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6966B1 - 차량용 시트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6966B1
KR101896966B1 KR1020170053996A KR20170053996A KR101896966B1 KR 101896966 B1 KR101896966 B1 KR 101896966B1 KR 1020170053996 A KR1020170053996 A KR 1020170053996A KR 20170053996 A KR20170053996 A KR 20170053996A KR 101896966 B1 KR101896966 B1 KR 101896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front frame
hinged
link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3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지성
박형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홀딩스
Priority to KR1020170053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9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63Cushion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 B60N2/3065Cushion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in a longitudinal-vertical pl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시트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장치는: 시트부의 전방에 힌지 연결되는 전방프레임과, 전방프레임을 지지하며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레일이동부와, 차체에 고정되며 레일이동부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레일부와, 전방프레임의 몸체에 힌지 연결되는 횡측링크부와, 횡측링크부와 시트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차체에 고정되는 후방지지부 및 횡측링크부와 시트부에 양측이 힌지 연결되는 연결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장치{SEAT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은 힘으로도 차량의 시트쿠션을 용이하게 접어서 수납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2열 혹은 3열 이상의 시트를 가진 차량의 경우 많은 인원을 탑승시키거나 화물공간을 위하여 시트배열을 적절히 변화시켜 차량 내 플로어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는 기능성 시트를 제공한다.
레저용 또는 화물용 승합차량에 설치된 리어시트는 물건을 실을 때 공간 확보를 위하여 접혀는 폴딩 동작과, 접철된 시트를 플로어에 마련된 격납 공간에 완전히 격납하여 공간활용도늘 높일 수 있다.
종래에는 차량의 시트쿠션을 접어서 차량의 플로어에 수납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넓은 작동공간이 요구되며, 차량용 시트를 접고 펼치는 동작에 많이 힘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63910호(2013.06.17 공개, 발명의 명칭: 다목적 차량용 후석 시트의 격납장치)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힘으로도 차량의 시트쿠션을 용이하게 접어서 수납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는: 시트부의 전방에 힌지 연결되는 전방프레임과, 전방프레임을 지지하며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레일이동부와, 차체에 고정되며 레일이동부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레일부와, 전방프레임의 몸체에 힌지 연결되는 횡측링크부와, 횡측링크부와 시트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차체에 고정되는 후방지지부 및 횡측링크부와 시트부에 양측이 힌지 연결되는 연결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방프레임의 상측은 시트부에 힌지 연결되며, 레일이동부와 마주하는 전방프레임의 하측은 레일이동부가 삽입되어 걸리는 안착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횡측링크부는, 전방프레임에 힌지 연결되는 제1링크 및 제1링크와 후방지지부에 양측이 힌지 연결되는 제2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레일이동부는, 안착홈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전방프레임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바 및 지지바의 하측에 연결되며 안내레일부를 따라 직선 이동되는 이동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안내레일부는, 이동몸체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이동몸체부의 하측이 삽입되어 걸리는 레일홈부가 이동몸체부의 이동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는 전방프레임이 레일이동부와 함께 직선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이루어지므로, 비교적 적은 힘으로도 차량의 시트쿠션을 용이하게 접어서 수납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이동부와 안내레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링크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프레임에 레일이동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가 접혀지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가 접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이동부와 안내레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링크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프레임에 레일이동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가 접혀지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가 접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1)는, 시트부(10)의 전방에 힌지 연결되는 전방프레임(20)과, 전방프레임(20)을 지지하며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레일이동부(50)와, 차체에 고정되며 레일이동부(50)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레일부(60)와, 전방프레임(20)의 몸체에 힌지 연결되는 횡측링크부(30)와, 횡측링크부(30)와 시트부(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차체에 고정되는 후방지지부(70) 및 횡측링크부(30)와 시트부(10)에 양측이 힌지 연결되는 연결링크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트부(10)는 탑승자가 앉기 위해 의자모양으로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접혀지거나 의자 형상으로 펼쳐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부(10)는, 제1시트(12)와 제2시트(14)와 횡측바(15)와 엔드플레이트(16)와 등받이프레임(17)을 포함한다.
제1시트(12)는 탑승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시트로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제2시트(14)는 탑승자의 등받이를 지지하는 시트로 제1시트(12)의 후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시트(12)에 대하여 절첩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시트(12)와 제2시트(14)는 탑승자와 직접 접하는 부분으로 설정된 쿠션감을 제공한다.
횡측바(15)는 제1시트(12)를 지지하는 뼈대의 기능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횡측바(15)는 봉 형상이며, 2개가 한 쌍을 이루며 제1시트(12)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된다.
엔드플레이트(16)는 횡측바(15)의 양측을 이어주는 부재이며, 강성을 구비한 재질로 성형된다. 등받이프레임(17)은 제2시트(14)를 지지하는 프레임으로 제2시트(14)의 양측에 세어진 상태로 설치된다.
전방프레임(20)은 제1시트(12)의 전방(도 4기준 좌측)에 힌지 연결되는 프레임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프레임(20)의 상측은 제1시트(12)의 엔드플레이트(16)에 힌지 연결되며, 레일이동부(50)와 마주하는 전방프레임(20)의 하측은 레일이동부(50)가 삽입되어 걸리는 안착홈부(22)가 구비된다.
전방프레임(20)은 제1시트(12)의 양측에 설치된 엔드플레이트(16)에 각각 힌지 연결되며, 전방프레임(20)의 하단에는 오목한 형상의 안착홈부(22)가 구비된다. 이러한 안착홈부(22)에는 레일이동부(50)의 지지바(52)가 삽입되어 걸린다.
횡측링크부(30)는 전방프레임(20)의 몸체와 후방지지부(70)에 양측이 힌지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횡측링크부(30)는, 전방프레임(20)에 힌지 연결되는 제1링크(32)와 제1링크(32)와 후방지지부(70)에 양측이 힌지 연결되는 제2링크(34)를 포함한다.
제1링크(32)와 제2링크(34)는 막대 형상이며, 제1링크(32)는 제2링크(34)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시트부(10)에 탑승자가 앉는 상태에서 횡측링크부(30)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연결링크부(40)는 횡측링크부(30)와 제2시트(14)의 하단부에 양측이 힌지 연결된다. 시트부(10)가 세워진 상태에서 연결링크부(40)는 제1링크(32)의 몸체와 등받이프레임(17)의 하부에 힌지 연결되므로 시트부(10)가 세워진 상태에서 시트부(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레일이동부(50)는 전방프레임(20)의 하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이동부(50)는, 안착홈부(22)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전방프레임(20)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바(52) 및 지지바(52)의 하측에 연결되며 안내레일부(60)를 따라 직선 이동되는 이동몸체부(54)를 포함한다.
지지바(52)는 하측이 개구된 "ㄷ"자 형상으로 설치되며, 전방프레임(20)의 안착홈부(22)에 상측이 삽입되어 전방프레임(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지지바(52)의 하측에 연결된 이동몸체부(54)는 지지바(52)와 일체로 이동된다.
안내레일부(60)는 차체에 고정되며, 레일이동부(50)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레일부(60)는 이동몸체부(54)의 하측에 위치하며, 이동몸체부(54)의 하측이 삽입되어 걸리는 레일홈부(62)가 이동몸체부(54)의 이동경로를 따라 설치된다.
안내레일부(6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에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안내레일부(60)는 차체에 고정되어 이동이 구속되며, 안내레일부(60)의 상측에는 레일이동부(50)의 이동경로를 따라 직선 방향으로 레일홈부(62)가 형성된다.
이동몸체부(54)의 하측은 레일홈부(62)로 삽입되어 걸리므로, 이동몸체부(54)를 포함한 레일이동부(50)의 수평 이동이 비교적 적은 힘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후방지지부(70)는 횡측링크부(30)와 제1시트(12)의 후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차체에 고정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후방지지부(70)는 후방연결부(71)와 회전브라켓(72)과 고정브라켓(74)과 하부연결축(76)을 포함한다.
후방연결부(71)의 상측은 횡측바(15)에 고정되며 후방연결부(71)의 하측은 회전브라켓(72)에 고정된다. 회전브라켓(72)은 시트에 고정된 고정브라켓(74)과 마주하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봉 형상의 하부연결축(76)은 회전브라켓(72)과 고정브라켓(74)을 관통하며 수평으로 설치되므로, 회전브라켓(72)은 하부연결축(76)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제2링크(34)의 일단도 하부연결축(76)에 힌지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가 앉기 위해 시트부(10)가 세워진 상태에서, 시트부(10)의 하부는 전방프레임(20)과 후방지지부(70)와 횡측링크부(30)와 연결링크부(40)에 의해 지지된다.
시트부(10)를 접을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시트(14)를 제1시트(12)를 향한 방향으로 접는 절첩 동작을 수행한다. 이에 의해,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링크부(40)가 제2시트(14)에 상대적으로 접히는 선회동작으로 횡측링크부(30)를 후방으로 잡아당기게 된다. 그리고, 횡측링크부(30)의 후방 이동에 의해 전방프레임(20)이 후방으로 선회함으로써, 이와 동시에 전방프레임(20)의 하부를 지지하는 레일이동부(50)는 안내레일부(60)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되므로 제1시트(12)의 높이는 낮아진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이동부(50)가 안내레일부(60)를 따라 이동되는 동작이 계속되어 설정된 위치에 도달하면, 제2시트(14)는 완전히 접혀져서 차체의 상측과 평평한 상태를 유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방프레임(20)이 레일이동부(50)와 함께 직선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이루어지므로, 비교적 적은 힘으로도 차량의 시트쿠션을 용이하게 접어서 수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차량용 시트장치
10: 시트부 12: 제1시트 14: 제2시트 15: 횡측바 16: 엔드플레이트 17: 등받이프레임
20: 전방프레임 22: 안착홈부
30: 횡측링크부 32: 제1링크 34: 제2링크
40: 연결링크부
50: 레일이동부 52: 지지바 54: 이동몸체부
60: 안내레일부 62: 레일홈부
70: 후방지지부 71: 후방연결부 72: 회전브라켓 74: 고정브라켓 76: 하부연결축

Claims (5)

  1.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시트(12)와, 상기 제1시트(12)의 후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시트(12)에 대하여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시트(14)를 갖는 시트부(10)에 설치되는 차량용 시트장치에 있어서,
    상측이 상기 제1시트(12)의 전방에 힌지 연결되는 전방프레임(20); 상기 전방프레임(20)의 하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레일이동부(50); 차체에 고정되며 상기 레일이동부(50)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레일부(60); 상기 전방프레임(20)의 몸체에 힌지 연결되는 횡측링크부(30); 상기 횡측링크부(30)와 상기 제1시트(12)의 후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차체에 고정되는 후방지지부(70); 및 상기 횡측링크부(30)와 상기 제2시트(14)에 양측이 힌지 연결되는 연결링크부(40);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장치로서,
    상기 제1시트(12)에 대한 상기 제2시트(14)의 절첩 동작 시,
    상기 연결링크부(40)가 상기 제2시트(14)에 연동하여 선회함으로써 상기 횡측링크부(30)를 후방으로 잡아당기고, 상기 횡측링크부(30)에 의해 상기 전방프레임(20)이 후방으로 선회함과 동시에 상기 레일이동부(50)가 상기 안내레일부(60)를 따라 후방으로 직선 이동하여, 상기 제1 시트(12)의 높이를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프레임(20)의 상측은 상기 제1시트(12)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레일이동부(50)와 마주하는 상기 전방프레임(20)의 하측은 상기 레일이동부(50)가 삽입되어 걸리는 안착홈부(2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횡측링크부(30)는, 상기 전방프레임(20)에 힌지 연결되는 제1링크(32); 및
    상기 제1링크(32)와 상기 후방지지부(70)에 양측이 힌지 연결되는 제2링크(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이동부(50)는, 상기 안착홈부(22)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전방프레임(20)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바(52); 및
    상기 지지바(52)의 하측에 연결되며, 상기 안내레일부(60)를 따라 직선 이동되는 이동몸체부(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레일부(60)는, 상기 이동몸체부(54)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이동몸체부(54)의 하측이 삽입되어 걸리는 레일홈부(62)가 상기 이동몸체부(54)의 이동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장치.
KR1020170053996A 2017-04-26 2017-04-26 차량용 시트장치 KR101896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996A KR101896966B1 (ko) 2017-04-26 2017-04-26 차량용 시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996A KR101896966B1 (ko) 2017-04-26 2017-04-26 차량용 시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6966B1 true KR101896966B1 (ko) 2018-09-10

Family

ID=63594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3996A KR101896966B1 (ko) 2017-04-26 2017-04-26 차량용 시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9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40341A (ja) * 2019-02-27 2020-09-03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乗合車両および予約管理システ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57066A1 (en) * 2003-07-03 2005-03-17 Grupo Antolin-Ingenieria, S.A. Motor vehicle seat
JP2010274738A (ja) * 2009-05-27 2010-12-09 Toyota Boshoku Corp 乗物シート用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20140027408A (ko) * 2011-06-23 2014-03-06 마그나 시팅 인크. 플로어 격납 시트 조립체
KR20140108766A (ko) * 2013-02-27 2014-09-1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 격납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57066A1 (en) * 2003-07-03 2005-03-17 Grupo Antolin-Ingenieria, S.A. Motor vehicle seat
JP2010274738A (ja) * 2009-05-27 2010-12-09 Toyota Boshoku Corp 乗物シート用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20140027408A (ko) * 2011-06-23 2014-03-06 마그나 시팅 인크. 플로어 격납 시트 조립체
KR20140108766A (ko) * 2013-02-27 2014-09-1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 격납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40341A (ja) * 2019-02-27 2020-09-03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乗合車両および予約管理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9373B2 (en) Seat arrangement
US7077463B2 (en) Rear fold down cargo seat with tilt down cushion
JP4135523B2 (ja) 車両のシート装置
EP2305513A1 (en) Seat device for a vehicle
US7938471B2 (en) Deck board and mounting structure of deck board
US20050017532A1 (en) Seat device for vehicle
GB2434124A (en) A centre seat/console movable between front and rear positions in a vehicle
US7950712B2 (en) Deck board and mounting structure of deck board
WO2010098196A1 (ja) 車両用シート装置
US20070252404A1 (en) Adjustable rear seat
JP5298580B2 (ja) 車両用シート
KR101731848B1 (ko) 자동차 시트의 시트프레임
CA2874041C (en) Fold and kneel seat with rearward folding motion
KR101896966B1 (ko) 차량용 시트장치
KR101724915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JP4997797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102037075B1 (ko) 차량용 시트장치
JP2007253669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4505496B2 (ja) 車両用トノカバー装置
CN113942433B (zh) 车辆的座椅装置
JP2007230488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2011131662A (ja) 車両の後部荷室構造
JP2007230487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4165200B2 (ja) 車両の補助シート装置
JP4626396B2 (ja) 車両用後部荷室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