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5899B1 - 장력선을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장력선을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5899B1
KR101895899B1 KR1020180048616A KR20180048616A KR101895899B1 KR 101895899 B1 KR101895899 B1 KR 101895899B1 KR 1020180048616 A KR1020180048616 A KR 1020180048616A KR 20180048616 A KR20180048616 A KR 20180048616A KR 101895899 B1 KR101895899 B1 KR 101895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line
guide
tens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8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문철
이재현
함인호
Original Assignee
지티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티비(주) filed Critical 지티비(주)
Priority to KR1020180048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58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4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ly adapted wire, e.g. barbed wire, wire mesh, toothed strip or the like; Coupl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6Parts for wire fen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10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nnecting wire to posts; Droppers
    • E04H17/1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nnecting wire to posts; Droppers the wire being placed in slots, grooves, or the li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12Mechanical actuation by the breaking or disturbance of stretched cords or wires
    • G08B13/122Mechanical actuation by the breaking or disturbance of stretched cords or wires for a perimeter f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력선을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기초기둥에 삽입된 각도조절부를 회전시킴으로써, 각도조절부의 각도를 장력선의 설치 각도에 대응되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되므로, 장력선의 다양한 설치 각도에 대응되도록 각도조절부의 형상을 다양하게 설계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장력선을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INTRUSION DETECTION SYSTEM WITH TENSION WIRE}
본 발명은 장력선을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력선의 다양한 설치 각도에 대응되도록 각도조절부의 형상을 다양하게 설계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는 장력선을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입감지시스템은 초기에는 철조망 및 펜스에 의존하고 경비인력이 직접 경비하는 1차원적인 물리적 보안이 주종을 이루었으나 범죄의 유형이 다양화되고 지능화되면서 외곽 울타리 등에 침입 감지기를 부가적으로 설치하는 2차원적인 시스템이 활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전자펜스에 의한 감지와 감지시스템과 연동한 CCTV 시스템에 의한 감시, 외부 출입문 및 건물 내부 출입통제 시스템 기반의 통합 방범 보안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도 1은 외곽 울타리에 적용된 종래 침입감지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기초기둥(10) 사이에 장력선(20)이 병렬로 설치되어 있으며, 장력선(20)의 장력 변화를 감지하도록 각각의 장력선(20)에 장력센서(30)가 구비되어 있다. 장력센서(30)는 고유의 식별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장력선(20)의 장력 변화 감지 시 고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침입 감지 신호를 통신부(40)로 출력한다. 운영시스템(50)은 통신부(40)로부터 침입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외부로 침입 정보를 알려서,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침입감지시스템이 적용되기 위해서는 지면에 복수의 기초기둥을 설치하고 기초기둥에 장력선을 설치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기초기둥에는 장력선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부가 구비된다. 그러나 이러한 지지부는 굴곡이 없는 평평한 지면에 장력선이 설치되는 상황만을 고려한 것으로, 만약, 산악지형과 같이 굴곡이 심한 지역에 장력선을 설치하는 경우, 장력선의 다양한 설치 각도에 대응되도록 지지부의 형상을 다양하게 설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708559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장력선의 다양한 설치 각도에 대응되도록 각도조절부의 형상을 다양하게 설계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는 장력선을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설치홀이 형성되는 기초기둥; 및 상기 설치홀에 삽입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기초기둥 사이에 복수 개의 장력선이 병렬로 배치될 때, 상기 각도조절부의 일단부에 상기 장력선이 걸리도록 위치되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설치홀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선을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설치홀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단부에 상기 설치홀의 일측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장력선이 걸리도록 위치되는 돌출부와, 상기 본체의 타단부에 상기 설치홀의 타측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기초기둥과 마주보는 내면이 상기 기초기둥에 밀착되도록 상기 설치홀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에 상기 장력선이 걸림 위치되면, 상기 밀착부가 상기 기초기둥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선을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길이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관통되는 선안내홀과, 상기 선안내홀과 마주보는 상기 돌출부의 일측에 상기 선안내홀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노출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장력선을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노출안내부의 폭은 상기 선안내홀의 직경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선을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노출안내부는 상기 선안내홀의 길이방향과 수평하지 않도록 기울어진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노출안내부의 길이방향 일단부는 상기 선안내홀의 중심보다 일측 방향으로 편심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노출안내부의 길이방향 타단부는 상기 선안내홀의 중심보다 타측 방향으로 편심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노출안내부의 일단부와 마주보는 상기 선안내홀의 일단부에는 상기 노출안내부의 일단부와 일체로 연결되도록 제 1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출안내부의 타단부와 마주보는 상기 선안내홀의 타단부에는 상기 노출안내부의 타단부와 일체로 연결되도록 제 2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선안내홀로 삽입된 상기 장력선의 양측은 상기 제 1 걸림부와 상기 제 2 걸림부에 각각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선을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선안내홀로 삽입된 상기 장력선이 상기 노출안내부를 통하여 상기 선안내홀의 외부로 배출될 때, 상기 장력선의 일측은 상기 제 1 걸림부를 지나 상기 노출안내부의 일단부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장력선의 타측은 상기 제 2 걸림부를 지나 상기 노출안내부의 타단부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밀착부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본체 내부에는 상기 장력선의 이동에 따른 진동을 감지하도록 상기 돌출부와 연결되는 진동감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선을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장력선이 상기 노출안내부를 지나 상기 선안내홀에 걸림 위치되도록 설치될 때, 상기 장력선의 설치 각도에 따라 상기 본체가 상기 설치홀에서 회전되어, 상기 선안내홀의 길이방향 각도와 상기 장력선의 설치 각도가 일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밀착부를 상기 기초기둥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밀착부와 상기 기초기둥에 일체로 삽입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선을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초기둥의 상기 밀착부가 밀착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결합홀과, 상기 밀착부의 외주연을 따라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레일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밀착부가 회전될 때, 상기 결합홀은 상기 레일홀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핀은 상기 레일홀과 상기 결합홀에 일체로 삽입된 상태로 상기 본체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선을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초기둥은,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1 프레임과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 2 프레임과, 상기 제 1 프레임의 일측과 상기 제 2 프레임의 일측을 일체로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홀은, 상기 제 1 프레임에 관통 형성되는 제 1 설치홀과, 상기 제 1 설치홀과 마주보도록 상기 제 2 프레임에 관통 형성되는 제 2 설치홀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 1 설치홀과 상기 제 2 설치홀에 차례로 삽입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2 설치홀의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밀착부는 상기 제 1 프레임을 덮도록 위치되고, 상기 결합홀은 상기 밀착부에 형성되는 상기 레일홀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 1 프레임의 상기 레일홀과 마주보는 위치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은 상기 레일홀 및 상기 결합홀에 차례로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 1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선을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레일홀의 내주연을 따라 복수 개의 안내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되, 각각의 상기 안내홈은 상기 결합홀의 내주연과 중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이 상기 레일홀을 지나 상기 결합홀에 삽입될 때, 상기 레일홀에 위치되는 상기 고정핀의 외주연은 상기 안내홈에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선을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초기둥에 삽입된 각도조절부를 회전시킴으로써, 각도조절부의 각도를 장력선의 설치 각도에 대응되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되므로, 장력선의 다양한 설치 각도에 대응되도록 각도조절부의 형상을 다양하게 설계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도조절부의 밀착부에 레일홀이 형성되므로, 각도조절부의 본체가 회전된 이후, 고정핀이 레일홀 및 결합홀에 차례로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본체의 회전을 용이하게 제한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도조절부의 돌출부에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돌출부의 선안내홀에 삽입되는 장력선은 걸림부에 걸림 위치되므로, 장력선은 선안내홀에서 임의로 빠져나오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도조절부의 본체에는 진동감지부가 구비되므로, 각도조절부의 걸림부에 걸려 있는 장력선을 임의로 제거하기 위하여 장력선에 외부 압력을 가하게 되면, 진동감지부가 외부 압력을 감지하여 침입자가 발생하였음을 외부에 알리도록 구성되므로, 침입자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외곽 울타리에 적용된 종래 침입감지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력선을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력선을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의 기초기둥에 각도조절부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력선을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의 각도조절부에 장력선이 걸림 위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력선을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의 기초기둥에 각도조절부가 고정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력선을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의 각도조절부에 장력선이 기초기둥과 수직 방향으로 걸림 위치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력선을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의 각도조절부에 장력선이 경사진 상태로 걸림 위치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력선을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의 진동감지부가 진동을 감지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각도조절부 및 장력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력선을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의 장력감지부 및 진동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력선을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력선을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력선을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은 공항, 항만, 휴전선 등과 같이 주요 시설물을 외부 침입자로부터 보호하고 보안 및 경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기초기둥(100), 각도조절부(200) 및 장력선(300)을 포함한다.
기초기둥(100)은 보호가 필요한 시설물의 주변을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 복수 개의 기초기둥(100)이 시설물 주변의 지면을 따라 상호 이격된 상태로 직립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기초기둥(100)은 단면이 'ㄷ'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 프레임(110)과,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 1 프레임(110)과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 2 프레임(120)과, 상기 제 1 프레임(110)의 일측과 상기 제 2 프레임(120)의 일측을 일체로 연결시키는 연결부(1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프레임(11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 1 설치홀(112: 도 3 도시)이 관통 형성되고, 제 2 프레임(12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 2 설치홀(122)이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제 2 설치홀(122)은 제 1 설치홀(112)과 마주보도록 제 2 프레임(120)에 형성된다. 제 1 설치홀(112)과 제 2 설치홀(122)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각도조절부(200)는 상호 마주보는 제 1 설치홀(112)과 제 2 설치홀(122)에 일체로 삽입된다. 장력선(300)은 복수 개의 기초기둥(100) 사이에 병렬로 배치되되 기초기둥(100)에 삽입된 각도조절부(200)에 걸리도록 위치된다. 이러한 장력선(300)은 기초기둥(100)을 따라 시설물의 주변을 애워싸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장력선(300)의 단부에는 장력선(300)의 장력을 감지하도록 장력감지부(500)가 설치된다. 장력감지부(500: 도 11 도시)는 장력선(300)의 장력을 유지하는 한편, 장력선(300)의 장력 변화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장력감지부(500)가 감지한 장력선(300)의 장력 변화는 제어부(700: 도 11 도시)로 전달되어 침입자가 침입하였음을 외부로 알리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력선을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의 기초기둥에 각도조절부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력선을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의 각도조절부에 장력선이 걸림 위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각도조절부(200)는 제 1 설치홀(112)과 제 2 설치홀(122)에 차례로 삽입되도록 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210)와, 본체(210)의 일단부에 제 2 설치홀(122)의 일측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220)와, 본체(210)의 타단부에 제 1 설치홀(112)의 일측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제 1 프레임(110)과 마주보는 내면이 제 1 프레임(110)에 밀착되도록 제 1 설치홀(112)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밀착부(230)를 포함한다. 돌출부(220)는 본체(210) 내부에서 밀착부(230)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본체(210) 내부에는 장력선(300)의 이동에 따른 진동을 감지하도록 돌출부(220)와 연결되는 진동감지부(400: 도 11 도시)가 구비된다. 진동감지부(400)는 도 11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돌출부(220)에는 장력선(300)이 걸림 위치되는데, 이를 위하여 돌출부(220)에는 선안내홀(222) 및 노출안내부(224)가 구비된다. 선안내홀(222)은 돌출부(220)의 길이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노출안내부(224)는 선안내홀(222)의 길이방향 상측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선안내홀(222)과 마주보는 돌출부(220)의 상측에 상기 선안내홀(222)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노출안내부(224)의 폭은 선안내홀(222)의 직경보다 작도록 형성된다. 이때, 노출안내부(224)는 선안내홀(222)의 길이방향과 수평하지 않도록 기울어진 상태로 형성되어, 노출안내부(224)의 길이방향 일단부는 선안내홀(222)의 중심보다 일측 방향으로 편심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노출안내부(224)의 길이방향 타단부는 상기 선안내홀(222)의 중심보다 타측 방향으로 편심되도록 위치된다. 이에 따라, 노출안내부(224)의 일단부와 마주보는 선안내홀(222)의 일단부에는 노출안내부(224)의 일단부와 일체로 연결되도록 제 1 걸림부(222a)가 경사진 상태로 돌출 형성되고, 노출안내부(224)의 타단부와 마주보는 선안내홀(222)의 타단부에는 노출안내부(224)의 타단부와 일체로 연결되도록 제 2 걸림부(222b)가 경사진 상태로 돌출 형성된다. 즉, 노출안내부(224)의 양 단부의 편심된 방향을 따라 선안내홀(222)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제 1 걸림부(222a)와 제 2 걸림부(222b)가 연장 형성되어, 제 1 걸림부(222a)와 제 2 걸림부(222b)는 선안내홀(222)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각각 일부 덮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장력선(300)은 노출안내부(224)의 기울어진 각도를 따라 기울어진 상태로 노출안내부(224)로 삽입된 후 이어서 선안내홀(222)로 삽입되어, 선안내홀(222)에 걸림 위치된다. 이때, 선안내홀(222)로 삽입된 상기 장력선(300)의 양측은 상기 제 1 걸림부(222a)와 상기 제 2 걸림부(222b)에 각각 걸림 위치되어, 장력선(300)은 노출안내부(224)의 기울어진 각도만큼 임의로 기울어지기 전에는 선안내홀(222)에서 빠져나갈 수 없게 된다. 이처럼 장력선(300)은 제 1, 2 걸림부(222a, 222b)에 걸림 위치되므로, 각도조절부(200)의 돌출부(220)에 견고하게 걸림 위치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력선을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의 기초기둥에 각도조절부가 고정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각도조절부(200)의 본체(210)가 제 1 설치홀(112)과 제 2 설치홀(122)에 차례로 삽입되면, 각도조절부(200)의 밀착부(230)는 제 1 프레임(110)을 덮도록 위치된다. 여기서 제 1 프레임(110)의 밀착부(230)가 밀착되는 위치에 결합홀(114)이 관통 형성되고, 밀착부(230)의 외주연에는 호 형상으로 레일홀(232)이 형성된다. 이때, 결합홀(114)은 밀착부(230)에 형성되는 레일홀(232)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 1 프레임(110)의 레일홀(232)과 마주보는 위치에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볼트 등의 고정핀(240)이 레일홀(232) 및 결합홀(114)에 차례로 삽입되고, 너트(242)가 고정핀(240)에 결합되어, 고정핀(240)은 제 1 프레임(110)에 고정된다. 이처럼 고정핀(240)은 레일홀(232)과 결합홀(114)에 일체로 삽입된 상태로 본체(210)의 회전을 제한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레일홀(232)의 내주연을 따라 복수 개의 안내홈(232a)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되, 각각의 안내홈(232a)은 결합홀(114)의 내주연과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핀(240)이 상기 레일홀(232)을 지나 상기 결합홀(114)에 삽입될 때, 상기 레일홀(232)에 위치되는 상기 고정핀(240)의 외주연은 상기 안내홈(232a)에 걸림 위치된다. 이처럼 레일홀(232)에 안내홈(232a)이 형성되므로, 고정핀(240)에 너트(242)가 결합된 이후, 밀착부(230)를 회전시키려 하는 외부 압력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고정핀(240)이 안내홈(232a)에서 임의로 미끄러지거나 빠져나올 수 없어, 밀착부(230)는 임의로 회전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력선을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의 각도조절부에 장력선이 기초기둥과 수직 방향으로 걸림 위치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a) 및 도 7의 (b)를 참조하면, 기초기둥(100)은 굴곡이 없는 평평한 지면에 설치되므로, 장력선(300)은 기초기둥(100)과 수직 방향이 되도록 각도조절부(200)의 돌출부(220)에 걸림 위치된다. 이때, 결합홀(114)은 레일홀(232)의 중앙과 마주보도록 위치되며, 이 상태에서 고정핀(240)이 레일홀(232) 및 결합홀(114)에 차례로 삽입되어 각도조절부(200)를 기초기둥(100)에 결합시킨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력선을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의 각도조절부에 장력선이 경사진 상태로 걸림 위치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의 (a) 및 도 8의 (b)를 참조하면, 기초기둥(100)은 산악지형과 같이 굴곡이 심한 지면에 설치된다. 이때, 장력선(300) 또한 지면의 굴곡을 따라 경사지게 설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기초기둥(100)의 제 1, 2 설치홀(112, 122)에 각도조절부(200)의 본체(210)를 삽입시킨 후, 각도조절부(200)의 선안내홀(222)에 장력선(300)이 걸림 위치되도록 한다. 그 후, 장력선(300)의 설치 각도에 맞도록 본체(210)를 제 1, 2 설치홀(112, 122)에서 회전되도록 하여, 선안내홀(222)의 길이방향 각도와 장력선(300)의 설치 각도가 일치하도록 한다. 그 후, 고정핀(240)이 밀착부(230)의 레일홀(232)과 기초기둥(100)의 결합홀(114)에 차례로 삽입되어, 본체(210)가 기초기둥(100)에 고정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장력선(300)을 기울어지도록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기초기둥(100)에 삽입된 각도조절부(200)를 회전시킴으로써, 각도조절부(200)의 선안내홀(222)의 길이방향 각도를 장력선(300)의 설치 각도에 대응되도록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장력선(300)의 다양한 설치 각도에 대응되도록 각도조절부(200)의 형상을 다양하게 설계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력선을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의 진동감지부가 진동을 감지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각도조절부 및 장력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력선을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의 장력감지부 및 진동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력선을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은 장력선(300)에 가해지는 장력 및 각도조절부(200)에 가해지는 진동을 감지하도록 장력감지부(500), 진동감지부(400), 통신부(600) 및 제어부(700)를 포함한다.
장력감지부(500)는 장력선(300)의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장력선(300)의 장력을 감지하는 일반적인 구성이다. 장력감지부(500)가 감지한 장력신호는 통신부(600)를 통하여 제어부(700)로 전달된다. 통신부(600)는 제어부(7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진동감지부(400)는 각도조절부(200)의 본체(21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장력선(300)의 이동에 따른 본체(210)의 진동을 감지하도록 돌출부(220)와 연결된다. 이러한 진동감지부(400)는 예를 들면 로드셀이 내장되어, 본체(210)로 가해지는 무게 변화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침입자가 각도조절부(200)의 선안내홀(222)로 삽입된 상기 장력선(300)을 노출안내부(224)를 통하여 선안내홀(222)의 외부로 배출시키고자 할 때, 선안내홀(222)에 위치된 장력선(300)은 제 1 걸림부(222a)와 제 2 걸림부(222b)에 걸림 위치되어 있으므로, 장력선(300)의 일측은 제 1 걸림부(222a)를 지나 상기 노출안내부(224)의 일단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외부 압력을 가해야 하고, 장력선(300)의 타측은 제 2 걸림부(222b)를 지나 노출안내부(224)의 타단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외부 압력을 가해야 한다. 이때, 돌출부(220)와 연결된 진동감지부(400)가 장력선(300)에 가해지는 외부 압력, 즉 무게 변화를 감지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침입자가 각도조절부(200)에 걸려 있는 장력선(300)을 임의로 제거하기 위하여 장력선(300) 또는 진동감지부(400)에 외부 압력을 가하게 되면, 진동감지부(400)가 외부 압력을 감지하여 침입자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도록 구성되므로, 침입자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진동감지부(400)가 감지한 무게 변화 신호는 통신부(600)를 통하여 제어부(700)로 전달된다. 통신부(600)는 제어부(7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통신부(600)는 장력감지부(500) 및 진동감지부(4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장력감지부(500) 및 진동감지부(40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제어부(700)로 전달한다. 제어부(700)는 통신부(60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수신받아, 침입자가 발생하였음을 외부로 알리고,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기초기둥 110: 제 1 프레임
112: 제 1 설치홀 114: 결합홀
120: 제 2 프레임 122: 제 2 설치홀
130: 연결부 200: 각도조절부
210: 본체 220: 돌출부
222: 선안내홀 222a: 제 1 걸림부
222b: 제 2 걸림부 224: 노출안내부
230: 밀착부 232: 레일홀
232a: 안내홈 240: 고정핀
242: 너트 300: 장력선
400: 진동감지부 500: 장력감지부
600: 통신부 700: 제어부

Claims (10)

  1.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설치홀이 형성되는 기초기둥; 및
    상기 설치홀에 삽입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기초기둥 사이에 복수 개의 장력선이 병렬로 배치될 때, 상기 각도조절부의 일단부에 상기 장력선이 걸리도록 위치되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설치홀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설치홀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단부에 상기 설치홀의 일측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장력선이 걸리도록 위치되는 돌출부와, 상기 본체의 타단부에 상기 설치홀의 타측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기초기둥과 마주보는 내면이 상기 기초기둥에 밀착되도록 상기 설치홀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에 상기 장력선이 걸림 위치되면, 상기 밀착부가 상기 기초기둥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선을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길이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관통되는 선안내홀과, 상기 선안내홀과 마주보는 상기 돌출부의 일측에 상기 선안내홀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노출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장력선을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안내부의 폭은 상기 선안내홀의 직경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선을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안내부는 상기 선안내홀의 길이방향과 수평하지 않도록 기울어진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노출안내부의 길이방향 일단부는 상기 선안내홀의 중심보다 일측 방향으로 편심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노출안내부의 길이방향 타단부는 상기 선안내홀의 중심보다 타측 방향으로 편심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노출안내부의 일단부와 마주보는 상기 선안내홀의 일단부에는 상기 노출안내부의 일단부와 일체로 연결되도록 제 1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출안내부의 타단부와 마주보는 상기 선안내홀의 타단부에는 상기 노출안내부의 타단부와 일체로 연결되도록 제 2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선안내홀로 삽입된 상기 장력선의 양측은 상기 제 1 걸림부와 상기 제 2 걸림부에 각각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선을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선안내홀로 삽입된 상기 장력선이 상기 노출안내부를 통하여 상기 선안내홀의 외부로 배출될 때, 상기 장력선의 일측은 상기 제 1 걸림부를 지나 상기 노출안내부의 일단부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장력선의 타측은 상기 제 2 걸림부를 지나 상기 노출안내부의 타단부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밀착부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본체 내부에는 상기 장력선의 이동에 따른 진동을 감지하도록 상기 돌출부와 연결되는 진동감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선을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선이 상기 노출안내부를 지나 상기 선안내홀에 걸림 위치되도록 설치될 때, 상기 장력선의 설치 각도에 따라 상기 본체가 상기 설치홀에서 회전되어, 상기 선안내홀의 길이방향 각도와 상기 장력선의 설치 각도가 일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밀착부를 상기 기초기둥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밀착부와 상기 기초기둥에 일체로 삽입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선을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기둥의 상기 밀착부가 밀착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결합홀과, 상기 밀착부의 외주연을 따라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레일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밀착부가 회전될 때, 상기 결합홀은 상기 레일홀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핀은 상기 레일홀과 상기 결합홀에 일체로 삽입된 상태로 상기 본체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선을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기둥은,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1 프레임과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 2 프레임과, 상기 제 1 프레임의 일측과 상기 제 2 프레임의 일측을 일체로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홀은, 상기 제 1 프레임에 관통 형성되는 제 1 설치홀과, 상기 제 1 설치홀과 마주보도록 상기 제 2 프레임에 관통 형성되는 제 2 설치홀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 1 설치홀과 상기 제 2 설치홀에 차례로 삽입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2 설치홀의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밀착부는 상기 제 1 프레임을 덮도록 위치되고,
    상기 결합홀은 상기 밀착부에 형성되는 상기 레일홀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 1 프레임의 상기 레일홀과 마주보는 위치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은 상기 레일홀 및 상기 결합홀에 차례로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 1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선을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홀의 내주연을 따라 복수 개의 안내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되, 각각의 상기 안내홈은 상기 결합홀의 내주연과 중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이 상기 레일홀을 지나 상기 결합홀에 삽입될 때, 상기 레일홀에 위치되는 상기 고정핀의 외주연은 상기 안내홈에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선을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
KR1020180048616A 2018-04-26 2018-04-26 장력선을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 KR101895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616A KR101895899B1 (ko) 2018-04-26 2018-04-26 장력선을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616A KR101895899B1 (ko) 2018-04-26 2018-04-26 장력선을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5899B1 true KR101895899B1 (ko) 2018-09-07

Family

ID=63595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8616A KR101895899B1 (ko) 2018-04-26 2018-04-26 장력선을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589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08774B2 (en) * 2018-02-14 2021-12-28 Tensator Group Ltd Retaining members
KR102383288B1 (ko) 2021-12-02 2022-04-08 미래이에스씨 주식회사 보안용 울타리 하부에 설치된 침투저지봉의 보강장치
CN114809686A (zh) * 2022-05-09 2022-07-29 安徽振兴建设有限公司 一种市政工程基坑安全防护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334Y1 (ko) * 2015-07-22 2016-01-15 배응섭 조립식 펜스
KR101708559B1 (ko) 2015-06-05 2017-02-22 수원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전환 기능을 가지는 장력 감지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559B1 (ko) 2015-06-05 2017-02-22 수원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전환 기능을 가지는 장력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0479334Y1 (ko) * 2015-07-22 2016-01-15 배응섭 조립식 펜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08774B2 (en) * 2018-02-14 2021-12-28 Tensator Group Ltd Retaining members
KR102383288B1 (ko) 2021-12-02 2022-04-08 미래이에스씨 주식회사 보안용 울타리 하부에 설치된 침투저지봉의 보강장치
CN114809686A (zh) * 2022-05-09 2022-07-29 安徽振兴建设有限公司 一种市政工程基坑安全防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5899B1 (ko) 장력선을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
KR20060025514A (ko) 보안 펜스를 오르는 것을 탐지할 수 있게 광케이블에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장치
AR030633A1 (es) Sistema integrado de seguridad
EP1125265B1 (en) Intrusion detection fence with trip wires and common actuator
KR100878047B1 (ko) 장력 감지 센서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US9336665B2 (en) EAS tag with arming switch
KR20160006426A (ko) 군사용 경계초소의 주둔지 방호 시스템
KR100609657B1 (ko) 지하매설용 보안펜스
KR101949815B1 (ko) 케이블 벤딩 유발 장치
US4916433A (en) Protection of property
US10535238B2 (en) Barbed tape and security sensor assembly
US6737972B1 (en) Vibration sensor
KR101784504B1 (ko) 광망 상단 감지장치
JPH0227072A (ja) 防犯機能付フェンス
JPH09237389A (ja) 防犯センサ付き外構塀
GB2128649A (en) Barriers with alarm device
KR970002487Y1 (ko) 방호책 장력감지철선 설치구조
KR102208511B1 (ko) 방사선 게이트와 측정장치의 결합구조
KR100583886B1 (ko) 센서케이블 절곡 감지장치
JP2002082178A (ja) 人体検知器
KR101799076B1 (ko) 광망 하단 감지장치
KR102428514B1 (ko) 금속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범방재시스템
KR200304229Y1 (ko) 적외선 감지기
JP4120475B2 (ja) 防犯装置
KR101415095B1 (ko) 화재 탐지 보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