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6713B1 - 선별 트리밍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선별 트리밍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6713B1
KR101896713B1 KR1020120115408A KR20120115408A KR101896713B1 KR 101896713 B1 KR101896713 B1 KR 101896713B1 KR 1020120115408 A KR1020120115408 A KR 1020120115408A KR 20120115408 A KR20120115408 A KR 20120115408A KR 101896713 B1 KR101896713 B1 KR 101896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mming
steel
upper steel
die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5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9304A (ko
Inventor
박성욱
김귀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5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713B1/ko
Publication of KR20140049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9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8Accessory tools, e.g. knives; 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002Drive of the to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00/00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nching Or Pierc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개의 금형 구조로 2가지 트리밍 라인을 선별하여 트리밍 가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액추에이터에 의해 개별 동작이 가능한 어퍼 스틸을 채용하여 1개의 금형 구조에서 1차 트리밍 가공과 2차 트리밍 가공을 선별적으로 수행하는 새로운 형태의 트리밍 가공방식을 구현함으로써, 2가지의 트리밍 가공을 옵션에 따라 혹은 기능에 따라 선별적인 트리밍 가공이 가능하고, 하나의 금형에서 한 제품에 대한 2가지 트리밍 라인을 가공할 수 있는 등 공정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선별 트리밍 가공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선별 트리밍 가공장치{Trimming selection wor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선별 트리밍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1개의 금형 구조로 2가지 트리밍 라인을 선별하여 트리밍 가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패널류와 같은 차체 패널부품을 하나의 제품으로 완성하기 위해서는 판재의 특정 부위를 프레스 성형하여 제품 형상부를 만든 다음, 트리밍 가공장치를 이용햐여 프레스 성형되어 있는 제품 형상부에서 나머지 불필요한 판재 부분을 트리밍하여 제거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예를 들면, 제품의 외곽을 이루는 트림라인을 따라 트리밍하여 프레스 성형된 제품 형상부와 그 주변의 나머지 불필요한 판재 부분, 즉 스크랩을 분리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며, 이러한 트리밍 가공을 거친 후에야 주변의 불필요한 판재 부분이 제거된 하나의 제품이 완성된다.
보통 트리밍 가공장치는 제품을 잡아주는 패드 및 하형 다이, 상기 하형 다이와 함께 날부가 맞물리면서 커터를 이용하여 제품의 트림라인을 따라 트리밍을 수행하는 상형 다이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트리밍 가공장치는 한국공개특허 10-2012-0030588호, 한국등록특허 10-0867810호 및 10-1162350호 등에 여러 형태의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의 트리밍 가공방식은 1개의 금형에 1가지의 트리밍 라인만을 가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 관계로, 차종의 옵션에 따라 동일한 제품에 트리밍 라인만 상이할 경우 별도의 트리밍 금형을 사용하여 가공을 해야 하는 등 공정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액추에이터에 의해 개별 동작이 가능한 어퍼 스틸을 채용하여 1개의 금형 구조에서 1차 트리밍 가공과 2차 트리밍 가공을 선별적으로 수행하는 새로운 형태의 트리밍 가공방식을 구현함으로써, 2가지의 트리밍 가공을 옵션에 따라 혹은 기능에 따라 선별적인 트리밍 가공이 가능하고, 하나의 금형에서 한 제품에 대한 2가지 트리밍 라인을 가공할 수 있는 등 공정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선별 트리밍 가공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선별 트리밍 가공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선별 트리밍 가공장치는 가동형의 어퍼 다이 및 어퍼 스틸과 고정형의 로워 다이 및 로워 스틸을 포함하는 트리밍 가공장치로서, 상기 어퍼 스틸과 로워 스틸은 복수의 에지와 절단면를 이용하여 적어도 1곳 이상의 트리밍 라인을 가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어퍼 스틸은 어퍼 다이상에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상하동작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액추에이터의 작동과 연계적으로 작동하면서 2차 트리밍 가공을 선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선별 트리밍 가공장치는 어퍼 다이와 함께 또는 별도로 동작가능한 어퍼 스틸을 이용하여, 하나의 금형에서 두가지의 트리밍 라인을 선별적으로 가공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선별 트리밍 가공장치의 액추에이터는 어퍼 다이에 지지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로드에 연결되어 전진 및 후진 동작하면서 어퍼 스틸을 아래로 눌러주는 리프팅 블럭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액추에이터의 리프팅 블럭과 어퍼 스틸은 각각이 가지고 있는 경사면을 통해 서로 접촉되면서 리프팅 블럭의 직선 운동시 어퍼 스틸의 승하강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선별 트리밍 가공장치는 로워 다이상에 설치되어서 어퍼 스틸의 하강시 그 저면과 접촉하면서 어퍼 스틸의 진동을 막아주는 가스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별 트리밍 가공장치는 어퍼 스틸의 상하동작시 이를 안내하기 위한 수단으로 어퍼 다이측과 와 어퍼 스틸측 사이에 설치되어 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합되는 가이드 포스트와 가이드 부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선별 트리밍 가공장치는 1차 트리밍 가공 완료 후, 실린더의 푸시-풀 작동에 의한 2차 트리밍 가공을 선별 적용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차종 옵션에 따라 또는 기능에 따라 한 금형에서 동일한 제품에 대한 두 차례의 트리밍 가공을 단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등 공정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 트리밍 가공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 트리밍 가공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 트리밍 가공장치의 1차 트리밍 가공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 트리밍 가공장치의 2차 트리밍 가공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 트리밍 가공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 트리밍 가공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a 내지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선별 트리밍 장치는 실린더 방식의 액추에이터 수단에 의해 작동하는 어퍼 스틸, 즉 스프링 힘에 의해 상승 위치 또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하강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어퍼 스틸을 이용하여 1개의 프레스 금형에서 2가지 트리밍 라인을 선별적으로 가공할 수 있는 장치로서, 1차 트리밍 가공 후에 2차 트리밍 가공을 옵션에 따라 혹은 기능에 따라 선별하여 수행할 수 있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선별 트리밍 가공장치는 기본적으로 가동형의 어퍼 다이(10) 및 어퍼 스틸(11)과 고정형의 로워 다이(12) 및 로워 스틸(13), 그리고 제품을 고정하기 위하여 로워 스틸(13)의 상부에 배치되는 패드(22) 등을 포함하며, 이때의 상하 작동하는 어퍼 다이(10) 및 어퍼 스틸(11)과 이에 대응하는 로워 다이(12) 및 로워 스틸(13)를 통해 트리밍 가공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어퍼 스틸(11)과 로워 스틸(13)은 실질적으로 트리밍 가공을 수행하는 수단으로서, 서로 상하방향으로 교차하면서 제품의 트리밍 라인을 가공할 수 있는 복수의 에지(14a,14b)와 절단면(15a,15b)을 가지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어퍼 스틸(11)의 하단부에는 단차진 계단 형태로 이루어져 상하 높이차를 갖는 2개의 에지(14a,14b)가 형성되고, 상기 로워 스틸(13)의 상단부에도 단차진 계단 형태의 상하 높이차를 갖는 2개의 절단면(15a,15b)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어퍼 스틸(11)에 있는 각 에지(14a,14b)와 로워 스틸(13)에 있는 각 절단면(15a,15b)은 앞뒤로 하나씩 매칭되어서, 즉 앞쪽에서는 에지 14a와 절단면 15a가 매치되는 동시에 뒷쪽에서는 에지 14b와 절단면 15b가 매칭되어서 서로 매칭을 이루는 에지와 절단면이 함께 트리밍 가공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어퍼 스틸(11)이 하강하게 되면 에지(14a,14b)와 절단면(15a,15b)이 서로 맞접촉되면서 위아래로 교차하게 되므로서, 제품에 대한 트리밍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어퍼 스틸(11)은 어퍼 다이(10)와 함께 상하로 동작함은 물론, 어퍼 다이(10)와는 관계없이 개별적으로 상하 동작하는 구조적 특징을 갖는다.
즉, 1차 트리밍 가공시의 경우 어퍼 다이(10)와 어퍼 스틸(11)이 함께 하강하여 트리밍 가공을 수행하게 되고, 2차 트리밍 가공시의 경우에는 어퍼 스틸(11)만 개별 하강하여 트리밍 가공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어퍼 스틸(11)은 기본적으로 어퍼 다이(1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양쪽의 어퍼 플레이트(23a)에 아래쪽으로 걸려질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되고, 어퍼 다이(10)측에 설치되는 스프링(16)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면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즉, 어퍼 다이(10)에는 수직의 스프링 가이드 핀(24)이 관통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스프링 가이드 핀(24)은 어퍼 스틸(11)에 관통되면서 결합되어 함께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 다이(10)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스프링 가이드 핀(24)의 상단부에는 스냅링 등과 같은 걸림수단이 장착되는 동시에 이 걸림수단의 저면과 어퍼 다이(10)의 상면 사이에 핀 둘레에 배치되는 스프링(16)이 개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어퍼 스틸(11)은 평상시 스프링(16)에 의해 항상 윗쪽으로 밀어 올려지려는 힘을 받으면서 위로 올라가 위치되어 있게 되며, 외부적인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스프링(16)을 압축하면서 스프링 가이드 핀(24)과 함께 아래로 내려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어퍼 스틸(11)의 후면 윗쪽에는 경사면(18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경사면(18a)은 후술하는 리프팅 블럭(17b)에 있는 경사면(18b)과 접촉될 수 있게 되고, 결국 경사면(18a,18b) 간의 접촉 전동에 의해 어퍼 스틸(11)의 하강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 스틸(11)의 상하 동작시 그 움직임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하는 수단으로 가이드 포스트(20)와 가이드 부시(21)가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 포스트(20)와 가이드 부시(21)는 서로 동축을 이루면서 슬라이드 조합되어 어퍼 스틸(11)의 움직임을 안내할 수 있게 되며, 상기 가이드 포스트(20)는 어퍼 스틸(11)측에, 상기 가이드 부시(21)는 어퍼 다이(10)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선택적인 2차 트리밍 가공을 위하여 어퍼 스틸(11)을 아래로 동작시켜주는 수단으로 액추에이터(17)를 제공하며, 이때의 액추에이터(17)의 작동과 연계되어 어퍼 스틸(11)이 작동하면서 2차 트리밍 가공을 선별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액추에이터(17)는 구동원으로서의 실린더(17a)와 어퍼 스틸(11)을 동작시켜주는 리프팅 블럭(17b)으로 구성되며, 실린더(17a)의 푸시-풀 작동에 의해 전후진 동작하는 리프팅 블럭(17b)을 통해 어퍼 스틸(11)을 연계적으로 동작시켜주는 메카니즘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17a)는 어퍼 스틸(11)의 뒷쪽에 위치되면서 실린더 브라켓(25)에 의해 어퍼 다이(10)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리프팅 블럭(17b)은 실린더(17a)의 로드에 그 후단부가 연결되는 동시에 어퍼 다이(10)의 어퍼 플레이트(23b)에 슬라이드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리프팅 블럭(17b)의 선단부는 경사면(18b)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때의 경사면(18b)을 통해 어퍼 스틸(11)에 있는 경사면(18a)을 밀어내게 되므로서, 리프팅 블럭(17b)이 자연스럽게 아래로 밀려 내려갈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리프팅 블럭(17b)의 직선 이동시 그 경사면(18b)을 통해 어퍼 스틸(11)의 경사면(18a)을 밀어주게 되므로서, 어퍼 스틸(11)은 자연스럽게 아래로 밀려서 내려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트리밍 가공시 하강하는 어퍼 다이(10)를 포함하는 어퍼 스틸(11) 전체를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는 수단으로 가스 스프링(19)을 제공한다.
상기 가스 스프링(19)은 로워 다이(12)에 수직 설치되면서 그 상단 로드부분을 통해 어퍼 스틸(11)의 저면과 접하는 구조로 설치되고, 이에 따라 어퍼 스틸(11)의 하강시 그 저면과 접촉하는 가스 스프링(19)의 완충작용에 의해 어퍼 스틸(11)의 진동을 막아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선별 트리밍 가공장치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 트리밍 가공장치의 1차 트리밍 가공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 트리밍 가공장치의 2차 트리밍 가공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1차 트리밍 가공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보여주며, 어퍼 스틸(11)은 스프링(16)의 힘에 의해 어퍼 다이(10) 내에서 위로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즉, 액추에이터(17)의 실린더(17a)가 풀 상태(로드 후진 상태)로서 이때의 리프팅 블럭(17b)은 뒷쪽으로 빠져 있게 되고, 상기 리프팅 블럭(17b)과 접촉되지 않은 어퍼 스틸(11)은 스프링(16)에 의해 위로 위치되어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금형 작동시 어퍼 다이(10)와 어퍼 스틸(11)이 하강하게 되면 어퍼 스틸(11)에 있는 에지(14b)와 로워 스틸(13)에 있는 절단면(15b)에 의해 로워 다이(12)상의 제품에 대한 1차 트리밍 가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이때의 어퍼 스틸(11)이 갖는 에지(14a)와 로워 스틸(13)에 있는 절단면(15b)은 어퍼 스틸(11)이 스트로크 업 상태(위로 올라가 있는 상태)로 있는 관계로 서로 간에 교차가 일어나지 않게 되므로, 이곳에서는 트리밍 가공이 이루어지 않게 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선별적으로 2차 트리밍 가공을 수행하는 상태를 보여준다.
제품에 대한 트리밍 가공 전, 먼저 실린더(17a)가 전진 작동하게 되면(실린더 푸시 상태) 그 로드에 연결되어 있는 리프팅 블럭(17b)이 전진하게 되고, 계속해서 리프팅 블럭(17b)의 경사면(18b)과 어퍼 스틸(11)에 있는 경사면(18a) 간의 접촉에 의해 어퍼 스틸(11)은 스프링(16)을 압축하면서 아래로 내려가게 된다.
이렇게 어퍼 스틸(11)이 하강 위치에 온 상태에서, 금형 작동시 어퍼 다이(10)와 어퍼 스틸(11)이 하강하게 되면 어퍼 스틸(11)에 있는 에지(14b)와 로워 스틸(13)에 있는 절단면(15b)에 의해 로워 다이(12)상의 제품에 대한 1차 트리밍 가공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와 더불어 어퍼 스틸(11)에 있는 에지(14a)와 로워 스틸(13)에 있는 절단면(15a)에 의해 로워 다이(12)상의 제품에 대한 2차 트리밍 가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실린더의 푸시-풀에 의해 2차 트리밍 부분의 가공을 선별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1개의 금형 구조로 2가지 트리밍 라인 가공이 가능한 새로운 타입의 트리밍 가공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2차 트리밍 가공은 옵션에 따라 혹은 기능에 따라 선별적으로 트리밍 가공을 수행할 수 있는 등 에어 작동 방식에 의한 간단한 조작으로 트리밍 라인의 이원화 관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10 : 어퍼 다이 11 : 어퍼 스틸
12 : 로워 다이 13 : 로워 스틸
14a,14b : 에지 15a,15b : 절단면
16 : 스프링 17 : 액추에이터
17a : 실린더 17b : 리프팅 블럭
18a,18b : 경사면 19 : 가스 스프링
20 : 가이드 포스트 21 : 가이드 부시
22 : 패드 23a,23b : 어퍼 플레이트
24 : 스프링 가이드 핀 25 : 실린더 브라켓

Claims (5)

  1. 가동형의 어퍼 다이(10) 및 어퍼 스틸(11)과 고정형의 로워 다이(12) 및 로워 스틸(13)을 포함하는 트리밍 가공장치로서,
    상기 어퍼 스틸(11)과 로워 스틸(13)은 복수의 에지(14a,14b)와 절단면(15a,15b)를 이용하여 적어도 1곳 이상의 트리밍 라인을 가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어퍼 스틸(11)은 어퍼 다이(10)상에 스프링(16)에 의해 탄력적으로 상하동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액추에이터(17)의 작동과 연계적으로 작동하면서 2차 트리밍 가공을 선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된 것이며,
    상기 액추에이터(17)는 어퍼 다이(10)에 지지되는 실린더(17a)와, 상기 실린더(17a)의 로드에 연결되어 전진 및 후진 동작하면서 어퍼 스틸(11)을 아래로 눌러주는 리프팅 블럭(17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 트리밍 가공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17)의 리프팅 블럭(17b)과 어퍼 스틸(11)은 각각이 가지고 있는 경사면(18a,18b)을 통해 서로 접촉되면서 리프팅 블럭(17b)의 직선 운동시 어퍼 스틸(11)의 승하강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 트리밍 가공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워 다이(12)상에 설치되어서 어퍼 스틸(11)의 하강시 그 저면과 접촉하면서 어퍼 스틸(11)의 진동을 막아주는 가스 스프링(19)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 트리밍 가공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퍼 다이(10)와 어퍼 스틸(11) 사이에는 다이측과 스틸측에 각각 설치되는 가이드 포스트(20)와 가이드 부시(21)가 각각 구비되어, 어퍼 스틸(11)의 상하동작을 안내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 트리밍 가공장치.
KR1020120115408A 2012-10-17 2012-10-17 선별 트리밍 가공장치 KR101896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408A KR101896713B1 (ko) 2012-10-17 2012-10-17 선별 트리밍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408A KR101896713B1 (ko) 2012-10-17 2012-10-17 선별 트리밍 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9304A KR20140049304A (ko) 2014-04-25
KR101896713B1 true KR101896713B1 (ko) 2018-09-07

Family

ID=50654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5408A KR101896713B1 (ko) 2012-10-17 2012-10-17 선별 트리밍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71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660B1 (ko) * 2001-07-09 2003-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레스용 트림 스틸 장착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544B1 (ko) * 2010-11-14 2013-06-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플랜지 음각 가공을 위한 프레스의 승하강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660B1 (ko) * 2001-07-09 2003-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레스용 트림 스틸 장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9304A (ko) 2014-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09752A (ko) 패널의 측면부 포밍 및 피어싱을 동시에 수행하는 금형장치
CN102513448B (zh) 一种冲孔翻边复合模具
CN104289596B (zh) 一种拉修模具
CN202498134U (zh) 侧孔双向冲压模
CN104722641A (zh) 一种用于汽车钣金冲压件的切边冲孔复合模具
CN105034043A (zh) 一种汽车橡胶件裁剪装置
KR101896713B1 (ko) 선별 트리밍 가공장치
CN102386546B (zh) 一种换向片冲模
CN203944726U (zh) 汽车钣金件整形翻边模具
CN105583281B (zh) 冲模装置
CN204247835U (zh) 链轨节锻造复合冲压模
CN100586671C (zh) 一种蜂窝纸芯自动生产线用剪切机构
CN109365637A (zh) 一种汽车覆盖件的多工位冲压模具
CN102689323A (zh) 汽车内饰件顶蓬天窗手动切割机构
CN203862877U (zh) 一种易拉盖生产用接片机
CN203197094U (zh) 一种定位冲孔装置
CN203124578U (zh) 电磁继电器座板组件的剁铆夹具
CN204584113U (zh) 一种机床自动出料结构
CN107159955B (zh) 一种精确剪切下料装置
CN103433352A (zh) 一种导向式落料模具
CN205254538U (zh) 一种门框冲切机
CN201832906U (zh) 灯盘自动冷冲模具
CN211679564U (zh) 定转子复合模
CN104028613A (zh) 一次切断成型模具及其使用方法
CN209902023U (zh) 一种冲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