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4583B1 - 자전거형 전신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자전거형 전신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4583B1
KR101894583B1 KR1020180008713A KR20180008713A KR101894583B1 KR 101894583 B1 KR101894583 B1 KR 101894583B1 KR 1020180008713 A KR1020180008713 A KR 1020180008713A KR 20180008713 A KR20180008713 A KR 20180008713A KR 101894583 B1 KR101894583 B1 KR 101894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gear
coupled
rotation shaft
crow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모
Original Assignee
강정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정모 filed Critical 강정모
Priority to KR1020180008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45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4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08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형 전신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수평방향으로 길이가 긴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의 전, 후방 하부에 설치되는 전, 후방거치대(20, 30)와, 상기 지지대(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지지대(10)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한 등받이(50)와, 상기 지지대(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다리운동부(100)로 이루어지는 자전거형 전신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는 전방거치대(20)에 결합된 채 상, 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후방거치대(30)는 지지대(10)와 힌지결합되어, 상기 지지대(10)는 전, 후방거치대(20, 30)에 결합된 상태로 상, 하로 회동하여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하체운동이 꼭 필요한 사용자가 다른 운동기구보다 하체운동을 쉽게 운동할 수 있으며, 하체운동뿐 아니라 복근운동, 손잡이를 당기는 것으로 상체운동까지 가능하고, 지지대에 결합된 등받이가 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항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다리 길에 맞춰 등받이 위치가 조정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전거형 전신운동기구{Bicycle type exercise apparatus for whole body}
본 발명은 자전거형 전신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체운동이 꼭 필요한 사용자가 다른 운동기구보다 하체운동을 쉽게 운동할 수 있으며, 하체운동뿐 아니라 복근운동, 손잡이를 당기는 것으로 상체운동까지 가능한 자전거형 전신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55174호의 자전거 운동기구에 의하면, 자전거 운동기구는 자전거의 동작원리를 차용하여 형성되어 자전거를 탈 때 발생하는 운동효과와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종래의 자전거는 자전거를 움직이기 위해 본체에 연결되는 회전 가능한 두 개의 바퀴와 사용자의 다리를 이용하여 두 개의 바퀴에 동력을 전달하는 페달 및 자전거의 방향을 결정짓는 핸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자전거는 운동의 효과도 있지만 비교적 근거리를 이동하기 위한 이동 수단으로 사용된다.
반면, 종래의 자전거 운동기구는 이러한 자전거의 동작 원리를 차용하되, 두 개의 바퀴가 바닥에 고정되어 있어 주로 실내에서 페달을 돌리는 행위에 의하여 다리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제공된다.
종래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55174호의 자전거 운동기구에 의하면,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의 제1 단 및 상기 제1 단의 반대편에 위치한 제2 단에 각각 연결된 제1 바퀴부 및 제2바퀴부; 상기 제2 바퀴부의 양측 중심에 각각 배치되고 둘레가 제1 요철로 형성된 한 쌍의 회전부; 상기 제1 요철에 대응하는 제2 요철이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회전부와 접촉하며, 상기 한 쌍의 회전부가 회전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한 쌍의 동력 전달부; 상기 한 쌍의 동력 전달부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다리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서 상하로 움직이는 한 쌍의 발판부; 상기 한 쌍의 발판부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소정 지점을 기준으로 힌지(hinge) 결합된 연결부; 및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바퀴부의 방향을 조정하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자전거 운동기구가 공개되어 있다.
다른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256492호의 자전거를 활용한 운동기구에 의하면, 통상의 주행용 자전거(100)의 전방에 장착된 앞바퀴(110)를 지면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정립되게 삽입홈(21)을 갖춘 한쌍의 지지편(20)이 수직으로 설치된 지지부재(10)와, 상기 지지부재(10)와 대응되게 설치되어 자전거(100)의 뒷바퀴(120)의 하중을 지탱하면서 공회전되게 한 쌍의 회전롤(50)이 장착된 고정박스(40)와, 상기 지지부재(10)와 고정박스(40)의 사이에 그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면서 자전거(100)의 종류별로 길이조정이 가능하게 연결설치되는 연결부재(80)를 포함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를 활용한 운동기구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운동기구들은 하체운동을 하면서 복근, 상체운동이 어렵고, 사용자의 신체 길이에 따라 계속 안장 위치를 조절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하체운동이 꼭 필요한 사용자가 다른 운동기구보다 하체운동을 쉽게 운동할 수 있으며, 하체운동뿐 아니라 복근운동, 손잡이를 당기는 것으로 상체운동까지 가능하고, 지지대에 결합된 등받이가 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항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다리 길에 맞춰 등받이 위치가 조정되는 자전거형 전신운동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자전거형 전신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수평방향으로 길이가 긴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의 전, 후방 하부에 설치되는 전, 후방거치대(20, 30)와, 상기 지지대(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지지대(10)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한 등받이(50)와, 상기 지지대(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다리운동부(100)로 이루어지는 자전거형 전신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는 전방거치대(20)에 결합된 채 상, 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후방거치대(30)는 지지대(10)와 힌지결합되어, 상기 지지대(10)는 전, 후방거치대(20, 30)에 결합된 상태로 상, 하로 회동하여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체운동이 꼭 필요한 사용자가 다른 운동기구보다 하체운동을 쉽게 운동할 수 있으며, 하체운동뿐 아니라 복근운동, 손잡이를 당기는 것으로 상체운동까지 가능하고, 지지대에 결합된 등받이가 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항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다리 길에 맞춰 등받이 위치가 조정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전거형 전신운동기구의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의 자전거형 전신운동기구의 동력전달부 상세 개요도
도 3은 본 발명의 자전거형 전신운동기구의 지지축 개요도
도 4는 본 발명의 자전거형 전신운동기구의 작동손잡이 개요도
도 5는 본 발명 본 발명 자전거형 전신운동기구의 지지대에 등받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등받이에 어깨받침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자전거형 전신운동기구의 후방거치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자전거형 전신운동기구의 이탈방지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자전거형 전신운동기구의 브레이크 개요도
본 발명은 자전거형 전신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수평방향으로 길이가 긴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의 전, 후방 하부에 설치되는 전, 후방거치대(20, 30)와, 상기 지지대(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지지대(10)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한 등받이(50)와, 상기 지지대(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다리운동부(100)로 이루어지는 자전거형 전신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는 전방거치대(20)에 결합된 채 상, 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후방거치대(30)는 지지대(10)와 힌지결합되어, 상기 지지대(10)는 전, 후방거치대(20, 30)에 결합된 상태로 상, 하로 회동하여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방거치대(20)는 지지기둥(21)과, 상기 지지기둥(21)의 측면에 형성되며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긴 레일(22)로 이루어지되, 상기 레일(22)에는 복수 개의 기어이빨(23)이 돌출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리운동부(100)는 측면에 제1베벨기어(111)가 형성된 바퀴(110)와, 상기 바퀴(110)의 양단에 결합되어 바퀴(110)를 회전시키는 페달(120)로 이루어지되,
상기 다리운동부(100)는 지지대(10)와 동력전달부(200)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전거형 전신운동기구의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의 자전거형 전신운동기구의 동력전달부 상세 개요도, 도 3은 본 발명의 자전거형 전신운동기구의 지지축 개요도, 도 4는 본 발명의 자전거형 전신운동기구의 작동손잡이 개요도, 도 5는 본 발명 본 발명 자전거형 전신운동기구의 지지대에 등받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등받이에 어깨받침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자전거형 전신운동기구의 후방거치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자전거형 전신운동기구의 이탈방지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자전거형 전신운동기구의 브레이크 개요도이다.
본 발명은 자전거형 전신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수평방향으로 길이가 긴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의 전, 후방 하부에 설치되는 전, 후방거치대(20, 30)와, 상기 지지대(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지지대(10)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한 등받이(50)와, 상기 지지대(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다리운동부(1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대(10)는 사각막대 형상으로서, 상기 지지대(10)의 전, 후방에는 전, 후방거치대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대(10)는 전방거치대(20)에 결합된 채 상, 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후방거치대(30)는 지지대(10)와 힌지결합되어, 상기 지지대(10)는 전, 후방거치대(20, 30)에 결합된 상태로 상, 하로 회동하여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전방거치대(20)는 지지기둥(21)과, 상기 지지기둥(21)의 측면에 형성되며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긴 레일(22)로 이루어지되, 상기 레일(22)에는 복수 개의 기어이빨(23)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리운동부(100)는 측면에 제1베벨기어(111)가 형성된 바퀴(110)와, 상기 바퀴(110)의 양단에 결합되어 바퀴(110)를 회전시키는 페달(120)로 이루어지되, 상기 다리운동부(100)는 지지대(10)와 동력전달부(200)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동력전달부(200)는 바퀴(110)에 형성된 제1베벨기어(111)를 통해 전방거치대(20)에 동력을 전달 또는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퀴(110)에 형성된 제1베벨기어(111)를 통해 전방거치대(20)에 동력을 전달하여 지지대를 상, 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200)는 한 쌍의 지지축(210)와, 상기 한 쌍의 지지축(210) 사이에 결합되는 수직회전축(220)과, 상기 지지대(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직회전축(220)의 하부에 연결되는 수평회전축(230)과, 상기 수평회전축(230의 전방에 설치되는 유니버셜조인트(240)와, 상기 유니버설조인트(240)의 선단에 결합되는 피니언기어(2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회전축(220)은 상부수직회전축(221)과 하부수직회전축(222)으로 구분되고, 상기 상, 하부회전축은 한 쌍의 지지축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상부수직회전축(221)의 상부에는 제2베벨기어(221-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제1크라운기어(22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수직회전축(222)는 상부에는 하부수직회전축(222)의 상부에 결합된 채 상, 하로 이동이 가능한 제2크라운기어(222-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제3베벨기어(22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지지축중 어느 하나에는 세로방향으로 길이가 긴 장방형구멍(211)이 형성되고, 상기 장방형구멍으로는 제2크라운기어(222-1)와 연결된 작동손잡이(2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장방형구멍의 내면에는 중심부측에 돌기가 돌출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힘을 주어 움직이지 않는 이상 올라가거나 또는 내려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손잡이는 제2크라운기어(222-1)와 연결되어 있되, 상기 작동손잡이는 링형상의 몸체(212-1)와, 몸체의 외주연에 돌출형성된 손잡이부(212-2)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베어링이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에는 제2크라운기어(222-1)가 설치된다. 이에, 상기 제2크라운기어(222-1)는 작동손잡이에 결합된 채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크라운기어(222-1)는 하부수직회전축(222)과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크라운기어(222-1)가 상부로 이동하여 상부수직회전축(221)의 하부에 형성된 제1크라운기어(221-2)와 결합되면, 상기 상, 하부회전축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제2크라운기어(222-1)가 하부로 이동하여 상부수직회전축(221)의 하부에 형성된 제1크라운기어(221-2)에서 분리되면, 상기 상, 하부회전축은 동시에 회전하지 않게 된다.
상기 수평회전축(230)은 후방에는 제4베벨기어(231)이 형성되고, 전방에는 유니버셜조인트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유니버셜조인트의 전방에는 피니언기어(250)가 설치되되, 상기 피니언기어와 유니버셜조인트 사이에는 링크가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기어는 유니버셜조인트에 결합된 채 상, 하로 이동된다.
상기 피니언기어는 전방지지대의 레일에 형성된 기어이빨과 기어물림된다.
그리고 상기 유니버셜조인트에 결합된 피니언기어는 유니버셜조인트에 결합된 채 수평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상기 수평회전축이 회전하게되면, 상기 피니언기어가 회전하여 전방지지대에 형성된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 하로 이동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피니언기어가 레일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지지대는 전방의 높이가 후방의 높이보다 높도록 경사지게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피니언기어가 레일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지지대는 전방의 높이가 후방의 높이보다 낮도록 경사지게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피니언기어에는 레일에 결합된 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탈방지부(300)가 결합된다.
상기 이탈방지부는 피니언기어의 중심에 결합되는 중심축(310)과, 상기 중심축을 지지하는 브래킷(320)과, 상기 브래킷에 형성된 롤러(3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심축은 브래킷에 결합된 채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브래킷은 중심축이 결합되는 판(321)과 판의 측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보조축(322)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조축에는 롤러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는 전방지지대의 후면에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홈에 삽입된다.
이에, 상기 이탈방지부의 롤러는 전방지지대에 삽입되고, 피니언기어는 레일에 기어물림 되어 있으므로, 피니언기어와 레일은 기어물림된 채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에, 사용자가 등받이에 등을 대고 누운 후, 다리운동부의 페달을 밟아 다리운동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는 추락방지수단(90)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추락방지수단은 널리 알려진 관용의 에어실린더를 사용한다. 지지대가 하부로 회동할 시 갑자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전방지지대의 하면에는 지면에 접촉되는 지지판(24)이 형성되어 더욱 안정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후방거치대(30)는 두 개의 다리와, 상기 다리 사이에 힌지축이 형성되되, 상기 후방거치대의 힌지축과 지지대(10)는 힌지결합되어, 상기 지지대는 전, 후방거치대에 결합된 상태로 상, 하로 회동하여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등받이(50)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는 하면 좌, 우측에 수직프레임(51)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끝단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평프레임(5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프레임(52)의 각 끝단에는 복수 개의 롤러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의 좌, 우측면에는 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홈(12)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지지대의 안내홈에는 등받이의 수평프레임 끝단에 결합된 롤러가 삽입되고, 상기 등받이는 지지대에 결합된 상태로 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에는 어깨받침대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지지대의 전단을 상부로 이동시켜 지지대가 후방이 낮아지게 될 경우 어깨받침대에 사용자의 어깨가 지지됨으로써, 사용자는 안전하게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받이는 지지대에 고정된 상태가 아닌 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인 것으로, 상기 지지대의 좌, 우측면에는 손잡이(70)가 형성되어 있어, 고정되지 않은 등받이에 등을 대고 누은 상태에서 다리운동을 할 시 등받이가 최대한 움직이지 않도록 손잡이를 잡고 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리운동부에는 사용자가 페달을 저을 시 무게감을 다르게 하기 위해 브레이크가 설치된다.
상기 브레이크는 자석을 이용한 것으로 교체할 필요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대(10)의 상부에는 바퀴(110)를 감싸는 커버(400)가 형성되되, 상기 커버(400)는 링 형상의 원형커버(410)와, 상기 원형커버(410)와 지지대(10)를 연결하는 받침커버(4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와 지지대는 내부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원형커버(410)에는 중심에 바퀴(110)가 설치되어 회전하되, 상기 바퀴(110)는 내주연에는 금속링(113)이 설치되어, 상기 바퀴(110)가 회전하면 금속링도 바퀴와 함께 회전한다.
그리고 금속링(113)의 내주연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원호 형상의 고정자석(411)이 복수 개가 방사형으로 설치되되, 상기 고정자석(411)은 커버 내부에 결합되어 있어, 상기 바퀴가 회전하면 함께 회전하지 않는다.
이에, 상기 고정자석은 사용자가 바퀴에 설치된 폐달을 밟아 바퀴를 회전시킬시 일정강도의 부하를 주어 바퀴가 회전하는 것을 막게 된다.
이에, 상기 고정자석과 금속링의 자력에 의해 사용자는 자력보다 센 힘으로 폐달을 밟아야지 바퀴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폐달을 밟다가 멈추면, 상기 바퀴는 고정자석과 금속링의 자력에 의해 서서히 회전하다가 멈추게 된다.
또한, 상기 원형커버 내부에는 금속링의 외주연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이동자석(412)이 복수 개가 방사형으로 설치되되, 상기 이동자석(412)은 원형커버에 내부에 결합된 채 원형커버의 반지름방향으로 이동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이동자석은 외주연에 원호형상인 판스프링(230)이 결합되되, 상기 판스프링은 “
Figure 112018008312074-pat00001
”형상으로 형성되며 압축되면 복수 개의 이동자석은 금속링의 외주연에 가까워지도록 이동되고, 판스프링이 복원되면 복수 개의 이동자석은 금속링의 외주연에서 멀어지도록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의 일단은 원형커버 내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되, 상기 판스프링의 타단에는 판스프링이 연장되어 형성 또는 별도의 와이어가 결합되어, 받침커버의 내부를 통과한 후 지지대 내부로 연결되어 지지대 내부에 설치된 이동손잡이(14)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 내부에는 별도의 거치홀(13)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홀에는 이동손잡이가 관통되어 설치된다.
이에, 상기 이동손잡이를 잡고 거치홀에서 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되, 사용자가 이동손잡이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판스프링이 압축되고, 상기 판스프링이 압축됨에 따라 이동자석이 바퀴의 금속링에 가까워지게 된다. 그러므로 바퀴는 금속링과 이동자석의 자석결합에 의해 회전되지 않도록 브레이크작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이동손잡이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판스프링이 복원되고, 상기 판스프링이 복원됨에 따라 이동자석이 바퀴의 금속링에서 멀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바퀴는 금속링과 이동자석의 자석결합이 해제되어 사용자가 폐달을 밟아 다시 운동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거치홀은 상부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등간격으로 복수 개의 고정홀(13-1)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에, 상기 거치홀에 설치된 이동손잡이를 잡고 거치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되, 멈추고자 하는 위치에서 이동손잡이를 고정홀에 삽입하여 판스프링이 압축되는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10)의 후방에는 후방손잡이(80)가 형성된다.
이에, 사용자는 지지대의 전단을 하부로 경사지게 이동시킨 후, 후방손잡이를 잡고 매달려 하체운동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체운동이 꼭 필요한 사용자가 다른 운동기구보다 하체운동을 쉽게 운동할 수 있으며, 하체운동뿐 아니라 복근운동, 손잡이를 당기는 것으로 상체운동까지 가능하고, 지지대에 결합된 등받이가 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항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다리 길에 맞춰 등받이 위치가 조정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 : 지지대
12 : 안내홈 13 : 거치홀
13-1 : 고정홀
14 : 이동손잡이
20 : 전방거치대 21 : 지지기둥
22 :레일 23 : 기어이빨
24 : 지지판
30 : 후방거치대 31 : 구멍
50 : 등받이 51 : 수직프레임
52 : 수평프레임 54 : 어깨받침대
70 : 손잡이
80 : 후방손잡이
90 : 추락방지수단
100 : 다리운동부 110 : 바퀴
111 : 제1베벨기어 113 : 금속링
120 : 페달
200 : 동력전달부 210 : 지지축
211 : 장방형구멍 211-1 : 돌기
212 : 작동손잡이
212-1 : 몸체 212-2 : 손잡이부
212-3 : 베어링
220 : 수직회전축 221 : 상부수직회전축
221-1 : 제2베벨기어 221-2 : 제1크라운기어
222 : 하부수직회전축 222-1 : 제2크라운기어
222-2 : 제3베벨기어
230 : 수평회전축 231 : 제4베벨기어
240 : 유니버셜조인트
250 : 피니언기어
300 : 이탈방지부 310 : 중심축
320 : 브래킷 321 : 판
322 : 보조축
330 : 롤러
400 : 커버
410 : 원형커버 420 : 받침커버
411 : 고정자석 412 : 이동자석
430 : 판스프링

Claims (3)

  1. 수평방향으로 길이가 긴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의 전, 후방 하부에 설치되는 전, 후방거치대(20, 30)와, 상기 지지대(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지지대(10)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한 등받이(50)와, 상기 지지대(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다리운동부(100)로 이루어지는 자전거형 전신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는 전방거치대(20)에 결합된 채 상, 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후방거치대(30)는 지지대(10)와 힌지결합되어, 상기 지지대(10)는 전, 후방거치대(20, 30)에 결합된 상태로 상, 하로 회동하여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전방거치대(20)는 지지기둥(21)과, 상기 지지기둥(21)의 측면에 형성되며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긴 레일(22)로 이루어지되, 상기 레일(22)에는 복수 개의 기어이빨(23)이 돌출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다리운동부(100)는 측면에 제1베벨기어(111)가 형성된 바퀴(110)와, 상기 바퀴(110)의 양단에 결합되어 바퀴(110)를 회전시키는 페달(120)로 이루어지되, 상기 다리운동부(100)는 지지대(10)와 동력전달부(200)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동력전달부(200)는 바퀴(110)에 형성된 제1베벨기어(111)를 통해 전방거치대(20)에 동력을 전달 또는 차단할 수 있으며, 상기 바퀴(110)에 형성된 제1베벨기어(111)를 통해 전방거치대(20)에 동력을 전달하여 지지대를 상, 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며,
    상기 동력전달부(200)는 한 쌍의 지지축(210)와, 상기 한 쌍의 지지축(210) 사이에 결합되는 수직회전축(220)과, 상기 지지대(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직회전축(220)의 하부에 연결되는 수평회전축(230)과, 상기 수평회전축(230의 전방에 설치되는 유니버셜조인트(240)와, 상기 유니버셜조인트(240)의 선단에 결합되는 피니언기어(250)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수직회전축(220)은 상부수직회전축(221)과 하부수직회전축(222)으로 구분되고, 상기 상, 하부수직회전축(221, 222)은 한 쌍의 지지축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상부수직회전축(221)의 상부에는 제2베벨기어(221-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제1크라운기어(221-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하부수직회전축(222)는 상부에는 하부수직회전축(222)의 상부에 결합된 채 상, 하로 이동이 가능한 제2크라운기어(222-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제3베벨기어(222-2)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지지축 중 어느 하나에는 세로방향으로 길이가 긴 장방형구멍(211)이 형성되고, 상기 장방형구멍으로는 제2크라운기어(222-1)와 연결된 작동손잡이(212)가 형성되며, 상기 장방형구멍(211)의 내면에는 중심부측에 돌기(211-1)가 돌출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힘을 주어 움직이지 않는 이상 올라가거나 또는 내려가지 않게 되는 것이며,
    상기 작동손잡이(212는 제2크라운기어(222-1)와 연결되어 있되, 상기 작동손잡이(212)는 링형상의 몸체(212-1)와, 몸체(212-1)의 외주연에 돌출형성된 손잡이부(212-2)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212-1)의 내부에는 베어링이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에는 제2크라운기어(222-1)가 설치되며, 상기 제2크라운기어(222-1)는 작동손잡이(212)에 결합된 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제2크라운기어(222-1)는 하부수직회전축(222)과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크라운기어(222-1)가 상부로 이동하여 상부수직회전축(221)의 하부에 형성된 제1크라운기어(221-2)와 결합되면, 상기 상, 하부회전축은 동시에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2크라운기어(222-1)가 하부로 이동하여 상부수직회전축(221)의 하부에 형성된 제1크라운기어(221-2)에서 분리되면, 상기 상, 하부회전축은 동시에 회전하지 않게 되는 것이며,
    상기 수평회전축(230)은 후방에는 제4베벨기어(231)이 형성되고, 전방에는 유니버셜조인트(240)가 설치되며, 상기 유니버셜조인트(240)의 전방에는 피니언기어(250)가 설치되되, 상기 피니언기어(250)와 유니버셜조인트(240) 사이에는 링크가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기어(250)는 유니버셜조인트(240)에 결합된 채 상, 하로 이동되는 것이며,
    상기 유니버셜조인트(240)에 결합된 피니언기어(250)는 유니버셜조인트(240)에 결합된 채 수평회전축(230)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수평회전축(230)이 회전하게되면, 상기 피니언기어(250)가 회전하여 전방지지대에 형성된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 하로 이동되는 것으로, 상기 피니언기어(250)가 레일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지지대는 전방의 높이가 후방의 높이보다 높도록 경사지게 위치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피니언기어(250)가 레일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지지대는 전방의 높이가 후방의 높이보다 낮도록 경사지게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형 전신운동기구

  2. 삭제
  3. 삭제
KR1020180008713A 2018-01-24 2018-01-24 자전거형 전신운동기구 KR101894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713A KR101894583B1 (ko) 2018-01-24 2018-01-24 자전거형 전신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713A KR101894583B1 (ko) 2018-01-24 2018-01-24 자전거형 전신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4583B1 true KR101894583B1 (ko) 2018-10-04

Family

ID=63863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713A KR101894583B1 (ko) 2018-01-24 2018-01-24 자전거형 전신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45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864Y1 (ko) 2020-11-25 2022-09-06 박순주 허리 및 다리 마사지 운동이 가능한 일체형 운동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6492B1 (ko) 1998-04-20 2000-05-15 변인옥 자전거를 활용한 운동기구
KR100996592B1 (ko) * 2010-06-08 2010-11-25 베르아델 승마클럽(주) 승마운동 시뮬레이터
KR101783154B1 (ko) * 2016-11-30 2017-09-28 강정모 자전거형 전신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6492B1 (ko) 1998-04-20 2000-05-15 변인옥 자전거를 활용한 운동기구
KR100996592B1 (ko) * 2010-06-08 2010-11-25 베르아델 승마클럽(주) 승마운동 시뮬레이터
KR101783154B1 (ko) * 2016-11-30 2017-09-28 강정모 자전거형 전신운동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864Y1 (ko) 2020-11-25 2022-09-06 박순주 허리 및 다리 마사지 운동이 가능한 일체형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2317A (en) Stationary exercise device
US20180221701A1 (en) Functional trainer exercise machine
US10478660B2 (en) Recumbent therapeutic and exercise device
US6719665B1 (en) Step simulator having pace adjustment device
US7976433B2 (en) Biomechanical diagnostic machine for bicycle fitting, rehabilitation and training
EP1607121B1 (en) Exercise device
JP2016538039A (ja) 軽量ポータブル自転車ローラ
JPH04506158A (ja) 実習およびトレーニング用の装置
US20130029809A1 (en) Abs-Cycle
ITMI20130776A1 (it) Macchina multifunzionale per l'allenamento cardio
KR20120009488A (ko) 슬라이딩 복부 운동 기구
US9993684B2 (en) Exercise apparatus with travel path constraining unit
KR101894583B1 (ko) 자전거형 전신운동기구
KR101783154B1 (ko) 자전거형 전신운동기구
JP2021126520A (ja) 横方向に移動可能な室内用自転車スタンド
CN108905079A (zh) 基于恒转矩控制的电机配重式上肢健身器械
KR20140138006A (ko) 하지 운동 로봇
TWI621463B (zh) 手足複合式運動機
US9295875B2 (en) Recumbent stepper
US7229386B2 (en) Oval-tracked exercise apparatus
CN203458749U (zh) 一种划船器
KR101715292B1 (ko) 승마운동기구
RU2095107C1 (ru) Малогабаритный тренажер
WO2019187406A1 (ja) 歩行支援装置
KR200266853Y1 (ko) 조합형 스케이트보드 스쿠터/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