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5570B1 - Apparatus for assembling objec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assembling obje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5570B1
KR101895570B1 KR1020170095630A KR20170095630A KR101895570B1 KR 101895570 B1 KR101895570 B1 KR 101895570B1 KR 1020170095630 A KR1020170095630 A KR 1020170095630A KR 20170095630 A KR20170095630 A KR 20170095630A KR 101895570 B1 KR101895570 B1 KR 101895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moving
plate
pressing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6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정욱
Original Assignee
신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욱 filed Critical 신정욱
Priority to KR1020170095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557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5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maintenance of measuring instruments, e.g. of probe ti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assembling an ultra-small object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pparatus for assembling an ultra-small object which can assemble a barrel and a plunger forming a pogo pin in an effective man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for assembling an ultra-small object comprises: a base plate; an object mounting unit which is joined to one side of the base plate wherein an object, an assembled abject, is vertically mounted on the base plate; a pair of first pressing units which are joined to one side of the base plate to be symmetrical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have coking members formed to form recessed portions by pressing an object; and a pair of second pressing units which are joined to one side of the base plate to cross the first pressing units and have coking members formed to form recessed portions by pressing the object. The base plate provides a guiding rail for guide movement of the object mounting unit on one side thereof.

Description

초미세물체 조립 장치{APPARATUS FOR ASSEMBLING OBJECT}[0001] APPARATUS FOR ASSEMBLING OBJECT [0002]

본 발명은 초미세물체 조립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고핀을 이루는 배럴과 플런저를 효율적으로 조립할 수 있는 초미세물체 조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ltra-fine object assembl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ltra-fine object assembling apparatus capable of efficiently assembling a barrel and a plunger constituting a pogo pin.

반도체 소자는 전기적 특성 검사(Electrical Die Sorting; EDS)를 통하여 불량이 판별되는데, 전기적 특성 검사는 테스터와 플런저를 포함하는 포고핀(Pogo pin)에 의하여 수행된다. 전기적 특성 검사 시에 테스터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켜 포고핀에 전달하며, 포고핀으로 전달된 신호는 포고핀가 접촉된 반도체 소자의 단자에 전달되어 소자가 양품인지 불량품인지 판단한다.The semiconductor device is distinguished by electrical die sorting (EDS), and the electric characteristic test is performed by a pogo pin including a tester and a plunger. When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are inspected, the tester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pogo pin. The signal transmitted to the pogo pin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with which the pogo pin is contacted to judge whether the device is good or defective.

포고핀은 외형을 이루는 배럴(Barrel)과, 배럴의 일단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상부 플런저와, 배럴 타단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하부 플런저와, 배럴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부 플런저 및 하부 플런저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The pogo pin includes a barrel having an outer shape, an upper plunger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barrel, a lower plunger protru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barrel, and a lower plunger inserted into the barrel to move the upper plunger and the lower plunger in a direction As shown in Fig.

이때, 플런저는 배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배럴을 가압하여 함임부를 형성하여야 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하나의 포고핀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현미경을 통해, 조립지그에 일일히 플런저가 결합된 배럴을 배치시킨 후, 가압부를 작동하여 배럴을 가압하여 함입부를 형성하고, 배럴과 접촉된 가압부를 분리한 후, 지그에 결합된 배럴을 다시 조립지그에서 분리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생산량이 저조할 수밖에 없었다.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the plunger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barrel, the barrel must be pressurized to form the impregnation. Conventionally, in order to assemble a pogo pin, a barrel having a plunger coupled to the assembly jig is disposed through a microscope through a microscope, and then a pressurizing portion is operated to pressurize the barrel to form an impregnation portion. After that, the barrel connected to the jig must be separated from the assembly jig again, so the production amount has to be low.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복수의 포고핀을 빠르게 조립할 수 있는 초미세물 조립 장치에 대한 요구가 생기게 되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need has arisen for an ultrafine water assembling apparatus capable of quickly assembling a plurality of pogo pins.

일본공개특허 제1993-166896호Japanese Patent Laid-Open No. 1993-166896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복수의 포고핀을 빠르게 조립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vice capable of quickly assembling a plurality of pogo pin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 disclosed.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에 결합되며, 베이스 플레이트에 수직방향으로 피조립물인 물체가 안착되는 복수의 안착홈이 형성된 물체안착부와, 좌우 대칭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에 결합되고, 물체를 가압하여 물체에 함입부를 형성하는 코킹부재가 형성된 한 쌍의 제1가압부와, 좌우 대칭되며 제1가압부와 교차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에 결합되고, 물체를 가압하여 물체에 함입부를 형성하는 코킹부재가 형성된 한 쌍의 제2가압부를 포함하고, 베이스 플레이트는 일면에 물체안착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레일이 형성되는 초미세물체 조립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bject mounting apparatus including a base plate, an object receiving unit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having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for receiving an object to be assemb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ase plate, A pair of first pressing portions which are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base plate so as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and which form a caulking member for pressing the object to form an indentation in the object, And a pair of second pressing portions formed with a caulking member for pressing the object and forming an indentation in the object, wherein the base plate has a guide rail for guiding movement of the object placing portion on one side thereof, to provi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가압부 및 제2가압부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1고정 플레이트와, 제1고정 플레이트의 일면에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무빙 플레이트와, 제1무빙 플레이트의 측면에 결합되는 제1위치조절모듈과, 제1위치조절모듈에 결합되어, 제1위치조절모듈에 의해 위치가 조절되는 코킹부재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에 결합되며, 제1무빙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제1이동모듈을 포함하고, 제1무빙 플레이트의 이동에 의해, 코킹부재가 물체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ressing portion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include a first fixing plate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base plate, a first moving plate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fixing plate so as to be movable in the first direction, A first position adjusting module coupled to a side of the first moving plate, a caulking member coupled to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module and adjusted in position by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module, And a first moving module for moving the first moving plate, and by the movement of the first moving plate, the caulking member can press or release the obje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위치조절모듈은 제1무빙 플레이트의 측면에 결합되는 제1고정부와, 제1고정부의 일면에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이동부와, 제1이동부의 일면에 제3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코킹부재가 결합되는 제2이동부를 포함하고, 제1이동부 및 제2이동부의 이동에 의해 코킹부재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module may include a first fixing part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first moving plate, a first moving part movably formed in a second direction on one surface of the first fixing part, And a second moving part which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moving part so as to be movable in the third direction and to which the caulking member is coupled, and the position of the caulking member can be adjusted by the movement of the first moving part and the second moving par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위치조절모듈은, 제2이동부의 일면에 결합되는 코킹부재 홀더를 더 포함하고, 코킹부재는 코킹부재 홀더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osition adjustment module further includes a caulking member holder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moving portion, and the caulking member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aulking member hold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서브 플레이트와, 서브 플레이트의 일면에 결합되며, 서브 플레이트를 따라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플레이트와, 이동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물체를 물체안착부 측으로 가압하는 누름부재가 형성되는 누름부와, 서브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이동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제2이동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plate is installed vertically on one surface of the base plate, the moving plate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sub-plate and movable in the first direction along the sub-plate, And a second moving module coupled to the sub-plate and configured to move the moving plat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누름부는 이동 플레이트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2고정 플레이트와, 고정 플레이트의 일면에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무빙 플레이트와, 제2무빙 플레이트의 측면에 결합되는 제2위치조절모듈과, 제2위치조절모듈에 결합되어, 제2위치조절모듈에 의해 위치가 조절되는 누름부재와, 이동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제2무빙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제3이동모듈을 포함하고, 제2무빙 플레이트의 이동에 의해, 누름부재가 물체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portion includes a second fixing plate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moving plate, a second moving plate movably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fixing plate in a second direction, A pushing member coupled to the second position adjustment module and being positionally adjusted by the second position adjustment module; a third movement module coupled to the movement plate and configured to move the second movement plate; And by the movement of the second moving plate, the pressing member can press or release the obje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2위치조절모듈은 제2무빙 플레이트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와, 제2고정부의 일면에 제3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3이동부와, 제3이동부의 일면에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4이동부와, 제4이동부의 일면에 결합되는 누름부재를 포함하고, 제3이동부 및 제4이동부의 이동에 의해, 누름부재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module includes a second fixing part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moving plate, a third moving part movably formed in a third direction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part, A fourth moving part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third moving part so as to be movable in a first direction, and a pressing member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fourth moving part, and by the movement of the third moving part and the fourth moving part, The position of the member can be adjus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2위치조절모듈은 제4이동부의 일면에 결합되는 누름부재 홀더를 더 포함하고, 누름부재는 누름부재 홀더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osition adjustment module further includes a pushing member holder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fourth moving portion, and the pushing member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pushing member hold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1클램프와, 제1클램프에 결합되어 물체를 촬상하는 제1촬상모듈이 형성된 제1촬상부를 더 포함하고, 제1촬상부는 이동 플레이트에 의해 제1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lamp coupled to the moving plate, and a first imaging unit coupled to the first clamp and having a first imaging module for imaging an object, It is possible to move in the first dire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2클램프와, 제2클램프에 결합되어 물체를 촬상하는 제2촬상모듈이 형성된 제2촬상부를 더 포함하고, 제2클램프는 일면이 오목면으로 형성되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3고정부와, 일면이 오목면에 대응하는 볼록면으로 형성되며, 제2촬상모듈이 결합되는 제5이동부를 포함하고, 제5이동부는 제3고정부의 오목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2촬상모듈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pickup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image pickup section formed with a second clamp coupled to the base plate and a second image pickup module coupled to the second clamp to pick up an object, And a fifth moving part coupled to the second imaging module, the fifth moving part including a third fixing part coupled to the base plate, and a fifth moving part including a third fixing part formed on the convex surface, The angle of the second imaging module can be adjusted while moving along the concave surface of the second imaging modu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면에 결합되며, 물체안착부를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4이동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movement module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moving the object seat along the guide rai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포고핀을 빠르게 조립할 수 있으며, 코킹부재의 위치 및 모터의 구동을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포고핀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assemble a plurality of pogo pins, adjust the position of the caulking member and the driving of the motor to easily assemble pogo pins of various sizes, have.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deduc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물체 조립 장치를 전방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물체 조립 장치를 후방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물체 조립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물체 조립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물체 조립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물체 조립 장치의 제1가압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물체 조립 장치의 누름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물체 조립 장치를 이용한 포고핀의 조립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er-fine object assemb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the front sid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ltra-fine object assembling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the rear side.
3 is a plan view of an ultra-fine object assemb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ottom view of an ultra-fine object assemb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of an ultra-fine object assemb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first pressing unit of an ultrafine object assemb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a pushing portion of an ultra-fine object assemb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assembling a pogo pin using an ultra-fine object assemb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connected, connected, coupl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Is included.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no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물체 조립 장치(1)를 전방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물체 조립 장치(1)를 후방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er-micro-object assembl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the front side. FIG. 2 is a cross- It is a perspective view.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술할 안내레일(100)이 형성된 방향을 전방으로 반대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하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guide rail 100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is defined forward and the reverse direction is defi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초미세물체 조립 장치(1)를 다른 위치에서 바라본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초미세물체 조립 장치(1)는 베이스 플레이트(10), 물체안착부(20), 제1가압부(30) 및 제2가압부(40)를 포함한다.3 to 5, the ultrafine object assembling apparatus 1 includes a base plate 10, an object placing unit 20, a first pressing unit 20, (30) and a second pressing portion (40).

베이스 플레이트(10)는 초미세물체 조립 장치(1)의 바닥을 이루는 구성요소로서, 일면에는 물체안착부(20), 제1가압부(30) 및 제2가압부(40)가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는 판상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타면에는 지지대(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지지대(미도시)는 베이스 플레이트(10)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위치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0)를 지지할 수 있다.The base plate 10 is a component constituting the bottom of the ultrafine object assembling apparatus 1. The base plate 10 may have an object seating portion 20, a first pressing portion 30 and a second pressing portion 40 have. The base plate 1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a support (not shown) may be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The support (not shown) can support the base plate 10 so that the base plate 10 is positioned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물체안착부(20)는 피조립물인 물체(초미세물체)가 안착되며, 물체를 제1가압부(30)와 제2가압부(40)사이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복수의 물체가 안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안착홈(2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안착홈(200)에 안착된 물체는 베이스 플레이트(10)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안착될 수 있다.The object placing portion 20 is a component for placing an object (ultrafine object) as an object to be assembled and supporting the object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pressing portion 30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40,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200 may be formed. At this time, the object placed in the seating groove 200 can be se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ase plate 10. [

한편,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일면에는 물체안착부(20)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레일(100)이 형성될 수 있으며, 물체안착부(20)는 안내레일(100)에 결합되어 안내레일(10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물체안착부(20)는 안내레일(100)에 탈부착 가능하게 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물체에 알맞은 물체안착부(20)를 안내레일(100)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On one side of the base plate 10, a guide rail 100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object placing part 20 may be formed. The object placing part 20 is coupled to the guide rail 100, 100). At this time, the object placing part 20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guide rail 100,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object placing part 20 suitable for the object by connecting it to the guide rail 100.

안내레일(100)은 일영역이 후술할 한 쌍의 제1가압부(30) 및 제2가압부(40) 사이를 지나도록 형성되어, 물체안착부(20)에 안착된 복수의 물체를 차례차례 한 쌍의 제1가압부(30) 및 제2가압부(40) 사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안내레일(100)은 한 쌍의 제1가압부(30)와 한 쌍의 제2가압부(40)가 이루는 선의 교차점을 지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guide rails 100 are formed so that one region passes between a pair of first pressing portions 30 and second pressing portions 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a plurality of objects placed on the object placing portion 20 And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first pressing portions 30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s 40 in turn. That is, the guide rail 100 may be formed to cross an intersection of a line formed by the pair of first pressing portions 30 and the pair of second pressing portions 4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물체안착부(20)를 이동시키는 제4이동모듈(2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moving module 210 for moving the object placing part 20.

제4이동모듈(210)은 물체안착부(20)를 안내레일(100)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4이동모듈(210)은 제4회전력 발생부(211), 제4회전몸체(212) 및 제4너트(2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fourth moving module 210 is a component that moves the object placing portion 20 along the guide rail 100 and can be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0. [ The fourth moving module 210 may include a fourth rotational force generating unit 211, a fourth rotating body 212, and a fourth nut 213.

제4회전력 발생부(211)는 회전운동을 발생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모터로 형성될 수 있다. 제4회전력 발생부(211)는 회전축이 안내레일(100)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4회전몸체(212)는 제1회전력 발생부(211)의 회전축에 결합되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제1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4너트(213)는 물체안착부(20)와 결합되며, 제1나사산과 치합되는 제2나사산이 관통공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제4너트(213)는 제4회전몸체(212)의 회전에 따라, 제4회전몸체(212)를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4너트(213)에 결합된 물체안착부(20)가 이동될 수 있다.The fourth rotational force generating unit 211 is a component for generating rotational motion and may be formed of a motor. The fourth rotational force generating unit 211 may be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0 such that the rotational axis thereof is disposed parallel to the guide rail 100. The fourth rotating body 212 is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first rotating force generating unit 211 and is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and a first screw thread may b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fourth nut 213 is coupled to the object receiving portion 20, and a second thread, which engages with the first thread, can be formed along the through hole. That is, the fourth nut 213 can be moved along the fourth rotating body 212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fourth rotating body 212, so that the object mounting part (not shown) coupled to the fourth nut 213 20 can be moved.

제4이동모듈(210)은 물체안착부(20)에 안착된 하나의 물체와 인접한 다음 물체와의 거리만큼 물체안착부(20)가 이동되도록 한다. 즉, 하나의 물체에 제1가압부(30)와 제2가압부(40)를 이용해 함입부를 형성한 후, 물체안착부(20)를 이동시켜 인접한 다음 물체가 제1가압부(30)와 제2가압부(40)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 후, 제1가압부(30)와 제2가압부(40)를 이용해 물체에 함입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4이동모듈(210)의 구동은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The fourth moving module 210 moves the object placing unit 20 by a distance between one object placed on the object placing unit 20 and the next object adjacent thereto. That is, after forming an indentation by using the first pressing portion 30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40 on one object, the object placing portion 20 is moved so that the adjacent object next is pressed against the first pressing portion 30 The first pressing portion 30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40 can be used to form an embedded portion in the object. At this time, the driving of the fourth movement module 210 can be controlled automatically.

본 발명은 제4이동모듈(21)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면에 형성됨으로써, 제1가압부(30) 및 제2가압부(40)의 구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ourth moving module 21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plate, it does not affect the driving of the first pressing portion 30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40.

본 발명의 물체안착부(20)는 복수의 물체가 안착될 수 있으며, 제4이동모듈(21)에 의해 이동이 제어되기 때문에, 물체안착부(20)에 안착된 복수의 물체에 용이하게 함입부를 형성될 수 있다.Since the object placing portion 2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eive a plurality of objects and the movement thereof is controlled by the fourth moving module 21, Can be formed.

제1가압부(30)는 물체안착부(20)에 안착된 하나의 물체를 가압해 물체에 함입부를 형성하는 구성요소로서, 물체를 가압하는 코킹부재(300, 도 6 참조)가 형성된다. 제1가압부(30)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일면에 좌우 대칭되도록 한 쌍으로 배치된다. 즉, 물체는 한 쌍의 제1가압부(30)에 의해 서로 대칭되는 한 쌍의 함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pressing portion 30 is a component for pressing an object placed on the object placing portion 20 to form an indentation in the object, and a caulking member 300 (see Fig. 6) for pressing the object is formed. The first pressing portions 30 are arranged in a pair so as to be laterally symmetrical on one surface of the base plate 10. [ That is, the object may be formed with a pair of depressions symmetrical to each other by the pair of first pressing portions 30. [

제2가압부(40)는 물체안착부(20)에 안착된 하나의 물체를 가압해 물체에 함입부를 형성하는 구성요소로서, 물체를 가압하는 코킹부재가 형성된다. 제2가압부(40)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일면에 좌우 대칭되도록 한 쌍으로 배치되며, 한 쌍의 제1가압부(30)와는 교차되도록 배치된다. 다시 말해, 제1가압부(30) 및 제2가압부(40)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일면에 X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pressing portion 40 is a component for pressing an object placed on the object placing portion 20 to form an indentation in the object, and a caulking member for pressing the object is formed. The second pressing portions 40 are arranged in a pair so as to be symmetrical to the left and right on one surface of the base plate 10 and arranged to intersect with the pair of first pressing portions 30. [ In other words, the first pressing portion 30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40 may be arranged in an X-shape on one surface of the base plate 10. [

물체는 한 쌍의 제2가압부(40)에 의해 서로 대칭되는 한 쌍의 함입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가압부(30)에 의해 형성된 함입부와는 수직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object may be formed with a pair of depressions symmetrical to each other by the pair of second depressions 40 and may be formed at a position perpendicular to the depressions formed by the first depressions 30. [

한편, 본 발명에서 물체는 포고핀(A, Pogo pin)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포고핀(A)은 포고핀(A)의 외형을 이루며 내부공간을 갖는 배럴(a), 배럴(a)의 일단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상부 플런저(b), 배럴(a)의 타단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하부 플런저(c) 및 배럴(a)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상부 플런저(b)와 하부 플런저(c)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d)를 포함한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may be a pogo pin (A). 8, the pogo pin A includes a barrel a having an internal space and forming an outer shape of the pogo pin A, an upper plunger b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barrel a, And a resilient member d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barrel a and biasing the upper plunger b and the lower plunger c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

상부 플런저(b)가 삽입된 배럴(a)은 안착홈에 안착된 후, 안내레일(100)을 따라 제1가압부(30) 및 제2가압부(40) 사이로 이동될 수 있다. 이후, 배럴(a)은 제1가압부(30) 및 제2가압부(40)에 의해 4개의 함입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부 플런저(b)를 고정할 수 있다. 포고핀(A)에 합입부를 형성과정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barrel a with the upper plunger b inserted therein can be moved to the first pressurizing portion 30 and the second pressurizing portion 40 along the guide rail 100 after being placed in the seating groove. Thereafter, the barrel a can be formed with four indentations by the first pressing portion 30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40, thereby fixing the upper plunger b. The process of forming the fitting portion in the pogo pin (A)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제1가압부(3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irst pressing portion 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제1가압부(30)는 코킹부재(300), 제1고정 플레이트(310) 및 제1무빙 플레이트(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 플레이트(310) 및 제1무빙 플레이트(320)는 코킹부재(300)를 한 쌍의 제1가압부(30) 사이에 위치한 물체 측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The first pressing portion 30 may include a caulking member 300, a first fixing plate 310, and a first moving plate 320. The first fixing plate 310 and the first moving plate 320 are components that move the caulking member 300 toward the object located between the pair of first pressing portions 30. [

제1고정 플레이트(310)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fixing plate 310 may be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base plate 10.

제1무빙 플레이트(320)는 제1고정 플레이트(310)의 일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무빙 플레이트(320) 및 제1고정 플레이트(310)는 서로 맞닿는 면에 제1방향으로 돌출부(미도시) 또는 돌출부에 끼워지는 슬라이딩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제1무빙 플레이트(320)의 제1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한다. 이때, 제1방향은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일면과 평행하는 방향이다.The first moving plate 320 may be movably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fixing plate 310. The first moving plate 320 and the first fixing plate 310 are formed with sliding grooves (not shown) which are fitted in protrusions (not shown) or protrusions in the first direction on the surfaces contacting with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At this time, the first direction is a direction parallel to one surface of the base plate 10.

코킹부재(300)는 제1무빙 플레이트(320)에 결합되어, 제1무빙 플레이트(320)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즉, 제1무빙 플레이트(320)의 이동에 의해, 코킹부재(300)가 물체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 할 수 있다.The caulking member 300 is coupled to the first moving plate 320 and can be moved together as the first moving plate 320 moves. That is, by the movement of the first moving plate 320, the caulking member 300 can press or release the object.

제1가압부(30)는 제1이동모듈(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이동모듈(340)은 제1무빙 플레이트(320)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pressing portion 3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moving module 340. The first moving module 340 is a component for moving the first moving plate 320 in the first direction and may be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base plate 10.

제1이동모듈(340)은 제1회전력 발생부(341), 제1회전몸체(342) 및 제1너트(34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moving module 340 may include a first rotational force generating portion 341, a first rotating body 342, and a first nut 343.

제1회전력 발생부(341)는 회전운동을 발생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모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회전력 발생부(341)는 회전축이 제1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0)에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rotational force generating portion 341 is a component for generating rotational motion and may be formed of a motor. The first rotational force generating unit 341 may be coupled to the base plate 10 such that the rotational axis thereof is disposed in the first direction.

제1회전몸체(342)는 제1회전력 발생부(341)의 회전축에 결합되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제1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너트(343)는 제1무빙 플레이트(320)와 결합되며, 제1나사산과 치합되는 제2나사산이 관통공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rotating body 342 is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first rotating force generating unit 341 and is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and a first screw thread may b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first nut 343 is engaged with the first moving plate 320 and a second thread engaging with the first screw thread can be formed along the through hole.

즉, 제1너트(343)는 제1회전몸체(342)의 회전에 따라, 제1회전몸체(342)를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1너트(343)에 결합된 제1무빙 플레이트(320)가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회전력 발생부(341)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해 코킹부재(300)가 물체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 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nut 343 can be moved along the first rotating body 342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first rotating body 342, thereby moving the first moving plate 342 coupled to the first nut 343, (320) may be moved. In other words, the caulking member 300 can pressurize or release the object by the forward rotation or the reverse rotation of the first rotational force generating portion 341. [

또한, 제1가압부(30)는 제1위치조절모듈(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위치조절모듈(330)은 코킹부재(300)의 위치를 조절하는 구성요소로서, 제1무빙 플레이트(320)와 코킹부재(300)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pressing unit 3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position adjusting module 330.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module 330 is a component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aulking member 300 and may be coupled between the first moving plate 320 and the caulking member 300.

위치조절모듈(330)은 제1고정부(331), 제1이동부(332) 및 제2이동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osition adjustment module 330 may include a first fixing part 331, a first moving part 332, and a second moving part 333.

제1고정부(331)는 일면이 제1무빙 플레이트(32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first fixing part 331 may be coupled to the side of the first moving plate 320.

제1이동부(332)는 일면이 제1고정부(331)의 타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고정부(331) 및 제1이동부(332)는 서로 맞닿는 면에 제2방향으로 돌출부(3311) 또는 돌출부에 끼워지는 슬라이딩홈(3321)이 형성되어, 제1이동부의 제2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한다. 이때, 제2방향은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일면과 수직하며, 제1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이다.One side of the first moving part 332 can be movab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fixing part 331. The first fixing portion 331 and the first moving portion 332 are formed with the protruding portion 3311 in the second direction or the sliding groove 3321 fitted to the protruding portion on the surfaces abutting on each other, . At this time, the second direction is perpendicular to one surface of the base plate 10 and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제2이동부(333)는 일면이 제1이동부(332)의 타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이동부(332) 및 제2이동부(333)는 서로 맞닿는 면에 제3방향으로 돌출부(3322) 및 돌출부에 끼워지는 슬라이딩홈(3331)이 형성되어, 제2이동부(333)의 제3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한다. 이때, 제3방향은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일면과 수평하며, 제1방향과는 수직하는 방향이다. The second moving part 333 may be movably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moving part 332 on one side. The first moving part 332 and the second moving part 333 are formed with a protrusion 3322 in the third direction and a sliding groove 3331 fitted in the protrusion on the surfaces abutting on each other, And guides the movement in the third direction. At this time, the third direction is parallel to one surface of the base plate 10, and 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이때, 코킹부재(300)는 제2이동부(333)의 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코킹부재(300)는 제1이동부(332) 및 제2이동부(333)에 의해 제2방향 및 제3방향으로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aulking member 300 may be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moving unit 333. That is, the position of the caulking member 300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third direction can be adjusted by the first moving unit 332 and the second moving unit 333.

위치조절모듈(330)은 코킹부재 홀더(3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코킹부재 홀더(334)는 막대형상의 코킹부재(300)가 제2이동부(333)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구성요소로서, 제2이동부(333)의 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코킹부재 홀더(334)는 코킹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코킹부재는 코킹부재 홀더(334)로부터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코킹부재(300)를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 코킹부재 홀더(334)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The position adjustment module 330 may further include a caulking member holder 334. The caulking member holder 334 is a component that stably engages the bar-shaped caulking member 300 with the second moving portion 333 and can be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moving portion 333. The caulking member holder 334 may be formed with an inner space into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caulking member can be inserted. The caulking member is detachably coupled from the caulking member holder 334 so that i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caulking member holder 334 when the caulking member 300 is to be replac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위치조절모듈(330)은 제2이동부(333)를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동이동모듈(335) 및 제2이동부(333)를 제3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동이동모듈(3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동이동모듈(335, 336)은 통상의 수동 스테이지에서 스테이지의 이동 시 사용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osition adjustment module 330 includes a manual movement module 335 and a second movement part 333 for moving the second movement part 333 in the second direction, And a manual movement module 336 for moving the manual movement module 336 to the manual operation mode. The manual movement modules 335 and 336 are used when the stage is moved in a normal manual stag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2가압부(40)는 제1가압부(3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pressing portion 40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pressing portion 3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라, 초미세물체 조립 장치(1)는 서브 플레이트(50), 이동 플레이트(60) 및 누름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ltrafine-matter assembling apparatus 1 may further include a sub-plate 50, a moving plate 60, and a pressing portion 70.

서브 플레이트(50)는 이동 플레이트(60)가 안착되는 구성요소로서,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일면에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서브 플레이트(50)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일면에 위치한 제1가압부(30) 및 제2가압부(40)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일단에서 중심으로 함몰되는 홈(510)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서브 플레이트(50)는 n자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ub-plate 50 is a component on which the moving plate 60 is seated, and can be vertically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base plate 10. At this time, the sub-plate 50 is formed in a plate-like shape and has a groove (not shown) which is depressed in the center at one end so as not to affect the first pressing portion 30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40 locat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plate 10 510 may be formed. More specifically, the sub-plate 50 may be formed in an n-letter shape.

이동 플레이트(60)는 누름부(70)의 이동을 안내하는 구성요소로서, 서브 플레이트(50)의 일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moving plate 60 is a component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pressing portion 70 and is movably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sub-plate 50 and can be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누름부(70)는 물체안착부(20)에 안착된 하나의 물체를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수직인 방향으로 가압하는 구성요소로서, 물체를 가압하는 누름부재(700, 도 7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물체가 상술한 포고핀(A)인 경우, 누름부(70)는 상부 플런저(b)가 탄성부재(d) 측으로 이동되도록 상부 플런저(b)를 가압한다. 이로 인해, 상부 플런저(b)의 삽입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부 플런저(b)를 배럴(a)에 일정부분 삽입한 후, 함몰부를 형성할 수 있다. The pressing portion 70 is a component that presses one object placed on the object placing portion 2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ase plate 10 and is formed with a pressing member 700 . When the object is the above-described pogo pin A, the pressing portion 70 presses the upper plunger b such that the upper plunger b is moved toward the elastic member (d). Thus, the degree of insertion of the upper plunger (b) can be adjusted, and the upper plunger (b) can be inserted into the barrel (a) to form a depression.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제1가압부(3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irst pressing portion 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누름부(70)는 누름부재(700), 제2고정 플레이트(710) 및 제2무빙 플레이트(7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고정 플레이트(710) 및 제2무빙 플레이트(720)는 누름부재(700)를 물체안착부(20)에 위치한 물체 측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The pressing portion 70 may include a pressing member 700, a second fixing plate 710, and a second moving plate 720. The second fixing plate 710 and the second moving plate 720 are components that move the pressing member 700 toward the object side of the object placing unit 20.

제2고정 플레이트(710)는 이동 플레이트(60)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2무빙 플레이트(720)는 제1고정 플레이트(710)의 일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고정 플레이트(710) 및 제2무빙 플레이트(720)는 서로 맞닿는 면에 제2방향으로 돌출부(미도시) 또는 돌출부에 끼워지는 슬라이딩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제2무빙 플레이트(720)의 제2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한다. 즉, 제2무빙 플레이트(720)의 이동에 의해, 누름부재(700)가 물체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할 수 있다.The second fixing plate 710 may be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moving plate 60. The second moving plate 720 may be movably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fixing plate 710. The first fixing plate 710 and the second moving plate 720 are formed with sliding grooves (not shown) which are fitted to protrusions (not shown) or protrusions in the second direction on the surfaces contacting with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That is, by the movement of the second moving plate 720, the pressing member 700 can press or release the object.

누름부재(700)는 제2무빙 플레이트(720)에 결합되어, 제2무빙 플레이트(720)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될 수 있다.The pushing member 700 can be coupled to the second moving plate 720 and moved together with the movement of the second moving plate 720.

누름부(70)는 제2이동모듈(7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이동모듈(740)은 제2무빙 플레이트(720)를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이동 플레이트(60)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The pusher 7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movement module 740. The second moving module 740 is a component for moving the second moving plate 720 in the second direction and may be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moving plate 60.

제2이동모듈(740)은 제2회전력 발생부(741), 제2회전몸체(742) 및 제2너트(74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moving module 740 may include a second torque generating portion 741, a second rotating body 742, and a second nut 743.

제2회전력 발생부(741)는 회전운동을 발생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모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회전력 발생부(741)는 회전축이 제2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이동 플레이트(60)에 결합될 수 있다. The second rotational force generating portion 741 is a component for generating rotational motion and may be formed of a motor. The second rotational force generating portion 741 may be coupled to the moving plate 60 such that the rotational axis is disposed in the second direction.

제2회전몸체(742)는 제2회전력 발생부(741)의 회전축에 결합되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제1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너트(743)는 제2무빙 플레이트(720)와 결합되며, 제1나사산과 치합되는 제2나사산이 관통공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rotating body 742 is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second torque generating portion 741 and is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and a first screw thread may b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second nut 743 is engaged with the second moving plate 720, and a second screw thread engaging with the first screw thread can be formed along the through hole.

즉, 제2너트(743)는 제2회전몸체(742)의 회전에 따라, 제2회전몸체(742)를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2너트(743)가 결합된 제2무빙 플레이트(720)가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회전력 발생부(741)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해 누름부재(700)가 물체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nut 743 can be moved along the second rotating body 742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rotating body 742, whereby the second moving plate 743, to which the second nut 743 is coupled, Lt; RTI ID = 0.0 > 720 < / RTI > In other words, the pressing member 700 can press or release the object by the forward rotation or the reverse rotation of the second rotational force generating portion 741. [

또한, 누름부(70)는 제2위치조절모듈(7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위치조절모듈(730)은 누름부재(700)의 위치를 조절하는 구성요소로서, 제2무빙 플레이트(720)와 누름부재(700)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sing portion 7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osition adjustment module 730.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module 730 is a component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pressing member 700 and may be coupled between the second moving plate 720 and the pressing member 700.

제2위치조절모듈(730)은 제2고정부(731), 제3이동부(732) 및 제4이동부(733)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position adjustment module 730 may include a second fixing portion 731, a third moving portion 732, and a fourth moving portion 733.

제2고정부(731)는 일면이 제2무빙 플레이트(72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fixing portion 731 may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second moving plate 720.

제3이동부(732)는 일면이 제2고정부(731)의 타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고정부(731) 및 제3이동부(732)는 서로 맞닿는 면에 제3방향으로 돌출부(7311) 또는 돌출부에 끼워지는 슬라이딩홈(7321)이 형성되어, 제3이동부(732)의 제3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한다.One side of the third moving part 732 may be movab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fixing part 731. The second fixing portion 731 and the third moving portion 732 are provided with a protruding portion 7311 in the third direction or a sliding groove 7321 fitted to the protruding portion on the surfaces abutting on each other, And guides the movement in the third direction.

제4이동부(733)는 일면이 제3이동부(732)의 타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3이동부(732) 및 제4이동부(733)는 서로 맞닿는 면에 제1방향으로 돌출부(7322) 또는 돌출부에 끼워지는 슬라이딩홈(7331)이 형성되어, 제4이동부(733)의 제1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한다.One side of the fourth moving unit 733 may be movab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third moving unit 732. The third moving part 732 and the fourth moving part 733 are provided with the protruding part 7322 in the first direction or the sliding groove 7331 fitted to the protruding part on the surfaces abutting on each other, And guides the movement in the first direction.

이때, 누름부재(700)는 제4이동부(733)의 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누름부재(700)는 제3이동부(732) 및 제4이동부(733)에 의해 제1방향 및 제3방향으로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ressing member 700 may be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fourth moving unit 733. [ That is, the pressing member 700 can be adjusted in position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third direction by the third moving unit 732 and the fourth moving unit 733.

제2위치조절모듈(730)은 누름부재 홀더(7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누름부재 홀더(734)는 막대형상의 누름부재(700)가 제4이동부(733)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구성요소로서, 제4이동부(733)의 타면에 결합될 수 있다. 누름부재 홀더(734)는 누름부재(70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누름부재(700)는 누름부재 홀더(734)로부터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누름부재(700)를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 누름부재 홀더(734)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The second position adjustment module 730 may further include a pushing member holder 734. The pushing member holder 734 is a component for allowing the rod-shaped pressing member 700 to stably engage with the fourth moving part 733 and can be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fourth moving part 733. The pressing member holder 734 can be formed with an inner space into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pressing member 700 can be inserted. The pressing member 7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pressing member holder 734 so that the pressing member 70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pressing member holder 734 when the pressing member 700 is to be exchang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위치조절모듈(730)은 제3이동부(732)를 제3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동이동모듈(735) 및 제4이동부(733)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동이동모듈(7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동이동모듈(735, 736)은 통상의 수동 스테이지에서 스테이지의 이동 시 사용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osition adjustment module 730 includes a manual movement module 735 and a fourth movement part 733 for moving the third movement part 732 in the third direction, And a manual movement module 736 for moving the manual movement module 736 to the < RTI ID = 0.0 > The manual movement modules 735 and 736 are used when the stage is moved in a normal manual stag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이동 플레이트(60)의 이동에 대해서는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movement of the moving plate 6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서브 플레이트(50)는 제3이동모듈(500)이 결합될 수 있다. 제3이동모듈(500)은 서브 플레이트(50)의 일면에 결합된 이동 플레이트(60)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서브 플레이트(50)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The sub-plate 50 may be coupled to the third transfer module 500. The third moving module 500 is a component for moving the moving plate 60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sub-plate 50 in the first direction, and may be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sub-plate 50.

제3이동모듈(500)은 제3회전력 발생부(501), 제3회전몸체(502) 및 제3너트(503)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movement module 500 may include a third rotation force generating unit 501, a third rotating body 502, and a third nut 503. [

제3회전력 발생부(501)는 회전운동을 발생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모터로 형성될 수 있다. 제3회전력 발생부(501)는 회전축이 제1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서브 플레이트(50)에 결합될 수 있다. 제3회전몸체(502)는 제3회전력 발생부(501)의 회전축에 결합되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제1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The third rotational force generating unit 501 is a component for generating rotational motion and may be formed of a motor. The third rotational force generating unit 501 may be coupled to the sub-plate 50 such that the rotational axis thereof is disposed in the first direction. The third rotating body 502 is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third rotating force generating unit 501 and is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and a first screw thread may b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제3너트(503)는 이동 플레이트(60)에 결합되며, 제1나사산과 치합되는 제2나사산이 관통공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재3너트는 제3회전몸체(502)의 회전에 따라, 제3회전몸체(502)를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3너트(503)에 결합된 이동 플레이트(60)가 이동될 수 있다.The third nut 503 is coupled to the moving plate 60 and a second thread engaging with the first thread may be formed along the through hole. That is, the re-3 nut can be moved along the third rotating body 502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third rotating body 502, whereby the moving plate 60 coupled to the third nut 503 Can be moved.

초미세물체 조립 장치(1)는 제1촬상부(80) 및 제2촬상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촬상부(80) 및 제2촬상부(90)는 한 쌍의 제1가압부(30) 및 제2가압부(40) 사이에 위치한 물체를 상측에서 촬상하는 구성요소이다.The ultrafine object assembling apparatus 1 may further include a first imaging section 80 and a second imaging section 90. The first imaging unit 80 and the second imaging unit 90 are components for picking up an image of the object located between the pair of first pressing units 30 and the second pressing units 40 from above.

제1촬상부(80)는 제1촬상모듈(800) 및 제1촬상모듈(800)을 지지하는 제1지지대(8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대(810)는 이동 플레이트(6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촬상모듈(800)은 제1지지대(810)에 결합되어, 이동 플레이트(60)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될 수 있다.The first imaging unit 80 may include a first support module 810 for supporting the first imaging module 800 and the first imaging module 800. [ The first support 810 may be coupled to the moving plate 60. That is, the first imaging module 800 is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810 and can be moved together as the moving plate 60 moves.

제2촬상부(90)는 제2촬상모듈(900) 및 제2촬상모듈(900)을 지지하는 제2지지대(9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지지대(910)는 베이스 플레이트(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2촬상부(90)의 촬상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second imaging unit 90 may include a second supporting unit 910 for supporting the second imaging module 900 and the second imaging module 900. The second support base 910 can be coupled to the base plate 10, and the imaging angle of the second imaging unit 90 can be adjusted.

더욱 상세하게, 제2지지대(910)는 제3고정부(911) 및 제5이동부(9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고정부(911)는 일면이 오목면으로 형성되며, 베이스 플레이트(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5이동부(912)는 일면이 오목면에 대응하는 볼록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촬상모듈(900)이 결합될 수 있다. 즉, 제5이동부(912)가 제3고정부(911)의 일면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제2촬상모듈(900)의 촬상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econd support 910 may include a third fixing part 911 and a fifth moving part 912. The third fixing part 911 may be formed as a concave surface and may be coupled to the base plate 10. The fifth moving part 912 may be formed as a convex surface having on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surface, The second imaging module 900 can be coupled. That is, as the fifth moving unit 912 moves along one side of the third fixing unit 911, the imaging angle of the second imaging module 900 can be adjusted.

또한, 제2지지대(910)는 수동 스테이지(93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수동 스테이지(930)를 이용해 촬상위치를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upport 910 can be coupled to the passive stage 930, and the user can adjust the imaging position using the passive stage 930.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미세물체 조립 장치(1)를 이용한 포고핀의 조립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 pogo pin assembly process using the ultra-fine object assembl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의 (a)는 사용자에 의해 물체안착부에 안착된 포고핀(A)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포고핀(A)의 상부 플런저(b)는 탄성부재(d)에 의해 지지된다.8 (a) is a view showing the pogo pin A that is seated on the object seat by the user. The upper plunger (b) of the pogo pin (A) is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d).

도 8의 (b)는 누름부재(700)를 이용해 포고핀(A)의 상부 플런저(b)를 탄성부재(d)측으로 가압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누름부재(700)에 의해 탄성부재에는 탄성력과 반대되는 힘이 상부 플런저(b)에 가해지면서, 상부 플런저(b)는 배럴(a)안으로 좀더 깊이 삽입될 수 있다. 누름부재(700)의 위치에 따라, 상부 플런저(b)의 삽입정도는 조절될 수 있다.8B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pressing the upper plunger b of the pogo pin A toward the side of the elastic member d using the pressing member 700. Fig. The upper plunger b can be inserted more deeply into the barrel a while a force opposite to the elastic force is applied to the upper plunger b by the pressing member 700. [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pressing member 700, the degree of insertion of the upper plunger (b) can be adjusted.

도 8의 (c)는 누름부재(700)에 의해 상부 플런저(b)가 배럴 안에 깊이 삽입된 상태에서, 한 쌍의 코킹부재(300)를 물체 측으로 이동시켜, 배럴(a)을 상부 플런저(b) 측으로 가압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코킹부재(300)에 의해 배럴(a)은 내부공간을 향하도록 함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함입부로 인해, 상부 플런저(b)는 배럴(a)과의 상대운동이 억제될 수 있다. 즉, 상부 플런저(b)는 배럴(a)에 고정될 수 있다.8C shows a state in which the pair of caulking members 300 are moved toward the object side while the upper plunger b is deeply inserted into the barrel by the pushing member 700 to move the barrel a to the upper plunger b). Fig. The caulking member 300 allows the barrel (a) to be formed with an impregnating portion facing the inner space. Due to the engagement, the upper plunger (b) can be inhibited from relative movement with the barrel (a). That is, the upper plunger b can be fixed to the barrel a.

도 8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2가압부(40)의 코킹부재도 제1가압부(30)의 코킹부재(300)와 함께 배럴(a)을 가압할 수 있다. 제1가압부(30) 및 제2가압부(40)의 코킹부재는 동시에 배럴(a)을 가압하거나, 순차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8, the caulking member of the second pressurizing portion 40 can press the barrel a together with the caulking member 300 of the first pressurizing portion 30. The caulking members of the first pressurizing portion 30 and the second pressurizing portion 40 can pressurize the barrel a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한편, 함입부를 형성한 이후, 모든 코킹부재를 물체와 멀어지는 측으로 이동 시키고, 물체안착부(20)를 이동시켜, 다음 물체를 두 가압부(30, 40) 사이에 위치시킨 후, 상기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플런저(c)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배럴(a)에 고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indentation is formed, all the caulking members are moved to the side away from the object, and the object placing unit 20 is moved to place the next object between the two pressing units 30 and 40, can do. Also, the lower plunger (c) can be fixed to the barrel (a)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이로 인해, 사용자는 복수의 포고핀을 빠르게 조립할 수 있다. This allows the user to quickly assemble a plurality of pogo pins.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초미세물체 조립 장치
10 : 베이스 플레이트
20 : 물체안착부
30 : 제1가압부
40 : 제2가압부
1: Ultrafine object assembling device
10: Base plate
20:
30: first pressing portion
40: second pressing portion

Claims (1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수직방향으로 피조립물인 물체가 안착되는 복수의 안착홈이 형성된 물체안착부와,
좌우 대칭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에 결합되고, 상기 물체를 가압하여 상기 물체에 함입부를 형성하는 코킹부재가 형성된 한 쌍의 제1가압부와,
좌우 대칭되며 상기 제1가압부와 교차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에 결합되고, 상기 물체를 가압하여 상기 물체에 함입부를 형성하는 코킹부재가 형성된 한 쌍의 제2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일면에 상기 물체안착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레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물체 조립 장치.
A base plate,
An object receiving unit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having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for receiving an object to be assemb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ase plate;
A pair of first pressing portions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base plate so as to be symmetrical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provided with caulking members for pressing the object to form an indentation in the object,
And a pair of second pressing portions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base plate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first pressing portion and having a caulking member for pressing the object to form an indentation in the object,
Wherein the base plate is formed with a guide rail for guiding movement of the object placing part on one side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부 및 상기 제2가압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1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제1고정 플레이트의 일면에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무빙 플레이트와,
상기 제1무빙 플레이트의 측면에 결합되는 제1위치조절모듈과,
상기 제1위치조절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제1위치조절모듈에 의해 위치가 조절되는 코킹부재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무빙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제1이동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무빙 플레이트의 이동에 의해, 상기 코킹부재가 상기 물체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물체 조립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pressing portion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comprise:
A first fixing plate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base plate,
A first moving plate movably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stationary plate in a first direction,
A first position adjustment module coupled to a side of the first moving plate,
A caulking member coupled to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module and being adjusted in position by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module,
And a first moving module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base plate for moving the first moving plate,
And the coking member presses or releases the object by the movement of the first moving pla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조절모듈은,
상기 제1무빙 플레이트의 측면에 결합되는 제1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의 일면에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이동부와,
상기 제1이동부의 일면에 제3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코킹부재가 결합되는 제2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동부 및 상기 제2이동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코킹부재의 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물체 조립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position adjustment module includes:
A first fixing unit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first moving plate,
A first moving part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fixing part so as to be movable in a second direction,
And a second moving part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moving part so as to be movable in a third direction and coupled with the caulking member,
Wherein the position of the caulking member is adjusted by the movement of the first moving unit and the second moving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조절모듈은,
상기 제2이동부의 일면에 결합되는 코킹부재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킹부재는 상기 코킹부재 홀더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물체 조립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position adjustment module includes:
And a caulking member holder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moving part,
And the caulking membe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aulking member hol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서브 플레이트와,
상기 서브 플레이트의 일면에 결합되며, 상기 서브 플레이트를 따라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플레이트와,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물체를 상기 물체안착부 측으로 가압하는 누름부재가 형성되는 누름부와,
상기 서브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제2이동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물체 조립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ub plate vertically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plate,
A moving plate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subplate and movable in a first direction along the subplate,
A pressing portion which is coupled to the moving plate and on which a pressing member for pressing the object to the object receiving portion side is forme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moving module coupled to the sub-plate and moving the moving plat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2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제2고정 플레이트의 일면에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무빙 플레이트와,
상기 제2무빙 플레이트의 측면에 결합되는 제2위치조절모듈과,
상기 제2위치조절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제2위치조절모듈에 의해 위치가 조절되는 누름부재와,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제2무빙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제3이동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무빙 플레이트의 이동에 의해, 상기 누름부재가 상기 물체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물체 조립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ressing portion
A second fixing plate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moving plate,
A second moving plate movably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plate in a second direction,
A second position adjustment module coupled to a side of the second moving plate,
A pressing member coupled to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module and being adjusted in position by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module,
And a third transfer module coupled to the transfer plate for transferring the second transfer plate,
And the pushing member presses or releases the object by the movement of the second moving pla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위치조절모듈은,
상기 제2무빙 플레이트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의 일면에 제3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3이동부와,
상기 제3이동부의 일면에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4이동부와,
상기 제4이동부의 일면에 결합되는 누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3이동부 및 제4이동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누름부재의 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물체 조립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econd position adjustment module includes:
A second fixing part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moving plate,
A third moving part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part so as to be movable in a third direction,
A fourth moving part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third moving part so as to be movable in a first direction,
And a pressing member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fourth moving unit,
And the position of the pressing member is adjusted by the movement of the third moving unit and the fourth moving uni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위치조절모듈은,
상기 제4이동부의 일면에 결합되는 누름부재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누름부재는 상기 누름부재 홀더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물체 조립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econd position adjustment module includes:
And a pushing member holder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fourth moving part,
Wherein the pushing membe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pushing member hold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1클램프와, 상기 제1클램프에 결합되어 상기 물체를 촬상하는 제1촬상모듈이 형성된 제1촬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촬상부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 의해 제1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물체 조립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first clamp coupled to the moving plate; and a first imaging unit coupled to the first clamp and having a first imaging module for imaging the object,
Wherein the first imaging unit is movable in the first direction by the moving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2클램프와, 상기 제2클램프에 결합되어 상기 물체를 촬상하는 제2촬상모듈이 형성된 제2촬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클램프는,
일면이 오목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3고정부와,
일면이 상기 오목면에 대응하는 볼록면으로 형성되며, 제2촬상모듈이 결합되는 제5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5이동부는 상기 제3고정부의 오목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2촬상모듈의 각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물체 조립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cond clamp coupled to the base plate; and a second imaging unit coupled to the second clamp and having a second imaging module for imaging the object,
And the second clamp,
A third fixing part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cave surface and coupled to the base plate,
And a fifth moving part formed with a convex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surface on one side and coupled with the second imaging module,
And the fifth moving unit moves along the concave surface of the third fixing unit to adjust the angle of the second imaging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면에 결합되며, 상기 물체안착부를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4이동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물체 조립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ourth moving module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moving the object seating part along the guide rail.
KR1020170095630A 2017-07-27 2017-07-27 Apparatus for assembling object KR1018955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630A KR101895570B1 (en) 2017-07-27 2017-07-27 Apparatus for assembling obje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630A KR101895570B1 (en) 2017-07-27 2017-07-27 Apparatus for assembling objec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5570B1 true KR101895570B1 (en) 2018-10-04

Family

ID=63863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630A KR101895570B1 (en) 2017-07-27 2017-07-27 Apparatus for assembling objec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557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7575A (en) 2004-07-01 2006-01-19 Seiko Epson Corp Device transfer apparatus and device inspection apparatus
KR101345328B1 (en) 2013-08-08 2013-12-30 한동희 Panel bonding apparatus
KR101504961B1 (en) 2014-08-20 2015-03-24 프라임텍 주식회사 Test socket for vcm module
KR101672936B1 (en) 2015-11-30 2016-11-16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Apparatus for inspecting camera modu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7575A (en) 2004-07-01 2006-01-19 Seiko Epson Corp Device transfer apparatus and device inspection apparatus
KR101345328B1 (en) 2013-08-08 2013-12-30 한동희 Panel bonding apparatus
KR101504961B1 (en) 2014-08-20 2015-03-24 프라임텍 주식회사 Test socket for vcm module
KR101672936B1 (en) 2015-11-30 2016-11-16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Apparatus for inspecting camera modu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3375B1 (en) Module test socket
KR102168530B1 (en) Coupling device for a manipulator
WO2011096067A1 (en) Contact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US6853209B1 (en) Contactor assembly for testing electrical circuits
JP6602811B2 (en) Crimping tool changer and method for exchanging a first crimping tool placed at a processing position in a crimping press with another second crimping tool
US6336669B1 (en) Parallel aligning quick disconnect articulated chuck apparatus and method
KR101855249B1 (en) Test socket for an electronic component having a horizontal side connection function
KR20130047204A (en) Pushing apparatus for test handler and test handler
US20050050723A1 (en) Device to press the shaft of a rotor into a stator housing
CN106597706A (en) Automatic lighting jig for liquid crystal screen
WO2011013231A1 (en) Probe card holding apparatus and prober
KR101895570B1 (en) Apparatus for assembling object
TW201702620A (en) Pusher assembly and match plate for test handler saves manufacturing cost and increases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KR102483954B1 (en) Clamping apparatus
CN212683686U (en) Positioning carrier
KR100901830B1 (en) Flexible pcb test socket
KR101689505B1 (en) Stage apparatus
CN112157386A (en) Battery positioning clamp
CN110082232B (en) Add and hold device and microscope
TWM511948U (en) Press mechanism
CN210347364U (en) Multi-connecting-rod loading device and microscope
CN210293959U (en) Multi-connecting-rod loading device and microscope
KR102103339B1 (en) Pushing unit of one-step detachable type
CN210293958U (en) Clamping device and microscope
CN211028640U (en) Welding positioning assembly of switch device and weld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