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4467B1 - 방수용 전선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방수용 전선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4467B1
KR101894467B1 KR1020180020619A KR20180020619A KR101894467B1 KR 101894467 B1 KR101894467 B1 KR 101894467B1 KR 1020180020619 A KR1020180020619 A KR 1020180020619A KR 20180020619 A KR20180020619 A KR 20180020619A KR 101894467 B1 KR101894467 B1 KR 101894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contact
waterproof
pai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0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규찬
Original Assignee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0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44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13Sealing means for cable inlets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간편한 조립구조를 통해 생산성 및 경제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내부에 형성된 중공의 양단부 내주에 각각 걸림단턱이 형성되며 한 쌍의 고정부재가 각각 관통되도록 외면 양측에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 한 쌍의 고정관통홀 사이에 외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접속구동장공이 형성된 전기적 절연 재질의 케이스부; 상기 중공에 삽입 배치되며, 내부에 제1전선삽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제1고정체결홀이 외면에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걸림단턱과 대향 배치되며 타단부에 회전결합부가 구비되는 제1연결접속부; 상기 접속구동장공에 외면 일측이 노출되되 상기 회전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개폐부; 상기 회전개폐부와 대향되도록 상기 중공에 삽입 배치되되 상호 밀착되어 상기 제1연결접속부와의 전기적 연결 상태가 선택적으로 해제되며, 내부에 제2전선삽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 중 다른 하나가 결합되는 제2고정체결홀이 외면에 형성된 제2연결접속부; 각 상기 걸림단턱에 걸림 결합되는 가압밀폐부와, 상기 가압밀폐부로부터 연장되되 내부에 전선이 끼움 삽입되는 방수삽입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방수캡부; 및 상기 케이스부의 외주를 감싸서 방수 밀폐하도록 구비되는 방수커버를 포함하는 방수용 전선연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방수용 전선연결장치{waterproof apparatus for connecting electric wire}
본 발명은 방수용 전선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편한 조립구조를 통해 생산성 및 경제성이 개선된 방수용 전선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과 같이 전원이 필요한 도로변 시설물에는 지하에 매설된 전력 간선을 통해 전원이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전력 간선과 상기 시설물에 배선된 지선이 결선되거나 각 시설물 사이에 배치되는 각각의 전력 간선이 결선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종래에는 상호 간의 결선이 필요한 한 쌍의 전선 끝단부 피복을 각각 소정의 간격으로 제거하여 동선을 노출시킨 후, 각 노출된 동선끼리 서로 꼬아 연결된 연결 부위에 외부와 절연되도록 절연테이프로 감는 결선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결선방법은 작업자가 각 전선을 일일이 꼬아서 연결한 후 절연테이프를 감는 등 작업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절연테이프가 접착력 약화로 인해 떨어져 이로 인한 감전 내지 합선 등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호 간의 결선이 필요한 한 쌍의 전선을 연결하는 전선 커넥터가 개발되었다.
상세히, 종래의 전선 커넥터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소켓부와, 각 상기 소켓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때, 각 상기 전선이 상기 소켓부의 내측에 배치되면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종래의 전선 커넥터는 양극 전류가 흐르는 양극전선 및 음극 전류가 흐르는 음극전선에 각각 사용되어 상기 시설물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종래의 전선 커넥터는 상기 연결부재가 각 상기 소켓부의 단부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도록 상기 소켓부 및 상기 연결부재가 금형 내부에 삽입된 후 사출 성형되는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제조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전선 커넥터가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제조됨에 따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인서트물을 금형에 삽입해야 하므로 이에 따른 공정 소요시간 및 생산비용 증가로 경제성 및 생산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연결부재의 변형 내지 파손이 발생하더라도 인서트 사출된 케이스의 내부에 노출이 방지되도록 배치되므로 부분적인 교체가 불가능하여 전선 커넥터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점검 내지 테스트 등의 목적으로 전기를 차단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전선 커넥터에 물림 고정된 각 전선을 분리한 후 다시 물림 고정시키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 효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작업자가 물림 고정된 각 전선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주변의 물기와 같은 도전성 이물질에 의해 양극전선 및 음극전선의 합선이 유발되어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4312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간편한 조립구조를 통해 생산성 및 경제성이 개선된 방수용 전선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형성된 중공의 양단부 내주에 각각 걸림단턱이 형성되며 한 쌍의 고정부재가 각각 관통되도록 외면 양측에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 한 쌍의 고정관통홀 사이에 외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접속구동장공이 형성된 전기적 절연 재질의 케이스부; 상기 중공에 삽입 배치되며, 내부에 제1전선삽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제1고정체결홀이 외면에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걸림단턱과 대향 배치되며 타단부에 회전결합부가 구비되는 제1연결접속부; 상기 접속구동장공에 외면 일측이 노출되되 상기 회전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개폐부; 상기 회전개폐부와 대향되도록 상기 중공에 삽입 배치되되 상호 밀착되어 상기 제1연결접속부와의 전기적 연결 상태가 선택적으로 해제되며, 내부에 제2전선삽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 중 다른 하나가 결합되는 제2고정체결홀이 외면에 형성된 제2연결접속부; 각 상기 걸림단턱에 걸림 결합되는 가압밀폐부와, 상기 가압밀폐부로부터 연장되되 내부에 전선이 끼움 삽입되는 방수삽입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방수캡부; 및 상기 케이스부의 외주를 감싸서 방수 밀폐하도록 구비되는 방수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개폐부에는 상기 제2연결접속부와 대향되는 단부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각도 간격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접촉돌기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연결접속부에는 상기 접촉돌기부에 대응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각도 간격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접촉연결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 전선연결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회전개폐부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접속구동장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회전구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접속부의 일단부 중앙측에 배치되는 절연몸체부의 외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확장 형성된 절연접촉부를 포함하는 절연판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접촉돌기부의 외주각도 이상의 원호길이로 형성되되, 상기 회전구동홈이 상기 접속구동장공의 원주방향 일측 테두리에 접하도록 상기 회전개폐부가 일방향 회전되면 상기 접촉돌기부 및 상기 접촉연결부가 면접촉되며, 상기 회전구동홈이 상기 접속구동장공의 원주방향 타측 테두리에 접하도록 상기 회전개폐부가 타방향 회전되면 상기 접촉돌기부 및 상기 절연접촉부가 면접촉되어 상기 접속구동장공은 상기 회전개폐부의 회전각도가 제한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그리고,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에는 상기 제1연결접속부의 일단부 및 상기 제2연결접속부의 타단부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탄발 지지하는 한 쌍의 탄성부재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케이스부는 양측이 개구되되 일측에 상기 걸림단턱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케이스캡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수용 전선연결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금형 사출된 상기 케이스부의 개구측을 통해 각 구성부품이 순차적으로 삽입된 후 각 고정부재가 체결되고 방수커버가 결합되는 간편한 조립구조를 통해 종래의 인서트 사출 방식보다 공정 소요시간 및 생산비용이 감소되므로 생산성 및 경제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케이스부에 형성된 접속구동장공에 노출되는 회전개폐부의 회전 조작만으로도 간편하게 각 연결접속부의 전류 흐름이 개폐되므로 전기적 연결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별도의 분해 과정 없이 전원 차단 및 연결이 손쉽게 이루어져 점검 내지 테스트 등을 위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상기 회전개폐부는 접촉돌기부가 제2연결접속부에 돌출된 각 접촉연결부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접촉부와 면접촉되면서도 상기 제2연결접속부와 대향되는 단부가 상기 접촉연결부와 이격됨에 따라 각 연결접속부 간의 접촉이 원천적으로 차단되어 전류 흐름이 정확하게 폐쇄되므로 안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넷째, 상기 제1연결접속부 및 상기 제2연결접속부가 각 탄성부재에 의해 탄발 지지된 상태가 지속적으로 견고하게 유지됨에 따라 상기 회전개폐부의 회전시 접촉 불량으로 인한 오작동이 미연에 방지되므로 제품의 구동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수용 전선연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수용 전선연결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수용 전선연결장치에서 회전개폐부의 구동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수용 전선연결장치에서 케이스부 및 방수커버를 제외한 각 구성부품을 나타낸 예시도.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수용 전선연결장치의 작동과정을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수용 전선연결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수용 전선연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수용 전선연결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수용 전선연결장치에서 회전개폐부의 구동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수용 전선연결장치에서 케이스부 및 방수커버를 제외한 각 구성부품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수용 전선연결장치의 작동과정을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수용 전선연결장치(200)는 케이스부(120), 제1연결접속부(110a), 회전개폐부(180), 제2연결접속부(110b), 방수캡부(130) 그리고 방수커버(14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방수용 전선연결장치(200)는 상호 간의 결선이 필요한 한 쌍의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컨대, 일측 전선(1a)은 전원이 공급되는 전력 간선으로 구비되고, 타측 전선(1b)은 가로등과 같은 시설물에 배선된 지선으로 구비되어 상호 간의 결선을 통해 상기 시설물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이때, 각 상기 전선(1a,1b)은 끝단부의 절연 피복이 제거되어 동선이 노출된 상태로 상기 방수커버(140)에 끼움 삽입된다. 그리고, 각 상기 전선(1a,1b)의 끝단부가 상기 케이스부(120)의 양단부를 통해 상기 제1연결접속부(110a) 및 상기 제2연결접속부(110b)에 각각 삽입 및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접속부(110a) 및 상기 제2연결접속부(110b)가 상기 회전개폐부(18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면 각 상기 전선(1a,1b)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접속부(110a) 및 상기 제2연결접속부(110b)가 상기 회전개폐부(180)에 의해 전기적 연결이 해제된 상태면 각 상기 전선(1a,1b)의 전기적 연결 상태가 해제되어 전원이 차단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부(120)는 구성부품이 수용되도록 양단부가 개구된 중공(121)이 내부에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공(121)의 양단부에는 각각 걸림단턱(124)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단턱(124)은 상기 중공(121)의 내주를 따라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단차지게 돌출된다.
그리고, 각 상기 걸림단턱(124)의 단차진 테두리 내주에는 후술되는 방수삽입부(133)의 외면이 방수 밀폐되도록 삽입된다. 또한, 상기 중공(121)과 대향되는 각 상기 걸림단턱(124)의 내면에는 후술되는 가압밀폐부(132)가 방수 밀폐되도록 가압 밀착된다. 이를 통해, 각 구성부품이 각 상기 걸림단턱(124)에 의해 걸림되므로 상기 케이스부(120)의 양단부 개구측을 통해 임의로 분리됨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부(120)의 외면에는 한 쌍의 고정부재(160)가 각각 관통되도록 양측에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 한 쌍의 고정관통홀(122)이 형성된다.
여기서, 각 상기 고정관통홀(122)의 직경은 상기 고정부재(160)의 직경을 초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160)가 상기 고정관통홀(122)을 관통하도록 삽입되면 상호 간의 접촉이 방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고정관통홀(122)의 내주 및 상기 고정부재(160)의 외주가 접촉되어 상기 고정관통홀(122)의 내주가 마모되거나 접촉으로 인한 간섭이 미연에 방지되므로 상기 고정부재(160)가 안정적으로 나사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각 상기 고정관통홀(122) 사이에는 접속구동장공(126)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접속구동장공(126)은 상기 케이스부(120)의 외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중공(121)과 연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속구동장공(126)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부(120)의 측방향 중앙부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후술되는 회전구동홈(183)이 상기 접속구동장공(126)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별도의 삽입툴(T)을 상기 회전구동홈(183)에 삽입한 후 외력을 작용함으로써 상기 회전개폐부(180)가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부(120)는 본체부(120a)와 케이스캡(120b)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즉, 상기 케이스부(120)는 상기 본체부(120a) 및 상기 케이스캡(120b)으로 분할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상호 간의 결합시 상기 중공(121)이 내부에 형성된 원통 형상을 갖는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본체부(120a)는 양측이 개구되어 형성되되 일단부에 상기 한 쌍의 걸림단턱(124) 중 어느 하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캡(120b)은 양측이 개구되어 형성되되 타단부에 한 쌍의 걸림단턱(124) 중 다른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캡(120b)의 일단부가 상기 본체부(120a)의 타단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본체부(120a)의 타단부 외주에는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캡(120b)의 대향되는 일단부 내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호 간에 나사 체결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부(120a) 및 상기 케이스캡(120b)이 상호 결합되면 내부에 상기 중공(1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양단부에 상기 걸림단턱(12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본체부(120a)의 내부에 각 구성부품이 순차적으로 삽입된 후 상기 케이스캡(120b)이 결합되는 간편한 구조로 상기 케이스부(120)의 내부에 상기 구성부품이 안정적으로 수용될 뿐만 아니라 구성부품의 교체가 용이하여 제조편의성 및 유지보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본체부(120a)의 타단부 및 상기 케이스캡(120b)의 일단부에 각각 하나 이상의 체결돌기 및 체결홀이 형성되어 후크 결합될 수도 있으며 상기 본체부(120a) 및 상기 케이스캡(120b)이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부(120)는 내부의 전기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전기적 절연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120)는 각 상기 구성부품이 일정한 위치에 설치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소정의 강성을 갖는 재질로 사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케이스부(120)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및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케이스부(20a)의 외형에 대응되는 캐비티(cavity)가 형성된 금형에 용융된 합성수지 재질을 사출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연결접속부(110a)는 상기 중공(121)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되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이 개구된 제1전선삽입공간(111a)이 내부에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연결접속부(110a)는 상기 본체부(120a)의 타단부 개구측을 통해 상기 중공(121)에 삽입 배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걸림단턱(124)과 대향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접속부(110a)에는 상기 제1전선삽입공간(111a)의 내측으로 상기 일측 전선(1a)의 끝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접속부(110a)가 상기 중공(121)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케이스부(120)는 상기 제1연결접속부(110a)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접속부(110a)의 외면에는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160) 중 어느 하나가 나사 체결되는 제1고정체결홀(112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고정체결홀(112a)의 내주에는 상기 고정부재(160)의 외주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대응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상호간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60)가 상기 제1고정체결홀(112a)에 나사 체결되어 조임되면 상기 고정부재(160)의 하단부(162)가 상기 제1고정체결홀(112a)을 관통하여 상기 제1전선삽입공간(111a)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체결홀(112a)은 상기 한 쌍의 고정관통홀(122) 중 어느 일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고정체결홀(112a)의 중심축 및 제1연결접속부(110a)의 타단부 사이 수직거리는 일측 고정관통홀(122)의 중심축 및 상기 접속구동장공(126)의 측방향 일측 테두리 사이 수직거리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접속구동장공(126)의 측방향 일측 테두리와 상기 제1연결접속부(110a)의 타단부가 상호 간에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제1연결접속부(110a)가 상기 중공(121)에 삽입되면 상기 일측 고정관통홀(122) 및 상기 제1고정체결홀(112a)이 상호 대응되는 중심축을 갖도록 정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연결접속부(110a)는 상기 일측 전선(1a)을 통해 흐르는 전류가 통전되도록 높은 전도성을 갖는 동, 황동 내지 구리 등의 금속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전선삽입공간(111a)에 삽입된 상기 일측 전선(1a)의 끝단부가 상기 고정부재(160)에 의해 상기 제1전선삽입공간(111a)의 내면에 접촉되면 전류가 통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접속부(110a)의 타단부에는 회전결합부(116a)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회전결합부(116a)는 상기 회전개폐부(18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원형의 단면 프로파일을 갖되 상기 제1연결접속부(110a)의 직경 미만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결합부(116a)는 상기 제1연결접속부(110a)의 타단부측 중앙부로부터 타측을 향해 일체로 연장될 수 있으며 끝단부가 후술되는 절연판부(190)에 밀착되도록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개폐부(180)는 상기 접속구동장공(126)에 외면 일측이 노출되되 상기 회전결합부(116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회전개폐부(180)는 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연결접속부(110a) 및 상기 제2연결접속부(110b)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통전되도록 높은 전도성을 갖는 동, 황동 내지 구리 등의 금속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회전개폐부(180)의 중앙부에는 상기 회전결합부(116a)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회전연결부(181)가 측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연결부(181)는 상기 회전결합부(116a)의 외주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내주 프로파일을 갖도록 구비되어 원형의 단면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연결부(181)에는 상기 회전결합부(116a)가 형합되어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회전개폐부(180)는 상기 회전결합부(116a)를 중심축으로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연결부(181) 및 상기 회전결합부(116a)가 상호 형합됨에 따라 편심이 방지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회전연결부(181)가 상기 회전개폐부(180)의 일단부로부터 일측을 향해 돌출된 돌기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회전결합부(116a)가 상기 제1연결접속부(110a)의 타단부로부터 일측을 향해 형성된 홈 내지 홀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호 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회전개폐부(180)가 상기 제1연결접속부(110a)에 회전 가능하게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개폐부(180)의 일단부는 평탄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연결접속부(110a)의 타단부 및 상기 회전개폐부(180)의 일단부가 상호 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개폐부(180)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회전구동홈(18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구동홈(183)은 상기 접속구동장공(126)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접속구동장공(126)은 상기 회전개폐부(180)의 두께에 대응되는 측방향 개구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구동장공(126)의 측방향 일측 테두리와 일측 고정관통홀(122)의 중심축 사이 수직거리가 상기 제1고정체결홀(112a)의 중심축 및 제1연결접속부(110a)의 타단부 사이 수직거리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구동장공(126)의 측방향 타측 테두리와 타측 고정관통홀(122)의 중심축 사이 수직거리가 상기 제2고정체결홀(112b)의 중심축 및 제2연결접속부(110b)의 일단부 사이 수직거리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개폐부(180)에는 상기 제2연결접속부(110b)와 대향되는 단부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각도 간격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접촉돌기부(187a)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접촉돌기부(187a)는 상기 회전개폐부(180)의 상기 제2연결접속부(110b)와 대향되는 단부, 즉 타단부(182)로부터 타측을 향해 일체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돌기부(187a)의 단부는 상기 제2연결접속부(110b)에 전체적으로 밀착되도록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촉돌기부(187a)의 내주는 상기 회전연결부(181)의 내주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외주는 상기 회전개폐부(180)의 외주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촉돌기부(187a)는 실질적으로 원호형 단면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확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돌기부(187a)의 내주는 상기 회전연결부(181)의 개구측 테두리와 연결되며 외주는 상기 회전개폐부(180)의 타단부(182)측 외주 테두리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결합부(116a)의 측방향 길이는 상기 회전개폐부(180)의 일단부 및 상기 접촉돌기부(187a)부의 단부 사이 간격에 대응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회전결합부(116a)가 회전연결부(181)를 관통하도록 삽입되면 관통된 단부측 외면이 상기 접촉돌기부(187a)의 내주에 형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결합부(116a)의 단부와 상기 접촉돌기부(187a)의 단부가 단차없이 평탄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2연결접속부(110b)에 동시에 접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연결접속부(110b)는 상기 중공(121)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되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이 개구된 제2전선삽입공간(111b)이 내부에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연결접속부(110b)는 상기 본체부(120a)의 타단부 개구측을 통해 상기 중공(121)에 삽입 배치되며 상기 제2전선삽입공간(111b)의 내측으로 상기 타측 전선(1b)의 끝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연결접속부(110b)의 외면에는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160) 중 다른 하나가 나사 체결되는 제2고정체결홀(112b)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고정체결홀(112b)은 상기 제1고정체결홀(112a)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케이스부(12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측방향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체결홀(112b)은 상기 한 쌍의 고정관통홀(122) 중 타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고정체결홀(112b)의 중심축 및 제2연결접속부(110b)의 일단부 사이 수직거리는 타측 고정관통홀(122)의 중심축 및 상기 접속구동장공(126)의 측방향 타측 테두리 사이 수직거리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접속구동장공(126)의 측방향 타측 테두리와 상기 제2연결접속부(110b)의 일단부가 상호 간에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제2연결접속부(110b)가 상기 중공(121)에 삽입되면 상기 타측 고정관통홀(122) 및 상기 제2고정체결홀(112b)이 상호 대응되는 중심축을 갖도록 정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연결접속부(110b)는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연결접속부(110a)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접촉돌기부(187a)가 상기 제2연결접속부(110b)의 일단부에 접촉되면 상호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연결접속부(110b)의 상기 회전개폐부(180)와 대향되는 단부, 즉 일단부에는 상기 접촉돌기부(187a)에 대응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각도 간격으로 복수개의 접촉연결부(117b)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접촉연결부(117b)는 상기 접촉돌기부(187a)에 대응되는 단면 프로파일을 갖는 원호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연결부(117b)는 상기 접촉돌기부(187a)의 수량에 대응되도록 복수개로 구비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각도 간격으로 이격되어 각 상기 접촉돌기부(187a)와 대향 배치된다.
이를 통해, 상기 케이스부(120)의 내부에 각 구성부품이 장착되면 상기 접촉돌기부(187a) 및 상기 접촉연결부(117b)가 선택적으로 상호 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연결접속부(110a) 및 상기 제2연결접속부(110b)가 상기 회전개폐부(18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연결접속부(110b)의 일단부에는 상기 접촉연결부(117b)의 외측에 단차지게 함몰 형성된 절연장착홈(119b)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절연장착홈(119b)은 상기 접촉연결부(117b)의 단부로부터 타측을 향해 단차지게 함몰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연장착홈(119b)은 후술되는 절연판부(190)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내면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절연장착홈(119b)의 함몰 깊이는 상기 절연판부(190)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접속부(110b)에는 상기 절연장착홈(119b)을 커버하도록 형합 삽입되는 절연판부(190)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절연판부(190)는 전기적 절연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절연몸체부(191) 및 절연접촉부(19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절연몸체부(191)는 상기 제2연결접속부(110b)의 일단부 중앙측에 배치되되 각 상기 접촉연결부(117b)의 내주측 라운드진 테두리에 대응되는 곡률반경을 갖는 원형 단면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절연몸체부(191)는 각 상기 접촉연결부(117b)의 내주측에 형합 삽입될 수 있으며 외곽 테두리가 각 상기 접촉연결부(117b)의 내주측 라운드진 테두리에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연몸체부(191)는 실질적으로 상기 회전결합부(116a)의 단부와 대향 배치될 수 있으며 각 구성부품의 조립시 상호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접촉부(192)는 상기 절연몸체부(191)의 외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확장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연접촉부(192)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접촉돌기부(187a)의 외주각도 간격으로 이격된다. 이때, 상기 절연판부(190)에는 실질적으로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각 절연접촉부(192) 사이에 상기 접촉연결부(117b)가 각각 형합 삽입되는 복수개의 접촉형합홈(19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 상기 절연접촉부(192)는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각 상기 접촉연결부(117b)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즉, 상기 절연판부(190)가 상기 절연삽입홈에 형합 삽입되면 각 상기 절연접촉부(192) 및 각 상기 접촉연결부(117b)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연접촉부(192)의 외주길이는 상기 접촉돌기부(187a)의 외주길이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접촉돌기부(187a)의 대향면 전체가 상기 절연접촉부(192)에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접촉부(192)는 실질적으로 상기 접촉연결부(117b)의 단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도록 상기 절연몸체부(191)로부터 확장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상기 절연접촉부(192)의 양측 테두리가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각 상기 접촉연결부(117b)의 대향되는 테두리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각 상기 절연접촉부(192) 및 각 상기 접촉연결부(117b)의 연속된 외주 프로파일은 상기 제2연결접속부(110b)의 단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원형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판부(190)는 실질적으로 상기 회전결합부(116a) 및 각 상기 접촉돌기부(187a)의 연속된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외면 프로파일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접촉부(192)는 전기적 절연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회전개폐부(180)의 회전시 상기 접촉돌기부(187a)와 접촉되면 상기 제1연결접속부(110a) 및 상기 제2연결접속부(110b)의 전기적 연결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속구동장공(126)은 상기 회전개폐부(180)의 회전각도가 제한되도록 상기 접촉돌기부(187a)의 외주각도 이상의 원호길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접속구동장공(126)의 원주방향 길이는 상기 접촉돌기부(187a)의 외주길이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속구동장공(126)은 원주방향 양측 테두리에 상기 회전구동홈(183)이 접하도록 상기 회전개폐부(180)가 회전되면 상기 제1연결접속부(110a) 및 상기 제2연결접속부(110b) 간의 전류 흐름이 개폐되는 원호길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구동홈(183)이 상기 접속구동장공(126)의 원주방향 일측 테두리에 접하도록 상기 회전개폐부(180)가 일방향 회전되면 상기 접촉돌기부(187a) 및 상기 접촉연결부(117b)의 상호 대향면 전체가 면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연결접속부(110a) 및 상기 제2연결접속부(110b) 간의 전류 흐름이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개폐부(180)의 일방향 회전이라 함은 상기 제1연결접속부(110a) 및 상기 제2연결접속부(110b)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회전개폐부(180)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개폐부(180)의 타방향 회전이라 함은 상기 제1연결접속부(110a) 및 상기 제2연결접속부(110b)의 전기적 연결 상태가 해제되도록 상기 회전개폐부(180)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구동홈(183)이 상기 접속구동장공(126)의 원주방향 타측 테두리에 접하도록 상기 회전개폐부(180)가 타방향 회전되면 상기 접속구동장공(126)이 상기 접촉돌기부(187a)의 외주각도 이상의 원호길이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접촉돌기부(187a) 및 상기 절연접촉부(192)가 상호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연접촉부(192)의 외주길이가 상기 접촉돌기부(187a)의 외주길이 이상으로 설정되므로 상기 접촉돌기부(187a)의 대향면 전체가 상기 절연접촉부(192)의 대향면 내측에 안정적으로 면접촉되어 상기 제1연결접속부(110a) 및 상기 제2연결접속부(110b) 간의 전류 흐름이 폐쇄될 수 있다.
상세히, 도 3 내지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개폐부(180)는 상기 회전구동홈(183)에 삽입되는 상기 삽입툴(T)을 통해 상기 회전결합부(116a)를 중심으로 일방향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연결접속부(110a) 및 상기 제2연결접속부(110b)는 후술되는 탄성부재(170)에 의해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구동홈(183)에 삽입된 상기 삽입툴(T)이 상기 접속구동장공(126)의 원주방향 일측 테두리에 걸림되도록 상기 회전개폐부(180)가 일방향 회전되면 상기 회전결합부(116a)의 단부가 상기 절연몸체부(191)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접촉돌기부(187a) 및 상기 접촉연결부(117b)가 면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개폐부(180)는 일방향 회전을 통해 상기 제1연결접속부(110a) 및 상기 제2연결접속부(110b)의 전기적으로 연결을 통해 상호 간의 전류 흐름을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개폐부(180)는 상기 회전구동홈(183)에 삽입되는 상기 삽입툴(T)을 통해 상기 회전결합부(116a)를 중심으로 타방향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구동홈(183)에 삽입된 상기 삽입툴(T)이 상기 접속구동장공(126)의 원주방향 타측 테두리에 걸림되도록 상기 회전개폐부(180)가 타방향 회전되면 상기 회전결합부(116a)의 단부가 상기 절연몸체부(191)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접촉돌기부(187a) 및 상기 절연접촉부(192)가 면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돌기부(187a) 및 상기 절연접촉부(192)의 상호 대향면 전체가 면접촉되어 상기 회전개폐부(180) 및 상기 회전결합부(116a)는 실질적으로 상기 절연판부(190)에 접촉되므로 전기적 연결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돌기부(187a) 및 상기 절연접촉부(192)가 대향 배치되면 상기 접촉연결부(117b)의 대향측에는 상기 회전개폐부(180)의 타단부(182)가 대향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접촉돌기부(187a)는 상기 회전개폐부(180)의 타단부(182)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절연접촉부(192)에 접촉되므로 상기 회전개폐부(180)의 타단부(182)는 상기 접촉연결부(117b)로부터 상기 접촉돌기부(187a)가 돌출된 두께에 대응되도록 이격되므로 상호 간의 접촉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개폐부(180)는 타방향 회전을 통해 상기 제1연결접속부(110a) 및 상기 제2연결접속부(110b)의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해제하여 상호 간의 전류 흐름을 폐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접속구동장공(126)은 상기 접촉돌기부(187a)가 상기 접촉연결부(117b) 내지 상기 절연접촉부(192)와의 대향면 전체가 면접촉되면 상기 회전개폐부(180)를 회전 조작하기 위한 상기 삽입툴(T)이 양측 테두리에 걸림되도록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 역할을 수행하여 구동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개폐부(180)가 상기 접속구동장공(126)에 의해 회전각도가 제한되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연결접속부(110a) 및 상기 제2연결접속부(110b) 간의 전류 흐름이 정확하게 개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개폐부(180)의 회전 조작만으로도 간편하게 상기 제1연결접속부(110a) 및 상기 제2연결접속부(110b)의 전류 흐름이 개폐되므로 전기적 연결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별도의 분해 과정 없이 전원 차단 및 연결이 손쉽게 이루어져 점검 내지 테스트 등을 위한 사용편의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접촉돌기부(187a)가 상기 절연접촉부(192)에 전체적으로 면접촉되고 상기 회전개폐부(180)의 타단부(182) 및 상기 접촉연결부(117b)가 이격됨에 따라 상기 제1연결접속부(110a) 및 상기 제2연결접속부(110b) 간의 접촉이 원천적으로 차단되어 전류 흐름이 정확하게 폐쇄되므로 안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재(160)는 외주에 상기 수나사부가 형성된 볼트부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헤드부가 돌출되지 않는 렌치볼트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상기 고정부재(160)는 각 상기 고정관통홀(122)을 각각 관통하도록 배치된 상태로 상단부에 함몰 형성된 렌치삽입홈(161)에 별도의 렌치가 삽입된 후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고정체결홀(112a) 및 상기 제2고정체결홀(112b)에 나사 체결되어 조여지거나 풀릴 수 있다.
이때, 각 상기 고정부재(160)는 상기 제1고정관통홀(122) 및 상기 제2고정체결홀(112b)에 나사 체결되어 조여짐에 따라 하단부(162)가 상기 제1전선삽입공간(111a) 및 상기 제2전선삽입공간(111b)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전선삽입공간(111a) 및 상기 제2전선삽입공간(111b)의 내부에 배치된 각 상기 전선(1a,1b)의 끝단부를 밀착 가압할 수 있다. 즉, 각 상기 전선(1a,1b)의 끝단부가 각 상기 고정부재(160)의 하단부(162)와 상기 제1전선삽입공간(111a) 및 상기 제2전선삽입공간(111b)의 내면 사이에 견고하게 물림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160)는 헤드부가 돌출되지 않아 상기 고정관통홀(122)의 내측으로 완전하게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부(120)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됨이 방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고정부재(160)가 상기 고정관통홀(122)의 내측으로 완전하게 삽입됨에 따라 상기 방수커버(140)의 내면과 상기 케이스부(120)의 외면이 형합되어 방수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방수커버(140)의 착탈시 상기 고정부재(160)에 의한 간섭이 미연에 방지되어 착탈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부재(160)와의 접촉으로 인한 작업자의 감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되어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수캡부(13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전선삽입공간(111a) 및 상기 제2전선삽입공간(111b)에 삽입되는 각 상기 전선(1a,1b)이 각각 끼움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방수캡부(130)는 상기 케이스부(120)의 양단부 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부(12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측방향으로 상호 대칭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방수캡부(130)는 상기 걸림단턱(124)에 걸림 결합되는 가압밀폐부(132)와, 상기 가압밀폐부(132)로부터 연장되되 내부에 전선(1a,1b)이 끼움 삽입되는 방수삽입부(13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방수캡부(130)는 전기적으로 절연되면서도 탄성 및 방수성을 갖는 고무, 실리콘 등의 방수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가압밀폐부(132)는 상기 중공(121)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120a)의 타단부 개구측을 통해 삽입시 상기 중공(121)의 내주에 형합되어 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밀폐부(132)의 양측면은 방수 밀폐를 위한 접촉면적이 증가되도록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측 방수캡부(130)의 가압밀폐부(132)는 일단부가 상기 중공(121)과 대향되는 일측 걸림단턱(124)의 내면과 접촉되며 타단부가 후술되는 일측 탄성부재(170)에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타측 방수캡부(130)의 가압밀폐부(132)는 일단부가 후술되는 타측 탄성부재(170)와 접촉되며 타단부가 상기 중공(121)과 대향되는 상기 타측 걸림단턱(124)의 내면과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밀폐부(132)에는 상기 걸림단턱(124)에 걸림된 상태로 상기 제1연결접속부(110a) 및 상기 제2연결접속부(110b)에 의해 압축된 각 상기 탄성부재(170)의 탄성복원력이 각 상기 걸림단턱(124) 방향으로 작용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밀폐부(132)는 실질적으로 각 상기 걸림단턱(124) 및 각 연결접속부(110a,110b) 사이에 클램핑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밀폐부(132)는 상기 탄성부재(170)의 탄성복원력이 작용됨에 따라 탄성 변형을 통해 압축될 수 있으며, 각 상기 걸림단턱(124) 측을 향해 지속적으로 탄성복원력을 작용한다.
이를 통해, 상기 가압밀폐부(132)가 상기 탄성부재(170)의 탄성복원력에 의한 탄성변형으로 각 연결접속부(110a,110b)의 단부 및 각 상기 걸림단턱(124)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상기 중공(121)을 통한 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방수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수삽입부(133)는 상기 가압밀폐부(132)로부터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일측 방수캡부(130)의 방수삽입부(133)는 상기 가압밀폐부(132)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타측 방수캡부(130)의 방수삽입부(133)는 상기 가압밀폐부(132)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방수삽입부(133)는 상기 케이스부(120)의 양단부 개구측을 각각 관통하여 외측을 향해 돌출된다.
이때, 상기 방수삽입부(133)의 직경은 상기 가압밀폐부(132)의 직경 미만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단턱(124)의 단차진 테두리 내주 직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단턱(124)의 단차진 테두리 내주라 함은 상기 걸림단턱(124)의 단부에 의해 감싸도록 구비되는 홀의 내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방수삽입부(133)가 탄성 변형되어 상기 걸림단턱(124)의 단차진 테두리 내주에 외면이 형합 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부(120)의 양단부 개구측을 통한 물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방수 밀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수캡부(130)에는 상기 전선(1a,1b)이 끼움 삽입되는 밀폐삽입홀(131)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밀폐삽입홀(131)은 상기 방수삽입부(133) 및 상기 가압밀폐부(132)를 측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연결접속부의 개구측과 상호 대향되어 연통되도록 정렬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밀폐삽입홀(131)의 직경은 상기 전선(1a,1b)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선(1a,1b)이 상기 밀폐삽입홀(131)을 통해 상기 방수캡부(130)에 끼움 삽입되면 상기 방수캡부(130)가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탄성 변형을 통해 상기 밀폐삽입홀(131)의 내면이 상기 전선(1a,1b)의 외면에 형합되도록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폐삽입홀(131)에 끼움 삽입된 각 상기 전선(1a,1b)은 끝단부가 각 상기 전선삽입공간(111a,111b)으로 삽입된 후 상기 고정부재(160)에 의해 물림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전선(1a,1b)이 상기 밀폐삽입홀(131)에 끼움 삽입된 상태에서 방수 밀폐되어 상기 밀폐삽입홀(131)을 통한 물의 유입이 방지되므로 제품의 안전성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방수삽입부(133)는 상호 상이한 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직경조절부가 구비되어 복수의 직경차를 갖는 단차형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각 상기 직경조절부의 내부에는 상호 상이한 직경을 갖는 밀폐삽입홀(131)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상기 밀폐삽입홀(131)은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되되 각 상기 직경조절부가 일체로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각 상기 밀폐삽입홀(131)은 상호 상이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되 기설정된 규격에 따른 전선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수삽입부(133)는 끝단부에 위치하는 일측 직경조절부의 단부가 막힌 상태로 제조되며, 사용시 상기 일측 직경조절부의 단부를 커팅하여 사용하거나 타측 직경조절부의 단부를 커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설정된 규격에 따른 전선에 대응되도록 별도의 방수캡부(130)를 복수개로 구비하지 않아도 단순한 커팅 작업만으로도 상기 밀폐삽입홀(131)의 직경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한편, 상기 케이스부(120)의 내부에는 상기 제1연결접속부(110a)의 일단부 및 상기 제2연결접속부(110b)의 타단부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탄발 지지하는 한 쌍의 상기 탄성부재(170)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탄성부재(170)는 코일 스프링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측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중공(121)에 배치된다. 여기서, 한 쌍의 상기 탄성부재(170)는 일측 방수캡부(130) 및 상기 제1연결접속부(110a)의 일단부 사이와, 타측 방수캡부(130) 및 상기 제2연결접속부(110b)의 타단부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이때, 상기 중공(121)에는 일측 방수캡부(130), 일측 탄성부재(170), 상기 제1연결접속부(110a), 상기 회전개폐부(180), 상기 제2연결접속부(110b), 타측 탄성부재(170), 타측 방수캡부(130)가 순차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상기 걸림단턱(124)의 상호 대향면 사이 간격은 후술되는 한 쌍의 가압밀폐부(132)의 두께, 한 쌍의 상기 탄성부재(170)의 측방향 길이, 상기 제1연결접속부(110a) 및 상기 제2연결접속부(110b)의 측방향 최대길이를 합산한 길이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본체부(120a)의 내측으로 각 구성부품이 삽입된 후 상기 케이스캡(120b)이 결합되면 각 탄성부재(170)가 탄성 변형에 의해 압축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연결접속부(110a) 및 상기 제2연결접속부(110b)에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지속적으로 작용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연결접속부(110a) 및 상기 제2연결접속부(110b)가 각 상기 탄성부재(170)에 의해 탄발 지지된 상태가 지속적으로 견고하게 유지됨에 따라 상기 회전개폐부(180)의 회전시 접촉 불량으로 인한 오작동이 미연에 방지되므로 제품의 구동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방수커버(140)는 상기 케이스부(120)의 외주를 감싸서 방수 밀폐하도록 구비되며, 전기적으로 절연되면서도 탄성 및 방수성을 갖는 고무, 실리콘 등의 방수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방수커버(140)의 내부에는 양측이 개구된 중공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방수커버(140)의 중공 직경은 상기 케이스부(120)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측방향 전체 길이는 상기 케이스부(120)의 양단부 사이 간격에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방수커버(140)는 상기 케이스부(120)가 개구측을 통해 삽입되면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탄성 변형되어 내면이 상기 케이스부(120)의 외면에 형합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스부(120)가 상기 방수커버(140)에 의해 견고하게 방수 밀폐되어 각 상기 고정관통홀(122) 및 상기 접속구동장공(126)을 통한 물의 유입이 방지되므로 누수나 침수에 의한 합선 내지 감전 사고가 미연에 방지되어 제품의 안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금형 사출된 상기 케이스부(120)의 개구측을 통해 각 구성부품이 순차적으로 삽입된 후 각 상기 고정부재(160)가 체결되고 상기 방수커버(140)가 결합되는 간편한 조립구조를 통해 종래의 인서트 사출 방식보다 공정 소요시간 및 생산비용이 감소되므로 생산성 및 경제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10a: 제1연결접속부 110b: 제2연결접속부
120: 케이스부 130: 방수캡부
140: 방수커버 160: 고정부재
170: 탄성부재 180: 회전개폐부
190: 절연판부 200: 방수용 전선연결장치

Claims (5)

  1. 내부에 형성된 중공의 양단부 내주에 각각 걸림단턱이 형성되며 한 쌍의 고정부재가 각각 관통되도록 외면 양측에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 한 쌍의 고정관통홀 사이에 외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접속구동장공이 형성된 전기적 절연 재질의 케이스부;
    상기 중공에 삽입 배치되며, 내부에 제1전선삽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제1고정체결홀이 외면에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걸림단턱과 대향 배치되며 타단부에 회전결합부가 구비되는 제1연결접속부;
    상기 접속구동장공에 외면 일측이 노출되되 상기 회전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개폐부;
    상기 회전개폐부와 대향되도록 상기 중공에 삽입 배치되되 상호 밀착되어 상기 제1연결접속부와의 전기적 연결 상태가 선택적으로 해제되며, 내부에 제2전선삽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 중 다른 하나가 결합되는 제2고정체결홀이 외면에 형성된 제2연결접속부;
    각 상기 걸림단턱에 걸림 결합되는 가압밀폐부와, 상기 가압밀폐부로부터 연장되되 내부에 전선이 끼움 삽입되는 방수삽입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방수캡부; 및
    상기 케이스부의 외주를 감싸서 방수 밀폐하도록 구비되는 방수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개폐부에는 상기 제2연결접속부와 대향되는 단부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각도 간격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접촉돌기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연결접속부에는 상기 접촉돌기부에 대응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각도 간격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접촉연결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 전선연결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개폐부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접속구동장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회전구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접속부의 일단부 중앙측에 배치되는 절연몸체부의 외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확장 형성된 절연접촉부를 포함하는 절연판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접촉돌기부의 외주각도 이상의 원호길이로 형성되되, 상기 회전구동홈이 상기 접속구동장공의 원주방향 일측 테두리에 접하도록 상기 회전개폐부가 일방향 회전되면 상기 접촉돌기부 및 상기 접촉연결부가 면접촉되며, 상기 회전구동홈이 상기 접속구동장공의 원주방향 타측 테두리에 접하도록 상기 회전개폐부가 타방향 회전되면 상기 접촉돌기부 및 상기 절연접촉부가 면접촉되어 상기 접속구동장공은 상기 회전개폐부의 회전각도가 제한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 전선연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에는 상기 제1연결접속부의 일단부 및 상기 제2연결접속부의 타단부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탄발 지지하는 한 쌍의 탄성부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 전선연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양측이 개구되되 일측에 상기 걸림단턱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케이스캡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 전선연결장치.
KR1020180020619A 2018-02-21 2018-02-21 방수용 전선연결장치 KR101894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619A KR101894467B1 (ko) 2018-02-21 2018-02-21 방수용 전선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619A KR101894467B1 (ko) 2018-02-21 2018-02-21 방수용 전선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4467B1 true KR101894467B1 (ko) 2018-09-04

Family

ID=63598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0619A KR101894467B1 (ko) 2018-02-21 2018-02-21 방수용 전선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446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312Y1 (ko) 2004-03-19 2004-06-29 이해명 전선연결구
KR20060009662A (ko) * 2004-07-26 2006-02-01 배병준 전선 접속모듈
KR101264040B1 (ko) * 2011-12-22 2013-05-21 박승배 전선커넥터
KR101612422B1 (ko) * 2015-11-19 2016-04-14 주식회사 천아엔지니어링 전기 케이블의 접속부 누수방지용 커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312Y1 (ko) 2004-03-19 2004-06-29 이해명 전선연결구
KR20060009662A (ko) * 2004-07-26 2006-02-01 배병준 전선 접속모듈
KR101264040B1 (ko) * 2011-12-22 2013-05-21 박승배 전선커넥터
KR101612422B1 (ko) * 2015-11-19 2016-04-14 주식회사 천아엔지니어링 전기 케이블의 접속부 누수방지용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44458B1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EP2883286B1 (en) Hermetic terminal having pin-isolating feature
CA2685519C (en) Submersible electrical set-screw connector
KR101983237B1 (ko) 전선연결용 커넥터
US10044132B2 (en) Cable seal connector with punch-out capability for unused cavities
KR101882391B1 (ko) 방수용 전선연결장치
CN112997365B (zh) 电导体与电气设备连接件电接触的接触元件及其制造方法
WO2020034505A1 (zh) 过线结构、电器盒及空调器
US20080083556A1 (en) Dynamoelectric machine grommet
CN206685565U (zh) 电连接器
KR101894467B1 (ko) 방수용 전선연결장치
CN205811500U (zh) 电控柜的电缆进线密封件和电控柜
KR20170078206A (ko) 인버터 일체형 bldc 모터
US20080084133A1 (en) Dynamoelectric machine brush and method
CN112688460A (zh) 一种用于电气设备引出线的防水结构、电机
US6520790B2 (en) Waterproofing configuration for a lighting fixture
WO2016167109A1 (ja) 電子制御ユニットの防水構造
KR101882390B1 (ko) 방수용 전선 커넥팅 장치
CA2474547C (en) Electrical connector apparatus and cover therefor
KR200198490Y1 (ko) 방수구조를 갖는 단자 조립체
CN218867570U (zh) 卡接结构及用电设备
CN113937524B (zh) 电缆终端防护端子及其制备工艺
CN215861540U (zh) 一种连接链节及链节式抱杆安装装置
CN217467268U (zh) 光缆接头盒的外壳结构及光缆接头盒
CN221304835U (zh) 一种极柱、盖板组件及电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