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5727B1 - 레이더의 증폭기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레이더의 증폭기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5727B1
KR101895727B1 KR1020170094781A KR20170094781A KR101895727B1 KR 101895727 B1 KR101895727 B1 KR 101895727B1 KR 1020170094781 A KR1020170094781 A KR 1020170094781A KR 20170094781 A KR20170094781 A KR 20170094781A KR 101895727 B1 KR101895727 B1 KR 101895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lifier
signal exceeds
threshold value
bypass path
magnitu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동
고동식
오종명
김형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풍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풍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풍산
Priority to KR1020170094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57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35Details of non-pulse systems
    • G01S7/352Recei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50Systems of measurement based on relative movement of target
    • G01S13/52Discriminating between fixed and moving objects or between objects moving at different speeds
    • G01S13/56Discriminating between fixed and moving objects or between objects moving at different speeds for presence detection

Abstract

본 명세서의 적어도 일부의 실시 예는 레이더의 증폭기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레이더의 증폭기 제어 방법은, 수신 신호의 크기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수신 신호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문턱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신호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문턱값을 초과하면 상기 송신 안테나에 연결된 증폭기의 우회경로 및 상기 수신 안테나에 연결된 증폭기의 우회 경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신호의 강도를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목표물의 거리 측정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레이더 증폭기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레이더의 증폭기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MPLIFIER OF RADAR}
본 명세서의 적어도 일부의 실시 예는 레이더의 증폭기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레이더는 전파를 발사한 다음 그 전파가 목표물에 부딪쳐서 반사하는 것을 포착하여 목표물의 존재와 그 위치를 탐지하는 무선 감시 장치이다.
표적에서 반사되는 수신 전력과 레이더가 방사하는 송신 전력에 대한 레이더 방정식을 참조하면 레이더 제작자는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거나 수신단 초단에 저잡음 증폭기를 배치하여 원거리에 위치한 표적의 감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표적에서 반사된 수신 신호가 과도하게 강한 경우 수신 안테나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가 너무 커서 수신단의 고이득 증폭기에 무리를 줄 수 있다.
특히 아주 먼 거리에 위치하는 목표물도 감지하고, 아주 가까운 거리의 목표물도 감지해야 하는 레이더를 운용하는 경우 목표물의 거리에 따라 반사 신호의 세기가 크게 달라질 수 있어 수신 신호의 강도를 적절히 제어할 필요가 있다.
KR 10-1549654 B1
본 명세서는 신호의 강도를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목표물의 거리 측정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레이더 증폭기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레이더의 증폭기 제어 방법은, 수신 신호의 크기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수신 신호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문턱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신호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문턱값을 초과하면 상기 송신 안테나에 연결된 증폭기의 우회경로 및 상기 수신 안테나에 연결된 증폭기의 우회 경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레이더의 증폭기 제어 장치는, 수신 신호의 크기를 감지하는 감지기 및 상기 수신 신호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문턱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비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교기는, 상기 수신 신호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문턱값을 초과하면 상기 송신 안테나에 연결된 증폭기의 우회경로 및 상기 수신 안테나에 연결된 증폭기의 우회 경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연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신호의 강도를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목표물의 거리 측정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저비용 레이더센서의 구현을 위한 증폭기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레이더의 증폭기 제어 장치(100)의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레이더의 증폭기 제어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우회 경로(115, 145)의 제어를 위한 스위치 회로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명세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이하,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편의를 위해 FMCW(주파수 변조 연속파; 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 레이더를 예시로 설명한다. 하지만 본 명세서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17072065800-pat00001
수학식 1은 등가 잡음온도 Ts에 따른 수신 신호의 신호 대 잡음 비 (S/N)Rx 를 나타낸다. 여기서 PTx는 송신 전력, σ는 레이더 반사 면적(Radar cross section, RCS), λ0는 방사전파(송신 신호)의 파장, GTx는 송신 안테나 이득, GRx는 수신 안테나 이득을 의미한다. R은 안테나로부터 감지하려는 목표 물체까지의 거리이고, kBTsBn은 시스템잡음 전력이다.
수학식 1을 참조하면, 레이더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송신단의 종단부에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PA)를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다. 송신 안테나에 PA를 연결시키면 송신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전력이 향상되므로, 송신 신호가 강력해지고 반사되어 돌아오는 수신 신호도 강력해질 수 있다. 또한 먼 거리에 위치한 표적으로부터 반사되어 돌아오는 수신 신호를 잘 감지하기 위해서는 수신 안테나에 저 잡음 증폭기(Low-Noise Amplifier; LNA)를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다. 저 잡음 증폭기는 잡음을 억제하면서 수신 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다.
레이더 센서가 감지하고자 하는 표적이 멀리 있을 때에는 PA나 LNA를 모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멀리 있는 물체로부터 반사되는 신호를 잘 감지하기 위하여 PA와 LNA를 사용하는 것이다. 하지만 목표 물체가 극도로 근접한 경우 PA 및/또는 LNA를 사용하는 것이 시스템에 지나친 부하를 줄 수 있다. 목표 물체가 극도로 근접한 경우 같은 세기의 송신 신호를 전송하더라도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의 세기는 훨씬 더 강해진다(PRx는 R의 4제곱에 반비례). 지나치게 큰 전파 신호 수신은 수신 신호를 증폭하는 회로(LNA 등)가 비선형적으로 동작하도록 포화 시키거나 혹은 증폭기의 기능을 상실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송신 신호를 지나치게 강하게 송신하지 않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나치게 큰 송신전력은 누설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고, 누설 신호는 수신 신호의 간섭신호가 될 수 있다.
즉, 근접거리에서 이미 강력한 세기의 수신 신호를 수신한 경우 이를 LNA에 전달하면 LNA에 무리를 줄 수 있고, 증폭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강력한 세기의 수신 신호를 수신한 경우 LNA를 거치지 않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제어를 위해 아래와 같은 실시 예들이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레이더의 증폭기 제어 장치(100)의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레이더의 증폭기 제어 장치(100)는 송신 안테나(105), 전력 증폭기(PA; Power Amplifier)(110), PA의 우회경로(115), 커플러(120), 전압제어 발진기(VCO,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125), 전원(130), 수신 안테나(135), 저 잡음 증폭기(LNA, Low-Noise Amplifier)(140), LNA의 우회경로(145), 믹서(150), 저역통과필터(LPF; Low Pass Filter), 중간주파수 버퍼(160), 감지기들(165, 170), 비교기들(175, 180) 및 중간주파수 신호 출력 단자(185)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PA(110) 또는 LNA(140) 중 어느 하나만이 활용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PA(110)의 우회 경로(115)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감지기(165) 및 비교기(175)가 생략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LNA(140)의 우회경로(145)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감지기(170) 및 비교기(180)가 생략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VCO(125)는 전원(130)으로부터 입력 제어 전압에 대체로 선형적으로 비례하며 가변 주파수를 발생시킨다. VCO(125)의 출력 신호는 PA(110) 및 믹서(150)에 전달된다. PA(110)와 PA(110)의 우회경로(115)는 병렬로 연결된다. PA(110)는 송신 안테나(105)와 VCO(125) 사이에 위치한다. 송신 안테나(105)는 VCO(125) 및 PA(110)를 거쳐서 수신한 전기 신호에 따라 전파 신호를 송신한다.
수신 안테나(135)는 송신 안테나(105)가 송신한 신호의 반사파를 수신한다. LNA(140)는 수신 안테나(135)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증폭하여 믹서(150)에 전달한다. 증폭된 신호는 믹서(150), LPF(155) 및 버퍼(160)를 거쳐 중간 주파수 신호로 변환된다.
감지기(165)는 중간 주파수 신호의 전압을 감지하여 비교기(175)에게 전달한다. 비교기(175)는 중간 주파수 신호의 전압이 제1 기준 전압을 초과하면 PA(110)의 우회경로(115)를 연결시키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우회 경로(115)의 스위치의 컨트롤 단자는 비교기(175)의 출력 측과 연결된다.
감지기(170)는 중간 주파수 신호의 전압을 감지하여 비교기(180)에게 전달한다. 비교기(180)는 중간 주파수 신호의 전압이 제2 기준 전압을 초과하면 LNA(135)의 우회경로(140)를 연결시키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우회 경로(140)의 스위치의 컨트롤 단자는 비교기(180)의 출력 측과 연결된다.
중간 주파수 신호의 전압은 수신 안테나(135)의 수신 신호의 세기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 따라서 중간 주파수 신호의 전압을 감지하여 수신 신호의 세기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중간 주파수 신호의 전압 대신 수신 신호의 세기와 상관 관계를 가지는 다른 측정값/정보 등을 이용하여 수신 신호의 세기를 판단하고, 이 수신 신호의 세기에 따라 PA(110) 및 LNA(140)의 우회경로들을 연결할 수도 있다.
PA(110)의 우회경로(115)가 연결되면 PA(110)의 전원은 차단되고, 송신 전력이 증폭되지 않고 우회경로(115)를 통해 곧바로 송신 안테나(105)에게 전달된다. 따라서 송신 신호의 세기도 증폭되지 않는다.
LNA(140)의 우회경로(145)가 연결되면 LNA(145)의 전원은 차단되고 수신 신호가 증폭되지 않고 우회경로(145)를 통해 믹서(150)에 전달된다. 따라서 중간 주파수 신호 출력 단자(185)를 통해 출력되는 중간 주파수 신호도 증폭되지 않는다.
도 1의 실시 예에서 제2 기준전압은 제1 기준전압보다 큰 값이다.
도 1의 실시 예에 따르면 중간 주파수 신호의 전압이 제1 기준전압 이하이면 PA(110)와 LNA(140)가 모두 동작한다. 중간 주파수 신호의 전압이 제1 기준전압 초과 제2 기준 전압 이하이면 PA(110)가 동작하지 않고 LNA(140)가 동작한다. 중간 주파수 신호의 전압이 제2 기준 전압을 초과하면 PA(110)와 LNA(140)가 동작하지 않는다.
여기서는 중간 주파수 신호의 기준 전압을 이용하여 수신 신호의 강도를 판단하였으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수신 신호의 세기를 다른 방식으로 측정하여 상응하는 제1 문턱값/제2 문턱값과 비교하여 PA(110) 및 LNA(140)의 우회경로들 연결 여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
비교적 먼 거리의 물체에 대해서는 PA(110) 및 LNA(140)를 모두 동작하고, 매우 가까운 거리의 물체에 대해서는 PA(110) 및 LNA(140)를 동작하지 않는다. 도 1의 실시 예에서 제2 기준 전압을 제1 기준 전압보다 큰 값으로 설정하였으므로, 중간 정도의 거리에서는 LNA(140)만이 동작하고 PA(110)는 동작하지 않는다. LNA(140)가 더 효율적으로 신호를 증폭할 수 있기 때문에 중간 정도의 거리에서는 LNA(140)만이 동작하도록 한 것이다.
도 1의 실시 예에서 증폭기의 예시로 PA(110)와 LNA(140)가 제안되었으나, 다른 실시 예에서는 PA 및 LNA와 유사한 동작을 하는 다른 구성요소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의 실시 예에서 중간 주파수 신호의 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하기 위해 비교기들(175, 180)이 사용되었으나, 빠른 응답 속도 등으로 목적에 부합되는 일반 목적의 초고속 연산 장치가 대신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레이더의 증폭기 제어 과정의 순서도이다. 아래 실시 예에서 편의를 위해 하나의 송신 신호가 순차적으로 처리되는 과정을 설명하였으나, 실제 레이더에서는 단계 210 내지 단계 275의 모든 과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고 있다. 또한 단계 240내지 255의 PA 제어과정과 단계 260 내지 단계 275의 LNA 제어 과정은 동일한 수신 신호에 대해서 병렬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도 2에서 언급된 순서와 반대로 LNA 제어 과정이 먼저 수행될 수도 있다.
단계 210에서 송신 안테나(105)가 송신 신호를 발신한다.
단계 220에서 수신 안테나(135)가 반사파 신호를 수신한다.
단계 230에서 믹서(150)가 수신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로 변환한다. 이 때 LPF(155), 버퍼(160)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감지기(165, 170)는 중간 주파수 신호 전압을 감지하여 비교기들(175, 180)에게 각각 전달한다.
단계 240에서 비교기(175)는 중간 주파수 신호의 전압이 제1 기준 전압을 초과하는지 판단한다. 중간 주파수 신호의 전압이 제1 기준 전압을 초과하면 비교기(175)는 PA(110)의 우회경로(115)를 연결시키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250). 우회 경로(115)의 스위치의 컨트롤 단자는 비교기(175)의 출력 측과 연결된다. 예를 들어 비교기(175)가 스위치 ON 신호를 송신하면 우회 경로(115)의 스위치가 연결되고 PA(110)의 전원이 차단될 수 있다.
중간 주파수 신호의 전압이 제1 기준 전압을 초과하지 않으면 비교기(175)는 PA(110)의 우회경로(115)를 차단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255). 예를 들어 비교기(175)가 스위치 OFF 신호를 송신하면 우회 경로(115)의 스위치가 차단되고 PA(110)의 전원이 연결될 수 있다.
단계 260에서 비교기(180)는 중간 주파수 신호의 전압이 제2 기준 전압을 초과하는지 판단한다. 제2 기준 전압은 단계 240의 제1 기준 전압보다 큰 값이다. 중간 주파수 신호의 전압이 제2 기준 전압을 초과하면 비교기(180)는 LNA(140)의 우회경로(145)를 연결시키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270). 우회 경로(145)의 스위치의 컨트롤 단자는 비교기(180)의 출력 측과 연결된다. 예를 들어 비교기(180)가 스위치 ON 신호를 송신하면 우회 경로(145)의 스위치가 연결되고 LNA(140)의 전원이 차단될 수 있다.
중간 주파수 신호의 전압이 제2 기준 전압을 초과하지 않으면 비교기(180)는 LNA(140)의 우회경로(145)를 차단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275). 예를 들어 비교기(180)가 스위치 OFF 신호를 송신하면 우회 경로(145)의 스위치가 차단되고 LNA(140)의 전원이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우회 경로(115, 145)의 제어를 위한 스위치 회로도이다.
도 3의 예에서 스위치는 NMOS(N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로서 구현된다.
도 3의 제어 단자(Control)는 비교기(175, 180)의 출력 측과 연결된다. 제어 단자(Control)는 NMOS의 게이트 단자와 연결된다. 또한, NMOS의 소스 및 드레인 단자는 P1 및 P2를 통해 증폭기(110, 140)와 병렬로 연결된다. 제어 단자(Control)을 통해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 신호에 따라 P1 및 P2 사이가 차단되거나 연결되어 스위치로서 동작한다.
도 3의 스위치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다른 종류의 장치, 예를 들어 PMOS나 기타 컨트롤 단자의 입력을 통해 연결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들이 도 3의 스위치로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위칭 응답 특성이 매우 빠른 NMOS를 스위치로 사용하여 우회 경로를 생성하고, 그에 따라 PA및 LNA의 전원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우회 경로가 큰 수신신호에 대한 빠른 응답특성을 가지도록 하고 우회 경로를 비교적 저비용으로 구현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 예들에 따르는 레이더는 증폭기를 적절히 제어하여 멀리 있는 물체를 감지할 때나 아주 가까이에 있는 물체를 감지할 때나 오류 없이 감지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명세서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명세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명세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레이더의 증폭기 제어 장치 105: 송신 안테나
110: 전력 증폭기(PA; Power Amplifier)
115: PA의 우회경로 120: 커플러
125: 전압제어 발진기 (VCO,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130: 전원 135: 수신 안테나
140: 저 잡음 증폭기(LNA, Low-Noise Amplifier)
145: LNA의 우회경로 150: 믹서
155: 저역통과필터(LPF; Low Pass Filter)
160: 중간주파수 버퍼 165, 170: 감지기
175, 180: 비교기
185: 중간주파수 신호 출력 단자

Claims (13)

  1.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레이더의 증폭기 제어 방법으로서,
    수신 신호의 크기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수신 신호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제1 및 제2 문턱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신호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제1 문턱값을 초과하면 상기 송신 안테나에 연결된 증폭기의 우회경로를 연결하고, 상기 수신 신호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제2 문턱값을 초과하면 상기 수신 안테나에 연결된 증폭기의 우회 경로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문턱값은 상기 제1 문턱값보다 더 큰 증폭기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안테나에 연결된 증폭기는 전력 증폭기(PA; Power Amplifier)인 증폭기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안테나에 연결된 증폭기는 저 잡음 증폭기(LNA; Low-Noise Amplifier)인 증폭기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제1 및 제2 문턱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중간 주파수 신호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제1 및 제2 기준 전압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기준 전압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문턱값인 증폭기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제1 문턱값을 초과하면 상기 송신 안테나에 연결된 증폭기의 우회경로를 연결하고, 상기 수신 신호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제2 문턱값을 초과하면 상기 수신 안테나에 연결된 증폭기의 우회 경로를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중간 주파수 신호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전압을 초과하면 상기 송신 안테나에 연결된 전력 증폭기(PA; Power Amplifier)의 우회 경로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폭기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제1 문턱값을 초과하면 상기 송신 안테나에 연결된 증폭기의 우회경로를 연결하고, 상기 수신 신호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제2 문턱값을 초과하면 상기 수신 안테나에 연결된 증폭기의 우회 경로를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중간 주파수 신호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전압을 초과하면 상기 수신 안테나에 연결된 저 잡음 증폭기(LNA; Low-Noise Amplifier)의 우회 경로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준 전압은 상기 제1 기준 전압보다 더 큰 증폭기 제어 방법.
  7.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레이더의 증폭기 제어 장치로서,
    수신 신호의 크기를 감지하는 감지기; 및
    상기 수신 신호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제1 및 제2 문턱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비교기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기는, 상기 수신 신호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제1 문턱값을 초과하면 상기 송신 안테나에 연결된 증폭기의 우회경로를 연결하고, 상기 수신 신호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제2 문턱값을 초과하면 상기 수신 안테나에 연결된 증폭기의 우회 경로를 연결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문턱값은 상기 제1 문턱값보다 더 큰 증폭기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안테나에 연결된 증폭기는 전력 증폭기(PA; Power Amplifier)인 증폭기 제어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안테나에 연결된 증폭기는 저 잡음 증폭기(LNA; Low-Noise Amplifier)인 증폭기 제어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 제어 장치는,
    상기 수신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는 믹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교기는 상기 중간 주파수 신호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제1 및 제2 기준 전압을 초과하는지 판단함으로써 상기 수신 신호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제1 및 제2 문턱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기준 전압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문턱값인 증폭기 제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기는
    상기 중간 주파수 신호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전압을 초과하면 상기 송신 안테나에 연결된 전력 증폭기(PA; Power Amplifier)의 우회 경로를 연결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1 비교기를 포함하는 증폭기 제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기는
    상기 중간 주파수 신호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전압을 초과하면 상기 수신 안테나에 연결된 저 잡음 증폭기(LNA; Low-Noise Amplifier)의 우회경로를 연결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2 비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준 전압은 상기 제1 기준 전압보다 더 큰 증폭기 제어 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게이트가 상기 비교기와 연결되고 소스 및 드레인이 증폭기와 병렬로 연결되는 NMOS(N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로서 구현되는 우회경로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증폭기 제어 장치.
KR1020170094781A 2017-07-26 2017-07-26 레이더의 증폭기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895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781A KR101895727B1 (ko) 2017-07-26 2017-07-26 레이더의 증폭기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781A KR101895727B1 (ko) 2017-07-26 2017-07-26 레이더의 증폭기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5727B1 true KR101895727B1 (ko) 2018-09-05

Family

ID=63594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781A KR101895727B1 (ko) 2017-07-26 2017-07-26 레이더의 증폭기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57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36884A4 (en) * 2019-03-28 2022-03-16 Huawei Technologies Co., Ltd. RADAR POWER CONTROL METHOD AND DEVIC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2955A (ja) * 1995-09-05 1997-03-18 Mitsubishi Electric Corp レーダ受信機
JP2004251727A (ja) * 2003-02-19 2004-09-09 Fujitsu Ten Ltd レーダ装置およびその信号生成回路
KR20050065887A (ko) * 2003-12-26 2005-06-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선된 전력증폭기 효율을 가진 듀얼 안테나 다이버시티송신기 및 시스템
JP3759333B2 (ja) * 1999-05-28 2006-03-22 三菱電機株式会社 パルスドップラレーダ装置
JP4931956B2 (ja) * 2009-04-17 2012-05-16 三菱電機株式会社 車載電波パルスレーダ装置
JP2013142584A (ja) * 2012-01-10 2013-07-22 Denso Corp センサ用信号処理回路、およ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安全運転装置
WO2013111954A1 (ko) * 2012-01-25 2013-08-01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전력 절감 전류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변환기
KR101549654B1 (ko) 2013-12-09 2015-09-03 주식회사 한국통신부품 반도체형 증폭기의 과입력 방지부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2955A (ja) * 1995-09-05 1997-03-18 Mitsubishi Electric Corp レーダ受信機
JP3759333B2 (ja) * 1999-05-28 2006-03-22 三菱電機株式会社 パルスドップラレーダ装置
JP2004251727A (ja) * 2003-02-19 2004-09-09 Fujitsu Ten Ltd レーダ装置およびその信号生成回路
KR20050065887A (ko) * 2003-12-26 2005-06-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선된 전력증폭기 효율을 가진 듀얼 안테나 다이버시티송신기 및 시스템
JP4931956B2 (ja) * 2009-04-17 2012-05-16 三菱電機株式会社 車載電波パルスレーダ装置
JP2013142584A (ja) * 2012-01-10 2013-07-22 Denso Corp センサ用信号処理回路、およ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安全運転装置
WO2013111954A1 (ko) * 2012-01-25 2013-08-01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전력 절감 전류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변환기
KR101549654B1 (ko) 2013-12-09 2015-09-03 주식회사 한국통신부품 반도체형 증폭기의 과입력 방지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36884A4 (en) * 2019-03-28 2022-03-16 Huawei Technologies Co., Ltd. RADAR POWER CONTROL METHOD AND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1462B1 (ko) 거리측정 센서 및 이를 이용한 거리 측정방법
US9408160B2 (en) Device and method for restricting transmission output in a portable terminal
US7432847B2 (en) Ultra-wideband transceiver
CN105022033A (zh) 雷达装置及控制方法
US11496229B2 (en) Antenna detection using antenna return loss
CN112703670A (zh) 用于功率放大器控制和保护的方法和设备
KR101895727B1 (ko) 레이더의 증폭기 제어 방법 및 장치
CN113315536B (zh) 射频电路和电子设备
JP5025699B2 (ja) 送受信モジュール
US8947164B2 (en) Integrated technique for enhanced power amplifier forward power detection
US7013114B2 (en) Impedence-matched transmitting device having high interference immunity
US6104287A (en) Circulator reverse power alarm
KR101029598B1 (ko) 레이더 수신기
KR101118653B1 (ko) 송신기의 pin 다이오드 리미터 회로
CN107733379B (zh) 射频放大器输出端失配检测电路及其检测方法
US20160033637A1 (en) Method of secure rf ranging under strong multipath reflections
US8325083B2 (en) Radar apparatus
KR100820165B1 (ko) Pim 신호 감시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pim 신호감시방법
JP5734814B2 (ja) 送受信モジュール
KR100608491B1 (ko) 휴대인터넷 시간분할이중방식 안테나단의 전력증폭기제어방법 및 그 안테나단
KR101628359B1 (ko) Rf 통신장치 및 제어방법
CN115865125B (zh) 双通道收发单元
CN219718188U (zh) 一种低噪声放大器、收发组件及通信设备
WO20230434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detection in a radiofrequency transmitter
CN117134801A (zh) 射频读写设备、增益调节方法、装置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