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6787B1 - 스텐션 파이프 유격 방지 마운팅 장치, 이를 적용한 마운팅 구조 및 마운팅 방법 - Google Patents

스텐션 파이프 유격 방지 마운팅 장치, 이를 적용한 마운팅 구조 및 마운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6787B1
KR101896787B1 KR1020160137744A KR20160137744A KR101896787B1 KR 101896787 B1 KR101896787 B1 KR 101896787B1 KR 1020160137744 A KR1020160137744 A KR 1020160137744A KR 20160137744 A KR20160137744 A KR 20160137744A KR 101896787 B1 KR101896787 B1 KR 101896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lider
mounting
sten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7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4092A (ko
Inventor
양준모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7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787B1/ko
Publication of KR20180044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4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60N3/02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characterised by the fix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 스텐션 파이프(310) 마운팅 장치(200)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텐션 파이프(310)의 유격으로 인한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스텐션 파이프(310)의 일측 단부에 고정 체결되는 몸체부(210)와 상기 몸체부(210)의 하단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220)를 포함하여, 스텐션 파이프(310)의 설치시 유격없이 차체에 고정할 수 있는 버스 스텐션 파이프(310) 유격 소음 방지 마운팅 장치(200), 이를 적용한 마운팅 구조 및 마운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텐션 파이프 유격 방지 마운팅 장치, 이를 적용한 마운팅 구조 및 마운팅 방법{STANCHION PIPE CLEARANCE PREVENTING MOUNTING APPARATUS, MOUNTING STRUCTURE AND MOUN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버스 스텐션 파이프 마운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텐션 파이프의 유격으로 인한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스텐션 파이프의 일측 단부에 고정 체결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스텐션 파이프의 설치시 유격없이 차체에 고정할 수 있는 버스 스텐션 파이프 유격 소음 방지 마운팅 장치 및 이를 적용한 마운팅 구조 및 마운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에서는 바닥면과 천정면을 연결하는 다수의 스텐션 파이프를 구비하며, 상기 스텐션 파이프는 양측 단부가 바닥면과 천정 사이에 수직하게 구비되어 버스의 외형 유지 및 탑승객의 안정성을 위한 손잡이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차체의 바닥과 천정사이 높이(DIM “A”)는 제조 산포에 의해 공차가 발생하고, 스텐션 파이프 조립시 높이 공차를 흡수할 수 있도록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었다.
즉, 종래에는 스텐션 파이프의 양측 단부를 차체에 고정함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는 바닥에 고정 설치된 마운팅 장치에 의해 바닥에 고정되도록 설치하고, 상단부는 천정에 고정 설치된 마운팅 장치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하 유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었다.
그러나 상단부가 상기 마운팅 장치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하 유동을 하면서, 마운팅 장치와의 마찰에 의한 소음 발생 및 도장면 손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377154 호 (2003.03.10)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스텐션 파이프의 유격으로 인한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스텐션 파이프의 일측 단부에 고정 체결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스텐션 파이프의 설치시 유격없이 차체에 고정할 수 있는 버스 스텐션 파이프 유격 소음 방지 마운팅 장치 및 이를 적용한 마운팅 구조 및 마운팅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션 파이프(310) 유격방지 마운팅 장치(200)는 버스의 스텐션 파이프(310)를 내부 장착면(100)에 고정하는 마운팅 장치(200)에 있어서, 하단부가 개방되고 중앙부에 파이프 삽입부(211)을 구비한 몸체부(210); 상기 하단부에 수용되어, 외측면이 상기 몸체부(210)의 내측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상하이동이 가능한 판 형상의 슬라이더(220); 상기 몸체부(210) 및 상기 슬라이더(220)를 수직 관통하여 차체에 체결하는 체결 볼트(230);를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 삽입부(211)는, 상기 스텐션 파이프(310)의 축방향 일측 단부 소정의 구간이 밀착 수용되는 파이프 삽입홀(212); 상기 파이프 삽입홀(212)의 측면에 형성되는 파이프 고정홀(213); 상기 파이프 삽입홀(212)에 상기 스텐션 파이프(31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 고정홀(213)과 상기 스텐션 파이프(310)를 외측으로부터 관통하여 상호 고정을 위한 고정 스크류(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210) 일측에는 상기 체결볼트(230)를 체결하기 위한 몸체부 체결홀(2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220)는 상기 체결 볼트(230)가 관통되어 상기
슬라이더(220)를 상기 장착면(100)에 고정하는 슬라이더 체결홀(2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220)는 상기 슬라이더 체결홀(222)의 내주면에 안착되고, 상기 체결볼트(230) 체결시 상기 체결볼트(230)의 외주면과 밀착되어 상기 슬라이더(220)의 수평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링 형상의 걸림턱(2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 체결홀(222)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턱(250)이 안착되기 위한 걸림턱 안착홈(2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턱(250)은 외주면이 상기 걸림턱 안착홈(221)에 밀착되되, 일정한 구간이 중심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 한 쌍의 볼트 접촉부(251,252)가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트 접촉부(251,252)는 상기 체결볼트(230)의 외주면과 밀착되어 상기 체결볼트(230)를 탄력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볼트(230)는 너트(260)와 체결되는 나사부(232); 상기 나사부(232)의 상부에 상기 나사부(232)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외주면이 상기 볼트 접촉부(251,252)와 밀착되는 고정부(231);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부(232)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볼트 접촉부(251,252)의 선단부 간의 거리는 상기 나사부(232)의 직경 이상이고, 상기 고정부(231)의 직경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션 파이프(310) 유격방지 마운팅 구조는 제 1항 내지 제 10항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스텐션 파이프(310) 유격방지 마운팅 장치(200); 축방향 양단부에 상기 마운팅장치(200) 체결용 홀이 형성된 스텐션 파이프(310);를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 장치(200)는 상기 스텐션 파이프(310)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체결되어, 상기 스텐션 파이프(310) 설치시 차체의 바닥패널과 천정패널 사이의 높이 공차를 상기 슬라이더(220)의 상하 이동을 통해 흡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션 파이프(310) 유격방지 마운팅 방법은 제 1항 내지 제 10항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스텐션 파이프(310) 유격방지 마운팅 장치(200)를 이용한 스텐션 파이프(310) 유격방지 마운팅 방법에 있어서, 스텐션 파이프(310)의 하단부에 마운팅 장치(200)를 체결하는 단계; 스텐션 파이프(310)의 상단부를 차체 천정면에 고정하는 단계;
체결볼트(230)를 상기 마운팅 장치(200)에 형성된 체결홀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체결볼트(230)의 고정부(231)에 의해 슬라이더(220)가 차체 바닥면에 밀착되는 단계; 상기 마운팅 장치(200)를 차체 바닥면에 고정하는 단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텐션 파이프(310)의 상단부를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마운팅 장치(20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텐션 파이프(310)의 일측 단부에 고정 체결되는 몸체부(210)와 상기 몸체부(210)의 하단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220)를 포함하여, 스텐션 파이프(310)의 설치시 상기 슬라이더(220)의 이동으로, 제조시 발생한 차체의 높이 공차에 대응함으로써 스텐션 파이프(310)와 마운팅장치(200) 간의 유격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격을 방지함으로써 그에 따른 소음 저감의 효과가 있다.
또한, 유격을 방지함으로써 스텐션 파이프(310)의 도장면 손상 방지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스텐션 파이프(310) 마운팅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션 파이프(310) 유격방지 마운팅 장치(200)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션 파이프(310) 유격방지 마운팅 장치(200)의 개략적인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션 파이프(310) 유격방지 마운팅 장치(200)의 걸림턱(250) 및 이의 장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션 파이프(310) 유격방지 마운팅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션 파이프(310) 유격방지 마운팅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션 파이프(310) 유격방지 마운팅 장치(200)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션 파이프(310) 유격방지 마운팅 장치(200)의 개략적인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션 파이프(310) 유격방지 마운팅 장치(200)는 기본적으로 몸체부(210), 슬라이더(220), 체결 볼트(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몸체부(210)는 중앙부에는 스텐션 파이프(310)가 수직으로 삽입 수용될 수 있는 파이프 삽입부(211)가 형성되며, 개방된 하단부를 통해 상기 슬라이더(220)가 밀착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 삽입부(211)의 주변으로는 상기 체결볼트(230)로 후술할 바와 같이 몸체부(210)와 슬라이더(220)를 관통하여 차체의 장착면(100)에 상기 마운팅 장치(200)를 고정하기 위한 몸체부 체결홀(215)이 형성된다.
상기 파이프 삽입부(211)는 스텐션 파이프(310)의 축방향 일측 단부의 소정의 구간이 수직으로 밀착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스텐션 파이프(310)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의 파이프 삽입홀(212)로 구성된다. 이때 스텐션 파이프(31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 삽입부(211)와 스텐션 파이프(310)를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 스크류를 외측으로부터 관통 삽입할 수 있는 파이프 고정홀(213)이 상기 파이프 삽입부(211)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텐션 파이프(310)에도 동일한 위치에 체결홀이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 슬라이더(220)는 상기 몸체부(210)의 개방된 하단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 형상을 갖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220)의 두께에 따라 후술할 바와 같이, 차체의 제조시 발생하는 천정명과 바닥면사이의 높이 공차를 흡수할 수 있는 한계값이 정해질 수 있다.
즉, 슬라이더(220)의 측면이 상기 몸체부(210)의 내측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야 하고, 슬라이더(220)가 상기 몸체부(21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210)에 형성된 몸체부 체결홀(215)과 동일한 위치에 슬라이더(220) 체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볼트(230)가 상기 몸체부 체결홀(215) 및 슬라이더(220) 체결홀을 관통하여 차체의 장착면(100)에 체결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션 파이프(310) 유격방지 마운팅 장치(200)의 걸림턱(250) 및 이의 장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슬라이더(220)에는 상기 체결볼트(230) 체결시 상기 체결볼트(230)와 밀착되어 상기 슬라이더(220)의 수평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링 형상의 걸림턱(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턱(250)은 외주면이 상기 안착홈에 밀착되되, 일정한 구간이 중심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 한 쌍의 볼트 접촉부(251,252)가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체결볼트(230)의 외주면과 밀착된 경우 중심부를 향해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체결볼트(230)를 탄력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걸림턱(250)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더(220) 체결홀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턱(250)이 안착되기 위한 걸림턱 안착홈(221)이 형성될수 있다.
상기 체결볼트(230)는 길이방향 하부에 형성된 나사부(232)와 나사부(232)의 위쪽에 나사부(232)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고정부(231) 및 상기 고정부(231)의 상단에 형성된 조립을 위한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부(232)의 외주면에는 너트(260)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체결볼트(230)의 체결시 상기 걸림턱(250)의 각각의 볼트 접촉부(251,252) 선단부간의 거리가 하부에 형성된 나사부(232)의 직경 이상이기 때문에, 나사부(232)는 상기 볼트 접촉부에 걸리지 않고 통과하게된다. 그러나 상기 각각의 볼트 접촉부(251,252) 선단부간의 거리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고정부(231)의 하단은 상기 볼트 접촉부에 걸리게되고, 계속적인 체결볼트(230)의 삽입으로 인해 상기 걸림턱(250)이 고정 설치된 슬라이더(220)의 외측면이 상기 몸체부(210)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는것이다. 이렇게 슬라이더(220)가 이동함으로써, 차체의 제조시 발생할 수 있는 천정면과 바닥면사이의 높이 공차(B)가 발생한 경우, 스텐션 파이프(310) 자체를 이동시키지 않고도 상기 공차에 대응하여 스텐션 파이프(310)를 고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볼트(230)를 계속적으로 삽입하여 상기 슬라이더(220)가 이동하여 장착면(100)에 밀착하게 된 후에는 상기 걸림턱(250)의 볼트 접촉부(251,252)가 벌어지게되고 상기 고정부(231)의 외주면이 상기 볼트 접촉부(251,252)와 밀착하게 된다. 상기 체결볼트(230)가 완전히 삽입되고 나면, 차체 장착면(100)의 패널 반대편에서 너트(260)로 고정하게 되고, 상기 고정부(231)는 상기 볼트접촉부에 의해 탄력지지되므로 상기 슬라이더(220)의 상하 방향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의 이동도 규제되어 결국 스텐션 파이프(310)가 고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션 파이프(310) 유격방지 마운팅장치(200)를 이용한 스텐션 파이프(310) 유격방지 마운팅 구조는 상기 마운팅장치(200), 스텐션 파이프(3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텐션 파이프(310)의 양단부에는 상기 마운팅 장치(200)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용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발생한 높이 공차의 크기에 따라 상기 마운팅 장치(200)는 상기 스텐션 파이프(310)의 일단부에만 적용되거나 또는 양단부 모두에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공차가 상기 슬라이더(220)의 두께 보다 작다면, 어느 일단부에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나, 제조시 발생한 높이 공차가 상기 슬라이더(220)의 두께보다 큰 경우에는 슬라이더(220)가 상기 몸체부(210)의 내측면을 벗어난 상태가 되어 더 이상 몸체부(210)를 지지할수 없게되어, 상기 체결볼트(230)를 체결한다 해도 상기 몸체부(210)와 체결된 상기 스텐션 파이프(310)를 차체에 고정적으로 설치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스텐션 파이프(310)의 양단부 모두에 상기 마운팅장치(200)를 체결하여 대응한도를 높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션 파이프(310) 유격방지 마운팅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션 파이프(310) 유격방지 마운팅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션 파이프(310) 유격방지 마운팅 방법은 스텐션 파이프(310)의 하단부에 마운팅 장치(200)를 체결하는 단계;
스텐션 파이프(310)의 상단부를 차체 천정면에 고정하는 단계; 체결볼트(230)를 상기 마운팅 장치(200)에 형성된 체결홀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체결볼트(230)의 고정부(231)에 의해 슬라이더(220)가 차체 바닥면에 밀착되는 단계; 상기 마운팅 장치(200)를 차체 바닥면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스텐션 파이프(310)의 상단부는 차체에 고정되게 설치하고, 하단부에 상기 마운팅장치(200)를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볼트(230)를 삽입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체결볼트(230)의 고정부(231)의 하단부가 직경차이로 인해 상기 걸림턱(250)의 볼트 접촉부(251,252)에 걸리게 되고, 계속 삽입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220)가 차체의 바닥면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바닥면에 밀착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체결볼트(230)를 더 삽입하면, 고정부(231)의 외주면이 상기 볼트 접촉부(251,252)와 밀착한 상태에서 볼트 접촉부(251,252)에 의해 탄력지지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220)의 수평방향의 이동이 규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나사부(232)의 하단부에는 차체 바닥면 패널의 반대편에서 너트(260)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마운팅장치(200)의 상하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상기 스텐션 파이프(310)는 차체에 유격없이 고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스텐션 파이프(310)의 유격으로 인한 소음이나 도장면 손상의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 일 뿐,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00: 장착면
200: 마운팅 장치
210: 몸체부
211: 파이프 삽입부
212: 파이프 삽입홀
213: 파이프 고정홀
215: 몸체부 체결홀
220: 슬라이더
221: 걸림턱 안착홈
222: 슬라이더 체결홀
230: 체결 볼트
231: 고정부
232: 나사부
250: 걸림턱
251,252: 볼트 접촉부
260: 너트
310: 스텐션 파이프
320: 마운팅 장치 체결용 홀

Claims (13)

  1. 버스의 스텐션 파이프를 내부 장착면에 고정하는 마운팅 장치에 있어서,
    하단부가 개방되고 중앙부에 파이프 삽입부을 구비한 몸체부;
    상기 하단부에 수용되어, 외측면이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상하이동이 가능한 판 형상의 슬라이더;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슬라이더를 수직 관통하여 차체에 체결하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스텐션 파이프 유격방지 마운팅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삽입부는,
    상기 스텐션 파이프의 축방향 일측 단부 소정의 구간이 밀착 수용되는 파이프 삽입홀;
    상기 삽입홀의 측면에 형성되는 파이프 고정홀;
    상기 파이프 삽입홀에 상기 스텐션 파이프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 고정홀과 상기 스텐션 파이프를 외측으로부터 관통하여 상호 고정을 위한 고정 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션 파이프 유격방지 마운팅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일측에는 상기 체결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몸체부 체결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션 파이프 유격방지 마운팅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체결볼트가 관통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장착면에 고정하는 슬라이더 체결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션 파이프 유격방지 마운팅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슬라이더 체결홀의 내주면에 안착되고, 상기 체결볼트 체결시 상기 체결볼트의 외주면과 밀착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수평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링 형상의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션 파이프 유격방지 마운팅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체결홀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턱이 안착되기 위한 걸림턱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션 파이프 유격방지 마운팅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외주면이 상기 안착홈에 밀착되되, 일정 구간이 중심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 한 쌍의 볼트 접촉부가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션 파이프 유격방지 마운팅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접촉부는 상기 체결볼트의 외주면과 밀착되어 상기 체결볼트를 탄력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션 파이프 유격방지 마운팅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볼트는 너트와 체결되는 나사부;
    상기 나사부의 상부에 상기 나사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외주면이 상기 볼트 접촉부와 밀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션 파이프 유격방지 마운팅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볼트 접촉부의 선단부 간의 거리는 상기 나사부의 직경 이상이고, 상기 고정부의 직경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션 파이프 유격방지 마운팅 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10항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스텐션 파이프 유격방지 마운팅 장치;
    축방향 양단부에 상기 마운팅장치 체결용 홀이 형성된 스텐션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 장치는 상기 스텐션 파이프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체결되어, 상기 스텐션 파이프 설치시 차체의 바닥패널과 천정패널 사이의 높이 공차를 상기 슬라이더의 상하 이동을 통해 흡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션 파이프 유격방지 마운팅 구조.
  12. 제 1항 내지 제 10항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스텐션 파이프 유격방지 마운팅 장치를 이용한 스텐션 파이프 유격방지 마운팅 방법에 있어서,
    스텐션 파이프의 하단부에 마운팅 장치를 체결하는 단계;
    스텐션 파이프의 상단부를 차체 천정면에 고정하는 단계;
    체결볼트를 상기 마운팅 장치에 형성된 체결홀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체결볼트의 고정부에 의해 슬라이더가 차체 바닥면에 밀착되는 단계;
    상기 마운팅 장치를 차체 바닥면에 고정하는 단계;
    포함하는 스텐션 파이프 유격방지 마운팅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션 파이프의 상단부를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마운팅 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션 파이프 유격방지 마운팅 방법.

KR1020160137744A 2016-10-21 2016-10-21 스텐션 파이프 유격 방지 마운팅 장치, 이를 적용한 마운팅 구조 및 마운팅 방법 KR101896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744A KR101896787B1 (ko) 2016-10-21 2016-10-21 스텐션 파이프 유격 방지 마운팅 장치, 이를 적용한 마운팅 구조 및 마운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744A KR101896787B1 (ko) 2016-10-21 2016-10-21 스텐션 파이프 유격 방지 마운팅 장치, 이를 적용한 마운팅 구조 및 마운팅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092A KR20180044092A (ko) 2018-05-02
KR101896787B1 true KR101896787B1 (ko) 2018-09-07

Family

ID=62183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7744A KR101896787B1 (ko) 2016-10-21 2016-10-21 스텐션 파이프 유격 방지 마운팅 장치, 이를 적용한 마운팅 구조 및 마운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78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179B1 (ko) 2012-11-07 2013-04-23 (주)비에스 외부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는 가로등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2184U (ko) * 1995-12-18 1997-07-29 버스용 파이프의 고정구조
JPH11278309A (ja) * 1998-03-27 1999-10-12 Hino Motors Ltd スタンションパイプ取付構造
KR100377154B1 (ko) 2000-12-26 2003-03-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의 스텐션 파이프 보강구조
KR20030054062A (ko) * 2001-12-24 2003-07-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 기둥의 고정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179B1 (ko) 2012-11-07 2013-04-23 (주)비에스 외부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는 가로등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092A (ko) 2018-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7085B1 (ko) 공동주택 건축물용 전기 케이블 트레이
US7546986B2 (en) Pipe hanger
US9068689B2 (en) Apparatus and system to mount objects in proximity to ceiling structure
US11808390B2 (en) Adjustable fitting assembly
JP5474210B2 (ja) 固定具、並びに固定具を備えた取付部材
JP7113512B2 (ja) 引き戸装置
US20180335072A1 (en) Push-On Spring Nut
CA3039333C (en) Joint assembly for motion simulator
KR101802385B1 (ko) 내진용 배관 파이프 행거
US20150125235A1 (en) Attachment device and method for attaching elements
US4516749A (en) Mechanical stabilizer
KR101896787B1 (ko) 스텐션 파이프 유격 방지 마운팅 장치, 이를 적용한 마운팅 구조 및 마운팅 방법
EP3786467A1 (en) Ergonomic box nut retainer
JP2019078405A (ja) 係合インジケータを備えたファスナー
CN111279087B (zh) 紧固单元
JP2012082658A (ja) 壁つなぎ取付金具
KR200489158Y1 (ko) 창틀용 지지대
US20170314720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oupling a Valve to a Duct
KR200446654Y1 (ko)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 클램프
KR20200006394A (ko) 전산볼트 체결이 용이한 배관용 파이프 행거
JP4850146B2 (ja) 手摺用ブラケット
KR200412549Y1 (ko) 앵커볼트
JP7168978B2 (ja) 吊りボルト固定具
KR101027121B1 (ko) 가스배관 고정구
KR200483237Y1 (ko) 배관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