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6285B1 - 구배 형성이 용이한 밀도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구배 형성이 용이한 밀도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6285B1
KR101896285B1 KR1020170012685A KR20170012685A KR101896285B1 KR 101896285 B1 KR101896285 B1 KR 101896285B1 KR 1020170012685 A KR1020170012685 A KR 1020170012685A KR 20170012685 A KR20170012685 A KR 20170012685A KR 101896285 B1 KR101896285 B1 KR 101896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ensity
temperature
hollow
gra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8078A (ko
Inventor
이충일
설강수
정해근
권순만
안철중
Original Assignee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12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285B1/ko
Publication of KR20180088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8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9/00Investigat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of material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 G01N9/32Investigat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of material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by using flow properties of fluids, e.g. flow through tubes or aper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01K61/17Hatching, e.g. incub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65Heating or cool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본 발명은 어류 란의 발달에 따른 양식수의 적정밀도를 측정하기 위한 밀도 측정 장치에 있어서,
기둥 형상으로 제작되어 내부에 상기 양식수가 수용되기 위한 중공을 마련한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중공을 설정된 간격으로 구획하고, 상기 구획된 중공에 상이한 온도를 갖는 상기 양식수를 각각 공급 또는 배출시켜 상기 중공 내 양식수의 온도와 밀도가 조절되도록 하며, 상기 조절에 의해 구배를 형성하는 구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몸체에 마련된 중공을 설정된 간격으로 구획하고, 서로 다른 온도의 양식수를 각각 공급 및 배출시켜 온도 및 밀도가 조절되도록 하며, 조절에 의해 다양한 밀도구배를 형성하는 구배유닛을 통해 어류 란의 발달에 따른 양식수의 적정밀도를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배 형성이 용이한 밀도 측정 장치{DENSITY MEASURING DEVICE EASY TO GRADIENT FORMATION}
본 발명은 구획되는 공간에 서로 다른 온도의 양식수를 각각 공급 및 배출시켜 온도 및 밀도가 조절되도록 하고, 조절에 의해 다양한 밀도구배를 형성하는 구성을 통해 어류 란의 발달에 따른 양식수의 적정밀도를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구배 형성이 용이한 밀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유성 어류 란은 발생이 진행되는 동안 내부 조직과 기관의 구성물질 변화, 해수환경 등으로 인하여 밀도가 변한다.
예컨대, 어류 란은 발생초기에 주변의 해수보다 밀도가 낮아 해수의 밀도와 동일한 수층으로 떠오르지만 발생후기에는 다시 밀도가 증가하여 침강하게 되며, 그 후 부화 직전에 밀도가 급격하게 감소하여 주변 해수보다 밀도가 낮아지므로 표층을 향하여 떠오르게 된다.
이러한 어류 란의 수직분포 특성 연구를 위하여 수층별 채집이 용이한 개폐식 동물플랑크톤 네트가 사용되는데, 상기 네트를 이용한 연구에서는 동일한 어류 란이 지역에 따라 수직분포에 차이가 있을 수 있고, 이는 어류 란의 밀도와 해수의 밀도가 균형을 이루는 깊이가 고려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한, 어류 란의 밀도는 온도차에 의한 어류 란의 열팽창(또는 수축)과 염분도 차이에 따른 삼투작용에 의한 어류 란의 팽창(또는 수축)으로 변할 수 있는데, 이러한 어류 란은 온도변화에 대한 열팽창률(또는 수축률)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온도차이가 상기 어류 란의 밀도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으나, 종래의 밀도측정기 내에 투입된 어류 란은 채집된 환경의 밀도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매질에 의해 매질의 밀도와 동일한 곳으로 침강하는 동안 급격한 염분변화를 경험하게 된다.
이는 어류 란의 밀도를 기존의 밀도측정기로 측정할 경우 상기 어류 란의 밀도가 매질(밀도측정기)의 염분도 차이에 의한 삼투작용으로 저평가될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점을 보여준다.
따라서 어류 란의 수직분포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네트를 이용한 수층별 채집 및 기존의 밀도측정기를 이용한 측정 이외에도, 어류 란의 밀도를 측정하여 발생단계별 어류 란의 밀도와 해수의 밀도가 균형을 이루는 깊이를 효율적으로 파악하는 기술이 절실히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6390호(발명의 명칭: 원형수조용 수직형 선회류 분사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구획되는 공간에 서로 다른 온도의 양식수를 각각 공급 및 배출시켜 온도 및 밀도가 조절되도록 하고, 조절에 의해 다양한 밀도구배를 형성하는 구성을 통해 어류 란의 발달에 따른 양식수의 적정밀도를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구배 형성이 용이한 밀도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양식수의 공급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구성을 순환이 용이하도록 배치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밀도층을 신속하게 생성해낼 수 있고, 온도를 감지하며 설정된 온도로 자동적으로 발열하는 구성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를 일정하게 순환시킬 수 있는 구배 형성이 용이한 밀도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구획되는 공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구성을 통해 밀도 측정에 대한 가용범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양식수의 온도와 염도를 감지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구성과 설정된 밀도를 갖는 부유체의 위치를 통해 사용자가 양식수의 실제 온도 및 실제 염도를 실시간으로 인지할 수 있는 동시에, 이에 따른 양식수의 적정밀도를 빠르게 추정해낼 수 있는 구배 형성이 용이한 밀도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배 형성이 용이한 밀도 측정 장치는, 어류 란의 발달에 따른 양식수의 적정밀도를 측정하기 위한 밀도 측정 장치에 있어서, 기둥 형상으로 제작되어 내부에 상기 양식수가 수용되기 위한 중공을 마련한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중공을 설정된 간격으로 구획하고, 상기 구획된 중공에 상이한 온도를 갖는 상기 양식수를 각각 공급 또는 배출시켜 상기 중공 내 양식수의 온도와 밀도가 조절되도록 하며, 상기 조절에 의해 구배를 형성하는 구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배유닛은, 상기 몸체의 중공에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는 평판 형상의 패널부재; 및 상기 몸체의 외면측에 상기 중공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각각의 패널부재의 배치에 따라 구획된 중공에 상이한 온도를 갖는 상기 양식수를 각각 공급 또는 배출시켜 상기 중공 내 양식수의 온도와 밀도를 조절하는 수온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온조절부재는, 상기 몸체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어 고온의 양식수를 공급하는 온수 공급관; 상기 온수 공급관의 하부방향으로 이격하여 설치되고, 순환에 의해 저온으로 변화한 양식수를 배출하는 냉수 배출관; 상기 몸체의 외면 타측에 상기 냉수 배출관과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저온의 양식수를 공급하는 냉수 공급관; 및 상기 냉수 공급관의 상부방향으로 이격하여 설치되고, 순환에 의해 고온으로 변화한 양식수를 배출하는 온수 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온조절부재는, 상기 공급관 및 배출관에 설치되어, 상기 양식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자동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온수 공급관은, 열을 방출하는 히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배유닛은, 상기 패널부재와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패널부재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패널부재의 배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부재는, 상기 패널부재의 측면에 설치되어 절첩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탄성의 탄성절첩부; 상기 몸체의 수평방향에 상기 탄성절첩부의 절첩운동방향과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탄성의 실링처리를 통해 수압 밀봉되는 제1 가이드 홈; 상기 몸체의 수직방향에 상기 패널부재의 상하운동방향과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탄성의 실링처리를 통해 수압 밀봉되는 제2 가이드 홈; 상기 탄성절첩부의 말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1,2 가이드 홈을 통해 상기 몸체를 관통하고, 상기 관통에 의해 상기 몸체 외부에 손잡이 형태로 노출되어 상기 제1,2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더; 및 상기 제1 가이드 홈에 대응하는 상기 몸체의 외측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더가 걸려 지지되도록 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배유닛은, 상기 패널부재를 수직으로 관통 설치되어 설정된 염도를 갖는 양식수를 수용하는 중공 유리관과, 상기 중공 유리관 내에 투입되는 밀도구슬로 구성된 밀도확인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구획된 중공에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각각의 중공에 수용된 양식수의 온도, 염도 및 무게를 감지하는 센서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배유닛 및 상기 센서유닛과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센서유닛에서 감지된 값에 따라 상기 구배유닛의 자동밸브 개폐 및 히터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상기 몸체의 외면측에 설치되고, 상기 센서유닛에서 감지된 값을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배 형성이 용이한 밀도 측정 장치는, 몸체에 마련된 중공을 설정된 간격으로 구획하고, 서로 다른 온도의 양식수를 각각 공급 및 배출시켜 온도 및 밀도가 조절되도록 하며, 조절에 의해 다양한 밀도구배를 형성하는 구배유닛을 통해 어류 란의 발달에 따른 양식수의 적정밀도를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양식수의 공급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수온조절부재를 몸체에 순환이 용이하도록 배치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밀도층을 신속하게 생성해낼 수 있고,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유닛과,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와, 히터의 작동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러의 유기적인 구성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를 일정하게 순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패널부재에 의해 구획될 중공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재를 통해 밀도 측정에 대한 가용범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센서유닛에 의해 감지되는 양식수의 온도와 염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유닛과 설정된 밀도를 갖는 밀도구슬을 중공 유리관 내에 설치한 밀도확인부재의 구성을 통해 사용자가 양식수의 실제 온도 및 실제 염도를 실시간으로 인지할 수 있는 동시에, 이에 따른 양식수의 적정밀도를 빠르게 추정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배 형성이 용이한 밀도 측정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밀도 측정 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상기 밀도 측정 장치의 전자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상기 밀도 측정 장치의 간격조절부재의 절첩을 나타낸 동작상태도.
도 5는 상기 밀도 측정 장치의 패널부재가 간격조절부재에 의해 상하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동작상태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배 형성이 용이한 밀도 측정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밀도 측정 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도 3은 상기 밀도 측정 장치의 전자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상기 밀도 측정 장치의 간격조절부재의 절첩을 나타낸 동작상태도이며, 도 5는 상기 밀도 측정 장치의 패널부재가 간격조절부재에 의해 상하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동작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류 란의 발달에 따른 양식수의 적정밀도를 측정하기 위한 밀도 측정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구배 형성이 용이한 밀도 측정 장치(100)는 몸체(110), 구배유닛(120), 센서유닛(130), 컨트롤러(140) 및 표시유닛(15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몸체(110)는 후술되는 모든 구성을 고정하고 형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기본적인 각종 부품들이 탑재되도록 기둥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 상기 양식수가 수용되기 위한 중공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양식수는 어류 란을 양식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형성한 물을 의미하며, 이는 해당관련분야의 통상지식을 가진 당업자에 의해 설정된 염도를 갖는 재료를 첨가하여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 상기 몸체(110)에 마련된 중공에는 상기 양식수와 함께 상기 양식수의 적정밀도를 측정하기 위한 어류 란이 투입되어야 함은 자명한 사실이며, 본 발명의 도면에서 상기 어류란의 도시는 생략하였음을 미리 언급하는 바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몸체(110)를 사각기둥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뿐,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기둥의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구배유닛(120)은 몸체(110)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110)의 중공을 설정된 간격으로 구획하고, 상기 구획된 중공에 상이한 온도를 갖는 상기 양식수를 각각 공급 또는 배출시켜 상기 중공 내 양식수의 온도와 밀도가 조절되도록 하며, 상기 조절에 의해 밀도에 대한 구배를 형성하는 것으로, 패널부재(121), 수온조절부재(122), 간격조절부재(123) 및 밀도확인부재(1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부재(121)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의 중공에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110)의 중공을 직접적으로 구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패널부재(121)는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몸체(110)가 이루는 사각기둥의 형상 및 중공에 대응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사각평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후술될 상기 간격조절부재(123)의 설치를 위해 상기 몸체(110)의 내면, 즉, 상기 중공이 이루는 둘레와 설정된 간격을 갖는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수온조절부재(122)는 몸체(110)의 외면측에 상기 중공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패널부재(121)의 배치에 따라 구획된 중공에 상이한 온도를 갖는 상기 양식수를 각각 공급 또는 배출시켜 상기 중공 내 양식수의 온도와 밀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온수 공급관(122a), 냉수 배출관(122b), 냉수 공급관(122c), 온수 배출관(122d) 및 자동밸브(122e)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 상기 공급관(122a, 122c) 및 상기 배출관(122b, 122d)은 공지의 수동밸브(부호 미표시) 또는 후술될 자동밸브(122e)를 이용하여 상기 중공 내의 양식수에 대한 공급 및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공급관(122a, 122c)은 설정된 용량의 양식수를 미리 저장한 별도의 양식수 저장부(미도시)와 연결되어, 상기 몸체(110)의 중공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양식수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을 미리 언급하는 바이다.
상기 온수 공급관(122a)은 몸체(110)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어 고온의 양식수를 상기 몸체(110)의 중공으로 공급하는 관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열을 방출하는 히터(122a')를 구비하여 상술한 양식수 저장부에서 상기 몸체(110)의 중공으로 향하는 양식수를 설정된 온도로 가열시키도록 구성한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양식수 저장부에서 미리 가열된 양식수를 상기 중공으로 유입시킬 수도 있으며, 이는 일반적인 공지기술이므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히터(122a')는 후술될 컨트롤러(1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열을 방출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공지의 발열모듈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히터(122a')의 온도를 기설정하기 위해 본 발명의 상기 밀도 측정 장치(100)는 상기 몸체(110) 외면에 위치한 스위치, 버튼 등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히터(122a')에 대한 상기 컨트롤러(140)의 제어값이 미리 설정되도록 하는 입력유닛(부호 미표시)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냉수 배출관(122b)은 온수 공급관(122a)의 고온 양식수 공급과 이에 따른 순환에 의해 저온으로 변화한 양식수를 상기 몸체(110)의 외부로 배출하는 관으로서, 상기 온수 공급관(122a)의 하부방향으로 이격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수 공급관(122c)은 저온의 양식수를 상기 몸체(110)의 중공으로 공급하는 관으로서, 상기 몸체(110)의 외면 타측에 상기 냉수 배출관(122b)과 대응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수 배출관(122d)은 냉수 공급관(122c)의 저온 양식수 공급과 이에 따른 순환에 의해 고온으로 변화한 양식수를 상기 몸체(110)의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 상기 냉수 공급관(122c)의 상부방향으로 이격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수 공급관(122a), 냉수 배출관(122b), 냉수 공급관(122c), 온수 배출관(122d)의 배치구성에 의하면, 상기 패널부재(121)에 의해 구획된 상기 몸체(110)의 중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공간 내에서도 온도차에 대한 순환이 용이해지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밀도층을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생성해낼 수 있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구획된 중공 중 하나의 단위 중공에 작용하는 양식수의 온도차 순환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단위 중공에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관(122a, 122c)을 통해 양식수가 공급되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공급된 양식수는 밀도 차이에 의해 상대적으로 고온인 물이 위에, 상대적으로 저온인 물이 아래에 위치하는 온도 구배를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온도 구배는 시간이 흐르면서 상호 온도차가 감소하게 되어 불명확해지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여기서, 상기 단위 중공 내 양식수의 평균온도를 상승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온수 공급관(122a)의 개방을 통해 고온의 양식수가 공급되고, 동시에, 상기 냉수 배출관(122b)의 개방을 통해 기수용되어 있던 저온의 양식수가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온수 배출관(122d) 및 냉수 공급관(122c)은 폐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온수 공급관(122a)에서 공급된 양식수는 상기 단위 중공 내 미리 존재하는 양식수를 상기 온수 배출관(122d), 냉수 공급관(122c), 냉수 배출관(122b) 쪽으로 밀어내어 순환하면서 평균온도를 급격하게 상승시키는 것은 물론, 온도 구배에 따른 고온화된 밀도층을 재형성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단위 중공 내 양식수의 평균온도를 하강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냉수 공급관(122c)의 개방을 통해 저온의 양식수가 공급되고, 동시에, 상기 온수 배출관(122d)의 개방을 통해 기수용되어 있던 고온(상기 냉수 공급관에서 공급되는 양식수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양식수가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냉수 배출관(122b) 및 온수 공급관(122a)은 폐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냉수 공급관(122c)에서 공급된 양식수는 상기 단위 중공 내 미리 존재하는 양식수를 상기 냉수 배출관(122b), 온수 공급관(122a), 온수 배출관(122d) 쪽으로 밀어내어 순환하면서 평균온도를 급격하게 하강시키는 것은 물론, 온도 구배에 따른 저온화된 밀도층을 재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자동밸브(122e)는 전술한 공급관(122a, 122c) 및 배출관(122b, 122d)에 대한 상기 양식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공급관(122a, 122c) 및 배출관(122b, 122d)에 설치될 수 있고, 후술될 컨트롤러(14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부재(123)는 패널부재(121)와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패널부재(121)가 몸체(110)와 수평방향(기둥형상에서 폭이 되는 방향)으로 절첩되도록 하고, 상기 몸체(110)와 수직방향(기둥형상에서 높이가 되는 방향)으로 상하 이동되도록 한 후, 상기 몸체(110)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패널부재(121)의 배치 간격을 조절하는 것으로, 탄성절첩부(123a), 제1 가이드 홈(123b), 제2 가이드 홈(123c), 가이더(123d) 및 스토퍼(123e)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절첩부(123a)는 패널부재(121)의 측면에 설치되어 절첩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구성으로, 탄성을 갖도록 이루어져 장력으로 인해 자동으로 접혀지도록 제작될 수 있고, 펼쳐졌을 경우에는, 상기 몸체(110)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탄성절첩부(123a)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공지의 탄성절첩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홈(123b)은 상술한 탄성절첩부(123a)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몸체(110)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후술될 가이더(123d)의 수평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110)의 수평방향에 상기 탄성절첩부(123a)의 절첩운동방향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가이드 홈(123b)은 더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부재(121)의 배치가능범위를 확대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10)의 수직방향으로 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 홈(123b)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가이더(123d)의 수평이동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상기 몸체(110)의 외부에 대한 상기 양식수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공지의 탄성재질로 실링 처리되어 수압 밀봉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압 밀봉에 관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 설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2 가이드 홈(123c)은 상기 몸체(110)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더(123d)의 수직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몸체(110)의 수직방향에 상기 패널부재(121)의 상하운동방향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 가이드 홈(123b)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가이드 홈(123c)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 가이드 홈(123b)과 동일하게 탄성재질을 이용한 실링처리를 통해 수압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더(123d)는 상술한 제1,2 가이드 홈(123b, 123c)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상기 탄성절첩부(123a)의 말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1,2 가이드 홈(123b, 123c)을 통해 상기 몸체(110)를 관통하고, 상기 관통에 의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 외부에 손잡이 형태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23e)는 몸체(110)의 외면에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 및 고정 형성되어, 상기 제1,2 가이드 홈(123b, 123c)을 통해 노출된 상기 가이더(123d)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 가이드 홈(123b)에 대응하는 상기 몸체(110)의 외측 가장자리에 'ㄴ'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더(123d)가 걸려 지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상기 간격조절부재(123)를 이용한 상기 패널부재(121)의 간격 설정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가이더(123d)를 제2 가이드 홈(123c)에 위치시키고, 상기 가이더(123d)를 상하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의 제1 가이드 홈(123b)에 연접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더(123d)를 연접한 제1 가이드 홈(123b)을 따라 상기 몸체(110)의 외측 가장자리 쪽으로 당긴다.
이때, 상측 돌출부분을 갖는 'ㄴ'자 형상의 상기 스토퍼(123e)에 걸릴 수도 있으므로, 상기 가이더(123d)를 제1 가이드 홈(123b)의 수압 밀봉된 부분을 이용하여 상부방향으로 들어 올리면서 당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탄성절첩부(123a)는 상기 가이더(123d)에 의해 신장되고, 상기 몸체(110)의 내면에 밀착되어 상기 몸체(110)의 중공을 빈틈없이 밀폐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123e)는 제1 가이드 홈(123b)을 통해 상기 몸체(110)의 외측 가장자리 끝으로 넘어간 상기 가이더(123d)를 상기 상측 돌출부분에 걸리도록 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간격조절부재(123)의 구성은 상기 패널부재(121)의 균형을 위해 상기 몸체(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밀도확인부재(124)는 부유체의 위치를 통해 사용자가 양식수의 적정밀도를 보조적으로 추정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부재로서, 중공 유리관(124a) 및 밀도구슬(124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공 유리관(124a)은 설정된 염도를 갖는 양식수가 수용되는 유리관으로서, 상기 몸체(110) 내에 상기 패널부재(121)를 수직으로 관통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중공 유리관(124a)에 수용되는 양식수는 상기 몸체(110)에 수용된 양식수와 간접적으로 접촉하므로, 온도 영향을 받게 되고, 이에 따라, 온도에 대한 밀도층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밀도구슬(124b)은 중공 유리관(124a)에 수용된 양식수에 부유하는 부유체로서, 설정된 밀도를 갖도록 이루어져 상기 중공 유리관(124a) 내에 복수 투입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중공 유리관(124a)에 수용된 양식수는 상기 몸체(110)에 수용된 양식수에 대응하여 온도 구배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밀도구슬(124b)은 상기 온도 구배가 형성된 중공 유리관(124a)의 양식수에 투입되어 부유하게 되며, 상기 밀도구슬(124b)의 부유정도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몸체(110)에 수용된 양식수와는 개별적으로 다양한 어류 란에 적합한 양식수의 환경(적정밀도)을 추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밀도확인부재(124)에 관한 기술은 일반적인 공지의 기술이므로, 해당관련분야의 통상지식을 가진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 설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센서유닛(130)은 몸체(110)의 각각의 중공에 수용된 양식수에 대한 온도, 염도 및 밀도를 감지하는 것으로, 상기 몸체(110)의 구획된 중공에 대응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몸체(110)의 중공에 수용된 양식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부호 미표시), 상기 몸체(110)의 중공에 수용된 양식수의 염도를 감지하는 염도감지센서(부호 미표시) 및 상기 몸체(110)의 중공에 수용된 양식수의 밀도를 감지하는 밀도감지센서(미도시)로 구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온도감지센서는 다양한 공지의 온도계가 취급될 수 있고, 상기 염도감지센서와 밀도감지센서 또한 다양한 공지의 염도계, 밀도측정계가 취급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유닛(130)을 통해 각각의 서로 다른 온도 구배가 형성된 단위 중공 내의 양식수의 밀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40)는 구배유닛(120)의 상기 수온조절부재(122)와 후술될 표시유닛(150)을 제어하는 제어모듈로서, 상기 수온조절부재(122)의 히터(122a')와 자동밸브(122e) 및 상기 센서유닛(130)과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센서유닛(130)에서 감지되는 온도값, 염도값, 무게값 등 다양한 값에 따라 상기 히터(122a')의 작동과 상기 자동밸브(122e)의 개폐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컨트롤러(140)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다양한 공지의 제어모듈을 선택하여 자유롭게 변경 설계할 수 있다.
상기 표시유닛(150)은 센서유닛(130)에서 감지되는 값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상기 컨트롤러(140)와 연결되어 상기 몸체(110)의 외면측에 설치되고, 상기 센서유닛(130)에서 감지된 값을 상기 컨트롤러(140)의 제어에 의해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표시유닛(150)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가 바람직하나,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 다양한 공지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구배 형성이 용이한 밀도 측정 장치(100)는, 몸체(110)에 마련된 중공을 설정된 간격으로 구획하고, 서로 다른 온도의 양식수를 각각 공급 및 배출시켜 온도 및 밀도가 조절되도록 하며, 조절에 의해 다양한 밀도구배를 형성하는 구배유닛(120)을 통해 어류 란의 발달에 따른 양식수의 적정밀도를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양식수의 공급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수온조절부재(122)를 몸체에 순환이 용이하도록 배치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밀도층을 신속하게 생성해낼 수 있고,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유닛(130)과,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122a')와, 히터의 작동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러(140)의 유기적인 구성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를 일정하게 순환시킬 수 있게 된다.
더불어, 패널부재(121)에 의해 구획될 중공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재(123)를 통해 밀도 측정에 대한 가용범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센서유닛(130)에 의해 감지되는 양식수의 온도와 염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유닛(150)과 설정된 밀도를 갖는 밀도구슬(124b)을 중공 유리관(124a) 내에 설치한 밀도확인부재(124)의 구성을 통해 사용자가 양식수의 실제 온도 및 실제 염도를 실시간으로 인지할 수 있는 동시에, 이에 따른 양식수의 적정밀도를 빠르게 추정해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 밀도 측정 장치 110 : 몸체
120 : 구배유닛 121 : 패널부재
122 : 수온조절부재 122a : 온수 공급관
122a' : 히터 122b : 냉수 배출관
122c : 냉수 공급관 122d : 온수 배출관
122e : 자동밸브 123 : 간격조절부재
123a : 탄성절첩부 123b : 제1 가이드 홈
123c : 제2 가이드 홈 123d : 가이더
123e : 스토퍼 124 : 밀도확인부재
124a : 중공 유리관 124b : 밀도구슬
130 : 센서유닛 140 : 컨트롤러
150 : 표시유닛

Claims (10)

  1. 어류 란의 발달에 따른 양식수의 적정밀도를 측정하기 위한 밀도 측정 장치에 있어서,
    기둥 형상으로 제작되어 내부에 상기 양식수가 수용되기 위한 중공을 마련한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중공을 설정된 간격으로 구획하고, 상기 구획된 중공에 상이한 온도를 갖는 상기 양식수를 각각 공급 또는 배출시켜 상기 중공 내 양식수의 온도와 밀도가 조절되도록 하며, 상기 조절에 의해 구배를 형성하는 구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구배유닛은,
    상기 몸체의 중공에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는 평판 형상의 패널부재;
    상기 몸체의 외면측에 상기 중공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각각의 상기 패널부재의 배치에 따라 구획된 중공에 상이한 온도를 갖는 상기 양식수를 각각 공급 또는 배출시켜 상기 중공 내 양식수의 온도와 밀도를 조절하는 수온조절부재; 및
    상기 패널부재와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패널부재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패널부재의 배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배 형성이 용이한 밀도 측정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온조절부재는,
    상기 몸체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어 고온의 양식수를 공급하는 온수 공급관;
    상기 온수 공급관의 하부방향으로 이격하여 설치되고, 순환에 의해 저온으로 변화한 양식수를 배출하는 냉수 배출관;
    상기 몸체의 외면 타측에 상기 냉수 배출관과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저온의 양식수를 공급하는 냉수 공급관; 및
    상기 냉수 공급관의 상부방향으로 이격하여 설치되고, 순환에 의해 고온으로 변화한 양식수를 배출하는 온수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배 형성이 용이한 밀도 측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온조절부재는,
    상기 공급관 및 배출관에 설치되어, 상기 양식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자동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수 공급관은,
    열을 방출하는 히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배 형성이 용이한 밀도 측정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재는,
    상기 패널부재의 측면에 설치되어 절첩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탄성의 탄성절첩부;
    상기 몸체의 수평방향에 상기 탄성절첩부의 절첩운동방향과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탄성의 실링처리를 통해 수압 밀봉되는 제1 가이드 홈;
    상기 몸체의 수직방향에 상기 패널부재의 상하운동방향과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탄성의 실링처리를 통해 수압 밀봉되는 제2 가이드 홈;
    상기 탄성절첩부의 말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1,2 가이드 홈을 통해 상기 몸체를 관통하고, 상기 관통에 의해 상기 몸체 외부에 손잡이 형태로 노출되어 상기 제1,2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더; 및
    상기 제1 가이드 홈에 대응하는 상기 몸체의 외측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더가 걸려 지지되도록 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배 형성이 용이한 밀도 측정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배유닛은,
    상기 패널부재를 수직으로 관통 설치되어 설정된 염도를 갖는 양식수를 수용하는 중공 유리관과, 상기 중공 유리관 내에 투입되는 밀도구슬로 구성된 밀도확인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배 형성이 용이한 밀도 측정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구획된 중공에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각각의 중공에 수용된 양식수의 온도, 염도 및 밀도를 감지하는 센서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배 형성이 용이한 밀도 측정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배유닛 및 상기 센서유닛과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센서유닛에서 감지된 값에 따라 상기 구배유닛의 자동밸브 개폐 및 히터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배 형성이 용이한 밀도 측정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상기 몸체의 외면측에 설치되고, 상기 센서유닛에서 감지된 값을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배 형성이 용이한 밀도 측정 장치.
KR1020170012685A 2017-01-26 2017-01-26 구배 형성이 용이한 밀도 측정 장치 KR101896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685A KR101896285B1 (ko) 2017-01-26 2017-01-26 구배 형성이 용이한 밀도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685A KR101896285B1 (ko) 2017-01-26 2017-01-26 구배 형성이 용이한 밀도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078A KR20180088078A (ko) 2018-08-03
KR101896285B1 true KR101896285B1 (ko) 2018-09-07

Family

ID=63250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685A KR101896285B1 (ko) 2017-01-26 2017-01-26 구배 형성이 용이한 밀도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2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48119B (zh) * 2020-03-25 2021-08-31 山东省海洋生物研究院 一种斑头鱼人工授精装置及人工授精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1012A (ja) * 2000-05-15 2001-11-20 Kawasaki Heavy Ind Ltd 海洋深層水を利用した洋上水産システム及び洋上水産基地
JP2003289747A (ja) * 2002-04-02 2003-10-14 Marino Forum 21 養殖水槽の水温調整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養殖水槽システム
JP2005279507A (ja) 2004-03-30 2005-10-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度勾配遠心分離による微生物抽出方法
KR100790513B1 (ko) * 2005-02-14 2008-01-02 홍영복 비중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390B1 (ko) 2015-07-10 2015-11-06 대한민국 원형수조용 수직형 선회류 분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1012A (ja) * 2000-05-15 2001-11-20 Kawasaki Heavy Ind Ltd 海洋深層水を利用した洋上水産システム及び洋上水産基地
JP2003289747A (ja) * 2002-04-02 2003-10-14 Marino Forum 21 養殖水槽の水温調整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養殖水槽システム
JP2005279507A (ja) 2004-03-30 2005-10-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度勾配遠心分離による微生物抽出方法
KR100790513B1 (ko) * 2005-02-14 2008-01-02 홍영복 비중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078A (ko) 2018-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34557B2 (ja) 養液栽培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養液栽培方法、並びに養液栽培用ポット
KR101896285B1 (ko) 구배 형성이 용이한 밀도 측정 장치
JP2011177130A (ja) 水耕栽培システム及び水耕栽培方法
CN206876673U (zh) 一种用于保持湿地植物淹没深度的实验观测装置
CN103868838A (zh) 土体渗透系数测量系统
CN108118662A (zh) 鱼道模型实验装置
CN104123880A (zh) 一种模拟地下水位变化及水淹的试验装置及其使用方法
CN109164211A (zh) 一种海水入侵模拟试验砂箱
CN104459071A (zh) 变化环境下应急调控水华的模拟系统及运行方法
CN207727507U (zh) 鱼道模型实验装置
CN204965862U (zh) 多功能浮力探究仪
CN102343314B (zh) 液晶涂布机的液流导引件及液晶储存装置
CN207248696U (zh) 一种吸收制品滑渗检测座及其滑渗检测系统
JP2014076447A (ja) 処理装置及び処理袋
CN102860250A (zh) 培养液栽培装置
JP2007110933A (ja) 間断式栽培方法及び間断式栽培用育苗床パネル
JP2014161241A (ja) 二酸化炭素供給システム
KR101243342B1 (ko) 배추 절임 탱크
KR101419366B1 (ko) 식물수경재배기
EA008730B1 (ru) Пол для зоны культивации
KR101821019B1 (ko) 욕조 시스템
CN110164280B (zh) 潜水等水头线观测仪及观测方法
Lourenço et al. Towards a tensiometer based suction control system for laboratory testing of unsaturated soils
KR20190089405A (ko) 식물판매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0196151B (zh) 潜水运动能量损失测定仪及测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