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6417B1 -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 - Google Patents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6417B1
KR101896417B1 KR1020180062840A KR20180062840A KR101896417B1 KR 101896417 B1 KR101896417 B1 KR 101896417B1 KR 1020180062840 A KR1020180062840 A KR 1020180062840A KR 20180062840 A KR20180062840 A KR 20180062840A KR 101896417 B1 KR101896417 B1 KR 101896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wall
insertion portion
fixing
assembly inse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2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성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지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지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지산업
Priority to KR1020180062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4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25Collapsible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는, 각각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호 간에 인접하도록 위치되는 복수 개의 벽체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벽체부의 하측에 위치되며, 벽체부가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되는 바닥부; 바닥부에 결합되어 바닥부를 벽체부에 연결하는 조립부; 및 벽체부들 사이에 위치되고 벽체부들에 결합되어 벽체들을 연결하는 벽체 조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DISPOSABLE EXPORT PACKING BOX}
본 발명은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량으로 주문받아 제작될 수 있으면서 원하는 크기로 제작될 수 있는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 상자는 수용되는 내용물에 따라 다양한 재료, 예를 들어, 목재, 금속, 플라스틱, 종이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포장 상자는 내용물에 따라 습기 또는 온도 등이 유지되거나 내부 유체의 누출이 방지되도록 제작되기도 한다. 특히, 포장 상자는 수출되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데에 이용되는 경우, 한 번 사용하고 회수되기 어렵기에 일회용으로 제작된다.
수출되는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포장 상자(이하, '수출 포장 상자'라고 함)는 한 번에 500개 내지 1,000개 단위로 제작되어야 제작 단가를 맞출 수 있다. 이로 인해, 수출업자는 수십 개 단위로만 수출 포장 상자를 필요로 하더라도 500개 내지 1,000개 단위로 수출 포장 상자를 주문해야 하는 실정이다. 수출업자는 주문한 수출 포장 상자 중 일부만을 사용하고, 나머지 보관하여야 한다. 이로 인해, 수출업자는 수출 포장 상자를 보관할 장소를 확보해야 한다. 또한, 수출 포장 상자는 장시간 동안 보관하게 되면 재질에 따라 녹이 슬거나 습기를 머금게 될 수 있다. 즉, 수출 포장 상자는 보관 과정에서 품질 자체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수출업자는 수출하려는 품목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수출 포장 상자를 필요로 할 수 있다. 하지만, 수출 포장 장치는 500개 내지 1,000개 단위로 제작되는 과정에서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요자의 수요량에 맞추어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는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크기로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는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보관을 위한 공간을 감소시키고 용이하게 운반될 수 있는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는, 각각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호 간에 인접하도록 위치되는 복수 개의 벽체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벽체부의 하측에 위치되며, 벽체부가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되는 바닥부; 바닥부에 결합되어 바닥부를 벽체부에 연결하는 조립부; 및 벽체부들 사이에 위치되고 벽체부들에 결합되어 벽체들을 연결하는 벽체 조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벽체부의 상측에 위치되며, 벽체부가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되, 덮개부는 조립부에 결합되어 벽체부에 연결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벽체 조립부는, 'ㄷ'자 형상을 갖는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나의 벽체부의 측면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 1 조립 삽입부; 'ㄷ'자 형상을 갖는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1 조립 삽입부와 직교하도록 위치되고, 다른 하나의 벽체부의 측면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 2 조립 삽입부; 및 제 1 조립 삽입부와 제 2 조립 삽입부를 연결하고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연약부를 포함하되, 하나의 벽체부 및 다른 하나의 벽체부는 각각 제 1 조립 삽입부 및 제 2 조립 삽입부에 결합되어 연결되고, 제 1 조립 삽입부 및 제 2 조립 삽입부는 회동되어 하나의 벽체부와 다른 하나의 벽체부 사이의 각도를 제어하며, 연약부는 제 1 조립 삽입부 및 제 2 조립 삽입부의 회동 범위를 제어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 1 조립 삽입부 및 제 2 조립 삽입부의 각각은, 상호 간에 마주하면서 평행하게 이격되는 한 쌍의 조립 플레이트들; 및 조립 플레이트들의 일측단을 연결하여 조립 플레이트들과 직교하는 조립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제 1 조립 삽입부의 내측 조립 플레이트와 제 2 조립 삽입부의 조립 연결 플레이트는 상호 간에 마주하도록 위치되고, 그 사이에 연약부가 위치되어 회동가능하며, 벽체 조립부는, 제 1 조립 삽입부의 내측 조립 플레이트, 제 2 조립 삽입부의 내측 조립 플레이트, 및 제 2 조립 삽입부의 연결 플레이트를 관통하면서 제 1 조립 삽입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약부 주위를 감은 형태로 위치되고, 일종단이 제 1 조립 삽입부에 고정되는 고정 와이어; 및 고정 와이어의 타종단에 연결되어, 고정 와이어의 타종단이 당겨질 때 고정 와이어에 가해진 인장력을 유지하는 와이어 고정부를 더 포함하되, 고정 와이어는 고정 와이어의 타종단이 당겨져 펼쳐져 연약부에 근접하게 위치되고, 와이어 고정부에 의해 연약부에 근접하게 위치되도록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고정부는, 고정 너트; 일종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한 형태의 통과홈이 형성되고, 고정 너트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고정 볼트; 및 통과홈에 삽입가능한 연결 몸체를 더 포함하되, 고정 너트와 고정 볼트가 체결되고 인장력이 가해진 고정 와이어가 고정 너트 및 통과홈을 통과한 상태에서, 연결 몸체는 고정 와이어를 감은 상태로 통과홈에 삽입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제 1 조립 삽입부 및 제 2 조립 삽입부의 각각은, 상호 간에 마주하면서 평행하게 이격되는 한 쌍의 조립 플레이트들; 및 조립 플레이트들의 일측단을 연결하여 조립 플레이트들과 직교하는 조립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제 1 조립 삽입부의 내측 조립 플레이트와 제 2 조립 삽입부의 조립 연결 플레이트는 상호 간에 마주하도록 위치되고, 그 사이에 연약부가 위치되어 회동가능하며, 벽체 조립부는, 직사각형의 평평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 1 조립 삽입부의 폭에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고정 플레이트; 및 고정 플레이트의 일면과 직교하면서 고정 플레이트의 꼭지점에 대응하도록 위치되는 4개의 고정 결합부를 포함하되, 고정 결합부들 사이에는 제 1 조립 삽입부의 조립 플레이트들 및 제 2 조립 삽입부의 조립 연결 플레이트가 위치되고, 2개의 고정 결합부들은 제 1 조립 삽입부의 외측 조립 플레이트에 접촉되고, 나머지 2개의 고정 결합부들은 제 2 조립 삽입부의 조립 플레이트들 또는 제 2 조립 삽입부의 조립 연결 플레이트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상호 간에 마주하는 벽체부의 내측면 및 외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수직방향을 따라 접힘부가 형성되되, 벽체부는 접힘부를 따라 접혀 겹쳐질 수 있다.
또한, 적어도 상호 간에 마주하는 벽체부는 각각 수직방향을 따라 분리된 2개의 벽체 부재들로 이루어지고,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는, 벽체 부재들 사이에 위치되어 벽체 부재들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되, 연결부는, 각각 'ㄷ'자 형상을 갖는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벽체 부재의 측면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한 쌍의 부재 삽입부; 및 한 쌍의 부재 삽입부들을 연결하고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부재 연약부를 포함하되, 부재 삽입부는 벽체 부재들을 연결한 상태에서 동일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는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1) 수요자의 수요량에 맞추어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다.
(2) 다양한 크기로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다.
(3) 보관을 위한 공간이 감소되고 용이하게 운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가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의 조립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의 벽체 조립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에서 접힘부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에서 연결부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의 조립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의 벽체 조립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의 벽체 조립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1)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1)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1)의 조립부(100)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1)의 벽체 조립부(200)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1)는 벽체부(10a, 10b, 10c, 10d), 바닥부(20) 및 덮개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벽체부(10a, 10b, 10c, 10d)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내부 공간을 형성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벽체부(10a, 10b, 10c, 10d)는 각각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면서 그 측면은 상호 간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본 실시예의 벽체부(10a, 10b, 10c, 10d))는 4개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3개, 5개, 6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후술될 바닥부(20) 또는 덮개부(30)의 모서리 개수에 상응하는 개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닥부(2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벽체부(10a, 10b, 10c, 10d)의 하측에 위치된다. 벽체부(10a, 10b, 10c, 10d)는 바닥부(2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바닥부(20)와 교차하도록 위치되고, 바닥부(20)의 상면에 위치될 수 있다. 벽체부(10a, 10b, 10c, 10d)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서 바닥부(20)는 바닥면을 형성하고, 공간의 하면을 폐쇄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덮개부(3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벽체부(10a, 10b, 10c, 10d)의 상측에 위치된다. 벽체부(10a, 10b, 10c, 10d)는 덮개부(30)의 가장자리를 따라 덮개부(30)와 교차하도록 위치되고, 덮개부(30)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 벽체부(10a, 10b, 10c, 10d)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서 덮개부(30)는 덮개면을 형성하고, 공간의 상면을 폐쇄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덮개부(30)는 공간을 개방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덮개부(30)는 바닥부(20)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벽체부(10a, 10b, 10c, 10d), 바닥부(20) 및 덮개부(30)는 상호 간에 조합하여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1)의 형상 및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1)는 벽체부(10a, 10b, 10c, 10d), 바닥부(20) 및 덮개부(30)를 연결하기 위하여, 조립부(100) 및 벽체 조립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립부(100)는 바닥부(20) 및 덮개부(30)에 결합되어 바닥부(20) 및 덮개부(30)를 벽체부(10a, 10b, 10c, 10d)에 연결되도록 한다. 바닥부(20)의 가장자리가 조립부(100)에 삽입되어, 조립부(100)는 바닥부(20)와 결합된다. 여기서, 조립부(100)는 벽체부(10a, 10b, 10c, 10d)의 하부 외측면에 접촉된다. 또한, 덮개부(30)의 가장자리가 조립부(100)에 삽입되어, 조립부(100)는 덮개부(30)와 결합된다. 여기서, 조립부(100)는 벽체부(10a, 10b, 10c, 10d)의 상부 외측면에 접촉된다.
상기와 같은 조립부(100)는 벽체부(10a, 10b, 10c, 10d)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위치되어, 바닥부(20)의 모서리 및 덮개부(30)의 모서리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립부(100)는 삽입부(110) 및 돌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110)는 바닥부(20)의 가장자리 또는 덮개부(30)의 가장자리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ㄷ'자 형상을 갖는 바아(bar)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삽입부(110)는 상호 간에 마주하면서 평행하게 이격되는 한 쌍의 삽입 플레이트(110a)들, 및 삽입 플레이트(110a)들의 일측단을 연결하여 삽입 플레이트(110a)들과 직교하는 삽입 연결 플레이트(11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바닥부(20)의 가장자리 또는 덮개부(30)의 가장자리는 한 쌍의 삽입 플레이트(110a)들 사이에 삽입되고, 삽입 연결 플레이트(110b)에 접촉될 때까지 삽입부(110)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110)의 내측면, 바닥부(20)의 가장자리 또는 덮개부(30)의 가장자리에는 접착제 또는 접착테이프가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부(110)의 내측면은 바닥부(20)의 가장자리 또는 덮개부(30)의 가장자리가 삽입부(110)에 삽입될 때 바닥부(20)의 가장자리 또는 덮개부(30)의 가장자리와 마주하는 삽입부(110)의 면을 의미한다. 이로 인해, 바닥부(20) 또는 덮개부(30)는 삽입부(110)에 삽입되어 접착제 또는 접착 테이프에 의해 삽입부(110)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체결 수단(예를 들어, 나사못, 핀 등)은 바닥부(20) 또는 덮개부(30)와 삽입부(110)를 동시에 관통하여 바닥부(20) 또는 덮개부(30)를 삽입부(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돌출부(12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삽입부(110)의 외측면으로부터 연장된다. 바닥부(20) 또는 덮개부(30)가 삽입부(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돌출부(120)는 바닥부(20) 또는 덮개부(30)와 직교하도록 위치되면서 벽체부(10a, 10b, 10c, 10d)의 외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120)는 삽입부(110)의 연결 플레이트(110b)와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20)의 내측면 또는 벽체부(10a, 10b, 10c, 10d)의 상단 외측면 및 하단 외측면에는 접착제 또는 접착 테이프가 적용될 수 있다. 벽체부(10a, 10b, 10c, 10d)는 접착제 또는 접착 테이프에 의해 돌출부(120)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체결 수단(예를 들어, 나사못, 핀 등)은 벽체부(10a, 10b, 10c, 10d)와 돌출부(120)를 동시에 관통하여 벽체부(10a, 10b, 10c, 10d)를 돌출부(1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조립부(100)가 덮개부(30)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조립부(100)의 돌출부(120)는 벽체부(10a, 10b, 10c, 10d)로부터 분리가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덮개부(30)는 조립부(100)와 조합하여 벽체부(10a, 10b, 10c, 10d)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상면을 개폐하는 덮개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벽체 조립부(200)는 상호 간에 인접한 한 쌍의 벽체부(10a, 10b; 10b, 10c; 10c, 10d; 10a, 10d)에 결합되어 한 쌍의 벽체부(10a, 10b; 10b, 10c; 10c, 10d; 10a, 10d)를 연결할 수 있다. 즉, 벽체 조립부(200)는 벽체부(10a, 10b, 10c, 10d)들 사이에 위치되어 벽체부(10a, 10b, 10c, 10d)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유지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벽체 조립부(200)에는 벽체부(10a, 10b, 10c, 10d)의 측면이 삽입되고, 벽체부(10a, 10b, 10c, 10d)는 벽체 조립부(200)에 결합된다.
벽체 조립부(200)는 제 1 조립 삽입부(210), 제 2 조립 삽입부(220) 및 연약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벽체 조립부(200)에 의해 연결되는 한 쌍의 벽체부는 10a와 10b일 수 있고, 10b와 10c일 수 있으며, 10c와 10d일 수 있고, 10a와 10d일 수 있다. 본 실시예서 도 2와 도 4를 참조하여 한 쌍의 벽체부가 10a와 10인 경우만을 설명하고, 나머지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기에 생략하고자 한다.
제 1 조립 삽입부(210)는 벽체부(10b)의 측면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ㄷ'자 형상을 갖는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 1 조립 삽입부(210)는 상호 간에 마주하면서 평행하게 이격되는 한 쌍의 조립 플레이트(210a)들, 및 조립 플레이트(210a)들의 일측단을 연결하여 조립 플레이트(210a)들과 직교하는 조립 연결 플레이트(21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벽체부(10b)의 측면은 한 쌍의 조립 플레이트(210a)들 사이에 삽입되고, 조립 연결 플레이트(210b)에 접촉될 때까지 제 1 조립 삽입부(210)에 삽입될 수 있다.
제 2 조립 삽입부(220)는 벽체부(10a)의 측면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ㄷ'자 형상을 갖는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벽체부(10a)는 제 1 조립 삽입부(210)에 삽입된 벽체부(10b)에 인접하도록 위치된다. 또한, 제 2 조립 삽입부(220)는 제 1 조립 삽입부(210)와 동일한 구성이고, 상호 간에 마주하면서 평행하게 이격되는 한 쌍의 조립 플레이트(220a)들, 및 조립 플레이트(220a)들의 일측단을 연결하여 조립 플레이트(220a)들과 직교하는 조립 연결 플레이트(22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벽체부(10a)의 측면은 한 쌍의 조립 플레이트(220a)들 사이에 삽입되고, 조립 연결 플레이트(220b)에 접촉될 때까지 제 2 조립 삽입부(220)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 1 조립 삽입부(210)의 내측면 및 제 2 조립 삽입부(220)의 내측면에도 접착제 또는 접착테이프가 적용되어, 벽체부(10b)는 제 1 조립 삽입부(21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고, 벽체부(10a)는 제 2 조립 삽입부(22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조립 삽입부(210)의 내측면 및 제 2 조립 삽입부(220)의 내측면은 삽입되는 벽체부들과 마주하는 면이다. 또한, 체결 수단(예를 들어, 나사못, 핀 등)은 벽체부(10b)와 제 1 조립 삽입부(210)를 동시에 관통하여 벽체부(10b)를 제 1 조립 삽입부(210)에 고정시킬 수 있고, 벽체부(10a)와 제 2 조립 삽입부(52)를 동시에 관통하여 벽체부(10a)를 제 2 조립 삽입부(52)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연약부(221)는 제 1 조립 삽입부(210)와 제 2 조립 삽입부(220)를 연결하고 회동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 2 조립 삽입부(220)는 연약부(221)에 의해 제 1 조립 삽입부(210)를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1 조립 삽입부(210)와 제 2 조립 삽입부(220)는 다양한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연약부(221)는 상호 간에 직교하도록 위치된 제 1 조립 삽입부(210)와 제 2 조립 삽입부(220)를 연결하되, 제 1 조립 삽입부(210)의 내측 조립 플레이트(210a)와 제 2 조립 삽입부(220)의 내측 조립 플레이트(220a) 사이에 위치된다. 여기서, 내측 조립 플레이트는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1)의 내측에 대응하도록 위치된 조립 플레이트를 의미한다. 이로 인해, 벽체부(10b)의 내측면과 벽체부(10a)의 측면은 마주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연약부(221)는 이동가능하고, 그 위치에 따라 제 1 조립 삽입부(210)을 기준으로 한 제 2 조립 삽입부(220)의 회전 방향 및 회동 범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 1 조립 삽입부(210)와 제 2 조립 삽입부(220) 사이의 각도(θ)는 다양한 각도로 이루어지되, 예각, 직각 또는 둔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벽체부에 의해 형성된 소정의 공간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1)의 형상도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1)가 육면체 형상일 때, 바닥부(20)는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다. 벽체부(10a, 10b, 10c, 10d)는 4개로 이루어지고, 상호 간에 인접한 벽체부(10a, 10b; 10b, 10c; 10c, 10d; 10a, 10d)는 직각을 형성한 제 1 조립 삽입부(210)와 제 2 조립 삽입부(220)에 의해 직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1)가 오각 기둥 형상 또는 육각 기둥 형상일 때, 바닥부(20)는 오각형 또는 육각형으로 이루어진다. 벽체부는 5개 또는 6개로 이루어지고, 상호 간에 인접한 벽체부들은 둔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1)가 삼각 기둥 형상일 때, 바닥부(20)는 삼각형으로 이루어진다. 벽체부는 3개로 이루어지고, 상호 간에 인접한 벽체부들은 예각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1)에서 벽체부(10a, 10b, 10c, 10d), 바닥부(20) 및 덮개부(3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조립부(100) 및 벽체 조립부(200)는 길게 연장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벽체부(10a, 10b, 10c, 10d), 바닥부(20), 덮개부(30), 조립부(100) 및 벽체 조립부(200)는 제작하고자 하는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1)의 크기 및 형상에 맞도록 절단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의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1)는 수요자의 수요량에 맞추어 소량으로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고,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1)에서 접힘부(11, 11')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에서 연결부(300)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1)에서 벽체부(10a', 10b, 10c', 10d)는 겹쳐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1)에는 접힘부(11, 11')가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접힘부(11, 11')는 벽체부(10a, 10c)에만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벽체부(10b, 10d)에도 형성될 수 있다.
접힘부(11, 11')는 벽체부(10a, 10c)의 외측면 및 내측면에서 수직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여기서, 접힘부(11, 11')는 홈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바닥부(20)와 덮개부(30)를 연결하며, 벽체부(10a, 10c)는 상호 간에 마주하도록 위치된다. 접힘부(11, 11')가 형성되지 않는 벽체부(10b, 10d)가 상호 간에 근접하도록 가압되면, 벽체부(10a, 10c)가 접힘부(11, 11')를 기준으로 접히고, 접힘부(11, 11')는 벽체부(10a, 10b, 10c, 10d)에 의한 공간의 중심을 향한다. 여기서, 제 2 조립 삽입부(220)는 연약부(221)에 의해 제 1 조립 삽입부(210)를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벽체부(10a, 10c)는 각각 안정적으로 접힐 수 있다. 한편, 벽체부(10a, 10c)가 접힘부(11, 11')를 기준으로 접힐 때, 접힘부(11, 11')는 벽체부(10a, 10b, 10c, 10d)에 의한 공간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될 수도 있다.
또한, 접힘부(11, 11')는 벽체부(10a, 10c)의 외측면 및 내측면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힘부(11)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부(10a, 10c)들의 각각의 중앙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벽체부(10a, 10c)는 접힘부(11)를 기준으로 동일한 폭(W)을 갖는다. 이로 인해, 접힘부(11)를 기준으로 벽체부(10)가 접힐 때, 벽체부(10a, 10c)에 인접한 벽체부(10b, 10d)는 상호 간에 대응하도록 겹쳐질 수 있다. 한편, 접힘부(11')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간에 대칭을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벽체부(10a, 10c)의 중앙에 따른 가상 중심선(O)으로부터 동일한 간격(W')만큼 이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벽체부(10a, 10c)에는 접힘선(11, 11')을 대신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30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벽체부(10a, 10c)는 접힘선(11)에 상응하도록 절개되어 2개의 벽체 부재(10')들로 이루어지고, 연결부(300)는 벽체 부재(10')들 사이에 위치되어 벽체 부재(10')들을 연결하고, 벽체 부재(10')들을 겹쳐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300)는 부재 삽입부(310) 및 부재 연약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부재 삽입부(31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각각 벽체 부재(10')의 측면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ㄷ'자 형상을 갖는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부재 삽입부(310)의 각각은 상호 간에 마주하면서 평행하게 이격되는 한 쌍의 부재 플레이트(310a)들, 및 부재 플레이트(310a)들의 일측단을 연결하여 부재 플레이트(310a)들과 직교하는 부재 연결 플레이트(31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벽체 부재(10')의 측면은 한 쌍의 부재 플레이트(310a)들 사이에 삽입되고, 부재 연결 플레이트(310b)에 접촉될 때까지 부재 삽입부(310)에 삽입될 수 있다.
부재 연약부(311)는 한 쌍의 부재 삽입부(310)들을 연결하고 회동가능하도록 한다. 부재 삽입부(310)들은 부재 연약부(311)에 의해 다양한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재 삽입부(310)는 벽체 부재(10')를 연결한 상태에서 동일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부재 삽입부(310)가 동일선 상에 위치되면, 벽체 부재(10')들은 동일 평면을 형성하여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1)의 벽체로서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부재 삽입부(310)가 부재 연약부(311)를 이용하여 회동하면, 벽체 부재(10')들은 겹쳐져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1)의 벽체부를 겹쳐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접힘선(11, 11') 및 연결부(300)로 인해, 벽체부는 상호 간에 결합된 상태에서 겹쳐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1)는 감소된 부피를 갖게 되어, 차지하는 공간에 따른 보관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한 번에 대량으로 운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의 조립부(500)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의 벽체 조립부(6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에서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의 조립부(100) 및 벽체 조립부(200)를 대신하여 조립부(500) 및 벽체 조립부(600)가 포함된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조립부(500) 및 벽체 조립부(600)를 제외하고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1)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조립부(500) 및 벽체 조립부(600)를 중심으로 설명하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1)의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조립부(500)는 바닥부(20) 및 덮개부(30)에 결합되어 바닥부(20) 및 덮개부(30)를 벽체부(10a, 10b, 10c, 10d)에 연결되도록 한다. 바닥부(20)의 가장자리가 조립부(500)에 삽입되어, 조립부(500)는 바닥부(20)와 결합된다. 여기서, 조립부(500)는 벽체부(10a, 10b, 10c, 10d)의 하부 외측면에 접촉된다. 또한, 덮개부(30)의 가장자리가 조립부(500)에 삽입되어, 조립부(500)는 덮개부(30)와 결합된다. 여기서, 조립부(500)는 벽체부(10a, 10b, 10c, 10d)의 상부 외측면에 접촉된다.
상기와 같은 조립부(500)는 벽체부(10a, 10b, 10c, 10d)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위치되어, 바닥부(20)의 모서리 및 덮개부(30)의 모서리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립부(500)는 삽입부(501) 및 돌출부(502)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501)는 바닥부(20)의 가장자리 또는 덮개부(30)의 가장자리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ㄷ'자 형상을 갖는 바아(bar)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삽입부(501)는 상호 간에 마주하면서 평행하게 이격되는 한 쌍의 삽입 플레이트들(511a, 511b), 삽입 플레이트들(511a, 511b)의 일측단을 연결하여 삽입 플레이트들(511a, 511b)과 직교하는 삽입 연결 플레이트(513), 및 삽입 플레이트들(511a, 511b)의 각각의 내측면으로부터 삽입 연결 플레이트(513)를 향하도록 연장된 플레이트 돌기(515)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삽입 플레이트들(511a, 511b)의 내측면은 상호 간에 마주하는 삽입 플레이트들(511a, 511b)의 면을 의미한다. 바닥부(20)의 가장자리 또는 덮개부(30)의 가장자리는 한 쌍의 삽입 플레이트들(511a, 511b) 사이에 삽입되고, 삽입 연결 플레이트(513)에 접촉될 때까지 삽입부(501)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바닥부(20)의 가장자리 또는 덮개부(30)의 가장자리는 삽입부(501)에 삽입된 상태에서 플레이트 돌기(515)들에 의해 삽입부(501)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돌출부(502)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삽입부(501)의 외측면으로부터 연장된다. 바닥부(20) 또는 덮개부(30)가 삽입부(501)에 삽입된 상태에서, 돌출부(502)는 바닥부(20) 또는 덮개부(30)와 직교하도록 위치되면서 벽체부(10a, 10b, 10c, 10d)의 외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502)는 삽입부(501)의 삽입 연결 플레이트(513)와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벽체 조립부(600)는 상호 간에 인접한 한 쌍의 벽체부(10a, 10b; 10b, 10c; 10c, 10d; 10a, 10d)에 결합되어 한 쌍의 벽체부(10a, 10b; 10b, 10c; 10c, 10d; 10a, 10d)를 연결할 수 있다. 즉, 벽체 조립부(600)는 벽체부(10a, 10b, 10c, 10d)들 사이에 위치되어 벽체부(10a, 10b, 10c, 10d)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유지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벽체 조립부(600)에는 벽체부(10a, 10b, 10c, 10d)의 측면이 삽입되고, 벽체부(10a, 10b, 10c, 10d)는 벽체 조립부(600)에 결합될 수 있다.
벽체 조립부(600)는 제 1 조립 삽입부(601), 제 2 조립 삽입부(602), 연약부(603) 및 조립 고정부(60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벽체 조립부(600)에 의해 연결되는 한 쌍의 벽체부는 10a와 10b일 수 있고, 10b와 10c일 수 있으며, 10c와 10d일 수 있고, 10a와 10d일 수 있다. 한 쌍의 벽체부가 10a와 10인 경우만을 설명하고, 나머지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기에 생략하고자 한다.
제 1 조립 삽입부(601)는 벽체부(10b)의 측면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ㄷ'자 형상을 갖는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 1 조립 삽입부(601)는 상호 간에 마주하면서 평행하게 이격되는 한 쌍의 조립 플레이트들(611a, 611b), 및 조립 플레이트들(611a, 611b)의 일측단을 연결하여 조립 플레이트들(611a, 611b)과 직교하는 조립 연결 플레이트(61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벽체부(10b)의 측면은 한 쌍의 조립 플레이트들(611a, 611b) 사이에 삽입되고, 조립 연결 플레이트(613)에 접촉될 때까지 제 1 조립 삽입부(601)에 삽입될 수 있다.
제 2 조립 삽입부(602)는 벽체부(10a)의 측면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ㄷ'자 형상을 갖는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벽체부(10a)는 제 1 조립 삽입부(601)에 삽입된 벽체부(10b)에 인접하도록 위치된다. 또한, 제 2 조립 삽입부(602)는 제 1 조립 삽입부(601)와 동일한 구성이고, 상호 간에 마주하면서 평행하게 이격되는 한 쌍의 조립 플레이트들(621a, 621b), 및 조립 플레이트들(621a, 621b)의 일측단을 연결하여 조립 플레이트들(621a, 621b)과 직교하는 조립 연결 플레이트(62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벽체부(10a)의 측면은 한 쌍의 조립 플레이트들(621a, 621b) 사이에 삽입되고, 조립 연결 플레이트(623)에 접촉될 때까지 제 2 조립 삽입부(620)에 삽입될 수 있다.
연약부(603)는 제 1 조립 삽입부(601)와 제 2 조립 삽입부(602)를 연결하고 회동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 2 조립 삽입부(602)는 연약부(603)에 의해 제 1 조립 삽입부(601)를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1 조립 삽입부(601)와 제 2 조립 삽입부(602)는 다양한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연약부(603)는 상호 간에 직교하도록 위치된 제 1 조립 삽입부(601)와 제 2 조립 삽입부(602)를 연결한다. 여기서, 제 1 조립 삽입부(601)의 내측 조립 플레이트(611a)와 제 2 조립 삽입부(602)의 연결 플레이트(623)는 상호 간에 마주한 상태에서 연약부(603)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연약부(603)는 제 2 조립 삽입부(602)의 내측 조립 플레이트(621a)에 인접하도록 위치되어, 제 1 조립 삽입부(601)의 조립 연결 플레이트(613)와 제 2 조립 삽입부(602)의 외측 조립 플레이트(621b)는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고, 제 1 조립 삽입부(601)의 내측 조립 플레이트(611a)와 제 2 조립 삽입부(602)의 내측 조립 플레이트(621a)는 겹쳐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벽체부(10b)의 내측면과 벽체부(10a)의 측면은 마주하여 벽체부(10b)와 벽체부(10a)는 직교하도록 위치될 수 있고, 벽체부들(10a, 10b)는 겹쳐질 수도 있다.
조립 고정부(604)는 제 1 조립 삽입부(601)의 내측 조립 플레이트(611a), 제 2 조립 삽입부(602)의 내측 조립 플레이트(621a) 및 조립 연결 플레이트(623)를 관통하면서 제 1 조립 삽입부(601) 또는 제 2 조립 삽입부(60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약부(603) 주위에 위치된다. 여기서, 조립 고정부(604)의 일종단은 제 1 조립 삽입부(601) 또는 제 2 조립 삽입부(602)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조립 고정부(604)의 타종단이 당겨져, 조립 고정부(604)에는 인장력이 가해질 수 있다. 인장력이 가해진 조립 고정부(604)는 펼쳐져 연약부(603)에 근접하도록 위치된다. 이로 인해, 제 1 조립 삽입부(601)와 제 2 조립 삽입부(602)는 조립 고정부(604)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유지될 수 있고, 연약부(603)가 파손되더라도 상호 간에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조립 고정부(604)는 고정 와이어(641) 및 와이어 고정부(64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와이어(641)는 제 1 조립 삽입부(601)의 내측 조립 플레이트(611a), 제 2 조립 삽입부(602)의 내측 조립 플레이트(621a) 및 조립 연결 플레이트(623)를 관통하면서 제 1 조립 삽입부(601) 또는 제 2 조립 삽입부(60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약부(603) 주위를 감은 형태로 위치된다. 즉, 고정 와이어(641)는 스프링과 같이 감긴 형태로 이루어지고, 연약부(603) 주위에 위치된다. 여기서, 고정 와이어(641)의 일종단은 제 1 조립 삽입부(601) 또는 제 2 조립 삽입부(602)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고정 와이어(641)의 타종단은 당겨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 후술될 와이어 고정부(643)에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 고정부(643)는 고정 와이어(641)의 타종단에 연결되고, 당겨져 인장력이 가해진 고정 와이어(641)를 감아, 고정 와이어(641)가 인장력이 가해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즉, 고정 와이어(641)의 타종단이 당겨짐으로써 인장력이 고정 와이어(641)에 가해질 때, 고정 와이어(641)는 와이어 고정부(643)에 의해 연약부(603)에 근접하게 위치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고정부(643)는 고정 너트(643a), 고정 볼트(643b) 및 연결 몸체(643c)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너트(643a)는 중공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고정 와이어(641)는 타종단부터 고정 너트(643a)를 통과하여 위치된다.
고정 볼트(643b)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고정 너트(643a)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또한, 고정 볼트(643b)의 일종단면에는 통과홈(643b')이 형성된다. 여기서, 통과홈(643b')은 고정 볼트(643b)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 볼트(643b)를 절개한 형태로 형성된다. 고정 볼트(643b)가 고정 너트(643a)에 체결될 때, 고정 와이어(641)은 고정 너트(643a)를 통과하면서 통과홈(643b')를 통과할 수 있다. 즉, 통과홈(643b')은 고정 볼트(643b)가 고정 너트(643a)에 체결된 상태에서도 고정 와이어(641)가 고정 너트(643a)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고정 볼트(643b)는 고정 너트(643a)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 몸체(643c)에는 고정 너트(643a)를 통과한 고정 와이어(641)가 감긴다. 또한, 고정 볼트(643b)가 고정 너트(643a)에 체결된 상태에서, 연결 몸체(643c)는 통과홈(643b')에 삽입될 수 있다. 고정 와이어(641)가 타종단이 당겨지고 연결 몸체(643c)에 감겨진 상태에서, 연결 몸체(643c)가 고정 너트(643a)에 체결된 고정 볼트(643b)의 통과홈(643b')에 삽입되면, 고정 와이어(641)는 인장력이 가해진 상태로 유지되고, 펼쳐져 연약부(603)에 근접하도록 위치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의 벽체 조립부(7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에서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의 벽체 조립부(600)를 대신하여 벽체 조립부(700)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벽체 조립부(700)를 중심으로 설명하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1)의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벽체 조립부(700)는 상호 간에 인접한 한 쌍의 벽체부(10a, 10b; 10b, 10c; 10c, 10d; 10a, 10d)에 결합되어 한 쌍의 벽체부(10a, 10b; 10b, 10c; 10c, 10d; 10a, 10d)를 연결할 수 있다. 즉, 벽체 조립부(700)는 벽체부(10a, 10b, 10c, 10d)들 사이에 위치되어 벽체부(10a, 10b, 10c, 10d)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유지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벽체 조립부(700)에는 벽체부(10a, 10b, 10c, 10d)의 측면이 삽입되고, 벽체부(10a, 10b, 10c, 10d)는 벽체 조립부(700)에 결합될 수 있다.
벽체 조립부(700)는 제 1 조립 삽입부(701), 제 2 조립 삽입부(702), 연약부(703) 및 조립 고정부(70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벽체 조립부(700)에 의해 연결되는 한 쌍의 벽체부는 10a와 10b일 수 있고, 10b와 10c일 수 있으며, 10c와 10d일 수 있고, 10a와 10d일 수 있다.
제 1 조립 삽입부(701)는 벽체부(10b)의 측면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ㄷ'자 형상을 갖는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 1 조립 삽입부(701)는 상호 간에 마주하면서 평행하게 이격되는 한 쌍의 조립 플레이트들(711a, 711b), 및 조립 플레이트들(711a, 711b)의 일측단을 연결하여 조립 플레이트들(711a, 711b)과 직교하는 조립 연결 플레이트(71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벽체부(10b)의 측면은 한 쌍의 조립 플레이트들(711a, 711b) 사이에 삽입되고, 조립 연결 플레이트(713)에 접촉될 때까지 제 1 조립 삽입부(701)에 삽입될 수 있다.
제 2 조립 삽입부(702)는 벽체부(10a)의 측면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ㄷ'자 형상을 갖는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벽체부(10a)는 제 1 조립 삽입부(701)에 삽입된 벽체부(10b)에 인접하도록 위치된다. 또한, 제 2 조립 삽입부(702)는 제 1 조립 삽입부(701)와 동일한 구성이고, 상호 간에 마주하면서 평행하게 이격되는 한 쌍의 조립 플레이트들(721a, 721b), 및 조립 플레이트들(721a, 721b)의 일측단을 연결하여 조립 플레이트들(721a, 721b)과 직교하는 조립 연결 플레이트(72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벽체부(10a)의 측면은 한 쌍의 조립 플레이트들(721a, 721b) 사이에 삽입되고, 조립 연결 플레이트(723)에 접촉될 때까지 제 2 조립 삽입부(702)에 삽입될 수 있다.
연약부(703)는 제 1 조립 삽입부(701)와 제 2 조립 삽입부(702)를 연결하고 회동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 2 조립 삽입부(702)는 연약부(703)에 의해 제 1 조립 삽입부(701)를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1 조립 삽입부(701)와 제 2 조립 삽입부(702)는 다양한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연약부(703)는 상호 간에 직교하도록 위치된 제 1 조립 삽입부(701)와 제 2 조립 삽입부(702)를 연결한다. 여기서, 제 1 조립 삽입부(701)의 내측 조립 플레이트(711a)와 제 2 조립 삽입부(702)의 연결 플레이트(723)는 상호 간에 마주한 상태에서 연약부(703)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연약부(703)는 제 2 조립 삽입부(702)의 내측 조립 플레이트(721a)에 인접하도록 위치되어, 제 1 조립 삽입부(701)의 조립 연결 플레이트(713)와 제 2 조립 삽입부(702)의 외측 조립 플레이트(721b)는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고, 제 1 조립 삽입부(701)의 내측 조립 플레이트(711a)와 제 2 조립 삽입부(702)의 내측 조립 플레이트(721a)는 겹쳐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벽체부(10b)의 내측면과 벽체부(10a)의 측면은 마주하여 벽체부(10b)와 벽체부(10a)는 직교하도록 위치될 수 있고 벽체부들(10a, 10b)는 겹쳐질 수도 있다.
조립 고정부(704)는 제 1 조립 삽입부(701)의 일종단부 및 제 2 조립 삽입(702)의 일종단부에 결합되어, 제 1 조립 삽입부(701)와 제 2 조립 삽입부(702)를 소정의 각도로 유지한다. 또한, 연약부(703)가 파손되더라도, 제 1 조립 삽입부(701)와 제 2 조립 삽입부(702)는 조립 고정부(704)에 의해 상호 간에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조립 고정부(704)는 고정 플레이트(741) 및 고정 결합부(74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741)는 평평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 1 조립 삽입부(701)의 폭에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다. 여기서, 제 1 조립 삽입부(701)의 폭은 제 1 조립 삽입부(701)에서 조립 플레이트들(711a, 711b) 사이의 간격에 상응한다. 또한, 고정 플레이트(741)는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 결합부(743)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고정 플레이트(741)의 일면 가장자리에서 고정 플레이트(741)와 직교하도록 위치된다. 직사각형의 고정 플레이트(741)에서는 고정 플레이트(741)의 꼭지점에 대응하도록 4개의 고정 결합부(743)가 위치될 수 있다.
고정 결합부(743)들 사이에는 제 1 조립 삽입부(701)의 조립 플레이트들(711a, 711b) 및 제 2 조립 삽입부(701)의 조립 연결 플레이트(723)가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2개의 고정 결합부(743)들은 제 1 조립 삽입부(701)의 외측 조립 플레이트(711b)에 접촉될 수 있고, 나머지 2개의 고정 결합부(743)들은 제 2 조립 삽입부(702)의 조립 플레이트들(721a, 721b)들 또는 제 2 조립 삽입부(702)의 조립 연결 플레이트(723)에 접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1 조립 삽입부(701)와 제 2 조립 삽입부(702)는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고, 연약부(703)가 파손되더라도 상호 간에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1: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
10: 벽체
20: 바닥부
30: 덮개부
100, 500: 조립부
200, 600, 700: 벽체 조립부
300: 연결부

Claims (8)

  1. 각각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호 간에 인접하도록 위치되는 복수 개의 벽체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벽체부의 하측에 위치되며, 벽체부가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되는 바닥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벽체부의 상측에 위치되며, 벽체부가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되는 덮개부;
    바닥부 및 덮개부에 결합되어 바닥부 및 덮개부를 벽체부에 연결하는 조립부; 및
    벽체부들 사이에 위치되고 벽체부들에 결합되어 벽체들을 연결하는 벽체 조립부를 포함하고,
    벽체 조립부는,
    'ㄷ'자 형상을 갖는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나의 벽체부의 측면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 1 조립 삽입부;
    'ㄷ'자 형상을 갖는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1 조립 삽입부와 직교하도록 위치되고, 다른 하나의 벽체부의 측면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 2 조립 삽입부; 및
    제 1 조립 삽입부와 제 2 조립 삽입부를 연결하고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연약부를 포함하되,
    하나의 벽체부 및 다른 하나의 벽체부는 각각 제 1 조립 삽입부 및 제 2 조립 삽입부에 결합되어 연결되고,
    제 1 조립 삽입부 및 제 2 조립 삽입부는 회동되어 하나의 벽체부와 다른 하나의 벽체부 사이의 각도를 제어하며,
    연약부는 제 1 조립 삽입부 및 제 2 조립 삽입부의 회동 범위를 제어하도록 이동하고,
    제 1 조립 삽입부 및 제 2 조립 삽입부의 각각은,
    상호 간에 마주하면서 평행하게 이격되는 한 쌍의 조립 플레이트들; 및
    조립 플레이트들의 일측단을 연결하여 조립 플레이트들과 직교하는 조립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제 1 조립 삽입부의 내측 조립 플레이트와 제 2 조립 삽입부의 조립 연결 플레이트는 상호 간에 마주하도록 위치되고, 그 사이에 연약부가 위치되어 회동가능하며,
    벽체 조립부는,
    제 1 조립 삽입부의 내측 조립 플레이트, 제 2 조립 삽입부의 내측 조립 플레이트, 및 제 2 조립 삽입부의 연결 플레이트를 관통하면서 제 1 조립 삽입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약부 주위를 감은 형태로 위치되고, 일종단이 제 1 조립 삽입부에 고정되는 고정 와이어; 및
    고정 와이어의 타종단에 연결되어, 고정 와이어의 타종단이 당겨질 때 고정 와이어에 가해진 인장력을 유지하는 와이어 고정부를 더 포함하되,
    고정 와이어는 고정 와이어의 타종단이 당겨져 펼쳐져 연약부에 근접하게 위치되고, 와이어 고정부에 의해 연약부에 근접하게 위치되도록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와이어 고정부는,
    고정 너트;
    일종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한 형태의 통과홈이 형성되고, 고정 너트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고정 볼트; 및
    통과홈에 삽입가능한 연결 몸체를 더 포함하되,
    고정 너트와 고정 볼트가 체결되고 인장력이 가해진 고정 와이어가 고정 너트 및 통과홈을 통과한 상태에서, 연결 몸체는 고정 와이어를 감은 상태로 통과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
  8.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호 간에 마주하는 벽체부는 각각 수직방향을 따라 분리된 2개의 벽체 부재들로 이루어지고,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는,
    벽체 부재들 사이에 위치되어 벽체 부재들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되,
    연결부는,
    각각 'ㄷ'자 형상을 갖는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벽체 부재의 측면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한 쌍의 부재 삽입부; 및
    한 쌍의 부재 삽입부들을 연결하고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부재 연약부를 포함하되,
    부재 삽입부는 벽체 부재들을 연결한 상태에서 동일선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
KR1020180062840A 2018-05-31 2018-05-31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 KR101896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840A KR101896417B1 (ko) 2018-05-31 2018-05-31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840A KR101896417B1 (ko) 2018-05-31 2018-05-31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6417B1 true KR101896417B1 (ko) 2018-09-10

Family

ID=63593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840A KR101896417B1 (ko) 2018-05-31 2018-05-31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41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0463A (ko) * 2003-11-25 2005-05-31 금강기계공업(주) 조립 밀폐형 스틸박스
KR200417505Y1 (ko) * 2006-03-11 2006-05-30 이석 접이식 컨테이너 팔레트 시스템
KR20060064596A (ko) * 2006-05-24 2006-06-13 인팩글로벌 주식회사 컨테이너 적재용 조립식 상자
KR101033877B1 (ko) * 2010-03-17 2011-05-11 박귀서 조립식 포장용 상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0463A (ko) * 2003-11-25 2005-05-31 금강기계공업(주) 조립 밀폐형 스틸박스
KR200417505Y1 (ko) * 2006-03-11 2006-05-30 이석 접이식 컨테이너 팔레트 시스템
KR20060064596A (ko) * 2006-05-24 2006-06-13 인팩글로벌 주식회사 컨테이너 적재용 조립식 상자
KR101033877B1 (ko) * 2010-03-17 2011-05-11 박귀서 조립식 포장용 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72325A (en) Storage case for a tape cartridge
DE68903851T2 (de) Verschweisshaspel.
US20100181227A1 (en) Jewellery box
KR20140004471U (ko) 포장상자
JP2020533247A (ja) 保管・輸送箱
JP2009536903A (ja) カートン組立体
US20030230667A1 (en) Device and method for storing electric cable and electric cable components
KR101896417B1 (ko) 일회용 수출 포장 상자
KR200398276Y1 (ko) 물품 포장용 상자
ITGE20000033U1 (it) Cassetta di derivazione e/o portafrutti per impianti elettrici.
KR200490227Y1 (ko) 조명기구 포장용 박스
US11618622B2 (en) Packaging cover and corner structure thereof
JP5001061B2 (ja) 煙草箱を収納する硬質の包装容器
KR20220101798A (ko) 계란 보관용 용기
JPS5974517A (ja) 光ケ−ブル接続箱
CN107856977B (zh) 护角框及包装结构
US20240120721A1 (en) Spliced wire electrical junction box
JP7330625B2 (ja) 荷札ケース
KR102312848B1 (ko) 테이프 없이 포장가능한 포장상자
EP1304590A2 (en) Optical fibre splice storage enclosure
KR102448055B1 (ko) 바닥에 닿지 않는 계란포장박스
KR200385178Y1 (ko) 여유수용공간을 갖는 포장박스
KR200261379Y1 (ko) 상품 포장용 상자
US1183421A (en) Cigarette-box.
KR200261888Y1 (ko) 완충재 이탈방지턱을 가지는 제품포장용 패드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