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3876B1 - 바이오매스 함량이 높은 자동차 크래쉬패드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바이오매스 함량이 높은 자동차 크래쉬패드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3876B1
KR101893876B1 KR1020170074926A KR20170074926A KR101893876B1 KR 101893876 B1 KR101893876 B1 KR 101893876B1 KR 1020170074926 A KR1020170074926 A KR 1020170074926A KR 20170074926 A KR20170074926 A KR 20170074926A KR 101893876 B1 KR101893876 B1 KR 101893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olyol
polyurethane foam
parts
isocya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4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호
이동기
곽성복
우민서
윤민석
Original Assignee
덕양산업 주식회사
(주) 피유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양산업 주식회사, (주) 피유시스 filed Critical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4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38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8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08G18/3203Polyhydroxy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18Catalysts containing secondary or tertiary amines or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1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 C08G18/762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being toluene diisocyanate including isomer mix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5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C08G18/766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01/00Manufacture of cellular produc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오매스 함량이 높은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석유계 폴리올, 바이오 폴리올, 셀오프너, 아민계 촉매, 계면활성제 및 발포제를 포함하는 레진프리믹스; 및 바이오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자동차 크래쉬패드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크래쉬패드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은 바이오매스 유래의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함으로써 종래 폴리우레탄 폼에 비해 바이오매스 함량이 더 높아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으며, 저점도의 바이오 이소시아네이트의 사용으로 인해 크래쉬패드의 흐름성 및 성형성이 우수하여 종래 자동차 크래쉬패드에 비해 성능이 우수한 자동차 부품소재로 사용하기에 유용하다.

Description

바이오매스 함량이 높은 자동차 크래쉬패드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Polyurethane foam composition with high biomass contents for automobile crash pad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바이오매스 함량이 높은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바이오매스 유래 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올을 이용한 바이오매스 고함량 자동차 크래쉬패드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크래쉬 패드(Crash Pad)는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 또는 대시 보드(Dash Board)라고도 불리우는 자동차 내장부품으로서 운전석의 전면 유리하단에 장착되며, 속도계, 연료계, 수온계 등의 계기류를 일체화시킨 계기판과, 공조장치, 라디오, 시계, 재떨이, 소형품을 넣을 수 있는 형상으로 설계 제작되며, 운전 중에 크래쉬패드에 장착되는 부품들을 조작하기도 하고 확인하기도 한다. 따라서 디자인, 편의성, 안전성 측면에서 크래쉬 패드는 자동차 부품에서 매우 중요한 부품이라 하겠다.
통상의 크래쉬 패드는 친환경, 고감성, 경량화, 고기능성 추세에 맞춰 다양한 공법과 재료가 적용되고 있고, 계속적인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크래쉬 패드는 일반적으로 제조공법 및 적용되는 재료와 구조에 따라 크게 소프트(Soft) 타입 크래쉬 패드와 하드(Hard) 타입 크래쉬 패드 등 2가지로 구분되며, 차종 및 공법 사양에 따라 다양한 제조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소프트 타입의 크래쉬 패드는 그 단면이 스킨(Skin), 폼(Foam), 코어(Core) 등 3개층으로 구성되어 외관이 수려하고 촉감 면에서 부드러운 쿠션감을 느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고, 하드 타입의 크래쉬 패드는 단순히 1개층(Core)으로 구성되어진 플라스틱 사출로 된 제품으로 감성품질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자동차 크래쉬패드 용도로 개발된 바이오 폴리우레탄 폼은 식물유 유래 바이오 폴리올과 석유계 이소시아네이트를 이용한 우레탄 폼 또는 식물유 유래 바이오 폴리올과 이를 이용한 이소이아네이트 프리폴리머(PREPOLYMER)와 석유계 이소시아네이트와의 혼합된 형태의 이소시아네이트를 이용한 우레탄 폼이 사용되었으나, 폼의 경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성형 시 흐름성 및 통기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경도, 흐름성 및 통기성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바이오매스 함량도 높아 친환경적인 자동차 크래쉬패드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9673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이오매스 함량이 높은 친환경 자동차 크래쉬패드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본 발명의 자동차 크래쉬패드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석유계 폴리올, 바이오 폴리올, 셀오프너, 아민계 촉매, 계면활성제 및 발포제를 포함하는 레진프리믹스; 및 바이오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자동차 크래쉬패드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진프리믹스는 석유계 폴리올 55~65 중량부, 바이오 폴리올 20~30 중량부, 셀오프너 2.5~4.0 중량부, 아민계 촉매 1.0~2.5 중량부, 계면활성제 1.0~2.0 중량부 및 발포제 1.5~2.5 중량부로 함유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는 석유계 이소시아네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 이소시아네이트는 아이소소바이드 디올과 락테이트(Lactate)를 반응시켜 아이소소바이드 디올 락테이트(ISB di(lactate))를 합성한 후, NCO-프레폴리머를 합성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된 MDI계 프레폴리머 형태로서 5~70cps/25℃의 점도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바이오 이소시아네이트 대 석유계 이소시아네이트가 1:6 ~ 1: 10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바이오 이소시아네이트 대 레진프리믹스는 40:100~60:100의 배합비로 혼합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은 15% 이상의 바이오매스를 함유하고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 석유계 폴리올, 바이오폴리올, 셀오프너, 아민계 촉매, 계면활성제 및 발포제를 혼합하여 레진프리믹스를 제조하는 단계; (2) 아이소소바이드 디올과 락테이트(Lactate)를 반응시켜 아이소소바이드 디올 락테이트(ISB di(lactate))를 합성한 후, NCO-프레폴리머를 합성하는 단계를 통해 MDI계 프레폴리머 형태의 5~70cps/25℃의 점도를 갖는 바이오 이소시아네이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제조된 바이오 이소시아네이트 및 레진프리믹스를 혼합하고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 크래쉬패드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진프리믹스는 석유계 폴리올 55~65 중량부, 바이오 폴리올 20~30 중량부, 셀오프너 2.5~4.0 중량부, 아민계 촉매 1.0~2.5 중량부, 계면활성제 1.0~2.0 중량부 및 발포제 1.5~2.5 중량부로 함유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 단계에서 석유계 이소시아네이트를 더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바이오 이소시아네이트 대 석유계 이소시아네이트가 1:6 ~ 1: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3)단계에서 바이오 이소시아네이트 대 레진프리믹스는 40:100~60:100의 배합비로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석유계 폴리올, 바이오 폴리올, 셀오프너, 아민계 촉매, 계면활성제 및 발포제를 포함하는 레진프리믹스; 및 바이오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자동차 크래쉬패드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크래쉬패드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은 바이오매스 유래의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함으로써 종래 폴리우레탄 폼에 비해 바이오매스 함량이 더 높아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으며, 저점도의 바이오 이소시아네이트의 사용으로 인해 크래쉬패드의 흐름성 및 성형성이 우수하여 종래 자동차 크래쉬패드에 비해 성능이 우수한 자동차 부품소재로 사용하기에 유용하다.
본 발명은 고함량의 바이오매스를 함유하여 친환경적이며 성능이 우수한 자동차 크래쉬패드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을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종래 개발된 바이오 폴리우레탄 폼은 바이오매스 함량이 15% 미만으로 바이오매스 함량이 낮아 친환경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종래 바이오 이소시아네이트는 폼의 경도가 저하되고 성형 시 흐름성과 통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바이오매스를 높은 함량으로 함유하며, 종래 가지고 있었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자동차 크래쉬패드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의 제조방법을 확립하였고 이의 우수한 성능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크래쉬패드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은 석유계 폴리올, 바이오 폴리올, 셀오프너, 아민계 촉매, 계면활성제 및 발포제를 포함하는 레진프리믹스; 및 바이오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레진프리믹스에 함유되는 각 성분의 함량은 석유계 폴리올 55~65 중량부, 바이오 폴리올 20~30 중량부, 셀오프너 2.5~4.0 중량부, 아민계 촉매 1.0~2.5 중량부, 계면활성제 1.0~2.0 중량부 및 발포제 1.5~2.5 중량부로 포함된다.
종래 기술에서는 바이오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 시, 바이오 폴리올의 첨가량을 증가시키고 제조된 조성물의 특성을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함량 증가에 따라 반응 속도가 느려질 뿐만 아니라 점도상승으로 크래쉬패드의 성형시 흐름성과 경화성(탈형 및 표면 들뜸)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자동차 크래쉬패드용 폴리우레탄 폼 제조 시, 고함량의 바이오매스 바이오 폴리올 및 저점도의 바이오 이소시아네이트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바이오매스 함량을 높이고 부가반응물로 인한 우레탄 폼의 물성 저하를 개선하고자 식물유 기반의 비식용 바이오 소스 유래의 바이오 폴리올을 사용하였는데, 바람직하게는 피마자 오일(castor oil) 유래의 바이오매스 함량이 90% 이상인 고함량 바이오 폴리올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바이오매스 함량 90% 이상이고 Castor oil 반응용 신규 촉매가 적용된 바이오 폴리올(B-2466, OHV : 66mg KOH/g, MCNS)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에는 바이오 폴리올 이외에도 석유계 폴리올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이오 폴리올 대 석유계 폴리올은 1:1.5~1: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종래 바이오 이소시아네이트가 갖는 문제점인 자동차 소재용 연질폼에서는 발포시 붕괴되는 현상과 경질에서는 발포시 오픈셀의 증가로 단열성 저하 및 발포 폼의 불안정성으로 인한 부스러짐 현상(brittle)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아이소소바이드 디올과 락테이트(Lactate)를 반응시켜 아이소소바이드 디올 락테이트(ISB di(lactate))를 합성한 후, NCO-프레폴리머를 합성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된 MDI계 프레폴리머 형태로서 5~70cps/25℃의 점도를 갖는 바이오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조한 저점도의 MDI계 프레폴리머 형태의 바이오 이소시아네이트는 종래 바이오 이소시아네이트가 갖는 문제점을 모두 해소할 수 있으며, 특히 저점도의 특성을 가지므로 크래쉬패드의 흐름성 및 성형성에 매우 유리하다.
또한, 종래 바이오 이소시아네이트는 자동차용 크래쉬패드에 적용되고 있는 석유계 이소시아네이트(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와는 다른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이며, 선행된 아이소소바이드를 이용한 바이오 이소시아네이트의 적용분야도 강도 강화를 위한 중합제, 필름, 엘라스토머, 접착제 및 코팅 등 비폼(NON FOAM)분야에 한정되어 있는 한계가 있으며, 일부의 경우, 발포제에 적용하였으나 자동차 소재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조한 저점도의 바이오 이소시아네이트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크래쉬패드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의 제조를 위해 사용한 이오시아네이트는 아이소소바이드 디올(ISB diol)과 Lactate를 이용하여 제조한 저점도의 바이오 이소시아네이트 이외에도 석유계 이소시아네이트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바이오 이소시아네이트 대 석유계 이소시아네이트가 1:6 ~ 1: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크래쉬패드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에 함유된 바이오 이소시아네이트와 레진프리믹스는 40:100~60:100의 배합비로 혼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된 셀오프너는 당업계에 사용되고 있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며, 2.5~4.0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다.
아민계 촉매로는 반응형 아민촉매(2차 알콜)인 N,N-bis(3-dimethylaminoproyl)-N-isopropanolamine 및 반응형 아민 촉매(1차 알콜) N,N,N’trimethyl-N’hydroxyethyl-bis(amino ethyl) ether를 사용할 수 있으며, 1.0~2.5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1.0~2.0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발포제로는 물 또는 시클로펜탄(Cyclopentane)을 사용할 수 있고 1.5~2.5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크래쉬패드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에 함유된 각 성분 및 상기 성분의 함량은 상기 기술된 범위 내의 함량으로 함유되어야만 자동차 크래쉬패드용 부품으로서의 우수한 성능을 도출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15% 이상의 바이오매스를 함유하는 친환경적이며 성능이 우수한 자동차 크래쉬패드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법은, (1) 석유계 폴리올, 바이오폴리올, 셀오프너, 아민계 촉매, 계면활성제 및 발포제를 혼합하여 레진프리믹스를 제조하는 단계; (2) 아이소소바이드 디올과 락테이트(Lactate)를 반응시켜 아이소소바이드 디올 락테이트(ISB di(lactate))를 합성한 후, NCO-프레폴리머를 합성하는 단계를 통해 MDI계 프레폴리머 형태의 5~70cps/25℃의 점도를 갖는 바이오 이소시아네이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제조된 바이오 이소시아네이트 및 레진프리믹스를 혼합하고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2) 단계에서는 석유계 이소시아네이트를 더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된 각 성분의 정의 및 함량은 앞서 기술한 내용과 같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바이오매스 고함량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자들은 바이오매스가 고함량으로 함유된 폴리우레탄을 폼 조성물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고함량 바이오매스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은 바이오 이소시아네이트와 바이오 폴리올을 함유한 레진프리믹스를 이용하여 바이오매스 함량이 15% 이상인 자동차 크래쉬 패드용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였다.
먼저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 제조를 위해 바이오 이소시아네이트를 제조하였는데, 본 발명에서 사용한 바이오 이소시아네이트는 아이소소바이드 디올(ISB diol)과 Lactate를 이용하여 ISB di(Lactate) 합성(1단계)하고, 이후 NCO-Prepolymer 합성(2단계)하는 단계를 거쳐 하기 구조식을 갖는 바이오 이소시아네이트를 제조하였다. 특히 하기 반응식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이소시아네이트는 MDI계 프레폴리머 형태로서 점도는 5~70cps/25℃이며, 종래의 바이오 이소시아네이트보다 바이오매스 함량은 높고 크래쉬패드의 흐름성 및 성형성에 유리한 저점도 특성을 지녔다.
Figure 112018034237024-pat00006
<본 발명에서 사용한 바이오 이소시아네이트 제조>
또한, 바이오 폴리올은 식물유 기반 중 비식용 바이오 소스로서 Castor oil을 이용한 바이오매스 함량 90% 이상인 고함량 바이오 폴리올(B-2466, OHV : 66mg KOH/g, MCNS)을 사용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이오매스 고함량 바이오 이소시아네이트와 바이오매스 고함량 바이오 폴리올을 함유한 레진프리믹스을 이용하여 바이오 매스함량이 15%이상이고, 부가반응물로 인한 우레탄 폼의 물성 저하를 개선할 수 있는 바이오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본 발명의 바이오매스 고함량 폴리우레탄 폼의 특성분석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종류의 바이오 이소시아네이트 및 바이오 폴리올을 사용하여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고, 제조된 폴리우레탄 폼에 함유된 바이오 매스 함량과 특성(발포특성, 물성특성, 성형특성)을 분석하였다. 각 제조를 위해 사용한 성분 및 종류는 다음과 같다.
(1) 이소시아네이트
Figure 112017056806704-pat00002
상기에서 바이오 ISO SYSTEM은 자동차 크래쉬패드용 우레탄 폼 제조 시 사용되는 바이오 이소시아네이트로서, 삼양사에서 개발된 바이오 ISO와 석유계 ISO와의 배합설계로 자동차 크래쉬패드용 우레탄 폼 성형을 위해 제조한 것이며, 특히 크래쉬피드용 이소시아네이트는 우수한 흐름성과 경화성 및 통기성을 위해 배합 설계되었다.
또한,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를 기반으로 하는 바이오 ISO을 적용함에 있어서 자동차 크래쉬패드용 석유계 ISO의 특성 중 흐름성과 통기성을 위해 석유계 ISO TDI계 함량을 11%로 구성하고 경화성을 위해 석유계 ISO MDI계 함량을 54%로 최적 설계하였다.
(2) 폴리올
Figure 112017056806704-pat00003
상기에서 바이오 폴리올 SYSTEM은 자동차 크래쉬패드용 우레탄 폼 제조 시 사용되는 바이오 폴리올 시스템으로서, MCNS에서 개발된 고함량 바이오 폴리올과 석유계 폴리올과의 배합설계로 자동차 크래쉬패드용 우레탄 폼 성형을 위해 개발된 것이다. 특히 크래쉬패드용 폴리올 시스템은 우수한 흐름성(Flowability)과 성형성(Moldability)을 위해 배합 설계되었다. 그러나, 고함량 바이오 우레탄 폼을 위해 바이오 폴리올의 함량 증가로 인한 물성저하를 개선하고자 고함량의 바이오 폴리올을 적용하였으나, 고함량의 바이오 폴리올(분자량 2400)이 자동차 크래쉬패드용 폴리올 시스템에 적용되는 석유계 폴리올(분자량 6000)과 차이가 있어 이로 인한 폼의 발포 흐름성, 반응성, 통기성, 탄성 등에서 기능 저하가 발생되었다.
이에, 석유계 폴리올 구성에 있어 분자량 변화(6000~7500), 반응형 아민 촉매의 포화/수지화(Blowing/Gelling) 적용, 셀오프너 함량 증량 및 바이오 폴리올과의 상용성 보완을 위한 정포제 함량 조정으로 자동차 크래쉬패드용 바이오 폴리올 시스템의 최적화를 배합 설계하였고, 최적 설계된 바이오 폴리올 시스템은 하기와 같다(EXP-BCPP-12 참고).
구분 바이오 폴리올 SYSTEM(EXP-BCPP-12)
성분 석유계
폴리올
바이오 폴리올 셀오프너 아민계
촉매
계면
활성제
발포제
함량
(중량부)
61.97 29.98 3.43 1.45 1.54 1.93
(3) 촉매
촉매의 경우, 내부 경화성을 촉진하고자 반응형 아민 촉매의 경우에도 2차 알콜(Secondary OH) 및 1차 알콜(Primary OH) 형태의 반응형 촉매를 혼용 적용하였으며, 급격한 수지화 반응을 일으키는 유기금속촉매의 사용배제로 흐름성을 보완하였다. 또한, 일반적인 3차 아민형태의 촉매사용을 완전히 배제하고 반응형 아민 촉매로 전환 적용하여 폼 내의 아민 촉매로 인한 냄새 발생도 저하시켰다.
Figure 112017056806704-pat00004
(4) 본 발명의 바이오매스 고함량 폴리우레탄 폼의 성능분석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매스를 고함량으로 갖는 폴리우레탄을 제조하기 위한 각 성분(이소시아네이트, 폴리올, 촉매)에 대한 특성 분석 및 최적 성분을 선택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함량으로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였으며, 이의 성능을 각각 분석하였다. 또한 하기 표에 바이오매스 함량은 PU FOAM 100g을 기준으로 배합비(바이오 ISO SYSTEM/바이오 폴리올 SYSTEM) 50/100 조건에서 바이오 PU FOAM에서의 바이오매스 함량을 이론적으로 표기하였다.
Figure 112017056806704-pat00005
분석 결과, 상기 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예 1~3 모두 바이오 매스 함량은 15% 이상으로 고함량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기 제조된 제조예 3가지 중에서, 특히 제조예 2는 발포특성, 성형특성, 물성특성 모두 양호하며, 바이오매스 함량이 19.454%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서 개발한 바이오매스 고함량 폴리우레탄 폼은 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올 모두 바이오매스에서 유래된 것을 사용하여 제조된 것으로, 특히 크래쉬패드의 흐름성 및 성형성에 유리하도록 저점도의 바이오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였고, 종래 폴리우레탄에 비해 바이오매스 함량이 높은 고함량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성능이 우수한 자동차 크래쉬패드의 소재로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석유계 폴리올, 바이오 폴리올, 셀오프너, 아민계 촉매, 계면활성제 및 발포제를 포함하는 레진프리믹스; 및
    바이오 이소시아네이트 및 석유계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오 이소시아네이트 대 석유계 이소시아네이트가 1:6 ~ 1: 10의 중량비로 혼합되고,
    상기 바이오 이소시아네이트는 아이소소바이드 디올과 락테이트(Lactate)를 반응시켜 아이소소바이드 디올 락테이트(ISB di(lactate))를 합성한 후, NCO-프레폴리머를 합성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된 MDI계 프레폴리머 형태로서 5~70cps/25℃의 점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크래쉬패드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진프리믹스는 석유계 폴리올 55~65 중량부, 바이오 폴리올 20~30 중량부, 셀오프너 2.5~4.0 중량부, 아민계 촉매 1.0~2.5 중량부, 계면활성제 1.0~2.0 중량부 및 발포제 1.5~2.5 중량부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크래쉬패드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대 레진프리믹스는 40:100~60:100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크래쉬패드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은 15% 이상의 바이오매스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크래쉬패드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8. (1) 석유계 폴리올, 바이오폴리올, 셀오프너, 아민계 촉매, 계면활성제 및 발포제를 혼합하여 레진프리믹스를 제조하는 단계;
    (2) 아이소소바이드 디올과 락테이트(Lactate)를 반응시켜 아이소소바이드 디올 락테이트(ISB di(lactate))를 합성한 후, NCO-프레폴리머를 합성하는 단계를 통해 MDI계 프레폴리머 형태의 5~70cps/25℃의 점도를 갖는 바이오 이소시아네이트를 제조하고, 석유계 이소시아네이트를 더 첨가하여 이소시아네이트를 준비하는 단계; 및
    (3)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및 레진프리믹스를 혼합하고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2) 단계에서는, 바이오 이소시아네이트 대 석유계 이소시아네이트가 1:6 ~ 1: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첨가되는,
    자동차 크래쉬패드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진프리믹스는 석유계 폴리올 55~65 중량부, 바이오 폴리올 20~30 중량부, 셀오프너 2.5~4.0 중량부, 아민계 촉매 1.0~2.5 중량부, 계면활성제 1.0~2.0 중량부 및 발포제 1.5~2.5 중량부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크래쉬패드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에서 이소시아네이트 대 레진프리믹스는 40:100~60:100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크래쉬패드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70074926A 2017-06-14 2017-06-14 바이오매스 함량이 높은 자동차 크래쉬패드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93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926A KR101893876B1 (ko) 2017-06-14 2017-06-14 바이오매스 함량이 높은 자동차 크래쉬패드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926A KR101893876B1 (ko) 2017-06-14 2017-06-14 바이오매스 함량이 높은 자동차 크래쉬패드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3876B1 true KR101893876B1 (ko) 2018-09-05

Family

ID=63594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4926A KR101893876B1 (ko) 2017-06-14 2017-06-14 바이오매스 함량이 높은 자동차 크래쉬패드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387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7255A (ja) * 2008-01-11 2009-07-30 Inoac Corp 低燃焼性軟質ポリウレタン発泡体
JP2010538149A (ja) * 2007-09-07 2010-12-09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フォームを改善するための低官能価天然油系化合物の使用
KR20120053748A (ko) * 2010-11-18 2012-05-29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바이오 폴리올을 이용한 친환경 폴리우레탄 발포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125626A (ko) * 2010-01-12 2012-11-16 바스프 에스이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포함하는 기기
KR101289673B1 (ko) 2011-07-25 2013-07-26 해양산업 주식회사 폴리우레탄 스프레이 스킨 성형공법을 활용한 자동차의 크래쉬 패드 제조 방법
KR20140134044A (ko) * 2013-05-13 2014-1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기능성 바이오 폴리우레탄 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52619A (ko) * 2013-10-21 2016-05-12 미쯔이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및 광학 재료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38149A (ja) * 2007-09-07 2010-12-09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フォームを改善するための低官能価天然油系化合物の使用
JP2009167255A (ja) * 2008-01-11 2009-07-30 Inoac Corp 低燃焼性軟質ポリウレタン発泡体
KR20120125626A (ko) * 2010-01-12 2012-11-16 바스프 에스이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포함하는 기기
KR20120053748A (ko) * 2010-11-18 2012-05-29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바이오 폴리올을 이용한 친환경 폴리우레탄 발포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289673B1 (ko) 2011-07-25 2013-07-26 해양산업 주식회사 폴리우레탄 스프레이 스킨 성형공법을 활용한 자동차의 크래쉬 패드 제조 방법
KR20140134044A (ko) * 2013-05-13 2014-1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기능성 바이오 폴리우레탄 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52619A (ko) * 2013-10-21 2016-05-12 미쯔이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및 광학 재료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POLYMER SCIENCE. PART A. POLYMER CHEMISTRY 2014. 52. 867-87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60195B (zh) 聚胺基甲酸酯發泡體用組成物,多元醇,自該組成物所得之聚胺基甲酸酯發泡體暨其製造方法及用途
CA2567850C (en) Process for preparing polyurethane foams having reduced voc emissions
KR101797462B1 (ko) 자동차 흡음재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흡음재
US8901189B2 (en) Nop foam
KR100893355B1 (ko) 폐 폴리우레탄폼으로부터 재생폴리올의 합성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재생폴리올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발포폼 조성물
JP2006002145A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用組成物、該組成物から得られる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及び用途
CN107787340A (zh) 低排放聚氨酯的生产
KR101916508B1 (ko) 폴리우레탄 폼 제조용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JP3808006B2 (ja) 意匠面に使用される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用インテグラルスキン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KR20130048057A (ko) 고 안락성 자동차용 폴리 우레탄 시트 조성물
JP2017110113A (ja) 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及びシート用パッド
KR20120053748A (ko) 바이오 폴리올을 이용한 친환경 폴리우레탄 발포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893876B1 (ko) 바이오매스 함량이 높은 자동차 크래쉬패드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93878B1 (ko) 바이오매스 함량이 높은 자동차 흡음재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583204B (zh) 发泡材料及发泡板体
CN101516951A (zh) 由含羟甲基的聚酯多元醇和含叔胺的多元醇制成的聚氨酯泡沫材料
US20220025099A1 (en) Polyurethane-foamed formulations and noise insulations with foams based thereon
KR101985111B1 (ko) 폴리우레탄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흡음재 및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방법
KR20180003232A (ko) 신규한 3차 아민계 폴리올 및 자가촉매를 이용한 폴리우레탄 합성
KR20210071256A (ko) 내구성 및 연신율이 우수한 친환경적인 인테그랄 스킨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인테그랄 스킨 폴리우레탄 폼
JP3780522B2 (ja) 自動車シートクッション用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JP4301432B2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成形品の製造方法
KR100712457B1 (ko) 마이크로 셀 구조를 가지는 고밀도 폴리우레탄 연질 폼과그의 제조방법
CN101012299A (zh) 车用聚氨酯硬泡组合料及其制备方法
KR101067097B1 (ko) 경질 폴리우레탄 포움 성형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사용한 경질 폴리우레탄 포움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