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7471B1 - 블록 연결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조립식 블록 세트 - Google Patents
블록 연결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조립식 블록 세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97471B1 KR101897471B1 KR1020170116406A KR20170116406A KR101897471B1 KR 101897471 B1 KR101897471 B1 KR 101897471B1 KR 1020170116406 A KR1020170116406 A KR 1020170116406A KR 20170116406 A KR20170116406 A KR 20170116406A KR 101897471 B1 KR101897471 B1 KR 1018974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plate
- pair
- engaging
- hoo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62—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with clip or snap mechanism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블록 연결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조립식 블록 세트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블록 연결 모듈은 판형 블록이 삽입되도록 내부가 빈 구조를 가지며, 상기 판형 블록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절취홈부에 대응되게 마련되되 연결 손잡이의 결합 돌기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돌기 결합홀을 구비하는 모듈 바디; 및 상기 모듈 바디 내에 마련되며, 상기 판형 블록의 후크 걸림홀에 착탈 가능하게 걸려 지지되는 다수의 후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블록 연결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조립식 블록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판형 블록들의 연결부위에 대한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블록 연결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조립식 블록 세트에 관한 것이다.
블록(block)을 조립해서 만드는 교구, 즉 조립식 블록 세트는 육면체 또는 판형으로 된 기본 블록들을 상호 조립해서 다양한 형상의 모형물을 만들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조립식 블록 세트는 어린이들에게 공간지각 능력을 포함하는 창의력을 배양시키는 놀이용 학습 교구로 널리 활용될 수 있다.
기본 블록의 경우, 교육 내용과 학습자의 연령에 따라 육면체 블록과 판형 블록이 달리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판형 블록은 육면체 블록보다 좀 더 복잡하고 다양한 형상을 만들기에 유리하며, 이로 인해 공간적인 창조성 교육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선호도가 높다.
한편, 판형 블록은 육면체 블록과 달리 종이와 같은 연질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는데, 만약 판형 블록을 연결하는 연결부위의 결합력이 약할 경우, 원하는 형상을 만들기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만들어진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지 못하고, 또한 내구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신개념의 조립식 블록 세트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판형 블록들의 연결부위에 대한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블록 연결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조립식 블록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서는 아래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블록 연결 모듈을 제공한다.
판형 블록이 삽입되도록 내부가 빈 구조를 가지며, 상기 판형 블록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절취홈부에 대응되게 마련되되 연결 손잡이의 결합 돌기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돌기 결합홀을 구비하는 모듈 바디; 및
상기 모듈 바디 내에 마련되며, 상기 판형 블록의 후크 걸림홀에 착탈 가능하게 걸려 지지되는 다수의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연결 모듈.
상기 후크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되 상기 후크 걸림홀에 걸리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의 양단부에서 대칭되게 형성되며, 단부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한 쌍의 경사형 걸림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는 상기 돌기 결합홀을 사이에 두고 적어도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후크가 다수 쌍인 경우, 적어도 어느 한 쌍은 사출 시 금형이 빠질 수 있게끔 상기 한 쌍의 경사형 걸림 가이드부 중 하나가 제거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서는 아래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조립식 블록 세트를 제공한다.
절취홈부와, 상기 절취홈부의 양측에 마련되는 다수의 후크 걸림홀을 구비하며, 여러 형상을 갖는 다수의 판형 블록;
상기 판형 블록의 절취홈부에 대응되게 돌기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판형 블록의 절취홈부 영역에 결합되는 블록 연결 모듈; 및
이웃된 한 쌍의 판형 블록의 조립을 위해 상기 블록 연결 모듈의 돌기 결합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돌기를 구비하는 연결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 세트.
상기 블록 연결 모듈은,
상기 판형 블록이 삽입되도록 내부가 빈 구조를 가지며, 상기 돌기 결합홀을 구비하는 모듈 바디; 및
상기 모듈 바디 내에 마련되며, 상기 판형 블록의 후크 걸림홀에 착탈 가능하게 걸려 지지되는 다수의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되 상기 후크 걸림홀에 걸리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의 양단부에서 대칭되게 형성되며, 단부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한 쌍의 경사형 걸림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는 상기 돌기 결합홀을 사이에 두고 적어도 한 쌍으로 배치되며,
상기 후크가 다수 쌍인 경우, 적어도 어느 한 쌍은 사출 시 금형이 빠질 수 있게끔 상기 한 쌍의 경사형 걸림 가이드부 중 하나가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판형 블록들의 연결부위에 대한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판형 블록들을 이용해서 원하는 형상을 만들기가 쉬울 뿐만 아니라 만들어진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기에 유리하다. 또한 부품들의 내구성이 높아질 수 있어서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록 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4는 제1 판형 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판형 블록에 블록 연결 모듈이 결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6은 블록 연결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측면도이다.
도 9는 후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록 연결 모듈의 평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블록 연결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평단면도이다.
도 13은 후크의 변형 실시예이다.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4는 제1 판형 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판형 블록에 블록 연결 모듈이 결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6은 블록 연결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측면도이다.
도 9는 후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록 연결 모듈의 평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블록 연결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평단면도이다.
도 13은 후크의 변형 실시예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록 세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제1 판형 블록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제1 판형 블록에 블록 연결 모듈이 결합된 상태의 도면, 도 6은 블록 연결 모듈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평단면도, 도 8은 도 6의 측면도, 도 9는 후크의 확대 사시도,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제1 내지 제3 판형 블록(110,110a,110b)들의 연결부위에 대한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다수의 블록 연결 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 및 도 2처럼 3개의 제1 내지 제3 판형 블록(110,110a,110b)을 연결해서 일정한 형상을 갖는 하나의 부재로 만들고자 할 때, 제1 내지 제3 판형 블록(110,110a,110b) 간의 연결부위에 대한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수의 블록 연결 모듈(130)이 사용된다.
블록 연결 모듈(130)들은 제1 내지 제3 판형 블록(110,110a,110b)의 외주면에 각각 미리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제1 내지 제3 판형 블록(110,110a,110b) 간의 연결부위에 대한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블록 연결 모듈(130)에 권리범위가 적용되는데, 이에 더하여 도 1 및 도 2처럼 블록 연결 모듈(130)을 이용해서 만들어지는 조립식 블록 세트(100)에도 그 권리범위가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및 도 2처럼 블록 연결 모듈(130)을 이용해서 만들어지는 조립식 블록 세트(100)를 기준으로 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와 같은 조립을 위해 조립식 블록 세트(100)는 판형 블록(110,110a,110b), 블록 연결 모듈(130) 및 연결 손잡이(120)가 각각 다수 개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모양이 서로 다른 3장의 제1 내지 제3 판형 블록(110,110a,110b)을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다. 따라서 판형 블록(110,110a,110b)은 2장이 사용될 수도 있고 혹은 4장 이상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도 1 및 도 2와 다른 모양의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를 참조하여 제1 판형 블록(110)에 대해 설명한다. 제2 및 제3 판형 블록(110a,110b)은 형상만 다를 뿐 제1 판형 블록(110)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판형 블록(110)은 일정한 두께로 된 판상체의 부재이다. 종이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제1 판형 블록(110)의 둘레에는 절취홈부(111)가 형성된다. 절취홈부(111)는 제1 판형 블록(110)의 둘레면을 따라 다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절취홈부(111)는 블록 연결 모듈(130)이 결합되는 장소를 이루며, 블록 연결 모듈(130)의 돌기 결합홀(141)과 대응된다. 블록 연결 모듈(130)이 결합되고 나면 절취홈부(111)와 돌기 결합홀(141)이 서로 연통될 수 있으며, 이곳으로 연결 손잡이(120)의 결합 돌기(121, 도 2 참조)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절취홈부(111)를 기준으로 절취홈부(111)의 양측에는 다수의 후크 걸림홀(112)이 형성된다. 후크 걸림홀(112)은 블록 연결 모듈(130)의 후크(150)가 결합되는 장소로 활용된다.
한편, 블록 연결 모듈(130)은 제1 판형 블록(110) 둘레에 결합되는 부재이다. 제2 및 제3 판형 블록(110a,110b)에 결합되는 블록 연결 모듈(130) 역시, 동일하다.
블록 연결 모듈(130)은 제1 판형 블록(110)의 절취홈부(111)에 대응되게 돌기 결합홀(141)이 형성되며, 판형 블록(110)의 절취홈부(111) 영역에 하나씩 결합되어 제1 내지 제3 판형 블록(110,110a,110b) 간의 연결부위에 대한 결합력을 향상시킨다.
블록 연결 모듈(130)은 제1 판형 블록(110)이 삽입되도록 내부가 빈 구조를 가지며, 돌기 결합홀(141)을 구비하는 모듈 바디(140)와, 모듈 바디(140) 내에 마련되며, 제1 판형 블록(110)의 후크 걸림홀(112)에 착탈 가능하게 걸려 지지되는 다수의 후크(150)를 포함한다.
후크(1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높이를 가지되 후크 걸림홀(112)에 걸리는 걸림부(151)와, 걸림부(151)의 양단부에서 대칭되게 형성되며, 단부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한 쌍의 경사형 걸림 가이드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151)의 돌출 높이는 최대한 적은 힘으로 넣으면서도 잘 빠지지 않는 높이가 바람직한데 0.3mm 내지 0.7mm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7mm보다 높으면 끼우기 힘들고, 0.3mm보다 낮으면 빠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걸림부(151)의 돌출 높이가 0.3mm 내지 0.7mm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후크(150)는 돌기 결합홀(141)을 사이에 두고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후크(150)가 한 쌍으로 배치되는 것을 고려해볼 때, 도 4의 제1 판형 블록(110)의 후크 걸림홀(112) 역시, 2개가 마련될 수도 있다.
하지만, 후크(150)의 개수가 더 많아질 수도 있다는 점을 고려해보면, 공용으로 적용하기 위해 도 4의 제1 판형 블록(110)에 형성되는 후크 걸림홀(112)의 개수가 많은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연결 손잡이(120)는 이웃된 한 쌍의 제1 및 제2 판형 블록(110,110a) 또는 이웃된 한 쌍의 제2 및 제3 판형 블록(110a,110b)의 조립을 위해 블록 연결 모듈(130)에 결합된다.
연결 손잡이(120)에는 결합 돌기(121)가 마련되는데, 이러한 결합 돌기(121)가 블록 연결 모듈(130)의 돌기 결합홀(14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식으로 이웃된 한 쌍의 제1 및 제2 판형 블록(110,110a) 또는 이웃된 한 쌍의 제2 및 제3 판형 블록(110a,110b)이 조립될 수 있게끔 한다.
하나의 연결 손잡이(120)는 이웃된 2개의 블록 연결 모듈(130)에 결합되며, 이웃된 한 쌍의 제1 및 제2 판형 블록(110,110a) 또는 이웃된 한 쌍의 제2 및 제3 판형 블록(110a,110b)이 조립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조립식 블록 세트(100)의 사용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4와 같은 제1 판형 블록(110)의 해당 위치에 도 5처럼 블록 연결 모듈(130)들을 미리 결합시킨다. 이때는 후크(150)의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해 블록 연결 모듈(130)들을 제1 판형 블록(110)에 밀어 넣는 정도만으로도 제1 판형 블록(110)에 블록 연결 모듈(130)들을 손쉽게 결합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제2 및 제3 판형 블록(110a,110b)에도 블록 연결 모듈(130)들을 결합시킨다.
그런 다음, 연결 손잡이(120)들의 결합 돌기(121)가 이웃된 2개의 블록 연결 모듈(130)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한 쌍의 제1 및 제2 판형 블록(110,110a) 또는 이웃된 한 쌍의 제2 및 제3 판형 블록(110a,110b)이 조립되어 도 1 및 도 2와 같은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예 따르면, 제1 내지 제3 판형 블록(110,110a,110b)들의 연결부위에 대한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판형 블록(110,110a,110b)들을 이용해서 원하는 형상을 만들기가 쉬울 뿐만 아니라 만들어진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기에 유리하다. 또한 부품들의 내구성이 높아질 수 있어서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록 연결 모듈의 평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블록 연결 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평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0에 도시된 블록 연결 모듈(230)에는 4개의 동일한 후크(150)가 마련된다.
이에 반해,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블록 연결 모듈(330)에는 2개의 후크(150)와, 2개의 변형 후크(150a)가 마련된다. 2개의 변형 후크(150a)는 후크(150)를 이루는 한 쌍의 경사형 걸림 가이드부(152) 중 하나가 제거된 것일 뿐 작용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참고로, 변형 후크(150a)를 적용하면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블록 연결 모듈(330)의 사출 시 금형에서 잘 빠질 수 있어서 생산성이 우수해질 수 있다.
도 13은 후크의 변형 실시예이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후크(450)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되 후크 걸림홀(112, 도 4 참조)에 걸리는 걸림부(451)와, 걸림부(451)의 양단부에서 대칭되게 형성되며, 단부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한 쌍의 경사형 걸림 가이드부(452)를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후크(450)에는 보강 리브(453)가 더 마련된다. 보강 리브(453)들은 한 쌍의 경사형 걸림 가이드부(45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데, 후크(450)의 결합력을 배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조립식 블록 세트 110,110a,110b: 판형 블록
111: 절취홈부 112: 후크 걸림홀
120: 연결 손잡이 121: 결합 돌기
130: 블록 연결 모듈 140: 모듈 바디
141: 돌기 결합홀 150: 후크
151: 걸림부 152: 경사형 걸림 가이드부
111: 절취홈부 112: 후크 걸림홀
120: 연결 손잡이 121: 결합 돌기
130: 블록 연결 모듈 140: 모듈 바디
141: 돌기 결합홀 150: 후크
151: 걸림부 152: 경사형 걸림 가이드부
Claims (8)
- 판형 블록이 삽입되도록 내부가 빈 구조를 가지며, 상기 판형 블록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절취홈부에 대응되게 마련되되 연결 손잡이의 결합 돌기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돌기 결합홀을 구비하는 모듈 바디; 및
상기 모듈 바디 내에 마련되며, 상기 판형 블록의 후크 걸림홀에 착탈 가능하게 걸려 지지되는 다수의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되 상기 후크 걸림홀에 걸리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의 양단부에서 대칭되게 형성되며, 단부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한 쌍의 경사형 걸림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 결합홀을 사이에 두고 적어도 한 쌍으로 배치되며,
상기 후크가 다수 쌍인 경우, 적어도 어느 한 쌍은 사출 시 금형이 빠질 수 있게끔 상기 한 쌍의 경사형 걸림 가이드부 중 하나가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연결 모듈.
- 삭제
- 삭제
- 삭제
- 절취홈부와, 상기 절취홈부의 양측에 마련되는 다수의 후크 걸림홀을 구비하며, 여러 형상을 갖는 다수의 판형 블록;
상기 판형 블록의 절취홈부에 대응되게 돌기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판형 블록의 절취홈부 영역에 결합되는 블록 연결 모듈; 및
이웃된 한 쌍의 판형 블록의 조립을 위해 상기 블록 연결 모듈의 돌기 결합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돌기를 구비하는 연결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 연결 모듈은,
상기 판형 블록이 삽입되도록 내부가 빈 구조를 가지며, 상기 돌기 결합홀을 구비하는 모듈 바디; 및 상기 모듈 바디 내에 마련되며, 상기 판형 블록의 후크 걸림홀에 착탈 가능하게 걸려 지지되는 다수의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되 상기 후크 걸림홀에 걸리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의 양단부에서 대칭되게 형성되며, 단부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한 쌍의 경사형 걸림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 결합홀을 사이에 두고 적어도 한 쌍으로 배치되며,
상기 후크가 다수 쌍인 경우, 적어도 어느 한 쌍은 사출 시 금형이 빠질 수 있게끔 상기 한 쌍의 경사형 걸림 가이드부 중 하나가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 세트.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6406A KR101897471B1 (ko) | 2017-09-12 | 2017-09-12 | 블록 연결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조립식 블록 세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6406A KR101897471B1 (ko) | 2017-09-12 | 2017-09-12 | 블록 연결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조립식 블록 세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97471B1 true KR101897471B1 (ko) | 2018-09-12 |
Family
ID=63592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16406A KR101897471B1 (ko) | 2017-09-12 | 2017-09-12 | 블록 연결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조립식 블록 세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97471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26670B1 (ko) * | 2014-01-08 | 2014-08-06 | 유승환 | 판형 단위 블록 및 판형 단위 블록 세트 |
KR20140100233A (ko) | 2013-02-06 | 2014-08-14 | 주식회사 삼원하이텍 | 비상등 겸용 센서등 |
KR101508097B1 (ko) * | 2014-06-03 | 2015-04-07 | 최소영 | 유희 연결구 |
US9694293B1 (en) * | 2016-09-19 | 2017-07-04 | Yen-Po Chiu | Multipurpose game apparatus |
-
2017
- 2017-09-12 KR KR1020170116406A patent/KR10189747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100233A (ko) | 2013-02-06 | 2014-08-14 | 주식회사 삼원하이텍 | 비상등 겸용 센서등 |
KR101426670B1 (ko) * | 2014-01-08 | 2014-08-06 | 유승환 | 판형 단위 블록 및 판형 단위 블록 세트 |
KR101508097B1 (ko) * | 2014-06-03 | 2015-04-07 | 최소영 | 유희 연결구 |
US9694293B1 (en) * | 2016-09-19 | 2017-07-04 | Yen-Po Chiu | Multipurpose game apparatu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97621B1 (ko) | 조립 구조체 | |
JPH08332104A (ja) | 紐止め具 | |
NO124944B (ko) | ||
JP3193285U (ja) | Mpo改良型光ファイバアダプタ | |
KR101447679B1 (ko) | 조립식 블록 완구 | |
CN106861211B (zh) | 拼插积木基座 | |
JP2021051067A (ja) | 携行型時計のためのケースミドル部/ホーンの接続デバイス | |
KR101897471B1 (ko) | 블록 연결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조립식 블록 세트 | |
KR101994409B1 (ko) | 소마큐브 조립구조 | |
US9201199B2 (en) | One-piece optical fiber adapter | |
JP2020075004A (ja) | タイヤ展示台 | |
KR20200139334A (ko) | 고정 키를 이용하여 조립이 용이한 모듈형 캣타워 | |
JP5889262B2 (ja) | 建具用引手と該引手を利用した引戸 | |
US9449586B2 (en) | Keyboard device | |
KR101385989B1 (ko) | 조립식 블록 완구 | |
JP6838061B2 (ja) | 防振装置 | |
KR101250530B1 (ko) | 블록교구 | |
KR102519938B1 (ko) | 3단분리형의 6면조립형 블록교구 | |
JP6154499B1 (ja) | コンテナ | |
KR20190130256A (ko) | 조립식 가구 | |
RU192739U1 (ru) | Клипса | |
JP2017170107A (ja) | 玩具組み立てパーツ | |
KR101426670B1 (ko) | 판형 단위 블록 및 판형 단위 블록 세트 | |
KR101736658B1 (ko) | 조립식가구의 체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조립식가구 | |
JP2021137085A (ja) | 組立玩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