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6120B1 - 전지 - Google Patents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6120B1
KR101896120B1 KR1020120009529A KR20120009529A KR101896120B1 KR 101896120 B1 KR101896120 B1 KR 101896120B1 KR 1020120009529 A KR1020120009529 A KR 1020120009529A KR 20120009529 A KR20120009529 A KR 20120009529A KR 101896120 B1 KR101896120 B1 KR 101896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current collector
negative electrode
lid
exter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9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8597A (ko
Inventor
히로까즈 감바야시
쇼고 츠루따
이사오 스즈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지에스 유아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지에스 유아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지에스 유아사
Publication of KR20120088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8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과제] 전지 용기 내의 용적에 대하여 발전 요소가 차지하는 비율을 높이는 것에 의한 에너지 밀도의 향상.
[해결 수단] 전지(1)는 발전 요소(3)를 수용한 전지 용기(2)의 개구를 밀봉하는 덮개(4)와, 덮개(4)의 외부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된 외부 단자(14, 15)와 발전 요소(3)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집전체(12, 13)를 구비한다. 상기 덮개(4)의 하면(4a)과 집전체(12, 13) 사이에는 패킹(17,18)이 개재한다. 패킹(17)은 덮개(4)의 하면(4a)에 형성된 결합 오목부(11a)에 피코오킹부(17c)가 수용된다. 패킹(18)은 하면(4a)에 형성된 결합 오목부(11a)에 전체가 수용된다.

Description

전지{BATTERY}
본 발명은 비수 전해질 이차 전지 등의 전지에 관한 것이다.
비수 전해질 이차 전지 등의 전지는, 전지 용기 내에 수용된 발전 요소인 정극과 부극을 각각 정부의 외부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정부의 집전체를 구비한다. 집전체의 기저부는, 예를 들어 리벳을 사용한 코오킹 등의 수단에 의해 전지 용기의 상단부 개구를 밀봉하는 덮개에 고정된다. 집전체의 기저부와 덮개의 하면 사이에는 밀폐성 확보 등을 위한 하부 패킹이 개재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46882호 공보(도 1)
전지 용기의 용적에 대하여 발전 요소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을수록, 높은 에너지 밀도가 얻어진다. 따라서, 에너지 효율의 관점에서, 덮개의 하면에 대하여 발전 요소의 상단부 위치를 가능한 한 근접하여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대략 단순한 평판 형상의 하부 패킹이 덮개의 하면에 배치되어 있으면, 발전 요소의 상단부 위치를 충분히 덮개의 하면에 근접하여 배치할 수 없어, 높은 에너지 밀도가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평판 형상의 덮개와 평판 형상의 하부 패킹은 평면에서만 접하기 때문에, 패킹이 회전하기 쉽다. 패킹의 회전은, 외부 단자와 집전체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부분(예를 들어, 리벳에 의한 코오킹 접합부)에 부하를 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지 용기 내의 용적에 대하여 발전 요소가 차지하는 비율을 높이는 것에 의한 에너지 밀도의 향상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발전 요소를 수용한 외장체와, 상기 외장체의 외부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된 외부 단자와 상기 발전 요소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집전체와, 상기 외장체의 내면과 상기 집전체 사이에 개재하는 패킹을 구비하고, 상기 패킹은 상기 외장체의 내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수용되는 피수용부를 구비하는, 전지를 제공한다.
집전체와 외장체 사이에 개재하는 패킹의 피수용부가 외장체의 내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수용되어 있다. 그로 인해, 외장체의 내면으로부터 패킹의 돌출은 최소한으로 억제된다. 패킹의 돌출을 억제한 결과, 발전 요소의 단부 위치를 충분히 외장체의 내면에 근접하여 배치할 수 있고, 전지 용기 내의 용적에 대하여 발전 요소가 차지하는 비율을 높여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외장체의 오목부를 형성하는 벽면은 평면이 아니고 오목 형상이며, 이 오목 형상의 벽면에 의해 오목부에 수용된 패킹의 피수용부의 위치가 규정 내지 구속된다. 즉, 외장체의 오목부와 패킹의 피수용부는 평면에서 접하는 것이 아니다. 그로 인해, 외장체에 대한 패킹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고, 이러한 패킹의 회전에 기인하여 패킹의 일부(예를 들어, 리벳에 의한 코오킹 접합부)에 부하가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집전체는, 상기 외부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발전 요소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패킹의 상기 피수용부는 상기 기저부와 함께 상기 외장체에 대하여 코오킹 접합되는 피코오킹부를 구비하고, 이 피코오킹부의 두께가 상기 패킹의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패킹의 경량화와 그 제조에 필요로 하는 재료 저감을 도모하면서, 패킹의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패킹의 상기 피수용부 주위와 상기 외장체의 상기 오목부의 벽면 사이에 간극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코오킹 접합시에 피코오킹부의 두께 방향의 압축에 대한 면 방향의 변형(릴리프)의 여지를 확보할 수 있어, 코오킹 접합시의 패킹의 깨짐 등의 손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집전체의 기저부의 고정부를 외장체의 오목부 내에 배치함으로써, 외장체의 내면으로부터 집전체의 돌출이 최소한으로 억제된다. 집전체의 돌출을 억제한 결과, 발전 요소의 단부 위치를 충분히 외장체의 내면에 보다 근접하게 배치할 수 있어, 전지 용기 내의 용기 내의 용적에 대해서 발전 요소가 차지하는 비율을 한층 더 높여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집전체와 외장체 사이에 개재하는 패킹의 피수용부를 외장체의 내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수용함으로써, 덮개의 내면으로부터의 패킹의 돌출을 최소한으로 억제하고 있다. 그 결과, 발전 요소의 단부 위치를 충분히 외장체의 내면에 근접하여 배치할 수 있고, 전지 용기 내의 용적에 대하여 발전 요소가 차지하는 비율을 높여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패킹의 피수용부 중 기저부와 함께 외장체에 대하여 코오킹 접합되는 피코오킹부의 두께를 크게 설정함으로써, 패킹의 경량화와 그 제조에 필요로 하는 재료 저감을 도모하면서, 하부 패킹의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패킹의 피수용부의 주위와 외장체의 오목부의 벽면 사이에 간극을 설치함으로써, 코오킹 접합시에 피코오킹부의 두께 방향의 압축에 대한 면 방향의 변형(릴리프)의 여지를 확보할 수 있어, 코오킹 접합시의 패킹의 깨짐 등의 손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한 전지의 종단면도.
도 2는 덮개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부분 III의 확대도.
도 4는 도 1의 부분 IV의 확대도.
도 5는 덮개의 하면측 하부 패킹 부근의 사시도.
도 6은 덮개의 하면측 하부 패킹 부근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7은 도 2의 VII-VII선에서의 단면도.
도 8은 도 2의 VIII-VIII선에서의 단면도.
도 9는 하부 패킹과 부극 집전체의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10은 하부 패킹과 부극 집전체의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비수 전해질 이차 전지(1)(이하, 간단히 전지라고 한다)를 나타낸다. 이 전지(1)는,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구성되어 직육면체 형상의 전지 용기(2) 내에 발전 요소(3)를 수용하고, 전지 용기(2)의 상단부 개구를 덮개(4)로 밀봉한 것이다. 전지 용기(2)와 덮개(4)로 외장체를 구성하고 있다. 덮개(4)의 외부에는 부극 외부 단자(14)와 정극 외부 단자(15)의 상면이 노출되어 있다.
발전 요소(3)는, 동박으로 이루어지는 부극과, 알루미늄박으로 이루어지는 정극 사이에, 다공성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세퍼레이터를 배치하여 권회한 것이다. 발전 요소(3)는, 부극이 부극 집전체(12)를 통해 부극 외부 단자(1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정극이 정극 집전체(13)를 통해 정극 외부 단자(1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4)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 형상의 긴 금속제의 판 형상으로, 길이 방향의 중앙 부근에 안전 밸브(8)가 장착되고, 일단부측에 액체 주입 구멍(9)이 설치되어 있다.
덮개(4)의 양단부에는, 평면에서 보아 상면(4b)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팽출하는 대략 직사각 형상의 결합 수용부(1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결합 수용부(11)에서는, 덮개(4)의 하면(4a)을 오목하게 하여 결합 오목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결합 오목부(11a)를 구성하는 천장면의 중심 부분에는 관통 구멍(1lb)이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면에서 좌측의 결합 수용부(11)에는, 부극 집전체(12)와 부극 외부 단자(14)가 절연성을 갖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상부 패킹(16)과 부극 하부 패킹(17)을 개재해서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부 패킹(16)을 설명한다. 상부 패킹(16)은, 격벽(16a)에 의해, 상방측의 단자 유지 오목부(16b)와, 하방측의 장착용 오목부(16c)를 구획한 수지제의 부품이며, 격벽(16a)의 중앙 부분에는 하방측으로 연장하는 양단부 개구의 원통 형상부(16d)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 패킹(16)은, 결합 수용부(11)의 상부부터 씌우고, 장착용 오목부(16c) 내에 결합 수용부(11)를 수용함으로써 덮개(4)에 장착된다. 원통 형상부(16d)는 관통 구멍(11b)에 삽입 관통되어 결합 오목부(11a) 내에 진입되어 있다. 또한, 상부 패킹(16)이 구비하는 2개의 설(舌) 형상부(16e)의 결합 구멍(16f)에는, 덮개(4)의 상면(4b)으로부터 돌출된 결합 돌기부(19)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도 3 및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부극 하부 패킹(17)을 설명한다. 부극 하부 패킹(17)은, 덮개(4)의 결합 오목부(11a) 내에 배치되는 팽출부(17a)와, 덮개(4)의 하면(4a)의 결합 오목부(11a)에 인접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대략 직사각형 판상의 평탄부(17b)를 구비한다.
도 9 및 도 10에 가장 명료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부극 하부 패킹(17)의 팽출부(17a)는, 평탄부(17b)에 대하여 높이 방향으로 단차를 두고 배치되고, 또한 평탄부(17b)에 대하여 평행하게 확장되는 피코오킹부(17c)를 구비한다.
부극 하부 패킹(17)의 피코오킹부(17c)는 평탄부(17b) 한쪽의 짧은 변측에 배치되어 있고, 피코오킹부(17c)와 3개의 세로 벽(17d, 17e, 17f)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피코오킹부(17c)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17g)이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구멍(17g)에는 상부 패킹(16)의 원통 형상부(16d)의 하단부 부근이 삽입되어 있다.
도 9에 가장 명료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부극 하부 패킹(17)의 평탄부(17b) 외주연에는 한쪽의 짧은 변(도 9에서 전방측의 짧은 변)의 일부를 제외하고, 하향으로 돌출된 리브(17h)가 설치되어 있다.
도 3,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부극 외부 단자(14)를 설명한다. 부극 외부 단자(14)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 형상의 알루미늄제의 판상체(21)와, 구리제의 리벳(22)을 구비한다. 리벳(22)은, 턱부(22a)를 판상체(21)의 중앙 부분에 형성한 관통 구멍(21a)에 압입함으로써, 축부(22b)가 돌출된 상태에서 판상체(21)에 고정된다. 판상체(21)는 상부 패킹(16)의 단자 유지 오목부(16b)에 수용된다.
도 3 및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부극 집전체(12)를 설명한다. 구리제의 부극 집전체(12)는, 기저부(12a)와, 한 쌍의 다리부(접속부)(12b, 12b)를 구비한다. 기저부(12a)는, 덮개(4)의 하면(4a)에 형성된 결합 오목부(11a) 내에 배치되어 부극 하부 패킹(17)의 팽출부(17a) 중 피코오킹부(17c)의 하측에 겹쳐 배치되는 고정부(12c)와, 결합 오목부(11a)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부극 하부 패킹(17)의 평탄부(17b)의 하측에 겹쳐 배치되는 받침대부(12d)를 구비한다. 고정부(12c)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12e)이 설치되어 있다. 높이 방향이 상이하여 높이가 다른 고정부(12c)와 받침대부(12d)는 세로 벽(12f)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다리부(12b, 12b)는 받침대부(12d)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다리부(12b, 12b)와 발전 요소(3)의 부극은, 도 1에만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클립(1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기계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부극 외부 단자(14)의 리벳(22)의 축부(22b)를 상부 패킹(16)의 원통 형상부(16d), 부극 하부 패킹(17)의 피코오킹부(17c)의 관통 구멍(17g) 및 부극 집전체(12)의 고정부(12c)에 형성된 관통 구멍(12e)를 삽입 관통시킨 후에, 선단을 누름 확장하여 대경부(22c)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부극 외부 단자(14), 상부 패킹(16), 부극 하부 패킹(17)의 피코오킹부(17c) 및 부극 집전체(12)의 기저부(12a)가 덮개(4)에 대하여 코오킹 접합되어 고정된다. 또한, 이 코오킹 접합에 의해 부극 집전체(12)와 부극 외부 단자(14)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도면에서 우측의 결합 수용부(11)에는, 정극 집전체(13)와 정극 외부 단자(15)가 절연성을 갖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상부 패킹(16)과 정극 하부 패킹(18)을 개재해서 각각 설치되어 있다.
부극측과 마찬가지로 상부 패킹(16)이 결합 수용부(11)에 장착되어 있다. 한편, 정극 하부 패킹(18)은 관통 구멍(18a)을 설치한 평판 형상이며, 결합 오목부(11a) 내에 배치된다.
알루미늄제의 정극 외부 단자(15)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 형상의 판상체(15a)와, 그 하면 중앙부로부터 돌출하는 원통 형상의 축부(15b)를 구비한다. 판상체(15a)는 상부 패킹(16)의 단자 유지 오목부(16b)에 수용된다.
알루미늄제의 정극 집전체(13)는, 기저부(13a)와, 한 쌍의 다리부(접속부)(13b, 13b)를 구비한다. 기저부(13a)는, 결합 오목부(11a) 내에 배치되어 정극 하부 패킹(18)의 하측에 겹쳐 배치되는 고정부(13c)와, 결합 오목부(11a)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덮개(4)의 하면(4a)에 겹쳐 배치되는 받침대부(13d)를 구비한다. 고정부(13c)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13e)이 설치되어 있다. 높이가 다른 고정부(13c)와 받침대부(13d)는 세로 벽(13f)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다리부(12b, 12b)는 도 1에만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클립(10)에 의해 발전 요소(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정극 외부 단자(15)의 축부(15b)를 상부 패킹(16)의 원통 형상부(16d), 정극 하부 패킹(18)의 관통 구멍(18a) 및 정극 집전체(13)의 고정부(13c)에 형성된 관통 구멍(13e)를 삽입 관통시킨 후에, 선단을 누름 확장하여 대경부(15c)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정극 외부 단자(15), 상부 패킹(16), 정극 하부 패킹(18) 및 정극 집전체(13)의 기저부(13a)가 덮개(4)에 대하여 코오킹 접합되어 고정된다. 또한, 이 코오킹 접합에 의해 정극 집전체(13)와 정극 외부 단자(15)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본 실시 형태의 전지(1)는, 특히 이하의 점에 특징이 있다.
우선, 도 3 및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덮개(4)의 하면(4a)과 부극 집전체(12) 사이에 개재하는 부극 하부 패킹(17)에는, 평탄부(17b)의 외주연에 리브(17h)를 설치하고 있고, 이 리브(17h)의 높이 H(도 5 및 도 9 참조)는 부극 집전체(12)의 기저부(12a)의 두께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리브(17h)에 의해 부극 집전체(12)와 덮개(4) 사이에는 충분한 절연 거리가 확보되므로, 부극 집전체(12)는 덮개(4)에 대하여 확실하게 절연된다.
특히, 부극 하부 패킹(17)의 평탄부(17b) 중, 발전 요소(3)를 부극 집전체(12)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부분인 다리부(12b, 12b)가 받침대부(12d)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 기저부(12a)의 두께 이상의 리브(17h)를 설치하고 있다는 점에서, 부극 하부 패킹(17)에 의해 부극 집전체(12)와 덮개(4) 사이를 절연하는 효과가 높다. 부극 집전체(12)의 기저부(12a) 중 다리부(12b, 12b)가 받침대부(12d)로부터 돌출된 위치는, 특히 덮개(4)에 대하여 확실하게 절연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부극 하부 패킹(17)의 평탄부(17b) 외주연의 대략 전체에 리브(17h)를 설치하는 것이 아니고, 평탄부(17b) 외주 중 부극 집전체(12)의 받침대부(12d)로부터 다리부(12b,12b)가 돌출된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만 리브(17h)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부극 집전체(12)와 덮개(4) 사이를 절연하는 효과는 높다.
이어서, 부극 집전체(12)와 덮개 사이에 개재하는 부극 하부 패킹(17)의 팽출부(17a)가 덮개(4)의 하면(4a)에 형성된 결합 오목부(11a)에 수용되어 있다. 그로 인해, 덮개(4)의 하면(4a)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은 부극 하부 패킹(17) 중 얇은 판 형상의 평탄부(17b)뿐이며, 덮개(4)의 하면(4a)으로부터의 부극 하부 패킹(17)의 돌출은 최소한으로 억제된다. 또한, 정극 하부 패킹(18)은 전체가 덮개(4)의 하면(4a)에 형성된 결합 오목부(11a)에 수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부극 하부 패킹(17) 및 정극 하부 패킹(18)의 덮개(4)의 하면(4a)으로부터의 돌출량을 최소한으로 억제한 결과, 발전 요소(3)의 상단부 위치를 충분히 덮개(4)의 하면(4a)에 근접하여 배치할 수 있고, 전지 용기(2) 내의 용적에 대하여 발전 요소(3)가 차지하는 비율을 높여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덮개(4)의 하면(4a)의 결합 오목부(11a)를 구성하는 벽면은 오목 형상이며, 이 오목 형상의 벽면에 의해 결합 오목부(11a)에 수용된 부극 하부 패킹(17)의 팽출부(17a)의 위치가 규정 또는 구속된다. 즉, 덮개(4)에 설치한 결합 오목부(11a)와 부극 하부 패킹(17)의 팽출부(17a)는 평면에서 접하는 것이 아니고, 말하자면 요철이 서로 결합하는 상태로 접하고 있다. 그로 인해, 덮개(4)에 대한 부극 하부 패킹(17)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부극 외부 단자(14), 상부 패킹(16), 부극 하부 패킹(17)의 피코오킹부(17c) 및 부극 집전체(12)의 기저부(12a)가 리벳(22)에 의해 덮개(4)에 대하여 코오킹 접합되어 있다. 결합 오목부(11a)에 부극 하부 패킹(17)의 팽출부(17a)를 수용함으로써, 리벳(22)에 의한 코오킹 접합부에 있어서의 부극 하부 패킹(17)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극 집전체(12)와 부극 외부 단자(14)의 전기적 접속에는 리벳(22)이 개재하고 있으므로, 리벳(22)에 의한 코오킹 접합부에 있어서의 부극 하부 패킹(17)의 회전은, 부극 집전체(12)와 부극 외부 단자(14)의 양호한 전기적 접속을 확보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덮개(4)의 결합 오목부(11a)에 부극 하부 패킹(17)의 팽출부(17a)를 수용한다고 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부극 하부 패킹(17)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부극 집전체(12)와 부극 외부 단자(14)의 양호한 전기적 접속 확보의 관점에서도 이점이 크다.
또한, 도 3,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극 하부 패킹(17) 중, 덮개(4)에 대하여 코오킹 접속되는 피코오킹부(17c)의 두께 T를 부극 하부 패킹(17)의 그 밖의 부분의 두께보다도 크게 설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코오킹에 의해 커다란 힘이 작용하는 부분인 피코오킹부(17c)만을 두께 T를 크게 설정함으로써, 부극 하부 패킹(17)의 경량화와 그 제조에 필요로 하는 재료 저감을 도모하면서, 부극 하부 패킹(17)의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6을 참조로 하면, 부극 하부 패킹(17)의 피코오킹부(17c)와 세로 벽(17d)이 구성하는 코너부 부근에는, 덮개(4)의 하면(4a)의 결합 오목부(11a)를 둘러싸는 벽면(결합 수용부(11))과의 사이에 간극(31)이 설치되어 있다. 특히, 부극 하부 패킹(17)의 세로 벽(17d)과 결합 오목부(11a)를 둘러싸는 측벽면 사이에 부호 S1로 나타내는 치수의 간극이 확보되어 있다. 또한, 부극 하부 패킹(17)의 피코오킹부(17c)의 선단과 덮개(4)의 하면(4a)의 결합 오목부(11a)를 둘러싸는 측벽면 사이에도, 부호 S2로 나타내는 보다 큰 치수의 간극이 확보되어 있다. 이와 같이 부극 하부 패킹(17)의 피코오킹부(17c)의 양단부와 결합 오목부(11a)를 둘러싸는 벽면(결합 수용부(11)) 사이에 간극(31, S1, S2)을 설치해 둠으로써, 코오킹 접합시에 피코오킹부(17c)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했을 때, 피코오킹부(17c)가 면 방향으로 변형(릴리프)할 여지를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코오킹 접합시의 부극 하부 패킹(17)의 깨짐 등의 손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덮개(4)에 설치한 결합 오목부(11a)에 부극 하부 패킹(17)의 팽출부(17a)를 수용하는 구성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덮개가 아니고 전지 용기의 내면에 형성한 오목부에 대하여 패킹의 일부(피수용부)를 수용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1: 비수 전해질 이차 전지
2: 전지 용기
3: 발전 요소
4: 덮개
4a: 하면
4b: 상면
8: 안전 밸브
9: 액체 주입 구멍
10: 클립
11: 결합 수용부
11a: 결합 오목부
1lb: 관통 구멍
12: 부극 집전체
12a: 기저부
12b: 다리부
12c: 고정부
12d: 받침대부
12e: 관통 구멍
12f: 세로 벽
13: 정극 집전체
13a: 기저부
13b: 다리부
13c: 고정부
13d: 받침대부
13e: 관통 구멍
13f: 세로 벽
14: 부극 외부 단자
15: 정극 외부 단자
15a: 판상체
15b: 축부
15c: 대경부
16: 상부 패킹
16a: 격벽
16b: 단자 유지 오목부
16c: 장착용 오목부
16d: 원통 형상부
16e: 설 형상부
16f: 결합 구멍
17: 부극 하부 패킹
17a: 팽출부(피수용부)
17b: 평탄부
17c: 피코오킹부
17d, 17e, 17f: 세로 벽
17g: 관통 구멍
17h: 리브
18: 정극 하부 패킹
18a: 관통 구멍
19: 결합 돌기부
21: 판상체
21a: 관통 구멍
22: 리벳
22a: 턱부
22b: 축부
22c: 대경부
31: 간극

Claims (5)

  1. 발전 요소를 수용한 외장체와,
    상기 외장체의 외부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된 외부 단자와 상기 발전 요소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집전체와,
    상기 외장체의 내면과 상기 집전체 사이에 개재하는 패킹을 구비하고,
    상기 패킹은 상기 외장체의 내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수용되는 피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피수용부는 상기 외장체에 대하여 코오킹 접합되는 피코오킹부를 구비하는 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체는, 상기 외부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발전 요소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집전체의 기저부는 상기 피코오킹부와 함께 상기 외장체에 대하여 코오킹 접합되고, 상기 피코오킹부의 두께가 상기 패킹의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도 큰 전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의 상기 피수용부의 주위와 상기 외장체의 상기 오목부의 벽면 사이에 간극을 설치한 전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외주연 중 적어도 상기 집전체의 상기 기저부로부터 상기 접속부가 돌출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상기 집전체의 상기 기저부의 두께 이상의 높이의 리브를 갖는 전지.
  5. 발전 요소를 수용한 외장체와,
    상기 외장체의 외부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된 외부 단자와 상기 발전 요소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집전체와,
    상기 외장체의 내면과 상기 집전체 사이에 개재하는 패킹을 구비하고,
    상기 패킹은 상기 외장체의 내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수용되는 피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집전체는, 상기 외부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발전 요소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를 구비하며,
    상기 집전체의 상기 기저부는 상기 외장체의 내면에 형성된 오목부 내에 배치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패킹의 피수용부의 하측에 겹쳐 배치되는 고정부를 갖는 전지.
KR1020120009529A 2011-01-31 2012-01-31 전지 KR1018961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18545 2011-01-31
JP2011018545A JP5625959B2 (ja) 2011-01-31 2011-01-31 電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597A KR20120088597A (ko) 2012-08-08
KR101896120B1 true KR101896120B1 (ko) 2018-09-07

Family

ID=45531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9529A KR101896120B1 (ko) 2011-01-31 2012-01-31 전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20966B2 (ko)
EP (1) EP2482359B1 (ko)
JP (1) JP5625959B2 (ko)
KR (1) KR101896120B1 (ko)
CN (1) CN1026236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25959B2 (ja) 2011-01-31 2014-11-19 株式会社Gsユアサ 電池
JP5742260B2 (ja) * 2011-01-31 2015-07-01 株式会社Gsユアサ 電池
JP6048080B2 (ja) 2011-11-29 2016-12-21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
JP6175758B2 (ja) 2011-11-29 2017-08-09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
JP6114515B2 (ja) * 2012-08-09 2017-04-12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6037713B2 (ja) 2012-08-09 2016-12-07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6364752B2 (ja) * 2012-12-28 2018-08-01 株式会社Gsユアサ 封止部材キャップ、蓄電素子、蓄電素子の製造方法
KR20140090902A (ko) * 2013-01-10 2014-07-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 모듈
DE112014001644T5 (de) * 2013-03-26 2016-05-04 Gs Yuasa International Ltd. Elektrische Speichereinrichtung und elektrisches Speichergerät, welches mit der elektrischen Speichereinheit bereitgestellt ist
WO2016159099A1 (ja) 2015-03-31 2016-10-06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
USD804418S1 (en) * 2015-07-14 2017-12-05 Gs Yuasa International Ltd. Rechargeable battery
JP2017059509A (ja) * 2015-09-18 2017-03-23 リチウム エナジー アンド パワ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ッ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トゲゼルシャフトLithium Energy and Power GmbH & Co. KG 蓄電素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90798B1 (en) 1998-01-09 2001-02-20 Kabushiki Kaisha Toshiba Sealed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1079449A1 (en) 1999-08-27 2001-02-28 SANYO ELECTRIC Co., Ltd. Storage batter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2006093134A (ja) * 2004-09-22 2006-04-06 Samsung Sdi Co Ltd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2010097764A (ja) 2008-10-15 2010-04-30 Gs Yuasa Corporation 電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0958A (en) 1987-08-10 1988-09-13 Malcolm Newman Storage battery having a protective shield
FR2762933B1 (fr) 1997-05-02 2003-04-18 Alsthom Cge Alkatel Bouchon a soupape pour accumulateur electrique
TW369737B (en) 1997-06-05 1999-09-11 Toyo Kohan Co Ltd A closing plate of a battery covered with a protection film and a battery using same
US6534212B1 (en) * 2000-05-05 2003-03-18 Hawker Energy Products, Inc. High performance battery and current collector therefor
US20030049521A1 (en) 2001-09-11 2003-03-13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Lead acid battery
JP4096162B2 (ja) 2002-05-28 2008-06-04 株式会社ジーエス・ユアサコーポレーション 電池
JP2004071199A (ja) 2002-08-02 2004-03-04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電池
JP5021900B2 (ja) 2005-02-04 2012-09-12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密閉型電池
JP2006324178A (ja) * 2005-05-20 2006-11-30 Kyushu Electric Power Co Inc 二次電池
DE102007063191A1 (de) 2007-12-20 2009-06-25 Daimler Ag Batterie, insbesondere zu einer Anwendung in einem Fahrzeug
CN102017230B (zh) 2008-04-25 2013-10-1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铅蓄电池
JP5326125B2 (ja) 2008-05-16 2013-10-30 エリーパワー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101023105B1 (ko) * 2009-03-11 2011-03-24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전지
JP5378134B2 (ja) * 2009-09-29 2013-12-25 豊田合成株式会社 電池蓋部材
JP5679272B2 (ja) * 2010-08-30 2015-03-04 エリーパワー株式会社 電極端子付き電池蓋および密閉型電池
JP5625959B2 (ja) 2011-01-31 2014-11-19 株式会社Gsユアサ 電池
JP5742260B2 (ja) * 2011-01-31 2015-07-01 株式会社Gsユアサ 電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90798B1 (en) 1998-01-09 2001-02-20 Kabushiki Kaisha Toshiba Sealed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1079449A1 (en) 1999-08-27 2001-02-28 SANYO ELECTRIC Co., Ltd. Storage batter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2006093134A (ja) * 2004-09-22 2006-04-06 Samsung Sdi Co Ltd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2010097764A (ja) 2008-10-15 2010-04-30 Gs Yuasa Corporation 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82359B1 (en) 2017-10-25
EP2482359A1 (en) 2012-08-01
US20120196178A1 (en) 2012-08-02
US8920966B2 (en) 2014-12-30
JP5625959B2 (ja) 2014-11-19
JP2012160313A (ja) 2012-08-23
KR20120088597A (ko) 2012-08-08
CN102623662B (zh) 2015-11-11
CN102623662A (zh) 2012-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6120B1 (ko) 전지
KR101959605B1 (ko) 전지
KR101265202B1 (ko) 이차 전지
KR102246736B1 (ko) 이차 전지
JP5987465B2 (ja) 蓄電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12963B1 (ko) 축전 소자
KR20160134236A (ko) 이차 전지
CN110268548B (zh) 蓄电装置
WO2016159099A1 (ja) 蓄電素子
US20130136976A1 (en) Energy storage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19151359A1 (ja) 蓄電素子
JP2019046597A (ja) 蓄電素子
CN116780079A (zh) 电池壳体及具备该电池壳体的二次电池
JP6156728B2 (ja) 蓄電素子及び蓄電装置
JP6726738B2 (ja) 蓄電素子
JP2020155283A (ja) 蓄電素子及び蓄電装置
WO2019131481A1 (ja) 蓄電素子
JP2013058346A (ja) 蓄電装置
JP2024074372A (ja) 蓄電デバイス
KR102620809B1 (ko) 이차 전지
JP2023062843A (ja) 二次電池
JP2015005479A (ja) 蓄電素子
JP2019133834A (ja) 蓄電素子
JP2017135033A (ja) 蓄電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