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4040B1 - 전선커넥터 - Google Patents

전선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4040B1
KR101264040B1 KR1020110140367A KR20110140367A KR101264040B1 KR 101264040 B1 KR101264040 B1 KR 101264040B1 KR 1020110140367 A KR1020110140367 A KR 1020110140367A KR 20110140367 A KR20110140367 A KR 20110140367A KR 101264040 B1 KR101264040 B1 KR 101264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pin
insertion hole
protrud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0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배
Original Assignee
박승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배 filed Critical 박승배
Priority to KR1020110140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40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4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4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0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teeth, prongs, pins or needles penetrating the ins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전선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1삽입구가 형성된 제1삽입부와, 제2전선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2삽입구가 형성된 제2삽입부와, 상기 제1삽입구와 제2삽입구를 구획하는 격벽을 가지고 상기 제1삽입부와 제2삽입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케이스; 및 상기 격벽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전선의 도선과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삽입구 내로 돌출된 제1핀과, 상기 제2전선의 도선과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삽입구 내로 돌출된 제2핀을 구비하는 핀부를 포함하는 전선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커넥터에 의하면, 작업자는 전선의 피복을 벗기지 않고 삽입방식에 의해 전선과 전선을 연결하므로 작업이 용이하고, 칼이나 니퍼 등의 작업도구 없이도 사용이 가능하며,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하여 작업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전선의 연결부위가 깔끔하여 외관상 미감을 일으키며, 전선 피복의 조각들이 발생되지 않아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전선커넥터{Connector for electrical wire}
본 발명은 전선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선의 피복을 벗기지 않은 상태에서 전선들 간의 접속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전선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공장 등의 실내에는 조명장치, 컴퓨터 등 다양한 배선이 있으며, 옥외에는 간판 등 각종 배선이 배치되어 있다. 특히, 이들 배선들은, 외부에서 내부로 이어지거나, 내부에서 외부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작업자는 전선과 전선들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작업을 하게 된다.
그런데, 이들 배선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해서는, 일일이 전선들의 피복을 벗기고, 외부로 표출된 와이어를 서로 꼬아 절연테이프에 의해 연결해야 하는바, 이는 작업시간이 길어져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협소한 장소에서 전기 배선을 작업하게 되는 경우, 작업이 매우 힘들고, 정확한 배선 작업을 수행하기가 어렵다. 게다가, 칼이나 니퍼 등의 작업공구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전선 피복 조각들로 인해 쓰레기가 발생되어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기술의 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42990호(2008.05.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선(4)에 접촉단자(2)를 연결하고, 상기 접촉단자(2)에 공구로 힘을 가하여 본 동선(1)에 삽입하여 본동선(1)과 접촉단자(2)를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동선(4)이 접촉단자(2)에 연결하기 위해서 상기 동선(4)의 피복을 일 부 벗겨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상기 접촉단자(2)를, 외력(外力)에 의해 본동선(1)의 피복을 뚫고 삽입시켜야 하는 바,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피로를 느끼게 하여 작업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힘을 들이지 않고도 삽입방식에 의해 전선과 전선의 연결 작업이 용이하여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전선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전선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1삽입구가 형성된 제1삽입부와, 제2전선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2삽입구가 형성된 제2삽입부와, 상기 제1삽입구와 제2삽입구를 구획하는 격벽을 가지고 상기 제1삽입부와 제2삽입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케이스; 및 상기 격벽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전선의 도선과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삽입구 내로 돌출된 제1핀과, 상기 제2전선의 도선과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삽입구 내로 돌출된 제2핀을 구비하는 핀부를 포함하는 전선 커넥터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1삽입부 및 제2삽입부는, 그 내벽으로부터 상기 제1삽입구 및 제2삽입구로 각각 돌출되어 상기 제1전선 및 제2전선을 삽입하였을 때, 상기 제1전선 및 제2전선의 피복과 걸림 동작하여 상기 제1전선 및 제2전선의 이탈을 각각 방지하는 제1걸림돌기 및 제2걸림돌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걸림돌기 및 제2걸림돌기는, 상기 제1삽입구 및 제2삽입구의 내벽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핀 및 제2핀은, 상기 제1전선 및 제2전선의 도선과 접촉 시, 도선의 삽입을 안내하도록 복수의 제1요홈 및 복수의 제2요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요홈 및 복수의 제2요홈은, 상기 제1핀 및 제2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핀 및 제2핀은, 그 외측이 원주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돌출되는 제1나선부 및 제2나선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병렬 결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전선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1삽입구가 형성된 제1삽입부와, 상기 제1삽입구의 타단에서 상기 제1삽입구의 단부와 수직하게 결합되며, 일 측면이 개방되어 제2전선의 외주면을 일부 감싸는 압착부; 상기 제1삽입부와, 상기 압착부를 구획하는 격벽이 형성되어 상기 제1삽입부와, 상기 압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및 상기 격벽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전선의 도선과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삽입구 내로 돌출된 제1핀과, 상기 제1핀의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압착부의 내측 벽에 면 밀착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박판과, 상기 박판에 고정되며 상기 압착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압착핀이 구비되는 핀부를 포함하는 전선커넥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1삽입부는, 그 내벽으로부터 상기 제1삽입구로 돌출되어 상기 제1전선을 삽입하였을 때, 상기 제1전선의 피복과 걸림 동작하여 상기 제1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걸림돌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전선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1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삽입구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곡선 연장 되어 상기 제1전선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1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제1삽입부와, 상기 제1삽입부에 대향하며 제2전선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2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삽입구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곡선 연장 되어 상기 제2전선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제2삽입부와, 상기 제1가이드부와 제2가이드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연결부에 삽입되며 일 측이 상기 제1가이드부 내로 돌출되어 상기 제1삽입구로부터 이동된 상기 제1전선의 도선과 접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1핀과, 상기 제1핀에 연결되며 타 측이 상기 제2가이드부내로 돌출되며 상기 제2삽입구로부터 이동된 상기 제2전선의 도선과 접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2핀을 포함하는 핀부; 및 상기 제1삽입부 및 제2삽입부의 각 하단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전선 및 제2전선을 상기 제1핀 및 제2핀과 접촉할 수 있도록 이동시키는 제1회전부재 및 제2회전부재를 포함하는 전선커넥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1회전부재는, 가운데가 상기 제1가이드부의 동심축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일단이 상기 제1가이드부의 일 측면에 형성된 제1슬롯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제1삽입구로부터 삽입된 제1전선을 상기 곡선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2회전부재는, 가운데가 상기 제2가이드부의 동심축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일단이 상기 제2가이드부의 일 측면에 형성된 제2슬롯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제2삽입구로부터 삽입된 상기 제2전선을 상기 곡선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회전부재에는, 상기 제1레버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1가이드부의 통로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제1삽입구로부터 삽입된 제1전선의 단부를 걸림 하여 이동시키는 환상의 제1링과, 상기 제2회전부재에는, 상기 제2레버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2가이드부의 통로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제2삽입구로부터 삽입된 제2전선을 걸림 하여 이동시키는 환상의 제2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부의 일 측 및 타 측에는 그 내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링을 걸림 하여 이동을 방지하는 제1고정돌기와, 상기 제2가이드부의 일 측 및 타 측에는 그 내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링을 걸림 하여 이동을 방지하는 제2고정돌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핀 및 제2핀은, 도전성 금속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삽입부 및 제2삽입부의 각 입구는, 상기 제1전선 및 제2전선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모따기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삽입부 및 제2삽입부는, 각 단부 외측으로 돌출되며 사용자의 파지 시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제1그립부 및 제2그립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커넥터에 의하면, 전선의 피복을 벗기지 않고 삽입방식에 의해 전선과 전선을 연결하므로 작업이 용이하고, 칼이나 니퍼 등의 작업도구 없이도 사용이 가능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여 작업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전선의 연결부위가 깔끔하여 외관상 미감이 향상되고, 전선 피복의 조각들이 발생되지 않아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커넥터의 절개사시도,
도 2는 도 1에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전선커넥터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도2에 나타낸 전선커넥터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도 1에 나타낸 핀부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커넥터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커넥터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Ⅷ-Ⅷ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커넥터의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동작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커넥터의 절개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전선커넥터의 사용상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2에 나타낸 전선커넥터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도 1에 나타낸 핀부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커넥터(100)는, 제1케이스(110)와, 핀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케이스(110)는, 제1삽입부(111)와, 제2삽입부(112)와, 연결부(1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삽입부(111)는, 내부에 제1전선(10)의 단부(10a)를 삽입하도록 개방된 제1삽입구(111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삽입구(111a)는, 상기 제1전선(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통로 역할을 하며, 동시에 상기 제1전선(10)을 탄성에 의해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게다가, 상기 제1삽입부(111)는, 단부 일 측에 제1그립부(111c)가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제1그립부(111c)는, 사용자가 상기 제1전선(10)을 상기 제1삽입구(111a)에 삽입 시, 상기 사용자의 손이 상기 제1삽입부(111)의 외측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2삽입부(112)는, 상기 제1삽입부(111)에 대향하는 타 측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삽입부(112)는, 내부에 상기 제2전선(20)의 단부(20a)를 삽입하도록 개방된 제2삽입구(112a)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2삽입구(112a)는, 상기 제2전선(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통로 역할을 하며, 동시에 상기 제2전선(20)을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게다가, 상기 제2삽입부(112)의 단부 일 측에는 제2그립부(112c)가 돌출 된다. 여기서 상기 제2그립부(112c)는, 사용자가 상기 제2전선(20)을 상기 제2삽입구(112a)에 삽입 시, 사용자의 손이 상기 제2삽입부(112)의 외측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연결부(113)는, 상기 제1삽입부(111)와, 제2삽입부(112)를 연결한다. 특히, 상기 연결부(113)는, 상기 제1삽입부(111) 및 제2삽입부(112)와 동일한 소재를 가지며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이는 예시적일 뿐, 상기 연결부(113)가, 상기 제1삽입부(111) 및 제2삽입부(112)를 서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면,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113)는, 내측 중앙으로 격벽(113a)이 구비된다. 상기 격벽(113a)은, 상기 케이스(110)의 내측 중앙에서 상기 제1삽입부(111)와, 제2삽입부(112)를 구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게다가, 상기 격벽(113a)에는 후술(後術)할 핀부(120)가 결합된다.
한편, 상기 제1삽입부(111) 및 제2삽입부(112)는, 환상의 케이스로 형성되지만, 이는 예시적일 뿐, 상기 케이스(110)가 상기 제1 및 제2전선(10)(20)을 삽입하는 기능을 갖는다면 그 형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는, 배선의 외경 크기에 맞게 다양한 규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케이스(110)는, 절연(絶緣)성을 갖는 플렉서블(Flexible)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 등이 있다.
다시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1삽입부(111) 및 제2삽입부(112)는, 제1걸림돌기(111b) 및 제2걸림돌기(112b)를 더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1걸림돌기(111b) 및 제2걸림돌기(112b)는, 상기 제1삽입구(111a) 및 제2삽입구(111b)의 그 내벽으로부터 각각 뾰족하게 돌출된다. 특히, 상기 제1걸림돌기(111b) 및 제2걸림돌기(112b)는, 상기 제1 및 제2전선(10)(20)의 삽입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돌출되어, 상기 제1 및 제2전선(10)(20)이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 작용을 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상기 전선커넥터(100)의 제1걸림돌기(111b) 및 제2걸림돌기(112b)가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걸림돌기(111b') 및 제2걸림돌기(112b')는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제1걸림돌기(111b') 및 제2걸림돌기(112b')는 상기 제1삽입구(111a)와 제2삽입구(112b)의 내측 벽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나선을 형성하며 돌출된다. 이러한 제1걸림돌기(111b') 및 제2걸림돌기(112b')는 상기 제1 상기 제1전선(10) 및 제2전선(20)이 나선방향을 따라 용이하게 삽입되며, 또한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핀부(120)는, 상기 연결부(113)의 격벽(113a)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핀부(120)는, 제1핀(121)과, 상기 제1핀(121)에 대향하는 타 측에 제2핀(122)이 구비된다. 특히, 상기 제1핀(121)은, 상기 제1전선(10)의 도선(11)과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삽입구(111a)의 단부를 향하여 뾰족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핀(122)은 상기 제1핀(121)과 대향하여 상기 제2전선(20)의 도선(21)과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삽입구(112a)의 단부를 향하여 뾰족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1핀(121) 및 제2핀(122)은, 도전성 금속의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제1전선(10)의 전기를 상기 제2전선(20)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도 1내지 도 4에서는 상기 핀부(120)의 형상이 뾰족한 원뿔 기둥의 모양을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도 5a 및 도 5b는 상기 핀부(120)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핀부(120a)(120b)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핀부(120a)는 제1핀(121a)과 제2핀(122a)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핀(121a)은, 외측 둘레에 복수의 제1요홈(121a')이 형성된다. 상기 제1요홈(121a')은,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1핀(121a)의 외측 둘레에 등 간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요홈(121a')은, 상기 제1핀(121a)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제2핀(122a)은, 상기 제1핀(121a)에 대향하며, 외측 둘레에 복수의 제2요홈(122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요홈(122a')은,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2핀(122a)의 외측 둘레에 등 간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요홈(122a')은, 상기 제2핀(122a')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제1핀(121a) 및 제2핀(122a)은, 상기 제1전선(10) 및 제2전선(20)의 도선(11)(21)과 접촉 시, 도선(11)(21)이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가이드 하며, 동시에 도선(11)(21)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 다른 대안으로,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핀부(120b)는 제1핀(121b)과 제2핀(122b)을 포함한다. 상기 제1핀(121b)은, 그 외측이 원주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돌출되는 제1나선부(121b')가 형성된다. 게다가 상기 제2핀(122b)은, 상기 제1핀(121b)에 대향하며, 그 외측이 원주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돌출되는 제2나선부(122b')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핀(121b) 및 제2핀(122b)은, 상기 제1전선(10) 및 제2전선(20)의 도선(11)(21)과 접촉 시, 상기 도선(11)(21)이 상기 제1나선부(121b') 및 제2나선부(122b')의 나선 방향을 따라 각각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가이드 하며, 동시에 도선(11)(21)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제1핀(121)(121a)(121b) 및 제2핀(122)(122a)(122b)은, 도전성 금속의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제1전선(10)의 전기를 상기 제2전선(20)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시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110)의 제1삽입부(111) 및 제2삽입부(112)의 각 입구는, 모따기(Champer)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모따기 형상은, 상기 제1전선(10) 및 제2전선(20)이 상기 제1삽입부(111) 및 제2삽입부(112)의 각 단부에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안내하며, 전선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커넥터(100)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작업자는 한 손으로 상기 케이스(110)를 파지한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상기 제1전선(10)의 단부(10a)를 상기 제1삽입구(111a)의 내측으로 삽입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전선(10)의 단부(10a)가 상기 제1삽입구(111a)의 내측에 형성된 격벽(113a)까지 도달하도록 계속 삽입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1전선(10)의 내측이, 상기 제1핀(121)에 삽입되고, 이러한 제1전선(10)의 제1도선(11)은 상기 제1핀(121)과 상호 접촉된다. 다음으로, 상기 작업자는 손으로 상기 제1삽입부(111)를 파지한 상태에서 그 외측을 가압한다. 그러면, 상기 제1삽입구(111a)의 내벽에 구비된 상기 제1걸림돌기(111b)는, 상기 제1전선(10)의 피복을 뚫고 들어가 상기 단부(10)를 걸림 시킨다.
한편, 상기 제1전선(10)에 대향하는 상기 제2전선(20)의 삽입방법은 상기 제1전선(10)의 삽입방법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선커넥터(100)에 의하면, 작업자는 전선(10)(20)의 피복을 벗기지 않고 삽입방식에 의해 전선(10)과 전선(20)을 연결하므로 작업이 용이하고, 칼이나 니퍼 등의 작업도구 없이도 사용이 가능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하여 작업효율이 향상된다. 게다가, 전선(10)(20)의 연결부위가 깔끔하여 외관상 미감을 일으키며, 전선(10)(20) 피복의 조각들이 발생되지 않아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위와 같은 전선커넥터(100)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커넥터(100)의 변형예가 완성된다.
도 6a 및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커넥터(100)는, 복수 개의 케이스(1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케이스(110)는, 폭 방향 또는 높이 방향으로 병렬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전선커넥터(100)는, 복수 개의 배선을 작업 시, 상기 배선이 흐트러져 연결되지 않도록 결속 하여, 외관상 미감을 일으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도면에서는 상기 전선커넥터(100)가, 세 개로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일 뿐 그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커넥터(200)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커넥터(200)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Ⅷ-Ⅷ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6과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하는 동일부재로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커넥터(200)는, 케이스(210)와, 핀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210)는, 제1삽입부(211)와, 압착부(212)와, 연결부(213) 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삽입부(211)는, 제1전선(10)의 단부(10a)가 삽입될 수 있는 제1삽입구(211a)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삽입구(211a)는, 상기 제1전선(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통로 역할을 하며, 동시에 상기 제1전선(10)을 탄성에 의해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게다가, 상기 제1삽입부(111)의 단부 일 측에는 제1그립부(211c)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그립부(211c)는, 사용자가 상기 제1전선(10)을 상기 제1삽입구(211a)에 삽입 시, 사용자의 손이 상기 제1삽입부(211)의 외측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압착부(212)는, 상기 제1삽입구(211a)의 타단에서 상기 제1삽입구(211a)의 단부와 수직하게 결합된다. 게다가 상기 압착부(212)는, 일 측면이 개방되어 제2전선(20)을 측면을 감싼다. 이러한 압착부(212)의 내측 벽에는 후술할 압착핀(223)이 결합되며, 이러한 압착핀(223)을 결합한 압착부(212)는, 상기 제2전선(20)을 가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연결부(213)는, 상기 제1삽입부(211)와, 압착부(213)를 연결한다. 특히, 상기 연결부(213)는, 상기 제1삽입부(211) 및 압착부(213)와 동일한 소재를 가지며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이는 예시적일 뿐, 상기 연결부(213)가, 상기 제1삽입부(211) 및 압착부(213)를 서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면,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213)는, 내측 중앙으로 격벽(213a)이 구비된다. 상기 격벽(213a)은, 상기 케이스(110)의 내측 중앙에서 상기 제1삽입부(111)와, 압착부(213)를 구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게다가, 상기 격벽(213a)에는 후술할 핀부(220)가 결합된다.
다시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1삽입부(211)는, 제1걸림돌기(211b)를 더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1걸림돌기(211b)는, 상기 제1삽입구(211a) 내벽으로부터 뾰족하게 돌출된다. 특히, 상기 제1걸림돌기(211b)는 상기 제1전선(10)의 삽입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돌출되어, 상기 제1전선(10)이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 작용을 한다.
상기 핀부(220)는, 제1핀(221)과, 박판(222)과, 압착핀(223)을 포함한다. 상기 핀부(220)는, 상기 연결부(213)의 격벽(213a)에 고정된다. 여기서 제1핀(121)은 상기 제1전선(10)의 도선(11)과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삽입구(211)의 단부를 향하여 뾰족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1핀(221)은 후술할 박판(222)과 연결되어 상기 제1전선(10)의 전기를 상기 박판(222)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박판(222)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압착부(212)의 내측 벽에 면 밀착된다. 이러한 박판(222)은 상기 제1핀(121)과 연결되며 후술할 압착핀(223)에 전기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압착핀(223)은, 상기 박판(222)에 결합되며 상기 압착부(212)의 내측으로 복수 개가 돌출된다. 이러한 압착핀(223)은, 사용자가 상기 압착부(212)를 가압할 경우 상기 제2전선(20)의 외피를 뚫고 들어가 도선(21)을 연결된다. 이러한 압착핀(223)은, 상기 제1핀(221)의 전기를 상기 제2전선(2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커넥터(300)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커넥터(300)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작동도이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8과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하는 동일부재로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커넥터(300)는, 케이스(310)와, 핀부(320)와, 제1회전부재(331)와, 제2회전부재(332)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310)는, 제1삽입부(311)와, 제2삽입부(312)와, 연결부(313)를 포함한다.
상기 제1삽입부(311)는, 제1삽입구(311a)와, 제1가이드부(311d)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삽입구(311a)는, 상기 제1전선(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통로 역할을 하며, 동시에 상기 제1전선(10)을 탄성에 의해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1가이드부(311d)는, 상기 제1삽입구(311a)의 단부로부터 확장된 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1삽입구(311a)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곡선 연장 된다. 여기서 상기 제1가이드부(311d)는, 후술할 제1회전부재(331)의 제1링(331b)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러한 제1가이드부(311d)는, 제1링(331b)을 상기 곡선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게다가 상기 제1가이드부(311d)의 일 측에는 제1고정돌기(311d')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돌기(311d')는, 그 내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링(331b)을 걸림 고정 하여 이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2삽입부(312)는, 제2삽입구(312a)와, 제2가이드부(312d)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삽입구(312a)는, 상기 제2전선(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통로 역할을 하며, 동시에 상기 제2전선(20)을 탄성에 의해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2가이드부(312d)는, 상기 제2삽입구(312a)의 단부로부터 확장된 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2삽입구(312a)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곡선 연장 된다. 여기서 상기 제2가이드부(312d)는, 후술할 제2회전부재(332)의 제2링(332b)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러한 제2가이드부(312d)는, 제2링(332b)을 상기 곡선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게다가 상기 제2가이드부(312d)의 일 측에는 제2고정돌기(311d')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2고정돌기(312d')는, 그 내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링(332b)을 걸림 고정 하여 이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제1가이드부(311d)와, 제2가이드부(312d)의 일 측면에는, 제1 및 제2슬롯(Slot:311d", 312d")이 형성되며,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연결부(313)는 상기 제1삽입부(311)와 상기 제2삽입부(312)를 연결한다. 특히, 상기 연결부(313)는, 상기 제1삽입부(311) 및 제2삽입부(312)와 동일한 소재를 가지며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이는 예시적일 뿐, 상기 연결부(313)가, 상기 제1삽입부(311) 및 제2삽입부(312)를 서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면,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핀부(320)는, 제1핀(321)과, 제2핀(322)을 포함한다. 이러한 핀부(320)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313)에 일부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제1핀(321)은, 일 측이 상기 제1가이드부(311d) 내로 돌출된다. 이러한 제1핀(321)은 상기 제1삽입구(311a)로부터 이동된 상기 제1전선(10)의 도선(11)과 접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2핀(322)은, 상기 제1핀(321)과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제2가이드부(312d)내로 돌출된다. 이러한 제2핀(322)은, 상기 제2삽입구(312a)로부터 이동된 상기 제2전선(20)의 도선(21)과 접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회전부재(331)는, 제1레버(331a)와, 제1링(331b)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회전부재(331)는, 상기 제1삽입구(311a)에 삽입된 상기 제1전선(10)을 상기 제1핀(321)과 접촉하도록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부연하면, 상기 제1삽입부(311)의 하단에는 하방으로 곡선 형성된 상기 제1가이드부(311d)의 동심(同心)으로 축이 형성되고, 이러한 축에는 제1레버(331a)의 가운데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레버(331a)의 일단은 상기 제1가이드부(311d)의 일 측면에 형성된 제1슬롯(311d')에 관통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제1레버(331a)의 일단에는 환상의 제1링(331b)이 결합된다. 상기 제1링(331b)은, 상기 제1레버(331a)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가이드부(311d)의 곡성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이러한 제1링(331b)은, 상기 제1삽입구(311a)로부터 삽입된 제1전선(10)의 단부(10a)를 걸림 하여 상기 제1핀(321)과 접촉되도록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2회전부재(332)는, 제2레버(332a)와, 제2링(332b)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2회전부재(332)는, 상기 제2삽입구(312a)에 삽입된 상기 제2전선(20)을 상기 제2핀(322)과 접촉하도록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부연하면, 상기 제2삽입부(312)의 하단에는 하방으로 곡선 형성된 상기 제2가이드부(312d)의 동심(同心)으로 축이 형성되고, 이러한 축에는 제2레버(332a)의 가운데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레버(332a)의 일단은 상기 제2가이드부(312d)의 일 측면에 형성된 제2슬롯(312d')에 관통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제2레버(332a)의 일단에는 환상의 제2링(332b)이 결합된다. 상기 제2링(332b)은, 상기 제2레버(332a)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가이드부(312d)의 곡성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이러한 제2링(332b)은, 상기 제2삽입구(312a)로부터 삽입된 제2전선(20)의 단부(20a)를 걸림 하여 상기 제2핀(322)과 접촉되도록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제1링(331b)과 제2링(332b)은 상부 일 측이 개방된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제1링(331b) 및 제2링(332b)은 상기 제1전선(10) 및 제2전선(20)의 규격에 따라 탄성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제1전선 10a: 단부
11: 도선 20: 제2전선
20a: 단부 21: 도선
100(100a,100b),200,300: 전선커넥터
110,210,310: 케이스 111,211,311: 제1삽입부
111a,211a,311a: 제1삽입구 111b,111b',211b: 제1걸림돌기
111c,211c: 제1그립부 112,312: 제2삽입부
112a,212a,312a: 제2삽입구 112b,112b': 제2걸림돌기
112c: 제2그립부 113,213,313: 연결부 1 13a,213a: 격벽 120(120a,120b),220,320: 핀부
121(121a,121b),221,321: 제1핀 121a': 제1요홈
121b': 제1나선부 122(122a,122b),222,322: 제2핀 122a': 제2요홈 122b': 제2나선부
212: 압착부 222: 박판
223: 압착핀 311d: 제1가이드부
311d': 제1고정돌기 311d": 제1슬롯
331:제1회전부재 331a: 제1레버
331b: 제1링 312d: 제2가이드부
312d': 제2고정돌기 312": 제2슬롯
332: 제2회전부재 332a: 제2레버
332b: 제2링

Claims (16)

  1. 제1전선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1삽입구가 형성된 제1삽입부와, 제2전선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2삽입구가 형성된 제2삽입부와, 상기 제1삽입구와 제2삽입구를 구획하는 격벽을 가지고 상기 제1삽입부와 제2삽입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케이스; 및
    상기 격벽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전선의 도선과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삽입구 내로 돌출된 제1핀과, 상기 제2전선의 도선과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삽입구 내로 돌출된 제2핀을 구비하는 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삽입부 및 제2삽입부는,
    그 내벽으로부터 상기 제1삽입구 및 제2삽입구로 각각 돌출되어 상기 제1전선 및 제2전선을 삽입하였을 때, 상기 제1전선 및 제2전선의 피복과 걸림 동작하여 상기 제1전선 및 제2전선의 이탈을 각각 방지하는 제1걸림돌기 및 제2걸림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걸림돌기 및 제2걸림돌기는,
    상기 제1삽입구 및 제2삽입구의 내벽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전선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전선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1삽입구가 형성된 제1삽입부와, 제2전선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2삽입구가 형성된 제2삽입부와, 상기 제1삽입구와 제2삽입구를 구획하는 격벽을 가지고 상기 제1삽입부와 제2삽입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케이스; 및
    상기 격벽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전선의 도선과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삽입구 내로 돌출된 제1핀과, 상기 제2전선의 도선과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삽입구 내로 돌출된 제2핀을 구비하는 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핀 및 제2핀은,
    상기 제1전선 및 제2전선의 도선과 접촉 시, 도선의 삽입을 안내하도록 복수의 제1요홈 및 복수의 제2요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요홈 및 복수의 제2요홈은, 상기 제1핀 및 제2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전선 커넥터.
  6. 제1전선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1삽입구가 형성된 제1삽입부와, 제2전선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2삽입구가 형성된 제2삽입부와, 상기 제1삽입구와 제2삽입구를 구획하는 격벽을 가지고 상기 제1삽입부와 제2삽입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케이스; 및
    상기 격벽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전선의 도선과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삽입구 내로 돌출된 제1핀과, 상기 제2전선의 도선과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삽입구 내로 돌출된 제2핀을 구비하는 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핀 및 제2핀은, 그 외측이 원주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돌출되는 제1나선부 및 제2나선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커넥터.
  7. 청구항 1, 청구항 5 및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병렬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커넥터.
  8. 제1전선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1삽입구가 형성된 제1삽입부;
    상기 제1삽입구의 타단에서 상기 제1삽입구의 단부와 수직하게 결합되며, 일 측면이 개방되어 제2전선의 외주면을 일부 감싸는 압착부;
    상기 제1삽입부와, 상기 압착부를 구획하는 격벽이 형성되어 상기 제1삽입부와, 상기 압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및
    상기 격벽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전선의 도선과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삽입구 내로 돌출된 제1핀과, 상기 제1핀의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압착부의 내측 벽에 면 밀착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박판과, 상기 박판에 고정되며 상기 압착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압착핀이 구비되는 핀부를 포함하는 전선 커넥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부는,
    그 내벽으로부터 상기 제1삽입구로 돌출되어 상기 제1전선을 삽입하였을 때, 상기 제1전선의 피복과 걸림 동작하여 상기 제1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걸림돌기를 더 구비하는 전선 커넥터.
  10. 제1전선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1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삽입구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곡선 연장되어 상기 제1전선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1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제1삽입부와, 상기 제1삽입부에 대향하며 제2전선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2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삽입구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곡선 연장되어 상기 제2전선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제2삽입부와, 상기 제1가이드부와 제2가이드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연결부에 삽입되며 일 측이 상기 제1가이드부 내로 돌출되어 상기 제1삽입구로부터 이동된 상기 제1전선의 도선과 접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1핀과, 상기 제1핀에 연결되며 타 측이 상기 제2가이드부내로 돌출되며 상기 제2삽입구로부터 이동된 상기 제2전선의 도선과 접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2핀을 포함하는 핀부; 및
    상기 제1삽입부 및 제2삽입부의 각 하단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전선 및 제2전선을 상기 제1핀 및 제2핀과 접촉할 수 있도록 이동시키는 제1회전부재 및 제2회전부재를 포함하는 전선커넥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부재는,
    가운데가 상기 제1가이드부의 동심축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일단이 상기 제1가이드부의 일 측면에 형성된 슬롯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제1삽입구로부터 삽입된 제1전선을 상기 제1핀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2회전부재는,
    가운데가 상기 제2가이드부의 동심축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일단이 상기 제2가이드부의 일 측면에 형성된 슬롯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제2삽입구로부터 삽입된 상기 제2전선을 상기 제2핀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커넥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부재에는,
    상기 제1레버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1가이드부의 통로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제1삽입구로부터 삽입된 제1전선의 단부를 걸림 하여 이동시키는 환상의 제1링과,
    상기 제2회전부재에는,
    상기 제2레버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2가이드부의 통로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제2삽입구로부터 삽입된 제2전선을 걸림 하여 이동시키는 환상의 제2링을 더 포함하는 전선커넥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의 일 측 및 타 측에는 그 내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링을 걸림 하여 이동을 방지하는 제1고정돌기와,
    상기 제2가이드부의 일 측 및 타 측에는 그 내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링을 걸림 하여 이동을 방지하는 제2고정돌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커넥터.
  14. 청구항 1, 청구항 5, 청구항 6 및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핀 및 제2핀은, 도전성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커넥터.
  15. 청구항 1, 청구항 5, 청구항 6 및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부 및 제2삽입부의 각 입구는 모따기 된 전선 커넥터.
  16. 청구항 1, 청구항 5, 청구항 6 및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부 및 제2삽입부는, 각 단부 외측으로 돌출되며 사용자의 파지 시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제1그립부 및 제2그립부를 더 구비하는 전선 커넥터.
KR1020110140367A 2011-12-22 2011-12-22 전선커넥터 KR101264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367A KR101264040B1 (ko) 2011-12-22 2011-12-22 전선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367A KR101264040B1 (ko) 2011-12-22 2011-12-22 전선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4040B1 true KR101264040B1 (ko) 2013-05-21

Family

ID=48666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0367A KR101264040B1 (ko) 2011-12-22 2011-12-22 전선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404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210B1 (ko) 2014-08-01 2015-09-30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전선 연결구
KR101626725B1 (ko) * 2015-10-16 2016-06-01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전원선과 열선을 연결하는 연결 장치
KR101626731B1 (ko) * 2015-12-08 2016-06-13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전원선과 열선을 연결하는 연결 장치
KR101894467B1 (ko) * 2018-02-21 2018-09-04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방수용 전선연결장치
KR102538499B1 (ko) 2022-06-11 2023-05-31 주식회사포인트 전기 오토바이 커넥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4103B1 (ko) * 2002-04-09 2005-07-27 박세재 커넥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4103B1 (ko) * 2002-04-09 2005-07-27 박세재 커넥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210B1 (ko) 2014-08-01 2015-09-30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전선 연결구
KR101626725B1 (ko) * 2015-10-16 2016-06-01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전원선과 열선을 연결하는 연결 장치
KR101626731B1 (ko) * 2015-12-08 2016-06-13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전원선과 열선을 연결하는 연결 장치
KR101894467B1 (ko) * 2018-02-21 2018-09-04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방수용 전선연결장치
KR102538499B1 (ko) 2022-06-11 2023-05-31 주식회사포인트 전기 오토바이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4040B1 (ko) 전선커넥터
EP1914844B1 (en) Steckverbinder mit einer verbesserten Kabelzugentlastung
EP2092609B1 (en) A connector for use in terminating communications cables
US10530097B2 (en) Plug connection and set of plug connections
US6113436A (en) Shock preventing electrical connector plug
TWI722087B (zh) 用於模組電氣連接器的壓接工具
AU2010244965B2 (en) Socket switch
AU2007350603B2 (en) Electrical connector
US20180026429A1 (en) Cable Stripping Tool
CN107809010A (zh) 绝缘位移接触装置和将有护套的电缆与导体电连接的方法
EP0720258B1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CN1297596A (zh) 无螺纹的插塞式连接器
CN106067607A (zh) 一种易安装压接牢靠的电表接线夹
US5641305A (en) Electrical device having adjustable clamping mechanism
KR102256729B1 (ko) 피복 절개수단이 결합된 멀티 콘센트
US20060094285A1 (en) Rotating electrical connector
US5855492A (en) Press-connecting joint connector
KR101477082B1 (ko) 휴대용 전선 케이블 탈피기
EA000587B1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двух изолированных проводов
US10186789B1 (en) Keyed cable and connector system
US6955557B2 (en) Connector with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s
KR100947894B1 (ko) 동축케이블용 스트리퍼
AU2017285705B2 (en) An electrical connector
JP2016134231A (ja) 分岐コネクタ
CN205069912U (zh) 连接器和连接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