입할 경우 원형관(10)의 표면이 상기 제1나선홈(111) 및 제2나선홈(121)의 내부에 밀착하도록 늘어나면서 나선관(20)을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나선홈(111) 및 제2나선홈(121)은 나선관(20)의 제조규격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 및 간격(피치)을 갖도록 형성한다.
한편, 상기 압입부재(130)는 상기 원형관(10)의 내경에 삽입하여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원형관(10)의 내측면을 외측으로 밀어서 상기 제1나선홈(111) 및 제2나선홈(121)의 내측면 밀착할 수 있도록 압입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이때 상기 압입부재(130)는 전방에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전몸체(131); 상기 회전몸체(131)의 외측면에 나선형태로 빙둘러 배열하는 다수개의 압입돌기(13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압입부재(130)는 실린더 또는 모터 등과 같은 구동수단과 연결하여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특히 상기 압입돌기(132)는 상기 원형관(10)의 내측면을 밀어서 상기 제1나선홈(111) 및 제2나선홈(121)의 내측면이 원형관(10)의 외측면에 밀착하여 나선홈의 형상과 동일하도록 압입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압입돌기(132)의 배열 간격 및 각도는 상기 제1나선홈(111) 및 제2나선홈(121)의 간격 및 각도와 동일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압입돌기(132)는 원형으로 원형관(10)의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하여 이동과정에서 원형관(10)의 내측면을 밀어서 외측으로 압입시킬 수 있음은 물론 공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원형관(10)의 내측면을 압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몸체(131)는 원형관(10)의 내부에 삽입하여 전진 또는 후진할 경우 상기 압입돌기(132)가 상기 제1나선홈(111) 및 제2나선홈(121)을 따라서 나선방향으로 자연스럽게 회전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나선관(20)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 나선관 제조방법은,
상부에 제1나선홈(111)을 형성하는 하부금형(110); 하부에 상기 제1나선홈(111)의 위치와 동일하도록 제2나선홈(121)을 형성하는 상부금형(120); 상기 원형관(10)의 내경에 삽입하여 전진 또는 후진함과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압입부재(130);로 이루어지는 나선관 제조장비를 이용하는 나선관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나선홈(111) 및 제2나선홈(121)의 내부에 원형관(10)을 삽입한 후 상기 하부금형(110)과 상부금형(120)을 서로 맞닿도록 설치하는 제1단계;
상기 원형관(10)의 내경에 상기 압입부재(130)를 삽입하여 전진 또는 후진시켜 원형관(10)의 내측면을 외측으로 밀어서 상기 제1나선홈(111) 및 제2나선홈(121)의 내부에 밀착하도록 압입시켜 나선관(20)을 제조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1단계는 상기 제1나선홈(111) 및 제2나선홈(121)의 내부에 원형관(10)을 삽입한 후 상기 하부금형(110)과 상부금형(120)을 서로 맞닿도록 설치하여 원형관(10)을 견고하게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제1나선홈(111) 및 제2나선홈(121)은 원형관(10)의 외측면이 늘어날 경우 나선형태로 변형될 수 있도록 성형틀 역할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압입부재(130)를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원형관(10)의 내측면을 외측으로 밀어서 상기 제1나선홈(111) 및 제2나선홈(121)의 내부에 밀착하여 압입시킴으로써 나선관(20)을 제조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 원형관 20: 나선관
100: 본 발명 나선관 제조장비
110: 하부금형 111: 제1나선홈
120: 상부금형 121: 제2나선홈
130: 압입부재 131: 회전몸체
132: 압입돌기

Claims (4)

  1. 상부에 제1나선홈(111)을 형성하는 하부금형(110); 하부에 상기 제1나선홈(111)의 위치와 동일하도록 제2나선홈(121)을 형성하되 상기 제1나선홈(111)과 제2나선홈(121)의 내부에 원형관(10)을 삽입하여 상기 하부금형(110)의 상부면과 맞닿도록 설치하는 상부금형(120); 상기 원형관(10)의 내경에 삽입하여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원형관(10)의 내측면을 외측으로 밀어서 상기 제1나선홈(111) 및 제2나선홈(121)의 내부에 밀착하도록 압입시키기 위한 압입부재(130);로 이루어지되, 상기 압입부재(130)는 전방에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전몸체(131); 상기 회전몸체(131)의 외측면에 나선형태로 빙둘러 배열하는 다수개의 압입돌기(13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관 제조장비.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돌기(132)는 공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관 제조장비.
  4. 상부에 제1나선홈(111)을 형성하는 하부금형(110); 하부에 상기 제1나선홈(111)의 위치와 동일하도록 제2나선홈(121)을 형성하는 상부금형(120); 원형관(10)의 내경에 삽입하여 전진 또는 후진함과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압입부재(130)를 형성하되, 상기 압입부재(130)는 전방에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전몸체(131); 상기 회전몸체(131)의 외측면에 나선형태로 빙둘러 배열하는 다수개의 압입돌기(132);로 이루어지는 나선관 제조장비를 이용하는 나선관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나선홈(111) 및 제2나선홈(121)의 내부에 원형관(10)을 삽입한 후 상기 하부금형(110)과 상부금형(120)을 서로 맞닿도록 설치하는 제1단계;
    상기 원형관(10)의 내경에 상기 압입부재(130)를 삽입하여 전진 또는 후진시켜 상기 압입돌기(132)가 원형관(10)의 내측면을 외측으로 밀어서 상기 제1나선홈(111) 및 제2나선홈(121)의 내부에 밀착하도록 압입시켜 나선관(20)을 제조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관 제조방법.
KR1020160087877A 2016-07-12 2016-07-12 나선관 제조장비 및 방법 KR101898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877A KR101898195B1 (ko) 2016-07-12 2016-07-12 나선관 제조장비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877A KR101898195B1 (ko) 2016-07-12 2016-07-12 나선관 제조장비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111A KR20180007111A (ko) 2018-01-22
KR101898195B1 true KR101898195B1 (ko) 2018-09-12

Family

ID=61094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877A KR101898195B1 (ko) 2016-07-12 2016-07-12 나선관 제조장비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19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111A (ko) 2018-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0626B2 (en) Pipe bend die unit, and pipe bending apparatus having the unit
KR20130102118A (ko) 드라이브 플레이트의 제조 장치, 드라이브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US20130202241A1 (en) Roller bearing ca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8516682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a stator core of rotating electrical machine
JP2008018434A (ja) かしめパンチ及び同かしめパンチを具備するかしめ装置
JP2012533436A5 (ko)
US7985496B2 (en) Side terminal and insert,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ame
KR101898195B1 (ko) 나선관 제조장비 및 방법
CN107453564A (zh) 用于定子铁芯的整形工装和整形方法
JP2012210666A (ja) フランジ一体型波付管の製造方法、フランジ一体型波付管、および前記製造方法に用いられる波付管用の切断装置
JP2009078285A (ja) スプライン部材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CN201829795U (zh) 一种电缆接头压扁模
JP5541432B1 (ja) 鋼管の製造方法
JP4492296B2 (ja) カップ状部品の成形方法及び成形装置
JP2007216273A (ja) かしめ装置
CN112845783B (zh) 一种w型金属封严环的旋压成形方法与旋压装置
JP5783598B2 (ja) パイプ状部材の曲げ成形装置
JP5573389B2 (ja) 歯車成形装置及び方法
CN113458787A (zh) 一种螺盖的制造方法及其制造装置
JP2005121216A5 (ko)
CN106981750B (zh) 一种多触点式接触件及其加工方法
JP2005302448A (ja) 被覆電線の端末接続方法、スリーブ仮接続用プレス装置及び電線接続用導電性スリーブ
WO2014188490A1 (ja) 鋼管の製造方法
KR0142241B1 (ko) 금속파이프의 결합부 성형방법 및 그 장치
CN220903208U (zh) 推力螺母辅助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