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2820B1 - 플랫폼 도어 구조, 플랫폼 펜스의 제조 방법 및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플랫폼 도어 구조, 플랫폼 펜스의 제조 방법 및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2820B1
KR101892820B1 KR1020160162533A KR20160162533A KR101892820B1 KR 101892820 B1 KR101892820 B1 KR 101892820B1 KR 1020160162533 A KR1020160162533 A KR 1020160162533A KR 20160162533 A KR20160162533 A KR 20160162533A KR 101892820 B1 KR101892820 B1 KR 101892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unit
platform
unit
gat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2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7650A (ko
Inventor
노부유키 후쿠다
Original Assignee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67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7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 E05Y2900/4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for railway platform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복수의 도어 유닛 중 하나로서 플랫폼 상에 설치된 제1 도어 유닛과, 제1 도어 유닛에 의한 상기 게이트 공간의 개폐 상태를 확인하는 확인 신호를, 제1 도어 유닛에 출력하는 확인 신호 생성부와, 제1 도어 유닛 및 확인 신호 생성부와 협동하여, 확인 신호 생성부를 시점 및 종점으로 하는 신호의 전달 경로를 정하는 폐루프 회로를 형성하는 리턴 회로를 구비하는 플랫폼 도어 구조를 개시한다. 상기 상태가 정상이면, 제1 도어 유닛은, 폐루프 회로를 폐쇄하고, 리턴 회로에의 확인 신호의 전달을 허용한다. 리턴 회로는, 제1 도어 유닛으로부터 수취한 확인 신호를 확인 신호 생성부로 되돌린다.

Description

플랫폼 도어 구조, 플랫폼 펜스의 제조 방법 및 설치 방법{PLATFORM DOOR STRUCTURE, INSTALLING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LATFORM FENCE}
본 발명은 플랫폼 펜스를 플랫폼 상에 설치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플랫폼 펜스는 다양한 역에서 이용되고 있다. 플랫폼 펜스는 플랫폼 상의 승객을 열차가 통과하는 궤도 공간으로부터 격리한다. 이 결과, 승객은 플랫폼 펜스에 의해 적절하게 보호된다(일본 특허 공개 제2011-20657호 공보를 참조). 열차가 정지하면, 플랫폼 펜스는 열차의 승강구 앞에서, 게이트 공간을 형성한다. 이 결과, 승객은 열차의 승강구와 게이트 공간을 통하여, 플랫폼과 열차 사이를 왕래할 수 있다.
플랫폼 펜스를 플랫폼 상에서 완성시키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몇주일 걸린다. 따라서, 승객은 미완성된 플랫폼 펜스가 설치된 플랫폼을 이용하게 된다.
플랫폼 펜스는, 플랫폼 상에서 정렬된 복수의 도어 유닛을 포함한다. 상술한 게이트 공간은, 인접하는 도어 유닛 사이에 형성된다. 게이트 공간은 플랫폼 펜스가 완성될 때까지는 개방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승객은, 미완성된 플랫폼 펜스에 의해 형성된 게이트 공간을 통하여, 플랫폼과 열차 사이를 왕래할 수 있다.
플랫폼 펜스가 완성된 후는 게이트 공간이 폐쇄된 것을 조건으로 하여, 열차가 출발한다. 게이트 공간이 폐쇄되지 않으면, 사람이 게이트 공간을 폐쇄하는 도어 사이에 끼일 가능성이 있어, 열차의 출발은 억지된다. 한편, 플랫폼 펜스가 완성되기 전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게이트 공간은 개방 상태로 유지되므로, 게이트 공간이 폐쇄 상태가 된 것을 조건으로 하는 안전 확인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안전 확인은 감시원에 의한 눈으로 봄에 의존한다. 이것은, 플랫폼 펜스의 설치 비용에 다대한 영향을 준다.
본 발명은, 플랫폼 펜스의 설치 도중에도, 게이트 공간이 폐쇄 상태가 된 것을 조건으로 하는 안전 확인을 가능하게 하여, 플랫폼 펜스의 설치 비용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플랫폼 펜스의 설치가 완료되고 나서 뿐만 아니고, 플랫폼 펜스의 설치 과정에서도 게이트 공간의 개폐 제어가 가능한 플랫폼 펜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플랫폼 펜스의 설치에 있어서, 순차 설치되어 가는 복수의 도어 유닛 각각의 구성을 고안함으로써, 게이트 공간의 개폐 상태의 효율적인 확인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관한 플랫폼 도어 구조는, 플랫폼 상에서 정렬된 복수의 도어 유닛을 사용하여, 승객의 왕래를 허용하는 게이트 공간을 형성하는 플랫폼 펜스의 일부를 형성한다. 플랫폼 도어 구조는, 상기 복수의 도어 유닛 중 하나로서 상기 플랫폼 상에 설치된 제1 도어 유닛과, 상기 제1 도어 유닛에 의한 상기 게이트 공간의 개폐 상태를 확인하는 확인 신호를, 상기 제1 도어 유닛에 출력하는 확인 신호 생성부와, 상기 제1 도어 유닛 및 상기 확인 신호 생성부와 협동하여, 상기 확인 신호 생성부를 시점 및 종점으로 하는 신호의 전달 경로를 정하는 폐루프 회로를 형성하는 리턴 회로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도어 유닛은, 상기 리턴 회로에의 상기 확인 신호의 전달을 허용한다. 상기 리턴 회로는, 상기 제1 도어 유닛으로부터 수취한 상기 확인 신호를 상기 확인 신호 생성부로 되돌린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관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플랫폼 펜스는, 플랫폼 상에서 정렬된 복수의 도어 유닛을 사용하여, 승객의 왕래를 허용하는 게이트 공간을 형성한다. 제조 방법은, 상기 복수의 도어 유닛 각각이 설치될 때마다, 상기 게이트 공간의 개폐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개폐 상태의 확인이 완료된 도어 유닛에 의한 상기 게이트 공간의 개폐 제어를 행하는 단계를, 소정수의 도어 유닛이 설치될 때까지 실행하는 공정을 마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관한 설치 방법에 의해 설치되는 플랫폼 펜스는, 플랫폼 상에서 정렬된 복수의 도어 유닛을 사용하여, 승객의 왕래를 허용하는 게이트 공간을 형성한다. 설치 방법은, 상기 복수의 도어 유닛 각각이 설치될 때마다, 상기 게이트 공간의 개폐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개폐 상태의 확인이 완료된 도어 유닛에 의한 상기 게이트 공간의 개폐 제어를 행하는 단계를, 소정수의 도어 유닛이 설치될 때까지 실행하는 공정을 마련한다.
상술한 기술은, 플랫폼 펜스의 설치 도중에도, 게이트 공간이 폐쇄 상태가 된 것을 조건으로 하는 안전 확인을 가능하게 하여, 플랫폼 펜스의 설치 비용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랫폼 펜스가 미완성이어도, 도어 유닛이 순차 설치되어 갈 때마다 형성되어 가는 게이트 공간의 개폐 제어를 행할 수 있고, 실제로 설치 완료된 도어 유닛을 이용하면서 순차 설치 작업을 진행시켜 갈 수 있어, 마지막 도어 유닛의 설치가 끝나면 즉 플랫폼 펜스를 가동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 도면에 의해, 보다 명백해진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플랫폼 도어 구조의 개념도이다.
도 2는 연장된 플랫폼 도어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연장된 플랫폼 도어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4는 플랫폼 펜스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되는 플랫폼 펜스의 제조 방법(또는 설치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의 플랫폼 도어 구조의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되는 제조 방법의 스텝 S120 중의 플랫폼 도어 구조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되는 제조 방법의 스텝 S120 중의 플랫폼 도어 구조를 나타낸다.
도 9는 제3 실시 형태의 리턴 회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0은 제4 실시 형태의 플랫폼 도어 구조의 개념도이다.
도 11은 플랫폼 펜스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플랫폼 펜스의 개략도이다(제5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
플랫폼 펜스를 플랫폼 상에서 완성시키는데, 일반적으로 몇주일 걸린다. 따라서, 승객은 미완성된 플랫폼 펜스를 통하여 열차에 올라타게 된다. 혹은, 승객은, 미완성된 플랫폼 펜스를 통하여 열차로부터 내리게 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플랫폼 도어 구조」라는 용어는, 미완성된 플랫폼 펜스(일부의 도어 유닛이 아직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게이트 공간이 폐쇄 상태가 된 것을 조건으로 하는 안전 확인을 가능하게 하는 예시적인 플랫폼 도어 구조가 설명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플랫폼 도어 구조(100)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플랫폼 도어 구조(100)가 설명된다.
도 1은 도어 유닛(210, 220, 230, 240, 25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플랫폼 펜스는, 도어 유닛(210, 220, 230, 240, 250)이 플랫폼(도시하지 않음) 상에서 정렬함으로써 완성된다. 도 1은 도어 유닛(210, 220)이 플랫폼 상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한편, 도어 유닛(230, 240, 250)이 플랫폼에 고정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도어 유닛(210, 220, 230, 240, 250)은, 구조적으로 동일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플랫폼 펜스는 5개의 도어 유닛(210, 220, 230, 240, 250)을 포함한다. 대체적으로, 플랫폼 펜스는, 5개 미만의 도어 유닛을 포함해도 된다. 또한 대체적으로, 플랫폼 펜스는 5개를 초과하는 수의 도어 유닛을 포함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원리는 플랫폼 펜스가 몇개의 도어 유닛을 포함할지에 의해서는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되는 플랫폼 도어 구조(100)는, 상술한 도어 유닛(210, 220)을 구비한다. 플랫폼 도어 구조(100)는, 제어반(300)과, 리턴 회로(400)를 더 구비한다. 게이트 공간 GSP는 도어 유닛(210, 220) 사이에 형성된다. 승객은, 게이트 공간 GSP를 통하여, 열차와 플랫폼 사이에서 왕래할 수 있다.
제어반(300)은 입력 회로(340)를 포함한다. 입력 회로(340)는 제어반(300), 도어 유닛(210, 220) 및 리턴 회로(400)에 걸쳐지는 폐루프 회로(600)의 일부를 형성한다.
입력 회로(340)는 게이트 공간 GSP가, 도어 유닛(210, 220)에 의해 완전히 폐쇄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 신호를 생성한다. 확인 신호는, 그 후, 제어반(300)으로부터 출력된다. 도어 유닛(210, 220)이, 게이트 공간 GSP를 완전히 폐쇄하고 있으면, 확인 신호는, 폐루프 회로(600)를 통하여, 제어반(300)으로 되돌릴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반(300)은 도어 유닛(210, 220)이 게이트 공간 GSP를 완전히 폐쇄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반(300)이, 확인 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면, 제어반(300)은 도어 유닛(210, 220)이 게이트 공간 GSP를 완전히 폐쇄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반(300)은 열차의 출발을 억제하기 위한 다양한 처리(예를 들어, 경고음의 발생)를 실행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원리는, 도어 유닛(210, 220)이 게이트 공간 GSP를 완전히 폐쇄하고 있지 않을 때의 제어반(300)의 특정한 처리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확인 신호 생성부는 제어반(300)에 의해 예시된다. 제1 도어 유닛은, 도어 유닛(220)에 의해 예시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도어 유닛으로서 예시되는 도어 유닛(220)은 확인 신호 생성부로서 예시되는 제어반(300)으로부터 확인 신호를 직접 수신한다. 대체적으로, 제1 도어 유닛은, 확인 신호를 확인 신호 생성부로부터 간접적으로 수취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원리는, 제1 도어 유닛이 확인 신호 생성부로부터 어떻게 확인 신호를 수취할지에 의해서는 한정되지 않는다.
확인 신호는, 제어반(300)에 대한 수동 조작에 따라 생성되어도 된다. 대체적으로, 확인 신호는, 열차의 동작(예를 들어, 열차 도어 개폐)과 연동하여 생성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원리는 확인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특정한 신호 생성 기술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어 유닛(210)은 스위치(214)를 구비한다. 도어 유닛(220)은 스위치(224)를 구비한다. 제어반(300)의 입력 회로(340)와 마찬가지로, 도어 유닛(210, 220)의 스위치(214, 224)는, 폐루프 회로(600)의 일부를 형성한다. 스위치(214)는 신호선에 의해 제어반(300)의 입력 회로(340)와 도어 유닛(220)의 스위치(22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스위치(224)는, 신호선에 의해 도어 유닛(210)의 스위치(214)와 리턴 회로(400)에 접속된다.
도어 유닛(210)은 게이트 공간 GSP가 완전히 개방되는 개방 위치와 게이트 공간 GSP가 완전히 폐쇄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변위하는 도어(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도어 유닛(210)의 도어가 폐쇄 위치에 도달했을 때, 스위치(214)는, 폐쇄된다. 이 경우, 제어반(300)으로부터 도어 유닛(210)으로 전달된 확인 신호는, 도어 유닛(210)으로부터 도어 유닛(220)으로 재차 전달된다. 도어 유닛(210)의 도어가 폐쇄 위치에 도달하지 않으면, 스위치(214)는 개방된 상태이다. 이 경우, 확인 신호의 전달은, 도어 유닛(210)에 의해 중단되므로, 제어반(300)은 확인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다. 이 결과, 제어반(300)은 게이트 공간 GSP가 완전히 폐쇄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할 수 있다.
도어 유닛(210)과 마찬가지로, 도어 유닛(220)은 게이트 공간 GSP가 완전히 개방되는 개방 위치와 게이트 공간 GSP가 완전히 폐쇄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변위하는 도어(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도어 유닛(220)의 도어가 폐쇄 위치에 도달했을 때, 스위치(224)는 폐쇄된다. 이 경우, 도어 유닛(210)으로부터 도어 유닛(220)으로 전달된 확인 신호는, 도어 유닛(220)으로부터 리턴 회로(400)로 재차 전달된다. 확인 신호는, 그 후, 리턴 회로(400)를 통하여, 제어반(300)으로 되돌릴 수 있다. 이 결과, 제어반(300)은 게이트 공간 GSP가 완전히 폐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어 유닛(220)의 도어가 폐쇄 위치에 도달하지 않으면, 스위치(224)는 개방된 상태이다. 이 경우, 확인 신호의 전달은, 도어 유닛(220)에 의해 중단되므로, 제어반(300)은 확인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다. 이 결과, 제어반(300)은 게이트 공간 GSP가 완전히 폐쇄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할 수 있다.
스위치(214, 224) 각각은, 도어 유닛(210, 220)의 도어 각각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예를 들어, 근접 스위치: 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폐쇄되어도 된다. 도어 유닛(210, 220) 각각의 도어가 폐쇄 위치에 도달하면, 근접 스위치는 트리거 신호를 생성한다. 스위치(214, 224)는 트리거 신호에 따라 폐쇄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원리는 스위치(214, 224)를 작동시키기 위한 특정한 신호 기술에 한정되지 않는다.
리턴 회로(400)는 입력 포트(410)와 출력 포트(420)를 포함한다. 리턴 회로(400)의 입력 포트(410)는 신호선에 의해 도어 유닛(220)의 스위치(22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리턴 회로(400)의 출력 포트(420)는 다른 또 하나의 신호선에 의해, 제어반(300)의 입력 회로(3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리턴 회로(400)는 제어반(300) 및 도어 유닛(210, 220)과 협동하여, 제어반(300)을 시점 및 종점으로 하는 신호의 전달 경로를 정하는 폐루프 회로(600)를 형성할 수 있다.
도어 유닛(210, 220) 중 적어도 한쪽 도어가 폐쇄 위치에 도달하고 있지 않으면, 리턴 회로(400)는 확인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다. 이 결과, 제어반(300)도, 확인 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므로, 제어반(300)은 게이트 공간 GSP가 완전히 폐쇄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할 수 있다.
도어 유닛(210, 220)의 도어 각각이 폐쇄 위치에 도달하고 있으면, 확신 신호는 리턴 회로(400)의 입력 포트(410)에 입력된다. 그 후, 확인 신호는, 리턴 회로(400)의 출력 포트(420)를 통하여, 제어반(300)으로 되돌릴 수 있다. 이 결과, 제어반(300)은 게이트 공간 GSP가 완전히 폐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연장된 플랫폼 도어 구조(100)의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플랫폼 도어 구조(100)가 다시 설명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 펜스를 설치하는 작업자는 도어 유닛(230)을 도어 유닛(220)의 옆에 배치할 수 있다. 이 결과, 게이트 공간 GSP는, 도어 유닛(210, 220)의 사이뿐만 아니라, 도어 유닛(220, 230)의 사이에도 형성된다.
도어 유닛(220)은 한 쌍의 도어(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한 쌍의 도어 중 한쪽은 도어 유닛(210, 220) 사이의 게이트 공간 GSP를 개폐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한 쌍의 도어 중 다른 쪽은, 도어 유닛(220, 230) 사이의 게이트 공간 GSP를 개폐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도어 유닛(230)이 설치될 때, 플랫폼 펜스를 설치하는 작업자는 도어 유닛(220)의 구동 설정을 변경해도 된다. 이 결과, 도어 유닛(220)은 도어 유닛(210, 220) 사이의 게이트 공간 GSP를, 도어 유닛(210)과 협동하여 개폐할 뿐만 아니라, 도어 유닛(220, 230) 사이의 게이트 공간 GSP를, 도어 유닛(230)과 협동하여 개폐한다. 도어 유닛(220)의 스위치(224)는, 한 쌍의 도어가 모두, 폐쇄 위치에 도달했을 때에 폐쇄된다. 한 쌍의 도어 중 적어도 한쪽이, 폐쇄 위치에 도달하고 있지 않으면, 도어 유닛(220)의 스위치(224)는 개방된 상태이다.
도어 유닛(210, 220)과 마찬가지로, 도어 유닛(230)은 스위치(234)와 도어(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도어 유닛(210, 220)의 도어와 마찬가지로, 도어 유닛(230)의 도어는, 도어 유닛(220, 230) 사이의 게이트 공간 GSP가 완전히 개방되는 개방 위치와 게이트 공간 GSP가 완전히 폐쇄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변위한다.
도어 유닛(230)의 스위치(234)는, 도어 유닛(220)의 스위치(224)와 리턴 회로(400)의 입력 포트(410)에 신호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어 유닛(210, 220)의 도어가 모두 폐쇄 위치에 도달하고 있으면(즉, 스위치(214, 224)가 폐쇄되어 있으면), 도어 유닛(230)의 스위치(234)는 확인 신호를 도어 유닛(220)의 스위치(224)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어 유닛(210, 220)의 스위치(214, 224)와 마찬가지로, 도어 유닛(230)의 도어가 폐쇄 위치에 도달했을 때, 스위치(234)는 폐쇄된다. 이 경우, 도어 유닛(220)으로부터 도어 유닛(230)으로 전달된 확인 신호는, 도어 유닛(230)으로부터 리턴 회로(400)에 재차 전달된다. 확인 신호는, 그 후 리턴 회로(400)를 통하여, 제어반(300)으로 되돌릴 수 있다. 이 결과, 제어반(300)은 게이트 공간 GSP가 완전히 폐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어 유닛(230)의 도어가 폐쇄 위치에 도달하지 않으면, 스위치(234)는 개방된 상태이다. 이 경우, 확인 신호의 전달은, 도어 유닛(230)에 의해 중단되므로, 제어반(300)은 확인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다. 이 결과, 제어반(300)은 게이트 공간 GSP가 완전히 폐쇄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할 수 있다.
리턴 회로(400)의 입력 포트(410)는 신호선에 의해, 도어 유닛(230)의 스위치(23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리턴 회로(400)의 출력 포트(420)는 다른 또 하나의 신호선에 의해 제어반(300)의 입력 회로(3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리턴 회로(400)는 제어반(300) 및 도어 유닛(210, 220, 230)과 협동하여, 제어반(300)을 시점 및 종점으로 하는 신호의 전달 경로를 정하는 폐루프 회로(600)를 형성할 수 있다.
도어 유닛(210, 220, 230) 중 적어도 하나의 도어가 폐쇄 위치에 도달하고 있지 않으면, 리턴 회로(400)는 확인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다. 이 결과, 제어반(300)도, 확인 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므로, 제어반(300)은 게이트 공간 GSP가 완전히 폐쇄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할 수 있다.
도어 유닛(210, 220, 230)의 도어 각각이 폐쇄 위치에 도달하고 있으면, 확인 신호는, 리턴 회로(400)의 입력 포트(410)에 입력된다. 그 후, 확인 신호는, 리턴 회로(400)의 출력 포트(420)를 통하여 제어반(300)으로 되돌릴 수 있다. 이 결과, 제어반(300)은 게이트 공간 GSP가 완전히 폐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연장된 플랫폼 도어 구조(100)의 개략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플랫폼 도어 구조(100)가 다시 설명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 펜스를 설치하는 작업자는, 도어 유닛(240)을 도어 유닛(230)의 옆에 배치할 수 있다. 이 결과, 게이트 공간 GSP는, 도어 유닛(210, 220) 사이, 도어 유닛(220, 230) 사이 및 도어 유닛(230, 240) 사이에 형성된다.
도어 유닛(230)은 한 쌍의 도어(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한 쌍의 도어 중 한쪽은, 도어 유닛(220, 230) 사이의 게이트 공간 GSP를 개폐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한 쌍의 도어 중 다른 쪽은, 도어 유닛(230, 240) 사이의 게이트 공간 GSP를 개폐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도어 유닛(240)이 설치될 때, 플랫폼 펜스를 설치하는 작업자는 도어 유닛(230)의 구동 설정을 변경해도 된다. 이 결과, 도어·유닛(230)은 도어 유닛(220, 230) 사이의 게이트 공간 GSP를 도어 유닛(220)과 협동하여 개폐할 뿐만 아니라, 도어 유닛(230, 240) 사이의 게이트 공간 GSP를 도어 유닛(240)과 협동하여 개폐한다. 도어 유닛(230)의 스위치(234)는, 한 쌍의 도어가 모두, 폐쇄 위치에 도달했을 때에 폐쇄된다. 한 쌍의 도어 중 적어도 한쪽이 폐쇄 위치에 도달하고 있지 않으면, 도어 유닛(230)의 스위치(234)는 개방된 상태이다.
도어 유닛(210, 220, 230)과 마찬가지로, 도어 유닛(240)은 스위치(244)와 도어(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도어 유닛(210, 220, 230)의 도어와 마찬가지로, 도어 유닛(240)의 도어는, 도어 유닛(230, 240) 사이의 게이트 공간 GSP가 완전히 개방되는 개방 위치와 게이트 공간 GSP가 완전히 폐쇄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변위한다.
도어 유닛(240)의 스위치(244)는, 도어 유닛(230)의 스위치(234)와 리턴 회로(400)의 입력 포트(410)에, 신호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어 유닛(210, 220, 230) 각각의 도어가 폐쇄 위치에 도달하고 있으면(즉, 스위치(214, 224, 234)가 폐쇄되어 있으면), 도어 유닛(240)의 스위치(244)는, 확인 신호를 도어 유닛(230)의 스위치(234)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어 유닛(210, 220, 230)의 스위치(214, 224, 234)와 마찬가지로, 도어 유닛(240)의 도어가 폐쇄 위치에 도달했을 때, 스위치(244)는 폐쇄된다. 이 경우, 도어 유닛(230)으로부터 도어 유닛(240)으로 전달된 확인 신호는, 도어 유닛(240)으로부터 리턴 회로(400)로 재차 전달된다. 확인 신호는, 그 후 리턴 회로(400)를 통하여, 제어반(300)으로 되돌릴 수 있다. 이 결과, 제어반(300)은 게이트 공간 GSP가 완전히 폐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어 유닛(240)의 도어가 폐쇄 위치에 도달하지 않으면, 스위치(244)는 개방된 상태이다. 이 경우, 확인 신호의 전달은, 도어 유닛(240)에 의해 중단되므로, 제어반(300)은 확인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다. 이 결과, 제어반(300)은 게이트 공간 GSP가 완전히 폐쇄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할 수 있다.
리턴 회로(400)의 입력 포트(410)는 신호선에 의해, 도어 유닛(240)의 스위치(24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리턴 회로(400)의 출력 포트(420)는 다른 또 하나의 신호선에 의해 제어반(300)의 입력 회로(3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리턴 회로(400)는 제어반(300) 및 도어 유닛(210, 220, 230, 240)과 협동하여, 제어반(300)을 시점 및 종점으로 하는 신호의 전달 경로를 정하는 폐루프 회로(600)를 형성할 수 있다.
도어 유닛(210, 220, 230, 240) 중 적어도 하나의 도어가 폐쇄 위치에 도달하고 있지 않으면, 리턴 회로(400)는 확인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다. 이 결과, 제어반(300)도, 확인 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므로, 제어반(300)은 게이트 공간 GSP가 완전히 폐쇄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할 수 있다.
도어 유닛(210, 220, 230, 240)의 도어 각각이 폐쇄 위치에 도달하고 있으면, 확인 신호는, 리턴 회로(400)의 입력 포트(410)에 입력된다. 그 후, 확인 신호는, 리턴 회로(400)의 출력 포트(420)를 통하여, 제어반(300)으로 되돌릴 수 있다. 이 결과, 제어반(300)은 게이트 공간 GSP가 완전히 폐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플랫폼 펜스(500)의 개략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플랫폼 펜스(500)가 설명된다.
작업자는 도어 유닛(250)을 도어 유닛(240)의 옆에 배치하여, 플랫폼 펜스(500)를 완성시킨다. 게이트 공간 GSP는, 도어 유닛(210, 220) 사이, 도어 유닛(220, 230) 사이, 도어 유닛(230, 240) 사이 및 도어 유닛(240, 250) 사이에 형성된다.
도어 유닛(240)은 한 쌍의 도어(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한 쌍의 도어 중 한쪽은, 도어 유닛(230, 240) 사이의 게이트 공간 GSP를 개폐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한 쌍의 도어 중 다른 쪽은, 도어 유닛(240, 250) 사이의 게이트 공간 GSP를 개폐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도어 유닛(250)이 설치될 때, 플랫폼 펜스(500)를 설치하는 작업자는, 도어 유닛(240)의 구동 설정을 변경해도 된다. 이 결과, 도어 유닛(240)은 도어 유닛(230, 240) 사이의 게이트 공간 GSP를, 도어 유닛(230)과 협동하여 개폐할 뿐만 아니라, 도어 유닛(240, 250) 사이의 게이트 공간 GSP를, 도어 유닛(250)과 협동하여 개폐한다. 도어 유닛(240)의 스위치(244)는, 한 쌍의 도어가 모두, 폐쇄 위치에 도달했을 때에 폐쇄된다. 한 쌍의 도어 중 적어도 한쪽이, 폐쇄 위치에 도달하고 있지 않으면, 도어 유닛(240)의 스위치(244)는 개방된 상태이다.
도어 유닛(210, 220, 230, 240)과 마찬가지로, 도어 유닛(250)은 스위치(254)와 도어(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도어 유닛(210, 220, 230, 240)의 도어와 마찬가지로, 도어 유닛(250)의 도어는, 도어 유닛(240, 250) 사이의 게이트 공간 GSP가 완전히 개방되는 개방 위치와 게이트 공간 GSP가 완전히 폐쇄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변위한다.
도어 유닛(250)의 스위치(254)는, 도어 유닛(240)의 스위치(244)와 제어반(300)의 입력 회로(340)에 신호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어 유닛(210, 220, 230, 240) 각각의 도어가 폐쇄 위치에 도달하고 있으면(즉, 스위치(214, 224, 234, 244)가 폐쇄되어 있으면), 도어 유닛(250)의 스위치(254)는 확인 신호를 도어 유닛(240)의 스위치(244)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어 유닛(210, 220, 230, 240)의 스위치(214, 224, 234, 244)와 마찬가지로, 도어 유닛(250)의 도어가 폐쇄 위치에 도달했을 때, 스위치(254)는 폐쇄된다. 이 경우, 도어 유닛(240)으로부터 도어 유닛(250)으로 전달된 확인 신호는, 도어 유닛(240)으로부터 제어반(300)으로 되돌릴 수 있다. 이 결과, 제어반(300)은 게이트 공간 GSP가 완전히 폐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어 유닛(250)의 도어가 폐쇄 위치에 도달하지 않으면, 스위치(254)는 개방된 상태이다. 이 경우, 확인 신호의 전달은, 도어 유닛(250)에 의해 중단되므로, 제어반(300)은 확인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다. 이 결과, 제어반(300)은 게이트 공간 GSP가 완전히 폐쇄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할 수 있다.
도 5는 플랫폼 펜스(500)의 제조 방법(또는 설치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플랫폼 펜스(500)의 제조 방법이 설명된다.
(스텝 S110)
플랫폼 펜스(500)를 플랫폼(도시하지 않음) 상에 설치하는 작업자는, 폐루프 회로(600)를 형성하고, 플랫폼 도어 구조(100)를 구축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플랫폼 도어 구조(100)의 폐루프 회로(600)는 도어 유닛(210, 220), 제어반(300) 및 리턴 회로(40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플랫폼 도어 구조(100)의 폐루프 회로(600)는 도어 유닛(210, 220, 230), 제어반(300) 및 리턴 회로(400)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플랫폼 도어 구조(100)의 폐루프 회로(600)는 도어 유닛(210, 220, 230, 240), 제어반(300) 및 리턴 회로(400)를 포함한다. 폐루프 회로(600)의 형성 및 후, 스텝 S120이 실행된다.
(스텝 S120)
작업자는 새로운 도어 유닛을 폐루프 회로(600)에 내장한다. 스텝 S110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되는 플랫폼 도어 구조(100)가 형성되어 있으면, 작업자는, 도어 유닛(220)과 리턴 회로(400)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을 해제한다. 작업자는, 그 후, 적절한 신호선을 사용하여, 도어 유닛(230)을 도어 유닛(220)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적절한 신호선을 사용하여, 리턴 회로(400)를 도어 유닛(230)에 전기적으로 접속해도 된다. 대체적으로, 작업자는, 도어 유닛(220)과 리턴 회로(400)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의 해제 후, 도어 유닛(230, 240)을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작업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절한 신호선을 사용하여, 도어 유닛(230)을, 도어 유닛(220)과 도어 유닛(240)에 전기적으로 접속해도 된다. 그 외에, 작업자는, 적절한 신호선을 사용하여, 도어 유닛(240)을 리턴 회로(400)에 전기적으로 접속해도 된다. 또한 대체적으로, 작업자는, 도어 유닛(220)과 리턴 회로(400)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의 해제 후, 도어 유닛(230, 240, 250)을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작업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절한 신호선을 사용하여, 도어 유닛(230)을 도어 유닛(220, 240)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면서, 또한 도어 유닛(240)을 도어 유닛(250)에 전기적으로 접속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랫폼 상에 새롭게 설치된 도어 유닛은, 플랫폼 상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도어 유닛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므로, 새로운 도어 유닛이 설치될 때마다, 새롭게 설치된 도어 유닛을 포함하는 폐루프 회로(600)가 형성되게 된다. 제어반(300)이, 새로운 폐루프 회로(600)에 확인 신호를 출력하면, 플랫폼 도어 구조가 포함하는 도어 유닛에 의한 게이트 공간 GSP의 개폐 상태가 확인된다. 이 결과, 작업자는 도어 유닛이 적절하게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 후, 게이트 공간 GSP는, 제어반(300)의 제어 하에서, 개방되거나, 폐쇄되거나 한다. 이 결과, 승객은, 플랫폼 펜스(500)이 완성되기 전에도, 플랫폼 도어 구조(100)에 의해 형성된 게이트 공간 GSP를 왕래할 수 있다. 새로운 도어 유닛의 추가, 새로운 폐루프 회로(600)의 형성 및 게이트 공간 GSP의 개폐 상태의 확인과 같은 일련의 작업 후, 스텝 S130이 실행된다.
(스텝 S130)
스텝 S120에 있어서,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되는 플랫폼 도어 구조(100)가 얻어지고 있으면, 스텝 S120이 다시 실행된다. 스텝 S120에 있어서, 도 4에 도시되는 플랫폼 펜스(500)가 얻어지면, 작업자는 설치 공사를 종료한다.
설치 작업은, 통상 막차부터 시발 사이에 행하여지지만, 그 동안 1개의 도어 유닛이 설치된다고만 할 수 없고, 복수의 도어 유닛(예를 들어 2개)이 설치되는 경우가 있고, 그러한 경우에는 개개의 도어 유닛이 설치될 때마다 개폐 상태의 확인 등의 작업을 행해도 되지만, 그 날에 설치된 복수의 도어 유닛을 통합하여 개폐 상태의 확인 등의 일련의 작업을 행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에 관련하여 설명된 기술은, 작업자가, 리턴 회로를 플랫폼 상에 설치된 도어 유닛의 근처에 배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제1 실시 형태의 기술에 의하면, 작업자는 도어 유닛을 추가할 때마다, 리턴 회로를 이설할 필요가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작업자가 리턴 회로를 이설하지 않고, 도어 유닛을 폐루프 회로에 추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설명된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의 플랫폼 도어 구조(100A)의 개념도이다. 도 2,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플랫폼 도어 구조(100A)가 설명된다.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설명은, 동일한 부호가 부여된 요소에 원용된다.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플랫폼 도어 구조(100A)는 도어 유닛(210, 220)과, 제어반(300)을 구비한다. 제1 실시 형태의 설명은, 이들 요소에 원용된다.
작업자는, 도어 유닛(230, 240, 250)을, 플랫폼 도어 구조(100A)에 추가하고,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플랫폼 펜스(500)를 플랫폼 상에 구축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설명은, 도어 유닛(230, 240, 250)에 원용된다.
플랫폼 도어 구조(100A)는, 리턴 회로(400A)와, 신호선(110)을 더 구비한다. 리턴 회로(400A)는, 도어 유닛(250)의 설치 예정 영역 내 또는 설치 예정 영역의 근처에 배치된다. 도어 유닛(250)은 도어 유닛(210, 220, 230, 240, 250) 중에서 마지막으로 플랫폼(도시하지 않음) 상에 고정 설치된다. 대체적으로, 도어 유닛(250)은 플랫폼 펜스의 말단에 배치되는 장치로서 정의되어도 된다. 리턴 회로(400A)는, 도 2에 도시되는 리턴 회로(400)와 기능적으로 공통된다. 따라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리턴 회로(400)와 마찬가지로, 리턴 회로(400A)는, 입력 포트(410)와, 출력 포트(420)를 포함한다. 신호선(110)은 도어 유닛(220)의 스위치(224)와 리턴 회로(400A)의 입력 포트(410)에 접속된다. 리턴 회로(400A)의 출력 포트(420)는 적절한 신호선에 의해, 제어반(300)의 입력 회로(340)에 접속된다. 따라서, 신호선(110), 도어 유닛(210, 220), 제어반(300) 및 리턴 회로(400A)는, 폐루프 회로(600A)를 형성한다(스텝 S110: 도 5를 참조).
도 7 및 도 8은 스텝 S120(도 5를 참조) 중의 플랫폼 도어 구조(100A)를 나타낸다. 도 4, 도 5 및 도 7을 참조하여, 플랫폼 도어 구조(100A)가 다시 설명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 S120에 있어서, 작업자는 신호선(110)을 절단하여, 절단 단부 CE1, CE2, CE3, CE4를 형성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도어 유닛(230, 240)을 플랫폼(도시하지 않음) 상에 고정 설치한다. 그 후, 작업자는 추가의 신호선(111)을 절단 단부 CE1과, 도어 유닛(230)의 스위치(234)에 접속한다. 작업자는 추가의 신호선(112)을 절단 단부 CE2와, 도어 유닛(230)의 스위치(234)에 접속한다. 작업자는 추가의 신호선(113)을, 절단 단부 CE3과, 도어 유닛(240)의 스위치(244)에 접속한다. 작업자는 추가의 신호선(114)을 절단 단부 CE4와, 도어 유닛(240)의 스위치(244)에 접속한다. 이 결과, 새로운 폐루프 회로(600A)가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작업자는 리턴 회로(400A)를 폐루프 회로(600A)로부터 제거한다. 작업자는 리턴 회로(400A) 대신에, 도어 유닛(250)을 폐루프 회로(600A)에 내장한다. 이 결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플랫폼 펜스(500)가 형성된다.
<제3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에 관련하여 설명된 리턴 회로는, 입력된 신호를 그대로 출력하는 기능만을 가져도 된다. 따라서, 리턴 회로는, 매우 간소한 회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리턴 회로의 예시적인 회로 구조가 설명된다.
도 9는 제3 실시 형태의 리턴 회로(430)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 도 6 및 도 9를 참조하여, 리턴 회로(430)가 설명된다.
리턴 회로(43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리턴 회로(400) 또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리턴 회로(400A)로서 이용 가능하다. 리턴 회로(430)는 기판(431)과, 프린트층(432)을 포함한다. 프린트층(432)은 기판(431) 위에 형성된다.
프린트층(432)은 제1 접촉부(433)와, 제2 접촉부(434)와, 접속선부(435)를 포함한다. 제1 접촉부(433)는 입력 포트(410)(도 1을 참조)에 접속된 신호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2 접촉부(434)는 출력 포트(420)(도 1을 참조)에 접속된 신호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접속선부(435)는 제1 접촉부(433)와 제2 접촉부(434) 사이에서 연장된다. 따라서, 입력 포트(410)에 접속된 신호선을 통하여 전달된 신호는 제1 접촉부(433)에 입력된다. 그 후, 신호는 접속선부(435)를 통하여 제2 접촉부(434)로부터 출력된다.
<제4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에 관련하여 설명된 리턴 회로는 도어 유닛 밖에 배치된다. 대체적으로, 리턴 회로는 도어 유닛 내에 배치되어도 된다. 리턴 회로가 도어 유닛 내에 배치되면, 리턴 회로는 도어 유닛에 의해 적절하게 보호된다.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어 유닛 내에 배치된 리턴 회로를 구비하는 플랫폼 도어 구조가 설명된다.
도 10은 제4 실시 형태의 플랫폼 도어 구조(100B)의 개념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플랫폼 도어 구조(100B)가 설명된다.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설명은, 동일한 부호가 부여된 요소에 원용된다.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플랫폼 도어 구조(100B)는 제어반(300)을 구비한다. 제1 실시 형태의 설명은, 제어반(300)에 원용된다.
플랫폼 도어 구조(100B)는 도어 유닛(210B, 220B, 230B, 240B)을 더 구비한다.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게이트 공간 GSP는, 도어 유닛(210B, 220B) 사이, 도어 유닛(220B, 230B) 사이 및 도어 유닛(230B, 240B) 사이에 형성된다.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도어 유닛(210B, 220B, 230B, 240B)은 스위치(214, 224, 234, 244)를 각각 구비한다. 제1 실시 형태의 설명은, 스위치(214, 224, 234, 244) 각각에 원용된다.
플랫폼 도어 구조(100B)는, 리턴 회로(401, 402, 403, 404)를 더 구비한다. 리턴 회로(401, 402, 403, 404)는, 도어 유닛(210B, 220B, 230B, 240B) 내에 각각 배치된다. 따라서, 리턴 회로(401, 402, 403, 404)는, 도어 유닛(210B, 220B, 230B, 240B)에 의해 적절하게 보호된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 리턴 회로(430)는 리턴 회로(401, 402, 403, 404) 각각으로서 이용 가능하다. 따라서, 제3 실시 형태의 설명은, 리턴 회로(401, 402, 403, 404) 각각에 원용된다.
제어반(300)의 입력 회로(340), 도어 유닛(210B, 220B, 230B, 240B)의 스위치(214, 224, 234, 244) 및 도어 유닛(240B) 내에 배치된 리턴 회로(404)는, 폐루프 회로(600B)를 형성하는 한편, 도어 유닛(210B, 220B, 230B)의 리턴 회로(401, 402, 403)는, 폐루프 회로(600B)를 형성하지 않는다(즉, 리턴 회로(401, 402, 403)는 폐루프 회로(600B)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음).
제어반(300)으로부터 가장 떨어진 도어 유닛(240B) 내에 배치된 리턴 회로(404)는, 입력 포트(414)와 출력 포트(424)를 포함한다. 리턴 회로(404)의 입력 포트(414)는, 도어 유닛(240B)의 스위치(24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리턴 회로(404)의 출력 포트(424)는, 제어반(300)의 입력 회로(3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어 유닛(210B, 220B, 230B)이 게이트 공간 GSP를 적절하게 폐쇄하면, 스위치(214, 224, 234)는 폐쇄된다. 이때, 제어반(300)으로부터 출력된 확인 신호는, 도어 유닛(210B, 220B, 230B, 240B)으로 순차 전달된다. 도어 유닛(210B, 220B, 230B) 중 적어도 하나가 게이트 공간 GSP를 적절하게 폐쇄하지 않고 있으면, 확인 신호는, 도어 유닛(240B)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이 경우, 제어반(300)은 플랫폼 도어 구조(100B)가, 3개의 게이트 공간 GSP 중 적어도 하나를 적절하게 폐쇄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할 수 있다.
도어 유닛(240B)이, 도어 유닛(230B, 240B) 사이의 게이트 공간 GSP를 적절하게 폐쇄하면, 도어 유닛(240B)의 스위치(244)는 폐쇄된다. 이때, 확인 신호가, 도어 유닛(230B)으로부터 도어 유닛(240B)으로 전달되면, 확인 신호는, 리턴 회로(404)의 입력 포트(414)에 입력된다. 확인 신호는, 그 후, 리턴 회로(404)의 출력 포트(424)를 통하여, 제어반(300)으로 되돌려진다. 이 결과, 제어반(300)은 플랫폼 도어 구조(100B)에 의해 형성된 모든 게이트 공간 GSP가 적절하게 폐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어 유닛(240B)이, 도어 유닛(230B, 240B) 사이의 게이트 공간 GSP를 적절하게 폐쇄하지 않으면, 도어 유닛(240B)의 스위치(244)는 개방된 상태이다. 확인 신호의 전달은, 도어 유닛(240B)의 스위치(244)에 의해 중단되므로, 확인 신호는, 제어반(300)으로 되돌려지지 않는다. 이 경우, 제어반(300)은 플랫폼 도어 구조(100B)가, 3개의 게이트 공간 GSP 중 적어도 하나를 적절하게 폐쇄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할 수 있다.
도 11은 플랫폼 펜스(500B)의 개략도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플랫폼 펜스(500B)가 설명된다.
플랫폼 펜스(500B)는 도어 유닛(250B)을 구비한다. 도어 유닛(210B, 220B, 230B, 240B, 250B)은 구조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도어 유닛(210B, 220B, 230B, 240B)과 마찬가지로, 도어 유닛(250B) 내에는 리턴 회로(405)가 배치된다. 그러나, 리턴 회로(405)는 폐루프 회로(600B)의 형성에 기여하지 않아도 된다.
도어 유닛(250B)은 스위치(254)를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스텝 S110에 있어서, 작업자는, 도어 유닛(250B)을 도어 유닛(240B)의 옆에 배치한다. 이때, 작업자는, 도어 유닛(240B) 내에 배치된 리턴 회로(404)로부터 연장되는 신호선을 제거하는 한편, 다른 신호선을 사용하여, 도어 유닛(240B)의 스위치(244)를 도어 유닛(250B)의 스위치(254)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게다가, 작업자는, 다른 신호선을 사용하여, 도어 유닛(250B)의 스위치(254)를, 제어반(300)의 입력 회로(340)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 결과, 폐루프 회로(600B) 및 플랫폼 펜스(500B)가 완성된다.
4개의 게이트 공간 GSP 모두가 적절하게 폐쇄되어 있으면, 스위치(214, 224, 234, 244, 254)는 폐쇄된다. 이 경우, 제어반(300)이 생성한 확인 신호는, 폐루프 회로(600B)를 한바퀴 돌아, 제어반(300)으로 되돌릴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반(300)은 플랫폼 도어 구조(100B)가, 4개의 게이트 공간 GSP 모두를 적절하게 폐쇄하고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한편, 4개의 게이트 공간 GSP 중 적어도 하나가 폐쇄되어 있지 않으면, 확인 신호의 전달은 중단된다. 제어반(300)은 확인 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므로, 제어반(300)은 4개의 게이트 공간 GSP 중 적어도 1개가 폐쇄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도어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는, 확인 신호의 전달에 사용된 폐루프 회로와는 다른 신호 전달 경로를 통하여 전달되어도 된다.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어 신호의 전달을 위하여 사용되는 예시적인 신호 전달 경로가 설명된다.
도 12는 플랫폼 펜스(500)의 개략도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플랫폼 펜스(500)가 설명된다.
제어반(300)은 도어 유닛(210, 220, 230, 240, 250)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회로(350)를 구비한다. 제어 신호는, 출력 회로(350)로부터 도어 유닛(210, 220, 230, 240, 250) 각각으로 전달된다. 제어 신호의 전달은, 패러렐 통신 방식이어도 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유닛(210, 220, 230, 240, 250) 각각은, 포토커플러나 접지를 갖는다. 출력 회로(350)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신호선 중 한쪽은 도어 유닛(210, 220, 230, 240, 250) 각각의 포토커플러를 접속한다. 출력 회로(350)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신호선 중 다른 쪽은, 도어 유닛(210, 220, 230, 240, 250) 각각의 접지를 접속한다.
출력 회로(350)가, 게이트 공간 GSP를 폐쇄하는 것을 요구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면, 도어 유닛(210, 220, 230, 240, 250) 각각에 내장된 구동 장치(도시하지 않음)는, 제어 신호에 따라 게이트 공간 GSP를 폐쇄하는 폐쇄 동작을 행한다. 출력 회로(350)가, 게이트 공간 GSP를 개방하는 것을 요구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면, 도어 유닛(210, 220, 230, 240, 250) 각각에 내장된 구동 장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게이트 공간 GSP를 개방하는 개방 동작을 행한다. 폐쇄 동작 및 개방 동작을 실행하는 구동 장치는, 모터와 벨트를 포함하는 기구이어도 된다. 구동 장치로서, 기지의 도어 유닛에 사용되는 다양한 구조가 이용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의 원리는, 구동 장치로서 사용되는 특정한 기구에 한정되지 않는다.
<추가적인 회로>
플랫폼 구조 및 플랫폼 펜스는, 상술한 폐루프 회로 외에, 추가적인 통신 회로(패러렐 통신 회로 및/또는 시리얼 통신 회로)를 구비해도 된다. 도어 유닛 각각의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감시 신호는, 추가적인 통신 회로를 통하여 전달되어도 된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형태의 원리는, 추가적인 통신 회로의 특정한 구조나 추가적인 통신 회로를 통하여 전달되는 신호의 특정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타>
제어 신호는, 폐루프 회로 대신에, 상술한 시리얼 통신 회로를 통하여, 각 도어 유닛에 전달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제어 신호의 전송은 시리얼 통신 기술에 기초해도 된다. 작업자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의 설정을 변경하고, 플랫폼 상에 설치된 도어 유닛만을 대상으로 하여, 제어 신호의 출력처를 지정해도 된다. 제어 신호는, 무선식으로 출력되어도 되고, 유선식으로 출력되어도 된다. 제어 신호의 전송 회로가, 도어 유닛의 상태 감시용 전송 회로와 공통화되면, 플랫폼 도어 구조 및 플랫폼 펜스의 신호 전달 구조는 매우 간소화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확인 신호는 게이트 공간이 완전히 폐쇄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확인 신호는, 게이트 공간의 다른 상태(예를 들어, 개방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추가적으로, 확인 신호는, 플랫폼 도어 구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해서, 확인 신호는 게이트 공간이 폐쇄될 때에 출력된다. 확인 신호의 출력 타이밍은, 확인 신호에 의해 확인되는 게이트 공간의 상태에 적합하도록 결정된다. 확인 신호가, 게이트 공간의 개방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되면, 확인 신호는, 플랫폼 도어 구조의 상태가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천이하는 타이밍에 출력되어도 된다.
설계자는, 상술한 다양한 실시 형태에 관련하여 설명된 설계 원리에 따라, 다양한 플랫폼 펜스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형태 중 1개에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특징 중 일부가, 다른 또 하나의 실시 형태에 관련하여 설명된 플랫폼 펜스의 형성에 적용되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련하여 설명된 기술은, 이하의 특징을 주로 구비한다.
상술한 실시 형태의 일 국면에 관한 플랫폼 도어 구조는, 플랫폼 상에서 정렬된 복수의 도어 유닛을 사용하여, 승객의 왕래를 허용하는 게이트 공간을 형성하는 플랫폼 펜스의 일부를 형성한다. 플랫폼 도어 구조는, 상기 복수의 도어 유닛 중 하나로서 상기 플랫폼 상에 설치된 제1 도어 유닛과, 상기 제1 도어 유닛에 의한 상기 게이트 공간의 개폐 상태를 확인하는 확인 신호를, 상기 제1 도어 유닛에 출력하는 확인 신호 생성부와, 상기 제1 도어 유닛 및 상기 확인 신호 생성부와 협동하여, 상기 확인 신호 생성부를 시점 및 종점으로 하는 신호의 전달 경로를 정하는 폐루프 회로를 형성하는 리턴 회로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도어 유닛은, 상기 리턴 회로에의 상기 확인 신호의 전달을 허용한다. 상기 리턴 회로는, 상기 제1 도어 유닛으로부터 수취한 상기 확인 신호를 상기 확인 신호 생성부로 되돌린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제1 도어 유닛이 정상이면, 제1 도어 유닛은, 폐루프 회로를 폐쇄하므로, 게이트 공간의 개폐 상태를 확인하는 확인 신호는, 제1 도어 유닛으로부터 리턴 회로로 전달된다. 그 후, 리턴 회로는, 확인 신호를 확인 신호 생성부에 보내므로, 확인 신호 생성부는, 플랫폼 펜스가 완성되기 전에 있어서도, 게이트 공간의 개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결과, 플랫폼 펜스의 설치 도중에도, 게이트 공간이 폐쇄 상태가 된 것을 조건으로 하는 안전 확인이, 감시원에 의한 눈으로 봄에 의존하지 않고, 실행 가능해진다. 따라서, 플랫폼 펜스의 설치 비용은 저감된다.
상기한 구성에 관해서, 상기 확인 신호는 상기 제1 도어 유닛이 상기 게이트 공간을 완전히 폐쇄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상기 제1 도어 유닛은, 상기 게이트 공간을 완전히 폐쇄하면, 상기 폐루프 회로를 폐쇄하고, 상기 리턴 회로에의 상기 확인 신호의 전달을 허용해도 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제1 도어 유닛은, 게이트 공간을 완전히 폐쇄하면, 폐루프 회로를 폐쇄하고, 리턴 회로에의 확인 신호의 전달을 허용하므로, 확인 신호는, 제1 도어 유닛으로부터 리턴 회로로 전달된다. 그 후, 리턴 회로는, 확인 신호를 확인 신호 생성부에 보내므로, 확인 신호 생성부는, 플랫폼 펜스가 완성되기 전에 있어서도, 게이트 공간의 개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결과, 플랫폼 펜스의 설치 도중에도, 게이트 공간이 완전히 폐쇄 상태가 된 것을 조건으로 하는 안전 확인이, 감시원에 의한 눈으로 봄에 의존하지 않고, 실행 가능해진다. 따라서, 플랫폼 펜스의 설치 비용은 저감된다.
상기한 구성에 관하여 플랫폼 도어 구조는, 상기 제1 도어 유닛과, 상기 리턴 회로 사이에 부설된 신호선을 더 구비해도 된다. 상기 복수의 도어 유닛은, 상기 신호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제2 도어 유닛을 포함해도 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플랫폼 펜스는, 플랫폼 도어 구조에의 제2 도어 유닛의 내장 후에 완성된다. 제2 도어 유닛은, 제1 도어 유닛과 리턴 회로 사이에 부설된 신호선에 접속되므로, 플랫폼 펜스를 설치하는 작업자는 리턴 회로를 불필요하게 이동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한 구성에 관해서, 상기 제1 도어 유닛은, 상기 제1 도어 유닛이 상기 게이트 공간을 완전히 폐쇄했을 때에 상기 확인 신호를 중계하는 스위치를 포함해도 된다. 상기 복수의 도어 유닛은, 상기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제2 도어 유닛을 포함해도 된다. 상기 제2 도어 유닛이 상기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면, 상기 리턴 회로는, 상기 제2 도어 유닛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도 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플랫폼 펜스는, 플랫폼 도어 구조에의 제2 도어 유닛의 내장 후에 완성된다. 제2 도어 유닛이, 제1 도어 유닛의 스위치에 접속되면, 리턴 회로는, 제2 도어 유닛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므로, 플랫폼 도어 구조에의 제2 도어 유닛의 내장 후도, 확인 신호 생성부는 감시원에 의한 눈으로 봄에 의존하지 않고, 게이트 공간이 폐쇄 상태가 된 것을 조건으로 하는 안전 확인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랫폼 펜스의 설치 비용은 저감된다.
상기한 구성에 관해서, 상기 리턴 회로는, 상기 제1 도어 유닛에 내장되어도 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리턴 회로는, 제1 도어 유닛에 내장되므로, 플랫폼 펜스를 설치하는 작업자는, 리턴 회로를 설치하기 위한 전용 공간을 준비하지 않아도 된다. 그 외에, 리턴 회로는, 제1 도어 유닛에 의해 적절하게 보호된다.
상기한 구성에 관해서, 상기 제1 도어 유닛은, 상기 제1 도어 유닛이 상기 게이트 공간을 완전히 폐쇄했을 때에 상기 확인 신호를 중계하는 스위치를 포함해도 된다. 상기 리턴 회로는, 상기 확인 신호 생성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출력 포트를 포함해도 된다. 상기 복수의 도어 유닛은, 상기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제2 도어 유닛을 포함해도 된다. 상기 확인 신호는, 상기 제2 도어 유닛의 존재 하에서, 상기 스위치로부터 상기 제2 도어 유닛으로 전달되고, 상기 제2 도어 유닛의 부존재 하에 있어서, 상기 출력 포트로부터 상기 확인 신호 생성부로 출력되어도 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플랫폼 펜스는, 플랫폼 도어 구조에의 제2 도어 유닛의 내장 후에 완성된다. 확인 신호는, 제2 도어 유닛의 존재 하에서, 제1 도어 유닛의 스위치로부터 제2 도어 유닛으로 전달되므로, 확인 신호의 전달 경로는, 제2 도어 유닛의 설치 전후에 있어서, 적절하게 전환된다. 따라서, 확인 신호 생성부는, 감시원에 의한 눈으로 봄에 의존하지 않고, 게이트 공간이 폐쇄 상태가 된 것을 조건으로 하는 안전 확인을 실행할 수 있다. 이 결과, 플랫폼 펜스의 설치 비용은 저감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의 다른 국면에 관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플랫폼 펜스는, 플랫폼 상에서 정렬된 복수의 도어 유닛을 사용하여, 승객의 왕래를 허용하는 게이트 공간을 형성한다. 제조 방법은, 상기 복수의 도어 유닛 각각이 설치될 때마다, 상기 게이트 공간의 개폐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개폐 상태의 확인이 완료된 도어 유닛에 의한 상기 게이트 공간의 개폐 제어를 행하는 단계를, 소정수의 도어 유닛이 설치될 때까지 실행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게이트 공간의 개폐 상태는, 복수의 도어 유닛 각각이 설치될 때마다, 게이트 공간의 개폐 상태는 확인되므로, 게이트 공간이 폐쇄 상태가 된 것을 조건으로 하는 안전 확인이 실행되게 된다. 게이트 공간의 개폐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개폐 상태의 확인이 완료된 도어 유닛에 의한 게이트 공간의 개폐 제어를 행하는 단계가 소정수의 도어 유닛이 설치될 때까지 실행되므로, 플랫폼 펜스의 설치 과정에서도 게이트 공간의 개폐 제어가 이루어져, 승객은 게이트 공간을 안전하게 왕래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관해서, 상기 복수의 도어 유닛 각각이 설치될 때마다, 상기 게이트 공간의 상기 개폐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는, (i) 상기 복수의 도어 유닛 중 하나로서 상기 플랫폼 상에 설치된 제1 도어 유닛과, 상기 제1 도어 유닛에 의한 상기 게이트 공간의 상기 개폐 상태를 확인하는 확인 신호를, 상기 제1 도어 유닛에 출력하는 확인 신호 생성부와, 상기 확인 신호를 상기 제1 도어 유닛으로부터 수취하고, 상기 확인 신호 생성부로 되돌리는 리턴 회로를 사용하여, 상기 확인 신호 생성부를 시점 및 종점으로 하는 신호 전달 경로를 정하는 폐루프 회로를 형성하는 단계와, (ⅱ) 상기 폐루프 회로에, 상기 복수의 도어 유닛 중 다른 또 하나로서 제2 도어 유닛을 추가하는 단계와, (ⅲ) 상기 제2 도어 유닛이 추가된 새로운 폐루프 회로에 상기 확인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해도 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플랫폼 펜스는, 폐루프 회로에의 제2 도어 유닛의 내장 후에 완성된다. 제1 도어 유닛이 정상이면, 폐루프 회로에의 제2 도어 유닛의 내장 전에 있어서, 제1 도어 유닛이 폐루프 회로를 폐쇄하므로, 게이트 공간의 개폐 상태를 확인하는 확인 신호는, 제1 도어 유닛으로부터 리턴 회로로 전달된다. 그 후, 리턴 회로는, 확인 신호를 확인 신호 생성부에 보내므로, 확인 신호 생성부는, 플랫폼 펜스가 완성되기 전에 있어서도, 게이트 공간의 개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결과, 플랫폼 펜스의 설치 도중에도, 게이트 공간이 폐쇄 상태가 된 것을 조건으로 하는 안전 확인이, 감시원에 의한 눈으로 봄에 의존하지 않고, 실행 가능해진다. 따라서, 플랫폼 펜스의 설치 비용은 저감된다.
상기한 구성에 관해서, 상기 폐루프 회로에 상기 제2 도어 유닛을 추가하는 공정은, 상기 제1 도어 유닛과 상기 리턴 회로 사이에서 연장되는 신호선에, 상기 제2 도어 유닛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해도 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폐루프 회로에 제2 도어 유닛을 추가하는 공정은, 제1 도어 유닛과 리턴 회로 사이에서 연장되는 신호선에, 제2 도어 유닛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므로, 플랫폼 펜스를 설치하는 작업자는, 리턴 회로를 불필요하게 이동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한 구성에 관해서, 상기 폐루프 회로에 상기 제2 도어 유닛을 추가하는 공정은, (i) 상기 제1 도어 유닛과 상기 리턴 회로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을 해제하는 공정과, (ⅱ) 상기 제2 도어 유닛을 상기 제1 도어 유닛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공정과, (ⅲ) 상기 리턴 회로를 상기 제2 도어 유닛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공정을 포함해도 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리턴 회로는, 제2 도어 유닛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므로, 플랫폼 도어 구조에의 제2 도어 유닛의 내장 후도, 확인 신호 생성부는, 감시원에 의한 눈으로 봄에 의존하지 않고, 게이트 공간이 폐쇄 상태가 된 것을 조건으로 하는 안전 확인을 실행할 수 있다. 이 결과, 플랫폼 펜스의 설치 도중에도, 게이트 공간이 폐쇄 상태가 된 것을 조건으로 하는 안전 확인이 실행 가능해진다. 따라서, 플랫폼 펜스의 설치 비용은 저감된다.
상기한 구성에 관해서, 상기 제1 도어 유닛은, 상기 제1 도어 유닛이 상기 게이트 공간을 완전히 폐쇄했을 때에 상기 확인 신호를 중계하는 스위치를 포함해도 된다. 상기 리턴 회로는, 상기 제1 도어 유닛에 내장되면서, 또한 상기 확인 신호 생성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출력 포트를 포함해도 된다. 상기 폐루프 회로는, 상기 출력 포트와 상기 확인 신호 생성부 사이의 전기적 접속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폐루프 회로에 상기 제2 도어 유닛을 추가하는 공정은, 상기 전기적 접속을 해제하는 한편, 상기 스위치를 상기 제2 도어 유닛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해도 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리턴 회로는, 제1 도어 유닛에 내장되므로, 플랫폼 펜스를 설치하는 작업자는, 리턴 회로를 설치하기 위한 전용 공간을 준비하지 않아도 된다. 그 외에, 리턴 회로는, 제1 도어 유닛에 의해 적절하게 보호된다. 확인 신호는, 제2 도어 유닛의 존재 하에서, 제1 도어 유닛의 스위치로부터 제2 도어 유닛으로 전달되므로, 확인 신호의 전달 경로는, 제2 도어 유닛의 설치 전후에 있어서, 적절하게 전환된다. 확인 신호 생성부는, 게이트 공간이 폐쇄 상태가 된 것을 조건으로 하는 안전 확인을 실행할 수 있다. 이 결과, 플랫폼 펜스의 설치 도중에도, 게이트 공간이 폐쇄 상태가 된 것을 조건으로 하는 안전 확인이, 감시원에 의한 눈으로 봄에 의존하지 않고, 실행 가능해진다. 따라서, 플랫폼 펜스의 설치 비용은 저감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의 또 다른 국면에 관한 설치 방법에 의해 설치되는 플랫폼 펜스는, 플랫폼 상에서 정렬된 복수의 도어 유닛을 사용하여, 승객의 왕래를 허용하는 게이트 공간을 형성한다. 설치 방법은, 상기 복수의 도어 유닛 각각이 설치될 때마다, 상기 게이트 공간의 개폐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개폐 상태의 확인이 완료된 도어 유닛에 의한 상기 게이트 공간의 개폐 제어를 행하는 단계를 소정수의 도어 유닛이 설치될 때까지 실행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게이트 공간의 개폐 상태는, 복수의 도어 유닛 각각이 설치될 때마다, 게이트 공간의 개폐 상태는 확인되므로, 게이트 공간이 폐쇄 상태가 된 것을 조건으로 하는 안전 확인이 실행되게 된다. 게이트 공간의 개폐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개폐 상태의 확인이 완료된 도어 유닛에 의한 게이트 공간의 개폐 제어를 행하는 단계가, 소정수의 도어 유닛이 설치될 때까지 실행되므로, 플랫폼 펜스의 설치 과정에서도 게이트 공간의 개폐 제어가 이루어져, 승객은 게이트 공간을 안전하게 왕래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상술한 실시 형태의 원리는, 역의 설비에 적합하게 이용된다.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플랫폼 상에서 정렬된 복수의 도어 유닛을 사용하여, 승객의 왕래를 허용하는 게이트 공간을 형성하는 플랫폼 펜스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복수의 도어 유닛 각각이 설치될 때마다, 상기 게이트 공간의 개폐 상태를 확인하는 확인 신호를 상기 설치 완료 도어 유닛에 출력하는 확인 신호 생성부를 상기 플랫폼의 한쪽의 단부에, 상기 확인 신호 생성부를 시점 및 종점으로 하는 신호의 전달 경로를 정하는 폐루프 회로를 형성하는 리턴 회로를 상기 플랫폼의 다른 쪽의 단부에 설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폐루프 회로가 상기 확인 신호 생성부와 상기 리턴 회로를 연결하는 신호선에 의해 형성되는 단계와,
    상기 확인 신호를 중계하는 스위치를 구비한 도어 유닛을 설치하기 전에, 상기 리턴 회로에 이르는 신호선의 대응 개소를 절단하는 단계와,
    당해 도어 유닛을 설치한 후, 상기 절단 개소의 신호선을 당해 도어 유닛의 상기 스위치에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개폐 상태의 확인이 완료된 상기 도어 유닛에 의한 상기 게이트 공간의 개폐 제어를 행하는 단계를, 소정수의 도어 유닛이 설치될 때까지 실행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어 유닛 각각이 설치될 때마다, 상기 게이트 공간의 상기 개폐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는,
    (i) 상기 복수의 도어 유닛 중 하나로서 상기 플랫폼 상에 설치된 제1 도어 유닛과, 상기 제1 도어 유닛에 의한 상기 게이트 공간의 상기 개폐 상태를 확인하는 확인 신호를, 상기 제1 도어 유닛에 출력하는 상기 확인 신호 생성부와, 상기 확인 신호를 상기 제1 도어 유닛으로부터 수취하고, 상기 확인 신호 생성부로 되돌리는 상기 리턴 회로와 상기 확인 신호 생성부를 시점 및 종점으로 하는 상기 폐루프 회로를 형성하는 단계와,
    (ⅱ) 상기 폐루프 회로에, 상기 복수의 도어 유닛 중 다른 또 하나로서 제2 도어 유닛을 추가하는 단계와,
    (ⅲ) 상기 제2 도어 유닛이 추가된 새로운 폐루프 회로에 상기 확인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폐루프 회로에 상기 제2 도어 유닛을 추가하는 공정은, 상기 제1 도어 유닛과 상기 리턴 회로 사이에서 연장되는 신호선에, 상기 제2 도어 유닛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폐루프 회로에 상기 제2 도어 유닛을 추가하는 공정은,
    (i) 상기 제1 도어 유닛과 상기 리턴 회로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을 해제하는 공정과,
    (ⅱ) 상기 제2 도어 유닛을 상기 제1 도어 유닛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공정과,
    (ⅲ) 상기 리턴 회로를 상기 제2 도어 유닛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 유닛은, 상기 제1 도어 유닛이 상기 게이트 공간을 완전히 폐쇄했을 때에 상기 확인 신호를 중계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리턴 회로는, 상기 제1 도어 유닛에 내장되면서, 또한 상기 확인 신호 생성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출력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폐루프 회로는, 상기 출력 포트와 상기 확인 신호 생성부 사이의 전기적 접속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폐루프 회로에 상기 제2 도어 유닛을 추가하는 공정은, 상기 전기적 접속을 해제하는 한편, 상기 스위치를 상기 제2 도어 유닛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12. 플랫폼 상에서 정렬된 복수의 도어 유닛을 사용하여, 승객의 왕래를 허용하는 게이트 공간을 형성하는 플랫폼 펜스의 설치 방법이며,
    상기 복수의 도어 유닛 각각이 설치될 때마다, 상기 게이트 공간의 개폐 상태를 확인하는 확인 신호를 상기 설치 완료 도어 유닛에 출력하는 확인 신호 생성부를 상기 플랫폼의 한쪽의 단부에, 상기 확인 신호 생성부를 시점 및 종점으로 하는 신호의 전달 경로를 정하는 폐루프 회로를 형성하는 리턴 회로를 상기 플랫폼의 다른 쪽의 단부에 설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폐루프 회로가 상기 확인 신호 생성부와 상기 리턴 회로를 연결하는 신호선에 의해 형성되는 단계와,
    상기 확인 신호를 중계하는 스위치를 구비한 도어 유닛을 설치하기 전에, 상기 리턴 회로에 이르는 신호선의 대응 개소를 절단하는 단계와,
    당해 도어 유닛을 설치한 후, 상기 절단 개소의 신호선을 당해 도어 유닛의 상기 스위치에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개폐 상태의 확인이 완료된 상기 도어 유닛에 의한 상기 게이트 공간의 개폐 제어를 행하는 단계를, 소정수의 도어 유닛이 설치될 때까지 실행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설치 방법.
KR1020160162533A 2015-12-08 2016-12-01 플랫폼 도어 구조, 플랫폼 펜스의 제조 방법 및 설치 방법 KR1018928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39249 2015-12-08
JP2015239249 2015-12-08
JP2016206004A JP6853011B2 (ja) 2015-12-08 2016-10-20 プラットホームドア構造、プラットホーム柵の製造方法及び設置方法
JPJP-P-2016-206004 2016-10-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650A KR20170067650A (ko) 2017-06-16
KR101892820B1 true KR101892820B1 (ko) 2018-08-28

Family

ID=59058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2533A KR101892820B1 (ko) 2015-12-08 2016-12-01 플랫폼 도어 구조, 플랫폼 펜스의 제조 방법 및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853011B2 (ko)
KR (1) KR101892820B1 (ko)
CN (1) CN10695668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47749B (zh) * 2019-11-21 2021-08-17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一种站台门控制系统、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7486449B2 (ja) * 2021-03-02 2024-05-17 三菱電機株式会社 ホームドアシステム
CN114000808B (zh) * 2021-11-24 2024-09-13 大连日盛能源科技有限公司 站台智能单双联动护栏式安全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3418A (ja) 1999-01-18 2000-07-25 Nabco Ltd プラットホ―ムドアシステム
JP2011020657A (ja) 2009-07-21 2011-02-03 Nippon Signal Co Ltd:The ホームドアシステム
JP2015048063A (ja) 2013-09-04 2015-03-16 富士電機株式会社 ドア制御装置
JP2015189421A (ja) * 2014-03-28 2015-11-02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ホームドアユニットの設置方法、ホームドアユニットをプラットホームに設置する際に用いられる端子装置、および、ホームドア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3470A (en) * 1987-09-02 1989-03-09 Toshiba Corp Passenger safety monitor device for platform
JP4444756B2 (ja) * 2004-08-18 2010-03-31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及びその設置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3418A (ja) 1999-01-18 2000-07-25 Nabco Ltd プラットホ―ムドアシステム
JP2011020657A (ja) 2009-07-21 2011-02-03 Nippon Signal Co Ltd:The ホームドアシステム
JP2015048063A (ja) 2013-09-04 2015-03-16 富士電機株式会社 ドア制御装置
JP2015189421A (ja) * 2014-03-28 2015-11-02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ホームドアユニットの設置方法、ホームドアユニットをプラットホームに設置する際に用いられる端子装置、および、ホームドア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650A (ko) 2017-06-16
JP6853011B2 (ja) 2021-03-31
JP2017105436A (ja) 2017-06-15
CN106956681A (zh) 2017-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2820B1 (ko) 플랫폼 도어 구조, 플랫폼 펜스의 제조 방법 및 설치 방법
CN107249940B (zh) 用于监视处于自主运行模式中并且位于停车场上的车辆的方法和设备
JP5275962B2 (ja) 無線列車制御システム
WO2014112159A1 (ja) 列車運行制御検査装置、列車運行制御検査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322660B1 (en) Elevator control system
CN107848742B (zh) 电梯控制系统和包括所述电梯控制系统的电梯系统
KR101791805B1 (ko)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CN103648852A (zh) 在以手势控制的方式打开机动车车门和后备箱时的错误回避
CN106476855A (zh) 实现车辆段与试车线间控制权交接的系统及方法
CN100422951C (zh) 车辆中控制工作进程的方法和装置
CN106394614A (zh) 导轨电车安全型轨旁联锁控制方法及系统
EP2983960B1 (en) Method for releasing overlaps in a railway signalling system
CN106494464A (zh) 一种基于通信的列车控制系统的正线信号显示方法
CN112660206B (zh) 一种保护进路设计方法
US20190250574A1 (en) Multi-channel control switchover logic
KR101306106B1 (ko) 열차 출입문과 승강장 스크린 도어의 개별 연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4203715B (zh) 自动折返控制装置
KR101172004B1 (ko) 자동열차운전장치와 연동되는 승강장스크린도어 무선제어 시스템
KR102310417B1 (ko) 차량 주행모드 추천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주행모드 추천 방법
JP6247981B2 (ja) ホームドアユニットの設置方法、ホームドアユニットをプラットホームに設置する際に用いられる端子装置、および、ホームドアシステム
KR101863491B1 (ko) 출입문 선택 제어 회로
CN107438548A (zh) 用于将机械式缝隙填充器、导引式车辆门及站台屏蔽门联锁的系统和方法
US20190061774A1 (en) Plan for guiding a motor vehicle driverlessly on an inclined ramp of a parking lot
JPWO2018066021A1 (ja) 終端防護装置及び終端防護方法
JP5977511B2 (ja) 車両のニュートラルロック解除防止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