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3175B1 - 차총이 일체화된 찻잔 및 그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차총이 일체화된 찻잔 및 그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3175B1
KR101893175B1 KR1020170130454A KR20170130454A KR101893175B1 KR 101893175 B1 KR101893175 B1 KR 101893175B1 KR 1020170130454 A KR1020170130454 A KR 1020170130454A KR 20170130454 A KR20170130454 A KR 20170130454A KR 101893175 B1 KR101893175 B1 KR 101893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g
water
main body
tea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0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제민
Original Assignee
우제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제민 filed Critical 우제민
Priority to KR1020170130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31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175B1/ko
Priority to PCT/KR2018/011877 priority patent/WO201907426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7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83Saucers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찻잔 본체나 찻잔 뚜껑 또는 찻잔 받침에 차총을 일체화시켜 외부에서 부어지는 뜨거운 물에 의한 높은 기압 차이로 인해 물을 분수처럼 내뿜어질 수 있는 차총이 일체화된 찻잔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총에 뜨거운 물을 부으면 밀폐부의 기압이 높아지고, 차총을 차가운 물에 담그면 물분출구를 통해 밀폐부에 물이 채워지고, 차총에 다시 뜨거운 물을 부으면 기압차에 의해 밀폐부에 채워진 물이 물분출구를 통해 분수처럼 내뿜어지므로 사용자에게 신비로움을 주어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차총이 일체화된 찻잔 및 그 사용방법{TEACUP AND U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총이 일체화된 찻잔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찻잔 본체나 찻잔 뚜껑 또는 찻잔 받침에 차총(茶寵)을 일체화시켜 외부에서 부어지는 뜨거운 물에 의한 높은 기압 차이로 인해 내부 찬물의 기압이 팽창되면서 물이 분수처럼 내뿜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찻잔을 수반 위에 올려놓고 차를 마시며 담소를 나누는 손님들에게 볼거리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한 차총이 일체화된 찻잔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찻잔의 형태는 찻잔 본체, 찻잔 뚜껑, 찻잔 받침으로 이루어진다. 찻잔의 뚜껑이 있는 것을 개완(蓋椀)이라고 하며, 개완에는 받침(잔대)이 갖추어지기도 한다. 이러한 찻잔의 범위는 차를 우리는 다관의 용도부터 차나 커피 등 음료를 따라 마시는 잔으로서의 용도가 포함된다.
현대에는 커피, 녹차, 생강차. 쌍화차 등 다양한 차가 제공되고 있으나 옛 조상들과 사찰의 스님들이 즐겨 마시는 차는 녹차가 주종을 이루고 있었으며, 이를 통상적으로 차라고 호칭되어져 왔다.
또한, 차를 마시는 법을 다도라 하며 전통적인 다도는 복잡할 뿐만 아니라 다구 역시 수십 가지에 이르며 조상들은 이러한 다도를 즐기면서 예의범절을 가르쳤다.
따라서 손님을 맞으면 간단한 인사를 한 후 차 마시기를 권하며 조용한 담소를 즐기면서 손님이 차를 다 마신 잔에는 손님을 맞이하는 사람이 손님의 찻잔에 차를 조금씩 반복하여 채워주게 되는데, 이때 손님에게 볼거리를 제공하는 것이 차총이다.
이러한 차총은 여러 가지 의미가 담겨 있으나 그 중에서도 차를 마시는 자리에 볼거리를 제공하여 담소자리에 생동감을 불어 넣어 주고, 또 다른 의미로는 찻 자리에 함께한 손님들에게 안녕을 기원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차총은 찻잔과 별도의 다구로 사용됨으로 사용시 찻잔은 옆에 두고 차총을 수반 위에 올려놓고 사용함으로 다구의 관리가 번잡할 뿐만 아니라 보는 사람도 찻잔에서 차총으로 시선이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녹차나 커피 등을 포함한 모든 차는, 찻잔(또는 컵)과 같은 식기에 담아 마시게 되는데, '1회용 컵 사용 줄이기 캠페인' 및 최근 사회구성원의 의식이나 환경의 변화에 따라, 현재 대부분의 전통찻집이나 커피전문점 등에서는 손잡이가 있는 원통형의 잔으로 통칭하는 머그잔의 사용량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찻잔은 차와 함께 대중화된 커피를 담는 커피잔으로도 사용되고 있고, 커피잔을 다시 찻잔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여기서, 찻잔이라 함은 커피잔이나 머그잔 등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이런 찻잔은 현재 자기나 유리재질 등으로 형성되어 있고, 개방된 상단은 넓고 폐쇄된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형 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그 하단부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띠가 형성되어 찻잔을 놓았을 때, 바닥면과 찻잔 하단의 접지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외부온도에 의해 찻잔이 쉽게 식지 않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찻잔은 단순히 차나 커피 등을 담아 마시는 기능만 있어 기능이 단순하여 심미감이 떨어지는 결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7096호(등록일자 : 2003.02.28)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찻잔 본체나 찻잔 뚜껑 또는 찻잔 받침에 차총을 일체화함으로써 차총으로부터 물이 분수처럼 내뿜어질 수 있게 하여 사용자에게 신비로움을 주어 심미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찻잔을 수반 위에 올려놓고 차를 마시며 담소를 나누는 손님들에게 볼거리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한 차총이 일체화된 찻잔 및 그 사용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찻잔에 일체화되는 차총을 다양한 형태로 구현하게 됨으로써 제품의 다양화 및 제품성을 최대화할 수 있는 차총이 일체화된 찻잔 및 그 사용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총이 일체화된 찻잔은 차를 담을 수 있도록 수용부가 형성된 찻잔 본체와, 상기 찻잔 본체를 덮는 찻잔 뚜껑과, 상기 찻잔 본체를 받쳐주는 찻잔 받침과, 상기 찻잔 본체의 하부에 일체화되어 기압차에 의해 물을 내뿜을 수 있는 차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총은 내부에 물을 가둘 수 있는 밀폐부가 형성된 차총 몸통과, 상기 차총 몸통의 밀폐부와 연통되어 밀폐부로 물을 주입하거나 분출시킬 수 있는 미세한 구멍이 형성된 물분출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물분출구는 찻잔 본체의 내부 또는 외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물분출구의 구멍은 0.1 ~ 1mm 이내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물분출구를 갖는 차총은 개구리 형상, 달팽이 형상, 거북이 형상과 같은 동물 형상, 식물 형상, 과일 형상, 곤충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총은 찻잔 본체의 내,외측 또는 손잡이, 찻잔 뚜껑, 찻잔 받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총이 일체회된 찻잔 사용방법은 뜨거운 물을 차총의 차총 몸통 표면에 부어서 비워져 있는 밀폐부의 기압을 높이는 단계와, 상기 밀폐부의 기압이 높은 상태에서 상온의 미지근한 물이나 차가운 물에 차총을 담가 놓으면 밀폐부의 내부 기압이 낮아지면서 외부의 물이 물분출구의 미세한 구멍을 통해 밀폐부로 들어가는 단계와, 상기 밀폐부에 물이 차있는 상태에서 차총 몸통에 뜨거운 물을 부어 밀폐부의 내부 기압을 다시 높이는 단계와, 상기 밀폐부의 내부 기압이 높아지면 밀폐부에 들어 있는 물이 기압차에 의해 물분출구의 미세한 구멍을 통해 분수처럼 내뿜어지게 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총이 일체화된 찻잔 및 그 사용방법에 따르면, 차를 담는 찻잔에 기압차에 의해 물을 뿜을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차총을 일체화함으로써 차총에서 물을 분수처럼 뿜어낼 수 있어 사용자에게 신비감 및 심미감을 극대화하고 제품의 심미감 및 제품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총이 일체화된 찻잔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총이 일체화된 찻잔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총이 일체화된 찻잔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총이 일체화된 찻잔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총이 일체화된 찻잔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총이 일체화된 찻잔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총이 일체화된 찻잔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총이 일체화된 찻잔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총이 일체화된 찻잔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총이 찻잔 뚜껑에 일체화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총이 찻잔 받침에 일체화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차총이 일체화된 찻잔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총이 일체화된 찻잔(40)은 찻잔 본체(400)와, 찻잔 뚜껑(500)과, 찻잔 받침(600)과, 차총(700)을 포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찻잔 본체(400)는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개방된 상단은 넓고 폐쇄된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찻잔 본체(400)는 도 7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찻잔 본체(400)의 외측에는 손잡이(4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찻잔 본체(400)는 녹차나 커피 등의 차를 담을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부(401)가 형성되며, 상기 찻잔(400)의 상부는 차를 마실 수 있도록 개방된다. 이때, 상기 찻잔 본체(400)는 차를 우리는 다관의 용도부터 차나 커피 등 음료를 따라 마시는 잔으로서의 용도가 포함된다.
상기 찻잔 본체(400)는 통상적인 도자기 원료와 은, 금, 구리, 놋쇠 등을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손잡이(410)는 찻잔 본체(4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차를 마실 때 손으로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찻잔 뚜껑(500)은 찻잔 본체(400)의 상부에 덮여져 수용부(401)에 주입되는 뜨거운 물의 열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막아줄 수 있게 형성된다.
상기 찻잔 받침(600)은 찻잔 본체(4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찻잔 본체(400)의 하부를 받쳐줄 수 있게 형성된다.
상기 차총(700)은 찻잔 본체(400)의 하부에 일체화되어 내,외부의 기압차에 의해 물을 내뿜을 수 있게 형성된다.
상기 차총(700)은 차총 몸통(710)과, 상기 차총 몸통(710)에 구비되는 물분출구(7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총 몸통(710)은 내부에 물이 주입되는 빈 공간의 밀폐부(711)가 형성된다.
상기 차총 몸통(710)은 찻잔 본체(400)와 동일하게 통상적인 도자기 원료와 은, 금, 구리, 놋쇠 등의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물분출구(720)에는 차총 몸통(710)의 밀폐부(711)와 연통되게 미세한 구멍(721)이 구비되며, 상기 물분출구(720)의 구멍(721)은 밀폐부(711)로 물을 주입하거나 밀폐부(711)로부터 외부로 물을 분출시키는 것이다.
상기 물분출구(720)는 물의 분출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차총 몸통(710)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분출구(720)의 구멍(721)은 밀폐부(711)로부터 분출되는 물이 분수처럼 힘차게 내뿜어질 수 있도록 0.1 ~ 1mm 이내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물분출구(720)의 구멍(721)을 0.1 ~ 1㎜로 제한(한정)한 이유는 차총(700) 내부 공간의 부피면적이 찻잔(40)에 일체화되어 있을 시 기압차에 의한 물 분수 능력이 한정된 크기를 벗어나면 그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이다.
즉, 상기 밀폐부(711)의 내부 기압이 높아지면 밀폐부(711)에 들어있는 물이 차총 몸통(710) 내,외부의 기압차에 의해 상기 물분출구(720)의 구멍(721)을 통해 분수처럼 분출된다.
상기 물분출구(720)를 갖는 차총(700)은 개구리 형상이나 달팽이 형상, 거북이 형상 등과 같은 동물 형상, 식물 형상, 과일 형상, 곤충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찻잔 본체(400)의 성형시 물분출구(720)를 다양한 형상으로 성형하게 됨으로써 찻잔(40)의 모양을 다양화하여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차총(700)은 찻잔 본체(400)의 하부뿐만 아니라 찻잔 본체(400)의 내,외측 또는 손잡이(410), 찻잔 뚜껑(500), 찻잔 받침(6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1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차총(700)은 찻잔 본체(40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총(700)의 물분출구(720)는 찻잔 본체(4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될 수 있고,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물분출구(720)는 찻잔 본체(400)의 상부 입술이 닿는 부위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차총(700)은 찻잔 본체(400)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고,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차총(700)은 찻잔 본체(400)의 내측이나 손잡이(41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차총(700)이 찻잔 본체(400)의 내,외측 또는 손잡이(410)에 구비될 때, 상기 차총(700)은 개구리 형상이나 달팽이 형상, 거북이 형상 등과 같은 동물 형상, 식물 형상, 과일 형상, 곤충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차총(700)은 찻잔 뚜껑(500)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차총(700)은 찻잔 받침(60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총이 일체화된 찻잔의 사용방법은 뜨거운 물을 차총(700)에 부어서 내부가 비워져 있는 밀폐부(711)의 기압을 높이는 단계(T100)와, 상기 밀폐부(711)의 내부 기압이 높아진 상태에서 상온의 미지근한 물이나 차가운 물에 차총(700)을 담게 되면 밀폐부(711)의 내부 기압이 낮아지면서 외부의 물이 물분출구(720)의 미세한 구멍(721)을 통해 밀폐부(711)로 들어가는 단계(T200)와, 상기 밀폐부(711)에 물이 차있는 상태에서 차총 몸통(710)에 뜨거운 물을 부어 밀폐부(711)의 내부 기압을 다시 높이는 단계(T300)와, 상기 뜨거운 물에 의해 밀폐부(711)의 내부 기압이 높아지면 밀폐부(711)에 들어 있는 물이 기압차에 의해 물분출구(720)의 미세한 구멍(721)을 통해 분출되는 단계(T40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밀폐부(711)의 기압을 높이는 단계(T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뜨거운 물을 차총(700)에 부어서 밀폐부(711)의 기압을 높일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차총(700)을 뜨거운 물에 담가서 밀폐부(711)의 기압을 높일 수도 있다.
상기 물분출구(720)를 통해 물이 내뿜어질 때, 상기 물분출구(720)의 구멍(721)이 0.1 ~ 1mm 이내로 미세하게 형성됨에 따라 밀폐부(711) 내의 물이 물분출구(720)의 구멍(721)을 통해 분수처럼 내뿜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차총이 일체화된 찻잔 및 그 사용방법의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상기 찻잔 본체(400)와 찻잔 뚜껑(500)과 찻잔 받침(600)을 분리한 상태에서 차총(700)의 차총 몸통(710) 표면에 뜨거운 물을 부으면 비워져 있는 밀폐부(711)의 내부 기압이 높아지게 되며, 상기 밀폐부(711)의 내부 기압이 높아진 상태에서 차총(700)을 상온의 미지근한 물이나 차가운 물에 담가 놓으면, 밀폐부(711)의 내부 기압이 낮아지면서 외부의 물이 물분출구(720)의 미세한 구멍(721)을 통해 밀폐부(711)로 들어가서 채워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차총 몸통(710)에 뜨거운 물을 부으면 상기 밀폐부(711)의 내부 기압이 다시 높아지면서 밀폐부(711)에 채워진 물이 기압차에 의해 물분출구(720)의 구멍(721)을 통해 외부로 분출된다.
또한, 상기 밀폐부(711)의 내부 기압이 높아져 물분출구(720)의 구멍(721)으로 물이 분출될 때, 상기 물분출구(720)의 구멍(721)이 미세하게 형성됨에 따라 압력에 의해 물이 분수처럼 힘차게 내뿜어지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물분출구(720)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함으로써 밀폐부(711) 내의 물이 여러 갈래로 분출되어 심미감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찻잔(40)의 찻잔 본체(400)나 찻잔 뚜껑(500) 또는 찻잔 받침(600)에 차총(700)을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차총(700)을 통해 물이 내뿜어져 차를 마시면서 더욱 즐거운 차 생활을 즐길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40 : 찻잔 400 : 찻잔 본체
401 : 수용부 410 : 손잡이
500 : 찻잔 뚜껑 600 : 찻잔 받침
700 : 차총 710 : 차총 몸통
711 : 밀폐부 720 : 물분출구
721 : 구멍

Claims (7)

  1. 차를 담을 수 있도록 수용부(401)가 형성된 찻잔 본체(400); 상기 찻잔 본체(400)를 덮는 찻잔 뚜껑(500); 상기 찻잔 본체(400)를 받쳐주는 찻잔 받침(600)을 포함하는 찻잔(40)에 있어서,
    상기 찻잔 본체(400)의 일측에 일체화되어 내부에 물을 가둘 수 있는 밀폐부(711)가 형성된 차총 몸통(710)과, 상기 차총 몸통(710)의 밀폐부(711)와 연통되어 밀폐부(711)로 물을 주입하거나 분출시킬 수 있도록 0.1 ~ 1mm의 구멍(721)이 형성된 물분출구(720)로 이루어져 기압차에 의해 물을 내뿜을 수 있는 차총(700)이 찻잔 본체(400) 일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총이 일체화된 찻잔.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찻잔 본체(400)의 하부에 일체화된 차총(700)이 형성되어 0.1 ~ 1mm의 구멍(721)으로 물을 주입 또는 분출시킬 수 있도록 찻잔 본체(400)에 차총(70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총이 일체화된 찻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분출구(720)를 갖는 차총(700)은 동물 형상, 식물 형상, 과일 형상, 곤충 형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총이 일체화된 찻잔.
  6. 차를 담을 수 있도록 수용부(401)가 형성된 찻잔 본체(400); 상기 찻잔 본체(400)에 구비되는 손잡이(410); 상기 찻잔 본체(400)를 덮는 찻잔 뚜껑(500); 상기 찻잔 본체(400)를 받쳐주는 찻잔 받침(600)을 포함하는 찻잔(40)에 있어서,
    상기 찻잔 뚜껑(500), 찻잔 받침(600) 중 어느 하나에 일체화되어 내부에 물을 가둘 수 있는 밀폐부(711)가 형성된 차총 몸통(710)과, 상기 차총 몸통(710)의 밀폐부(711)와 연통되어 밀폐부(711)로 물을 주입하거나 분출시킬 수 있도록 0.1 ~ 1mm의 구멍(721)이 형성된 물분출구(720)로 이루어져 기압차에 의해 물을 내뿜을 수 있는 차총(700)을 더 포함하는 차총이 일체화된 찻잔.
  7. 삭제
KR1020170130454A 2017-10-11 2017-10-11 차총이 일체화된 찻잔 및 그 사용방법 KR101893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0454A KR101893175B1 (ko) 2017-10-11 2017-10-11 차총이 일체화된 찻잔 및 그 사용방법
PCT/KR2018/011877 WO2019074264A1 (ko) 2017-10-11 2018-10-10 차총이 일체화된 찻잔 및 그 사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0454A KR101893175B1 (ko) 2017-10-11 2017-10-11 차총이 일체화된 찻잔 및 그 사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3175B1 true KR101893175B1 (ko) 2018-08-29

Family

ID=63434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0454A KR101893175B1 (ko) 2017-10-11 2017-10-11 차총이 일체화된 찻잔 및 그 사용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93175B1 (ko)
WO (1) WO201907426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3230A (ko) 2021-10-14 2023-04-21 김태완 찻잔에 설치되는 차잎 거름대의 두껑부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29029A (zh) * 2021-12-17 2022-03-04 惠海勤 具有喷水功能的紫砂盖及其制作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011Y1 (ko) * 2004-12-08 2005-03-10 함정구 다기용 거름망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4803A (ja) * 1996-02-21 1997-09-02 Nakajima Cafe Honsha:Kk 蓋付きコーヒーカップ
JP2000354691A (ja) * 1999-06-15 2000-12-26 Masao Kitayama 噴水付き玩具
KR200475241Y1 (ko) * 2014-08-22 2014-11-19 유연아 유희용 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011Y1 (ko) * 2004-12-08 2005-03-10 함정구 다기용 거름망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3230A (ko) 2021-10-14 2023-04-21 김태완 찻잔에 설치되는 차잎 거름대의 두껑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74264A1 (ko) 2019-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23406S1 (en) Water and beverage making bottle
USD856730S1 (en) Combination portable beverage brewer and insulating beverage container
KR101893175B1 (ko) 차총이 일체화된 찻잔 및 그 사용방법
TW201520143A (zh) 噴流裝置
JP2019534121A (ja) 流れが最適化されたプアオーバ式コーヒー抽出システム
USD982977S1 (en) Insulating beverage container with cup
USD897767S1 (en) Combination portable pour over coffee maker and insulated beverage container
KR101874908B1 (ko) 차총이 일체화된 차호 및 그 사용방법
CN210354173U (zh) 一种防溢茶壶
CN206565700U (zh) 骨瓷滤杯
JP2526984Y2 (ja) 茶を賞味する急須
CN210446526U (zh) 一种杯子
KR200251605Y1 (ko) 필터를 구비한 보온용기
CN207855503U (zh) 一种双空腔杯子
JP3197073U (ja) ドリップ具
KR20100007554A (ko) 음료용 컵
KR20190001722U (ko) 향배출부가 구성된 컵 뚜껑
CN209499374U (zh) 一种双杯盖的茶杯
CN216089934U (zh) 一种具有东方元素的手工杯
US2480232A (en) Coffee brewer filter
CN211559096U (zh) 一种新型茶具套装
CN202874783U (zh) 一种酒杯
KR200442796Y1 (ko) 차용기
JP2006248610A (ja) 飲用容器
KR101738008B1 (ko) 천연비누 디퓨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